[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7027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027B1
KR100807027B1 KR1020060099780A KR20060099780A KR100807027B1 KR 100807027 B1 KR100807027 B1 KR 100807027B1 KR 1020060099780 A KR1020060099780 A KR 1020060099780A KR 20060099780 A KR20060099780 A KR 20060099780A KR 100807027 B1 KR100807027 B1 KR 10080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base
flat
display panel
driving chip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9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9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027B1/ko
Priority to US11/713,612 priority patent/US7759865B2/en
Priority to CN2007100937048A priority patent/CN10116255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02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46Connecting or feeding means, e.g. leading-in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613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of non-printed components, e.g. special leads
    • H05K2201/10621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contacts
    • H05K2201/10681Tape Carrier Package [TCP]; Flexible sheet conn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재의 추가로 인한 제조비용의 상승을 방지하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패널; 상기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부; 상기 구동회로부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에 한 번 이상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샤시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샤시베이스, 보강재, 보호플레이트, TCP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보강부의 단면구조 및 연결부재의 부착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보강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강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
도 5는 도 3의 보강부 구조에 충전층이 추가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
도 6은 도 4의 보강부 구조에 충전층이 추가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표시패널 111 : 전면기판
112 : 후면기판 200 : 샤시베이스
210 : 에지부 250, 4250, 5250, 6250 : 보강부
251 : 절곡부 290 : 보호플레이트
300 : 구동회로부 310 : 전원공급부
320 : 논리제어부 330 : 서스테인구동부
340 : 스캔구동부 350 : 버퍼보드
397 : 인쇄회로기판 398 : 패드부
399 : 회로소자 400 : 열전도시트
410 : 접착부재 420, 450 : 연결부재
500 : 열전도체 510 : 접착층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강재의 추가로 인한 제조비용의 상승을 방지하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을 이용하는 텔레비전을 대체하는 영상표시장치로 평판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 : FDD)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FDD)로는 상용화에 성공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Panel : PDP) 및 전자발광표시장치(Electro Luminescence Device : ELD)가 있으며,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및 진공형광표시장치(Vacuum Fluorescent Display : VFD) 등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전에 의한 광 방출원리를 이용한 표시장치로서, 대화면의 구현이 용이하고 디지털 화상처리가 가능하여 액정표시장치와 함께 많은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전셀이 형성된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지지하기 위한 샤시베이스, 샤시베이스에 거치되고 FFC(Flexible Flat Cable)에 의해 표시패널과 연결되는 구동회로로 구성된다.
특히 샤시베이스는 표시패널과 구동회로를 지지하는 기계적 역할과 함께 구동회로의 공통접지전원으로 이용되는 등 다양한 쓰임새를 가진다. 또한, 표시패널과 구동회로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방열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샤시베이스는 알루미늄이나 이의 합금을 이용하여 가볍고 견고하게 제작된다. 이 때문에, 샤시베이스의 구조변경이나 재료의 저감만으로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이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샤시베이스의 두께를 강성의 유지를 위해 필요한 부분을 제외하고 최소화하는 한편, 부분적으로 보강재를 채택하여 물리력이 집중되는 부분의 강성을 보강하는 형태로 샤시베이스를 이용하고 있다. 아울러, 샤시베이스에 채택되는 보강재는 샤시베이스에 준하는 전도성 재질의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공통접지전원의 안정적인 확보와 함께 방열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샤시베이스와 보강재를 표시패널뿐만 아니라 FFC도 방열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중 일부 구동부 이를테면, 어드레스 구동부는 구동부와 표시패널을 TCP(Tape Carrier Package)에 의해 연결한다. 이 어드레스 구동부와 표시패널을 연결하는 TCP에는 구동칩이 실장된다. TCP에 실장된 구동칩에는 표시패널에 공급되는 고전압 신호가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다른 소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발열량을 가지며, 이로인해 발열에 의한 파손도 빈번하 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보강재나 히트싱크와 같은 별도의 방열부재를 이용하여 발열을 보조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샤시베이스에 추가되는 보강재는 별도의 제조공정에 의해 제조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함께, 보강재의 추가를 위한 공정이 필요하여 제조비의 저감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제조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강재의 추가를 위해 결합부재가 결합되는 수단을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등의 불편함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재의 추가로 인한 공정비용의 상승을 방지하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강재를 대신하여 TCP의 발열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패널; 상기 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부; 상기 구동회로부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에 한 번 이상의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샤시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샤시베이스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플랫,
상기 제1플랫과 이격되며, 상기 샤시베이스면에 수직방향을 형성되는 제2플랫 및 상기 제1플랫과 상기 제2플랫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2플랫으로부터 신장되고, 상기 샤시베이스면에 수평방향으로 신장되는 제3플랫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플랫과 상기 제2플랫 사이에 삽입되는 충전층을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충전층은, 상기 제3플랫과 상기 샤시베이스면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충전층은, 그라파이트(Graphite),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의 합금으로 제작되는 박판 또는 테입 및, 열전도성 실리콘계 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구동회로부와 상기 표시패널은, 구동칩이 실장된 테이프캐리어패키지를 포함하는 도전성 연결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칩은,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플랫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구동칩과 상기 제1플랫 사이에 열전도체 또는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샤시베이스의 상기 보강부 상에 배치되는 보호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칩과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구동칩의 사이에 열전도체 또는 접착층 중 적어도 어 느 하나가 더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샤시베이스의 가장자리 중 상기 보강부가 형성되지 않은 변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에 상기 샤시베이스면과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상기 샤시베이스와 상기 표시패널의 사이에는,
접착부재 또는 열전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과 연관하여 이하에서 개시되는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할 의도로서 행해진 것이고, 발명이 실행될 수 있는 형태들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에 포함된 동일한 또는 등가의 기능들이 다른 실시예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도면에 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표시패널(100), 샤시베이스(200) 및 구동회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패널(100)은 전면기판(111) 및 후면기판(112)으로 구성되고, 전면기판(111)과 후면기판(112)의 사이에는 격벽, 유전체층, 형광체층, 전극 및 보호막층에 의해 구성되는 방전셀이 형성되며, 불활성 가스가 봉지된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은 전극을 통해 구동회로부(300)에서 공급되는 구동신호를 방전셀에 공급하며, 방전셀 내에서 구동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방전에 의해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패널(100)은 후면기판(112)을 샤시베이스(200) 전면에 부착되어 고정 및 지지된다.
샤시베이스(200)는 표시패널(100)을 고정 및 지지함과 아울러, 표시패널(100)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열을 보조한다. 또한, 샤시베이스(200)는 표시패널(100)의 부착되지 않는 다른 면을 통해 구동회로부(300)를 고정 및 지지한다. 아울러, 샤시베이스(200)는 구동회로부(300)의 공통접지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구동회로부(300)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특히, 샤시베이스(200)의 가장자리 일변은 보강부(250)가 형성된다. 이 보강부(250)는 샤시베이스(200)의 강성을 보충함과 아울러, 표시패널(100)과 구동회로부(3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420, 450) 중 테이프캐리어패키지(TCP : Tape Carrier Package, 450)에 실장된 구동칩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의 방열을 보조한다. 이를 위해, 보강부(250)는 샤시베이스(200)와 일체형으로 제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에 의해 연장되어 절곡되는 다면구조를 갖는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샤시베이스(200)의 다른 가장자리 면에는 보강을 위한 에지부(21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구동회로부(300)는 표시패널(100)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며, 표시패널(100)과 연결부재(420, 450)에 의해 연결된다. 이를 위해, 구동회로부(300)는 영상처리부, 전원공급부, 논리제어부, 어드레스구동부, 스캔구동부, 서스테인구동부 및 버퍼보드가 포함된다. 이러한 구동회로부(300)의 각 구동부는 각 기능별로 각각의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형태로 이용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전원공급부 기판(310), 논리제어부기판(320), 스캔구동부기판(340), 서스테인구동부기판(330) 및 버퍼보드기판(350 : 350a, 350b)과 같이 구분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구동회로부(300)가 둘 이상의 기판으로 분리되거나, 둘 이상의 구동부가 하나의 기판에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각 기판(310, 320, 330, 340) 중 일부에는 버퍼보드(350)가 부가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420, 450)은 플렉서블플랫케이블(FFC : Flexible Flat Cable) 계통을 이용할 수 있다. 이 중 일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TCP와 같은 구동칩 실장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TCP형 연결부재(450)는 구동칩이 보강부(250)에 밀착되어, 구동칩의 방열을 보강부(250)에 의해 보조 받을 수 있다.
여기서, 표시패널(100)의 배면 즉, 표시패널(100)과 샤시베이스(200)의 사이에 접착부재(410)와 열전도부재(4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접착부재(410)는 접착제, 접착필름이나 이의 등가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표시패널(100)을 샤시베이스(200)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열전도부재(400)는 표시패널(100)과 샤시베이스(200)의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00)의 방열을 보조하거 나, 샤시베이스(200)로의 열전달을 보조한다. 특히, 이 열전도부재(400)는 표시패널(100)의 국부적인 온도차를 최소화하여 표시패널(100)이 국부적이 온도차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열전도부재(400)와 접착부재(410)는 표시패널(100) 또는 샤시베이스(200)로부터의 진동이 상호 간에 전달되지 않도록 흡진성을 가지는 재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보강부의 단면구조 및 연결부재의 부착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보강부(250)가 형성된 부근의 샤시베이스(200)의 단면을 도시하면 도 2와 같다. 도 2에서 샤시베이스(200)를 기준으로 아래쪽에는 표시패널(10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샤시베이스(200)와 표시패널(100)의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부재(410)와 열전도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패널(100)은 전면기판(111)과 후면기판(112)이 약간의 단차가 지도록 부착된다. 이는 도 2에서 TCP형 연결부재(450)로 도시한 연결부재와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전면기판(111)과 후면기판(112)의 크기를 다소 상이하게 형성하여 합착한다. 즉, TCP형 연결부재(450)의 일단은 이 단차부(112a)에 접속되고, 타단은 구동회로부(300)의 패드부(398)에 접속된다. 이 패드부(398)는 구동회로부(300)의 인쇄회로기판(397)에 형성된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패턴은 회로소자(399)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TCP형 연결부재(450)에 실장되는 구동칩(453)은 샤시베이스(200)의 하부에 부착된다. 여기서, 구동칩(453)의 위치를 샤시베이스(200)의 하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이유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시 도 2의 우측이 상부가 되기 때문이다. 즉, 방열이 용이 하도록 보강부(250)가 구동칩의 상부에 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TCP형 연결부재(450)의 일측에는 보호플레이트(290)가 덧붙여질 수 있다. 이 보호플레이트(290)는 TCP형 연결부재(450)의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고 구동칩(453)의 방열을 보조한다. 아울러, 보호플레이트(290)와 구동칩(453)의 사이, 구동칩(453)과 보강부(250) 사이에는 열전도체(500 : 500a. 500b)와 접착층(510 : 510a, 510b)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열전도체(500)와 접착층(510)은 구동칩(453)과 보호플레이트(290), 구동칩(453)과 보강부(250)가 밀착하도록 하며, 구동칩(453)로부터의 열전도를 보조하여 방열효율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에는 보호플레이트(290)와 구동칩(453) 사이 및 구동칩(453)과 보강부(250) 사이 모두에 열전도체(500)와 접착층(510)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어느 한쪽에만 열전도체(500a, 550b)와 접착층(510a, 510b)이 형성될 숭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보강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강부(250)는 샤시베이스(20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면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플랫(250a), 제1플랫(250a)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제1플랫(250a)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플랫(250c) 및 제1플랫(250a)과 제2플랫(250c)을 연결하고, 제1플랫(250a)과 제2플랫(250c)을 이격시키는 연결부(250b)로 구성된다. 특히, 제2플랫(250a)은 제1플랫(250a)에 비해 상부방향(화살표 참조)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1플랫(250a)에 비해 하부쪽에 제2플랫(250c)가 위치하면 표시패널(100)의 크기보다 샤시베이스(200)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좋지 않을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플랫(250a)과 제2플랫(250c)은 반드시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플랫(250a)과 제2플랫(250c) 간의 간격이 연결부(250b)와 멀어질수록 좁아지거나 가까워질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1플랫(250a)과 제2플랫(250c)의 이격거리는 샤시베이스(200)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유 특성, 강성, 구조와 같은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이 제1플랫(250a)의 일면 즉, 제2플랫(250c)이 형성되지 않는 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칩(453)이 배치된다. 제2플랫(250c) 및 연결부(250b)는 방열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샤시베이스(200) 종단의 강성을 보강한다. 아울러, 샤시베이스(200)와 제1플랫(250a)의 절곡부(251a), 제1플랫(250a)와 연결부(250b) 사이의 절곡부(251b) 및 연결부(250b)와 제2플랫(250c) 사이의 절곡부(251c)는 모서리진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라운딩 처리되어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서, 도3에 비해 제3플랫을 더 포함하는 보강부가 도시되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샤시베이스(4200)의 보강부(4250)는 제1 내지 제3플랫(4250a, 4250c, 4250d) 및 연결부(42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보강부(4250)의 구조 중, 제1플랫(4250a), 연결부(4250b) 및 연결부(4250c)의 구조는 상술한 도 3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하다.
단지 제2실시예에서는 제2플랫(4250c)로부터 절곡되어 신장되는 제3플랫(4250d)가 더 포함된다. 이 제3플랫(4250d)는 샤시베이스(4200)와 평행하도록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샤시베이스(4200)와 제3플랫(4250d) 간의 이격거리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샤시베이스(4200)의 고유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되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보강부의 플랫 사이에 충전층이 더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도 5는 제1실시예의 보강부에 충전층이 형성되는 경우를, 도 6은 제2실시예의 보강부에 충전층이 형성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3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새로이 추가된 충전층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전층을 가지는 보강부(5250)는 제1플랫(5250a), 제2플랫(5250c), 연결부(5250b) 및 샤시베이스(5200)의 사이에 삽입되는 충전층(5260)이 더 포함된다.
충전층(5260)은 보강부(5250)의 방열성능 향상하기 위한 열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이나 보강부(525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층일 수 있다. 방열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의 충전층(5260)은 그라파이트, 알루미늄, 동이나 이의 등가물을 이용하여 제작된 박판, 테입, 벽체이거나 열전도 실리콘계 젤일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재료로는 황동, 청동, 알루미늄, 주석과 같은 금속의 합금이나 이의 등가금속, 또는 플라스틱이나 이의 등가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금속재료를 이용하는 경우, 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또는 합금을 사용하는 경우, 열전도성의 향상과 함께 강성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도 5에서 충전층(5260)이 연결부(5250b)로부터 샤시베이스(5200)까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2플랫(5250c)의 경계면(A)이나 이보다 연결부(5250b)에 가까운 곳까지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충전층(6260)이 형성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랫(6250a) 및 제2플랫(6250c) 사이뿐만 아니라 제3플랫(6250d)와 샤시베이스(6200)의 사이까지도 충전층(6260)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조비용, 설계 자유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충전층(6260)의 특성 및 재료는 도 5에서 설명한 내용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도 6의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샤시베이스에 보강부를 형성함으로써, 보강재의 추가로 인한 공정비용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샤시베이스에 형성된 보강부가 TCP의 발열을 보조하도록 함으로써, TCP의 발열에 의한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별도의 발열보조부재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강부에 충전층을 형성함으로써 방열효율 및 보강성을 최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TCP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플레이트를 제공하고, 보호플레이트에 의해 TCP의 방열을 보조하도록 함으로써 TCP의 안정적인 동작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에 의해 한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를 포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4)

  1.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구동신호를 공급하는 구동회로부;
    상기 구동회로부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가장자리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에 형성되는 보강부를 구비하는 샤시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샤시베이스의 후면에 수직하게 신장되는 제1플랫, 상기 제1플랫과 이격되며, 상기 샤시베이스의 후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플랫, 상기 제1플랫과 상기 제2플랫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제2플랫으로부터 신장되고, 상기 샤시베이스의 후면에 수평하게 신장되는 제3플랫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제1플랫과 상기 제2플랫 사이에 삽입되는 충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층은,
    상기 제3플랫과 상기 샤시베이스의 후면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층은,
    그라파이트(Graphite), 알루미늄, 구리 또는 이의 합금으로 제작되는 박판 또는 테입 및,
    열전도성 실리콘계 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부와 상기 표시패널은,
    구동칩이 실장된 테이프캐리어패키지를 포함하는 도전성 연결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칩은,
    상기 보강부의 상기 제1플랫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칩과 상기 제1플랫 사이에 열전도체 또는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를 사이에 두고 샤시베이스의 상기 보강부 상에 배치되는 보호플레이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구동칩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구동칩의 사이에 열전도체 또는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의 가장자리 중 상기 보강부가 형성되지 않은 변 중 적어도 어느 한 변에 상기 샤시베이스면과 수직 방향으로 신장되는 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샤시베이스와 상기 표시패널의 사이에는,
    접착부재 또는 열전도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더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099780A 2006-10-13 2006-10-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0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780A KR100807027B1 (ko) 2006-10-13 2006-10-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11/713,612 US7759865B2 (en) 2006-10-13 2007-03-05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chassis base with a reinforcing member
CN2007100937048A CN101162559B (zh) 2006-10-13 2007-04-05 等离子体显示面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9780A KR100807027B1 (ko) 2006-10-13 2006-10-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027B1 true KR100807027B1 (ko) 2008-02-25

Family

ID=39297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97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7027B1 (ko) 2006-10-13 2006-10-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59865B2 (ko)
KR (1) KR100807027B1 (ko)
CN (1) CN1011625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826A (ko) * 2016-03-14 2017-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3362B1 (en) * 2015-10-27 2019-03-13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485A (ko) * 2004-11-09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60084592A (ko) * 2005-01-20 2006-07-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17279B2 (ja) 1988-11-30 1999-07-12 富士通株式会社 ガス放電パネル
US6097357A (en) 1990-11-28 2000-08-01 Fujitsu Limited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259253B2 (ja) 1990-11-28 2002-02-25 富士通株式会社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及び階調駆動装置
EP1231590A3 (en) 1991-12-20 2003-08-06 Fujitsu Limited Circuit for driving display panel
EP0554172B1 (en) 1992-01-28 1998-04-29 Fujitsu Limited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025598B2 (ja) 1993-04-30 2000-03-27 富士通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JP2891280B2 (ja) 1993-12-10 1999-05-17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3163563B2 (ja) 1995-08-25 2001-05-08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845183B2 (ja) 1995-10-20 1999-01-13 富士通株式会社 ガス放電パネル
JP3424587B2 (ja) 1998-06-18 2003-07-07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4030685B2 (ja) 1999-07-30 2008-01-09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325888A (ja) 2000-03-09 2001-11-22 Samsung Yokohama Research Institute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03331B1 (ko) * 2004-02-18 2006-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69327B1 (ko) * 2004-10-11 2007-0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0092B1 (ko) 2004-10-11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117313B2 (ja) 2004-10-11 2008-07-16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51321B1 (ko) * 2004-12-01 2007-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샤시 베이스 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플라즈마 표시장치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485A (ko) * 2004-11-09 2006-05-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60084592A (ko) * 2005-01-20 2006-07-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6826A (ko) * 2016-03-14 2017-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92586B1 (ko) 2016-03-14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88533A1 (en) 2008-04-17
CN101162559A (zh) 2008-04-16
US7759865B2 (en) 2010-07-20
CN101162559B (zh) 201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45632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760770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CN100476904C (zh) 等离子体显示设备
US8456384B2 (en) Plasma display device
EP2063691A2 (en) Plasma display device
JP2002351346A (ja) フラットパネル型表示装置
JP420640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606529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001398B1 (ko) 샤시 베이스 및 이를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N1658255A (zh) 等离子体显示装置及用于制造等离子体显示装置的方法
US20080284765A1 (en) Plasma display device and signal transmitting unit for plasma display device
KR1008070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348728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CN100530282C (zh) 等离子显示设备
US20080211738A1 (en) Chassis base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073905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80111769A1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6836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107297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494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80450A (ko) 열전도매체를 가지는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70875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14374B1 (ko)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37192B1 (ko)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
KR2005011276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