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356B1 - Cup hol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up hol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6356B1 KR100806356B1 KR1020060124113A KR20060124113A KR100806356B1 KR 100806356 B1 KR100806356 B1 KR 100806356B1 KR 1020060124113 A KR1020060124113 A KR 1020060124113A KR 20060124113 A KR20060124113 A KR 20060124113A KR 100806356 B1 KR100806356 B1 KR 1008063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support member
- cup holder
- housing
- detect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829 Ficus sundai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resilient holding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 컵 등을 수납시켜 보관하는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용기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홀딩부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용기의 인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안착감지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와; 상기 안착감지부 및 상기 이동감지부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컵홀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컵홀더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for storing and storing a beverage container, a cup, and the lik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one or more accommodation spaces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to support and hold the side of the container hou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move and hold the container housed in the respective accommodation space according to its size; A holding part including a driving part for moving the support member; A seating detect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A movemen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suppor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hou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Disclosed is a cup holde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up holder in response to a signal of the seat detecting unit and the movement detecting uni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컵홀더의 종단면도이다.FIG.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of FIG. 1. FIG.
도 3은 도 1의 컵홀더의 홀딩부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다.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holding part of the cup holder of FIG. 1.
도 4는 도 1의 컵홀더의 횡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of FIG. 1.
도 5는 도 1의 컵홀더의 제어블럭도이다.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cup holder of FIG.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6A and 6B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up holder of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0 : 하우징 S : 수용공간100: housing S: receiving space
210 : 구동부 220 : 이동부재210: driving unit 220: moving member
230 : 지지부재230: support member
본 발명은 컵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용기, 컵 등을 수납시켜 보관하는 컵홀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holder for storing and storing beverage containers, cups and the like.
컵홀더는 음료용기, 종이컵, 머그컵 등의 컵 등을 수납시켜 보관하는 장치 또는 도구로서, 사용자가 컵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자동차, 버스, 비행기 등 좌석 부근에 설치되거나, 휴대용 등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컵홀더 내에 냉온기능을 추가되는 등 컵홀더에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The cup holder is a device or tool for storing and storing a cup such as a beverage container, a paper cup, a mug, etc., and is installed near a seat of a car, a bus, an airplane, or the like so that a user can store the cup, or is also used as a portable device. Recently, various functions have been added to the cup holder, such as the addition of a cold and hot function in the cup holder.
그런데 컵홀더가 자동차 등과 같은 운송수단 등에 설치되어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 컵홀더에 수납된 컵 등이 흔들리게 되면서, 컵에 담긴 내용물이 외부로 쏟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up holder is installed in a vehicle or the like and shakes, the cups stored in the cup holder are shake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ents contained in the cups can be poured out.
또한 컵홀더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용기, 종이컵, 머그컵 등이 수납되므로 수납되는 용기 또는 컵의 형상 및 크기에 맞춰 능동적으로 흔들림 없이 수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p holder is accommodated in a variety of shapes and sizes of containers, paper cups, mugs, and the lik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up holder cannot be stored without shaking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and size of the container or cup to be stor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용기 또는 컵을 흔들림없이 수납할 수 있는 컵홀더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accommodating a container or cup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without shaking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용기 또는 컵에 대응되어 흔들림없이 수납할 수 있는 컵홀더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hold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be accommodated without shaking in correspondence with a container or cup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용기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는 홀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를 개시한 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housing formed with at least one receiv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ontainer; Disclosed is a cup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holding unit which is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to move and hold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respective receiving space according to the size.
상기 컵홀더는 상기 홀딩부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를 홀딩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용기가 수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안착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감지부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안착감지부는 압력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cup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contain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so that the holding unit can hold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seating sensing unit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the seating sensing unit may be configured as a pressure sensor.
상기 홀딩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holding portion and the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ide of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rive for moving the support member.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하였을 때 상기 지지부재를 정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t further comprises a movemen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contact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tainer housed in the receiving space in order to stop the support member wh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container housed in the receiving space. Can be.
상기 컵홀더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홀딩부의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를 홀딩하거나, 홀딩을 해제하도록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up holder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for holding or releasing the holding of the containe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by the support member of the holding unit by a user's manipulation.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동부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 측벽에는 상기 지지부재에 대응되어 내측으로 요입된 수용홈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upport member may be rotatably coupled with the drive unit. A sidewall of th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groove recessed inwardly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member.
본 발명은 또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용기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홀딩부 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용기의 인입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안착감지부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용공간 내에 수납된 용기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와; 상기 안착감지부 및 상기 이동감지부의 신호에 따라서 상기 컵홀더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컵홀더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housing in which one or more receiving spaces for receiving a container are formed; A support member installed on the side wall of the housing to support and hold the side of the container hou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move and hold the container housed in the respective accommodation space according to its size; A holding part including a driving part for moving the support member; A seating detecting unit for checking whether th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A movement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suppor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container hous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Disclosed is a cup holde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up holder in response to a signal of the seat detecting unit and the movement detecting uni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컵홀더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컵홀더의 홀딩부를 보여주는 일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컵홀더의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컵홀더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컵홀더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작동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p holder of Figure 1,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lding portion of the cup holder of Figure 1, Figure 4 is the cup of Figure 1 5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cup holder of FIG. 1, and FIGS. 6A and 6B are operation diagram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up holder of FIG. 1.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S)이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100)의 측벽(110)에 설치되어 수용공간(S)에 수납되는 용기(20)를 그 크기에 따라서 이동하여 홀딩하는 홀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6b, the
상기 하우징(100)은 컵홀더의 설계, 디자인, 구비되는 기능 등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자동차의 콘솔박스 등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의 암레스트(1) 등의 일부로서도 구성이 가능하며, 컵홀더(10)의 구조 및 형상은 본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상기 하우징(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S)이 형성되며,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상기 하우징(100)은 컵홀더의 본체를 이루도록 구성되거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나사(11)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결합된다.The
또한 상기 컵홀더는 수용공간(S) 내에 수용된 용기(20)을 냉각하거나 가열하는 등 특정 기능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에 그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들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p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specific function such as cooling or heating the
상기 홀딩부는 수용공간(S) 내에 수납된 용기(20)의 측면을 지지하는 지지부재(230)와; 지지부재(230)가 끝단에 결합되며 하우징(100)의 측벽(110)에 형성된 관통공(111)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지지부재(23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220)와; 이동부재(220)와 연결되어 지지부재(23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holding
상기 구동부(210)는 이동부재(220)와 연결되어 지지부재(2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솔레노이드, 선형모터(리니어모터), 회전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30)가 선형이동하는 경우 이동부재(220) 또한 선형이동이 필요하므로, 구동부(210)가 회전모터인 경우 웜기어, 볼스크류 등과 같이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운동변환장치가 추가로 설치된다.The
한편 상기 구동부(210)는 후술할 지지부재(220)가 용기(20)를 고정하도록 이동부재(2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며, 후술할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하여 작동한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상기 구동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50)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이동부재(220)는 구동부(210)와 연결되어 구동부(210)의 구동에 의하여 지지부재(230)를 용기(20)의 측벽으로 이동시켜 용기(20)를 지지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그 끝단에는 지지부재(230)가 설치된다. The moving
상기 이동부재(220)는 지지부재(230)의 이동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구동부(210)의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The moving
상기 지지부재(230)는 용기(2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면서 수용공간(S) 내에 수납된 용기(20)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지지부재(230)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하는 대부분의 용기(20)가 그 외주면이 곡면인 것을 고려하여 오목한 곡면을 가지는 판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30)는 용기(20)를 부드럽게 지지하도록 고무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되거나, 용기(20)의 측면과 접하는 면이 고무 등과 같은 부드러운 재질을 이루도록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사용자가 수용공간(S)에서 용기(20)를 수납할 때 지지부재(230)가 그 인입 또는 인출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eceives the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230)는 이동부재(220)의 끝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20)가 수납되지 않은 상태에서 용기(20)의 측면과 접하는 면이 상측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며, 용기(20)가 인출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부재(224)가 추가로 설 치될 수 있다.Therefore, the
즉, 상기 이동부재(220)의 끝단 및 지지부재(230)의 후면에는 힌지결합을 위한 결합보스들(221, 231)이 각각 형성되고, 결합보스들(221, 231)은 결합핀(222)에 의하여 결합되어, 지지부재(230)는 이동부재(22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That is,
이때 상기 탄성부재(224)는 지지부재(230)를 상측으로 회전시키도록 탄성력을 가하면서 결합핀(222)에 끼워지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재(220)에는 지지부재(230)가 상측으로 회전될 때 일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턱(225)이 추가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지지부재(230)가 하우징(100)의 내면 쪽으로 이동되었을때 지지부재(230)의 표면과 완만한 면을 이루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30)의 두께만큼 내측으로 요입된 수용홈(1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한편 상기 지지부재(230)는 용기(2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부재(230)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재(220) 또한 복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210) 또한 복수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하나로도 구성이 가능하다.Meanwhile, sinc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10)의 구동을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needs to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utomatic or manual operation, as shown in FIG. 5, and includes a
그리고 상기 제어부(300)는 사용자에 의하여 컵홀더의 홀딩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조작부(310), 용기(20)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안착감지부(320), 홀딩부의 지지부재(230)의 이동을 감지하기 위한 이동감지부(3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조작부(310)는 하우징(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홀딩부가 수용공간(S)에 인입된 용기(20)을 홀딩하거나 홀딩을 해제하거나, 홀딩부의 초기화 등 사용자가 홀딩부의 작동을 조작하기 위한 버튼이 설치된 하나 이상의 조작패널(311)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 310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상기 안착감지부(320)는 수용공간(S) 내에서 용기(20)의 유무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300)에 전송하여, 제어부(300)가 컵홀더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The seating detecting unit 320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상기 안착감지부(320)는 수용공간(S) 내에 용기(20)가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압력센서, 초음파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 등에 설치된다.The seating detecting unit 320 is a configuration for detecting whether the
상기 안착감지부(3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저면(12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압력센서(321)들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seating detecting unit 320 may include one or
상기 이동감지부(330)는 제어부(300)가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지지부재(230)가 용기(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230)의 이동거리 또는 지지부재(230)와 용기(20) 간의 접촉여부 등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300)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압력센서, 초음파센서, 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The
상기 이동감지부(330)는 하우징(100)의 내측벽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30)에 설치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이동감지부(330)는 사용되는 센서에 따라서 용기(20)의 유무를 확인하기 위한 안착감지부(32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안착감지부는 필요하지 않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컵홀더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cup holder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컵홀더의 수용공간(S) 내에 용기(20)가 없는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는 초기화 상태에 있게 된다.When there is no
홀딩부의 초기화 상태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6a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230)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있게 된다.The initializing state of the holding unit may be set in various ways. Preferably, as shown in FIG. 6A, the supporting
사용자가 용기(20)을 수용공간(S) 내에 인입시키게 되면, 안착감지부(320)는 용기(20)의 인입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300)에 그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When the user inserts the
안착감지부(320)의 인입신호에 의하여 제어부(30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딩부의 구동부(210)를 구동시켜 지지부재(230)를 이동시켜 용기(20)을 홀딩하게 된다. 즉, 제어부(300)는 구동부(210)를 구동시켜 지지부재(230)가 용기(20)를 지지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6B, the
이때 물론 안착감지부(320)의 용기(20)의 유무 감지없이 사용자가 용기(20)을 수용공간(S) 내에 인입시킨 후에 조작부(310)를 조작하여 홀딩부의 구동부(210) 를 구동시켜 지지부재(230)를 이동시켜 용기(20)을 홀딩하도록 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of course, the user inserts the
한편 홀딩부의 지지부재(230)는 용기(20)를 가압하여 지지하게 되는데, 종이컵과 같이 약한 부재의 용기(20)의 경우 변형 또는 파손의 위험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lding
따라서 이동감지부(330)는 지지부재(230) 및 용기(20) 간의 거리 등 지지부재(230)의 이동을 감지하게 되며, 용기(20)에 접촉 또는 근접하였을 때 구동부(210)를 정지시켜 지지부재(230)의 이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230)가 정지된 위치가 용기(2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위치가 된다.Therefore, the
그리고 사용자가 용기(20)를 수용공간(S)에서 인출하는 경우 지지부재(230)는 지지위치에 지속하여 위치되며, 사용자가 용기(20)를 다시 인입할 때 지지부재(230)는 용기(20)의 크기에 맞도록 위치됨으로써 별도의 이동없이 용기(20)를 홀딩할 수 있게 된다. And when the user withdraws the
이때 수용공간(S)에 인입되는 용기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310)를 조작하여 홀딩부를 초기화 시켜 지지부재(230)를 초기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용기(20)를 수용공간(S) 내에 인입시켜 달라지 크기를 가지는 용기(20)에 맞도록 지지부재(230)를 재 위치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size of the container drawn into the receiving space (S) is different, the user operates the operation unit 310 to initialize the holding unit to mov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사용자가 용기(20)를 수용공간(S)에서 인출하는 경우 안착감지부(320)는 용기(20)가 없음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제어부(300)에 전송하게 되고, 제어부(300)는 홀딩부를 초기화 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withdraws the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310)을 조작하여 홀딩부의 홀딩을 해제 한 후에 용기(20)를 수용공간(S)에서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감지부(320)가 저면에 설치되어 용기(20)가 바닥에서 떨어졌을 때 제어부(300)에 그 신호를 전송하여 홀딩부의 홀딩을 자동으로 해제 한 후에 용기(20)를 수용공간(S)에서 인출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the user releases the holding part by operating the operation part 310, the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컵홀더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Meanwhile, a control method of the cup holde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as follows.
제 1 단계 : 수용공간(S) 내에 용기(20)가 인입되었을 때 안착감지부(320)가 제어부(300)에 그 신호를 전송한다.First step: When the
제 2 단계 : 안착감지부(320)로부터 수용공간(S) 내에 용기(20)가 인입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300)는 구동부(210)를 작동시켜 지지부재(230)를 이동시킨다.Second step: When receiving the signal that the
제 3 단계 : 이동감지부(330)가 지지부재(230)가 이동하여 용기(20)와 접촉되었을 때 그 신호를 제어부(300)에 전송한다.Third step: The
제 4 단계 : 이동감지부(330)로부터 지지부재(320)가 용기(20)와 접촉되었다는 신호를 수신하면 제어부(300)는 구동부(210)를 제어하여 지지부재(320)를 정지시킨다.The fourth step: When receiving the signal that the support member 320 is in contact with the
한편 컵홀더의 제어방법은 제4단계 후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초기화 신호를 상기 제어부가 수신하는 제4-1단계와; 상기 제어부가 초기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4-2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method of the cup holder comprises the steps 4-1, after the fourth step,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nitialization signal by the user's operation;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initialization signal,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step 4-2 of moving the support member to the initial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다양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지는 용기를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stored stably without shaking the container having a variety of shapes and siz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사용자의 조작없이 자동으로 용기의 인입여부를 확인하여 용기를 홀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configured to hold the container by automatically checking whether the container is inserted without the user's operation has the advantage of promot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홀더는 한번 용기가 인입되면 용기의 크기에 맞춰 지지부재를 이동시킨 후 용기의 크기에 대응된 상태를 유지하여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u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supporting the container of various sizes by maintaining the stat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after moving the support member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ainer once the container is inserted.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4113A KR100806356B1 (en) | 2006-12-07 | 2006-12-07 | Cup hol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4113A KR100806356B1 (en) | 2006-12-07 | 2006-12-07 | Cup hol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06356B1 true KR100806356B1 (en) | 2008-02-27 |
Family
ID=3938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41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6356B1 (en) | 2006-12-07 | 2006-12-07 | Cup hol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6356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00406A1 (en) * | 2009-03-02 | 2010-09-10 | Happy Hollydaisy Limited | Cup holder |
KR20190018862A (en) * | 2017-08-16 | 2019-02-26 | 조남식 | Multi-purpose auto holder implemented with arduino |
KR20220029129A (en) * | 2020-09-01 | 2022-03-08 | 이용기 | Cup holder |
KR20230060327A (en) * | 2021-10-27 | 2023-05-04 | 주식회사 서연이화 | Electric-mechanical cup hold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37073A (en) * | 1995-12-20 | 1997-07-22 | 전성원 | Adjustable cup holder |
KR0131691Y1 (en) * | 1993-12-29 | 1998-12-15 | 전성원 | Car drink holder |
JP2000142202A (en) | 1998-11-16 | 2000-05-23 | Kasai Kogyo Co Ltd | Cup holding for vehicle |
JP2002144941A (en) | 2000-11-07 | 2002-05-22 | Nifco Inc | Cup holder |
-
2006
- 2006-12-07 KR KR1020060124113A patent/KR10080635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1691Y1 (en) * | 1993-12-29 | 1998-12-15 | 전성원 | Car drink holder |
KR970037073A (en) * | 1995-12-20 | 1997-07-22 | 전성원 | Adjustable cup holder |
JP2000142202A (en) | 1998-11-16 | 2000-05-23 | Kasai Kogyo Co Ltd | Cup holding for vehicle |
JP2002144941A (en) | 2000-11-07 | 2002-05-22 | Nifco Inc | Cup holder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100406A1 (en) * | 2009-03-02 | 2010-09-10 | Happy Hollydaisy Limited | Cup holder |
KR20190018862A (en) * | 2017-08-16 | 2019-02-26 | 조남식 | Multi-purpose auto holder implemented with arduino |
KR102028436B1 (en) * | 2017-08-16 | 2019-10-04 | 조남식 | Multi-purpose auto holder implemented with arduino |
KR20220029129A (en) * | 2020-09-01 | 2022-03-08 | 이용기 | Cup holder |
WO2022050490A1 (en) * | 2020-09-01 | 2022-03-10 | 이용기 | Cup holder |
KR102464881B1 (en) * | 2020-09-01 | 2022-11-08 | 이용기 | Cup holder |
KR20230060327A (en) * | 2021-10-27 | 2023-05-04 | 주식회사 서연이화 | Electric-mechanical cup holder |
KR102574129B1 (en) * | 2021-10-27 | 2023-09-04 | 주식회사 서연이화 | Electric-mechanical cup hol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68833B1 (en) | Interior accessory operating structure and cup holder using the same | |
KR100806356B1 (en) | Cup hold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US20050205739A1 (en) | Cup holder with sensor | |
EP1803608B1 (en) | Gripp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a Gripping Device | |
KR20090078282A (en) | Cup Holder and Control Method | |
CN100473566C (en) | Container holding structure for vehicle | |
US20110199182A1 (en) | Sensor actuated storage compartment | |
US5601269A (en) | Dual-cup rack and pinion cupholder | |
EP0633162B1 (en) | Powered cup holder | |
US7051985B2 (en) | Drawer device | |
US20130240587A1 (en) | Holder for motor vehicles for receiving mobile devices | |
US8469246B2 (en) | Cup holder for vehicle | |
JP5024603B2 (en) | Container holder device | |
JP2003165370A (en) | Cup holder for vehicle | |
JP2008221992A (en) | Container holder device | |
JP4454468B2 (en) | Electric cup holder with lid | |
JPH10291436A (en) | Tilting arm rest for vehicle | |
KR102574129B1 (en) | Electric-mechanical cup holder | |
KR101189350B1 (en) | Electric cup holder of vehicle | |
KR102464881B1 (en) | Cup holder | |
KR0131691Y1 (en) | Car drink holder | |
JP2004217145A (en) | Cup holder for automobile | |
JP2005329824A (en) | Cup holder for vehicle | |
US12134369B2 (en) | Console having multi-storage configuration | |
KR100535597B1 (en) | Cup Holder having rotating suppor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