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6050B1 -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050B1
KR100806050B1 KR1020060074968A KR20060074968A KR100806050B1 KR 100806050 B1 KR100806050 B1 KR 100806050B1 KR 1020060074968 A KR1020060074968 A KR 1020060074968A KR 20060074968 A KR20060074968 A KR 20060074968A KR 100806050 B1 KR100806050 B1 KR 100806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toothpaste
present
coating
toothpaste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3445A (ko
Inventor
신동목
Original Assignee
신동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목 filed Critical 신동목
Priority to KR1020060074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0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13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3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0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치아의 표면을 코팅하여 시린 이 현상을 억제하고 항균효과 및 상아세관 밀봉효과를 갖는 치약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규산나트륨이 함유된 치약조성물을 제공한다. 치약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규산나트륨 15~30 중량%, 침강탄산칼슘 5~10 중량%, 아미노카프론산 1~5 중량%, 인산일수소칼슘 3~7 중량%,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1~5 중량%을 주원료한다. 치약 조성물 중에서 수용성 규산염이 치아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민감한 치아에 자극을 차단 또는 경감시키며,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을 살균하고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다.
치약 조성물, 규산나트륨, 피막, 상아세관

Description

치약 조성물{COMPOSITION OF TOOTHPASTE}
도 1은 3시간 절식시킨 골든 햄스터의 치아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x200)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을 골든 햄스터의 볼주머니에 1 mL씩 투여하고 1시간 후의 치아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x200)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을 골든 햄스터의 볼주머니에 1 mL씩 투여하고 각각 2, 3, 7 시간 후의 치아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x200)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치약을 골든 햄스터의 볼주머니에 1 mL씩 투여한 후 각각 3시간 및 7시간 후의 치아표면 상태를 표면분석장치로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 후 4 시간 후의 골든 햄스터의 치아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 공급 후 4시간 후의 골든 햄스터의 치아표면의 성분분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의 상아세관 밀봉전후의 사진이다.
본 발명은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의 표면을 코팅하여 시린이 현상을 억제하고 항균효과 및 상아세관 밀봉효과를 갖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약은 치아의 표면을 잇솔질할 때 사용하는 의약부외품으로서, 특히 미백효과, 살균효과, 치간청정효과 등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치약은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감미제와 같은 성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치아의 과민증 현상(시린 이 현상 등)은 노출된 치아의 상아질 부분이 찬 공기나 자극적인 음식물 등에 접촉되었을 때 민감하게 느껴지는 것으로서 가벼운 증상에서 격렬하고 지속적인 통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증상의 정도는 노출된 상아세관의 정도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치아는 겉 표면의 에나멜 질(법랑질)과 바로 밑의 상아질 그리고 신경과 혈관이 분포되어 있는 치수, 치아를 보호하는 잇몸조직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잘못된 칫솔질이나 잇몸 질환, 충치로 인해 에나멜 층이 손상을 입거나 잇몸의 함몰로 상아질이 드러나게 되면 외부자극이 상아질의 상아세관을 통해 치아 신경에 전달되어 짧지만 격렬하고 강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특히 요즘은 젊은 층에서도 시린 이 증상이 증가하고 있으며 초기단계부터 치료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치아 우식증(dental caries)을 예방하기 위해 치약이나 구강청정제에 0.05~0.1. w/v% 농도의 불소가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치약이나 구강청정제 등에서 불소화합물의 사용이 치아의 우식증은 예방할 수는 있지만, 장기적이고 반복적인 불소화합물 사용은 잇몸에 염증 현상을 촉진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불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시린 이 현상을 억제하고 치아 우식증을 예방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지각과민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노출된 상아세관을 코팅하여 막을 수 있어 시린 이와 충치를 근원적으로 예방하고 자극을 경감시킬 수 있는 치약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을 항균할 수 있는 치약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소를 사용하지 않으며, 무사카린과 무방부제로서 화학성분에 민감한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을 높인 치약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규산나트륨이 함유된 치약조성물을 제공한다. 치약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규산나트륨 15~30 중량%, 침강탄산칼슘 5~10 중량%, 아미노카프론산 1~5 중량%, 인산일수소칼슘 3~7 중량%,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1~5 중량%을 주원료한다. 규산나트륨을 15 중량% 이하로 하는 경우에는 치아표면에 코팅 효과가 저하되며, 30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치 약 제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규산나트륨은 파우더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입경 1.0~2.5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치약 조성물 중에서 수용성 규산염이 치아표면에 피막을 형성하여 민감한 치아에 자극을 차단 또는 경감시키며,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Streptococcus mutans)을 살균하고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는 무사카린 무방부제의 치약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중 규산나트륨은 용해될 때 수용성 규산염(SiO3) 성분은 다른 물이나 체액 또는 혈액성 물질 등과 합성되므로 치아에 자연적으로 피복현상이 이루어진다.
표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치약 조성물의 성분을 나타낸다.
배합목적 성분명 함량(중량%)
주성분 규산나트륨(Na2SiO3) 25
주성분 침강 탄산칼슘 7.5
주성분 아미노카프론산 3
주성분 인산일수소칼슘 5
주성분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3
기제 디소르비톨액 5
기제 프로필렌글리콜 3
기제 농글리세린 3
부형제 폴리에칠렌글리콜4000 5
점도조절제 타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5
점도조절제 산탄검 5
기포제 라우릴황산나트륨 0.5
점증제 이산화규소 10
감미제 자일리톨 5
교미제 프로폴리추출물 5
착향제 페파민트유 5
착향제 DL-멘톨 5
합계 100
표 1의 성분에 적정량의 정제수를 혼합하여 일반적인 치약의 제조방법에 따라 치약을 제조한 후에, 임상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1) 치아 표면 코팅 효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치약을 제조한 후에 치아코팅(피막) 형성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골든 햄스터를 사용하였다. 햄스터는 구강에 사료를 저장할 수 있는 볼주머니(협낭)가 있어서 치약을 볼주머니에 투여함으로서 일정시간 동안 치약을 햄스터 치아에 노출시킬 수 있다.
3시간 동안 절식시킨 골든 햄스터의 볼주머니에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을 1 mL 넣고 1, 2, 3, 7 시간 결과 후 발치하여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으로 치아표면에 코팅(피막) 형성 여부를 조사하였다.
도 1은 3시간 절식시킨 골든 햄스터의 치아 표면을 나타내는 사진(x200)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약 처리 전에는 골든 햄스터의 치아 표면에 어떠한 피막도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을 골든 햄스터의 볼주머니에 1 mL씩 투여하고 1시간 후의 치아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x200)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골든 햄스터의 치아 표면이 코팅(피막)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을 골든 햄스터의 볼주머니에 1 mL씩 투여하고 각각 2, 3, 7 시간 후의 치아표면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x200)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골든 햄스터의 치아표면에 코팅(피막)이 지속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 1 mL를 햄스터의 볼주머니에 투여하고 일정시간 후의 햄스터의 치아표면을 표면분석장치(Energy despersive X-ray analysis system, EDX)를 사용하여 성분을 분석하였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다른 치약을 골든 햄스터의 볼주머니에 1 mL씩 투여한 후 각각 3시간 및 7시간 후의 치아표면 상태를 표면분석장치로 분석한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치아 표면에 코팅된 규소(Si)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실험 전처리 과정으로 골든 햄스터의 볼주머니를 비우기 위하여 음용수를 제공하고, 사료를 5시간 동안 절식시키고 시료 1 mL를 골든 햄스터의 볼주머니에 투여하고 3시간 후에 4시간 동안 사료를 급여하였다. 사료 급여 후에 골든 햄스터의 치아를 발치하여 전자현미경으로 치아표면의 코팅(피막) 유지수준을 조사하고, 치아 표면을 표면분석장치(EDX)를 성분분석을 하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료공급 후 4 시간 후의 골든 햄스터의 치아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9는 사료 공급 후 4시간 후의 골든 햄스터의 치아표면의 성분분석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사료 공급 후 4시간 후에도 치아 표면에 코팅이 유지되며, 치아 표면에 규소(Si) 성분이 검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은 수용성의 치약 조성물이 7 시간 이상 치아 표면에 피막을 형성하며, 이 피막 형성 효과로 인하여 치아가 보호되고 오랜 시간 동안 치아가 매끈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실시예 2) 항균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의 최저성장억제농도와 최저살균농도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최저성장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시험하기 위하여, 시험배지에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을 0.1, 0.5, 1, 2, 5, 10%로 희석시켰다. 시험결과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에 대한 최저성장억제농도는 2%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저살균농도(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를 시험하기 위하여, 시험배지에 본 발명에 따른 치약을 0.1, 0.5, 1, 2, 5, 10%로 희석시켰다. 시험결과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에 대한 최저살균농도는 2%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은 충치의 원인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을 항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상아세관 밀봉 효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의 상아세관 밀봉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약의 상아세관 밀봉 전후의 사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노출된 상아세관에 본 발명의 치약을 사용한 결과 3 주간 후에 상아세관이 밀봉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시린 이의 원인인 상아세관이 막혀 시린 이 증상이 완화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킨 것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은 입안의 세균을 줄여주는 항균효과로 프라그를 줄여주고 마모제가 적은 부드러운 성질로 차아의 마모를 줄이는 것은 물론 치아표면을 7 시간 이상 코팅시켜 주어 치아와 상아질을 보호하여 시린 이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조성물은 무방부제, 무사카린의 자극이 없는 안전한 치 약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상처 받기 쉬운 입안을 부드럽게 만들어 주며, 특히 나이가 들면서 구강건조증과 더불어 구강점막들이 점차 얇아지고 약해져서 작은 자극에도 민감해지기 쉬운 노인분들과 건강에 특별한 주의를 요하는 임산부와 어린이들에게 안정하고 효과적이다. 또한 무방부제 무사카린으로 인하여 칫솔질 후 과일을 먹어도 입맛의 변화를 느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조성물은 충치 유발의 대표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균을 99.9% 항균할 수 있으며, 약알카리 성분으로 산성으로 변하기 쉬운 입안의 상태를 중화시켜 충치 예방에 더욱 효과적이며, 프라그로 인해 발생된 입냄새 제거에도 효과적이다.

Claims (2)

  1. 치약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수용성 규산나트륨(Na2SiO3) 15~30 중량%, 침강탄산칼슘 5~10 중량%, 아미노카프론산 1~5 중량%, 인산일수소칼슘 3~7 중량%, 알란토인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늄 1~5 중량%을 주원료로 하며, 상기 치약의 규산나트륨은 입경 1.0~2.5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2. 삭제
KR1020060074968A 2006-08-09 2006-08-09 치약 조성물 Active KR100806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968A KR100806050B1 (ko) 2006-08-09 2006-08-09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968A KR100806050B1 (ko) 2006-08-09 2006-08-09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45A KR20080013445A (ko) 2008-02-13
KR100806050B1 true KR100806050B1 (ko) 2008-02-26

Family

ID=3934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968A Active KR100806050B1 (ko) 2006-08-09 2006-08-09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05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60B1 (ko) 2009-06-19 2012-03-12 이돈복 광물을 이용한 치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94016B1 (ko) * 2012-03-22 2012-10-24 신동목 구강 통증 개선과 구강항균 및 신경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치약 조성물
KR20130049634A (ko) 2011-11-04 2013-05-14 (주)아모레퍼시픽 시린이 방지용 조성물 및 분사기
KR20170018591A (ko) 2015-08-10 2017-02-20 노영수 소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치아 시림치료 및 예방을 위한 치아가드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치아가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545B1 (ko) * 2013-09-09 2014-05-02 주식회사 경방 한방추출물과 프로폴리스가 첨가된 치약
KR101992927B1 (ko) * 2017-11-15 2019-06-25 주식회사 비온뒤컴퍼니 잇몸질환 예방 및 개선용 치약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705B1 (ko) 1996-06-06 2005-09-27 로디아 쉬미 치약조성물에사용될수있는실리카
KR20060041347A (ko) * 2004-11-04 2006-05-12 김종철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705B1 (ko) 1996-06-06 2005-09-27 로디아 쉬미 치약조성물에사용될수있는실리카
KR20060041347A (ko) * 2004-11-04 2006-05-12 김종철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60B1 (ko) 2009-06-19 2012-03-12 이돈복 광물을 이용한 치약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9634A (ko) 2011-11-04 2013-05-14 (주)아모레퍼시픽 시린이 방지용 조성물 및 분사기
KR101194016B1 (ko) * 2012-03-22 2012-10-24 신동목 구강 통증 개선과 구강항균 및 신경안정 효과를 가지는 천연항균 치약 조성물
KR20170018591A (ko) 2015-08-10 2017-02-20 노영수 소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치아 시림치료 및 예방을 위한 치아가드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치아가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3445A (ko) 2008-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8023C2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или уменьшения зубного налета и/или гингивита
KR101992927B1 (ko) 잇몸질환 예방 및 개선용 치약 조성물
KR100806050B1 (ko) 치약 조성물
AU2009212339B2 (en) Tooth sealant
US20080031831A1 (en) Oral anti-calculu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1564878B2 (en) Oral care product formulation
JPH1017449A (ja) 知覚過敏症用組成物
KR100815397B1 (ko) 치아 개선 조성물
KR100760970B1 (ko) 에센셜 오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RU2367407C1 (ru) Лак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й
EP2630944A1 (en) Silicon-based particle composition
KR100308247B1 (ko) 구강 청정용 조성물
JP2003012483A (ja) 口腔用組成物
JP2012522774A (ja) 歯の組織の抗細菌剤取り込みを示す脱感作性歯磨剤
US8936778B2 (en) Methods for bleaching and desensitizing teeth
CN105726441A (zh) 一种保健牙釉质、改善牙龈的牙膏
RU2635529C1 (ru) 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бработки детских зубов
KR101815334B1 (ko) Mta계 코팅 조성물의 신규한 용도
JPH0651618B2 (ja) 歯牙口腔液体洗滌剤
JP3667472B2 (ja) 口腔用組成物
JP7439352B2 (ja) 歯のエナメル質を再石灰化するための組成物
KR100482648B1 (ko) 구강 위생증진용 치약조성물
KR20230037956A (ko) 구강 내 항균 작용, 잇몸 질환 원인균 억제, 잇몸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유효한 석유황과 쑥 엑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치약 조성물
RU2205625C1 (ru) Лечебно-профилак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бработки зубов
Dahiya et al. MOUTHWASHES: ROLE IN PREVENTION OF ORAL DISE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2092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1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