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5987B1 - 벨트버클 - Google Patents

벨트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987B1
KR100805987B1 KR1020060132152A KR20060132152A KR100805987B1 KR 100805987 B1 KR100805987 B1 KR 100805987B1 KR 1020060132152 A KR1020060132152 A KR 1020060132152A KR 20060132152 A KR20060132152 A KR 20060132152A KR 100805987 B1 KR100805987 B1 KR 100805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ember
groove
belt buckle
belt
fron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융-파 수
Original Assignee
융-파 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융-파 수 filed Critical 융-파 수
Priority to KR1020060132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01Ornamental buckles
    • A44B11/003Ornamental buckles covered with cloth or other material; Mak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05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comprising inser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 표면에 핀-고정되고 접힐 수 있는 장착부재(carrier member)를 수납하는 홈(indentation)을 갖는 신규한 벨트버클을 제공한다. 상기 장착부재(carrier member)는 평판물(flat object)을 상기 장착부재로 삽입하고 그로부터 제거하게 할 수 있는 개구부(opening)를 구비한다.
장착부재, 평판물, 피장착물, 홀더

Description

벨트버클{Belt Buckle}
도 1은 종래의 벨트버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구현예에 따른 벨트버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벨트버클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사시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벨트버클의 장착부재로의 피장착물(carried object)의 삽입과 그로부터의 피장착물의 제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구현예에 따른 벨트버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벨트버클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구현예에 따른 벨트버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벨트버클의 두 시나리오(scenario)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부가물(additional object)의 휴대(carriage)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제 4구현예에 따른 벨트버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부가물의 휴대를 제공하는 본 발명의 제 5구현예에 따른 벨트버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구형의 피장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 6 구현예에 따른 벨트버 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벨크버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a) 본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벨트버클에 관계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평판물(flat object)을 휴대하는 장착부재(carrier member)를 포함하는 벨트버클에 관계한다.
(b) 종래기술의 설명
도 1에 따르면, 통상적인 벨트(1)는 벨트부(11)의 말단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벨트버클(12)을 갖는다. 벨트부(11)의 다른 말단은 허리 주위에 벨트(1)를 조이기 위하여 벨트버클(12)에 잠긴다. 방금 설명한 벨트의 기본적인 구조는 아주 오랫동안 변화되지 않아 왔다. 변형은 통상 벨트부에 사용되는 소재, 벨트버클(12)이 벨벨트부(11)의 팁(tip)을 잠그는 방법 또는 벨트버클의 장식적인 디자인을 중심으로 집중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존에 변형을 탈피하여 기존의 허리에 의복을 고정시키는 기능 이외에 의장적 기능을 부여하고 피장착물을 교체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상의 변화를 줄 수 있는 벨트버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의장적인 피장착물이외에 기능적인 부가물을 추가로 장착부재에 추가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기능적인 부가물을 휴대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할 수 있는 벨트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은 하기에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되수 있다.
도 2와 도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벨트버클(2)은 벨트버클(2)의 본체의 전방 표면에 홈(21)을 갖는다. 상기 홈(21)은 벨트버클(2)의 한쪽 말단에서 다른 말단까지 벨트부와 평행하고, 그로 인해 벨트버클(2)의 두 말단면(end surface)에 각각 두개의 노치(notche)(22)를 형성한다. 홈(21)은 장착부재(3)가 홈(21)의 내부를 노출하기 위해 외측으로 젖혀질 수 있거나 홈(21)의 내부로 집어 넣기 위해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홈(21)의 원주를 따라 적합한 위치에 핀-고정된 장착부재(3)를 수용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장착부재(3)는 중앙에 원형의 수용공간(center circular storage space)(33)을 구비한 고리모양의 본체(ring-shaped body)를 갖는다. 장착부재(3)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장착부재가 홈(21)의 내부에 위치할 때, 장착부재(3)가 홈(21) 안에 자리잡으면 홈(21)의 저면에 위치된 대응 자석(corresponding magnet)(23)에 부착될 수 있도록 자석(31)은 장착부재(3)의 내면(inner surface)에 위치한다. 또한 본 구현예에서, 장착부재(3)는 그 수용공간(33)이 슬롯개구부(32)를 통하여 접근이 가능하도록 외부 원주를 따라 슬롯개구부(slot opening)(32)를 구비한다. 그리하여, 평판의 C형 홀더(flat C-shaped holder element)(4)를 슬럿개구부(32)를 통하여 장착부재(3)로 밀어 넣을 수 있다. 홀더(holder element)(4)의 개구부(aperture)의 모양은 홀더(4)가 수용공간(33)을 둘러쌀 수 있도록 수용공간(33)의 모양에 일치하나 다소 작다. 그 다음 수용공간(33)과 유사한 모양의 평판 피장착물(flat carried object)(5) 또한 슬롯개구부(32)를 통해 수용공간(33)으로 밀어 넣을 수 있다. 그리하여, 피장착물(5)은 홀더(4)의 C모양의 본체 중의 간극(gap)을 먼저 밀어 열 것이고, 피장착물(5)이 수용공간(33) 내부에 있을 때, 피장착물은 홀더(4)에 의하여 죄어지며, 그에 따라 수용공간(33) 내부에 단단히 고정된다. 수용공간(33), 홀더(4) 및 피장착물(5)은 도에서 묘사한 바와 같은 원형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정사각형, 직사각형, 마름모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당한 모양이 가능하다.
피장착물(5)은 보다 나은 외관을 위하여 회사, 클럽 또는 팀의 로고, 심지어 그림과 같은 장식적인 디자인(51)을 그 전방 표면에 구비할 수 있다. 본 구현예에서, 피장착물(5)은 동전과 아주 유사하며, 그에 따라 다양한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프코스에서 상기 피장착물은 동전 또는 다른 물건 대신,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하여 골퍼에 의하여 사용될 수 있다. 피장착물(5)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노치(22) 중 하나를 통해 엄지를 사용하여 장착부재(3)을 누르고, 장착부재(3)를 전방으로 튀겨 올린다. 그 다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4)의 구속력(confinement)으로부터 이탈시키고 그에 이어지는 장착부재(3)로부터 슬럿개구부(32)를 통해 이탈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엄지를 사용하여 피장착물(5)을 밀어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피장착물(5)은 건강증진을 목적으로 특별한 에너지 방사 미네랄(energy-radiating mineral)로 제작되는데, 이는 벨트버클(2)이 전통적으로 일부 사람들에 의해 인체의 에너지 중심부(energy center)로 생각되어온 하복부(lower part of abdomen)에 가깝게 자리잡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구현예에서, 사용자가 그의 패스(pass)를 휴대하는 것을 절대 잊지 않도록 피장착물(5)은 실제로 접근 제어용 “열쇠”(“Key” for access control)(예를 들면, 원격 감지 패스(remote-sensing pass)) 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를 도시하며, 그 주된 목적은 벨트버클(2) 내부에서의 장착부재(3)의 보존력(retention)를 강화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석(31) 뿐 아니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구멍(hole)(34)이 장착부재(3)의 외부 원주를 따라 제공된다. 이에 상응하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작은 볼(ball)(24)이 홈(21)의 원주를 따라 제공되고, 그 일부가 수용공간(33)으로 돌출된다. 상기 볼(24)은 벨트버클(2)의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서 압박을 받는다. 그리하여, 장착부재(3)가 홈(21)의 내부로 자리잡을 때, 수용공간(33) 내부에 존재하는 장착부재(3)에 부가적인 구속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볼(24)은 구멍(34)으로 돌출한다. 또한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재(3)와의 결합수단을 제공하는 경사면(slant surface)을 포함하는 활주 가능한 웨지(slidable wedge)(6)가 노치(22)에 제공된다. 웨지(26)를 장착부재(3)로 활주시킴으로써, 웨지(26)의 경사면이 장착부재(3)를 홈(32)으로부터 들어올린다. 그러면 장착부재(3)는 외부로 더 젖혀질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피장착물(5)의 전방 표면은 다수의 돌출부(6)로 장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돌출부(6)는 벨트버클(2)의 가치를 증가시키는 다이아나 다른 보석 또는 귀금속이다. 다른 일부 구현예에서, 돌출부(6)는 또한 특별한 3차원의 패턴(pattern)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8에서 묘사한 바와 같이, 피장착물(5)을 장착부재(3)로부터 제거하거나 장착부재(3)로 삽입할 때 돌출부(6)가 간극(35)을 통과할 수 있도록 장착부재(3)의 슬럿개구부(32)는 간극(gap) (35)을 포함한다.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구현예는 돌출부(6)가 간극(35)과 일렬이 되지 않도록 피장착물(5)이 장착부재(3)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장착부재(3)로부터 피장착물(5)의 우발적인 제거를 막을 수 있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장착부재(3)의 두께보다 깊은 홈(21)을 갖는다. 그래서 홈(21)의 전방 표면에 인접하여 원주를 따라서 블럭(block)(25)에 자석(23)을 제공함으로써, 장착부재(3)는 홈(21)의 전방 표면에 수납될 수 있고, 홈(21)의 일부는 평판물의 휴대를 위해 남겨진다. 한 가지 예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통 골퍼에 의해 사용되는 작고 직각사각형인 디거(digger)(7)이다. 또 다른 예는 도 11에 도시한 접어 넣을 수 있는 예비 차열쇠(spare car key)(8)이다. 이 예비 차열쇠(8)는, 엔진을 끄지 않고 차의 임시 주차가 필요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차문을 잠그기 위해 예비 차열쇠(8)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작은 볼(27)이 부분적으로 홈(21) 내로 돌출하여 홈(21)의 원주를 따라 제공된다. 볼(27)은 벨트버클(2)에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서 압박을 받는다. 그리하여 차 열쇠(8)가 홈(21)의 내부에 위치되면, 볼(27)은 돌출하여 차열쇠(8)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킨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또한 직사각형 모양의 장착부재(3)을 구비한다. 상술한 구현예와 유사하게, 피장착물(5)는 장착부재(3)의 내부로 수납되고, 홈(21)의 내부에 일부 여분의 공간은 휴대폰(cellular or mobile phone)의 예비 터리(backup battery)와 같은 평판의 직사각형의 물체를 휴대하는데 사용된다.
도 14 및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또한 구형의 피장착물(5)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따라서 홈(21)은 피장착물(5)을 수용하기 위해 그에 상응하는 반구형의 홀(semi-spherical hole)을 구비한다. 이에 부가하여 장착부재(3)는 피장착물(5)의 구형에 적합하도록 반원형 개구부(semi-circular opening)(36)를 구비한 원호형을 갖는다.
C형 홀더(4)는, 상술한 구현예와 같이, 피장착물(5)을 안정적으로 자리잡도록 피장착물(5)를 고정시킨다.
기존의 벨트는 벨트부에 사용되는 소재, 벨트버클이 벨트부의 팁을 잠그는 방법 또는 벨트버클의 장식적인 디자인에 집중되었으나, 본 발명의 벨트버클은 벨트버클의 장착부재를 이용하여 피장착물의 종류에 따라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피장착물이 디자인인 경우나 회사 로고 등인 경우 심미적인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부가하여 자동차 예비열쇠나 디거 등의 부가물을 상기 장착부재에 휴대할 수 있는 경우 사람들이 그것을 휴대하는 것을 잊었을 때 그에 대비할 수 있는 벨트버클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전방 표면(front surface)에 홈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홈의 내부에 수납되기 위하여 내측으로 접힐 수 있고 상기 홈의 내부를 노출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상기 홈의 원주를 따라 적합한 위치에 핀-고정된 장착부재로서, 원주를 따라서 측면 개구부(side opening)와 중앙 개구부(center opening)를 구비한 장착부재; 및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장착부재 내로 삽입되고 상기 장착부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피장착물로서, 상기 장착부재로의 삽입시에 상기 중앙 개구부에 의하여 노출되는 전방 표면을 구비한 피장착물(carried object)을 포함하는 벨트용 벨트버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장착물의 전방 표면은 장식적인 디자인을 포함하는 벨트용 벨트버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벨트버클의 한쪽 말단부터 다른 말단까지 상기 벨트와 평행하고, 그로 인해 상기 벨트버클의 말단면(end surface)에 2개의 노치를 각각 형성 하는 벨트용 벨트버클.
  4. 제 1항에 있어서,
    돌출부가 상기 피장착물의 전방 표면에 제공되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장착부재로 피장착물을 삽입하거나 상기 장착부재로부터 피장착물을 제거할 때 상기 돌출부를 통과하게 할 수 있는 간극(gap)을 포함하는 벨트용 벨트버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버클이 상기 장착부재의 상기 중앙 개구부의 형태와 컴패터블한 형태(shape)를 갖는 홀더로서, 상기 장착부재의 중앙 개구부의 원주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상기 피장착물을 고정하는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벨트용 벨트버클.
  6. 전방 표면에 홈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홈의 내부에 수납되기 위하여 내측으로 접힐 수 있고 상기 홈의 내부를 노출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상기 홈의 원주를 따라 적합한 위치에 핀-고정된 장착부재로서, 원주를 따라서 측면 개구부와 중앙 개구부를 구비한 상기 장착부재; 및
    상기 측면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장착부재 내로 삽입되고 상기 장착부재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피장착물로서, 상기 장착부재로의 삽입시에 상기 중앙 개구부에 의하여 노출되는 전방 표면을 구비한 상기 피장착물을 포함하는 벨트용 벨트버클로서,
    상기 홈은 상기 장착부재의 두께 보다 깊은 깊이를 갖고,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홈의 전방 표면에 수납되며, 상기 홈에 부가물의 수용을 위한 여분의 공간을 예비하는 벨크용 벨트버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버클이 상기 장착부재의 상기 중앙 개구부의 형태와 컴패터블한 형태(shape)를 갖는 홀더로서, 상기 장착부재의 중앙 개구부의 원주 가장자리에 위치되어 상기 피장착물을 고정하는 홀더를 추가로 포함하는 벨트버클.
  8. 실질적으로 반구형의 홀을 갖는 홈을 전방 표면에 구비한 본체;
    상기 홈의 내부에 수납되기 위하여 내측으로 접힐 수 있고 상기 홈의 내부를 노출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젖혀질 수 있도록 상기 홈의 원주를 따라 적합한 위치에 핀-고정된 원호형의 장착부재로서, 실질적으로 반원형인 개구부(semi-circular opening)를 구비한 상기 장착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의 상기 반원형인 개구부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장착부재의 상기 반원형인 개구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실질적으로 구형의 피장착물을 포함하는 벨트용 벨트버클.
KR1020060132152A 2006-12-21 2006-12-21 벨트버클 KR100805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152A KR100805987B1 (ko) 2006-12-21 2006-12-21 벨트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152A KR100805987B1 (ko) 2006-12-21 2006-12-21 벨트버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987B1 true KR100805987B1 (ko) 2008-02-25

Family

ID=3938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152A KR100805987B1 (ko) 2006-12-21 2006-12-21 벨트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549A (ko) * 2016-10-14 2018-04-24 우성환 볼 마커가 부착된 버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588Y1 (ko) * 2006-05-12 2006-07-27 이정오 혁대용 버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588Y1 (ko) * 2006-05-12 2006-07-27 이정오 혁대용 버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422588(2006.7.2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549A (ko) * 2016-10-14 2018-04-24 우성환 볼 마커가 부착된 버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4655B2 (en) Belt buckle
US6886724B2 (en) Removable cover piece for belt buckle
US7594305B2 (en) Socket engaging tether for electronic devices
US20060226185A1 (en) Holster for a handgun
US667211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aining keys
CN101278541A (zh) 带系绳的便携式个人数字设备
US7182055B1 (en) Remote car starter shielding apparatus
US8177107B2 (en) Belt clip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phone or the like
KR100805987B1 (ko) 벨트버클
US5407064A (en) Coin carrier
EP1935272A1 (en) Belt buckle
US20060005586A1 (en) Lock
KR101232285B1 (ko) 다용도 장신구가 포함된 장식품
JP3697071B2 (ja) 携帯電話機
WO2014072672A1 (en) A tracking device
RU2700325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держатель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AU2006246537B1 (en) Belt buckle
KR200441443Y1 (ko) 벨트용 골프 볼마커 수납홀더
KR200351488Y1 (ko) 자석이 구비된 볼 마커
JP3111784U (ja) パッドロック
KR100829318B1 (ko) 다기능 벨트 버클
KR200468723Y1 (ko) 2개의 볼마커가 구비된 버클
JP3040156U (ja) 携帯電話機のホルダ
KR200327628Y1 (ko) 골프볼 마커의 부착구조
KR200300760Y1 (ko) 장식물이 결합된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