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5080B1 -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080B1
KR100805080B1 KR1020060045984A KR20060045984A KR100805080B1 KR 100805080 B1 KR100805080 B1 KR 100805080B1 KR 1020060045984 A KR1020060045984 A KR 1020060045984A KR 20060045984 A KR20060045984 A KR 20060045984A KR 100805080 B1 KR100805080 B1 KR 100805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damper pulley
shaft
electric motor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2929A (ko
Inventor
조해경
김종석
박창주
송정도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5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080B1/ko
Publication of KR20070112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2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08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01L5/0042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applying a torqu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7/00Control of torque; Control of mechanical pow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 풀리의 슬립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어판넬부의 제어하에 연동척에 장착된 댐퍼 풀리의 비틀림 각도 및 속도 조건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구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댐퍼 풀리에 정확한 비틀림 조건을 부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밀하고 정확한 시험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 풀리 전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슬립 토크 시험장치는 댐퍼 풀리의 토크 슬립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확한 시험조건을 부여할 수 있는 자동화된 전용 시험장치로서, 이를 이용하게 되면 수동 조작 등이 필요 없는 등 더욱 용이하게 토크 슬립 시험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댐퍼 풀리, 토셔널 바이브레이션 댐퍼, TVD, 슬립 토크, 시험장치, 비틀림

Description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Slip torque testing apparatus for damper pulle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장치 본체의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각각 장치 본체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상하구동장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가동 플레이트의 평면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상하 이동하는 구성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상부 연동척과 하 부 연동척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연속법 시험시에 결과로 얻어진 토크 선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컴퓨터의 프로그램에서 시험조건을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단속법 시험시에 결과로 얻어진 토크 선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은 일반적인 댐퍼 풀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댐퍼 풀리 100 : 장치 본체
110 : 바디부 111 : 상부 케이스
112 : 하부 케이스 113: 가이드 포스트
121 : 가동 플레이트 121a : 가이드 부재
121b : 체결부재 122 : 토크 미터
123 : 상부 지지축 124 : 상부 연동척
125 : 하부 지지축 126 : 하부 연동척
130 : 상하구동장치부 131 : 전동모터
132 : 기어박스 133 : 구동기어
134 : 피동기어 135 : 체인
136 : 텐선기어 137a : 제1스크류 축
137b : 제2스크류 축 138a, 138b : 고정블록
140 : 회전구동장치부 141 : 전동모터
142 : 구동풀리 143 : 피동풀리
144 : 벨트 145 : 기어박스
146 : 각도센서 146a : 센싱 로드
200 : 컴퓨터 300 : 제어판넬부
본 발명은 댐퍼 풀리의 슬립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댐퍼 풀리의 비틀림 각도 및 속도 조건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시험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 풀리 전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는 주기적인 회전력이 작용하므로 비틀림 진동이 발생하며, 이러한 비틀림 진동은 각 실린더의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력이 클수록, 크랭크 샤프트의 길이가 길수록, 또는 강성이 작을수록 커진다.
상기 비틀림 진동은 크랭크 샤프트가 어느 회전수가 되면 샤프트 자체의 고유 진동과 공진을 일으키고, 특히 격심한 진동을 일으키게 되면 승차감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타이밍 기어나 크랭크 샤프트를 파손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 때문에 크랭크 샤프트가 긴 엔진에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셔널 바이브레이션 댐퍼(Torsional Vibration Damper, TVD)라고 하는 비틀림 진동 감쇠 장치가 형성된 댐퍼 풀리(10)를 크랭크 샤프트(14)에 조립시켜 설치하고 있다.
상기 토셔널 바이브레이션 댐퍼는 크랭크 샤프트(14)의 한쪽 끝에 장착되는 풀리 허브(11)와 매스체(진동링)(13) 사이에 특수 고무재인 고무링(댐퍼)(12)을 개재시켜 일체화시킨 것으로서, 이 고무링(12)을 통하여 진동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즉, 크랭크 샤프트(14)가 일정한 회전 속도를 유지하고 있을 때에 매스체(13)는 크랭크 샤프트(14)와 일체로 회전하고 있지만, 크랭크 샤프트(14)가 비틀림 진동(회전방향에 대하여 정 또는 부의 큰 가속도)을 발생시켰을 때에도 매스체(13)는 관성력에 의해 그대로 일정한 회전속도를 유지하려 하기 때문에, 중간에 개재된 고무링(12)이 변형하여 이것에 의해 감쇠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댐퍼 풀리(10)에서 고무링(12)을 장착하는 방법 중에는 허브(11)와 매스체(13) 사이에 고무링(12)을 접촉면 간 접착하여 조립하는 방식과, 비접착식으로 강제 압입하여 조립하는 방식이 있다.
특히, 고무링이 접착식이 아닌 강제 압입식으로 조립된 댐퍼 풀리의 경우에는 제품 개발시나 제조시에 안전률을 확인하기 위한 슬립 토크(Slip Torque) 시험을 반드시 거치도록 되어 있으며, 종래에는 댐퍼 풀리의 슬립 토크 시험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내구 시험기를 이용하였다.
즉, 제품을 내구 시험기에 장착하여 허브(11)와 매스체(13)를 소정 각도만큼 비틀어 주면서 슬립 토크를 측정한 뒤 이때의 측정 결과가 요구수준 이상을 만족할 경우에만 합격 판정을 내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슬립 토크 시험을 일반 내구 시험기로 측정할 경우에는 수동조작을 통해 허브나 매스체 중 어느 한쪽을 정해진 각도만큼을 비틀어주어야 하므로 정밀한 시험이 어렵고, 원하는 각도만큼 정확히 비틀림을 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비틀림 속도를 요구되는 수준으로 일정하게 맞추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험시 오차가 크게 발생하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는 바, 그 개선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제어판넬부의 제어하에 연동척에 장착된 댐퍼 풀리의 비틀림 각도 및 속도 조건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구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댐퍼 풀리에 정확한 비틀림 조건을 부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밀하고 정확한 시험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 풀리 전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는, 시험조건 입력 및 장치 작동의 전반적인 조작을 위해 구비되고 장치 본체에서 입력되는 토크 신호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 및 출력해주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장치 본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부와, 시험 대상이 되는 댐퍼 풀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판넬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면서 댐퍼 풀리에 대해 비틀림 조건을 부여하고 이때의 토크를 측정하여 신호 출력하는 장치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 본체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된 가이드 포스트로 구성된 바디부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 중앙부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토크를 검출하여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는 토크 미터 및 이를 매개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상부 지지축과; 상기 하부 케이스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 설치된 하부 지지축과; 상기 상부 지지축 하단부에 설치된 상부 연동척과; 상기 하부 지지축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연동척과 함께 댐퍼 풀리를 고정시켜주는 하부 연동척과; 상기 제어판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 연동척을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상하구동장치부와; 상기 제어판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 연동척을 회전시켜주는 회전구동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연동척과 하부 연동척 중에 하나는 댐퍼 풀리의 매스체 부분을, 나머지 하나는 댐퍼 풀리의 허브 부분을 물어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상하구동장치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판넬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에서 전동모터의 회전축과 기어박스를 매개로 연결된 구동기어 축상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됨으로써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일하게 회전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축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되, 상부 케이스 하측으로 수직 설치되어, 상기 가동 플레이트 일측의 체결부재를 통과한 상태로 나사 결합되고, 하단부가 가이드 포스트의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스크류 축과; 상기 피동기어의 축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되, 상부 케이스 하측으로 수직 설치되어, 상기 가동 플레이트 타측의 체결부재를 통과한 상태로 나사 결합되고, 하단부가 가이드 포스트의 또 다른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스크류 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피동기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장치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판넬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상에 일체로 장착된 구동풀리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 플레이트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출력축이 상기 하부 지지축과 일체로 연결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됨으로써 구동풀리의 회전 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피동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지지축과 동일 속도 및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센싱 로드를 가지면서 상기 하부 지지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판넬부에 신호 출력하는 각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판넬부가 상기 각도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전동모터의 회전구동을 피드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지지축과 동일 속도 및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센싱 로드를 가지면서 상기 하부 지지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판넬부에 신호 출력하는 각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판넬부가 상기 각도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전동모터의 회전구동을 피드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댐퍼 풀리의 슬립 토크를 측정하기 위한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댐퍼 풀리의 비틀림 각도 및 속도 조건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정밀하고 정확한 시험을 가능하게 하는 댐퍼 풀리 전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를 개시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장치 본체의 사시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각각 장치 본체의 정면도와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시험대상이 되는 제품, 즉 댐퍼 풀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비틀림 조건을 부여하여 이때의 토크를 검출한 뒤 신호 출력하는 장치 본체(100)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100)는 상부 케이스(111) 및 하부 케이스(112), 가이드 포스트(113) 등으로 구성된 바디부(11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110)의 상부 케이스(111) 내부에는 상부 연동척(124)을 수직으로 상하 구동하기 위한 상하구동장치부(130)가 설치되고, 하부 케이스(112) 내부에는 하부 연동척(126)을 정확한 비틀림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동장치부(1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케이스(112)와 상부 케이스(111) 사이에는 4개의 가이드 포스트(113)가 설치되는 바, 상기 각 가이드 포스트(113)의 상단부는 상부 케이 스(111)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 플레이트(111a)에, 하단부는 하부 케이스(112)의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 플레이트(112a)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부 케이스(112)로부터 4개의 가이드 포스트(113)가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부 케이스(111)가 상기 4개의 가이드 포스트(113) 상단에 설치되어서 지지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포스트(113)의 길이상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가동 플레이트(121)가, 그 하측으로는 고정블록(138a,138b)이 설치된다.
첨부한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상하구동장치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구동장치부(130)의 구성부로서, 상부 케이스(111)의 저면을 형성하는 저면 플레이트(111a)상에는 지지 브라켓(131a) 등의 지지수단을 매개로 하여 전동모터(131)가 고정 장착된다.
상기 전동모터(131)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스크류 축(137a,137b)을 구동시키고 이를 통해 가동 플레이트(121)를 상하로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로서, 제어판넬부(30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그 회전구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전동모터(131)의 축은 기어박스(132)의 입력측에 연결되고, 이때의 기어박스(132)의 출력측에는 구동기어 축(133a)이 연결되므로서, 전동모터가 작동하면 회전력은 기어박스를 거쳐 구동기어 축으로 전달된다.
상기 기어박스(132)는 직각 배치된 두 축 간의 회전력 전달을 가능하게 해주는 복수의 기어들로 구성된 통상적인 기어박스가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직축 형태로 설치된 구동기어 축(133a)이 기어박스(132)의 출력측과 연결되고, 상기 구동기어 축(133a)에 직각방향으로 위치되는 전동모터(131)의 축이 기어박스(132)의 입력측과 연결되면, 결국 전동모터(131)의 회전이 기어박스(132)를 거쳐 구동기어 축(133a)에 전달된다.
상기 상하구동장치부(130)의 기어박스(132)는 전동모터(131)의 축의 회전을 감속없이 1:1(전동모터 축의 회전속도:구동기어 축의 회전속도)로 구동기어 축(133a)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작동상태 및 회전력 전달을 위한 기어박스(132)는 산업적으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계장치이므로, 내부의 기어 조합 등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 축(133a)상에는 구동기어(133)가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장착되고, 이 구동기어(133)의 하측으로는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제1스크류 축(137a)이 구동기어 축(133a)에 일체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133)는 상부 케이스(111) 내부에서 저면 플레이트(111a)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형태가 되며, 상단부가 구동기어(133) 및 그 축(133a)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제1스크류 축(137a)은 저면 플레이트(상부 케이스)(111a) 하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가동 플레이트(121)를 통과한 후 하단부가 고정블록(138a)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111)의 저면 플레이트(111a)상에서 구동기어(133) 반대측으로는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체인(135)을 통해 전달받는 피동기어(134)가 설치된다.
이러한 피동기어(134)의 축(134a)에는 구동기어 축(133a)과 마찬가지로 저면 플레이트(111a) 하측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된 제2스크류 축(137b)이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상단부가 피동기어(134) 및 그 축(134a)과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제2스크류 축(137b)은 제1스크류 축(137a)과 마찬가지로 저면 플레이트(상부 케이스)(111a) 하측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어, 가동 플레이트(121)를 통과한 후 하단부가 고정블록(138b)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11)의 저면 플레이트(111a)상에서 구동기어(133)와 피동기어(134) 사이에는 텐션기어(136)가 설치되며, 이 텐션기어(136)는 지지 브라켓(136a)에 의해 저면 플레이트(111a) 상면에 고정 설치된 텐션기어 축(136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133)와 피동기어(134) 간에 회전력 전달을 위하여 체인(135)이 설치되며, 이 체인(135)은 구동기어(133)와 피동기어(134), 텐션기어(136)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바, 전동모터(131)의 구동시에 구동기어(133)의 회전력이 체인(135)을 통해 피동기어(134)에 전달되면서 구동기어(133)와 피동기어(134)가 동일한 속도 및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텐션기어(136)는 구동기어(133)와 피동기어(134)가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체인(135)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첨부한 도 6은 도 1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가동 플레이트의 평면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상하 이동하는 구성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플레이트(121)의 전후좌우 4곳의 모서리부에는 원통형의 가이드 부재(121a)가 관통 삽입된 상태로 볼팅되어 고정되는 바, 각 가이드 부재(121a)에 가이드 포스트(113)가 통과하도록 하여 가동 플레이트(121)가 장착된다.
상기 가동 플레이트(121)의 상하 이동시에는 가이드 부재(121a)가 가이드 포스트(113)상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상하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 플레이트(121)의 좌우 양단부쪽에는 체결부재(121b)가 각각 볼팅되어 고정 설치되고, 각 체결부재(121b)에는 제1스크류 축(137a)과 제2스크류 축(137b)이 내부를 통과하여 나사 결합된다.
상기 제1스크류 축(137a)과 제2스크류 축(137b)과 체결부재(121b)는 전동모터(131)의 회전력을 가동 플레이트(121)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제1스크류 축(137a)과 제2스크류 축(137b)이 회전될 경우 가동 플레이트(121)가 가이드 포스트(113)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포스트(113)에서 가동 플레이트(121) 하측으로는 좌측으로 위치된 두 가이드 포스트(113) 사이와 우측으로 위치된 두 가이드 포스트 사이에 각각 고정블록(138a,138b)이 설치되는 바, 각 고정블록(138a,138b)에는 해당 스크류 축(137a,137b)의 하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국, 본 발명의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는 상하구동장치부(130)의 전동모터(131)가 회전구동될 경우 구동기어(133)와 피동기어(134)가 회전되면서 제1스크류 축(137a)과 제2스크류 축(137b)이 동시 회전되고, 이에 스크류 축(137a,137b)에 맞물린 체결부재(121b)가 위 아래로 움직이면서 가동 플레이트(121)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동 플레이트(121)의 중앙부 하측에는 토크 미터(torque meter)(122)가 설치되고, 이 토크 미터(122)에는 상부 지지축(123)이 수직 하방으로 길게 설치된다.
상기 토크 미터(122)는 상부 지지축(123)으로부터 전달되는 토크량을 검출하여 검출값에 따른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도록 되어 있고,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후술하는 컴퓨터(200)와 연결되는 바, 시험자는 이 컴퓨터(200)를 통해서 토크 미터(122)에서 입력된 토크값에 따라 시험 결과를 분석하게 된다.
상기 상부 지지축(123) 하단부에는 상부 연동척(124)이 고정 설치되는 바, 이 상부 연동척(124)은 후술하는 하부 연동척(126)과 함께 시험 대상이 되는 댐퍼 풀리를 고정하는 부분이 된다.
상기 상부 연동척(124)이 상부 지지축(123)의 하단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지지축(123)이 토크 미터(122)와 결합되므로, 가동 플레이트(121), 토크 미터(122), 상부 지지축(123)과 상부 연동척(124)은 일체화된 상태에서 상하구동장치부(130)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함께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구동장치부(140)는 하부 케이스(112) 내부에 설치 구성되는 것으로, 우선 하부 케이스(112)의 저면 플레이트(112b)상에는 전동모터(141)가 지지 브라켓(141a) 등의 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전동모터(141)의 회전축상에는 구동풀리(142)가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112)의 상면 플레이트(112a) 하측에는 기어박스(145)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기어박스(145)의 입력축(이하, 피동풀리 축이라 함)(143a)에는 피동풀리(143)가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기어박스(145)의 출력축에는 하부 지지축(125)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 지지축(125)의 상단부에는 하부 연동척(126)이 일체로 장착된다.
상기 전동모터(141)는 제어판넬부(300)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그 회전구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며, 구동풀리(142)와 피동풀리(143)는 벨트(144)로 연결된다.
상기 기어박스(145)는 서로 직각 배치된 피동풀리 축(143a)과 하부 지지축(125) 사이에 회전력 전달을 위하여 개재되는 구성부로서, 이러한 기어박스(145)로는 직각 배치된 두 축 사이에 회전력 전달이 가능한 통상적인 기어박스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장치부(140)의 기어박스(145)로는 워엄기어 등을 내장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조합된 기어들에 의해 전동모터 회전축의 회전력을 30:1(입력축과 출력축의 회전속도 비, 즉 피동풀리 축의 회전속도:하부 지지축의 회전속도)로 감속하여 하부 지지축(125)에 전달하도록 구성된 감속기 형태의 기어박스(145)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작동상태 및 회전력 전달을 위한 기어박스는 산업적으로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계장치이므로, 내부의 기어 조합 등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145)의 하측으로는 하부 지지축(125)의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신호 출력하는 각도센서(146)가 고정 설치되는데, 이 각도센서(146)에는 기어박스(145) 내부로 삽입된 센싱 로드(146a)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센싱 로드(146a)는 기어박스(145)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소정의 중간부재를 통해 기어박스(145)의 출력축쪽에 연결되어 하부 지지축(125)과 동일 속도 및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각도센서(146)는 하부 지지축(125)의 회전각도를 정확히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각도센서(146)는 출력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제어판넬부(300)와 연결되는 바, 제어판넬부(300)는 각도센서(146)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전동모터(141)의 회전구동을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하부 지지축(125)의 회전각도를 설정치에 따라 정확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한 도 8a와 도 8b는 상부 연동척(124)과 하부 연동척(126)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부 연동척(124)과 하부 연동척(126)은 시험 대상이 되는 댐퍼 풀리를 함께 물어주는 구성부이며, 상부 연동척(124)과 하부 연동척(126)이 댐퍼 풀리를 압착하여 물어줌으로써 댐퍼 풀리가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슬립 토크 시험을 위해서는 두 연동척(124,126) 중의 하나는 매스체 부분을, 다른 하나는 허브 부분을 잡아주어야 하는 바, 상부 연동척(124)은 도 1에 도시한 댐퍼 풀리(10)에서 매스체(13)의 외주면을 바깥쪽에서 압착하여 물어주게 되고, 하부 연동척(126)은 댐퍼 풀리(10)에서 허브(11)의 내주면을 안쪽에서 압착하여 물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댐퍼 풀리를 상부 연동척(124)과 하부 연동척(126)에 장착함에 있어서 소정의 치구가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치구에 댐퍼 풀리를 조립하고, 조립품(제품과 치구)을 상부 연동척과 하부 연동척에 조립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는 시험조건을 설정하는데 이용되고, 또한 상기 장치 본체(100)의 토크 미터(122)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 및 출력해주는 컴퓨터(200)를 포함한다.
또한 시험자는 상기 컴퓨터(200)를 통해 시험조건을 입력하여 설정하거나 시험 개시 및 종료 등 장치 작동을 전반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컴퓨터(200)에는 시험자의 조작에 따라 시험과정의 각 단계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시험조건을 입력하거나 토크 미터(122)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 및 출력해주는 프로그램이 내장된다.
시험자는 상기 프로그램상에서 그래프 등 다양한 형태로 시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시험 결과를 모니터 화면을 통해 또는 프린터로 출력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200)는 시험자의 조작에 따라 시험과정의 각 단계가 진행될 수 있도록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는 컴퓨터(200)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토대로 상하구동장치부(130)의 전동모터(131)와 회전구동장치부(140)의 전동모터(141)를 구동제어하는 제어판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판넬부(300)는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장치 본체(100)를 직접적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우선, 연동척(124,126)에 시험대상이 되는 댐퍼 풀리를 장착할 수 있도록 제어판넬부(300)는 컴퓨터(2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하구동장치부(130)의 전동모터(131)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상하구동장치부(130)의 전동모터(131)가 회전되면 기어박스(132), 구동기어(133), 체인(135), 피동기어(134)를 통해 제1 및 제2스크류 축(137a,137b)이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이때 두 스크류 축상에 결합된 가동 플레이트(121) 및 상부 지지축(123)이 하강하여 상부 연동척(124)이 하부 연동척(126)과 함께 댐퍼 풀리를 물어줄 수 있는 위치로 내려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판넬부(300)는 시험조건에 따른 신호를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받아 회전구동장치부(140)의 전동모터(141)를 제어하는데, 이때 시험조건으로 설정된 각도만큼 하부 지지축(125) 및 하부 연동척(126)이 회전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각도센서(146)의 신호를 토대로 전동모터(141)의 회전구동을 피드백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판넬부(300)는 시험조건으로서 시험자가 입력한 하부 지지축(125)의 회전각도를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된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 구동장치부(140)의 전동모터(14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때 각도센서(146)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하부 지지축(125)이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정확히 회전되도록 전동모터(141)를 피드백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구동장치부(140)의 전동모터(141)가 회전되면 구동풀리(142), 벨트(144), 피동풀리(143), 기어박스(145)를 통해 하부 지지축(125) 및 하부 연동척(126)이 회전될 수 있게 되고, 이때 제어판넬부(300)는 각도센서(146)로부터 계속해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하부 지지축(125) 및 하부 연동척(126)이 시험조건으로 입력된 회전각도만큼 정확히 회전되도록 전동모터(141)의 회전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부 연동척을 이동시키기 위한 상하구동장치부의 전동모터는 상기와 같이 제어판넬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는데(제어판넬부가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됨), 상부 연동척의 상하 이동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컴퓨터가 리모컨 등과 같은 별도의 조작수단(도면상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음)을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컴퓨터를 조작하게 되면, 컴퓨터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컴퓨터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판넬부가 수신받아 그 수신된 신호에 의해 제어판넬부가 전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대신, 사용자가 리모컨 등과 같은 외부 조작수단을 조작하게 되면, 이에 연결된 제어판넬부가 외부 조작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사용자 조작신호를 입력받아 상하구동장치부의 전동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부 연동척을 이동시키기 위해 컴퓨터가 아닌 별도 구비되는 소정의 조작수단을 조작하게 되면, 이 조작수단으로부터 송신된 신호에 따라 제어판넬부가 상하구동장치부의 전동모터를 구동 제어하며, 이에 전동모터가 적절히 구동 제어되면서 상부 연동척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제어판넬부가 리모컨 등 기타 외부 조작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하구동장치부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어판넬부에 조작수단으로부터 사용자 조작신호를 수신받기 위한 별도의 수신장치나 회로, 모듈(조작수단과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됨) 등이 구비됨이 마땅하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 설명하였는 바, 이러한 슬립 토크 시험장치를 이용하여 댐퍼 풀리에 대한 슬립 토크를 시험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험자는 컴퓨터(200)나 제어판넬부(300) 등 시험장치를 기동시키고,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후, 시험자는 시험대상이 되는 댐퍼 풀리를 연동척에 장착하기 위해서 컴퓨터(200) 또는 리모컨 등의 별도 조작수단을 조작하여 상부 연동척(124)을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때, 컴퓨터(20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제어판넬부(300)가 상하구동장치부(130)의 전동모터(131)를 구동시켜주며, 이와 같이 상하구동장치부(130)의 전동모터(131)가 제어판넬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구동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지지축(123) 및 상부 연동척(124)이 정해진 위치, 즉 하부 연동척(126)과 함 께 댐퍼 풀리(10)를 물어줄 수 있는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물론, 리모컨 등의 별도 조작수단을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어판넬부가 상기 조작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신호에 의해 상하구동장치부의 전동모터를 구동시켜 주게 된다.
여기서, 하부 연동척(126)에 댐퍼 풀리의 허브를 우선 물어주고, 이후 상부 연동척(124)을 하강시켜 상부 연동척(124)에 매스체를 물어주면, 양측의 연동척에 의해 댐퍼 풀리가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댐퍼 풀리(10)를 상부 및 하부 연동척(124,126)에 직접 물어줄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소정의 치구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댐퍼 풀리에 치구를 먼저 조립한 뒤, 허브에 결합된 치구부분을 하부 연동척(126)에 물어주고, 매스체에 결합된 치구부분을 상부 연동척(124)에 물어준다.
이와 같이 댐퍼 풀리의 장착이 완료되면 프로그램상에서 시험조건을 설정한 뒤 시험을 시작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시험시에는 상부 연동척(124)과 하부 연동척(126)이 댐퍼 풀리의 매스체와 허브를 각각 물어준 상태에서 고정된 상부 지지축(123) 및 상부 연동척(124)에 대하여 하부 지지축(125) 및 하부 연동척(126)을 일체로 회전시켜서 댐퍼 풀리에 비틀림을 주게 된다.
그리고, 시험시에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정해진 비틀림 속도(deg/min)로 1회 연속적으로 비틀림을 주어 슬립 토크를 측정하는 연속법과, 비틀림을 준 뒤 소정 시간 정지(유지)시키는 과정을 단계별로 반복하여 비틀림을 단속하되 각 단계에서 정해진 토크(또는 비틀림 각도)만큼 비틀림을 주어 슬립 토크를 측정하는 단속법 중에 어느 한 방법으로 시험모드를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우선, 연속법 시험시에는 댐퍼 풀리를 장착한 후에 시험자가 프로그램상에서 연속법을 선택한 뒤 시험조건을 입력하여 설정하는데, 이때 시험조건으로는 하부 지지축(125) 및 하부 연동척(126)의 회전속도(비틀림 속도), 즉 분당 회전각도(deg/min)를 입력하여 설정한다.
이때, 연속법을 별도로 선택하지 않으면 기본 모드, 즉 단속법으로 시험이 진행된다.
연속법에서 시험조건으로는 48deg/min을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험자가 시험조건을 설정하고 시험을 개시하면, 컴퓨터(200)는 시험조건에 따른 신호를 제어판넬부(300)로 입력하고, 이에 제어판넬부(300)는 회전구동장치부(140)의 전동모터(141)를 시험조건에 따라 회전구동시켜 하부 지지축(125)이 설정된 시험조건에 따라 회전되도록 한 뒤, 전동모터를 정지시킨다.
예를 들어, 시험조건으로 48deg/min가 설정된 경우라면, 제어판넬부(300)는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된 시험조건 신호에 따라 전동모터(141)를 회전구동시켜 하부 지지축(125)이 48deg/min의 회전속도로 48deg(°)의 회전각도만큼 연속적으로 회전되도록 한 뒤, 1분 후 전동모터를 정지시킨다.
이때, 제어판넬부(300)는 각도센서(146)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전동모터(141)를 피드백 제어하여 하부 지지축(125) 및 하부 연동척(126)이 시험조건에 따라 정확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정확한 속도로 비틀림이 가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하부 지지축(125)이 회전되는 동안 컴퓨터(200)는 토크 미터(122)로부터 계속해서 신호를 입력받으며, 컴퓨터(200)는 토크 미터(122)에 의해 측정된 토크를 모니터를 통해 그래프(시간 Vs 토크), 즉 토크 선도로 표시하여 주는 바, 시험자는 토크 선도로부터 슬립 토크를 읽게 된다.
첨부한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연속법 시험시에 결과로 얻어진 토크 선도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분간 연속적으로 하부 지지축(125)이 회전되도록 하여 비틀림을 준 뒤 시험을 강제 종료(비틀림 해제)하고, 이 과정에서 모니터에 표시되는 시간에 따른 토크 변화, 즉 토크 곡선 중 최대 토크 값을 슬립 토크로 취하게 된다.
도 9에서 1분 후 강제 종료될 때까지 회전각도는 일정한 속도로 증가하여 최종적으로는 48°만큼 댐퍼 풀리를 비틀어 주게 되며, 이때 토크 값은 점차 증가하다가 최대 토크 값을 보인 후 대략 일정하게 유지되는 형태가 된다.
이와 같이 시험이 모두 완료되면, 시험자는 상부 연동척(124)을 열어 댐퍼 풀리의 매스체와 분리시킨 뒤, 컴퓨터(200)를 조작하여 상부 연동척(124)을 위로 이동시킨다.
이때, 컴퓨터(200) 또는 조작수단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제어판넬부(300)가 상하구동장치부(130)의 전동모터(131)를 구동시켜주며, 이와 같이 상하구동장치부(130)의 전동모터(131)가 제어판넬부(300)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구동되면서 상부 지지축(123) 및 상부 연동척(124)이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하부 연동척(126)을 열어 댐퍼 풀리를 완전히 탈거한다.
이와 같이 연속법 시험에서는 댐퍼 풀리에 비틀림을 주기 위해 분당 회전각도(고정 설정값)만 설정하게 되며, 이러한 연속법 시험에 의하면 시험시간은 짧으나 최대 토크(한계 토크)만 측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단속법 시험시에는 댐퍼 풀리를 장착한 후에 시험자가 컴퓨터(200)의 프로그램상에서 별도로 모드 선택을 하지 않고 바로 시험조건을 입력하여 설정한다.
첨부한 도 10은 컴퓨터의 프로그램에서 시험조건을 입력하는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 시험조건으로 각도 제어와 토크 제어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즉, 각도와 토크 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 각 단계별로 시험조건을 입력하게 되는데, 각도를 선택하면 각 단계에서 가해지는 비틀림 각도와 유지시간을 입력하여 설정하게 되고, 토크를 선택하면 각 단계에서 가해지는 토크와 유지시간을 입력하여 설정하게 된다.
이때,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비틀림 각도 또는 토크를 일정한 양만큼 증가시켜 설정하며, 유지시간은 모두 동일하게 설정한다.
단, 처음 단계, 즉 1단계에서의 토크는 스펙(SPEC.; 슬립 토크 요구치)의 50%로 설정하고, 2단계에서부터 약 30 ~ 40Nㆍm 내의 토크량 만큼 동일하게 높여 설정하며, 전 단계에서 유지시간은 대략 50 ~ 60초 내의 시간으로 동일하게 설정한다.
도 10의 예시도면은 토크를 선택한 예이며, 10단계로 비틀림을 단속하는 예 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토크를 선택하게 되면, 각 단계별에서 가해질 토크 및 유지시간을 입력하여야 하는데(각도 제어인 경우 비틀림 각도와 유지시간 입력), 이때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토크는 일정한 양만큼 증가시켜 설정하고, 유지시간은 모두 동일하게 설정한다.
예컨대, 토크는 150(SPEC.의 약 50%에서 시작), 190, 230, ... , 510Nㆍm로 단계에 따라 40Nㆍm씩 증가시켜 입력하고, 각 단계의 유지시간으로 50초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시험자가 시험조건을 설정하고 시험을 개시하면, 제어판넬부(300)는 컴퓨터(20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회전구동장치부(140)의 전동모터(141)를 구동시킨 후 정지시키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시험이 개시되면 컴퓨터(200)는 제어판넬부(300)에 최초로 신호 출력하여 제어판넬부(300)의 제어하에 회전구동장치부(140)의 전동모터(141)가 최초 회전되도록 하고, 제1단계에서 컴퓨터(200)는 토크 미터(122)의 신호로부터 150Nㆍm를 판단한 경우 제어판넬부(300)에 신호 출력하여 전동모터(141)가 50초간 정지되도록 한다.
50초 후 컴퓨터(200)는 다시 제어판넬부(300)에 신호 출력하여 제어판넬부(300)의 제어하에 전동모터(141)가 다시 회전되도록 하고, 제2단계로서 컴퓨터(200)가 토크 미터(122)의 신호로부터 190Nㆍm를 판단한 경우 제어판넬부(300)에 신호 출력하여 다시 전동모터(141)가 50초간 정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단계적으로 토크를 점차 증가시키면서 각 단계에서 전동모터(141)의 구동과 정지를 반복하여 시험을 진행하는 바, 컴퓨터(200)는 시험 진행 동안 계속해서 토크 미터(122)의 신호로부터 현재의 토크를 읽고 기록하게 되는데, 특히 컴퓨터는 각 단계 진행 도중에 해당 단계의 유지시간 동안 전 단계의 최저 토크(전 단계의 유지시간 동안에 측정된 가장 낮은 토크)보다 유지 토크가 낮아지거나, 해당 단계 진행시에 미리 정해진 설정시간 동안(예, 30초) 설정 토크 미달시에 시험을 강제 종료(비틀림 해제)하고, 이전 단계의 최저 토크를 슬립 토크로 취하게 된다.
단속법에서 토크 대신 각도를 선택한 경우, 단계별로 토크 대신 각도를 입력하고, 각 단계에서 설정된 각도로 회전구동장치부(140)의 전동모터(및 하부 지지축)(141)를 회전시킨 뒤 유지시간 동안 전동모터를 정지시켜주는 방식으로 시험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단계별로 설정된 각도와 유지시간으로 댐퍼 풀리에 비틀림을 가하고, 각 단계 진행 도중에 해당 단계의 유지시간 동안 검출되는 토크가 전 단계의 유지시간 동안에 측정된 최저 토크보다 낮아지는 경우 시험을 종료하고, 전 단계의 최저 토크를 슬립 토크로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험이 모두 완료되면, 연속법의 경우와 같은 과정으로 댐퍼 풀리를 시험장치로부터 탈거한다.
첨부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슬립 토크 시험장치에서 단속법 시험시에 결과로 얻어진 토크 선도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단속법에서 토크 대신 각도를 선택한 경우, 단계별로 토크 대신 각도를 입력하고, 각 단계에서 설정된 각도로 회전구동장치부(140)의 전동모터(및 하부 지지축)을 회전시킨 뒤 유지시간만큼 전동모터를 정지시켜주는 방식으로 시험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단속법은 각 단계별로 비틀림을 단속하면서 시험을 진행하는 것으로, 연속법에 비해 더욱 세밀한 시험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특성을 찾는데 더욱 유리하고(설정된 각 단계별로 토크 특성의 확인이 가능함), 좀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판넬부의 제어하에 연동척에 장착된 댐퍼 풀리의 비틀림 각도 및 속도 조건을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구동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댐퍼 풀리에 정확한 비틀림 조건을 부여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밀하고 정확한 시험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 풀리의 토크 슬립을 측정하기 위하여 정확한 시험조건을 부여할 수 있는 자동화된 전용 시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수동 조작 등이 필요 없는 등 더욱 용이하게 토크 슬립 시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슬립 토크 시험방법에서 단속법의 경우 각 단계별로 비틀림을 단속하면서 시험을 진행하는 것으로, 연속법에 비해 더욱 세밀한 시험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특성을 찾는데 더욱 유리하고(설정된 각 단계별로 토크 특성의 확인 이 가능함), 좀더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시험조건 입력 및 장치 작동의 전반적인 조작을 위해 구비되고 장치 본체에서 입력되는 토크 신호를 토대로 결과를 분석 및 출력해주는 컴퓨터와, 상기 컴퓨터의 출력신호 또는 외부 조작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장치 본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판넬부와, 시험 대상이 되는 댐퍼 풀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판넬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면서 댐퍼 풀리에 대해 비틀림 조건을 부여하고 이때의 토크를 측정하여 신호 출력하는 장치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장치 본체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와 상부 케이스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 설치된 가이드 포스트로 구성된 바디부와; 상기 가이드 포스트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가동 플레이트와; 상기 가동 플레이트 중앙부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토크를 검출하여 상기 컴퓨터로 출력하는 토크 미터 및 이를 매개로 수직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상부 지지축과; 상기 하부 케이스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연장 설치된 하부 지지축과; 상기 상부 지지축 하단부에 설치된 상부 연동척과; 상기 하부 지지축 상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연동척과 함께 댐퍼 풀리를 고정시켜주는 하부 연동척과; 상기 제어판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 연동척을 상하로 이동시켜주는 상하구동장치부와; 상기 제어판넬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하부 연동척을 회전시켜주는 회전구동장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동척과 하부 연동척 중에 하나는 댐퍼 풀리의 매스체 부분을, 나머지 하나는 댐퍼 풀리의 허브 부분을 물어주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하구동장치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판넬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에서 전동모터의 회전축과 기어박스를 매개로 연결된 구동기어 축상에 일체로 설치되어,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체인으로 연결됨으로써 구동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동일하게 회전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축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되, 상부 케이스 하측으로 수직 설치되어, 상기 가동 플레이트 일측의 체결부재를 통과한 상태로 나사 결합되고, 하단부가 가이드 포스트의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스크류 축과;
    상기 피동기어의 축에 일체로 연결 설치되되, 상부 케이스 하측으로 수직 설치되어, 상기 가동 플레이트 타측의 체결부재를 통과한 상태로 나사 결합되고, 하단부가 가이드 포스트의 또 다른 고정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스크류 축;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구동기어와 피동기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체인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기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장치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판넬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축상에 일체로 장착된 구동풀리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 플레이트 하측에 고정 설치되고, 출력축이 상기 하부 지지축과 일체로 연결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구동풀리와 벨트로 연결됨 으로써 구동풀리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피동풀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지지축과 동일 속도 및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연결된 센싱 로드를 가지면서 상기 하부 지지축의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판넬부에 신호 출력하는 각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판넬부가 상기 각도센서의 신호를 토대로 전동모터의 회전구동을 피드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플레이트에 복수개의 원통형 가이드 부재가 관통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각 가이드 부재에 가이드 포스트가 통과하도록 하여 상기 가동 플레이트가 가이드 포스트상에 수평 장착되되, 상기 각 가이드 부재가 가이드 포스트상에서 슬라이드 되면서 가동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60045984A 2006-05-23 2006-05-23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805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984A KR100805080B1 (ko) 2006-05-23 2006-05-23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5984A KR100805080B1 (ko) 2006-05-23 2006-05-23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6644A Division KR100805085B1 (ko) 2006-05-24 2006-05-24 댐퍼 풀리의 슬립 토크 시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29A KR20070112929A (ko) 2007-11-28
KR100805080B1 true KR100805080B1 (ko) 2008-02-20

Family

ID=39090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984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5080B1 (ko) 2006-05-23 2006-05-23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0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195A (ko) * 2014-12-16 2016-06-24 (주)동산테크 선외기의 프로펠러 어셈블리용 검사장치
KR20160114989A (ko) * 2015-03-25 2016-10-06 (주)동하정밀 차량용 풀리의 신뢰성 시험장치
KR20160114990A (ko) * 2015-03-25 2016-10-06 (주)동하정밀 오퍼레이션 패널을 구비한 차량용 풀리의 신뢰성 시험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545B1 (ko) * 2008-01-11 2009-11-12 평화산업주식회사 댐퍼풀리 시험장치
CN103674381A (zh) * 2013-12-20 2014-03-26 山东国强五金科技有限公司 执手启闭力性能检测装置及其操作方法
CN111609956B (zh) * 2020-05-20 2021-11-30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曲轴链轮打滑扭矩测试装置
CN114618798B (zh) * 2022-04-18 2024-02-13 无锡市神力齿轮冷挤有限公司 一种单向离合器打滑扭矩全自动检测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750A (ko) * 1994-02-23 1995-12-26 게르하르드 로테르 토크 전달 시스템 제어공정 및 제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토크 전달 시스템
KR20020003204A (ko) * 2000-01-14 2002-01-10 가와모토 에이이치 댐퍼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3750A (ko) * 1994-02-23 1995-12-26 게르하르드 로테르 토크 전달 시스템 제어공정 및 제어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토크 전달 시스템
KR20020003204A (ko) * 2000-01-14 2002-01-10 가와모토 에이이치 댐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195A (ko) * 2014-12-16 2016-06-24 (주)동산테크 선외기의 프로펠러 어셈블리용 검사장치
KR101649679B1 (ko) * 2014-12-16 2016-08-19 (주)동산테크 선외기의 프로펠러 어셈블리용 검사장치
KR20160114989A (ko) * 2015-03-25 2016-10-06 (주)동하정밀 차량용 풀리의 신뢰성 시험장치
KR20160114990A (ko) * 2015-03-25 2016-10-06 (주)동하정밀 오퍼레이션 패널을 구비한 차량용 풀리의 신뢰성 시험시스템
KR101682900B1 (ko) 2015-03-25 2016-12-07 (주)동하정밀 차량용 풀리의 신뢰성 시험장치
KR101688181B1 (ko) 2015-03-25 2016-12-20 (주)동하정밀 오퍼레이션 패널을 구비한 차량용 풀리의 신뢰성 시험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2929A (ko) 200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5080B1 (ko) 댐퍼 풀리용 슬립 토크 시험장치
US8453496B2 (en) Rheometer and rheometric method for testing samples
CN102162763B (zh) 用于校准转矩测量装置的方法和设备
EP3489652B1 (en) Material testing machine and gripping force detecting method
US7905138B2 (en) Method for checking transmission backlash, and production machine or robot
US10613010B2 (en) Intertial torque device for viscometer calibration and rheology measurements
CN105806533A (zh) 一种储能筒大规格扭簧扭矩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JP2006064668A (ja) ねじり試験装置およびねじり試験方法
JP2006317310A (ja) ギア駆動式バランサの検査装置
CN117554223A (zh) 尼龙绳耐磨试验机
KR100805085B1 (ko) 댐퍼 풀리의 슬립 토크 시험방법
CN201508301U (zh) 一种传动带疲劳试验装置
CN206074254U (zh) 一种滚动丝杠的动刚度测试装置
CN112207856B (zh) 用于监视工业机器人的关节的齿轮机构中的齿隙的过程和系统
KR20170116800A (ko) 비틀림 시험장치
JP6263149B2 (ja) 粘弾性体の特性試験装置
KR100732009B1 (ko) 진원도 측정장치
KR100782156B1 (ko) 벨트 소음 및 진동 측정을 위한 벨트 구동장치
JPH10274609A (ja) ねじり試験方法およびねじり試験機
JP6250960B2 (ja) ねじり試験装置
JP6530731B2 (ja) 数値制御装置
KR100410977B1 (ko) 가진기
CN106872285B (zh) 测试引拔棒热态抗压强度的装置
GB2071267A (en) Shock absorber testing machine
JP3820378B2 (ja) ベルト駆動モデル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5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8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