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4979B1 - 리튬 이온 2차 전지 - Google Patents

리튬 이온 2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979B1
KR100804979B1 KR1020040016167A KR20040016167A KR100804979B1 KR 100804979 B1 KR100804979 B1 KR 100804979B1 KR 1020040016167 A KR1020040016167 A KR 1020040016167A KR 20040016167 A KR20040016167 A KR 20040016167A KR 100804979 B1 KR100804979 B1 KR 100804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lithium
electrolyte solution
secondary battery
carbon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878A (ko
Inventor
유승일
박홍규
전경민
권용훈
김광훈
김선규
장재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4001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97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9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7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ⅰ) 리튬염, (ⅱ) 전해액 화합물, (ⅲ) 하기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ⅳ) 하기 화학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수성 전해액 및 상기 비수성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전지는 우수한 고온 수명 성능을 가진다.
흑연화 탄소, 전해액 화합물,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 비수성 전해액, 리튬 이온 2차 전지

Description

리튬 이온 2차 전지{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본 발명은 리튬 이온 2차 전지 및 이에 사용되는 비수 전해액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흑연화 탄소를 함유한 부극과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을 함유한 정극을 사용하는 리튬 이온 2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여러 전기화학 전지 중에서 리튬 이온 액체 2차 전지는 소니(Sony)사에 의해 처음으로 상품화된 이후 높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기존의 다른 2 차 전지들을 대체하고 있으며, 휴대용 컴퓨터, 휴대폰 등 그 사용범위가 증가하고 있다.
통상, 리튬 이온 액체 2차 전지는 부극 활물질로 탄소 재료와 정극 활물질로 LiCoO2 등의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며, 부극과 정극 사이에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을 삽입하고, LiPF6 등의 리튬염을 가진 비수성 전해액을 주입하여 제조한다.
충전시에는 정극 활물질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부극의 탄소층으로 삽입되며, 방전시에는 반대로 탄소층의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정극 활물질로 삽입된다. 이때, 비수성 전해액은 부극과 정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을 이동시키는 매질 역할을 하며, 이때 전해액은 전지의 작동 전압 범위에서 안정해야 하고, 충분히 빠른 속도 로 이온을 전달할 수 있는 성능을 가져야 한다.
미국 특허 제5,521,027호 및 제5,525,443호는, 비수성 전해액으로서 리튬 이온을 충분히 해리시킬 수 있는 극성이 큰 환형 카보네이트만을 사용하는 경우 점도가 커져서 이온 전도도가 작아지므로, 점도를 줄이기 위해 극성은 작지만 저점도인 선형 카보네이트를 섞은 혼합 전해액을 사용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선형 카보네이트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데, 이들 중 어는점이 -55℃로 가장 낮은 EMC는 사용시 우수한 저온 및 수명 성능을 나타낸다.
환형 카보네이트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PC는 어는점이 -49℃로 낮아서 저온 성능은 좋지만, 부극으로 용량이 큰 흑연화 탄소를 사용하는 경우 충전시 부극과 급격하게 반응하므로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부극에서 안정한 보호막을 형성하는 EC 를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EC라고 해도 완전히 반응성이 없는 것은 아니므로 전지의 충방전 시에 부극과 정극에서 발생하는 전해액의 분해는 전지의 수명을 악화시키는 원인 중의 하나이고, 특히 고온에서는 반응성이 더욱 커지므로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전지의 상온 및 고온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일본 특허 JP2000-123867 에서는 전해액에 소량의 첨가제를 넣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은 부극 또는 정극에서 분해되어 전극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전해액의 분해를 억제하여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이러한 첨가제 역시 전해액의 분해를 완전히 막지는 못하며 고온에서의 성능이 점점 중요해짐에 따라서 더욱 효과적인 첨가제 개발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고용량의 흑연화 탄소를 함유한 부극,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을 함유한 정극, 다공성 분리막, 및 첨가제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을 포함하는 리튬염 함유 전해액을 사용하여, 용량이 크고 고온에서 전지내부의 기체발생을 억제하여 고온 수명이 향상된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ⅰ) 리튬염, (ⅱ) 전해액 화합물, (ⅲ) 하기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ⅳ) 하기 화학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수성 전해액 및 상기 비수성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공한다.
Figure 112004009948693-pat00001
Figure 112004009948693-pat00002
상기 식 중, R1 및 R2는 CF3-, C2F5-, C3F7-, 또는 C4F9- 기이고, R3는 (C1- C5) 알킬기 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부극과 정극에서 분해되어 보호막을 형성함으로써 전지의 고온 수명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때, 주로 정극 쪽에 형성되는 막이 전해액 분자와 전극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주고 전극의 반응 활성도를 낮추어 준다고 추측한다.
또, 본 발명의 첨가제는 화학식 1의 화합물과 화학식 2의 화합물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한가지만 단독 사용할 경우에 비해서 좋은 효과를 나타내며, 고온에서 전지 내부의 기체 발생을 억제하여 준다(표 1).
이러한 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첨가제로는 화학식 1의 화합물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리튬염 (Lithium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설포닐)이미드 리튬염 (Lithium bis(pentafluoroethanesulfonyl)imide) 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의 화합물로는 N-메틸-2-옥사졸리디논 (N-methyl-2-oxazolidinone), N-에틸-2-옥사졸리디논 (N-ethyl-2-oxazolidinone), N-프로필-2-옥사졸리디논 (N-propyl-2-oxazolidinone) 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함유량은 전해액 중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함유량은 전해액 중 0.01 내지 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 또는 2의 첨가제의 양이 너무 적을 경우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양 이 너무 많으면 고온에서 전지의 저항이 커지거나 부반응이 생겨서 전지의 성능이 나빠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리튬 이온 2차 전지는
(a) 부극 활물질로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흑연화 탄소;
(b) 정극 활물질로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
(c) 다공성 분리막; 및
(d) (ⅰ) 리튬염, (ⅱ) 전해액 화합물 및 (ⅲ) 하기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ⅳ) 하기 화학식 2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수성 전해액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의 흑연화 탄소는 부극 활물질로서, 고용량의 전지를 제공하기 위해 X선 회절법로 측정된 탄소질 재료의 결정면 거리 상수 d002 값이 0.338 나노미터 이하이며, BET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이 10㎡/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의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은 화학식 3 과 화학식 4로 나타내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iCoaMnbNicMdO2
상기 식에서, a는 0≤a≤1이고, b는 0≤b≤1이고, c는 0≤c≤1이고, d는 0≤d≤1이고, a+b+c+d=1이다. M은 Al, B, Ga, Mg, Si, Ca, Ti, Zn, Ge, Y, Zr, Sn, Sr, Ba, N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LiXMn2-YM'YO4
상기 식에서 X 는 0.9≤X≤2 이고, Y는 0≤Y≤0.5 이다. M'는 Fe, Co, Ni, Cu, Zn, Al, Sn, Cr, V, Ti, Mg, Ca, Sr, B, Ga, In, Si, G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상기 (d) (ⅰ) 의 리튬염은 LiClO4, LiCF3SO3, LiC4F 9SO3, LiPF6, LiBF4, LiAsF6, LiC(CF3SO2)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d) (ⅱ) 의 전해액 화합물은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렌 카보네이트(BC), 비닐렌 카보네이트(V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감마부티로락톤(GBL), 설폴란(Sulfolane), 메틸 아세테이트(MA), 에틸 아세테이트(EA), 메틸 프로피오네이트(MP) 및 에틸 프로피오네이트(E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흑연화 탄소를 함유한 부극,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을 함유한 정극, 다공성 분리막, 및 본 발명의 두 종류의 화합물을 동시에 첨가제로서 포함하는 리튬염 함유 전해액을 사용하면, 용량이 크고 고온 수명 성능이 향상된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전극으로는 탄소 활물질과 결합제인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로 구성된 부극을 사용하고, 리튬 전이 금속 산화물 활물질, 도전성 탄소 및 결합제인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로 구성된 정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전해액 A 제조)
첨가제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리튬염 (3M 사) 과 N-메틸-2-옥사졸리디논(알드리치 사, 99.5%) 을 사용하였다. 글로브 박스(Glove box) 안에서 미츠비시 화학(Mitsubishi Chem.)의 F-EC, F-EMC를 사용하여 중량비로 EC :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리튬염 : N-메틸-2-옥사졸리디논 : EMC = 32 : 2 : 1 : 65 의 조성을 갖는 1M LiPF6 용액을 30㎖ 제조하였다. 이 전해액을 전해액 A라 한다.
실시예 2
(전해액 B 제조)
첨가제로 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설포닐)이미드 리튬염 (3M 사) 과 N-메틸-2-옥사졸리디논 (알드리치 사, 99.5%) 을 사용하였다. 글로브 박스(Glove box) 안에서 미츠비시 화학(Mitsubishi Chem.)의 F-EC, F-EMC를 사용하여 중량비로 EC : 비 스(트리플루오로에탄설포닐)이미드 리튬염 : N-메틸-2-옥사졸리디논 : EMC = 31 : 4 : 1 : 64 의 조성을 갖는 1M LiPF6 용액을 30㎖ 제조하였다. 이 전해액을 전해액 B라 한다.
비교예 1
(전해액 C 제조)
첨가제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리튬염 (3M 사)을 사용하였다. 글로브 박스(Glove box) 안에서 미츠비시 화학(Mitsubishi Chem.)의 F-EC, F-EMC를 사용하여 중량비로 EC :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리튬염 : EMC = 33 : 2 : 65 의 조성을 갖는 1M LiPF6 용액을 30㎖ 제조하였다. 이 전해액을 전해액 C라 한다.
비교예 2
(전해액 D 제조)
첨가제로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리튬염 (3M 사)을 사용하였다. 글로브 박스(Glove box) 안에서 미츠비시 화학(Mitsubishi Chem.)의 F-EC, F-EMC를 사용하여 중량비로 EC :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미드 리튬염 : EMC = 32 : 4 : 64 의 조성을 갖는 1M LiPF6 용액을 30㎖ 제조하였다. 이 전해액을 전해액 D라 한다.
비교예 3
(전해액 E 제조)
첨가제로 N-메틸-2-옥사졸리디논(알드리치 사, 99.5%)을 사용하였다. 글로브 박스(Glove box) 안에서 미츠비시 화학(Mitsubishi Chem.)의 F-EC, F-EMC를 사용하여 중량비로 EC : N-메틸-2-옥사졸리디논 : EMC = 34 : 1 : 65 의 조성을 갖는 1M LiPF6 용액을 30㎖ 제조하였다. 이 전해액을 전해액 E라 한다.
비교예 4
(전해액 F 제조)
첨가제로 N-메틸-2-옥사졸리디논(알드리치 사, 99.5%) 을 사용하였다. 글로브 박스( Glove box) 안에서 미츠비시 화학(Mitsubishi Chem.)의 F-EC, F-EMC를 사용하여 중량비로 EC : N-메틸-2-옥사졸리디논 : EMC = 33 : 2 : 65 의 조성을 갖는 1M LiPF6 용액을 30㎖ 제조하였다. 이 전해액을 전해액 F라 한다.
비교예 5
(전해액 G 제조)
글로브 박스( Glove box) 안에서 미츠비시 켐.화학의 F-EC, F-EMC를 사용하여 중량비로 EC : EMC = 33 : 67 의 조성을 갖는 1M LiPF6 용액을 30㎖ 제조하였다. 이 전해액을 전해액 G라 한다.
<실험>
(리튬 이온 2차 전지 제조)
부극은 탄소 활물질(오사카 가스사의 MCMB-10-28) 93중량% 및 폴리비닐리덴 디플루오라이드 (PVDF, Elf Atochem 사의 Kynar 761) 7중량%의 조성으로 용매인 N- 메틸-2-피롤리돈 (NMP)을 사용하여 혼합기(Ika 사의 Mixer)에서 2 시간 동안 혼합한 후 구리 호일 집전체에 코팅하고, 130℃에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정극은 LiCoO2 91 중량 %, PVDF (Kynar 761) 3 중량 % 및 도전성 탄소 (Lonza 사의 KS-6) 6 중량 %의 조성으로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을 사용하여 혼합기(Ika 사의 Mixer)에서 2 시간 동안 혼합한 후 알루미늄 호일 집전체에 코팅하고, 130℃에서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부극과 정극, 그리고 분리막(Hoechst Celanese 사의 celgard 2400)을 사용하여 부극과 정극 사이에 분리막을 배치하고, 원통형으로 권취하여 18650 규격의 전지를 조립한 후, 실시예 1~2, 비교예 1~5 에서 제조한 전해액 A, B, C, D, E, F및 G 를 주입하여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18650 규격의 전지는 전지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전지 내부에 Current interrupt device (CID) 를 내장하여 전지의 내압이 어느 정도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전류를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온 수명 성능 실험)
상기에서 제조된 전지들을 60℃ 항온 오븐에서 4.2V 까지 0.5 C의 속도로 충전하고 4.2V에서 전류가 50 mA 이하가 될 때까지 충전하며, 3V 까지 0.5 C 의 속도로 방전하여 충전 및 방전 실험을 하였고, 이 충전 및 방전 실험의 결과를 표 1에 요약 정리하였다.
Figure 112004009948693-pat00003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와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를 함께 넣은 전해액 A, B 를 사용한 전지의 경우에는 한 종류의 첨가제만 넣은 전해액 C, D, E, F 를 사용한 전지와 첨가제를 넣지 않은 전해액 G 를 사용한 전지에 비해 고온 수명 성능이 좋고, 특히 고온에서 전지내부에서 발생하는 기체의 양을 줄여서 CID 단락 현상의 발생을 늦추어서 700회 후에도 용량을 유지하며 정상 충 방전이 됨을 알 수 있다. 즉, 60℃ 정도의 고온에서 수백 회 이상 충 방전 할 경우, 한 종류의 첨가제만 넣은 전해액 C, D, E, F 를 사용한 전지와 첨가제를 넣지 않은 전해액 G 를 사용한 전지는 다량의 기체의 발생으로 수명 성능 실험 도중에 CID 가 작동하여 전지의 충 방전이 멈추는 현상이 일어난데 반해,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1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와 화학식 2로 나타내어지는 첨가제를 함께 넣은 전해액 A, B 를 사용한 전지는 이러한 기체 발생 현상이 억제되어 더 오랜 기간 동안 전지의 충 방전이 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및 화학식 2의 화합물을 첨가제로 포함하는 비수전해액에 부극활물질로 흑연화 탄소를 사용함으로써 고용량 성능을 가지며, 동시에 우수한 고온 충전 및 방전 수명을 갖는 리튬이온 2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ⅰ) 리튬염, (ⅱ) 전해액 화합물, (ⅲ)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화학식 2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비수성 전해액으로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의 함유량은 전해액 중 0.01 내지 10 중량%이고, 화학식 2의 화합물의 함유량은 전해액 중 0.01 내지 5 중량%인 비수성 전해액.
    [화학식 1]
    Figure 112007029686664-pat00004
    [화학식 2]
    Figure 112007029686664-pat00005
    상기 식 중, R1 및 R2는 CF3-, C2F5-, C3F7- 또는 C4F9-기이고, R3는 (C1-C5)알킬기 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ⅰ) 의 리튬염은 LiClO4, LiCF3SO3, LiC4F 9SO3, LiPF6, LiBF4, LiAsF6 ,및 LiC(CF3SO2)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비수성 전 해액.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ⅱ) 의 전해액 화합물은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부틸 카보네이트(BC), 비닐렌 카보네이트(V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감마부티로락톤(GBL), 설폴란(Sulfolane), 메틸 아세테이트(MA), 에틸 아세테이트(EA), 메틸 프로피오네이트(MP) 및 에틸 프로피오네이트(E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비수성 전해액.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수성 전해액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2차 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a) 부극 활물질로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흑연화 탄소;
    (b) 정극 활물질로서 리튬의 가역적인 저장과 방출이 가능한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 및
    (c) 다공성 분리막
    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2차 전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의 흑연화 탄소는 X선 회절법으로 측정된 탄소질 재료의 결정면 거리 상수 d002 값이 0.338 나노미터 이하이며, BET 법으로 측정된 비표면적이 10㎡/g 이하인 리튬 이온 2차 전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리튬 함유 전이 금속 산화물은 화학식 3 과 화학식 4로 나타내는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리튬 이온 2차 전지.
    [화학식3]
    LiCoaMnbNicMdO2
    상기 식에서, a는 0≤a≤1이고, b는 0≤b≤1이고, c는 0≤c≤1이고, d는 0≤d≤1이고, a+b+c+d=1이고, M은 Al, B, Ga, Mg, Si, Ca, Ti, Zn, Ge, Y, Zr, Sn, Sr, Ba, Nb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화학식 4]
    LiXMn2-YM'YO4
    상기 식에서 X 는 0.9≤X≤2 이고, Y는 0≤Y≤0.5 이고, M'는 Fe, Co, Ni, Cu, Zn, Al, Sn, Cr, V, Ti, Mg, Ca, Sr, B, Ga, In, Si, Ge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
KR1020040016167A 2004-03-10 2004-03-10 리튬 이온 2차 전지 Expired - Lifetime KR100804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67A KR100804979B1 (ko) 2004-03-10 2004-03-10 리튬 이온 2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167A KR100804979B1 (ko) 2004-03-10 2004-03-10 리튬 이온 2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78A KR20050090878A (ko) 2005-09-14
KR100804979B1 true KR100804979B1 (ko) 2008-02-20

Family

ID=37272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167A Expired - Lifetime KR100804979B1 (ko) 2004-03-10 2004-03-10 리튬 이온 2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9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1180B1 (ko) * 2006-03-17 2007-10-29 제일모직주식회사 리튬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이미드를 포함하는 리튬2차전지용 비수성 전해액
KR102531686B1 (ko) * 2020-01-23 2023-05-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리튬 이차 전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3522A (en) 1998-03-24 2000-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lytes containing mixed fluorochemical/hydrocarbon imide and methide salts
JP2001110442A (ja) 1999-10-13 2001-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気化学装置
KR20010032916A (ko) * 1997-12-10 2001-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전기 화학 시스템에서의 비스(퍼플루오로알킬설포닐)이미드 계면활성제 염
KR20020000208A (ko) * 2000-06-23 2002-01-05 김순택 리튬 2차 전지
KR20020028443A (ko) * 2000-10-10 2002-04-17 김순택 리튬 2차 전지
KR20050062341A (ko) * 2003-12-19 2005-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2916A (ko) * 1997-12-10 2001-04-25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전기 화학 시스템에서의 비스(퍼플루오로알킬설포닐)이미드 계면활성제 염
KR100559110B1 (ko) 1997-12-10 2006-03-13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춰링 캄파니 전기화학 시스템에서의 비스(퍼플루오로알킬설포닐)이미드 계면활성제 염
US6063522A (en) 1998-03-24 2000-05-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lytes containing mixed fluorochemical/hydrocarbon imide and methide salts
JP2001110442A (ja) 1999-10-13 2001-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気化学装置
KR20020000208A (ko) * 2000-06-23 2002-01-05 김순택 리튬 2차 전지
KR20020028443A (ko) * 2000-10-10 2002-04-17 김순택 리튬 2차 전지
KR20050062341A (ko) * 2003-12-19 2005-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78A (ko)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3711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olu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0670507B1 (ko) 리튬 이차 전지
US10403926B2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100603303B1 (ko) 효율적인 성능을 갖는 리튬 전지
US20030170549A1 (en)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KR20030051609A (ko) 비수계 전지용 전해액 및 비수계 2차전지
EP1204157A2 (en) Electrolyte for non-aqueous batteries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984134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00036955A (ko) 비수 전해질 전지
US7858241B2 (en) Nonaqueous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 using the same
JP2004031244A (ja)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二次電池
KR102633568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KR100417085B1 (ko) 새로운 전해액과 이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
KR10269778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804979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ES2986008T3 (es) Disolución de electrolito no acuoso para batería secundaria de litio y batería secundaria de litio que incluye la misma
KR101340024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294763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649914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KR100417084B1 (ko) 새로운 전해액 첨가제와 이를 이용하는 리튬 이온 전지
KR20060001744A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433662B1 (ko) 이차전지용 전해액과 이를 함유하는 이차전지
KR100521868B1 (ko) 2차전지용 비수전해액
KR20080087341A (ko) 리튬 이차 전지
KR10100439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3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03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910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