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4337B1 - 동축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337B1
KR100804337B1 KR1020037005607A KR20037005607A KR100804337B1 KR 100804337 B1 KR100804337 B1 KR 100804337B1 KR 1020037005607 A KR1020037005607 A KR 1020037005607A KR 20037005607 A KR20037005607 A KR 20037005607A KR 100804337 B1 KR100804337 B1 KR 10080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insulator
insulator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2025A (ko
Inventor
펠드만스티븐
캐스티글리오네조셉엔.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4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3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5Shielding material individually surrounding or interposed between mutually spac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인쇄 회로기판 부착용 동축 커넥터 어셈블리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유전 절연체를 포함한다. 복수개의 길이방향 신호 접점 및 차폐 튜브는 각각의 절연체 내부와 둘레에 각각 위치한다. 각각의 신호 접점 및 차폐 튜브의 말단부는 인쇄 회로기판에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는 임의적으로 절연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동축 커넥터, 신호 접점, 차폐 튜브, 인쇄 회로기판, 동축 케이블

Description

동축 커넥터 {COAXI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 층 인쇄 회로기판과 고속 동축 케이블 사이에 형성된 상호접속물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의 다른 회로기판, 케이블 또는 다른 전자 장치에의 상호접속물은 이 기술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다. 전자 장치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인쇄 회로기판과 그에 수반하는, 송출 신호 보전에 대해 만족스런 제어를 달성하는 고도로 제어된 전기적 특성을 구비한 상호접속물을 설계하고 제조할 필요가 증가한다. 전기적 특성(임피던스 등)이 제어되어야 하는 정도는 회로의 대역폭에 크게 의존한다. 즉, 신호 발생 시간이 빠를수록, 상호접속물 내부에 정확하게 제어된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이 커진다.
우수한 전기적 특성 때문에, 동축 케이블과 커넥터는 성능 시스템에 대해 호응을 얻어 왔다.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바와 같이, 동축 커넥터는 외부 도체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된 내부 또는 신호 도체를 제공하고, 그 사이에 배치된 유전 물질을 구비한다. 신호 도체는 인쇄 회로기판의 신호 회로에 전기 접속되게 하고 외부 도체는 인쇄 회로기판의 접지 회로에 전기 접속되게 함으로써, 동축 커넥터를 인쇄 회로기판 위에 장착하는 것은 널리 공지되어 있다. 동축 커넥터와 인쇄 회로기판 사이의 전기 접속은 전형적으로 납땜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한 커넥터들의 예는,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4,650,271호, 제5,495,267호에서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다른 핀 또는 소켓형 커넥터에 비하여 비교적 부피가 크다. 현행 이용 가능한 동축 커넥터의 크기는 많은 커넥터들을 전형적인 인쇄 회로기판의 제한된 공간에 장착하는 것을 불가능하지는 않더라도 극도로 어렵게 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보다 작은 공간을 사용하는 반면에 동축계의 기능 추구를 유지하면서, 다중 동축 케이블이 인쇄 회로기판에 접속하도록 인가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어셈블리가 요구된다. 또한, 그러한 커넥터는 픽 앤 플레이스 장치 (pick and place equipment)와 같은 현행 조립 기술과 함께 사용될 수 있을 것도 요구된다.
여기 개시된 발명은 인쇄 회로기판에 부착될 수 있고 현행 이용 가능한 동축 커넥터보다 더 소형이고 조립하기에 더 용이한 다중 동축 커넥터들을 패키지로 제공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이다. 그 커넥터 어셈블리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유전 절연체를 사용한다. 각각의 절연체는 웹 부재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다. 신호 핀 또는 도체는 각각의 절연체 내부에 동축으로 위치되고 접지 또는 차폐 튜브는 신호 핀과 차폐 튜브 주위에 동심으로 위치된다. 복수개의 절연체가 예정된 공간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신호 핀과 차폐 튜브는 절연체 위에 함께 설치된다. 외부 하우징 부재가 복수개의 절연체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그런 외부 하우징은 복수개의 절연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1a는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부 요소가 분해된 사시도이다.
도1b는 도1의 선1b-1b를 따라 절단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2a는 복수개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절연체의 사시도이다.
도2b는 신호 접점와 차폐 튜브를 구비한 복수개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절연체의 사시 정면도이다.
도2c는 도2b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 배면도이다.
도3a는 도1의 선3-3을 따라 절단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3b는 도3a와 유사한 시각에 따라 절단된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변경예의 단면도이다.
도4a 내지 도4c는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변경예의, 커넥터 어셈블리 내부의 하우징으로부터 절연체의 분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5a와 도5b는 커넥터 어셈블리의 신호 접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6a는 차폐 튜브의 말단부의 양호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6b는 차폐 튜브의 말단부의 변경예의 단면도이다.
도7a는 신호 접점와 차폐 튜브의 인쇄 회로기판 접속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b는 도7a의 선7b-7b방향에서 본 신호 접점와 차폐 튜브의 인쇄 회로기판 접속의 단부도이다.
도8은 신호 접점와 차폐 튜브의 인쇄 회로기판 접속을 도시하고, 접지면은 불연속적이고 신호 접점와 차폐 튜브 후드부 사이의 유전체는 공기인 단면도이다.
도9는 신호 접점와 차폐 튜브의 인쇄 회로기판 접속을 도시하고, 접지면은 연속적이고 신호 접점와 차폐 튜브 후드부 사이의 유전체는 공기가 아닌 단면도이다. 인쇄 회로기판 접속은 동축형에 가깝다.
도10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변경예이다.
도11은 커넥터 어셈블리의 또 다른 변경예이다.
먼저 도1a와 도1b를 참조하면, 동축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동축 커넥터 부분을 포함하는 캐비티(14)를 포함하는 하우징(12)을 가짐을 볼 수 있다. 동축 커넥터 부분은 복수개의 길이방향 신호 접점와 복수개의 도체 차폐 튜브(18)를 포함한다. 캐비티(14) 내부에는, 신호 접점(16) 각각이 대응 차폐 튜브(18) 내부에 동축 배열된다. 동축 배열된 신호 접점(16)과 차폐 튜브(18)는 서로 이격된 유전 절연체(20)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절연체(20)의 유전 물질은 다른 특성들 중에서, 다른 임피던스 제어 요소의 형상과 연관하여 소정의 특성 임피던스를 제공하는 유전 상수를 갖는 물질로 채택된다. 절연체(20)의 유전 상수는 펄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 회로기판(60)의 유전 상수와 일치될 것이 요구된다. 도1a는 4개의 동축 커넥터를 가지는 동축 커넥터 어셈블리(10)를 도시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취지이며, 커넥터 어셈블리는 임의의 소정 공간 배치로 놓여진 임의의 소정 개수의 동축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2a 내지 도2c에서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 절연체(20)는 튜브 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신호 접점(16)과 차폐 튜브(18)는 각각 절연체(20) 안으로 또는 주위로 삽입된다. 절연체(20)는 주조에 의해서와 같이,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웹(22)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희망한다면, 도3a 내지 도3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12)이 웹(22)으로부터 연장되어 절연체(20)를 둘러싸서 복수개의 절연체(20)는 하우징(12)과 일체형일 수 있다.
절연체(20)를 서로간에, 그리고, 필요시에는, 하우징(12)과 일체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커넥터 어셈블리(10)는 대폭 간소화된다. 구체적으로, 절연체(20)는 소정의 피치에 따라 미리 적절히 배치되며, 그에 의해, 신호 접점(16)과 차폐 튜브(18)가 손으로 또는 자동 장치를 사용하여, 집단으로 절연체(20) 내에 함께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커넥터 어셈블리(10)의 디자인은 각 신호 접점(16)을 절연체(20)안으로 독립적으로 조립하고, 접지 튜브(18)안에 절연체(20)를 박거나, 크림핑하거나 또는 로킹한후 서브 어셈블리를 커넥터 하우징(12)에 위치시킬 필요성을 제거한다.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설계는 또한 다중 동축 커넥터들이 인쇄 회로기판 위에서 서로 밀접하여 위치하도록 인가한다. 도2b 와 도2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이 필요하지 않다면, 복수개의 절연체(20)는 차폐 튜브(18)에 의해 인쇄 회로기판에 고정된다. 즉, 커넥터 어셈블리(10)가 인쇄 회로기판에 납땜될 때, 웹(22)은 차폐 튜브(18)와 인쇄 회로기판의 단부 사이에 끼워져서, 절연체(20)가 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커넥터 어셈블리(10)에 하우징이 필요하다면, (예를 들면, 도1, 도2, 도3a 및 도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동축 커넥터에 대해서 단지 하나의 하우징(12)이 필요하기 때문에, 인쇄 회로기판 위에 부족한 공간의 사용을 줄인다. 단지 하나의 하우징이 사용될 때, 각 동축 커넥터에 대해서 분리된 장착 수단이 필요 없다. 그보다, 모든 포함된 동축 커넥터를 인쇄 회로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해 장착 수단은 하나의 하우징(12)안에 포함될 수 있다. 본 설계는 또한 복수개의 동축 커넥터들이 동시에 위치되고 인쇄 회로기판에 접속되도록 적용됨으로써, 조립 공정과 시간을 절약한다.
웹(22)의 두께 (T)는 양호하게는 커넥터 어셈블리(10)가 설계된 최고주파수 신호 파장의 1/4 이하이다. 이런 식으로, 신호 접점(16)의 미차폐부(24)는 1/4 파장 이하이고, 이것은 커넥터의 미차폐부를 벗어나서 다른 인접 전기 신호에 간섭하는 전자기 복사를 크게 줄인다.
도4a 내지 도4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웹(22)은 차폐 튜브(18)가 절연체(20)위로 위치한 직후 떨어져 나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높은 수준의 EMI 차폐가 커넥터에 대해 희망 또는 요구되면, 이러한 배열이 선호될 수 있다. 도4a 내지 도4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은 커넥터는 접지 튜브(18)의 전체 원주가 인쇄 회로기판의 단부에 연장되도록 인가하고, 나아가 신호 접점(16)의 미차폐부를 줄이거나 제거한다.
개개의 요소들을 보다 자세히 개시하면, 도5a와 도5b에서 신호 접점(16)은 정합 단부(26)와 말단부(28)를 포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정합 단부(26)는 양호하게는 단면이 둥근 반면, 말단부(28)는 양호하게는 인쇄 회로기판(60)에 접속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평면(30)을 포함한다. 신호 접점(16)을 바로 잡고 바로 향하게 하는 조립 툴링(tooling)의 기능을 증진하기 위해 부가적인 평면들이 말단부(28)에 부가될 수 있다.
평면(30)은 양호하게는 "코이닝(coining)" 즉, 압축 공정에서 말단부(28)를 변형함으로써 생성된다. 이런 식으로, 신호 접점(16)의 물질은 신호 접점(16)에서 말단부(28)의 평탄부가 정합 단부(26)의 직경보다 더 넓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커넥터에 몇 가지 이점을 제공한다. 평면(30)은 인쇄 회로기판에 부착될 때 납땜 요철 크기의 변동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이번에는 납땜된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 내구성을 증진시킨다. 부가적으로, 평면(30)은 납땜 모떼기(solder fillet) 지역을 증가시켜서, 이번에는 납땜 접합력을 증가시킨다. 정합 단부(26)와 말단부(28)의 단면은 동일한 길이방향 축을 공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호 접점(16)은 각각의 절연체(20) 내부 보어(bore, 32)에 압축-끼워맞춤(press-fit)될 수 있다. 말단부(28) 위의 평면(30)의 확대된 치수 때문에, 신호 접점(16)을 도1a에서 화살표A의 방향으로 절연체(20)의 후단부로부터 절연체에 장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양호하게는, 보유 형상부(31)는 신호 접점(16)를 절연체(20)내부에 보유하도록 생성되었다. 절연체(20)의 공지된 공간배치 및 방향배치때문에, 전체 동축 커넥터 어셈블리(12)에 대한 모든 신호 접점(16)은 한번의 동작으로 동시에 압축 끼워맞춤될 수 있다. 신호 접점(16)이 절연체(20)에 설치될 때, 평면(30)은 하우징(12)의 회로판 장착면과 서로 평행하고, 평면(30)들은 서로 평행하다.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접점(16) 주위에 동심원으로 위치된 차폐 튜브(18)는 정합 섹션(34)과 말단 섹션(36)을 포함한다. 차폐 튜브는 양호하게는 금속시트로부터 형성된다. 정합 섹션(34)은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형태이고, 대응 동축 커넥터(도시되지 않음)와 부드럽게 정합하기 위해 양호하게는 외부로 트여져 있는 전단부(40)를 포함한다. 정합 섹션(34)의 전단부(40)는 양호하게는 신호 접점(16)을 넘어서 연장되어, 신호 접점의 전기 접속에 앞서 접지 접속부가 만들어진다. 정합 섹션(34)은 말단 섹션(36)까지 축방향 연장된 슬롯(42)을 포함한다. 슬롯(42)은 대응하는 동축 커넥터를 수용할 때 정합 섹션(34)의 원주방향 유연성을 증가시킨다. 슬롯(42) 사이의 스프링 핑거(spring finger) 부분(43)은 또한 대응 커넥터와 확고한 접속을 할 수 있도록 인장될 수 있다. 말단 섹션(36)은 인쇄 회로기판 위의 말단부(28)의 길이에 걸쳐 뻗어 있는 후드 부분(48)을 포함한다.
차폐 튜브(18)의 말단 섹션(36)은 또한 절연체(20)의 외부(46)둘레에 끼워질 크기의 배럴 부분(44)을 포함한다. 도2b 및 도2c에서 명확히 보이는 바와 같이, 배럴 부분(44)은 절연체(20)에 설치된 직후 또는 커넥터 시스템을 정합하는 동안 가해지는 힘에 반응하여 배럴 부분(44)이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폐쇄 고정 솔기(closed locking seam, 45)를 포함한다. 폐쇄 고정 솔기(45)는 양호하게는 차폐 튜브(18) 둘레에 전류를 골고루 분배하는 저항 접촉을 제공한다.
차폐 튜브(18)는 절연체(20)위로 도1에서 화살표 B방향으로 활주식으로 장착된다. 종래의 동축 커넥터 구성과 달리, 차폐 튜브(18)와 절연체(20) 사이에 고정된 부착물(프레스, 크림프, 스테이트, 롤-형성 또는 스냅식 끼워맞춤)이 없다. 그 보다, 차폐 튜브(18)는 차폐 튜브(18)가 절연체(20)위로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로킹 요소(50)에 의해 절연체(20) 또는 하우징(12)위로 고정된다. 이 부착 방법은 차폐 튜브(18)의 배럴 부분(44)의 솔기를 강제로 열게 할 수도 있는 차폐 튜브(18)의 배럴 부분(44)에의 후프 응력(hoop stress)를 가할 필요성을 제거한다. 부가적인 이점은 차폐 튜브(18)를 절연체(20)에 고정시키는데 부가적인 조립 동작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여기 개시한 바와 같이 활주식 끼워맞춤(slip-fit) 조립을 위한 차폐 튜브(18)와 절연체(20) 사이의 공차는 차폐 튜브(18)와 절연체(20) 사이의 주연부 공기 간극을 낳는다. 이 공기 간극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하여 임피던스 제어 요소들 중 하나이다.
도2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로킹 요소(50)는 절연체(20)의 후면에 결합하는 스프링 편향된 탭(tap) 또는 바브(barb)일 수 있다. 또는, 도3a 및 도3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로킹 요소(50)는 차폐 튜브(18)가 절연체(20)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2)에 결합될 수 있다. 도3a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커넥터에서, 로킹 요소(50)는 또한 절연체 연장부(32)에 대하여 차폐 튜브(18)를 편향시키는 기능을 하여, 커넥터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칠 어떤 공기 간극이라도 제거 또는 감소시킨다. 도3b(절연체 연장부(32)없이)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커넥터에서, 로킹 요소(50)는 또한 인쇄 회로기판에 대하여 납땜 발(52)을 편향시키는 기능을 한다.
차폐 튜브(18)의 후드 부분(48)은 동축 커넥터 어셈블리(10)가 고정된 인쇄 회로기판(60)의 평면 위에서 신호 접점(16)의 길이를 넘어 연장된다. 필요하지 않다 하더라도, 후드 부분(48)은 양호하게는 납땜 또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수단에 의해서와 같이 인쇄 회로기판(90)에의 접속을 위한 접속 발(52)을 포함한다. 접속 발(52)은 후드 부분(48)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어(도6a 참조) 후드 부분(48)의 내부 둘레(54)가 말단부의 임피던스 제어 형상의 가장 깊숙한 부분이 되고 또는 대안으로는 후드 부분(48)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도6b 참조) 접속 발(52)의 내부 길이방향 에지(56)가 말단부의 임피던스 제어 형상의 가장 깊숙한 부분이 된다.
도2b 및 도2c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차폐 튜브(18)는 후드 부분(48)과 발(52)의 적절한 정렬과 방향배치를 보장하기 위해 웹(22)과 합체된다. 특히, 후드 부분(48)이 웹(22)에 의지할 때, 차폐 튜브(18)는 회전하는 것이 방지되어서, 발(52)이 인쇄 회로기판(60)의 표면과 평행 정렬되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차폐 튜브(18)는 인쇄 회로기판(60)위로 과도하게 연장되는 것이 방지된다.
앞서 지적한 바와 같이, 차폐 튜브(18)는 양호하게는 금속시트로 형성된다. 이것은 커넥터 어셈블리에게 다음의 여러 이점; 기계가공, 성형, 압출 또는 주조의 제작 방법들과 비교하여 저렴해진 비용; 로킹 요소(50)를 형성하는 용이성; 더욱더 비용을 감소시키고 더 큰 평면 동일성을 제공하는 초박막 원료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그리고 표면 처리의 감소된 거칠기를 제공한다. 이 마지막 이점은 정합면의 도금 마모를 감소시키고, 삽입 및 인출력을 낮게 하고, 그리고 커넥터의 고주파 성능을 향상시킨다.
커넥터 어셈블리(12)가 고정된 인쇄 회로기판(60)은 신호 접점(16)의 말단부(28)와 차폐 튜브(18)의 접속 발(52)의 납땜 부착을 위한 납땜 패드(62, 64)를 포함한다. 도7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접지 회로 납땜 패드(62)는 양호하게는 커넥터의 제어된 임피던스 지역 내에서 납땜 요철(66)의 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차폐 튜브의 후드 부분(48)의 가장 깊숙한 부분의 바깥쪽에 있다. 또한, 신호 접점 납땜 패드(64)의 폭은 양호하게는 납땜 요철(68)의 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신호 접점 평면 부분(30)의 폭에 대하여 크기가 0에 가깝다. 이런 식으로,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는 납땜 동작에 의해 최소한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다.
신호 접점(16)을 부분적으로 둘러싼 차폐 튜브(18)의 후드 부분(48)은 커넥터에 소정의 특성 임피던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식으로 신호 접점(16)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이 공간 배치는 신호 접점(16)과 차폐 튜브(18)의 후드 부분(48) 사이에 유전체에 따라 달라진다. 유전체는 공기(도8 참조) 또는 공기를 제외한 물질(도9 참조)일 수 있고, 특히, 하우징(12)과 절연체(20)를 형성하는 동일한 물질일 수 있다.
커넥터 어셈블리는 커넥터 어셈블리가 인쇄 회로기판에 부착될 때, 동축 커넥터와 인쇄 회로기판의 결합된 전도 및 유전 요소들은 가로축 전자기장 모드(TEM) 신호 전파에 대해서 동축 형상에 근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형상의 예는 도10에서 볼 수 있다. 그러한 형상에서, 절연체(20)의 유전 상수는 인쇄 회로기판 기판 물질의 유전 상수와 거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 개시된 동축 커넥터 어셈블리를 설계하고 구성하는데 있어서, 많은 요소들이 커넥터의 특성 임피던스에 영향을 미친다. 커넥터 말단부 길이의 특성 임 피던스는 양호하게는 소정의 "목적" 임피던스보다 약간 높게 설계된다. 이런 식으로 소정의 임피던스에의 마지막 "트리밍(trimming)"은 납땜 패드 크기 및 배치, 접지면 면적, 유전체 두께 및 기판 유전 상수와 같은 임의의 또는 몇몇의 회로기판 임피던스 제어 요소를 조정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커넥터의 다른 가능한 변화는 당업자에 의해 인지될 것이다. 예를 들면, 몇몇 경우에 다른 커넥터와 정합하는 동안에 차폐 튜브의 스터빙(stubbing)이 관심사일 수 있다. 이 경우, 도10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스터빙 방지용 프리-스탠딩(free-standing) 차단부(70)가 동축 커넥터들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차단부(70)는 정합 커넥터 보호판(도시되지 않음)이 차폐 튜브(18)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부가적으로 스프링 핑거(43)에 과잉응력 멈춤을 제공한다.
부가적인 예로서, 하우징(12)은 도시된 것들을 제외하고도 다양한 모양과 형상 중 어떤 것이라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1은 하우징(12)이 차폐 튜브(18)의 후드 부분(48) 전체에 연장될 필요가 없어서, 납땜 접합을 시각으로 조사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또한 도1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로킹 요소(50)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72)이 차폐 튜브(18)가 부주의하게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서, 하우징(15) 내부에 제공된다.
그러므로, 도시된 실시예가 보여지고 개시되었지만, 넓은 범위의 변경, 변화 및 대체는 앞선 개시에서 고려되었고, 몇몇의 경우 실시예의 어떤 부분은 다른 부분의 대응 사용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은 넓게 그리고 여기 개시된 실시예의 범위와 일관된 방식으로 해석되는 것이 적절하다.

Claims (20)

  1. 외부 하우징(12)과,
    외부 하우징(12) 내부에 위치된 복수개의 절연체(20)와,
    복수개의 길이방향 신호 접점(16)과,
    복수개의 길이방향 차폐 튜브(18)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절연체(20) 각각은 외부 하우징(1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신호 접점(16) 각각은 복수개의 절연체(20) 중 대응 절연체 내부에, 대응 절연체와 동축으로 위치되고, 상기 신호 접점(16) 각각은 상대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정합 단부(26)와 인쇄 회로기판(60)에 접속하기 위한 말단부(28)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차폐 튜브(18) 각각은 복수개의 절연체(20) 중 대응 절연체를 둘러싸고, 대응 절연체 내부에 배치된 신호 접점(16) 각각의 둘레에 신호 접점(16)과 동심으로 위치되는 인쇄 회로기판 부착용 동축 커넥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복수개의 일체형으로 형성된 절연체(20)와,
    복수개의 길이방향 신호 접점(16)과,
    복수개의 길이방향 차폐 튜브(18)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절연체(20) 각각은 일체형으로 형성된 웹 부재(22)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인접 절연체(20)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복수개의 신호 접점(16) 각각은 복수개의 절연체(20) 중 대응 절연체 내부에, 대응 절연체와 동축으로 위치되고, 상기 신호 접점(16) 각각은 상대 커넥터에 접속하기 위한 정합 단부(26)와 인쇄 회로기판(60)에 접속하기 위한 말단부(28)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차폐 튜브(18) 각각은 복수개의 절연체(20) 중 대응 절연체를 둘러싸고, 대응 절연체 내부의 신호 접점(16) 각각의 주위에 대응 신호 접점과 동심으로 위치되는 인쇄 회로기판 부착용 동축 커넥터 어셈블리.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037005607A 2000-10-24 2001-02-22 동축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804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95,343 2000-10-24
US09/695,343 US6358062B1 (en) 2000-10-24 2000-10-24 Coaxial connector assembly
PCT/US2001/005601 WO2002035660A1 (en) 2000-10-24 2001-02-22 Coaxi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025A KR20030042025A (ko) 2003-05-27
KR100804337B1 true KR100804337B1 (ko) 2008-02-15

Family

ID=24792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607A Expired - Fee Related KR100804337B1 (ko) 2000-10-24 2001-02-22 동축 커넥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58062B1 (ko)
EP (1) EP1329004B1 (ko)
JP (1) JP4907046B2 (ko)
KR (1) KR100804337B1 (ko)
AT (1) ATE271270T1 (ko)
AU (1) AU2001247215A1 (ko)
CA (1) CA2425339A1 (ko)
DE (1) DE60104328T2 (ko)
WO (1) WO20020356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136A1 (ko) * 2014-09-04 2016-03-1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통신 기기의 손실신호 차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57979B1 (en) * 2001-10-29 2002-10-01 Agilent Technologies, Inc. Shielded attachment of coaxial RF connector to thick film integrally shielded transmission line on a substrate
US6575772B1 (en) * 2002-04-09 2003-06-10 The Ludlow Company Lp Shielded cable terminal with contact pins mounted to printed circuit board
JP3749899B2 (ja) * 2003-03-17 2006-03-01 Smk株式会社 ピンジャック板に於けるアース金具の接続構造
JP4703104B2 (ja) * 2003-06-06 2011-06-15 株式会社東芝 通信端末装置
US6776621B1 (en) 2003-08-27 2004-08-1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Board mounted coax connector assembly
US7037134B2 (en) * 2004-05-21 2006-05-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rconnect system having housing assembly with pin receptor
JP2006012573A (ja) * 2004-06-25 2006-01-12 Jst Mfg Co Ltd 電気的接続装置
US7234967B2 (en) * 2005-11-15 2007-06-2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Multi-port RF connector
KR100874190B1 (ko) * 2007-03-29 2008-12-15 (주)기가레인 동축접촉장치
US7766696B2 (en) * 2007-07-26 2010-08-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7651374B2 (en) * 2008-06-10 2010-01-2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and method of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ion
US7744414B2 (en) * 2008-07-08 2010-06-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arrier assembly and system configured to commonly ground a header
DE202008014542U1 (de) * 2008-11-03 2009-01-2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für Schaltungsplatinen
US8105092B2 (en) * 2009-05-06 2012-01-3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connectors mounted to a circuit board
US7927144B2 (en) * 2009-08-10 2011-04-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locking plates
US7909646B2 (en) * 2009-08-10 2011-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arrier assembly and system of electrical carrier assemblies
US7997933B2 (en) * 2009-08-10 2011-08-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7850489B1 (en) 2009-08-10 2010-12-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ical connector system
US9118156B2 (en) * 2013-11-20 2015-08-25 Chung-Chuan Huang Coaxial connector
US9601852B2 (en) 2014-11-10 2017-03-21 Te Connectivity Corporation Edge-mounted coaxial connector
JP6444775B2 (ja) * 2015-03-03 2018-12-26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243290B2 (en) * 2017-07-17 2019-03-26 Rohde & Schwarz Gmbh & Co. Kg Electric connector, printed circuit board and production method
IT201800006432A1 (it) * 2018-06-18 2019-12-18 Un commutatore di distribuzione a basso amperaggio per trasformatori in bagno d’olio
JP6744370B2 (ja) * 2018-08-10 2020-08-19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実装型コネクタ
JP7189178B2 (ja) * 2020-05-27 2022-12-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20123799A1 (de) * 2020-09-11 2022-03-17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Chiclets für einen Chiclet-Stecker
TW202501932A (zh) * 2023-05-25 2025-01-01 美商莫仕有限公司 形成連接器組件的方法及其連接器組件
DE102023114009A1 (de) * 2023-05-26 2024-11-28 Te Connectivity Solutions Gmbh Gehäuseteil für einen Koaxialstecker, Koaxialstecker und Herstellverfahr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8941A (en) * 1976-03-04 1977-02-22 Amp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housing system
EP0459663A1 (en) 1990-05-31 1991-12-04 The Whitaker Corporation Tapered lead-in insert for a coaxial contact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2933Y1 (ko) * 1970-08-31 1976-08-16
DE2248671A1 (de) * 1971-12-06 1973-06-14 Vaco Products Co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formpressen
US3958852A (en) * 1975-04-15 1976-05-25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JPS5544503U (ko) * 1978-09-18 1980-03-24
DE3041495A1 (de) * 1980-11-04 1982-05-13 Preh, Elektrofeinmechanische Werke, Jakob Preh, Nachf. Gmbh & Co, 8740 Bad Neustadt Koaxiale buchsensteckverbindung
JPS5885779U (ja) * 1981-12-07 1983-06-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同軸心用コネクタ
US4650271A (en) 1985-08-14 1987-03-17 Amp Incorporated Coaxial connector with interlocked dielectric body
JPH0216536Y2 (ko) * 1985-10-28 1990-05-08
US4891017A (en) * 1988-04-26 1990-01-02 Amp Incorporated Socket connector with pin aligning housing
JPH0267567U (ko) * 1988-11-10 1990-05-22
JP2935502B2 (ja) * 1989-02-22 1999-08-1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H0574524A (ja) * 1991-04-02 1993-03-26 Canon Inc 回路基板用コネクタ及びこれを用いた基板と装置
JP3100655B2 (ja) * 1991-04-16 2000-10-16 宇呂電子工業株式会社 ネジなしf形コネクタ座
JPH06163121A (ja) * 1992-11-13 1994-06-10 Canon Inc 回路基板用コネクタと及びこれを用いた装置
JPH05290915A (ja) * 1992-04-16 1993-11-05 Canon Inc 回路基板用コネクタ
JP2595939Y2 (ja) * 1992-12-22 1999-06-02 ホシデン株式会社 ピンジャック
US5511984A (en) * 1994-02-08 1996-04-30 Berg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JP3300164B2 (ja) * 1994-06-28 2002-07-08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ジャック板
FR2726128B1 (fr) * 1994-10-19 1996-12-27 Radiall Sa Connecteur electrique multivoie sans barriere electromagnetique entre les voies
JP3071136B2 (ja) * 1995-03-07 2000-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子構造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ユニバーサルlnb
JP3121232B2 (ja) * 1995-06-08 2000-12-25 エムデン無線工業株式会社 ピンジャック
JP3089189B2 (ja) * 1995-06-20 2000-09-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
US5718592A (en) * 1995-11-16 1998-02-17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y
JPH09167661A (ja) * 1995-12-15 1997-06-24 Fujitsu Takamizawa Component Kk 多芯同軸ジャック
US5681186A (en) * 1996-03-05 1997-10-28 Osram Sylvania Inc. Connector module, connector kit and connector module and panel assembly
FR2746971B1 (fr) * 1996-04-01 1998-04-30 Framatome Connectors France Connecteur blinde miniature a tiges de contact coudees
DE19746637C1 (de) * 1997-10-22 1999-02-11 Siemens Ag HF-Koaxial-Winkelsteckverbinderteil sowie Verfahren zum automatischen Zusammenbau
DE19753839C1 (de) * 1997-12-04 1999-04-29 Siemens Ag HF-Koaxial-Winkelsteckverbinderteil sowie Verfahren zur Fertigung
JP2001244001A (ja) * 2000-02-25 2001-09-07 Smk Corp ピンジャック盤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8941A (en) * 1976-03-04 1977-02-22 Amp Incorporated Printed circuit board housing system
EP0459663A1 (en) 1990-05-31 1991-12-04 The Whitaker Corporation Tapered lead-in insert for a coaxial conta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36136A1 (ko) * 2014-09-04 2016-03-1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무선 통신 기기의 손실신호 차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29004B1 (en) 2004-07-14
AU2001247215A1 (en) 2002-05-06
US6358062B1 (en) 2002-03-19
EP1329004A1 (en) 2003-07-23
WO2002035660A1 (en) 2002-05-02
CA2425339A1 (en) 2002-05-02
DE60104328T2 (de) 2005-08-04
JP2004512658A (ja) 2004-04-22
ATE271270T1 (de) 2004-07-15
KR20030042025A (ko) 2003-05-27
DE60104328D1 (de) 2004-08-19
JP4907046B2 (ja)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337B1 (ko) 동축 커넥터
US7090501B1 (en) Connector apparatus
US5961349A (en) Assembly of shielded connectors and a board having plated holes
US7722399B2 (en) Connector apparatus
US4718854A (en) Low profile press fit connector
JP2910682B2 (ja) 高速伝送用コネクタ
JPH11506256A (ja) 表面装着型の電気コネクタ
US8371871B1 (en) Terminal with compliant barb
US2003017608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828934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ntegrated impedance equalisation element
US9502825B2 (en) Shunt for electrical connector
US20090107721A1 (en) Partial direct wire attach
JPH07240245A (ja) 同軸線接続機器と同軸ケーブルの接続方法
JPH10172675A (ja) アース付コネクタ
JPH09161864A (ja) 基板取付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2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