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3837B1 - 폴리머 광 도파관 - Google Patents

폴리머 광 도파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837B1
KR100803837B1 KR1020037002704A KR20037002704A KR100803837B1 KR 100803837 B1 KR100803837 B1 KR 100803837B1 KR 1020037002704 A KR1020037002704 A KR 1020037002704A KR 20037002704 A KR20037002704 A KR 20037002704A KR 100803837 B1 KR100803837 B1 KR 100803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re
core region
polymeric material
light restri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2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1629A (ko
Inventor
시몬 플레밍
이안 바세트
마크 시츠
아이지켈렌보그 마틴 반
Original Assignee
더 유니버시티 오브 시드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유니버시티 오브 시드니 filed Critical 더 유니버시티 오브 시드니
Publication of KR20030051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1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95Microstructured optical fibre
    • G02B6/02314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 G02B6/02342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characterised by cladding features, i.e. light confining region
    • G02B6/02347Longitudinal structures arranged to form a regular periodic lattice, e.g. triangular, square, honeycomb unit cell repeated throughout clad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95Microstructured optical fibre
    • G02B6/02314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 G02B6/02342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characterised by cladding features, i.e. light confining region
    • G02B6/02357Proper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or background material varies radially and/or azimuthally in the cladding, e.g. size, spacing, periodicity, shape, refractive index, graded index, quasiperiodic, quasicryst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95Microstructured optical fibre
    • G02B6/02314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 G02B6/02342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characterised by cladding features, i.e. light confining region
    • G02B6/02361Longitudinal structures forming multiple layers around the core, e.g. arranged in multiple rings with each ring having longitudinal elements at substantially the same radial distance from the core, having rotational symmetry about the fibre axi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295Microstructured optical fibre
    • G02B6/02314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 G02B6/02342Plurality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tending along optical fibre axis, e.g. holes characterised by cladding features, i.e. light confining region
    • G02B6/02371Cross section of longitudinal structures is non-circul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 Optical Fibers, Optical Fiber Cores, And Optical Fiber Bundl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어 세로로 확장된 적어도 하나의 광 가이딩 코어 영역(11),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어 세로로 확장된 코어-주변 영역(12), 및 코어 주변 영역내에 위치한 예를 들어, 채널-형상의 홀과 같은, 다수의 광 제한 요소(15)를 갖는 광 섬유 형태(10)의 광 도파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광 제한 요소는 중심의 세로 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코어 영역 주위에 분포되어 있고, 적어도 다수의 광 제한 요소는 코어-주변 영역을 구성하는 폴리머 물질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다. 상기 광 도파관의 제조에 사용되는 예형을 또한 개시한다.
도파관, 폴리머, 광 섬유, 굴절율, 광 제한 요소

Description

폴리머 광 도파관{Polymer optical waveguide}
본 발명은 폴리머 광 섬유 형태인 광 도파관에 관한 것이다.
폴리머 광 섬유는 적은 비용, 광 대역폭(bandwidth), 설치가 간편한 도파관 때문에 잠재적인 적용분야를 갖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비교적 짧은 길이의 고속 자료 전송 라인(line), 일반적인 지역 네트워크(network) 및 거주 신호 전송 적용 분야의 사용에 매우 적합하게 한다. 또한, 폴리머 광 섬유는 적색 파장 및 적외선 근처 파장의 광 전송에 이용할 수 있고, 이는 비교적 저렴한 광원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잠재적으로 유익한 특징에도 불구하고, 폴리머 광학 섬유는 대량 생산되지 않는다. 이는 큰 가로광 세기 분포(large transeverse intensity profile)("스팟(spot) 크기")에 대한 요구 및 현재 제조 기술에 의해 부과된 결과적인 제약이 주된 이유이다. 큰 스팟 크기 섬유는 특히 폴리머 광 섬유의 적용 분야에서 비교적 단순한 결합 및 연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요구된다.
전통적인 계단형 굴절율(step index)을 갖는 폴리머 광 섬유는 큰 스팟 크기로 인발할 수 있고, 이는 상기 섬유를 저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섬유는 매우 큰 통합(intermodal) 분산을 나타낸다.
단일 모드(mode) 폴리머 광 섬유는 생산하기 어렵고, 어떤 경우에는, 매우 작은 모드-크기가 섬유의 적용 분야를 제한한다.
언덕형 굴절율(graded-index) 폴리머 광 섬유를 생산하기 위해 요구되는 기술은 매우 복잡하고 상업적인 수준에서 섬유 생산의 고유 비용이 매우 높다.
실용적인 큰 스팟 크기, 단일 모드 폴리머 광 섬유는 알려진 제조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가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어 세로로 확장된 적어도 하나의 광 가이딩(guiding) 코어(core) 영역, 적어도 하나의 코어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로 구성된 클래딩 영역,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어 영역을 따라 확장된 다수의 광 제한 요소, 및 여기서 적어도 대부분의 상기 광 제한 요소는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보다 낮은 굴절율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는 광 섬유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는 적어도 코어 영역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머 물질로 구성된다.
그러나, 제조과정에서, 코어 및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는 다른 폴리머 물질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동일 또는 다른 굴절율을 나타내는 다르게 도핑된 폴리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코어 및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의 형성을 위해 동일한 폴리머 물질을 사용함에 따라, 섬유의 형성(압출성형 또는 예형으로 부터 인발)이 종래 방법에 비해 단순화되고, 필요한 광학 특성을 갖는 섬유를 편리하게 인발 또는 압출성형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코어-및-클래딩(cladding) 또는 언덕형 구조(graded structure)의 형성에 대한 선택적인 방법으로,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 내에 광 제한 요소를 배치함으로써, 폴리머 광 섬유를 제조시의 이전에 언급한 제약이 줄어든다.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에 낮은 굴절율의 광 제한 요소를 제공하여, 그것의 부피를 통한 평균 굴절율이 코어 영역보다 낮게 나타나게 되어 코어 영역에서 탁월하게 광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광 제한 요소는 세로로 확장된 채널-형상의 홀(hole)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세로로 확장된 채널-형상의 홀은 특별한 필요조건에 따라 비워져 있거나, 공기로 차 있거나 또는 다른 유체(액체 또는 가스)로 채워질 수 있다. 그러나, 일부 또는 모든 광 제한 요소는 유리 또는 코어 영역 및/또는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로 둘러싸인 영역보다 낮은 굴절율을 갖는 폴리머 물질과 같은 고체 물질의 단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의 광 제한 요소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다.
적어도 일부의 광 제한 요소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을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광 제한 요소는 아치형의 단면을 갖을 수 있다.
적어도 일부의 광 제한 요소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 제한 요소는 대칭형으로 코어 영역 주위에 분포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 제한 요소는 코어 영역의 세로 축 주변에 동심으로(concentrically) 분포된다.
상기 광 제한 요소는 원형의 동심 배열로 코어 영역 주위에 분포될 수 있고, 각각의 요소로 둘러싸인 단면부는 코어 영역의 세로축으로 부터 반경에 따라 증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는 다각형의 동심 배열로 코어 영역 주위에 분포될 수 있고, 각각의 요소로 둘러싸인 단면부는 코어 영역의 세로축으로 부터 반경에 따라 증가한다.
상기 광 제한 요소는 주기적인 격자-같은 구조로 코어 영역 주위에 분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 제한 요소는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의 적어도 30부피%를 차지한다.
상기 주기적인 격자-같은 구조는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에 광자성 밴드갭(bandgap)을 생성할 수 있는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코어 영역은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보다 낮은 굴절율을 나타낸다.
코어 영역은 공동(hollow) 코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영역은 전체가 폴리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 섬유는 외부 보호 슬리브(sleeve) 또는 시스(sheath)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 보호 슬리브 또는 시스는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와 다른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에 따르면, 적어도 일부가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어 세로로 확장된 적어도 하나의 코어 영역,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로 구성되어 세로로 확장된 코어-주변 영역, 적어도 하나의 코어 영역을 따라 확장되고,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내에 형성된 다수의 요소, 및 여기서 적어도 대부분의 상기 요소는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보다 낮은 굴절율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는 광 섬유의 제조용 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에 따르면, 첫번째 목적에서 정의한 광 섬유의 제조용 예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광섬유의 선택적인 형태와 바람직한 제조방법을 하기에 기술한다.
첨부된 도면에 인용번호를 제공하여 기술하였다.
도 1 내지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광 섬유의 횡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섬유(10)는 세로로 확장된 광 가이딩 코어 영역(11), 세로로 확장된 코어-주변 영역(12), 및 외부 보호 슬리브 또는 시스(13)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 영역(11)은 인용번호의 편리를 위해 점선의 원(14)으로 나타내었으나, 상기 코어 영역(11)이 분명하게 정의되는 외곽을 갖지 않는 것으로 이 해될 수도 있다.
비록 분명하게 정의되지 않았으나, 코어 영역(11) 또는 보다 정확하게, 가이딩 광의 스팟(spot) 크기는 1㎛ 내지 500㎛ 범위(보다 일반적으로 10㎛ 내지 200㎛)의 직경을 갖고, 코어-주변 영역(12)은 10㎛ 내지 5000㎛ 범위(보다 일반적으로 100㎛ 내지 2000㎛)의 직경을 갖는다. 슬리브(13)는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0㎛의 벽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코어 영역(11) 및 코어-주변 영역(12)은 두 부분사이에 어떠한 경계면없이 동일한 폴리머 물질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균질하다. 다른 광학적으로 투명한 폴리머 물질, 예를 들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플루오로폴리머를 포함하는 물질을 코어 및 코어-주변 영역을 형성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세로로 확장된 채널-형상의 홀의 형태인 다수의 광 제한 요소(15)는 코어-주변영역(12)에 위치하고, 각각의 광 제한 요소(15)는 광 섬유의 전체 길이에 대해 확장된다. 상기 광 제한 요소는 코어 영역(11) 주위에 분포되고(즉, 둘러쌈),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영역의 축을 동심으로 갖는 두개의 공통 원 주변에 균일하게 위치한다. 그러나, 섬유의 필요조건 및 가이드 광에 요구되는 스팟-형태에 따라, 광 제한 요소(15)는 원형의 대칭 또는 다른 대칭형으로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광 제한 요소는 코어 영역에 광을 제한하기 위해 집단적으로 기능한다.
형성된 광 제한 요소(15)는 보통은 공기로 채워진다. 그러나, 광 섬유에 요구되는 광학 특성에 따라 비워져 있을 수 있고, 다른 유체 또는 실리카, 도핑된 실 리카 또는 폴리머 물질과 같은 고체 물질의 단섬유로 구성될 수 있다.
그들의 형태가 무엇이든지, 다수의 광 제한 요소(15)는 코어(11) 및 코어-주변 영역(12)을 형성하는 물질보다 낮은 굴절율을 나타내야 하며, 따라서 전체 코어-주변 영역은 그것의 부피를 통한 평균 굴절률이 코어 영역(11)보다 낮다.
채널-형상의 홀의 형태일때, 각각의 광 제한 요소(15)는 보통 0.1㎛ 내지 10㎛ 범위의 직경을 갖고, 광 제한 요소(15)는 보통 각 홀의 크기에 따라 2㎛ 내지 20㎛의 중심 공간배치를 갖는다.
도 2 및 도 3은 도 1과 유사한 광 섬유의 단면에 대한 단면도이고 유사한 특성을 식별하기 위해 유사한 인용번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도 2의 광 섬유에서, 채널-형상의 홀 형태인 광 제한 요소(15)는 코어-주변 영역(12)의 전체를 통해 균일하게 분포되고 동심원 배열로 배열되었다. 유사하게, 도 3의 광 섬유에서, 광 제한 요소(15)는 코어-주변 영역(12)의 전체를 통해 균일하게 분포되나 동심의 육각형 배열로 배열되었다.
도 4는 광 제한 요소(15, 16, 17 및 18)가 코어 영역 주위에 원형의 동심 배열로 분포되고, 각 배열에서 요소들의 단면부가 코어 영역(11)의 축으로부터 반경에 따라 증가하는 또 다른 폴리머 광 섬유를 나타낸다. 이러한 배열의 이유를 하기에 설명한다.
큰 모드 면적, 단일 모드 광 섬유는 통상적인 단일 모드 섬유보다 밴딩(bending)손실에 더욱 민감한 것으로 알려졌고, 실리카 섬유처럼 이것은 폴리머 광 섬유에 적어도 일부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고 예상하였다. 밴딩 손실은 기하학적 배열 및 기계적 밴딩에 의한 스트레스(stress)로 발생한다. 광 섬유의 기계적인 밴딩은 섬유의 굴절율을 사실상 변형시킨다. 따라서, 기계적인 밴딩은 섬유 물질 상에 스트레스를 가하고, 조성물이 무엇이든지, 중립축(neutral axis)의 내부에 물질을 압축 상태로 놓이게 하고 중립축의 외부에 물질을 팽창 상태로 적재되는 것을 야기한다. 이것은 엘라스토(elasto)-광학 효과를 통한 굴절율 수준의 변화를 야기한다.
어떠한 굴곡의 반경에서,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된 굴절율의 변화는 직선 섬유에서 코어 영역 및 코어 주변 영역간의 굴절율 차이처럼 동일한 크기에 도달할 것이다. 이것은 중요한 밴딩 반경이고 광이 더 이상 상기 섬유의 코어 영역에 적절하게 제한되지 않는 최소 한도의 밴딩 반경 이하를 의미한다.
단일 모드 전달을 얻기 위해서, 특히 큰 모드 면적의 경우, 코어 영역 및 코어-주변 영역의 유효 굴절율의 매우 작은 차이가 요구된다. 이것은 섬유가 밴딩 손실에 민감하게 한다.
가장 바람직한 형태인 본 발명은 섬유의 밴딩 손실에 대한 민감성 없이 큰 모드 면적을 사용하는 것을 선택하여 단일-모드 전달이 지속되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 4에서 나타내듯이, 광 제한 요소(15)의 첫번째 링(ring)은 매우 작은 직경을 갖는 채널-형상의 홀로 구성되고, 상기 홀 크기는 그 다음 채널-형상의 홀의 큰(동심의) 링 내에서 증가한다.
본 발명은 단일 모드 전송을 확보하도록 상기 섬유의 코어 영역(11)에 요구되는 낮은 굴절율 차이의 도파(guiding)를 제공하고, 반면 보다 큰 홀의 외부 링(보다 큰 굴절율 차이를 제공함)은 섬유가 휠 때의 누출을 보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언덕형 굴절율 단일 모드 광학 섬유의 공기-폴리머 미세-구조 버젼(version)으로 간주될 수 있다.
밴딩 손실을 감소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배열의 사용에 추가하여, 광 제한 요소로 구성된 채널-형상의 홀의 형태 및 크기는 기계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동시에 섬유 물질 계수 등급을 맞출 수 있다. 채널-형상의 홀은 일반적으로 홀을 둘러싸고 있는 물질보다 탄성이 높은 매질(예: 진공, 공기 또는 다른 가스)로 채워진다. 따라서, 광 섬유의 밴딩에 기인한 기계적인 스트레스는 홀의 변형에 의해 경감되고, 그 결과 섬유 물질의 굴절율 변화에 의한 스트레스가 감소되고 밴딩 손실도 감소된다.
도 5 및 6의 단면도에 나타낸 광 섬유는 도 4에서 나타난 것의 이형을 설명하고 다른 필요조건을 요구하는 특성을 갖는 광 섬유를 제공한다. 도 5의 섬유 경우, 원형-절단면 채널-형상의 홀인 광 제한 요소)(15)의 가장 내부 링을 제공하나, 이는 타원-형 채널-형상의 홀인 광 제한 요소)(19, 20 및 21)로 둘러싸여 있다. 그러나, 구조는 여전히 원형 대칭이다.
도 5의 배열과 비교하여, 도 6은 X-X 및 Y-Y 축에 대해 다른 대칭을 나타낸다. 코어 영역(11)은 광 제한 요소(15 및 16)의 두 동심원 링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외부 링은 채널-형상의 홀인 광 제한 요소(17)의 불완전한 링에 의해 부분적으로 싸여있다. 따라서, 두개의 타원형 홀인 광 제한 요소(20)의 제공에 더하여, 두개의 아치-형 채널-형상의 홀인 광 제한 요소(22)를 코어-주변 영역(12)내에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다른 광 섬유(10)를 보여주며 그 배열은 도 4에서 보여진 것과 외견상 유사성을 갖는다. 그러나, 도 7의 광 섬유의 경우, 각각 코어-주변 영역(12)으로 둘러싸인 두개의 코어 영역(11A 및 11B)이 제공된다. 또한, 각각의 코어 영역(11A 및 11B)은 광 제한 영역(15 및 16)의 내부 링에 의해 둘러싸여 있어, 채널-형상의 홀인 광 제한 요소(17, 18)가 공통 코어 주변 영역(12)내에 위치하여 코어 영역(11A 및 11B)을 공유한다.
도면에 기술한 다양한 광 섬유는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폴리머 물질 중심에 위치한 홀을 갖는 단일 폴리머 물질로 제조된 예형으로 부터 인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 섬유는 압출 성형 과정의 일부에서 필수적인 홀의 효과적인 형성을 위해 준비된 압출 성형 염료로 부터 인발할 수 있다.
하기 청구항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의 광 섬유를 제조할 수 있다.

Claims (25)

  1. - 일부 또는 전체가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어 세로로 확장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광 가이딩 코어 영역,
    - 상기 코어 영역을 둘러싸고 있는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로 구성된 클래딩 영역,
    -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내에 형성된 상기 코어 영역을 따라 확장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광 제한 요소, 및
    여기서 상기 광 제한 요소는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보다 낮은 굴절율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는 광 섬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는 코어 영역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구성하고 있는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클래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는 세로로 확장된 채널-형상의 홀(hole)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일부 또는 전체는 비어있는 것(evacuated)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일부 또는 전체는 공기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의 일부 또는 전체는 공기보다는 유체(fluid)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의 일부 또는 전체는 고체물질의 단섬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의 일부 또는 전체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의 일부 또는 전체는 타원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의 일부 또는 전체는 아치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의 일부 또는 전체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는 코어 영역 주위에 대칭형으로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는 코어 영역의 세로 축 주변에 동심으로(concentrically)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는 코어 영역 주위에 원형의 동심 배열로 분포되어 있고, 각각의 요소로 둘러싸인 단면부는 코어 영역의 세로축으로 부터 반경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는 코어 영역 주위에 다각형의 동심 배열로 분포되어 있고, 각각의 요소로 둘러싸인 단면부는 코어 영역의 세로축으로 부터 반경에 따라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는 주기적인 격자-같 구조로 코어 영역 주위에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한 요소는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의 30% 또는 그 이상의 부피를 차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적인 격자-같은 구조가 코어-주변 영역에 광자성의 밴드갭(bandgap)을 생성하는 형태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도파관.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영역은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의 것보다 낮은 굴절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영역은 공동(hollow) 코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영역은 전체적으로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섬유는 외부 보호 슬리브(sleeve) 또는 시스(sheath)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섬유.
  23. 삭제
  24. - 일부 또는 전체가 폴리머 물질로 구성되어 세로로 확장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코어 영역,
    -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로 구성되어 세로로 확장된 코어-주변 영역,
    - 상기 코어 영역을 따라 확장되고,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내에 형성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요소, 및
    여기서 상기 요소는 단일한 폴리머 물질체보다 낮은 굴절율을 나타내는 것을 포함하는 광 섬유의 제조용 예형.
  25. 제1항에 따른 광 섬유의 제조에 사용되는 예형.
KR1020037002704A 2000-08-25 2001-07-20 폴리머 광 도파관 KR100803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Q9688 2000-08-25
AUPQ9688A AUPQ968800A0 (en) 2000-08-25 2000-08-25 Polymer optical waveguide
PCT/AU2001/000891 WO2002016984A1 (en) 2000-08-25 2001-07-20 Polymer optical wavegu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1629A KR20030051629A (ko) 2003-06-25
KR100803837B1 true KR100803837B1 (ko) 2008-02-14

Family

ID=382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2704A KR100803837B1 (ko) 2000-08-25 2001-07-20 폴리머 광 도파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113681B2 (ko)
EP (1) EP1320774B1 (ko)
JP (1) JP2004506954A (ko)
KR (1) KR100803837B1 (ko)
CN (1) CN1449504A (ko)
AT (1) ATE317131T1 (ko)
AU (1) AUPQ968800A0 (ko)
CA (1) CA2420075C (ko)
DE (1) DE60117021T2 (ko)
DK (1) DK1320774T3 (ko)
WO (1) WO2002016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0642B1 (ko) 2001-06-08 2003-07-07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테라헤르츠파 전송을 위한 플라스틱 광결정 섬유 및 그제조 방법
US7359603B2 (en) 2001-07-20 2008-04-15 The University Of Syndey Constructing preforms from capillaries and canes
WO2003009028A1 (en) * 2001-07-20 2003-01-30 The University Of Sydney Preparing preforms for fibre fabrication
AUPR649601A0 (en) * 2001-07-20 2001-08-09 Redfern Polymer Optics Pty Ltd Casting preforms for optical fibres
AUPR667701A0 (en) * 2001-07-27 2001-08-23 Redfern Polymer Optics Pty Ltd Materials for polymer optical fibers
AUPR949901A0 (en) * 2001-12-17 2002-01-24 University Of Sydney, The Ring structures in optical fibres
WO2004046777A1 (en) * 2002-11-21 2004-06-03 Cactus Fiber Pty Ltd Microstructured polymer signal guiding element
KR100547799B1 (ko) * 2003-05-29 2006-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자결정 광섬유용 모재 및 이를 이용한 광자결정 광섬유
EP1689689A1 (en) * 2003-11-24 2006-08-16 The University of Sydney Multicore microstructured optical fibres for imaging
KR20050051118A (ko) * 2003-11-27 200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스틱 광섬유, 플라스틱 광섬유용 모재 및 그제조방법
CN100456061C (zh) * 2005-04-22 2009-01-28 南开大学 空气传导双芯光子带隙光纤
MX2010009754A (es) * 2008-03-05 2010-10-15 3M Innovative Porperties Company Fibras de polimero de multiples capas de cambio de color y articulos de seguridad que contienen fibras de polimero de multiples capas de cambio de color.
GB0913376D0 (en) * 2009-07-31 2009-09-16 Photonic Designs Ltd Solar reflective fibre
CN102375176B (zh) * 2011-11-11 2013-10-23 江苏大学 一种低弯曲损耗光纤
CN103091769B (zh) * 2012-12-28 2015-08-26 江苏大学 一种环形微结构光纤
KR102534653B1 (ko) 2016-12-23 2023-05-18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섬유 스캐너용 미세구조 광섬유 발진기 및 도파관
CN113050223A (zh) * 2019-12-26 2021-06-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聚合物波导连接器及其制作方法、连接器组
CN113281838B (zh) * 2021-05-31 2022-02-01 电子科技大学 基于仿生材料的太赫兹光纤
CN114700615A (zh) * 2022-03-15 2022-07-05 广东国志激光技术有限公司 通过渐变折射率光纤实现光斑变换的光学器件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5792A (en) 1991-06-27 1992-10-13 Hughes Aircraft Company Low index of refraction optical fiber with tubular core and/or cladding
KR960704245A (ko) * 1993-08-23 1996-08-31 로저 에이취. 크리스 광섬유와 광도파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폴리머 미세구조
KR19990082091A (ko) * 1977-06-05 1999-11-15 에브제니 미하일로비취 디아노브 모드 필드 직경 전환 섬유, 광도파관 굴절계수 국지 변경방법및 광도파관 예비 성형물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67781B (en) * 1979-10-29 1983-09-01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Optical fibres
EP0621496B1 (en) * 1992-09-30 1998-04-22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Hollow multicore optical fiber and manufacture thereof
JPH0854520A (ja) * 1994-06-10 1996-02-27 Sumitomo Electric Ind Ltd プラスチック光ファイバ母材の製造方法
US5802236A (en) * 1997-02-14 1998-09-01 Lucent Technologies Inc. Article comprising a micro-structured optical fiber, and method of making such fiber
JP3072842B2 (ja) * 1998-05-07 2000-08-0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単一モード光ファイバ
AU755223B2 (en) * 1998-06-09 2002-12-05 Crystal Fibre A/S A photonic band gap fibre
EP1153325B2 (en) 1999-02-19 2007-03-07 Crystal Fibre A/S Photonic crystal fibresand methods of manufacturing
GB9903918D0 (en) 1999-02-19 1999-04-14 Univ Bath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hotonic crystal fibres
EP1181595A1 (en) * 1999-03-30 2002-02-27 Crystal Fibre A/S Polarisation preserving optical fibre
CN1192261C (zh) 1999-04-01 2005-03-09 Nkt研究及创新公司 光子晶体光纤及其制造方法
US6334017B1 (en) * 1999-10-26 2001-12-25 Corning Inc Ring photonic crystal fibers
GB9929344D0 (en) 1999-12-10 2000-02-02 Univ Bat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hotonic crystal fibr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2091A (ko) * 1977-06-05 1999-11-15 에브제니 미하일로비취 디아노브 모드 필드 직경 전환 섬유, 광도파관 굴절계수 국지 변경방법및 광도파관 예비 성형물 제조방법
US5155792A (en) 1991-06-27 1992-10-13 Hughes Aircraft Company Low index of refraction optical fiber with tubular core and/or cladding
KR960704245A (ko) * 1993-08-23 1996-08-31 로저 에이취. 크리스 광섬유와 광도파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폴리머 미세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PQ968800A0 (en) 2000-09-21
EP1320774A1 (en) 2003-06-25
US7113681B2 (en) 2006-09-26
ATE317131T1 (de) 2006-02-15
DE60117021D1 (de) 2006-04-13
WO2002016984A1 (en) 2002-02-28
EP1320774B1 (en) 2006-02-01
EP1320774A4 (en) 2005-04-06
KR20030051629A (ko) 2003-06-25
CA2420075A1 (en) 2002-02-28
CN1449504A (zh) 2003-10-15
DE60117021T2 (de) 2006-09-28
DK1320774T3 (da) 2006-06-12
CA2420075C (en) 2009-12-15
JP2004506954A (ja) 2004-03-04
US20040101262A1 (en)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3837B1 (ko) 폴리머 광 도파관
US6418258B1 (en) Microstructured optical fiber with improved transmission efficiency and durability
CN101622561B (zh) 抗弯曲多模光纤
US7043127B2 (en) Microstructured optical fiber
US7292762B2 (en) Hole-assisted holey fiber and low bending loss multimode holey fiber
US6334017B1 (en) Ring photonic crystal fibers
CN102449514B (zh) 抗弯曲多模光纤
JP6486533B2 (ja) 光ファイバ
JP6600355B2 (ja) 二重クラッド光拡散ファイバー、コネクタシステム、及び照明器具
JPS6343107A (ja) 光ファイバ
EP2548057A1 (en) Techniques and devices for low-loss, modefield matched coupling to a multicore fiber
KR940015549A (ko) 광섬유 커플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30190129A1 (en) Optical waveguide fibre
US6097868A (en) Multi-core optical fiber
AU2001272230B2 (en) Polymer optical waveguide
AU2001272230A1 (en) Polymer optical waveguide
US20250004229A1 (en) Optical Fiber Cable and Optical Fiber With Double Trench
Seraji et al. A review on the designed low–loss single–mode optical fiber used in fiber–to–the–home networks
US20240280745A1 (en) Multicore optical fiber and multicore optical fiber cable
US20250004194A1 (en) Optical Fiber and Optical Fiber Cable
EP2717077B1 (en) Coaxial optical fiber with subwavelength core
WO2002016983A1 (en) Optical waveguide fibre
CN119511440A (zh) 一种空芯光纤和光缆
CN119291837A (zh) 一种多芯空芯光子带隙光纤
JP2011170061A (ja) 光ファイバおよび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22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