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2095B1 -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095B1
KR100802095B1 KR1020070089213A KR20070089213A KR100802095B1 KR 100802095 B1 KR100802095 B1 KR 100802095B1 KR 1020070089213 A KR1020070089213 A KR 1020070089213A KR 20070089213 A KR20070089213 A KR 20070089213A KR 100802095 B1 KR100802095 B1 KR 100802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ad
rods
sides
separ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도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도산업
Priority to KR1020070089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0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분리대를 구성하는 각각의 가로대를 지면에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지지봉이 포함된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도로면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에는 도로 분리대를 구성하는 가로대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양측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양측 지지봉의 사이에는 다수의 연결 보강리브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 보강리브 중 제일 하부에 위치된 연결 보강리브는 양측 지지봉과 베이스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 분리대, 지지대, 양측 지지봉, 연결 보강리브

Description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A support for separator of a road}
본 발명은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분리대를 구성하는 각각의 가로대를 지면에 견고하게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이중 지지봉이 포함된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분리대라함은, 차도를 통행의 방향에 따라 분리하거나 성질이 다른 같은 방향의 교통을 분리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도로의 시설물로서, 콘크리트 분리대, 철제 가드레일 또는 모래나 물이 채워지는 조립식 블록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도로 분리대에 주행 차량이 충돌할 경우에는, 충격의 완충 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운전자나 탑승자가 심한 부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도로 분리대들은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고 옆 부분의 여유를 확보해주는 측대를 함께 설치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기존 도로의 선형을 바꾸어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외에도 주행 차량의 충돌 충격시 휘어졌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 되는 차선 규제봉이 도로중앙선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있으나, 차선 규제봉 간의 사이가 벌어져 있어서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기존 도로의 선형을 변경시키지 않고 도로 중앙선에 설치하여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면서 주행 차량의 충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체 재질의 도로 분리대가 설치되고 있는데, 그 일예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2-26471호의 "도로용 중앙분리대"(이하, "종래의 도로 분리대"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종래의 도로 분리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로서, 종래의 도로 분리대는, 도로에 고정되는 양측 지주(100)와, 상호 분리되어 한 쌍을 이루는 양측 지주(100)의 사이에 삽입 장착되는 연결바(200 ; 이하, "가로대"라 한다.)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지주(100)는, 하부에 구비되어 도로면에 고정되는 받침판(101)과,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가로대(200)의 양측에 구비된 삽입부(201)의 삽입홀(202)이 삽입되는 결합부(104)를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도로 분리대를 시공할 경우에는 상호 분리된 한 쌍의 지주와 양 지주의 상부와 결합되는 가로대로 구성되어 일체화된 각각의 도로 분리대를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도로 분리대는, 이웃하는 도로 분리대와 상호 분리되게 시공됨으로써, 각각의 도로 분리대는 구조적으로 주행 차량의 충돌 충격에 약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도로 분리대는, 상호 분리된 한 쌍의 지주와 양 지주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로대로 구성됨에 따라서 각각의 도로 분리대는 독립적으로 설치된다.
그러므로 차량이 각 도로 분리대에 충돌할 경우에는, 충격 하중을 충분히 상쇄시키지 못함에 따라서 각각의 도로 분리대는 충돌 순간에 충격으로 인하여 쉽게 넘어지게 된다.
따라서. 충돌시 양 지주가 심하게 휘어지거나 꺾어지게 됨으로써, 반대편 차선의 차량과 직접적으로 충돌되는 대형사고가 발생되거나, 또는 반대편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과 넘어진 도로 분리대가 충돌되는 대형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각각의 가로대를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함으로써, 도로 분리대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충격의 완충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지면에 고정되는 하나의 베이스에 두개의 지지봉을 구비함으로써 도로 분리대의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또 양측 지지봉을 보강리브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 양측 지지봉의 복원력 및 휨 강도를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또 양측 지지봉의 내부에는 관 보강부가 더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도로 분리대의 가로대가 차량의 주행 풍력에 의해 흔들림이 없도록 지지대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목적도 있다.
또 중앙에 양 조립홀이 구비된 가로대를 양측 지지봉에 삽입함으로써 도로 분리대의 가로대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또 양측 지지봉의 상부를 일체형의 마감캡으로 마감함으로써, 각각의 가로대를 좀 더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또 양측 지지봉의 마감수단의 상부에 반사경을 구비함으로써 야간 식별이 용이한 지지대를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면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에는 도로 분리대를 구성하는 가로대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양측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양측 지지봉의 사이에는 다수의 연결 보강리브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 보강리브 중 제일 하부에 위치된 연결 보강리브는 양측 지지봉과 베이스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지지봉은, 상부에 외경이 축소되게 구비되어 상기 가로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각 지지봉은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지지봉의 내부에는 지지봉의 휨 강도를 보강하는 관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일 하부에 위치된 연결 보강리브는, 내부의 하부와 양측이 개방되어 양측 지지봉의 내부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부에는 상기 각 지지봉의 내부에 구비된 관 보강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보강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양측 지지봉의 상부에는 가로대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마감수단은 양측 지지봉의 상부에 동시에 끼워지는 일체형 마감캡이나 각 지지봉의 상부를 개별적으로 막는 분리형 마감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마감수단의 상부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로대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를 구성하는 각 지지봉에 삽입되는 삽입홀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가로대는, 중간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를 구성하는 양 지지봉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각각의 가로대를 연속적으로 상호 연결하여 도로 분리대의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충격의 완충 효과를 향상시킴으로써, 반대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과 정면 충돌을 방지함은 물론 후속차량과의 충돌도 예방할 수 있는 충분한 안전성이 확보된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면에 고정되는 하나의 베이스에 두개의 지지봉을 구비됨에 따라 도로 분리대의 시공성이 향상되어 시공 시간과 인건비를 최대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양측 지지봉을 보강리브로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차량의 충돌 충격에 대한 휨강도 및 복원력이 좀 더 강화된 지지대를 제공함은 물론, 양측 지지봉 중의 하나가 파손되더라도 보강리브에 의해 상호 연결된 다른 하나의 지지봉이 도로 분리대의 파손을 막는 지지대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하나의 지지대와 하나의 가로대가 결합된 도로 분리대를 시공하는 경우에 중앙에 양 삽입홀이 구비된 가로대를 양쪽 지지봉에 삽입함으로써, 차량의 충돌 충격시 가로대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지지대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도로 분리대의 가로대가 삽입된 후 양측 지지봉의 상부를 일체형의 마감캡으로 연결함으로써, 차량과의 충돌시 도로 분리대의 가로대가 지지대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 상기 마감캡의 상부에 반사경을 구비하여 야간에 식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주행 차량의 차선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지지대는, 도로면에 고정수단(11)을 통해 고정되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에는 도로 분리대를 구성하는 가로대(6)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양측 지지봉(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 지지봉(2)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보강리브(3)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도면에서는 상기 연결 보강리브(3)가 높이를 달리하며 다단으로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일 상부와 중간에 위치된 연결 보강리브(3)는, 전,후방에 각각 구비되어 양 지지봉(2)을 상호 연결하는 전,후방 수평대(31)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제일 하부에 위치된 연결 보강리브(3)는, 양측 지지봉(2)과 베이스(1)에 연결되게 일체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양측 지지봉(2)의 하부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일 하부에 위치된 연결 보강리브(3)는 지지봉(2)이 휘어질 경우에 양측 지지봉(2)의 하부가 절곡되거나 꺾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양 지지봉(2)의 복원력 및 휨 강도를 향상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1)는 도로면에 하부가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수단(11)은, 베이스(1)의 둘레에 다수로 구비된 조립홀(111)과 조립홀(111)에 관통되어 도로면에 고정되는 앵커볼트(112)로 구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지지대를 나타낸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로서, 상기 베이스(1)의 상부에 구비된 각 지지봉(2)은, 상부에 외경이 축소되게 구비되어 상기 가로대(6)가 삽입되는 삽입부(21)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삽입부(21)는 하부에 구비되어 가로대(6)의 하면이 걸리면서 밀착되는 단부(211)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봉(2)은 관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일 하부에 위치된 연결 보강리브(3)는 내부의 하부와 양측이 개방되어 양측 지지봉(2)의 내부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부(32)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봉(2)은 관으로 구성되고 각 지지봉을 구성하는 관은 상,하부가 개방되게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상부는 막혀 있고 하부만이 개방될 수 있는데, 도면에서는 상,하부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연결 보강리브(3)는, 내부에 상판과 전,후판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부(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관으로 형성된 각 지지봉(2)의 내부에는 지지봉(2)의 휨 강도를 보강하는 관 보강부(22)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양측 지지봉(2)의 하측 내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기 내부 공간부(32)에는, 상기 각 지지봉(2)의 내부에 구비된 관 보강부(2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보강부(33)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관 보강부(22)와 연결 보강부(33)는, 양측 지지봉(2)의 휨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관 보강부(22)는 다수의 보강 리브판(221)과 내부에 더 구비된 원통관(222)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결 보강부(33)는 상기 양측에 대칭되게 구비된 관 보강부(22)를 상호 연결시켜 보강하는 것으로 다수의 보강 리브판(331)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관 보강부(22)는, 각 지지봉(2)에 십자형으로 구비된 보강 리브판(221)과 십자형의 보강 리브판(221)의 중앙 둘레에 구비된 원통관(222)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십자형으로 구비된 보강 리브판(221)의 중앙에는 휨 강도를 좀 더 보강하는 보강축(223)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보강부(33)는, 내부 공간부(32)에 십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관 보강부(22)의 양 보강 리브판(221)을 상호 연결하는 십자형의 보강 리브판(33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십자형으로 구비된 보강 리브판(331)의 중앙에는 휨 강도를 좀 더 보강하는 보강축(332)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지지대를 사용하여 도로 분리대를 시공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사시도로서, 상기 양측 지지봉(2)의 상부에는 가로대(6)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수단(4)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수단(4)은 양측 지지봉(2)의 상부에 동시에 끼워지는 일체형 마감캡(41)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각 지지봉(2)의 상부를 개별적으로 막는 분리형 마감캡(4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체형 마감캡(41) 또는 분리형 마감캡(42)으로 구성되는 마감수단(4)의 상부에는, 야간에 차량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반사하여 도로 분리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경(5)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로대(6)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를 구성하는 각 지지봉(2)에 삽입되는 삽입홀(61)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 상기 가로대(6)는, 중간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삽입홀(61)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로대(6)의 중간에 양 삽입홀(61)을 형성하여 지지대의 양측에 구비된 양 지지봉(2)에 삽입하게 되면 가로대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도로 분리대를 시공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다수의 지지대를 차선에 상응되게 일정 간격으로 도로면에 고정한다. 즉 베이스(1)의 둘레에 형성된 조립홀(111)들에 다수의 앵커볼트를 관통시킨 후 도로면에 박음에 따라서 지지대를 구성하는 베이스(1)를 도로면에 고정한다.
다음, 상호 이웃하는 각각의 지지대를 구성하는 일측 지지봉(2)과 타측 지지봉(2)들의 사이에 양측에 수직 삽입홀(61)이 형성된 가로대(6)를 반복적으로 삽입한다.
즉 양측에 수직 삽입홀(61)이 형성되는 가로대(6)를 상기 일,타측 지지봉(2)에 형성된 삽입부(21)에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각각의 지지대의 양측 지지봉(2)에 두개의 가로대(6)를 연속적으로 연결한다.
그런 다음, 상기 각 지지대를 구성하는 양측 지지봉(2)의 상부에 일체형 마감캡(41) 또는 분리형 마감캡(42)을 삽입하는 과정을 통해 도로 분리대의 시공을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양측 지지봉(2)이 포함되는 지지대를 이용하여 각각의 가로대(6)를 삽입 과정만을 통해 각각의 가로대(6)를 상호 연결되게 시공함으로써, 차량의 충돌시 충분한 완충 효과를 얻으면서도 전체적인 강성을 향상시켜 차량의 충돌 충격으로 인하여 쉽게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각의 지지대를 통해 각각의 가로대(6)를 전체적으로 상호 연결함에 따라서, 하나의 가로대(6)와 차량이 충돌되더라도 충돌 충격이 이웃하는 주변 가로대(6)와 주변 지지대로 분산된다.
그러므로 충돌된 가로대(6)와 그 이웃하는 주변 가로대(6)가 전체적으로 활처럼 휘게 되고, 충돌 주변의 각 가로대(6)를 지지하는 각각의 지지대가 상호 다른 각도로 휘어진 다음 원상태로 복귀된다. 따라서 충돌 충격이 주변 가로대(6)와 지지대들로 분산됨에 따라서 충돌 주변의 도로 분리대가 넘어지는 현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그리고 충돌 주변의 가로대(6)들이 충돌 후 신속히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서 차량을 주행 차선으로 신속히 안내함에 따라서 대형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안전성이 뛰어난 도로 분리대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두 개의 가로대(6)의 단부를 하나의 지지대로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도로 분리대를 시공함으로써, 시공시간을 최대로 단축할 수 있는 시공성이 우수한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를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 양측 지지봉(2)을 보강 연결리브(3)를 통해 상호 연결시켜 양측 지지봉의 복원력과 휨 강도를 좀 더 향상시킴으로써, 양측 지지봉(6)의 내구성을 최대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 양측 지지봉(2)과 내부 공간부(32)의 내부에 구비된 관보강부(22)와 연결보강부(33)에 의해 차량의 충돌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 양측 지지봉(2)의 상부에 양측 지지봉(2)을 상호 연결하는 일체형 마감캡(41)을 구비함으로써, 가로대(6)를 좀더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도로 분리대를 시공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도로 분리대를 시공하는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가로대(6)의 중앙 양측에 양 조립홀(111)이 구비된 가로대(6)를 양측 지지봉(2)에 삽입함으로써 도로 분리대를 완성할 수 도 있다.
즉 가로대(6)의 중앙에 형성된 양 조립홀(61)을 양측 지지봉(2)의 삽입부(21)에 삽입하고 상부에 마감캡(41)을 구비함으로써, 가로대(6)가 지지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양측 지지봉에 삽입된 도로 분리대의 가로대(6)가 차량 의 충돌 충격시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됨에 따라서, 차량의 주행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 6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 내지 제 6 실시예의 지지대를 나타내 것으로,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2 내지 제 6 실시예의 지지대는 관 보강부(22)와 연결 보강부(33)의 구성을 제외하고 다른 구성은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함을 전제한다.
따라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지지대를 내부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지지대를 구성하는 관 보강부(22)는, 각 지지봉(2)의 내부에 십자형으로 구비된 보강 리브판(221)과 십자형의 보강 리브판(221)의 중앙 둘레에 구비된 원통관(222)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보강부(33)는, 내부 공간부(32)에 십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관 보강부(22)의 양 보강 리브판(221)을 상호 연결하는 십자형의 보강 리브판(33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2실시예의 지지대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지지대보다 상대적으로 휨 강도가 약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로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관 보강부(22)와 연결 보강부(33)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지지대를 내부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지지대를 구성하는 관 보강부(22)는, 각 지지봉(2)의 내부에 십자형으로 구비된 보강 리브판(221)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보강부(33)는, 내부 공간부(32)에 십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관 보강부(22)의 양 보강 리브판(331)을 상호 연결하는 십자형의 보강 리브판(33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3실시예의 지지대는 전술한 제2 실시예의 지지대보다 상대적으로 휨 강도가 약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로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관 보강부(22)와 연결 보강부(33)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지지대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지지대를 구성하는 관 보강부(22)는, 각 지지봉(2)의 내부에 다수의 외측 둘레에 구비된 보강 리브판(221)을 통해 고정되는 원통관(222)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보강부(33)는, 내부 공간부(32)에 십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관 보강부(22)의 양 둘레에 구비된 보강 리브판(221)을 상호 연결하는 십자형의 보강 리브판(33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4실시예의 지지대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지지대보다 상대적으로 휨 강도가 약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로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관 보강부(22)와 연결 보강부(33)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지지대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지지대를 구성하는 관 보강부(22)는, 각 지지봉(2)의 내부에 외측 둘레에 다수로 구비된 보강 리브판(221)을 통해 고정되는 원통관(222)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보강부(33)는, 내부 공간부(32)에 십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관 보강부(22)의 양 둘레에 구비된 보강 리브판(221)을 상호 연결하는 단일의 보강 리브판(33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5실시예의 지지대는 전술한 제4 실시예의 지지대보다 상대적으로 휨 강도가 약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로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관 보강부(22)와 연결 보강부(33)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지지대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지지대를 구성하는 관 보강부(22)는, 각 지지봉(2)의 내부에 외측 둘레에 다수로 구비된 보강 리브판(221)을 통해 고정되는 원통관(222)과, 상기 원통관(222)의 내부 상부에 구비된 십자형의 보강 리브판(331)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보강부(33)는, 내부 공간부(32)에 십자형으로 구비되어 상기 관 보강부(22)의 양 둘레에 구비된 보강 리브판(221)을 상호 연결하는 십자형의 보강 리브판(331)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 6실시예의 지지대는 전술한 제4 실시예의 지지대보다 상대적으로 휨 강도가 약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로 여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관 보강부(22)와 연결 보강부(33)의 구성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지지대을 구성하는 관 보강부(22)와 연결 보강부(33)의 구성을 달리함으로써, 직선차로나 곡선차로 또는 굴곡차로 등의 도로 여건에 상응되게 각각의 지지대의 휨 정도를 선택적으로 달리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는, 중앙 분리대 또는 길어깨와 분리되는 차선에 설치되는 도로 분리대에 사용됨은 물론, 보도와 차도를 구분짓는 보차도 분리대와 공사장의 안전펜스 및 도로 또는 주차장의 주정차대나 표지판 등의 노상시설 등에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지지대를 나타낸 하부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지지대를 사용하여 도로 분리대를 시공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지지대를 사용하여 도로 분리대를 시공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5b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지지대를 내부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지지대를 내부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의 지지대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의 지지대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예의 지지대의 내부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도로 분리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11 : 고정수단
111 : 조립홀, 112 : 앵커볼트
2 : 지지봉
21 : 삽입부
211 : 단부
22 : 관 보강부
221 : 보강 리브판, 222 : 원통관, 223 : 보강축
3 : 연결 보강리브
31 : 수평대
32 : 내부 공간부
33 : 연결 보강부
331 : 보강 리브판, 332 : 보강축
4 : 마감수단
41 : 일체형 마감캡
42 : 분리형 마감캡
5 : 반사경
6 : 가로대
61 : 삽입홀

Claims (10)

  1. 도로면에 고정수단(11)을 통해 고정되는 베이스(1)와, 상기 베이스(1)의 상부 양측에 구비되어 각각에는 도로 분리대를 구성하는 가로대(6)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양측 지지봉(2)을 포함하며;
    상기 양측 지지봉(2)의 사이에는 다수의 연결 보강리브(3)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결 보강리브(3) 중 제일 하부에 위치된 연결 보강리브(3)는 양측 지지봉(2)과 베이스(1)에 연결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봉(2)은,
    상부에 외경이 축소되게 구비되어 상기 가로대(6)가 삽입되는 삽입부(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지지봉(2)은 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지지봉(2)의 내부에는 지지봉(2)의 휨 강도를 보강하는 관 보강부(2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일 하부에 위치된 연결 보강리브(3)는, 내부의 하부와 양측이 개방되어 양측 지지봉(2)의 내부와 연통되는 내부 공간부(32)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부(32)에는 상기 각 지지봉(2)의 내부에 구비된 관 보강부(2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보강부(3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지지봉(2)의 상부에는 가로대(6)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감수단(4)이 구비되고;
    상기 마감수단(4)은 양측 지지봉(2)의 상부에 동시에 끼워지는 일체형 마감캡(41)이나 각 지지봉의 상부를 개별적으로 막는 분리형 마감캡(4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수단(4)의 상부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경(5)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6)는,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를 구성하는 각 지지봉(2)에 삽입되는 삽입홀(61)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8.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6)는,
    중간의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대를 구성하는 양 지지봉(2)에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홀(6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9. 삭제
  10. 삭제
KR1020070089213A 2007-09-03 2007-09-03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Active KR100802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13A KR100802095B1 (ko) 2007-09-03 2007-09-03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13A KR100802095B1 (ko) 2007-09-03 2007-09-03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095B1 true KR100802095B1 (ko) 2008-02-11

Family

ID=3934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213A Active KR100802095B1 (ko) 2007-09-03 2007-09-03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09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06B1 (ko) * 2010-08-31 2011-02-22 주식회사 이도산업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717485B1 (ko) * 2016-09-09 2017-03-17 주식회사 이도산업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KR102191716B1 (ko) * 2020-04-16 2020-12-16 박규호 경고안내 표시형 차선분리대
KR102193929B1 (ko) * 2019-12-16 2020-12-22 (주)탄탄도로 조립의 용이성과 충격 완화 기능을 갖는 도로용 차선분리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5511U (ja) 1982-02-01 1983-08-06 株式会社新潟フエンス工業 ガ−ドケ−ブル用中間端末支柱
JP2001317019A (ja) 2000-05-11 2001-11-16 Taisei Corp B型バリケード用の足元金具
KR200279339Y1 (ko) 1998-07-15 2002-11-23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폐타이어를이용한경계대
KR200298063Y1 (ko) 2002-09-04 2002-12-12 이주아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331575Y1 (ko) 2003-07-22 2003-11-01 (주)신진테크 도로분리 표시대
KR100457784B1 (ko) 2003-06-23 2004-11-18 (주)신진테크 다용도 도로분리 표시대
KR200410613Y1 (ko) 2005-12-08 2006-03-09 주식회사 화성에스티에스 지주 보강구조
KR200435122Y1 (ko) 2006-09-30 2007-01-09 (주)금성개발 시인성이 개선된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분리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5511U (ja) 1982-02-01 1983-08-06 株式会社新潟フエンス工業 ガ−ドケ−ブル用中間端末支柱
KR200279339Y1 (ko) 1998-07-15 2002-11-23 주식회사 경기기술단 폐타이어를이용한경계대
JP2001317019A (ja) 2000-05-11 2001-11-16 Taisei Corp B型バリケード用の足元金具
KR200298063Y1 (ko) 2002-09-04 2002-12-12 이주아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457784B1 (ko) 2003-06-23 2004-11-18 (주)신진테크 다용도 도로분리 표시대
KR200331575Y1 (ko) 2003-07-22 2003-11-01 (주)신진테크 도로분리 표시대
KR200410613Y1 (ko) 2005-12-08 2006-03-09 주식회사 화성에스티에스 지주 보강구조
KR200435122Y1 (ko) 2006-09-30 2007-01-09 (주)금성개발 시인성이 개선된 무단횡단 방지용 차선분리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706B1 (ko) * 2010-08-31 2011-02-22 주식회사 이도산업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KR101717485B1 (ko) * 2016-09-09 2017-03-17 주식회사 이도산업 차선분리대용 보강 브래킷
KR102193929B1 (ko) * 2019-12-16 2020-12-22 (주)탄탄도로 조립의 용이성과 충격 완화 기능을 갖는 도로용 차선분리대
KR102191716B1 (ko) * 2020-04-16 2020-12-16 박규호 경고안내 표시형 차선분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8426B2 (en) Prefabricated road median wall
CA2690047C (en) Impact absorbing barrier assembly
US20100111602A1 (en) Barrier device with side wall reinforcements and connection to crash cushion
CA2601701A1 (en) Barrier device with external reinforcement structure
US20090041540A1 (en) Barrier device with adjustable external reinforcement structure
US20140334875A1 (en) Jersey Barrier Improvements
KR100802095B1 (ko) 도로 분리대용 지지대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EP0575705B1 (en) Metallic safety barrier
CN101311416B (zh) 铰接链、护栏块及护栏
SK500382009A3 (sk) Posuvné prefabrikované železobetónové zvodidlo s lamelovým zámkom
US7168882B1 (en) Road barrier
US7226237B2 (en) Road barrier
KR101757260B1 (ko) 연결구를 이용한 독립형 무단횡단 금지 펜스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456761Y1 (ko) 중앙분리대용 비상게이트
KR20120001920U (ko) 도로 가드레일 결합형 보조가드레일지주
KR101137587B1 (ko) 비상회차 가드레일
EP0837189A1 (en) Metallic safety barrier
RU215158U1 (ru) Бетонный блок ограждения
KR200341904Y1 (ko) 스프링 구조를 갖는 경계용 안전 펜스
RU215157U1 (ru) Бетонный блок ограждения
RU211566U1 (ru) Опорный блок ограждения
CN212103790U (zh) 一种高等级公路中央分隔带分离式混凝土护拦
US20090140225A1 (en) Damping Separator Element for Producing Delimiting or Protective Barriers
JP7072821B2 (ja) 離間型スノーシェル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