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800732B1 -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732B1
KR100800732B1 KR1020070009980A KR20070009980A KR100800732B1 KR 100800732 B1 KR100800732 B1 KR 100800732B1 KR 1020070009980 A KR1020070009980 A KR 1020070009980A KR 20070009980 A KR20070009980 A KR 20070009980A KR 100800732 B1 KR100800732 B1 KR 100800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put
password
timing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7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9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time stamps, e.g. generation of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서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들로 구성된 패스워드와 상기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이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상기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데이터, 제1 타이밍, 입력 타이밍

Description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PASSWOR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 및 입력 타이밍을 나타낸 예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4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패스워드 입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 통신 또는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들은 인터넷 통신을 통해 자신만의 가상공간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가상공간에 아이디(ID)와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타인으로부터 독립시켜 사용자 자신만이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요즘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기기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도 패스워드 기능을 통해 개인적인 정보들을 타인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아이디 및 패스워드는 쉽게 타인이 알아낼 수 있으며, 따라서 개인의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들로 구성된 패스워드와 상기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이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상기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패스워드 입력 방법에 있어서,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타이밍이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타이밍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밍이 일치할 경우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 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휴대단말기는 제어부(100), 메모리부(110), 키입력부(120), 표시부(130), 오디오처리부(140), 모뎀(150), 무선송수신부(16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부(11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정보 및 사용자 선택정보에 의거하여 선택된 각종 정보들을 저장한다. 즉,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해 제어부(100)를 통해 엑세스되는 운영 알고리즘을 저장하는 롬(ROM)과, 제어부(100)의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제어 명령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실시 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로 구성된 패스워드 및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에 입력 타이밍을 저장한다.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패스워드 입력이 요구되면, 입력 되는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과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을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입력되는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 또는 패스워드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 또는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다를 경우 제어부(100)는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마지막 패스워드의 데이터인지를 판단하고, 마지막 패스워드의 데이터일 경우 패스워드 입력 오류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패스워드 입력이 요구되면, 입력되는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과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을 비교한다. 또한 입력되는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도 비교하여 둘 다 일치할 경우 다음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입력되는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타이밍과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타이밍 또는 입력되는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불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는 패스워드 입력 오류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키입력부(120)는 숫자 및 문자 정보의 입력에 필요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의 설정에 필요한 기능 키들을 구비한다.
표시부(13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휴대단말기에서 발생하는 각종 표시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LCD 또는 OLE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30)는 키입력부(120)와 함께 휴대단말기를 제어하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00)에 의해 타인이 알아볼 수 없도록 기호화된 데이터를 입력될 때마다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또한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타이밍 또는 패스워드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타이밍 또는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다를 경우 표시부(130)는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입력 오류 메시지를 표시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마이크(Microphone)로부터 입력된 전기신호를 변조하여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무선송수신부(160)로부터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데이터를 전기신호로 복조하여 스피커(Speaker)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40)는 무선송수신부(160)로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재생하거나 마이크로부터 발생 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코덱(Codec)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덱은 제어부(1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모뎀(MODEM)(150)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한다.
무선송수신부(160)는 제어부(10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휴대단말기에서 패스워드의 데이터뿐 아니라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을 이용하여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놓음으로써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패스워드를 타인이 쉽게 도용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 및 입력 타이밍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에서 숫자 데이터 1, 2, 3, 4, 5 및 입력 타이밍 T1 , T2 , T3 , T4로 구성된 패스워드가 설정된 것으로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숫자 데이터 1(이하 제1 데이터라 칭함), 2(이하 제2 데이터라 칭함), 3(이하 제3 데이터라 칭함), 4(이하 제4 데이터라 칭함), 5(이하 제5 데이터라 칭함)로 구성된 패스워드의 입력 타이밍은 패스워드의 첫번째 데이터 숫자 1이 입력되고 두번째 패스워드의 데이터 숫자 2가 입력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T1(이하 제1 타이밍이라 칭함)이라 정의하고, 두번째 패스워드의 데이터 숫자 2에서 세번째 패스워드의 데이터 숫자 3이 입력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T2(이하 제2 타이밍이라 칭함)라 정의한다. 또한 세번째 패스워드의 데이터 숫자 3이 입력되고 네번째 패스워 드의 데이터 숫자 4가 입력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T3(이하 제3 타이밍이라 칭함)라 하고, 네번째 패스워드의 데이터 숫자 4가 입력되고 다섯번째 패스워드의 데이터 숫자 5가 입력될 때까지의 시간 간격을 T4(이하 제4 타이밍이라 칭함)라 정의한다. 이때 데이터들 간의 시간 간격 T1 , T2 , T3 , T4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시간 간격을 0.1초 단위로 알파벳A로 표시하여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을 포함하는 패스워드의 예시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는 패스워드의 첫번째 데이터 숫자 1이 입력되고 1.1(T1)초 후 두번째 데이터 숫자 2가 입력된다. 또한 세번째 데이터 숫자 3은 두번째 데이터 숫자 2가 입력되고 0.3(T2)초 후에 입력되며 네번째 데이터 숫자 4는 세번째 데이터 숫자 3이 입력되고 0.5(T3)초 후에 입력된다. 마지막 데이터 숫자 5 또한 네번째 데이터 숫자 4가 입력되고 0.5(T4)초 후에 입력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도 2(b)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a)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휴대단말기에서 패스워드가 미리 설정되었을 경우 입력되는 패스워드의 오차를 감안하여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와의 일치 여부를 비교하기 위한 패스워드의 예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 터가 입력되어야 하는 타이밍에서 +A 및 -A 즉 +0.1초 및 -0.1초를 오차 범위(D1, D2, D3, D4)로 정의하여 오차 범위 안에서 미리 설정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입력될 경우 휴대단말기에서는 패스워드의 입력 타이밍 및 데이터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즉,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첫번째 데이터를 제외하고 두번째 데이터가 입력되어야 하는 타이밍에서 +A 및 -A에 해당하는 오차범위(이하 D1이라 칭함) 안에서만 미리 설정된 두번째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입력된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데이터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세번째 데이터의 입력 타이밍의 오차범위(이하 D2라 칭함)와 네번째 데이터의 입력 타이밍의 오차범위(이하 D3라 칭함) 및 다섯번째 데이터의 입력 타이밍의 오차범위(이하 D4라 칭함)도 미리 설정된 데이터와 일치하는 데이터가 오차범위 안에서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입력된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데이터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하 도 2의 도 2(c), 도 2(d), 도 2(e), 도 2(f) 및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휴대단말기에서 패스워드 입력이 요구되면 제어부(100)는 3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300단계에서 데이터의 입력이 감지되고 31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 중 제1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32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입력된 제1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32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미리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입력된 제1 데이터가 일치하면 제어부(100)는 330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2 데이터가 입력되는지 판단한다.
만약, 320단계에서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입력된 제1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00)는 321단계에서 310단계에서 입력된 제1 데이터가 마지막 데이터 인지를 판단한다.
321단계에서 입력된 제1 데이터가 패스워드의 데이터 중 마지막 데이터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322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와 입력된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다는 오류메시지를 출력한다. 만약, 321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입력된 제1 데이터가 마지막 데이터의 입력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20단계와 322단계의 과정을 A 과정이라 정의하여 설명한다.
이어서, 330단계에서 제2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이를 판단하고 340단계에서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간의 제1 타이밍(T1)과 입력된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간의 제1 타이밍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34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미리 설정된 제2 데이터의 오류범위(D1) 내에서 제2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가 입력되었으면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제2 데이터와 입력된 제2 데이터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350단계를 수행한다.
34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간의 제1 타이밍(T1)이 입력된 제1 타이밍과 일치하면 제어부(100)는 350단계에서 설정된 제2 데이터와 입력된 제2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만약, 340단계 및 350단계에서 입력된 제2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2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제2 데이터의 오류범위(D1)를 벗어나서 입력되었을 경우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제2 데이터와 입력된 제2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A과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35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미리 설정된 제2 데이터와 입력된 제2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는 360단계에서 제3 데이터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 36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제3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37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2 데이터와 제3 데이터 간의 제2 타이밍(T2)과 입력된 제2 데이터와 제3 데이터 간의 제2 타이밍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37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2 타이밍(T2)과 입력된 제2 타이밍이 일치하면 제어부(100)는 38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3 데이터와 입력된 제3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만약, 370단계에서 입력된 제3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3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00)는 A과정으로 진행한다. 또한 38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3 데이터의 오류범위(D2)를 벗어나서 입력되었을 경우 제어부(100)는 미리 설정된 제2 데이터와 제3 데이터 간의 제2 타이밍(T2)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A과정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A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2(e)는 미리 설정된 제3 데이터와 입력된 제3 데이터가 일치하지 하지 않는 경우로서 제어부(100)는 제3 데이터가 입력되어야하는 제2 타이밍(T2)은 일치하나, 입력된 제3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제3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으므로 패스워드의 입력 오류로 감지하고 A과정을 통해 입력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38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미리 설정된 제3 데이터와 입력된 제3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는 패스워드의 데이터 중 제4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39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제4 데이터의 입력이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400단계에서 설정된 제3 데이터와 제4 데이터 간의 제3 타이밍(T3)과 입력된 제3 데이터와 제4 데이터 간의 제3 타이밍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400단계에서 입력된 제3 타이밍과 미리 설정된 제3 타이밍(T3)이 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는 410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제4 데이터와 입력된 제4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한 다.
400단계 또는 41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4 데이터 및 제3 타이밍(T3)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된 제4 데이터 및 제3 타이밍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00)는 400단계 또는 410단계에서 A과정으로 진행하여 해당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도 2(d)의 경우 미리 설정된 제4 데이터 및 제3 타이밍(T3)이 입력된 제4 데이터 및 제3 타이밍과 일치하나, 제4 데이터의 입력 타이밍 오류범위(D3) 안에서 숫자 5의 데이터 입력이 한번 더 있으므로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고 패스워드의 입력 오류를 판단한다.
만약, 410단계에서 설정된 제4 데이터와 입력된 제4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패스워드의 데이터 중 제5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410단계에서 설정된 제4 데이터와 입력된 제4 데이터가 일치하고, 키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420단계에서 제5 데이터 입력을 위한 키입력인지 판단한다.
42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제5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430단계에서 설정된 제4 데이터와 제5 데이터 간의 제4 타이밍(T4)과 입력된 제4 데이터와 제5 데이터 간의 제4 타이밍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43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4 타이밍(T4)과 입력된 제4 타이밍이 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는 440단계로 진행하여 설정된 제5 데이터와 입력된 제5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도 2(c)와 같이 입력되는 제5 데이터가 제4 타이밍(T4)이 되기 전에 입력되었을 경우 제어부(100)는 패스워드의 입력 오류를 판단한다.
만약, 430단계 또는 44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5 데이터 또는 제4 타이밍(T4)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된 제5 데이터 또는 제4 타이밍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00)는 A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440단계에서 설정된 제5 데이터와 입력된 제5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는 입력된 제5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 중 마지막 데이터 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제5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 중 마지막 데이터일 경우 제어부(100)는 45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서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를 참고하면, 휴대단말기에서 복수의 메뉴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고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출력되면 제어부(100)는 50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패스워드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500단계에서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가 출력되고 제1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510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52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 드의 제1 데이터와 입력된 제1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52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1 데이터와 입력된 제1 데이터가 일치하면 제어부(100)는 530단계에서 제2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510단계에서 입력된 제1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1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00)는 521단계로 진행하여 패스워드가 일치하지 않는다는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어서 530단계에서 제2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54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간의 입력 타이밍인 제1 타이밍과 입력된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 간의 입력 타이밍인 제1 타이밍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54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미리 설정된 제1 타이밍과 입력된 제1 타이밍이 일치하면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고 55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2 데이터와 입력된 제2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만약, 54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미리 설정된 제1 타이밍과 입력된 제1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55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2 데이터와 530단계에서 입력된 제2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00)는 521단계로 진행하여 패스워드 입력 오류에 대한 메시지를 출력한다.
한편, 55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2 데이터와 입력된 제2 데이터가 일치하면 제어부(100)는 560단계에서 제3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560단계에서 제3 데이터의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57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2 데이터와 제3 데이터 간의 제2 타이밍과 입력된 제2 데이터 와 제3 데이터 간의 제2 타이밍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57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2 타이밍과 입력된 제2 타이밍이 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고 58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3 데이터와 560단계에서 입력된 제3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만약,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57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2 타이밍과 입력된 제2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58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3 데이터와 입력된 제3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고 571단계로 진행하여 패스워드 입력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어서 58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3 데이터와 입력된 제3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는 590단계에서 제4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590단계에서 제4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60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3 데이터와 제4 데이터 간의 입력 타이밍인 제3 타이밍과 입력된 제3 데이터와 제4 데이터 간의 입력 타이밍인 제3 타이밍이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만약,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3 데이터와 제4 데이터 간의 입력 타이밍인 제3 타이밍과 입력된 제3 데이터와 제4 데이터 간의 제3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00)는 이를 판단하고 601단계에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
60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입력 타이밍 제3 타이밍과 입력된 제3 타이밍이 일치하면 제어부(100)는 이를 감지하고 61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제4 데이터와 590단 계에서 입력된 제4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61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4 데이터와 입력된 제4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는 620단계로 진행하여 제5 데이터의 입력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590단계에서 입력된 제4 데이터가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4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00)는 601단계에서 패스워드의 입력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620단계에서 제5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630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4 데이터와 제5 데이터 간의 제4 타이밍과 입력된 제4 데이터와 제5 데이터 간의 제4 타이밍이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일치할 경우 640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제5 데이터와 입력된 제5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640단계에서 제어부(100)의 판단하에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5 데이터와 입력된 제5 데이터가 일치할 경우 제어부(100)는 65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630단계 또는 640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입력 타이밍 제4 타이밍과 입력된 제4 타이밍이 일치하지 않거나, 또는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제5데이터와 입력된 제5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제어부(100)는 이를 판단하고 패스워드 입력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중간에 패스워드가 틀렸을 경우 패스워드를 끝까지 입력하지 않고도 패스워드의 입력 오류를 알 수 있으며, 패스워드를 재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스워드 설정시 패스워드의 데이터뿐 아니라 입력 타이밍 까지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보호받고자 하는 정보 및 데이터를 쉽게 침해당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타이밍 설정 같은 경우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같이 문자 또는 숫자를 이용하여 흔적을 남기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패스워드를 타인이 완벽하게 알기는 어렵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패스워드 설정시, 패스워드의 데이터뿐 아니라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도 미리 설정함으로써 타인이 패스워드를 완벽하게 도용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타인이 쉽게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패스워드를 도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패스워드의 누출로 인한 사용자의 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데이터들로 구성된 패스워드와 상기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을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이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상기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 또는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상기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오류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3.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패스워드가 입력되면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타이밍이 미리 설정 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타이밍과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타이밍이 일치할 경우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이,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일치하면, 다음 패스워드의 데이터 입력이 있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타이밍 또는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불일치하면 오류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이,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일치면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마지막 데이터인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마지막 데이터이면 해당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이,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 타이밍과 상기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들 간의 입력타이밍 또는 상기 입력된 패스워드의 데이터와 상기 미리 설정된 패스워드의 데이터가 불일치할 경우 패스워드의 마지막 데이터 입력 인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데이터가 상기 패스워드의 마지막 데이터이면,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방법.
KR1020070009980A 2007-01-31 2007-01-31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800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980A KR100800732B1 (ko) 2007-01-31 2007-01-31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9980A KR100800732B1 (ko) 2007-01-31 2007-01-31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732B1 true KR100800732B1 (ko) 2008-02-01

Family

ID=39342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980A KR100800732B1 (ko) 2007-01-31 2007-01-31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73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005A (ja) * 2006-06-28 2008-01-17 Toshiba Corp 生体情報計測装置、生体情報計測方法および生体情報計測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005A (ja) * 2006-06-28 2008-01-17 Toshiba Corp 生体情報計測装置、生体情報計測方法および生体情報計測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 제2006-0058568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79000B (zh) 一种终端解锁的方法及装置
US10530921B2 (en) Method for unlocking terminal screen and terminal
KR20150080736A (ko) 전자 장치의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US20230370539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selectively applying security mode in mobile device
CN106331370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终端设备
CN109145552B (zh) 信息加密方法及终端设备
CN108629171B (zh) 一种未读消息处理方法及终端
CN106445596B (zh) 一种设置项的管理方法及装置
CN110188524B (zh) 信息加密方法、信息解密方法及终端
CN108108111B (zh) 一种锁屏图片信息的查看方法、装置及移动终端
JP2008141688A (ja) 携帯端末機器
CN108491713B (zh) 一种安全提醒方法和电子设备
CN108985034A (zh) 一种解锁方法及终端设备
TW201826158A (zh) 顯示資料的方法、裝置和終端
KR100800732B1 (ko)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9090702A1 (zh) 一种终端的安全保护方法及装置
CN109753776B (zh) 一种信息处理的方法、装置以及移动终端
KR20090071996A (ko) 압력 센서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압력 측정 방법
CN111050316B (zh) 锁卡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终端设备
KR20140118532A (ko) 이동단말기 분실 방지 시스템
CN109151496B (zh) 一种音乐播放方法、移动终端
CN108595933B (zh) 一种验证信息提示方法及移动终端
KR20080069421A (ko) 단축 터치패턴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02199B1 (ko) 입력감지모드에 따른 입력 방법 및 휴대단말기
CN111143806A (zh) 一种密码获取方法、电子设备及服务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