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678B1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00678B1 KR100800678B1 KR1020060095765A KR20060095765A KR100800678B1 KR 100800678 B1 KR100800678 B1 KR 100800678B1 KR 1020060095765 A KR1020060095765 A KR 1020060095765A KR 20060095765 A KR20060095765 A KR 20060095765A KR 100800678 B1 KR100800678 B1 KR 1008006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liding
- guide member
- portable terminal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에 형성되는 지지 리브들; 및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리브들 중 어느 하나를 감싸는 상태로 맞물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은 하우징들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켜 단말기의 신뢰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sliding in a state facing the first housing, and a sliding module configured to slidably couple the second housing to the first housing. The sliding module may include a guide member mounted to the first housing; A slide member mounted to the second housing and slidably coupled to face the guide member; Support ribs formed on the guide member; And a support member formed on the slide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 is slid as the second housing slides to engage the sliding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state of covering one of the support ribs. The sliding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mproves structural stability by preventing unnecessary flow of the housings, thereby securing reliability of the terminal.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id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을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ing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가이드가 제1 하우징에 결합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that the sliding guide shown in Figure 1 is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슬라이딩 가이드가 제1 하우징에 결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guide shown in Figure 1 is bound to the first housin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폐쇄된 때의 슬라이딩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ing modu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closed;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개방된 때의 슬라이딩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ing modu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opened;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is closed;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들이 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ing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pair of housings are slidably coupled.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에게 이동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최근에는 단순한 이동통신 기기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음악 파일, 동영상 파일 등을 재생시키는 멀티미디어 기기, 단말기를 이용한 소액 결재 및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등의 금융 서비스 기기와 같은 복합적인 기능을 갖게 되었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 user with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Recently, a mobile terminal is not used as a simpl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ut a multimedia device for playing a music file, a video file, etc. And financial services devices such as mobile banking.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바형, 플립형, 폴더형 단말기로 분류되며,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가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함께 휴대용 단말기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Such portable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and clamshell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Recently, sliding terminals have emerged and occupy most of the portable terminal market together with clamshell terminals.
바형 단말기는 하나의 하우징에 키패드, 송화부와 같은 입출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수화부와 같은 출력 장치를 구비한 형태로서, 하나의 하우징에 이동통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요소들이 설치되어 간소한 장점은 있으나 음성통화를 위해서는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에 일정 거리를 확보해야 하기 때문에 소형화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Bar-type terminal is equipped with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a transmitter, an output device such as a display unit, and a receiver, in one housing, and all the elements capable of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function are installed in one housing. However, in order to make a voice call,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so that there is a limit in miniaturization.
플립형 단말기는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통화대기 모드에서 키패드 등의 입력 장치를 폐쇄하여 오동작을 방지한 구성인데, 플립형 단말기 또한 바형 단말기와 같이 송화부와 수화부 사이의 거리 확보 문제로 인하여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The flip type terminal is configured to prevent a malfunction by clos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keypad in a call waiting mode by attaching a flip cover to a bar type terminal. The flip type terminal also has a problem of securing a distance between a talker and a receiver like a bar type terminal. There is a limit to miniaturization.
폴더형 단말기는 한 쌍의 하우징들을 접철 가능하게 결합시킨 구성으로서,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가 각 하우징에 배치되어 소형화에 유리하고 송, 수화부 사이의 거리 확보에 용이하여 오랜 기간동안 휴대용 단말기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었다. The folding type terminal is a foldable combination of a pair of housings.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are arranged in each housing, which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and easy to secure the distance between the transmitter and the receiver. Was occupying.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한 쌍의 하우징들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구성으로서, 입력 장치와 출력 장치가 각 하우징에 분산 배치되며 특히 입력 장치 중 키패드는 하우징들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개폐되어 휴대한 상태에서는 입력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고 통화 상태에서는 사용이 편리하며 소형화에도 유리한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점차 폴더형 단말기의 시장을 잠식하여 오히려 더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게 되었다. The sliding terminal i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housings are slid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input device and the output device are distributed in each housing. In particular, the keypad of the input device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housings. It prevents malfunctions and is convenient to use in a call state and has an advantage in miniaturization. For this reason, the sliding type terminal has gradually occupied the market of the folding type terminal, and has occupied a higher share.
한편,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슬라이딩 모듈을 이용하여 한 쌍의 하우징들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종래의 슬라이딩 모듈들은 하우징들 중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 가이드를, 다른 하나에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슬라이딩 모듈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국내 공개특허 제2006-34358호(2006년 4월 24일) 등을 통해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terminal is coupled to a pair of housings by using a sliding module, the conventional sliding modules have a structure for mounting a sliding guide in one of the housings, the sliding plate on the other. Such sliding modules are disclosed in various ways through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2006-34358 (April 24, 2006)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이러한 종래의 슬라이딩 모듈들은 구조적 안정성과 슬라이딩 이동의 원활함을 확보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봉을 어느 한 하우징에 장착하고, 다른 한 하우징에는 가이드 봉이 관통하게 결합되는 홀더 부재를 구비한 구성이다. In order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and smooth sliding movement, the conventional sliding modules are provided with a holder member having a guide rod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in one housing and a guide rod coupled to the other housing. to be.
그러나 슬라이딩형 단말기의 하우징들이 중첩된 상태로 휴대하거나,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된 상태로 사용하는 동안 하우징들 사이에 유동이 발생하여 단말기의 구조적 안정성을 저해하고,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우징들이 중첩되거나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방된 때, 슬라이딩 이동 방향을 제외한 전후 또는 좌우 방향의 유동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하며 이러한 유동이 지속되면 슬라이딩 모듈의 변형 등을 초래하여 결국에는 단말기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However, while the housings of the sliding terminal are carried in an overlapped state, or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terminal is opened, the flow occurs between the housings, which hinder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erminal and is inconvenient to use. That is, when the housings coupled to the sliding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opened by overlapping or sliding movement, the flow in the front and rear or left and right directions except the sliding movement direction causes discomfort to the user. There is a risk of terminal damage eventuall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들 간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limit the flow between the housing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들 간의 유동을 제한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mproving structural stability by restricting flow between housing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말기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변형,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고, 단말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prevent the risk of deformation and damage by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terminal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housing, a second housing slidably moved in a state fac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sliding module, the sliding module,
상기 제1 하우징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A guide member mounted to the first housing;
상기 제2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에 대면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부재;A slide member mounted to the second housing and slidably coupled to face the guide member;
상기 가이드 부재에 형성되는 지지 리브들; 및Support ribs formed on the guide member; And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A support member formed on the slide member,
상기 제2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리브들 중 어느 하나를 감싸는 상태로 맞물리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을 개시한다.As the second housing slides, the support member discloses a sliding module of a portable terminal that engages in a state of wrapping one of the support rib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 모듈(200; 도 2에 도시됨)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과, 제2 하우징(102)을 구비하며, 가이드 부재(201)와 슬라이드 부재(202)로 구성되는 슬라이딩 모듈(20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킨 구성이다. 한편, 도 1은 상기 슬라이딩 모듈(200)의 구성을 도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은 각각 일부분만 도시되고 있음에 유의 한다. As shown in FIG. 1, a
도 7과 도 8을 더 참조하면, 상기 제1 하우징(101)은 그 전면의 하측에 설치되는 키패드(111)와 송화부(113)를 구비하고, 그 상측에는 상기 가이드 부재(201)가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하게 결합되며, 일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1), 수화부(123) 및 기능성 키패드(125)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슬라이딩 모듈(200)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 일면의 일부분, 구체적으로 상기 키패드(111) 등이 개폐된다. The
상기 슬라이딩 모듈(200)은 상기 가이드 부재(201), 슬라이드 부재(202)로 구성된다. The slidin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부재(201)는 금속성 재질의 평판 형상이며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장착되고, 양 측단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지지 리브(213a, 213b)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201) 제작에 이용되는 금속은 서스(SUS; stainless using steel)가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리브(213a, 213b)들은 각각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상단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 리브(211)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101)에는 상기 결속 리브(211)들에 상응하는 결속홀(215)들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부재(201)를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합시키는 수단을 제공 하게 된다. 1 to 4, the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는 서스 등의 금속성 재질의 평판 형상이며, 상기 제2 하우징(102)의 타면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부재(201)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에는 한 쌍의 지지 부재(221)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 부재(221)들은 각각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의 일면으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되고, 그의 단부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된다. The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는 상기 제2 하우징(101)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부재(201)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때와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을 개방시킨 때, 상기 지지 부재(221)들은 각각 상기 지지 리브(213a, 213b)들 중 어느 하나를 감싸는 형태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슬라이딩 이동하는 방향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된다. 이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The
한편, 상기 지지 리브(213a, 213b)들은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양 단부, 양측에 각각 연장된 구성이지만,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지지 리브들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Meanwhile, the
상기 슬라이딩 모듈(200)은 상기 슬라이딩 부재(202)의 슬라이딩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슬라이딩 가이드(219)와 가이드 봉(229)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동안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탄성 부재(203)를 구비할 수 있다. The sliding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9)는 상기 가이드 부재(201)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봉(229)은 그 양단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 상에 고정되면서 그 양단부 사이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지만,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에는 상기 가이드 봉(229)을 이격시키면서 그 양단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가 형성됨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Referring back to FIG. 1, the sliding
상기 가이드 봉(229)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9)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 봉(229)은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어 강도와 내충격성 등을 확보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9)는 폼(POM; polyoxymethylene)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합성수지로서 폼은 금속성 재질과 대등한 정도의 기계적 강도와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으며, 윤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봉(229)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9)의 재질로서 적합하다. The
한편, 상기 가이드 부재(201)는 상기 결속 리브(211)들에 의해 그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결속되며,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완전히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부재(201)를 고정시키기 위한 스크류는 상기 결속 리브(211)들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201)를 관통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체결되거나, 상기 제1 하우징(101)의 내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관통하여 상기 결속 리브(211)들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201)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9)에도 체결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219)를 상기 가이드 부재(201)에 고정시킬 수 있다. Meanwhile, one end of the
상기 탄성 부재(203)는 그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서, 일단은 상기 가이드 부재(201)에, 타단은 슬라이드 부재(202)에 각각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범위 내에 상기 탄성 부재(203)의 양단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이 존재하게 된다.The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위치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203)의 양단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 사이에서 상기 탄성 부재(203)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을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상기 탄성 부재(203)의 양단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을 개방시킨 위치 사이에서 상기 탄성 부재(203)는 상기 제1 하우징(101)을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Therefore, th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탄성 부재(203)는 코일과, 상기 코일로부터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 자유단들로 구성된 토션 코일 스프링을 도시하고 있으나,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른 형태의 탄성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양단을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로는 압축 코일 스프링, 지그재그형 와이어 스프링, 푸쉬 로드 등이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슬라이딩 모듈(200)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liding
도 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01, 102)들이 중첩된 상태에서의 슬라이딩 모듈(200)을 도시하고 있다. FIG. 5 illustrates the sliding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때, 상기 키패드(111)는 폐쇄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201)는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 리브(213a, 213b)들 중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하단에 위치된 지지 리브(213b)들은 상기 지지 부재(221)에 감싸진 상태이다. When the
상기 하측의 지지 리브(213b)들이 상기 지지 부재(221)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는 상기 제2 하우징(102)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지지 부재(221)는 상기 하측의 지지 리브(213b)들을 감싸는 상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전후,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은 서로에 대하여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In the state in which the
도 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킨 상태에서의 슬라이딩 모듈(200)을 도시하고 있다. FIG. 6 illustrates a sliding
상기 키패드(111)가 개방된 때,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201)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에 대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 리브(213a, 213b)들 중 상기 가이드 부재(201)의 상단에 위치된 지지 리브(213a)들이 상기 지지 부재(221)에 감싸진 상태이다. When the keypad 111 is opened, the
상기 상측의 지지 리브(213a)들이 상기 지지 부재(221)에 의해 감싸진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202)는 상기 제2 하우징(102)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지지 부재(221)는 상기 상측의 지지 리브(213a)들을 감싸는 상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전후, 좌우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키패드(111)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1, 제2 하우징(101, 102)은 서로에 대하여 유동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된다.The
한편,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되거나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킨 위치로 슬라이딩 이동한 때, 상기 탄성 부재(203)의 양단은 서로 멀어진 상태이다. 아울러,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된 위치로부터 점차 상향 이동하거나,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하향 이동하면 상기 탄성 부재(203)의 양단이 점차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그 양단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까지 상기 탄성 부재(203)에 축적되는 탄성력이 점차 증가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제2 하우징(102)이 더 이동하여 상기 탄성 부재(203)의 양단이 가장 근접한 지점을 지나면 상기 탄성 부재(203)의 탄성력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이동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중첩되거나 상기 키패드(111)를 개방시킨 위치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203)의 양단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을 지날 때까지만 상기 제2 하우징(102)을 이동시키면, 상기 탄성 부재(203)의 양단이 가장 근접하는 지점 을 지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탄성 부재(203)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102)이 나머지 구간을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은 하우징들이 중첩되거나 개방된 위치에서 가이드 부재에 형성된 지지 리브들과 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된 지지 부재들을 서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하게 되었다. 이로써, 슬라이딩형 단말기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슬라이딩 모듈의 변형, 파손의 위험을 방지하고, 단말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게 되었다. As described above, the sliding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unnecessary flow by engaging the support ribs formed in the guide member and the support members formed in the slide member with each other in a position where the housings are overlapped or opened. As a resul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liding terminal is improved, and the structural stability is improved,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deformation and breakage of the sliding module and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terminal.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5765A KR100800678B1 (en) | 2006-09-29 | 2006-09-29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95765A KR100800678B1 (en) | 2006-09-29 | 2006-09-29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00678B1 true KR100800678B1 (en) | 2008-02-01 |
Family
ID=3934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95765A KR100800678B1 (en) | 2006-09-29 | 2006-09-29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00678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04903A2 (en) * | 2008-02-19 | 2009-08-27 | 주식회사 엘티엠에이피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s in prevention of horizontal devi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29446A (en) * | 2005-09-09 | 2007-03-14 | 주식회사 팬택 | Flow prevention structure of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2006
- 2006-09-29 KR KR1020060095765A patent/KR100800678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29446A (en) * | 2005-09-09 | 2007-03-14 | 주식회사 팬택 | Flow prevention structure of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9104903A2 (en) * | 2008-02-19 | 2009-08-27 | 주식회사 엘티엠에이피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s in prevention of horizontal deviation |
WO2009104903A3 (en) * | 2008-02-19 | 2009-10-29 | 주식회사 엘티엠에이피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s in prevention of horizontal deviation |
KR100953524B1 (en) * | 2008-02-19 | 2010-04-21 | (주)엘티엠에이피 | Slide module for mobile terminal to prevent right and left flow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17690B1 (en) | Sliding 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US8634884B2 (en) |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640321B1 (en) | Sliding module of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US7953464B2 (en) |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790109B1 (en) | Push rod and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therewith | |
KR100630193B1 (en)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
JP2008170002A (en) | Spring for slide type mobile terminal machine and mobile terminal machine using this | |
KR100800770B1 (en) | Sliding Handheld Terminal | |
KR100713421B1 (en)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
KR100819284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sliding module | |
KR100800678B1 (en)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
EP1734725B1 (en) | Portable terminal having sliding module | |
KR100799623B1 (en) | Slide-down opening and closing mobile terminal | |
KR100899741B1 (en) |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1469969B1 (en) |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860678B1 (en) | Sliding Handheld Terminal | |
KR20080006728A (en) | Sliding Type Handheld Terminal | |
KR100800661B1 (en)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
KR20080078187A (en) | Sliding Handheld Terminal | |
KR101409510B1 (en) |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827116B1 (en) | Slid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
KR20060047119A (en) | Sliding module of sliding type portable terminal | |
KR100754620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sliding module | |
KR100678061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sliding module | |
WO2008050983A1 (en) | A bidirectional slider mechanis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2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