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439B1 - Adapter for Memory Card - Google Patents
Adapter for Memory C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9439B1 KR100799439B1 KR1020060071115A KR20060071115A KR100799439B1 KR 100799439 B1 KR100799439 B1 KR 100799439B1 KR 1020060071115 A KR1020060071115 A KR 1020060071115A KR 20060071115 A KR20060071115 A KR 20060071115A KR 100799439 B1 KR100799439 B1 KR 1007994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
- adapter
- contacts
- memory card
-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0615 non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10000004907 gland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abstract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 메모리카드를 그것보다도 대형인 메모리카드용의 카드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카드용 어댑터에 있어서, 어댑터 본체의 구성부품의 하나인 도전성의(금속제의) 커버에 일체로 형성한 접속단자와 그랜드용 콘택트와의 접촉이 단절되며, 어댑터의 정전(靜電)파괴방지기능이 소실될 우려가 있는 것을 과제로 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에 있어서, 어댑터 본체(1)의 구성부품의 하나인 도전성의(금속제의) 커버(30)에, 탄성 변위 가능한 접속단자(37)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접속단자(37)를 복수의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에 접촉시켜, 그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끼리와,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와 커버(30)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높은 접촉신뢰성을 확보하여, 정전파괴방지기능을 확실히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apter for a memory card that allows a small memory card to be used as a card connector for a memory card larger than that, wherein the small memory card is integrally formed on a conductive (metallic) cover which is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adapter main body. The problem is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ground contact is disconnected and the electrostatic breakdown prevention function of the adapter may be lost. As a solution, one of the components of the adapter main body 1 is provided. An elastically displaceable connection terminal 37 is integrally formed on the phosphor conductive (metal) cover 30,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lurality of gland contacts 60d and 60i. The electrical contacts 60d and 60i, the ground contacts 60d and 60i, and the cover 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ensuring high contact reliability and reliably preventing an electrostatic breakdown function. .
Description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메모리카드용 어댑터를 표면쪽에서 바라본 외관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ternal view of the memory card adapter of this embodiment as seen from the surface thereof;
도 2는 동일 어댑터를 이면쪽에서 바라본 외관도;2 is an external view of the same adapter as seen from the back side;
도 3은 금속커버 분리상태의 동일 어댑터를 표면쪽에서 바라본 외관도;3 is an external view of the same adapter in a metal cover detached state viewed from the surface;
도 4는 동일 어댑터의 분해상태의 구조도;4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xploded state of the same adapter;
도 5는 (A) 베이스를 표면쪽에서 바라본 외관도, (B) 베이스를 이면쪽에서 바라본 외관도;Fig. 5 is an external view of (A) the base as seen from the front side, and (B) an external view of the base as seen from the back side;
도 6은 (A) 커버를 표면쪽에서 바라본 외관도, (B) 커버를 이면쪽에서 바라본 외관도;Fig. 6 is an external view of the cover (A) seen from the front side, and (B) the external view of the cover seen from the rear side;
도 7은 (A) 콘택트세트를 표면쪽에서 바라본 외관도, (B) 콘택트세트를 이면쪽에서 바라본 외관도, (C) 인서트성형 전의 콘택트를 표면쪽에서 바라본 외관도;7 is an external view of (A) the contact set viewed from the surface side, (B) an external view of the contact set viewed from the rear side, and (C) an external view of the contact before insert molding viewed from the surface;
도 8은 그랜드용 콘택트끼리와, 그랜드용 콘택트와 커버와의 전기접속구조를 도시하는 동일 어댑터의 단면도;Fig. 8 is a sectional view of the same adapter showing an electrical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ground contacts and the ground contacts and the cover;
도 9는 (A) 미니 SD카드의 표면도, (B) 미니 SD카드의 측면도, (c) 미니 SD카드의 이면도;9 is a front view of (A) the mini SD card, (B) the side view of the mini SD card, and (c) the back view of the mini SD card;
도 10은 (A) 마이크로 SD카드의 표면도, (B) 마이크로 SD카드의 측면도, (C) 마이크로 SD카드의 이면도.Fig. 10 is a front view of (A) micro SD card, (B) side view of micro SD card, and (C) rear view of micro SD card.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어댑터 본체 10: 베이스1: adapter body 10: base
30: 커버 32: 제1 연설부30: cover 32: first speech section
33: 제2 연설부 36: 접힌 부분 33: second speech 36: folded portions
37: 접속단자 60a~60k: 콘택트37:
70: 부도체 73: 수용구멍70: insulator 73: receiving hole
100: 메모리카드용 어댑터 100: adapter for memory card
200: 미니 SD카드(대형 메모리카드) 200: Mini SD card (large memory card)
300: 마이크로 SD카드(소형 메모리카드)300: micro SD card (small memory card)
본 발명은, 소형 메모리카드를 그것보다도 대형인 메모리카드용의 카드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카드용 어댑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ory card adapter which enables a small memory card to be used as a card connector for a larger memory card.
종래부터 SD카드(24×32×2.1㎜: 세로×가로×두께)의 소형판 메모리카드로서, 도 9(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미니 SD카드(20×21.5×1.4㎜: 세로×가로×두께)(200)가 제공되고 있다.Conventionally, as a small-sized memory card of an SD card (24 x 32 x 2.1 mm: length x width x thickness), a mini SD card (20 x 21.5 x 1.4 as shown in Figs. 9A, 9B and 4C) is shown. Mm: length × width × thickness) 200 is provided.
도 9(A) (B) (C)에 있어서, 미니 SD카드(200)의 정규삽입 자세에서의 삽입 시의 앞쪽(이하, 「뒤쪽」이라고 함) 단부 이면쪽에는 11개의 콘택트(204a~204k)가 전후방향과 두께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이하, 「좌우방향」이라고 함)으로 병설되 어 있다. 또 미니 SD카드(200)의 뒤쪽에는 한쪽 모서리를 없애서 노치부(201)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노치부(201)에 의해서 폭이 좁혀진 미니 SD카드(200)의 뒤쪽 단부에 있어서의 표면쪽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는 상향의 계단부(2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노치부(201)와 계단부(202)에 의해 카드 커넥터에 대한 미니 SD카드(200)의 정규삽입자세 이외에서의 잘못된 삽입(앞뒤가 반대인 자세, 안팎이 반대인 자세에서의 삽입)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미니 SD카드(200)의 노치부(202)보다 앞쪽인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표면쪽의 좌우 양쪽부분에는 록(lock)용 노치(203)가 형성되고, 미니 SD카드(200)를 카드 커넥터에 장착했을 때에 카드 커넥터쪽의 록부재가 록용 노치(203)에 걸림으로써, 미니 SD카드(200)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미니 SD카드(200)의 11개의 콘택트(204a~204k)는, 이면쪽에서 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11번의 콘택트(204a~204k)가 순번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1, 2, 10, 11번의 4개의 콘택트(204a, 204b, 204j, 204k)가 데이터용, 3번의 콘택트(204c)가 커맨드(command)용, 4, 9번의 2개의 콘택트(204d, 204i)가 그랜드용, 7번의 콘택트(204g)가 전원용, 8번의 콘택트(204h)가 클록(clock)용이다. 그리고, 5, 6번의 2개의 콘택트(204e, 204f)는 미니 SD카드(200)에 의해 예비로 추가된 것으로서, 유효 콘택트수는 9개로 되며 SD카드의 콘택트수 9개에 대응하고 있다.In FIG. 9 (A), (B) and (C), 11
그런데, 최근, 미니 SD카드(200)보다 더 소형판 메모리카드로서, 트랜스플래시나 이 사양을 채용한 도 10(A) (B) (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은 마이크로 SD카드(11×15×1㎜: 세로×가로×두께)(300)가 제공되고 있다.By the way, in recent years, as a smaller-size memory card than the
도 10(A) (B) (C)에 있어서, 마이크로 SD카드(300)의 뒤쪽에는 한쪽 모서리 를 없애서 노치부(301)가 형성되어 있다. 또 마이크로 SD카드(300)의 노치부(301)보다 앞쪽인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노치부(301)쪽의 한 측면부에는 록용 노치(30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 SD카드(300)의 뒤쪽 단부 이면쪽에는 8개의 콘택트(303a~303h)가 좌우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 SD카드(300)의 8개의 콘택트(303a~303h)는, 이면쪽에서 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8번의 콘택트(303a~303h)가 순번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1, 2, 7, 8번의 4개의 콘택트(303a, 303b, 303g, 303h)가 데이터용, 3번의 콘택트(303c)가 커맨드용, 4번의 콘택트(303d)가 전원용, 5번의 콘택트(303e)가 클록용, 6번의 콘택트(303f)가 그랜드용이다. 즉, 마이크로 SD카드(300)에 의해 그랜드용 콘택트가 1개로 되고, 콘택트수가 SD카드 및 미니 SD카드(200)의 9개(다만, 미니 SD카드(200)는 유효콘택트수)에서 8개로 삭감되어 있다.10 (A), (B) and (C), the
이와 같이 마이크로 SD카드(300)는 종래의 미니 SD카드(200)에 비해서 외형치수가 보다 한층 작고, 또 콘택트수도 적으므로, 종래의 미니 SD카드용의 카드 커넥터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위한 메모리카드용 어댑터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종류 메모리카드 어댑터가,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마이크로 SD카드를 미니 SD카드용의 카드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메모리카드용 어댑터는, 미니 SD카드 사양에 대응하는 외형치수로 형성되어서 마이크로 SD카드를 장착하는 미니 SD카드형의 어댑터 본체를 구비하고, 그 어댑터 본체의 내부에, 카드 커넥터의 11개의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11개의 고정단자와 마이크로 SD카드의 8개의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8개의 가동단자를 따로따로 형성하고, 8개의 가동단자를 어댑터 본체의 내부에 형성한 회로기판을 개재해서 각각 대응하는 8개의 고정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며, 또 2개의 그랜드용 가동단자간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The adapter for the conventional memory card which allows a micro SD card to be used as a card connector for a mini SD card is formed with an external dimension corresponding to the mini SD card specification, and the adapter body of the mini SD card type which attaches a micro SD card to A fixed terminal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eleven contacts of a card connector and eight movable terminal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o eight contacts of a micro SD card, separately inside the adapter main body, The eight movable terminals we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ight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via a circuit board formed inside the adapter body, and the two gland movable terminals we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이와 같이, 종래의 메모리카드용 어댑터는, 회로기판을 내장하고, 대형 메모리카드용의 카드 커넥터와 접속하는 단자와, 소형 메모리카드와 접속하는 단자의 2종의 단자를 포함하고 있었으므로, 부품점수가 많고,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되며, 제조비용도 비싸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어댑터 본체의 내부에 있어서의 전단부에서 후단부에 걸쳐서 회로기판이 존재하므로, 어댑터 본체의 구성부품에 금속제의 것을 사용하지 못하여, 정전(靜電)파괴방지대책을 강구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In this way, the conventional memory card adapter includes two types of terminals, a terminal having a circuit board built therein and connected to a card connector for a large memory card, and a terminal connected to a small memory card. There is a problem that many, structurally complicated, manufacturing costs are also expensive. In addition, since a circuit board exists from the front end part to the rear end part of the inside of the adapter main bod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possible to use a metallic material for the component parts of the adapter main body, and to take measures to prevent electrostatic breakdown. .
또한, 메모리카드용 어댑터에 있어서, 어댑터 본체의 구성부품의 1개를 금속으로 구성하고, 그 금속부품을, 어댑터 본체에 내장한 복수의 그랜드용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정전파괴방지대책을 강구하는 기술이,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 주지의 기술을 채용하면, 종래의 메모리카드용 어댑터와 같이, 회로기판을 내장하고, 대형 메모리카드용의 카드 커넥터와 접속하는 단자와, 소형 메모리카드와 접속하는 단자의 2종의 단자를 따로따로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점수가 적고,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되며, 제조비용도 저렴하게 할 수 있다.In the memory card adapter, one component of the main body of the adapter is made of metal, and the metal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gland contacts which are built into the main body of the adapter to take an antistatic breakdown measure. The technique is disclosed by
[특허문헌 1][Patent Document 1]
일본국 실용신안등록제3110839호 공보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110839
[특허문헌 2][Patent Document 2]
일본국 특개2004-272704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4-27270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전파괴방지기능을 가지는 종래의 메모리카드용 어댑터가, 어댑터 본체를, 수지제의 베이스와, 일부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베이스에 입혀 붙여지는 수지제의 커버와, 커버의 개구부에 붙여 고정되는 금속쉘(금속부품)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금속쉘을 복수의 그랜드용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서 금속쉘에 일체로 형성하는 접속단자는, 금속쉘에서 커버의 내부면을 따라서 그랜드용 콘택트까지, 그랜드용 콘택트 이외의 콘택트와 접촉하지 않도록, 그랜드용 콘택트폭 내에서 미세하게 돌출하고, 그랜드용 콘택트와 커버와의 사이에 끼워넣으므로서, 그랜드용 콘택트에 접촉하고 있지만, 어댑터의 구성부품 자체의 치수 오차나 조립의 치수 오차, 사용 시에 어댑터에 부가되는 외력이나 열에 의한 변형에 의해, 접속단자와 그랜드용 콘택트와의 접촉이 단절될 우려가 있으며, 이런 경우, 어댑터의 정전파괴방지기능은 소실하는 점에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a conventional memory card adapter having an electrostatic breakdown prevention function includes an adapter body, a resin base, and a resin cover which is formed with an opening in a part thereof and is coated on the base. Since it is composed of a metal shell (metal part) fixed by being attached to the opening of the cover, the connecting terminal formed integrally with the metal shell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the metal shell to the plurality of gland contacts, Contacting the ground contacts by protruding finely within the ground contact width and sandwiching between the ground contacts and the cover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s other than the ground contacts along the inner surface. However, deformation due to external force or heat added to the adapter at the time of use, dimensional error of the component itself of the adapter and dimensional error of the assembly By this, when there are likely to be contact with the connecting terminal and grand contacts for disconnection, this prevention of the electrostatic discharge adapter function is the point at which los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소형 메모리카드를 그것보다도 대형인 메모리카드용의 카드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카드용 어댑터에 있어서, 대형 메모리카드 사양에 대응하는 외형치수로 형성되어서 복수의 콘택트를 내장한 소형 메모리카드를 장착하는 대형 메모리카드형의 어댑터 본체를 구비하고, 그 어댑터 본체를 절연성의 베이스로 구성하는 도전성의 커버 에, 탄성 변위 가능한 접속단자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접속단자를 복수의 그랜드용 콘택트에 접촉시켜, 그 그랜드용 콘택트끼리와, 그랜드용 콘택트와 커버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nvention described in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커버에, 어댑터 본체의 삽발방향을 따르는 외부측면에 위치하는 제1 연설부를 일체로 형성한 점을 부가한 것이다.Invention of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커버에, 복수의 콘택트의 어댑터 본체로부터 노출시키는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단부를 연설하는 제2 연설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2 연설부의 단부에 접힌 편(片)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접힌 편의 단부에 접속단자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2 연설부의 내부면쪽에 접속단자를 형성한 점을 부가한 것이다.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3,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접속단자를, 접힌 편의 단부로부터 복수의 콘택트의 병설방향으로 연설 형성한 점을 부가한 것이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adds a point in which the connecting terminal is formed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a plurality of contacts from the end of the folded piece.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 또는 4에 기재된 발명에, 복수의 콘택트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부도체를, 제2 연설부와 베이스와의 사이에 끼우고, 그 부도체에 형성된 수용구멍의 내부에 접힌 부분과 접속단자를 배설한 점을 부가한 것이다.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or 4, a non-conductor for maintaining a plurality of contacts in an insulated state is sandwiched between the second speaker and the base, and inside the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non-conductor. The addition of the folded part and the connection terminal is added.
<발명의 실시의 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메모리카드용 어댑터의 실시형태를 도 1~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메모리카드용 어댑터(100)는, 소형 메모리카드 인 마이크로 SD카드(300)를 장착해서 그것보다 대형인 메모리카드용의 카드 커넥터인 미니 SD카드(200)용의 카드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미니 SD카드 사양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니 SD카드(200)와 대략 동일한 외형치수(세로ㆍ가로ㆍ두께의 각 치수)로 형성되어서 마이크로 SD카드(300)를 장착하는 도 1,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은 미니 SD카드형의 어댑터 본체(1)와, 어댑터 본체(1)에 내장하는 도 3, 도 4, 도 7(A) (B)에 표시한 바와 같은 콘택트세트(50), 도 3,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은 록부재(90)로 구성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e memory card adapt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The
도 1, 도 2에 도시한 어댑터 본체(1)는, 도 3, 도 4, 도 5(A) (B)에 표시한 바와 같은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절연성의 베이스(10)와, 도 4, 도 6(A) (B)에 표시한 바와 같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도전성의 커버(30)의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된다.The adapter
도 3, 도 4, 도 5(A) (B)에 도시한 베이스(10)는, 뒤쪽의 한쪽 모서리를 없앤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11)과, 각락(角落)에 의해서 가로폭이 좁혀져 있지 않은 바닥판(11)의 앞쪽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좌우 양쪽 영역에 종횡으로 세워 형성한 보강리브(12)와, 각락에 의해서 가로폭이 좁혀진 바닥판(11)의 뒤쪽의 둘레가장자리를 따라서 세워 형성한 측벽(13)을 일체로 가지고, 보강리브(12)의 사이에 마이크로 SD카드(300)를 수용하는 카드수용공간(14)을 만들어 형성하는 동시에, 카드수용공간(14)의 뒤쪽에 연속해서 콘택트세트(50)의 부도체수용공간(15)을 만들어 형성하고 있다. 부도체수용공간(15)의 바닥면에는 큰 콘택트노출창(16)이 개구 형성되어 있다. 카드수용공간(14)의 한 측면에는 록부재수용공간(17)이 인접 해서 만들어 형성되고, 록부재수용공간(17)은 연통구(18)를 개재해서 카드수용공간(14)과 연통되어 있다.The base 10 shown to FIG. 3, FIG. 4, FIG. 5 (A) (B) has narrow width | variety by the
그리고, 상기 베이스(10)에는, 미니 SD카드(200)의 노치부(201), 계단부(202), 록용 노치(203)에 대응하는 어댑터(100)쪽의 노치부(19), 계단부(20), 록용 노치(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10)의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좌우 외부측면에는 복수의 커버걸어맞춤클로(22)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베이스(10)의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좌우 내부 측면부에는 커버걸어맞춤홈(23)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도 4, 도 6(A) (B)에 도시한 커버(30)는, 상기 베이스(10)의 앞쪽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상부면을 덮는 직사각형 형상의 주요부(31)와, 주요부(31)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설해서 상기 베이스(10)의 앞쪽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좌우 외부측면을 덮는 제1 연설부(32)와, 주요부(31)의 뒤쪽 가장자리로부터 뒤쪽으로 평평하게 연설해서 상기 베이스(10)의 부도체수용공간(15)의 상부면을 덮는 주요부(31)보다 폭이 좁은 제2 연설부(33)와, 제2 연설부(33)의 기부(基部)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로부터 하향으로 연설하는 제1 걸어맞춤클로(34)와, 제2 연설부(33)의 선단부쪽의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좌우 측면부로부터 하향으로 연설하는 제2 걸어맞춤클로(35)와, 제2 연설부(33)의 선단부쪽의 가장자리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분에서 U자 형상으로 연설해서 단부를 제2 연설부(33)의 내부면쪽을 향하게 하는 접힌 편(36)과, 접힌 편(36)의 단부에 중간부분을 연이어 형성해서 제2 연설부(33)의 내부면쪽에서 좌우방향(콘택트병설방향)으로 연설하는 판스프링인 탄성 변위 가능한 접속단자(3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제1 연설부(32)에는 복수의 베이스 걸어맞춤구멍(38)이 형성되어 있다.The
도 3, 도 4, 도 7(A) (B)에 도시한 콘택트세트(50)는, 미니 SD카드 사양에 대응하기 위하여 미니 SD카드(200)와 동일한 11개의 콘택트(60a~60k)와, 이들 11개의 콘택트(60a~60k)를 절연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병설해서 일체로 유지하는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절연성의 부도체(70)로 구성된다.3, 4, and 7 (A) and (B), the contact set 50 includes 11
11개의 콘택트(60a~60k)는, 도 7(C)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도전성의 박판 금속을 타발(打拔)가공함으로써, 캐리어(61)에 연결편(62)을 개재해서 연속한 상태에서 성형된다. 그리고, 이런 상태의 11개의 콘택트(60a~60k)에 대해서 부도체(70)를 인서트성형(insert molding)으로 성형한 후, 연결편(62)의 부분을 절단해서 캐리어(61)와 함께 분리함으로써, 콘택트세트(50)의 중간조립체가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C), the eleven
11개의 각 콘택트(60a~60k)는 각각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콘택트(60a~60k)의 전단부에는 서로 연결된 연속부(63)를 개재해서 마이크로 SD카드 사양에 대응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SD카드(300)와 동일한 8개의 콘택트 스프링편(64a~64h)이 캔틸레버(cantilever)형상으로 연신되어 있다. 그리고, 11개의 콘택트(60a~60k)는, 이면쪽에서 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11번의 콘택트(60a~60k)가 순번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1, 2, 10, 11번의 4개의 콘택트(60a, 60b, 60j, 60k)가 데이터용, 3번의 콘택트(60c)가 커맨드용, 4, 9번의 2개의 콘택트(60d, 60i)가 그랜드용, 5, 6번의 2개의 콘택트(60e, 60f)가 예비, 7번의 콘택트(60g)가 전원용, 8번의 콘택트(60h)가 클록용이며, 미니 SD카드(200)의 콘택트(204a~204k)와 동일한 배열이다. 한편, 8개의 콘택트 스프링편(64a~64h)은, 이면쪽에서 봐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1~8번의 콘택트 스프링편(64a~64h)이 순번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1, 2, 7, 8번의 4개의 콘택트 스프링편(64a, 64b, 64g, 64h)이 데이터용, 3번의 콘택트 스프링편(64c)이 커맨드용, 4번의 콘택트 스프링편(64d)이 전원용, 5번의 콘택트 스프링편(64e)이 클록용, 6번의 콘택트 스프링편(64f)이 그랜드용이다. 즉, 마이크로 SD카드(300)의 콘택트(303a~303h)와 동일한 배열이다.Each of the eleven
중간조립체에서는, 부도체(70)가 상기 베이스(10)의 부도체수용공간(15)에 끼워맞춤하는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부도체(70)의 하부면에 연속부(63)와 함께 각 콘택트(60a~60k)가 좌우방향으로 늘어 놓여져 평평하게 매설되어서, 8개의 콘택트 스프링편(64a~64h)이 부도체(70)의 앞쪽으로 앞이 올라간 경사진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부도체(70)에는, 이 하부면에 매설되어 있는 연속부(63)의 소정개소를 빼내기 위한 공구삽입구멍(71, 74a)과, 상기 커버(30)의 제2 걸어맞춤클로(35)를 압입하기 위한 커버걸어맞춤홈(72)과, 상기 커버(30)의 접힌 편(36) 및 접속단자(37)를 수용해서,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속단자(37)의 일단부를 한쪽의 4번의 그랜드용 콘택트(60d)에, 또 타단부를 다른 쪽의 9번의 그랜드용 콘택트(60i)에 위쪽으로부터 접촉시키기 위한 수용구멍(73)과, 경량화를 위한 복수의 빼기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1개의 빼기구멍(74a)은 공구삽입구멍을 겸하고 있다.In the intermediate assembly, the
그리고, 중간조립체를 구성한 후에, 부도체(70)의 하부면에 매설되어 있는 연속부(63)의 소정개소를 공구삽입구멍(71, 74a)으로부터 빼내고, 동시에 부도 체(70)의 바깥쪽에 있어서의 연속부(63)의 상호연결개소도 빼냄으로써, 도 3, 도 4, 도 7(A) (B)에 도시한 콘택트세트(50)가 구성된다. 이 콘택트세트(50)에서는, 8개의 콘택트 스프링편(64a~64h)이 각각 분리 독립된 폭이 좁은 8개의 연속부(63)를 개재해서 대응하는 8개의 콘택트(60a~60c, 60g~60k)에 연속 일체로 되어 있다. 또 나머지의 4번의 그랜드용 콘택트(60d)와 5, 6번의 2개의 예비콘택트(60e, 60f)의 3개는 연속부(63)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미니 SD카드(200)와 마찬가지로, 4번의 그랜드용 콘택트(60d)와 7번의 전원용 콘택트(60g)는, 다른 9개의 콘택트(60a~60c, 60e, 60f, 60h~60k)에 비해서 후단부 위치가 후방(어댑터삽입방향)으로 돌출해서 위치 어긋나고, 카드 커넥터쪽의 콘택트에 다른 9개의 콘택트(60a~60c, 60e, 60f, 60h~60k)에 앞서 접촉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4, 9번의 2개의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의 후단부 위치 사이에는 단차(나온부분의 차이)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7(B) 참조). 또한, 콘택트세트(50)의 공구삽입구멍(71)은 수지제의 마개(75)가 압입되어서 메워져 있다(도 3, 도 4 참조).After the intermediate assembly is formed, the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도 3, 도 4에 도시한 록부재(90)는, 박판 금속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자유단부쪽에 카드걸어맞춤부(91)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 록부재(90)는, 베이스(10)에 수지로 일체 형성해서 배치해도 된다.The
본 실시형태의 메모리카드용 어댑터(100)를 조립하는데에 있어서는, 베이스(10)의 부도체수용공간(15)에 콘택트세트(50)의 부도체(70)를 끼워넣고, 베이스(10)의 콘택트노출창(16)을 통과시켜서 콘택트세트(50)의 11개의 콘택트(60a~60k)를 베이스(10)의 이면쪽으로 노출시키는 동시에, 베이스(10)의 카드수 용공간(11)의 뒷부분에 콘택트세트(50)의 8개의 콘택트 스프링편(64a~64h)을 돌출시킨다. 즉, 베이스(10)에 대해서 콘택트세트(50)를 조립해 넣고, 또 베이스(10)의 록부재수용공간(17)에 록부재(90)를 조립해 넣고, 록부재(90)의 뒤쪽을 베이스(10)에 대해서 고정시키고, 록부재(90)의 자유단부쪽(앞쪽)의 카드걸어맞춤부(91)를 연통구(18)를 개재해서 카드수용공간(14)으로 돌출시킨다(도 3에 도시한 상태). 다음에, 베이스(10)의 커버걸어맞춤홈(23)에 커버(30)의 제1 걸어맞춤클로(34)를 꽂아넣는 동시에, 부도체(70)의 커버걸어맞춤홈(72)에 커버(30)의 제2 걸어맞춤클로(35)를 꽂아넣고, 또 부도체(70)의 수용구멍(73)에 커버(30)의 접힌 편(36) 및 접속단자(37)를 끼워넣으면서, 베이스(10)에 대해서 커버(30)를 위쪽으로부터 입혀 붙이고, 베이스(10)의 앞쪽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보강리브(12) 및 카드수용공간(14) 및 록부재(90)가 조립해 넣어진 록부재수용공간(17)의 상부면을 커버(30)의 주요부(31)로 일체적으로 덮는 동시에, 베이스(10)의 부도체수용공간(15)에 끼워붙여진 부도체(70)의 상부면에 커버(30)의 제2 연설부(33)를 접합시키고, 부도체(70)를 베이스(10)의 바닥판(11)과 커버(30)의 제2 연설부(33)와의 사이에 끼우고, 또 베이스(10)의 앞쪽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좌우 외부측면을 커버(30)의 제1 연설부(32)로 덮는 동시에, 베이스(10)의 각 커버걸어맞춤클로(22)를 커버(30)의 각 베이스걸어맞춤구멍(38)에 끼워넣는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커버(30)의 제1 연설부(32)에 있어서의 각 베이스걸어맞춤구멍(38)의 하부 가장자리를 안쪽에서 코킹하고, 베이스(10)에 대해서 커버(30)를 상기 입혀 붙인 상태로 고정시킴으로서, 조립이 완료된다. 또한, 베이스(10)와 부도체(70)와는, 열, 초음파 등의 용착 또는 접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접합해도 된다.In assembling the
조립완료 상태에 있어서는, 도 1,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미니 SD카드 사양에 대응하는 미니 SD카드(200)와 대략 동일한 외형치수(세로ㆍ가로ㆍ두께의 각 치수)이다. 그리고, 미니 SD카드(200)와 마찬가지로, 뒤쪽 단부 이면쪽에는 11개의 콘택트(60a~60k)가 좌우방향으로 병설되어서 노출하고, 뒤쪽의 한쪽 모서리를 없애서 노치부(19)가 형성되고, 이 노치부(19)에 의해서 폭이 좁혀진 뒤쪽 단부에 있어서의 표면쪽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에는 상향의 계단부(20)가 형성되고, 노치부(19)보다 앞쪽인 폭이 넓은 부분에 있어서의 표면쪽의 좌우 양쪽 측면부에는 록용 노치(21)가 형성되어서, 미니 SD카드(200)용의 카드 커넥터에 장착할 수 있다.In the assembling completed stat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external dimensions (each dimension of vertical, horizontal and thicknes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또, 앞면에 카드삽입구(2)가 개구되고, 카드삽입구(2)에는 카드수용공간(11)이 연통되고, 카드수용공간(11)의 뒷부분(깊숙한 부분)에는 8개의 콘택트 스프링편(64a~64h)이 좌우방향으로 병설되고, 마이크로 SD카드(300)가, 카드삽입구(2)로부터 카드수용공간(11)에 장착할 수 있는 동시에, 장착한 마이크로 SD카드(300)의 8개의 콘택트(303a~303h)에 8개의 콘택트 스프링편(64a~64h)의 자유단부를 접촉시킬 수 있다.Moreover, the
또한, 표면의 대략 전체면과 좌우 측면의 전반부가 금속면으로 구성되고, 그 이외의 이면이나 측면이 수지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금속면을 구성하는 커버(30)에 일체로 형성한 접속단자(37)는, 도 8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접힌 편(36)과 함께 내장한 부도체(70)에 형성한 수용구멍(73)의 내부에 배설되고, 일단부가 한쪽의 4번의 그랜드용 콘택트(60d)에, 또 타단부가 다른 쪽의 9번의 그랜드용 콘택트(60i)에 윗쪽으로부터 자신의 탄성에 의해 가압해서 접촉하고 있다. 이 접촉에 의해서, 11개의 콘택트(60a~60k) 중 인접하지 않은 2개의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끼리와,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와 커버(30)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10)와 커버(30)의 주요부(31) 및 제1 연설부(32)와의 접합면, 부도체(70)의 커버(30)의 제2 연설부(33)와의 접합면은, 그 주위 외부면으로부터 커버(30)의 판두께 치수만큼 오목형상으로 형성되고, 커버(30)의 주요부(31) 및 제1 연설부(32)의 외부면과 그 주위의 베이스(10)의 외부면, 커버(30)의 제2 연설부(33)와 그 주위의 부도체(70)의 외부면이 평평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Moreover, the substantially whole surface of the surface and the front half part of a left and right side are comprised by the metal surface, and the other back surface or side surface is comprised by the resin surface. As shown in FIG. 8, the connecting
이상과 같이 조립된 메모리카드용 어댑터(100)에 마이크로 SD카드(300)를 장착할 때에는, 마이크로 SD카드(300)를 전후방향 및 표리방향을 정규의 방향을 향한 정규삽입 자세로 카드삽입구(2)를 통과시켜서 카드수용공간(14)에 삽입하면, 마이크로 SD카드(300)는, 이 록용 노치(302)를 형성한 측면부에서 록부재(90)의 카드걸어맞춤부(91)를 탄성력에 저항하여 밀어젖히면서 카드수용공간(14)의 안쪽 깊숙한 부분으로 삽입되고, 마이크로 SD카드(300)의 뒤쪽 단부 이면쪽에 형성된 8개의 콘택트(303a~303h)가, 카드수용공간(14)의 뒷부분에 병설되어 있는 8개의 콘택트 스프링편(64a~64h)과 접촉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마이크로 SD카드(300)를 카드수용공간(14)에 삽입하면, 마이크로 SD카드(300)의 뒤쪽 단부가, 카드수용공간(14)의 후단부에서 세워 형성하고 있는 부도체(70)의 앞쪽 측면에 맞부딪치고, 그 이상의 삽입이 규제되는 동시에, 마이크로 SD카드(300)의 록용 노치(302)에 록부재(90)의 카드걸어맞춤부(91)가 대향하고, 탄성력에 의해서 카드걸어맞춤부(91) 가 록용 노치(302)에 걸어맞춤함으로써, 마이크로 SD카드(300)의 탈락이 방지된다.When the
메모리카드용 어댑터(100)에 장착된 마이크로 SD카드(300)를 뽑아낼 때에는, 마이크로 SD카드(300)의 전단부를 파지(把持)하고, 록부재(90)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마이크로 SD카드(300)를 앞쪽으로 뽑아내면, 마이크로 SD카드(300)의 록용 노치(302)와 록부재(90)의 카드걸어맞춤부(91)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서, 마이크로 SD카드(300)를 메모리카드용 어댑터(100)로부터 용이하게 뽑아낼 수 있다.When the
메모리카드용 어댑터(100)에 장착된 마이크로 SD카드(300)는, 이 8개의 콘택트(303a~303h)가 대응하는 8개의 콘택트(60a~60c, 60g~60k)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메모리카드용 어댑터(100)를 미니 SD카드(200)용의 카드 커넥터에 장착함으로서, 마이크로 SD카드(300)의 8개의 콘택트(303a~303h)가 대응하는 8개의 콘택트(60a~60c, 60g~60k)를 개재해서 카드 커넥터가 대응하는 8개의 콘택트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결과, 마이크로 SD카드(300)가 미니 SD카드(200)와 마찬가지로 미니 SD카드(200)용의 카드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11개의 콘택트(60a~60k) 중 인접하지 않은 2개의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끼리와,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와 커버(30)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으므로, 어댑터(100) 내에 부유 그랜드로 되는 그랜드용 콘택트를 없앨 수 있는 동시에, 어댑터(100)에 정전파괴방지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Since the
이상과 같이, 어댑터 본체(1)의 구성부품의 하나인 도전성의(금속제의) 커버(30)에, 탄성 변위 가능한 접속단자(37)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접속단자(37)를 복수의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에 접촉시켜서, 그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끼 리와,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와 커버(30)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했으므로, 어댑터(100) 내에 부유 그랜드로 되는 그랜드용 콘택트를 없앨 수 있는 동시에, 어댑터(100)에 정전파괴방지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37)는, 그 자체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서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와 접촉하므로, 어댑터(100)의 구성부품 자체의 치수 오차나 조립의 치수 오차, 사용 시에 어댑터(100)에 부가되는 외력이나 열에 의한 변형이 생겨도, 그것을 흡수하면서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와의 접촉을 자체 유지할 수 있어서, 높은 접촉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100)의 정전파괴방지기능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n elastically displaceable connecting
또 커버(30)에, 어댑터 본체(1)의 삽발방향을 따르는 외부측면에 위치하는 제1 연설부(32)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어댑터 사용 시에 어댑터 본체(1)가 상하, 좌우 어느 방향에서 파지되어도, 어댑터 본체(1)의 커버(30)부분이 파지되게 되므로, 어댑터 본체(1)의 파지상태에 관계없이 확실히 기능하는 정전파괴방지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 커버(30)에, 복수의 콘택트(60a~60k)의 어댑터 본체(1)로부터 노출시키는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단부를 연설하는 제2 연설부(33)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2 연설부(33)의 단부에 접힌 편(36)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접힌 편(36)의 단부에 접속단자(37)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2 연설부(33)의 내부면쪽에 접속단자(37)를 형성한 것으로, 접속단자(37)는, 커버(30)의 바깥쪽에는 돌출하지 않고, 어댑터 조립 시에 접속단자(37)가 접혀 파손될 위험성이 적어진다. 또, 복수의 콘택트(60a~60k)의 어댑터 본체(1)로부터 노출시키는 부분에는, 두께를 그다지 얇게 할 수 없는 절연성의(수지제의) 커버는 아니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도전성의(금속제의) 커버(30)의 제2 연설부(33)가 대향하여, 이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접힌 편(36)을 개재해서 접속단자(37)가 배설되므로, 접속단자(37)의 어댑터 두께방향의 탄성변위량을 보다 크게 취할 수 있고, 그것에 따라서 접속단자(37)의 탄성(그랜드용 콘택트(60d, 60i)와의 접촉압)도 보다 크게 할 수 있으며, 접속단자(37)의 보다 높은 접촉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37)는, 커버(30)의 제2 연설부(33)를 부분적으로 베어 일으켜 세우고, 그 제2 연설부(33)에 구멍을 내거나 하는 일없이, 제2 연설부(33)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한 접힌 편(36)을 개재해서 제2 연설부(33)의 내부면쪽에 형성하므로, 방진ㆍ방수의 점에서도 유효하다.Moreover, the
또, 접속단자(37)를, 접힌 편(36)의 단부로부터 복수의 콘택트(60a~60k)의 병설방향으로 연설 형성한 것으로, 접속단자(37)의 폭방향이 콘택트(60a~60k)의 길이방향에 대응하고, 접속단자(37)의 폭치수를 콘택트(60a~60k)의 폭치수보다 크게 취할 수 있으며, 또 접힌 편(36)의 폭치수도 콘택트(60a~60k)의 폭치수보다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어댑터 조립 시에 접속단자(37)가 접혀 파손될 위험성을 보다 줄일 수 있다. 또, 접속단자(37)의 폭치수를 콘택트(60a~60k)의 폭치수보다 크게 취할 수 있음으로서, 그랜드용 콘택트(60d, 60i)와의 접촉면적의 확대에 수반하여 안정 확실한 접촉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접속단자(37)의 보다 높은 접촉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또, 복수의 콘택트(60a~60k)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부도체(70)를, 제2 연설 부(33)와 베이스(10)와의 사이에 끼우고, 그 부도체(70)에 형성된 수용구멍(73)의 내부에 접힌 부분(36)과 접속단자(37)를 배설한 것으로, 어댑터 사용 시에 어댑터 본체(1)에 두께방향의 압축하중이 부가되었다 해도, 부도체(70)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다하므로, 접힌 부분(36) 및 접속단자(37)가 상기 압축하중에 의해 압쇄(壓碎)되어서 소성 변형하는 일은 없고, 접속단자(37)의 기능을 확실히 유지 발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는 일없이,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 SD카드(300)를 SD카드용의 카드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카드용 어댑터 이외의, 다른 종류의 메모리카드용 어댑터에도 매우 적합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embodiment showed an example of the very suit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it, A various deformation | transformation can be implemented with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For example, the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어댑터 본체의 구성부품의 하나인 도전성의(금속제의) 커버에, 탄성 변위 가능한 접속단자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접속단자를 복수의 그랜드용 콘택트에 접촉시켜, 그 그랜드용 콘택트끼리와, 그랜드용 콘택트와 커버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했으므로, 어댑터 내에 부유 그랜드로 되는 그랜드용 콘택트를 없앨 수 있는 동시에, 어댑터에 정전파괴방지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는, 그 자체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서 그랜드용 콘택트와 접촉하므로, 어댑터의 구성부품 자체의 치수 오차나 조립의 치수 오차, 사용 시에 어댑터에 부가되는 외력이나 열에 의한 변형이 생겨도, 그것을 흡수하면서 그랜드용 콘택트 와의 접촉을 스스로 유지할 수 있어서, 높은 접촉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의 정전파괴방지기능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커버에, 어댑터 본체의 삽발방향을 따르는 외부측면에 위치하는 제1 연설부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어댑터 사용 시에 어댑터 본체가 상하, 좌우 어느 방향에서 파지되어도, 어댑터 본체의 커버부분이 파지되게 되므로, 어댑터 본체의 파지상태에 관계없이 확실히 기능하는 정전파괴방지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커버에, 복수의 콘택트의 어댑터 본체로부터 노출시키는 부분과 대향하는 위치에 단부를 연설하는 제2 연설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2 연설부의 단부에 접힌 편을 일체로 형성하고, 그 접힌 편의 단부에 접속단자를 일체로 형성하고, 제2 연설부의 내부면쪽에 접속단자를 형성한 것으로, 접속단자는, 커버의 바깥쪽에는 돌출하지 않고, 어댑터 조립 시에 접속단자가 접혀 파손될 위험성이 적어진다. 또, 복수의 콘택트의 어댑터 본체로부터 노출시키는 부분에는, 두께를 그다지 얇게 할 수 없는 절연성의(수지제의) 커버는 아니고,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도전성의(금속제의) 커버의 제2 연설부가 대향하여,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접힌 편을 개재해서 접속단자가 배설되므로, 접속단자의 어댑터 두께방향의 탄성변위량을 보다 크게 취할 수 있고, 그것에 따라서 접속단자의 탄성(그랜드용 콘택트와의 접촉압)도 보다 크게 할 수 있으며, 접속단자의 보다 높은 접촉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는, 커버의 제2 연설부를 부분적으로 베어 일으켜 세우고, 그 제2 연설부에 구멍을 내거나 하는 일없이, 제2 연설 부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한 접힌 편을 개재해서 제2 연설부의 내부면쪽에 형성하므로, 방진ㆍ방수의 점에서도 유효하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3, the cover is integrally formed with a second speech portion for extending an end portion at a position opposed to a portion exposed from the adapter main body of a plurality of contacts, and a piece folded at an end portion of the second speech portion. The connecting terminal is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folded piece, and the connecting terminal is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speaker, and the connecting terminal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ver, Less risk of folds and breaks In addition, in the part exposed from the adapter main body of a plurality of contacts, the second speech portion of the conductive (metallic) cover that can be made thinner is not an insulating (resinous) cover which cannot be made very thin.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nection terminals are disposed through the pieces folded between the gaps formed therebetween, the amount of elastic displacement in the adapter thickness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s can be made larger, and accordingly the elasticity of the connection terminals (contact with the ground contact). Pressure) can be increased, and higher contact reliability of the connection terminal can be ensured. Moreover, the connection terminal partly raises the 2nd speech part of a cover, and forms the 2nd speech part through the folded piece integrally formed in the edge part of a 2nd speech part, without making a hole in the 2nd speech part. Since i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side, it is effective also in terms of dustproof and waterproof.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접속단자를, 접힌 편의 단부로부터 복수의 콘택트의 병설방향으로 연설 형성한 것으로, 접속단자의 폭방향이 콘택트의 길이방향에 대응하고, 접속단자의 폭치수를 콘택트의 폭치수보다 크게 취할 수 있으며, 또 접힌 편의 폭치수도 콘택트의 폭치수보다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어댑터 조립 시에 접속단자가 접혀 파손될 위험성을 보다 줄일 수 있다. 또, 접속단자의 폭치수를 콘택트의 폭치수보다 크게 취할 수 있음으로서, 그랜드용 콘택트와의 접촉면적의 확대에 수반하여 안정 확실한 접촉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접속단자의 보다 높은 접촉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4, the connecting terminal is formed by extending in a parallel direction of a plurality of contacts from an end of the folded one,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necting terminal correspond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ct,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connecting terminal is The width dimension can be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and the width dimension of the folded piece can also be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contact,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the connection terminal being folded and broken when assembling the adapter. In addition, the width dimens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can be made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contact, thereby ensuring stable and reliable contact with the expansion of the contact area with the ground contact, and ensuring higher contact reliability of the connection terminal. can do.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콘택트를 절연상태로 유지하는 부도체를, 제2 연설부와 베이스와의 사이에 끼우고, 그 부도체에 형성된 수용구멍의 내부에 접힌 부분과 접속단자를 배설한 것으로, 어댑터 사용 시에 어댑터 본체에 두께방향의 압축하중이 부가되었다 하더라도, 부도체가 스페이서의 역할을 다하므로, 접힌 부분 및 접속단자가 상기 압축하중에 의해 압쇄되어서 소성 변형하는 일은 없고, 접속단자의 기능을 확실히 유지 발휘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5, a non-conductor for maintaining a plurality of contacts in an insulating state is sandwiched between the second speaker and the base, and a folded portion and a connection terminal are provided inside the receiving hole formed in the non-conductor. Even if a compressive load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added to the adapter body when the adapter is used, the non-conductor plays the role of a spacer, so that the folded portion and the connecting terminal are not squeezed out by the compressive load and plastically deformed. The function can be surely maintained.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1115A KR100799439B1 (en) | 2005-08-04 | 2006-07-28 | Adapter for Memory C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5-00226793 | 2005-08-04 | ||
KR1020060071115A KR100799439B1 (en) | 2005-08-04 | 2006-07-28 | Adapter for Memory Car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6953A KR20070016953A (en) | 2007-02-08 |
KR100799439B1 true KR100799439B1 (en) | 2008-01-30 |
Family
ID=41339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11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9439B1 (en) | 2005-08-04 | 2006-07-28 | Adapter for Memory C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9439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1656B1 (en) | 2012-10-10 | 2013-10-23 | (주)에스씨테크 | Connector for a high speed memory card adaptor and a socket |
WO2014058186A1 (en) * | 2012-10-10 | 2014-04-17 | (주)에스씨테크 | Connector for high speed memory card adaptor and socket |
US9202160B2 (en) | 2012-11-08 | 2015-12-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mory card adapter |
US9722653B2 (en) | 2012-11-08 | 2017-08-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mory card adapter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62504A (en) * | 1995-01-04 | 1996-10-08 | Simple Technology Incorporated | Communications card with integral transmission media line adaptor |
US5752857A (en) * | 1996-05-24 | 1998-05-19 | Itt Corporation | Smart card computer adaptor |
US6217351B1 (en) * | 1999-08-16 | 2001-04-17 | 3Com Corporation | Adaptor module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 communication card |
US6315205B1 (en) * | 1999-07-06 | 2001-11-13 |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 Adaptor for smart card |
JP2004272704A (en) * | 2003-03-10 | 2004-09-3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Memory card adapter |
-
2006
- 2006-07-28 KR KR1020060071115A patent/KR10079943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62504A (en) * | 1995-01-04 | 1996-10-08 | Simple Technology Incorporated | Communications card with integral transmission media line adaptor |
US5752857A (en) * | 1996-05-24 | 1998-05-19 | Itt Corporation | Smart card computer adaptor |
US6315205B1 (en) * | 1999-07-06 | 2001-11-13 |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 Adaptor for smart card |
US6217351B1 (en) * | 1999-08-16 | 2001-04-17 | 3Com Corporation | Adaptor module configured to be attached to a communication card |
JP2004272704A (en) * | 2003-03-10 | 2004-09-3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Memory card adapt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1656B1 (en) | 2012-10-10 | 2013-10-23 | (주)에스씨테크 | Connector for a high speed memory card adaptor and a socket |
WO2014058186A1 (en) * | 2012-10-10 | 2014-04-17 | (주)에스씨테크 | Connector for high speed memory card adaptor and socket |
US9202160B2 (en) | 2012-11-08 | 2015-12-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mory card adapter |
US9722653B2 (en) | 2012-11-08 | 2017-08-0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mory card adap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16953A (en) | 2007-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53098B1 (en) | Memory Card Adaptor | |
KR100807500B1 (en) | Memory card adapter | |
JP4659636B2 (en) | Memory card adapter | |
EP1503464B1 (en) | Connector | |
EP1684217A1 (en) | Memory card adaptor | |
JP4220446B2 (en) |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 |
KR20010007014A (en) | Adaptor for connecting card | |
KR20080055678A (en) | Card adapter | |
US6840796B2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a flexible connection between internal electronics and an auxiliary connection | |
KR100799439B1 (en) | Adapter for Memory Card | |
JP3062928B2 (en) | contact | |
JP3965380B2 (en) | Male terminal and male connector using the same | |
US6966785B2 (en) | Connector | |
JP4399402B2 (en) | Memory card adapter | |
JP4482476B2 (en) | Connector and opening window member | |
JP3606152B2 (en) | Information card | |
KR200404096Y1 (en) | Antenna connector with switch function | |
KR20060125698A (en) | Memory pack | |
JPH0682777U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