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9309B1 -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309B1
KR100799309B1 KR1020060123200A KR20060123200A KR100799309B1 KR 100799309 B1 KR100799309 B1 KR 100799309B1 KR 1020060123200 A KR1020060123200 A KR 1020060123200A KR 20060123200 A KR20060123200 A KR 20060123200A KR 100799309 B1 KR100799309 B1 KR 100799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utput control
lever
gear
fu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호
Original Assignee
아틱스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틱스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아틱스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060123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3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3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00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5/60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2Details or accessories of test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14Testing gas-turbine engines or jet-propuls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Of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시운전용 설비의 엔진 출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시험용 엔진을 시운전하는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에 있어서, 연료의 공급량을 결정하는 출력조절레버와 상기 출력조절레버의 하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쓰로틀 기어와 상기 쓰로틀 기어의 치차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축에 일단이 결합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타단에 결합되는 포텐셔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력조절부; 상기 출력조절부의 포텐셔미터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전달하는 푸시풀 와이어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부; 및 상기 푸시풀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푸시풀 와이어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의 변위폭을 가지되, 상기 변위에 의해 연료의 투입량이 결정되는 연료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출력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험용 엔진을 시운전함에 있어서, 연료의 투입량 대비 엔진의 출력을 정확하게 제어하고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항공기용 엔진, 시운전, 출력 조절 장치, 푸시풀 와이어

Description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Power Control System For a Test Of An Engine}
도 1은 엔진 시운전 설비가 구축되는 장소의 개략도.
도 2는 상기 엔진 시운전 설비의 엔진 스탠드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설치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출력조절부의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출력 조절 레버의 정면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출력조절부의 측면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블럭고정 클램프의 평면도 및 우측면도.
도 6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미끄럼 조절 블럭의 정면도 및 좌측면 단면도.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미끄럼 조절 블럭에 삽입되는 판 스프링의 평면도와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의 종동기어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의 종동기어 및 포텐셔미터의 조립체 상세도.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포텐셔미터 커플링의 정면도 및 좌,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시험용 엔진 11 : 엔진 스탠드
20 : 베이스 플레이트 30 : 엔진스탠드 기둥
40 : 엔진스탠드 상부 110 : 출력조절부
111 : 출력조절레버 112 : 레버 가이드판
113 : 쓰로틀 기어 114 : 종동기어
114a : 종동기어 축 115 : 블럭고정 클램프
115a : 고정볼트 홈 116 : 미끄럼 조절 블럭
117 : 고정볼트 118 : 긴장용 판스프링
119 : 포텐셔미터 커플링 120 : 아이들 위치 스토퍼
121 : 스토퍼 122 : 포텐셔미터
123 : 위치센서 고정판 124 : 연결봉
130 : 액츄에이터부 131 : 연료배관
132 : 배관고정클램프 133 : 푸시풀케이블
140 : 출력제어부 141 : 연료조절장치(FCU)
본 발명은 엔진 시운전 설비에 장착되는 엔진의 출력을 조절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항공기 엔진 등의 엔진 시운전에 있어서 엔진의 출력량에 따라 관련 부품들의 내구성 및 연료 투입 대비 출력량 등에 대해 종합적인 시험을 하게 된다. 항공기 엔진은 실제로 항공기에 탑재되기 전에 여러가지 검사를 거치게 되며 이는 항공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필수적인 사항이다.
또한, 엔진의 효율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항공기의 성능과 직결되기 때문에 항공기 엔진의 출력이 연료투입 대비 적정수준 이상으로 유지되는지 검사하는 것은 당연한 검사항목이 된다.
항공기 엔진은 자동차 엔진 등 통상의 엔진과는 달리 고온 및 고출력을 나타내므로 엔진의 출력을 조절하는 장비 또한 항공기 엔진의 성능시험 환경에 맞추어져 구비되어야 한다.
도 1은 엔진 시운전 설비가 구축되는 장소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상기 엔진시운전 설비의 엔진 스탠드의 측면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시운전용 엔진스탠드(11)는 시험용 엔진(10)이 상기 스탠드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엔진 스탠드는 베이스플레이트(20), 엔진스탠드 기둥(30) 및 엔진스탠드 상부(40)로 구성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0)는 엔진스탠드 기둥(30)이 견고하게 고정되고 엔진 시운전시 엔진스탠드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바닥부의 방진부재로서, 그 구성을 보면 콘크리트(21)에 복수개의 앵커볼트(22)를 매설하여 엔진스탠드 기둥(30)의 하부기초판(31)과 복수개의 하드락 너트(23)를 결합하여 엔진스탠드가 베이스플레이트(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엔진 스탠드 기둥(30)은 바닥의 베이스 플레이트(20)에 고정되어 엔진을 지지하여 모든 엔진 추력을 견디고 시운전시 발생되는 바람이 부드럽게 흐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을 보면 베이스 플레이트(20)의 상면에 위치하여 결합되는 하부기초판(31)과 상기 하부기초판(31) 위에 직각으로 세워져 고정되는 사각기둥(32)과, 상기 사각기둥의 전면에 설치되는 유선형의 전면프레임(33)과 상기 사각기둥의 후면에 위치하여 하부기초판(31)과 사각기둥(32)을 지지 고정시켜주는 2개의 측면프레임(34)을 형성한다.
엔진스탠드 기둥(30)의 형상과 재질을 보면 상기 전면프레임(33)은 유선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7mm 압연강재를 구부려 반원의 기둥형상으로 한다. 또한 사각기 둥(32)의 전면과 반원기둥의 내측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원주형 가로프레임(33a)을 용접 조립한다. 상기 하부기초판(31) 또한 압연강재를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사각기둥(32)은 엔진스탠드 기둥(30)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1개 혹은 2개 이상으로 형성하되 사각기둥(32) 안으로 센서류 튜브 및 전선류, 기타 배관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바람직하게는 압연강판 재질의 사각 파이프를 사용한다.
항공기 엔진을 도 1에서 보인 스탠드와 설치공간에 배치하여 시운전 및 시험을 행함에 있어서는 특히, 항공기 엔진이 설치되는 공간과 엔진을 제어하는 공간이 분리되어 있어야만 고온 및 소음 환경으로부터 시험운영자가 안전한 시험을 행할 수 있으므로 엔진의 제어를 위한 출력제어부는 항공기 엔진과 이격되어 있는 별도의 제어실에 배치된다. 따라서 엔진 출력제어부와 항공기 엔진이 이격되어 있어 원격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항공기 엔진의 성능시험은 타 엔진의 성능시험과는 달리 고출력이 발생하므로 각 장비간 위치 등에 대해 정교한 위치조정이 있어도 성능시험의 진동으로 인해 미세한 위치의 이동이 있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출력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것이 매우 긴요하며 만약 이러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시험장치의 운영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엔진 시운전용 설비에 장착 되는 출력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험되는 엔진으로부터 원거리에서 연료 투입량을 조절하더라도 조절된 일정량의 연료가 적정하게 엔진 내부로 투입될 수 있는 출력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출력조절 장치상의 레버를 레버 가이드판의 비스듬한 위치에 놓아두어도 레버 자체의 하중에 의해서도 움직이지 않아 시험용 엔진에 일정량의 연료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으며, 고온 및 고출력의 엔진 시험 환경에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출력조절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엔진의 시험에 사용되는 엔진 출력 조절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즉, 시험용 엔진을 시운전하는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에 있어서, 연료의 공급량을 결정하는 출력조절레버와 상기 출력조절레버의 하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쓰로틀 기어와 상기 쓰로틀 기어의 치차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축에 일단이 결합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타단에 결합되는 포텐셔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력조절부; 상기 출력조절부의 포텐셔미터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전달하는 푸시풀 와이어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부; 및 상기 푸시풀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푸시풀 와이어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의 변위폭을 가지되, 상기 변위에 의해 연료의 투입량이 결정되는 연료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출력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에 관한 것이다.
상기 출력조절부에는 출력조절레버를 외부에서 감싸되 레버가 움직일 수 있는 긴 홈을 구비하는 레버 가이드판, 상기 출력조절레버의 상단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블럭고정 클램프와 미끄럼 조절 블럭, 상기 미끄럼 조절 블럭 하단의 홈에 위치하여 상기 레버 가이드판의 외부벽과 마찰력을 가지는 판스프링을 더 구비하여 레버가 자중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종동기어를 안티백래쉬기어로 구성하여 레버를 도면상의 좌우로 움직임에 따라 치차의 백래쉬에 의한 데드밴드 없이 연료주입량이 결정되도록 하며, 상기 커플링은 종동기어 축과 포텐셔미터간의 위치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주름형태의 이격공간이 있는 것으로 하여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정면 설치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배면 설치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운전용 엔진 스탠드 상부에 시험용 엔진을 적재하여 엔진의 운전시 발생되는 추력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엔진 스탠드를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엔진 스탠드의 중단부인 엔진 스탠드 기둥에는 액츄에이터(130)를 부착하고 상기 액츄에이터(130)의 일단에는 출력조절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케이블이 구비된다.
액츄에이터(130)의 타단에는 푸시풀 케이블(133)을 연결하고 상기 푸시풀 케이블(133)의 끝단에 시험용 엔진에 구비되어 있는 연료조절장치(FCU : Fuel Control Unit, 141)와 연결시켜 궁극적으로 연료조절이 가능하게 한다. 즉, 출력조절부(110)의 조절에 의해 액츄에이터(130)를 작동시키며 상기 액츄에이터(130)의 조작에 의해 푸시풀 케이블(133)을 작동시키고 상기 푸시풀 케이블(133)의 작동에 의해 엔진에 연료공급의 다소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출력조절부(110)와 액츄에이터(130) 사이에는 출력조절부(110)에 의해 연료가 시험용 엔진으로 공급될 수 있는 연료배관(131) 및 상기 배관이 엔진 시험용 스탠드에 고정될 수 있는 배관 고정 클램프(132)가 구비되어 있다.
출력조절부(110)가 엔진의 출력제어부(140)와 가까운 위치에서 연료공급을 조작할 수 있으면 연료공급의 조절이 더욱 용이하겠지만, 엔진의 시운전시 발생되는 열로 인해 부득이 외부의 독립된 공간(제어실 등)에 출력조절부(110)가 설치된다.
출력조절부(110)와 시운전용 엔진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지면 연료공급량 제어에 오차가 생길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출력조절부(110)와 시운전용 엔진의 연료조절장치의 출력제어부(140) 사이에 액츄에이터(130)를 설치하여 출력조절부(110)에 의한 조작이 액츄에이터(130)를 거쳐 출력제어부(140)에 전달됨으로써 원거리에서 조작함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연료공급이 되도록 하는 것 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출력조절부(110)와 액츄에이터(130) 사이에 앰플리파이어 등을 설치하여 출력조절레버의 조작한계를 넘어서까지 연료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또한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출력조절부의 평면도를,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레버의 정면 확대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력조절부는 출력조절레버(111), 상기 출력조절레버(111)가 외부로 이탈되지 못하도록 레버의 좌우에 설치된 레버 가이드판(112), 상기 출력조절레버(111)가 일정구간 이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레버 가이드판(112)의 끝단에 각각 설치되는 스토퍼(121), 시험용 엔진에 일정량 이상의 연료가 일정하게 공급되도록 상기 레버(111)가 멈춰있도록 하는 레버 가이드판(112) 상에 설치되는 아이들 위치 스토퍼(120), 상기 출력조절레버(111)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111)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쓰로틀 기어(113) 및 상기 쓰로틀 기어(113)와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기어(114)인 안티백래쉬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 출력조절부는 엔진 시험 공간과는 분리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에 연료의 주입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상기 출력조절부에는 출력조절레버(111)가 구비되는데 상기 레버(111)를 도면상의 좌우로 이동시키게 되면 엔진에의 연료공급의 량이 결정되게 된다.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 연료의 공급이 줄어들게 되고, 우 측으로 이동시 연료의 공급이 늘어나게 된다.
상기 레버(111)가 정해진 루트만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레버(111)의 측면에 레버 가이드판(112)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 가이드판(112)의 상부에는 레버(11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긴 홈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레버 가이드판(112)상에는 아이들 위치 스토퍼(120)가 구비되어 있는데 통상 엔진의 지속적인 구동을 위해서는 최소한 일정량의 연료가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고 상기 엔진의 구동을 위한 최소한의 공급이 이루어지기 위한 레버(111)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출력조절레버(111)의 고정축인 하부의 끝단에는 상기 레버(111)의 움직임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쓰로틀 기어(113)가 구비되어 있어 출력조절레버(111)의 조작에 의해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쓰로틀 기어(111)의 치차와 맞물려 돌아가는 종동기어(114)가 구비되는데 상기 기어는 치차의 백래쉬에 의한 데드밴드를 제거하기 위해 안티백래쉬기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출력조절부의 측면 단면도를, 도 6a는 블럭고정 클램프의 평면도 및 우측면도를,도 6b 는 미끄럼 조절 블럭의 정면도 및 좌측면 단면도를, 도 6c는 미끄럼 조절 블럭에 삽입되는 판 스프링의 평면도와 정면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력조절레버(111)에는 블럭고정 클램프(115)와 미끄럼 조절 블럭(116)에 의해 좌우가 감싸지게 되며 상기 블럭고정 클램프(115)와 미끄럼 조절 블럭(116)은 고정볼트(117)에 의해 상기 레버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된다.
블럭고정 클램프(115)는 도면상의 출력조절레버(111)의 상단부 우측에 위치시키고 미끄럼 조절 블럭(116)은 도면상 출력조절레버(111)의 상단부 좌측에 위치시켜 상기 블럭고정 클램프(115)와 미끄럼 조절 블럭(116)에 각기 형성된 복수개의 홈(115a, 116b)에 고정볼트(117)를 연결시켜 고정시킨다. 이때, 블럭고정 클램프(115)의 출력조절레버 함입부위(115b)의 크기는 출력조절레버(111)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단단하게 조립되도록 한다.
미끄럼 조절 블럭(116)은 상단부에 블럭고정 클램프(115)와 연결될 수 있는 복수개의 홀(116b)을 구비하여 고정시키며, 하단에는 판스프링(118)이 위치할 수 있는 홈(116a)을 구비하여 인위적인 조작이 없이는 출력조절레버(111)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미끄럼 조절 블럭(116)의 하단에는 긴장용 판스프링(118)이 위치할 수 있는 긴 홈을 구비하되 상기 홈(116a)과 레버 가이드판의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레버(111)가 도 6상의 우측으로 힘을 받도록 하는 판스프링(118)이 구비된다.
상기 판스프링(118)은 레버 가이드판과 미끄럼 조절 블럭(116) 사이에서 레버(111)의 위치 여하에 상관없이 레버(111)가 중력에 의해 아랫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유량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레버를 수동으로 조작할 때에는 탄성에 의해 레버(111)의 움직임을 방해하지는 않아야 하기 때문에 조작시 상기 레버(111)를 도 6상의 우측으로 약간 이동시켜 레버(111)를 조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종동기어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출력조절레버의 조작에 의해 출력조절레버의 축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축에 연결되어 있는 쓰로틀 기어가 같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쓰로틀 기어의 치차와 연결되어 있는 종동기어(114) 또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시험용 엔진에 연료의 투입량 대비 출력을 측정하는 정밀한 도구이고 상기 연료의 투입량의 판단은 오로지 출력조절레버에 의하게 되므로 출력조절레버에 변위가 곧 연료의 투입량을 측정하는 척도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이 기어의 맞물림의 경우 구동기어의 일방향의 회전이 있은 후 타방향으로의 회전이 있을 경우 기어 자체의 구조상 구동기어의 역회전과 동시에 종동기어(114)가 다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종동기어는 구동기어가 역방향으로 약간 회전하는 동안에는 움직이지 않고 있다가 일정한 거리 이상의 이동이 있은 후에야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레버의 이동에 따라 구동기어인 쓰로틀 기어가 회전하고 이에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가 회전하게 되나, 레버를 반대로 이동시키면 쓰로틀 기어는 역회전을 하게되나, 종동기어(114)는 바로 역회전을 하는 것이 아니고 기어 치차와 치차간 약간의 공간을 지난 후에라야만 비로소 역회전을 하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종동기어(114)를 안티백래쉬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동기어(114)를 길이방향으로 두개로 절단한 후 상기 기어간에는 내측으로 스프링 등으로 연결하여 종동기어(114)의 치차가 구동기어 치차의 좌우측면에 각각 밀착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시 구동기어의 회전에 이은 역회전시에도 종동기어의 구동간 간격없이 바로 역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종동기어(114)에 연결되어 있는 액츄에이터부와 출력제어부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종동기어 및 포텐셔미터 조립체 상세도를, 도 8a는 포텐셔미터 커플링의 정면도 및 좌, 우측면도를 각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동기어(114)와 종동기어의 축(114a)과 연결되는 포텐셔미터(122) 사이에는 포텐셔미터 커플링(119)이 위치한다. 포텐셔미터(122)는 가변저항으로서 종동기어(114)의 회전각에 따른 저항치의 조절에 의해 시험용 엔진으로의 연료 주입량의 다소를 결정하는 부재를 말한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동기어의 축(114a)과 포텐셔미터(122)가 위치하는 축은 평행하게 위치시켜야 하고 이를 위해 축의 좌우에 연결봉(124)을 위치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시험용 엔진에의 연료주입과 동시에 시험용 엔진을 가동하게 되고 지속적인 시험은 상기 종동기어(114)와 포텐셔미터(122) 간의 축(114a)간 평행이 약간 비틀어질 수 있는데 상기 축간 평행이탈이 발생하더라도 커플링(119)에 형성된 주름형태의 이격공간(119a)에 의해 종동기어(114)의 회전력을 그대로 포텐셔미터(122)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주름형태의 이격공간(119a)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주름을 교차로 형성하되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시운전 설비용 출력 조절 장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시험용 엔진을 시운전함에 있어서, 연료의 투입량 대비 엔진의 출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엔진 출력장치의 출력을 조절함에 있어서 출력조절레버가 레버 자체의 하중에 의해 움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일정시간동안 일정량의 연료의 주입이 필요한 경우에도 별다른 추가 구성없이 레버의 위치가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시험용 엔진으로의 연료 주입시 연료 주입량을 줄였다 늘였다 하는 경우에도 종동기어의 백래쉬가 발생되지 아니하여 레버의 위치에 따른 연료주입량과 출력간의 정확한 상관관계의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려 돌아가는 가변저항인 포텐셔미터 사이에 위치한 커플링에 가로 세로 교차형의 주름을 형성하여 상기 종동기어와 포텐셔 미터의 약간의 틀림현상에도 종동기어의 회전력을 포텐셔미터에 전달하여 시험용 엔진의 시험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시험용 엔진을 시운전하는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에 있어서,
    연료의 공급량을 결정하는 출력조절레버와 상기 출력조절레버의 하부 끝단에 부착되어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는 쓰로틀 기어와 상기 쓰로틀 기어의 치차와 맞물려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축에 일단이 결합되는 커플링과 상기 커플링의 타단에 결합되는 포텐셔미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출력조절부;
    상기 출력조절부의 포텐셔미터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받아 구동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을 전달하는 푸시풀 와이어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부; 및
    상기 푸시풀 와이어와 연결되어 상기 푸시풀 와이어의 구동에 의해 좌우로의 변위폭을 가지되, 상기 변위에 의해 연료의 투입량이 결정되는 연료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출력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조절부에는 출력조절레버를 외부에서 감싸되 레버가 움직일 수 있는 긴 홈을 구비하는 레버 가이드판과 상기 출력조절레버의 상단에 위치하여 고정 되는 블럭고정 클램프와 미끄럼 조절 블럭과 상기 미끄럼 조절 블럭 하단의 홈에 위치하여 상기 레버 가이드판의 외부벽과 마찰력을 가지는 판스프링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는 안티백래쉬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은 종동기어 축과 포텐셔미터간의 위치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주름형태의 이격공간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용 엔진은 항공기용 엔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KR1020060123200A 2006-12-06 2006-12-06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Active KR10079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200A KR100799309B1 (ko) 2006-12-06 2006-12-06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200A KR100799309B1 (ko) 2006-12-06 2006-12-06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309B1 true KR100799309B1 (ko) 2008-01-29

Family

ID=39219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200A Active KR100799309B1 (ko) 2006-12-06 2006-12-06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3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5473A (zh) * 2016-06-03 2016-10-12 中国人民解放军第五七〇六工厂 油门杆检验型架
KR20230025120A (ko) * 2021-08-13 2023-02-21 (주)제넥 엔진 통합 시운전 시스템
CN118896779A (zh) * 2024-08-22 2024-11-05 海南中远海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舰载高速艇发动机的测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856A (ko) * 1998-10-08 2000-05-25 그라우엘 안드레아스 차량 주행시에 변속비 변화에 연관된 전위 과정을제어하는 방법
KR20040008979A (ko) * 2002-07-20 2004-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 차량의 냉시동 후 변속 쇼크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8856A (ko) * 1998-10-08 2000-05-25 그라우엘 안드레아스 차량 주행시에 변속비 변화에 연관된 전위 과정을제어하는 방법
KR20040008979A (ko) * 2002-07-20 2004-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 차량의 냉시동 후 변속 쇼크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5473A (zh) * 2016-06-03 2016-10-12 中国人民解放军第五七〇六工厂 油门杆检验型架
KR20230025120A (ko) * 2021-08-13 2023-02-21 (주)제넥 엔진 통합 시운전 시스템
KR102665471B1 (ko) * 2021-08-13 2024-05-10 (주)제넥 엔진 통합 시운전 시스템
CN118896779A (zh) * 2024-08-22 2024-11-05 海南中远海运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舰载高速艇发动机的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309B1 (ko) 엔진 시운전 설비용 엔진 출력 조절 장치
US9145791B2 (en) Automatic inspection apparatus for generator turbine and system using the same
CN113926645B (zh) 一种涂布机模头流量调节机构及其工作方法
US6691564B2 (en) Hardness tester
RU2734663C2 (ru) Машина для завинчивания и отвинчивания крепёжных болтов шпал
CN105277881B (zh) 一种多功能高压真空断路器机械特性测试装置
CN110455516B (zh) 一种弹簧测试装置及测试方法
CN110792656A (zh) 一种液压缸测试装置
WO2011145983A1 (ru) Опора трубопровода
CN118603532B (zh) 一种火箭发动机喷管模拟负载设备
CN117166791B (zh) 一种装配式建筑构件导向定位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00108876A (ko) 동력구동밸브 구동기 추력 부하시험장치
KR101592325B1 (ko) 통풍기 날개각 조절 유압시스템
CN108603527B (zh) 自对准式轴承支承装置
KR200445503Y1 (ko) 보일러의 보조 공기 조절 장치
JPH11237316A (ja) 台上試験エンジンの背圧調整装置
CN118756576B (zh) 一种索力自适应调控系统及方法
CN200943680Y (zh) 抽油机智能皮带涨紧装置
DE19712852A1 (de) Regelventil mit Stellungsregler
CN106997211B (zh) 一种传感器方位自动调整装置
CN220811468U (zh) 油管缠管监控系统
KR100280033B1 (ko) 대형회전체 냉각장치의 구동축 정열장치
CN116397540A (zh) 超宽前支点牵索挂篮悬臂施工监控和线形控制方法
KR20110013805A (ko) 보일러 연소 가스 공급 조절장치
CN113495011B (zh) 一种测力仪、井下定向工具的地面测试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