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9262B1 -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 Google Patents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262B1
KR100799262B1 KR1020070078063A KR20070078063A KR100799262B1 KR 100799262 B1 KR100799262 B1 KR 100799262B1 KR 1020070078063 A KR1020070078063 A KR 1020070078063A KR 20070078063 A KR20070078063 A KR 20070078063A KR 100799262 B1 KR100799262 B1 KR 100799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oil
extract
filler
environmentally friend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훈
김종필
Original Assignee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2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10∼20 중량%; 호모 폴리프로필렌,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및 개질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5∼20 중량%; 파라핀계 또는 파라핀-나프텐계 미네랄 오일 25∼40 중량%; 탄산칼슘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충전제 40∼55 중량%; 자외선 안정화제,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내후제 0.5∼1.0 중량%; 및 무기 안료 0.10∼0.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은 방향성 성분, 친수성 성분 및 항균·소취성 성분을 함유하는 서방성 미립자 0.05∼0.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는 4대 중금속(납, 수은, 6가 크롬 및 카드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PAHs), 휘발성 유기 화합물류(VOCs), 분진 등의 발생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인장 강도, 인열 강도, 경도, 연신율(신도) 등의 물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원료 공급의 안정성 및 비용 절감을 얻을 수 있고, 적정 경기성의 발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인조잔디, 충진재, 친환경,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호모 폴리프로필렌, 개질된 폴리프로필 렌, 개질된 폴리에틸렌, 파라핀계 또는 파라핀-나프텐계 미네랄 오일, 탄산칼슘, 탈크, 안료, 내후제, 서방성 미립자.

Description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AN ENVIRONMENTAL-FRIENDLY IN-FILL MATERIAL COMPOSITION FOR ARTIFICIAL TURF}
본 발명은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용 인조잔디에 있어서 충진재는 선수의 충격을 흡수하고, 공 구름성, 공 튀김성, 공이 지면에 바운드되고 난 이후의 공의 속도 변화 등 일련의 적정 경기성으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조직에 심겨진 인조잔디 원사 사이에 충진되는 물질이다.
국제 공개특허공보 제WO2005/124028호 및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041688호에는 「재생 가능한 합성 재료로 제조된 인조잔디용 입상(粒狀) 충진재로서, 난연제, 정전기 방지제, 친수성 첨가제, 오일 함유 첨가제, 살조제(殺藻劑) 등이 첨가된 인조잔디용 입상 충전제」가 기재되어 있다. 이 인조잔디용 입상 충전제는 각종 첨가제의 첨가에 의해 인조잔디의 경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주원료인 합성 재료 뿐만 아니라 난연제 등 각종 첨가제가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13557호에는 「입경 0.3∼1.0㎜의 규사와 입경 0.6∼2.5㎜의 EPDM(에틸렌 -프로필렌-디엔 모노머)칩 또는 SBR(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칩이 차례로 적층된 축구장 인조잔디용 충진재」가 언급되어 있다. 그러나, SBR의 경우 그 제조시 황(S)을 함유하는 각종 가교제의 사용에 따른 4대 중금속,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발생을 초래하여 인체에 유해하며, EPDM은 비교적 친환경적인 소재라 할 수 있지만, 가격이 비싸 원료공급의 안정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4-22765호에는 「모래와 직경 1∼3㎜의 운모와 직경 1∼3㎜의 고무가 60∼70 : 15∼25 : 10∼20의 비율로 혼합된 인조잔디 설치용 충진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인조잔디용 설치용 충진재는 구성성분의 조성에 따른 체적 밀도(bulk density)가 천차만별이고, FIFA가 인증하는 충격흡수성, 수직변형률 등의 경기성(play성)을 만족시킬 수 없으며, 전단 응력이 가해질 때 판상의 라멜라 구조인 운모가 납작하게 변화하여 지반이 경화될 우려가 있다.
한편, 인체 무해성, 물성의 지속적 발현성, 원료 공급의 안정성, 적정 경기성 발현 용이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천연 고무 소재가 인조잔디에 적합한 충진재라 할 수 있으나, 천연 고무는 세계적으로 생산량이 한정되어 수급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용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4대 중금속(납, 수은, 6가 크롬 및 카드뮴),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 분진 등의 발생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인장 강도, 인열 강도, 경도, 연신율(신도) 등의 물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우천시 유실의 위험이 없으며, 원료 공급의 안정성 및 비용 절감을 얻을 수 있고, 적정 경기성의 발현이 용이한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10∼20 중량%;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P),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modified PP) 및 개질된 폴리에틸렌(modified P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5∼20 중량%; 파라핀계 또는 파라핀-나프텐계 미네랄 오일 25∼40 중량%; 탄산칼슘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충전제 40∼55 중량%; 자외선 안정화제, 자외선 차단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내후제 0.5∼1.0 중량%; 및 무기 안료 0.10∼0.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은 천연 고무와 가장 유사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소재로서, 파라핀계 또는 파라핀-나프텐계 미네랄 오일을 흡수하며 ,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와의 상용성(compatibility)이 있다.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은 탄성 및 탄성 회복력을 부여하며, 그 자체가 블록 구조이므로 배합(컴파운딩)시 가교 형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은 양 말단의 스티렌 경질 세그먼트(hard segment)와 중질 세크먼트 사이에 연결된 에틸렌·부타디엔 연질 세그먼트(soft segment)로 이루어진 3차원 구조체이다.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은 경질 세그먼트와 연질 세그먼트가 상분리된 이상(二相, two-phase) 구조를 갖는다. 스티렌 경질 세그먼트는 비결정 영역인 에틸렌·부타디엔 연질 세그먼트와 혼재되지 않는 결정 영역이며, 상온에서 물리적인 가교 형성을 하며, 기계적 물성(예컨대, 인장 강도)을 부여하고, 유리 전이 온도(Tg)가 약 100℃이다. 이에 반하여, 에틸렌·부타디엔 연질 세그먼트는 미네랄 오일을 흡수하는 소수성의 비결정 영역이며, 유리 전이 온도 (Tg)가 약 -55℃이다. 스티렌 경질 세그먼트와 에틸렌·부타디엔 연질 세그먼트 간의 상분리는 상이한 용해도 파라미터(스티렌 - 9.1, 에틸렌·부타디엔 -7.76)에 기인하며, 상분리 정도는 기계적 물성, 유변학적 특성, 내열성 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분리 정도가 큰 것이 유리하다.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의 함량은 10∼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에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를 함유시킬 수도 있다.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과 상용성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예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개질된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질'이라 함은 공중합체(copolymer)를 의미한다. 예컨대, 지글러 촉매(Ziegler-Natta) 촉매를 이용하여 에틸렌 함량을 약 15%로 높여 비결정 영역화하여 엘라스토머 성질을 부여한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만큼은 아니지만 천연 고무에 근접한 물성을 나타내는 비교적 저가의 소재로서, 압출 조업성 및 소정의 형태 발현에 필수적인 성분이다. 또한, 올레핀계 엘라스토머는 기계적 물성과 표면 부드러움(softness)을 부여하고, 내열성을 향상시키며, 상대적으로 고가인 SEBS의 함량을 낮출 수 있다. 올레핀계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10∼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네랄 오일은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충전제(탄산칼슘 및/또는 탈크)의 균질한 혼합에 도움을 줌으로써 물성의 불균제화가 초래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미네랄 오일은 확장제(extender)/충전제 (filler)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완제품 비용을 낮출 수 있으며, 완제품 충진재의 인장 강도, 경도, 반발 탄성 등의 특성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고, 충전제의 분산을 도와주며, 열을 흡수 분산시키고, 다른 구성성분들의 혼합을 빠르게 하여 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점도를 낮추어 천연 잔디와 유사한 촉감을 발현하도록 한다. 미네랄 오일이 없다면, 충진재 표면이 거칠거칠하여 선수의 피부에 충진재가 닿을 때 불쾌한 느낌을 초래하고, 심한 경우에는 화상의 위험이 있다. 미네랄 오일은 파라핀계 미네랄 오일 또는 파라핀-나프텐계 미네랄 오일인 것이 바람직하고, 파라핀계 미네랄 오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파라핀계 미네랄 오일은 충진재의 유동(flow)과 색상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파라핀계 또는 파라핀-나프텐계 미네랄 오일의 함량은 25∼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전제(filler)는 탄산칼슘(CaCO3) 및 탈크(tal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것이 바람직하며, 탄산칼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충전제는 완제품 충진재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오일 흡수성(oil absorbency)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충전제의 함량은 40∼5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는 산화방지제, 오존방지제, 자외선 안정화제 등의 첨가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다른 성분들의 보호를 위해 소량의 내후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후제는 자외선 안정화제, 자외선 차단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안정화제의 예로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4-(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4-(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이미노]]을 들 수 있고, 자외선 차단제의 예로는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 페놀을 들 수 있으며, 산화방지제의 예로는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하이드로시나미드)을 들 수 있다. 내후제의 함량은 0.5∼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 예컨대, 충전제(filler)로서의 탄산칼슘의 함량이 50 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100,000 ppm 미만의 내후제 첨가는 무의미하다.
무기 안료는 착색에 의해 원하는 색상을 발현시키는 역할을 한다. 무기 안료는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고, 무기 안료의 함량은 0.10∼0.1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은 방향성, 친수성 및 항균·소취성 중 하나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는 서방성 미립자 0.05∼0.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전단 응력, 수직 충격 등 외력이 가해져 경기시에 선수가 하중 및 압력을 받게 되면 상기 서방성 미립자가 서서히 방출된다. 방향성 성분은 쾌적한 경기 환경을 조성하고, 친수성 성분은 우천시 충진재가 비를 머금을 수 있도록 하고, 인조잔디 하층부 지반의 구배에 의한 자연적인 표면 배수 효과 이외의 배수 효과를 배가시키며, 항균·소취성 성분은 항균 및/또는 소취 효과를 낸다. 방향성 성분은 로즈마리 오일, 쑥 오일, 딸기 오일, 자스민향 오일, 그린티향 오일, 레몬향 오일, 베이비파우더향 오일, 라벤더향 오일 및 파인향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친수성 성분은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메틸에테르/말레산무수물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항균·소취성 성분은 Ag-제올라이트, Ag-알기네이트, 솔잎 추출물, 피톤치드 추출물, 녹차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허브 추출물, 감초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정향유 추출물, 로즈마리 오일, 세이즈 오일, 라벤더 오일, 자몽 종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특히, 호모 폴리프로필렌), 미네랄 오일(특히, 파라핀계 미네랄 오일) 및 충전제(특히, CaCO3)의 함량의 증가에 따른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의 물성의 변화는 하기 표 1에 나타나 있다.
호모 폴리프로필렌 파라핀계 미네랄 오일 CaCO3
인장 강도
신장율(연신율)
인장 응력
경도
인열 강도
비중
용융 흐름 지수
가공성
↑: 증가 ↓: 감소 ↗: 약간 증가 ↘: 약간 감소 →: 거의 변화없음
또한, 본 발명은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물리적 혼합에 의해 전술한 친환경 인조잔디용 조성물을 조제하고 압출한 후, 수(水) 중에서 절단 및 분쇄하여 타원형의 입자들을 형성시키는 것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로서, 평균 직경이 1.5∼3.0㎜이고, 형태는 타원형 또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를 제공한다. 이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는 비중이 1.1∼1.6 g/㎤이고, 체적 밀도(bulk density)가 0.6∼0.9 ㎏/ℓ인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재의 비중이 1.6 g/㎤를 초과하여 커질수록 인조잔디 단위 면적당 소요되는 충진재의 양이 커지므로 원가 부담이 생기고, 충진재의 비중이 1.1 g/㎤ 미만으로 너무 낮으면 우천시 유실될 위험이 크다.
본 발명의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는 4대 중금속(납, 수은, 6가 크롬 및 카드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PAHs), 휘발성 유기 화합물류(VOCs), 분진 등의 발생을 초래하지 않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인장 강도, 인열 강도, 경도, 연신율(신도) 등의 물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우천시 유실의 위험이 없으며, 원료 공급의 안정성 및 비용 절감을 얻을 수 있고, 적정 경기성의 발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주가 하기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른바 "당업자" 또는 "평균적 기술자")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하기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 수정 및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A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의 조성과 물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비고
개질된 PP 또는 개질된 PE 15 중량% 15 중량% 10 중량%
호모 PP 20 중량% 20 중량%
파라핀계 미네랄 오일 25 중량% 25 중량% 25 중량% 25 중량% 25 중량%
CaCO3 50 중량% 50 중량% 45 중량% 45 중량% 40 중량%
SEBS 10 중량% 10 중량% 10 중량% 10 중량% 20 중량%
무기 안료 0.12 중량% 0.12 중량% 0.12 중량% 0.12 중량% 0.12 중량%
자외선 안정화제 0.03 중량% 0.03 중량% 0.03 중량% 0.03 중량% 0.03 중량%
자외선 차단제 0.02 중량% 0.02 중량% 0.02 중량% 0.02 중량% 0.02 중량%
산화방지제 0.01 중량% 0.01 중량% 0.01 중량% 0.01 중량% 0.01 중량%
서방성 미립자 0.5 중량% 0.5 중량%
인장 강도(Kgf/㎠) 62.777 59.6∼63.2 54.148 ∼54.6 48.498∼50.622 실시예 1보다 낮음 실시예 5는 신장율이 너무 높아 에러 발생함.
신장율(%) 850 750∼762 351.69 ∼396.13 349.76 ∼371.50 실시예 1보다 높음
비중 1.33 1.33 1.28 1.28
경도(Shore A) 37∼38 38∼39 84 84
*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되, 무기 안료 및 내후제(자외선 안정화제, 자외선 차단제 및 산화방지제)의 함량은 파라핀계 미네랄 오일의 함량을 기준으로 함.
* 시험 측정 규격: KS C 3094
* 경도 측정은 시편을 10 mm 이상 떨어진 위지에 놓고 수동 Shore A를 5초간 눌러 가리키는 수치를 읽는 방법에 의함.
* 일반적으로 경도가 낮을수록 인장 강도는 낮아지고 신장율은 높아짐.
실시예 B
호모 폴리프로필렌 5.9 중량%, 파라핀계 미네랄 오일 29.4 중량%, 탄산칼슘 (CaCO3) 충전제 50 중량% 및 SEBS 14.7 중량%를 주성분으로 한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을 조제하고 압출한 후, 수(水) 중에서 절단 및 분쇄하여 타원형의 입자들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한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의 시료에 대한 물성 시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단위 시료 X 시료 Y 측정 방법
경도 Shore A 42 44 ASTM D 2240
인장 강도 ㎏f/㎠ 13.75 14.16 ASTM D 638
신장율(연신율) % 685 825 ASTM D 638
비중 1.20 1.30 ASTM D 792
실시예 C
본 발명의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의 인체 무해성에 대한 시험을 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 항목 단위 규격 기준 시험 결과 시험 방법
납(Pb) ㎎/㎏ 90 이하 합격 KS R 1301:2006
카드뮴(Cd) 50 이하 합격
수은(Hg) 25 이하 합격 USEPA 3052:1996 시험장비: ICP-AES
6가 크롬(Cr6 +) 25 이하 합격 USEPA 3060A:1996 시험장비: UV-가시광선 분광광도계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 벤조(a)피렌 10 이하 합격 USEPA 8100:1986
벤조(e)피렌 합격
벤조(a)안트라센 합격
차이렌(chyrene) 합격
벤조(a)플루오르안텐 합격
벤조(j)플루오르안텐 합격
벤조(k)플루오르안텐 합격
디벤조(a,h)안트라센 합격
휘발성 유기 화합물류 벤젠 50 이하 합격 USEPA 5021:1996
톨루엔 합격
에틸벤젠 합격
크실렌 합격
* T-VOCs 중 벤젠의 규격 기준은 1 ㎎/㎏ 이하임.
상기 표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에서는 4대 중금속(납, 수은, 6가 크롬 및 카드뮴),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류 (PAHs), 휘발성 유기 화합물류(VOCs) 등이 검출되지 않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는 인체에 무해하다.

Claims (7)

  1.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SEBS) 10∼20 중량%;
    호모 폴리프로필렌, 개질된 폴리프로필렌 및 개질된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5∼20 중량%;
    파라핀계 또는 파라핀-나프텐계 미네랄 오일 25∼40 중량%;
    탄산칼슘 및 탈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충전제 40∼55 중량%;
    자외선 안정화제, 자외선 차단제 및 산화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내후제 0.5∼1.0 중량%; 및
    무기 안료 0.10∼0.1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성(芳香性) 성분, 친수성 성분 및 항균·소취성 성분을 함유하는 서방성(徐放性) 미립자 0.05∼0.5 중량%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방향성 성분은 로즈마리 오일, 쑥 오일, 딸기 오일, 자스민향 오일, 그린티향 오일, 레몬향 오일, 베이비파우더향 오일, 라벤더향 오일 및 파인향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친수성 성분은 에틸렌 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메틸에테르/말레산무수물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항균·소취성 성분은 Ag-제올라이트, Ag-알기네이트, 솔잎 추출물, 피톤치드 추출물, 녹차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허브 추출물, 감초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정향유 추출물, 로즈마리 오일, 세이즈 오일, 라벤더 오일, 자몽 종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안정화제는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4-(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4-(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딜)이미노]]이고,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 페놀이며, 상기 산화방지제는 N,N'-헥사메틸렌-비스-(3,5-디-tert-부틸-4-히드록시하이드로시나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5.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물리적 혼합에 의해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친환경 인조잔디용 조성물을 조제하고 압출한 후, 수(水) 중에서 절단 및 분쇄하여 타원형 또는 구형의 입자들을 형성시키는 것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로서,
    충진재 입자는 평균 직경이 1.5∼3.0㎜이고, 형태가 타원형 또는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7. 제 6 항에 있어서,
    비중이 1.1∼1.6 g/㎤이고, 체적 밀도(bulk density)가 0.6∼0.9 ㎏/ℓ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20070078063A 2007-08-03 2007-08-03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Active KR100799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063A KR100799262B1 (ko) 2007-08-03 2007-08-03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8063A KR100799262B1 (ko) 2007-08-03 2007-08-03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262B1 true KR100799262B1 (ko) 2008-01-30

Family

ID=3921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8063A Active KR100799262B1 (ko) 2007-08-03 2007-08-03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262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578B1 (ko) 2009-02-26 2009-05-20 주식회사 대운 스판덱스 폐사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09982B1 (ko) 2009-03-11 2009-07-29 주식회사 대운 스판덱스 폐사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탄성 칩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0935572B1 (ko) * 2009-04-27 2010-01-07 이병석 인조잔디 충진용 엘라스토머 구체를 제조하는 장치
KR101037137B1 (ko) * 2008-12-24 2011-05-26 주식회사 올텍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1073378B1 (ko) 2011-01-12 2011-10-13 주식회사 피.엔.케이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9047B1 (ko) 2011-04-15 2011-11-02 주식회사 케이씨씨 친환경 인조잔디용 코아-쉘 타입 충진재
KR101164030B1 (ko) * 2012-01-26 2012-07-18 주식회사 정영씨엠 보습 및 방열기능이 향상된 인조잔디용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167321A1 (en) * 2011-06-10 2012-12-13 Huntsman Corporation Australia Pty Limited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physical stability of agricultural oil-based suspension formulations
KR101276134B1 (ko) * 2012-04-10 2013-06-18 주식회사 히기아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재
KR101352409B1 (ko) 2013-02-07 2014-01-17 주식회사 정영씨엠 숯흡착층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1363360B1 (ko) * 2013-04-02 2014-02-17 주식회사 효성월드그린 인조잔디용 친환경 기능성 충진재
CN104088030A (zh) * 2014-07-01 2014-10-08 泰山体育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户外驱蚊虫人造草丝纤维及其制备方法
WO2014168290A1 (ko) * 2013-04-12 2014-10-16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9011740B2 (en) 2008-12-15 2015-04-21 Textile Management Associates, Inc. Method of recycling synthetic turf and infill product
CN104530629A (zh) * 2014-11-13 2015-04-22 苏州威尔德工贸有限公司 一种用于塑料玩具的抗菌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589406B1 (ko) * 2015-04-22 2016-01-28 케이앤비준우 주식회사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
KR101748716B1 (ko) * 2016-06-20 2017-06-19 이종호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용 칩의 조성물
KR101776207B1 (ko) * 2017-04-13 2017-09-07 하승희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재와 그 제조방법
CN108164810A (zh) * 2016-12-08 2018-06-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连续保持的除臭能力和芳香性的聚丙烯复合树脂组合物
US10633802B2 (en) 2017-08-31 2020-04-28 Jiho LEE Filler for artificial gras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filler
US20210171751A1 (en) * 2018-08-16 2021-06-1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wellable elastomeric infill composition for artificial turf
KR102301119B1 (ko) * 2020-06-24 2021-09-15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항균성 인조잔디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220A (en) 1979-04-26 1982-10-26 Brunswick Corporation Artificial turf-like product of thermoplastic polymers
JPH10182900A (ja) 1996-06-06 1998-07-07 Mitsuboshi Belting Ltd 粉末スラッシュ成形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KR20040012756A (ko) * 2001-04-19 2004-02-1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충전된 열가소성 조성물
US7060334B2 (en) 2003-06-10 2006-06-13 Mondo S.P.A. Infill material for synthetic-grass structures, corresponding synthetic-grass structure and process of preparation
KR100780229B1 (ko) 2007-09-05 2007-11-28 이태흥 인조잔디용 열가소성 탄성체 칩과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220A (en) 1979-04-26 1982-10-26 Brunswick Corporation Artificial turf-like product of thermoplastic polymers
JPH10182900A (ja) 1996-06-06 1998-07-07 Mitsuboshi Belting Ltd 粉末スラッシュ成形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
KR20040012756A (ko) * 2001-04-19 2004-02-1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충전된 열가소성 조성물
US7060334B2 (en) 2003-06-10 2006-06-13 Mondo S.P.A. Infill material for synthetic-grass structures, corresponding synthetic-grass structure and process of preparation
KR100780229B1 (ko) 2007-09-05 2007-11-28 이태흥 인조잔디용 열가소성 탄성체 칩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11740B2 (en) 2008-12-15 2015-04-21 Textile Management Associates, Inc. Method of recycling synthetic turf and infill product
KR101037137B1 (ko) * 2008-12-24 2011-05-26 주식회사 올텍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0898578B1 (ko) 2009-02-26 2009-05-20 주식회사 대운 스판덱스 폐사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09982B1 (ko) 2009-03-11 2009-07-29 주식회사 대운 스판덱스 폐사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탄성 칩 조성물 및 제조 방법
KR100935572B1 (ko) * 2009-04-27 2010-01-07 이병석 인조잔디 충진용 엘라스토머 구체를 제조하는 장치
KR101073378B1 (ko) 2011-01-12 2011-10-13 주식회사 피.엔.케이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79047B1 (ko) 2011-04-15 2011-11-02 주식회사 케이씨씨 친환경 인조잔디용 코아-쉘 타입 충진재
CN103501596A (zh) * 2011-06-10 2014-01-08 胡茨曼澳大利亚股份有限公司 用于提高农业油基悬浮制剂的物理稳定性的组合物和方法
WO2012167321A1 (en) * 2011-06-10 2012-12-13 Huntsman Corporation Australia Pty Limited Composition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physical stability of agricultural oil-based suspension formulations
KR101164030B1 (ko) * 2012-01-26 2012-07-18 주식회사 정영씨엠 보습 및 방열기능이 향상된 인조잔디용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76134B1 (ko) * 2012-04-10 2013-06-18 주식회사 히기아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재
KR101352409B1 (ko) 2013-02-07 2014-01-17 주식회사 정영씨엠 숯흡착층을 가지는 인조잔디용 충진재
KR101363360B1 (ko) * 2013-04-02 2014-02-17 주식회사 효성월드그린 인조잔디용 친환경 기능성 충진재
US9481786B2 (en) 2013-04-12 2016-11-01 Samsung Sdi Co., Ltd. Thermoplastic rubber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WO2014168290A1 (ko) * 2013-04-12 2014-10-16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CN104088030A (zh) * 2014-07-01 2014-10-08 泰山体育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户外驱蚊虫人造草丝纤维及其制备方法
CN104530629A (zh) * 2014-11-13 2015-04-22 苏州威尔德工贸有限公司 一种用于塑料玩具的抗菌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589406B1 (ko) * 2015-04-22 2016-01-28 케이앤비준우 주식회사 기능성 인조잔디 코팅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친환경 인조잔디
KR101748716B1 (ko) * 2016-06-20 2017-06-19 이종호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용 칩의 조성물
CN108164810A (zh) * 2016-12-08 2018-06-15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具有连续保持的除臭能力和芳香性的聚丙烯复合树脂组合物
US10465066B2 (en) * 2016-12-08 2019-11-05 Hyundai Motor Company Polypropylen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continuously maintained deodorizing capability and aromaticity
KR101776207B1 (ko) * 2017-04-13 2017-09-07 하승희 인조잔디용 친환경 충진재와 그 제조방법
US10059836B1 (en) 2017-04-13 2018-08-28 Sung Hee Ha Eco-friendly filler for artificial gra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633802B2 (en) 2017-08-31 2020-04-28 Jiho LEE Filler for artificial gras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filler
US20210171751A1 (en) * 2018-08-16 2021-06-10 Dow Global Technologies Llc Swellable elastomeric infill composition for artificial turf
KR102301119B1 (ko) * 2020-06-24 2021-09-15 주식회사 미도플러스 항균성 인조잔디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262B1 (ko)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KR101037137B1 (ko)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충진재
ES2552665T3 (es) Relleno de césped artificial y césped artificial que incluye el mismo y procedimiento para su producción
KR100780229B1 (ko) 인조잔디용 열가소성 탄성체 칩과 그 제조방법
KR101073378B1 (ko)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5211B1 (ko) 천연 코르크를 이용한 인조잔디용 탄성 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965815B1 (ko) 맥반석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제조방법
US20160262403A1 (en) Cushioning foams containing aromatic wood particles
WO2013046494A1 (ja) 人工芝および人工芝施設
KR102374726B1 (ko) 인조잔디 구조체
CN106700380A (zh) 一种弹性粒子、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20110046778A (ko) 항균용 충진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조잔디
KR102128255B1 (ko) 테르펜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충진재
US20130243976A1 (en) Artificial turf infill and artificial turf including the same
KR102152938B1 (ko) 규조토가 함유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79047B1 (ko) 친환경 인조잔디용 코아-쉘 타입 충진재
WO2006136436A1 (en) Styrene block copolymers as infill material in artificial turf systems
KR101972371B1 (ko) 숯을 함유한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05886B1 (ko) 친환경 기능성 광물 포장재
KR101855086B1 (ko) 친환경 인조잔디용 충진재 조성물
KR102074662B1 (ko) 탄성 바닥 표층 마감재 조성물
KR100975608B1 (ko) 친환경 탄성포장재 칩
ES3004683T3 (en) Artifical turf infill with natural rubber granules
KR101267299B1 (ko) 인조잔디 및 충진제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물, 인조잔디 및 충진제를 이용한 인조잔디 구조물 제조 방법
KR100934735B1 (ko) 천연 소재를 이용한 인조잔디 충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