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9005B1 - 액체 와이퍼 장치를 갖는 액체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와이퍼 장치를 갖는 액체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005B1
KR100799005B1 KR1020050063251A KR20050063251A KR100799005B1 KR 100799005 B1 KR100799005 B1 KR 100799005B1 KR 1020050063251 A KR1020050063251 A KR 1020050063251A KR 20050063251 A KR20050063251 A KR 20050063251A KR 100799005 B1 KR100799005 B1 KR 100799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s
wiping
nozzle opening
ink
liqu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132A (ko
Inventor
아츠시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84149A external-priority patent/JP46613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84148A external-priority patent/JP4687274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0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00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16538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with brushes or wiper blades perpendicular to the nozzle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41J2/16544Constructions for the positioning of w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잉크젯 프린터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으로부터 잉크를 분사하는 기록 헤드, 노즐 플레이트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와이핑하기 위해 기록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와이퍼, 및 와이퍼들을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이동 장치는 와이퍼들을 가변 간격으로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와이퍼들이 서로 독립적으로 노즐 플레이트 표면을 와이핑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와이퍼 장치를 갖는 액체 분사 장치 {LIQUID EJECTION APPARATUS WITH LIQUID WIPE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잉크젯 타입의 기록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각각 대기 상태에서 유지되는, 잉크 흡인 장치 및 기록 헤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에 대하여 잉크 흡인 장치의 흡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a는 노즐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b는 노즐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기록 헤드에 있어서의 압전 오실레이터의 근방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잉크 와이퍼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잉크 와이퍼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블레이드에 대하여 노즐 플레이트 표면의 와이핑 영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블레이드의 유지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1은 제1의 리드 스크루 및 제2의 리드 스크루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에 대하여 블레이드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a는 나선 기점(基點)으로부터의 축방향 거리와 제1 및 제2의 리드 스크루의 각각에 있어서의 피드 피치(feed pitch)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
도 13b는 나선 기점으로부터의 축방향 거리 대(對) 제1 및 제2의 리드 스크루의 각각에 있어서의 피드 피치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14는 각 블레이드의 이동량과 블레이드에 작용하는 반작용력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
도 15는 도 7의 화살표 A1의 방향에서 본 잉크 와이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도 7의 화살표 A2의 방향에서 본 잉크 와이퍼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홀더 부재를 제1의 리드 스크루에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8은 홀더 부재를 제1의 리드 스크루에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홀더 부재를 제1의 리드 스크루에 연결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20은 와이핑 절차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21a 내지 21d는 블레이드의 각각에 대응하는 와이핑 영역을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블레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6에 상응하는 도면.
도 23은 블레이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16에 상응하는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잉크 와이퍼 장치의 몸체 2, 3, 4, 5 : 잉크 카트리지
7 : 컨트롤러 8 : 센서
10 : 잉크젯 프린터(기록 장치) 12 : 플래튼
14 : 캐리지 15 : 벨트
15A : 용지 공급 메커니즘 16 : 모터
16A, 16B : 풀리 17 : 가이드 레일
18 : 대기 위치 19 : 흡인 펌프
20 : 잉크 흡인 장치 29 : 용지
30 : 기록 헤드 39 : 압전 오실레이터
40 : 호스트 컴퓨터 41 : 프린터 드라이버
50 : 잉크 통로 50A : 잉크 공급 바늘
51 : 압력실 61 : 노즐 플레이트 표면
62 : 노즐 플레이트 80 : 캡 몸체
80A : 측벽 81 : 칸막이
85 : 개폐 밸브 90 : 흡수 물질
91 : 상부 개구 92 : 바닥부
100 : 폐잉크 저장소 130 : 잉크 와이퍼 장치
135 : 프레임 138 : 이동 장치
136A, 135B : 측벽 140 : 드라이버
141 : 톱니형 벨트 144 : 가이드 롤러
148 : 피니언 149 : 모터
150 : 지지 부재 250 : 승강 장치
650 : 라인 사이 구역 700 : 접촉 시작점
701 : 접착 종료점 D : 이동 방향
T : 주 주사 방향 U : 부 주사 방향
WP : 와이핑 위치
54A, 54B, 54C 및 54D : 노즐 개구 라인
55A, 55B, 55C 및 55D : 노즐 개구
142, 143, 145, 146, 147, 147A : 기어
151, 152, 153, 154 : 와이퍼
161, 162, 162, 164 : 블레이드
161A, 162C, 163E, 164A : 와이핑부
171, 172, 173, 174 : 홀더 부재
181, 182 : 리드 스크루
191, 193, 202, 203 : 제1의 나사부
192, 202 : 제2의 나사부
WA1, WA2, WA3, WA4 : 와이핑 영역
본 발명은 액체 분사 헤드의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와이핑하는 액체 와이퍼 장치를 갖는 액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목표물에 잉크를 분사하는 잉크 분사 장치로서, 인쇄를 행하기 위해 기록 헤드로부터 기록 매체에 잉크 방울들을 분사하는 잉크젯 타입의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장치는 원하는 바에 따라 기록 매체 상에 문자와 그래픽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규정하기 위해 기록 헤드의 노즐로부터 기록 매체에 잉크 방울들을 분사한다.
인쇄시에, 상기 장치의 기록 헤드는 기록 매체에 비교적 가깝게 유지된다. 그래서, 잉크 방울들이 기록 매체에 부딪힐 때에 튀기게 되면, 이러한 튀긴 잉크는 기록 헤드의 노즐 개구 표면에 묻을 수 있으며, 노즐 개구 표면이 오염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치가 온-디맨드(On-Demand) 타입이면, 잉크 방울들은 각 노즐의 근방에서 약간의 가압을 통하여 분사된다. 그래서 분사 에너지는 비교적 작고, 기록 헤드는 기록 매체로부터 수 ㎜ 떨어질 정도로 가까운 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한 다. 따라서, 노즐 개구 표면은 튀긴 잉크가 쉽게 묻게 된다. 또한, 잉크에는 비교적 작은 압력만이 가해지므로, 이 압력은 막힌 노즐로부터 이러한 잉크를 제거하는데 충분하지 않다.
그래서, 막힌 노즐로부터 이러한 잉크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장치는 인쇄 동작 중에 있지 않을 때에 잉크 흡인을 행하는데, 즉 노즐 개구로부터 이러한 잉크를 빨아들인다.
하지만, 이러한 잉크 흡인이 행해진 이후에도, 노즐 개구 표면에는 잉크가 남아 있을 수 있다. 남아있는 잉크는, 용지인 기록 매체로부터의 섬유 조직에 의해 또는 분진에 의해 노즐 개구 표면에 오염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기록 헤드가 반복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노즐의 막힘, 잉크 분사의 실패, 또는 치우친 잉크 분사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1-30507 및 제11-334090호에 기재된 것과 같이,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잉크를 와이핑하는 와이퍼 장치가 제안되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1-30507호에는, 상이한 색의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 헤드의 하나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노즐 헤드 각각은 주 주사 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노즐을 포함한다. 와이퍼 블레이드 각각은 주 주사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대응하는 캐리어에 의해 개별적으로 운반된다. 캐리어 각각은 연관된 리드 스크루(lead screw)의 회전을 통하여 주 주사 방향으로 이동된다. 리드 스크루는 대응 하는 구동원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이 구조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량에 상응하는 분량의 구동원을 제공하는 것을 요한다. 그래서,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량이 증가됨에 따라, 와이퍼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이 복잡해지고 대형화된다.
또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1-30507호에는, 단일의 캐리어에 의해 운반되는 복수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또 다른 와이퍼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구조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분량과 비교하여, 리드 스크루의 분량 및 구동원의 분량을 저감시킨다. 그렇지만, 캐리어가 와이퍼 블레이드를 일괄적으로 이동시키므로, 와이퍼 블레이드는 노즐 헤드가 와이핑을 요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해당 노즐 헤드를 와이핑하게 된다. 따라서, 노즐 헤드의 노즐 개구가 상기한 잉크 흡인을 거치지 않고 해당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와이핑되면, 노즐 개구에 의해 소위 소실 도트(missing dot)가 초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잉크는 기록 매체에 신뢰성있게 분사될 수 없으며, 그래서 인쇄 실패를 유발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11-334090호에는, 회전 가능한 블레이드 지지부의 외주(外周)에 고정된 동일 재료로 형성된 복수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와이퍼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블레이드 지지부는 다각형 형상을 가지며, 와이퍼 블레이드는 이 블레이드 지지부의 면들 각각에 고정된다. 기록 헤드를 운반하는 캐리지가 그 홈 위치로부터 기록 영역으로 이동할 때, 기록 헤드는 와이퍼 블레이드 중 하나의 위를 슬라이딩하여 그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해 와이핑된다. 또한, 블레이드 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는 원 하는 바대로 선택될 수 있다.
그렇지만, 복수의 와이퍼 블레이드가 블레이드 지지부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블레이드 지지부는 상대적으로 대형화되어야 한다. 또한, 블레이드 지지부는 잉크젯 타입의 기록 장치 내에서 회전되므로, 특히 블레이드 지지부를 위해서 기록 장치 내에는 비교적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는 기록 장치를 더욱 대형화시킨다. 또한, 블레이드 지지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원하는 바대로 와이퍼 블레이드가 선택될 수 있으나, 와이퍼 블레이드는 동일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기록 헤드의 현재의 오염 상태에 적합하게 와이핑을 수행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분사 헤드에 규정된 복수의 노즐 개구 라인을 선택적으로 와이핑하는, 간단하게 구성되고 소형화된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체 분사 헤드의 현재 오염 상태에 대응하여 액체 분사 헤드를 와이핑할 수 있는 컴팩트한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액체 분사 헤드의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와이핑하기 위해 액체 분사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와이퍼를 포함한다. 와이퍼들 각각은, 노즐 개구 표면을 와이핑하는 동작 영역, 상기 동작 영역에 선행하는 제1의 비동작 영역, 및 상기 동작 영역에 후속하는 제2의 비동작 영역에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와이퍼들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 영역에서 이동 중일 때 이동 방향으로의 각각의 인접한 쌍의 와이퍼들 사이의 간격이 두 와이퍼 모두가 제1 또는 제2의 비동작 영역에서 이동 중일 때의 간격과 다르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동 장치는 상기 와이퍼들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액체 분사 헤드의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를 또한 제공한다. 이 장치는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와이핑하기 위해 액체 분사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와이퍼를 포함한다. 이들 와이퍼는 이동 방향으로 배열된다. 와이퍼가 노즐 개구 표면을 서로 독립적으로 와이핑하도록 하기 위해, 이동 장치는 와이퍼들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은 액체 분사 헤드의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를 추가로 제공한다. 이 장치는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와이핑하기 위해 액체 분사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복수의 와이퍼, 및 이들 와이퍼들을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이 이동 장치는 상기 이동 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와이퍼들과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 스크루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액체 분사 헤드의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와이핑하기 위해 액체 분사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이한 타입의 와이 퍼들, 및 상기 상이한 타입의 와이퍼들이 노즐 개구 표면의 동일 영역을 와이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이동 방향으로 와이퍼들을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며,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나타내는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그 목적 및 이점과 함께,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것이다.
<발명의 실시예>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1은 잉크젯 타입의 기록 장치(10)(이하에서는 "잉크젯 프린터"라 칭한다), 즉 잉크 분사 장치를 나타낸다. 잉크젯 프린터(10)는 가이드 레일(17), 플래튼(12), 캐리지(14), 액체 흡인 장치로서의 잉크 흡인 장치(20), 액체 분사 헤드로서 기능하는 기록(인쇄) 헤드(30), 및 액체 와이퍼 장치로서 기능하는 잉크 와이퍼 장치(130)를 포함하는 몸체(1)를 구비한다. 잉크 흡인 장치(20)는 잉크 토출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한다.
잉크젯 프린터(10)는 소위 온-캐리지(On-Carriage) 타입의 기록 장치이며, 복수의 잉크 카트리지(2, 3, 4, 5)가 캐리지(14)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잉크 카트리지(2 내지 5)가 캐리지(14)에 의해 직접 운반되지만, 본 발명은 잉크 카트리지(2 내지 5)가 캐리지 이외의 부위에 설치되는 소위 오프- 캐리지(Off-Carriage) 타입의 잉크젯 기록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기록 헤드(30)는 캐리지(14)의 아래에 제공된다. 캐리지(14)는 모터(16)에 의해 회전되는 벨트(15)에 연결된다. 벨트(15)는 한 쌍의 풀리(16A, 16B)의 둘레에 감겨진다. 풀리(16B)는 모터(16)의 회전축에 고정된다. 모터(16)가 구동되면, 캐리지(14)는 기록 헤드(30)와 함께 주 주사(走査) 방향 T(T1 또는 T2 방향), 플래튼(12)의 축방향으로 가이드 레일(17)을 따라 왕복 운동한다. 캐리지(14)의 위치는 모터(16)의 구동량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핑 위치(WP) 및 대기 위치(18)는 몸체(1)의 우측 부분에서 규정된다. 와이핑 위치(WP)는 "홈 위치(home position)"라고도 불린다. 기록 헤드(30)의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이 잉크 흡인 장치(20)에 의해 흡인되거나 또는 잉크 와이퍼 장치(130)에 의해 와이핑될 때, 캐리지(14)는 와이핑 위치(WP)에서 유지된다. 반대로, 기록 헤드(30)에 흡인과 와이핑 어느 것도 행해지지 않을 때, 캐리지(14)는 대기 위치(18)에서 유지된다.
잉크 흡인 장치(20)는 "캐핑 시스템(capping system)" 또는 "캐핑 수단"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잉크 흡인 장치(20)는 가습 기능을 갖는데, 즉 기록 헤드(30)의 노즐 개구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잉크 흡인 장치(20)는 또한 흡인 기능을 갖는데, 즉 노즐 개구로부터 잉크를 강제적으로 빨아들여 토출하기 위해 흡인 펌프(19)로부터 노즐 개구에 부압(負壓)을 공급한다.
잉크 카트리지(2 내지 5) 각각은 액체인 잉크를 보유한다. 잉크 카트리지(2 내지 5)는 동일 타입의 잉크 또는 상이한 타입의 잉크를 보유할 수 있다. 상이한 타입의 잉크는 외관상 상이한 색의 잉크 또는 상이한 성분 또는 조성의 잉크일 수 있다. 잉크젯 프린터(10)가 칼라 프린터이면, 잉크 카트리지(2 내지 5)는 상이한 색의 잉크를 보유한다. 잉크 와이퍼 장치(130)의 위치는 잉크 흡인 장치(20)의 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10)의 컨트롤러(7)는 로컬 프린터 케이블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스트 컴퓨터(40)의 프린터 드라이버(41)에 접속된다. 프린터 드라이버(41)는, 인쇄 또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대하여 와이핑 혹은 잉크 흡인을 행하기 위해 잉크젯 프린터(10)의 구성요소에 명령을 전송하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컨트롤러(7)는, 잉크젯 프린터(10)의 동작 상태를 각각 검출하는 센서들(8)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한다. 컨트롤러(7)는 잉크 와이퍼 장치(130), 잉크 흡인 장치(20), 기록 헤드(30), 캐리지(14), 및 용지 공급 메커니즘(15A)을 또한 제어한다. 용지 공급 메커니즘(15A)은 플래튼(12)을 포함하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 주사 방향(T)에 수직인 부(副) 주사 방향으로 용지(29), 즉 기록 매체(목표물)를 이송한다. 용지(29)는 플래튼(12)의 위를 이동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 헤드(30)는 복수의 잉크 통로(50)를 포함한다. 잉크 통로(50)는 서로 독립적으로 배열되며, 각각은 잉크 카트리지(2 내지 5)의 하나에 대응된다. 잉크 공급 바늘(50A)이 각 잉크 통로(50)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잉크 카트리지들(2 내지 5) 중 대응하는 잉크 카트리지에 연결된다. 연관된 잉크 공급 바늘(50A)을 통하여 각 잉크 카트리지(2 내지 5)로부터 대응하는 잉 크 통로(50)에 잉크가 흐른다. 각 잉크 통로(50)는 압력실(51) 중 대응하는 압력실에 연결되어 있다.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갖는 노즐 플레이트(62)가 기록 헤드(30)의 하부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노즐 플레이트 표면(61), 또는 노즐 개구 표면은 복수의 노즐 개구 라인(54A, 54B, 54C 및 54D)을 포함한다. 노즐 개구 라인들(54A 내지 54D) 각각은, 일직선으로 배열된 복수의 노즐 개구(55A 내지 55D)를 포함한다(도 5a 및 5b 참조). 노즐 개구들(55A 내지 55D) 각각은 압력실(51) 중 대응하는 압력실에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잉크 방울들이 압력실(51)로부터 외부로 가압되고 나면, 잉크 방울들은 대응하는 노즐 개구들(55A 내지 55D)로부터 분사된다.
노즐 개구들(55A 내지 55D)이 흡인되도록 하기 위해 잉크 흡인 장치(20)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과 타이트하게 접촉하거나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대하여 눌려진다. 잉크 흡인 장치(20)는 캡 몸체(80) 및 복수의 흡수 물질(90)을 포함한다. 캡 몸체(80)는 박스 형상을 가지며 상부 개구(91)를 포함한다. 복수의 칸막이(81)가 캡 몸체(80)의 바닥부(92)로부터 돌출해 있다. 그래서 캡 몸체(80)의 칸막이들(81)과 4개의 측벽(80A)에 의해 복수의 챔버가 규정된다. 이들 챔버 각각은 흡수 물질들(90) 중 하나를 수용한다. 흡수 물질들(90) 각각은 노즐 개구 라인들(54A 내지 54D) 중 하나를 포함하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영역에 대응한다.
흡수 물질들(90) 각각은 잉크를 흡수하는 물질,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PVA) 스펀지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 물질(90)은 매우 친수성(親水性)이고, 연속적인 세공(細孔) 구조를 가지며, 잉크를 매우 잘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 물 질(90)이 캡 몸체(80)에 의해 지지되는 방식으로, 흡수 물질(90)은 도시하지 않은 유지 부재에 의해 유지된다.
칸막이(81)에 의해 규정된 캡 몸체(80)의 4개의 챔버는 바닥부(92)를 통하여 흡인 펌프(19)에 연결된다. 흡인 펌프(19)는 폐잉크 저장소(100)에 연결된다. 폐잉크 저장소(100)는 흡인 펌프(19)에 의해 캡 몸체(80)로부터 빨아들인 폐잉크를 보유한다. 복수의 개폐 밸브(85)가 캡 몸체(80)와 흡인 펌프(19)의 사이에 배치되며, 흡수 물질(90)을 수용하는 4개의 챔버들 중 하나에 각각 대응된다. 개폐 밸브(85)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면서 흡인 펌프(19)가 구동되면, 흡인 펌프(19)에 의해 발생된 부압이 캡 몸체(80)에 인가된다. 이와 반대로, 개폐 밸브(85)가 닫혀지면, 흡인 펌프(19)의 작동에 관계없이 캡 몸체(80)는 부압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4개의 개폐 밸브(85)를 선택적으로 동작시킴으로써, 캡 몸체(80)의 4개의 챔버는 잉크 흡인을 허용하도록 선택적으로 부압 하에 놓일 수 있다. 개폐 밸브(85)로부터 흡인 펌프(19)로 뻗어있는 라인이 단일 라인으로 합류되므로, 4개의 챔버에 대한 선택적인 잉크 흡인이 단일 흡인 펌프(19)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도 3에서, 잉크 흡인 장치(20)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으로부터 떨어진 대기 상태에서 유지되고 있다. 도 4에서, 잉크 흡인 장치(20)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과 타이트하게 접촉하여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봉하는 상태(흡인 상태 또는 가습 상태)에서 유지되고 있다. 승강 장치(250)가 도 3의 위치와 도 4의 위치 사이에서 캡 몸체(80)를 선택적으로 승강시킨다.
기록 헤드(30) 내에 있는 잉크가 기포를 함유하거나, 잉크 통로(50) 또는 압 력실(51) 내의 잉크의 점성이 증가하게 되면, 원활한 잉크 흐름이 방해를 받을 수 있고, 잉크 분사가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잉크 흡인 장치(20)는 기록 헤드(30)로부터 잉크를 강제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또한, 잉크젯 프린터(10)의 처음 사용시에 또는 잉크 카트리지(2 내지5)가 원래 타입으로부터 상이한 타입의 잉크 카트리지로 교체될 때는, 기록 헤드(30)의 잉크 통로(50) 안으로 잉크를 도입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잉크의 이러한 최초 도입은 잉크 흡인 장치(20)에 의해서 행해진다. 잉크 흡인 장치(20)를 사용함으로써 노즐 개구들(55A 내지 55D)을 통하여 기록 헤드(30)로부터 잉크와 공기를 강제적으로 빨아들이고서, 노즐 개구들(55A 내지 55D)로부터 잉크를 토출한다.
도 5a 및 5b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대한 제1 내지 제4의 노즐 개구 라인들(54A 내지 54D) 각각의 정렬 상태를 나타낸다. 각 노즐 개구 라인(54A 내지 54D)은, 예를 들면 10개 내지 1000개의 노즐 개구(55A 내지 55D)를 포함한다. 각 노즐 개구 라인(54A 내지 54D)은 도 5a의 주 주사 방향(T)에 수직인 부 주사 방향(U)으로 뻗어있다. 노즐 개구 라인들(54A 내지 54D)은, 등간격으로 이격되고서, 주 주사 방향(T)에 대하여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도 6은 기록 헤드(30)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다. 각 잉크 카트리지(2 내지 5) 내의 잉크는 연관된 잉크 통로(50)를 통하여 대응되는 압력실(51)에 공급된다. 기록 헤드(30)는 압력 발생 요소로서 기능하는 복수의 압전 오실레이터(39)를 포함한다. 압전 오실레이터들(39) 각각은 노즐 개구들(55A 내지 55D)의 하나의 열, 즉 다시 말하면, 압력실들(51)의 하나에 대응된다. 인쇄시에, 각 압전 오실레이터(39) 는 대응되는 압력실(51)의 체적을 변경시키도록 선택적으로 신장되거나 수축된다. 이는 압력실(51) 내의 잉크의 압력을 변경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잉크 방울들은 대응되는 노즐 개구들(55A 내지 55D)로부터 분사된다.
도 7 및 8은 잉크 와이퍼 장치(130)의 구조를 나타낸다. 잉크 와이퍼 장치(130)는 프레임(135), 복수의 와이퍼(151 내지 154), 및 이동 장치(138)를 포함한다.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주 주사 방향(T)에 수직인 D 방향으로 정렬되며, 이동 장치(138)에 의해 D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의 와이퍼(151)는 제1의 블레이드(161)와 제1의 홀더 부재(171)를 포함한다. 제2의 와이퍼(152)는 제2의 블레이드(162)와 제2의 홀더 부재(172)를 포함한다. 제3의 와이퍼(153)는 제3의 블레이드(163)와 제3의 홀더 부재(173)를 포함한다. 제4의 와이퍼(154)는 제4의 블레이드(164)와 제4의 홀더 부재(174)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4의 홀더 부재(171 내지 174)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내지 제4의 블레이드(161 내지 164)는 상이한 타입의 블레이드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의 와이퍼(151 내지 154)는 상이한 타입의 와이퍼들이다. 상이한 타입의 블레이드들은, 상이한 재료 또는 상이한 형상의 블레이드 혹은 상이한 재료 및 상이한 형상의 블레이드일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실시예의 제1 내지 제4의 블레이드(161 내지 164)는 상이한 형상을 갖는다. 제1 내지 제4의 블레이드(161 내지 164)는 고무, 탄성중합체, 및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블레 이드들(161 내지 164)은 잉크 흡수성의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은, 예를 들면 동일한 사이즈로 이루어진 4개의 와이핑 영역(WA1 내지 WA4)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의 와이핑 영역(WA1)은 제1의 노즐 개구 라인(54A)을 포함한다. 제2의 와이핑 영역(WA2)은 제2의 노즐 개구 라인(54B)을 포함한다. 제3의 와이핑 영역(WA3)은 제3의 노즐 개구 라인(54C)을 포함한다. 제4의 와이핑 영역(WA4)은 제4의 노즐 개구 라인(54D)을 포함한다.
제1의 블레이드(161)는 제1의 와이핑 영역(WA1)에 대응되는 와이핑 치수(WH1)의 와이핑부(161A)를 갖는다(도 21a 참조). 그래서 제1의 블레이드(161)의 동작은 제1의 와이핑 영역(WA1)의 와이핑에 한정된다. 제4의 블레이드(164)는 제4의 와이핑 영역(WA4)에 대응되는 와이핑 치수(WH2)의 와이핑부(164A)를 갖는다(도 21d 참조). 그래서 제4의 블레이드(164)의 동작은 제4의 와이핑 영역(WA4)의 와이핑에 한정된다. 또한, 제4의 블레이드(164)는 기록 헤드(30)의 측면 표면(30R)을 와이핑하기 위한 사이드 블레이드(164S)를 포함한다. 측면 와이핑부로서 기능하는 사이드 블레이드(164S)는 편평한 형상을 가지며, 제4의 블레이드(164)의 단부로부터 돌출한다.
제2의 블레이드(162)는, 이 제2의 블레이드(162)가 제1 내지 제4의 와이핑 영역(WA1 내지 WA4)을 한번에 와이핑하도록 되는 와이핑 치수(WH3)의 와이핑부(162C)를 갖는다(도 21b 참조). 제2의 블레이드(162)는, 예를 들면 복수의 층(162A, 162B)이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착된 층 구조를 갖는다. 이들 층들(162A, 162B)은 동일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2의 층(162B)은 부직포 또는 세공 재료, 탄성적으로 비교적 변형되기 어려운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제1의 층(162A)이 고무와 같이, 제2의 층(162B)의 재료와 비교하여 탄성적으로 비교적 변형이 쉬운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의 층(162B)은 제1의 층(162A)과 비교하여, 제2의 와이퍼(152)의 이동 방향(D)에 대하여 전방에 위치된다.
제3의 블레이드(163)는, 노즐 개구 라인(54A 내지 54D)에 해당되는 영역 이외의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영역, 즉 복수의 라인 사이 구역(650)(도 21c)을 한번에 와이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상이 이루어진다. 제3의 블레이드(163)는, 예를 들면 5개의 라인 사이 와이핑부(163A 내지 163E)를 포함한다. 라인 사이 와이핑부(163A 내지 163E)는 제3의 와이퍼(153)의 이동 방향(D)에 수직인 방향(주 주사 방향 T)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되어서 배열된다. 라인 사이 와이핑부(163A 내지 163E)는, 인접한 노즐 개구 라인들(54A 내지 54D) 사이의 영역 및 제1 및 제4의 노즐 개구 라인(54A 및 54D)으로부터 외측에 위치된 영역을 한 번에 커버한다. 와이핑부(161A, 162C, 163A 내지 163E, 및 164A)는 이동 방향(D) 및 주 주사 방향(T)에 수직하게, 즉 도 9에서 봤을 때 위쪽으로 돌출해 있다.
제1 내지 제4의 블레이드(161 내지 164) 각각은, 동일하게 구성된 홀더 부재들(171 내지 174) 중 대응하는 홀더 부재에 개별적으로 고정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블레이드(161 내지 164)는 커버(175C) 및 핀(176P)에 의해서 대응하는 홀더 부재(171 내지 174)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각 블레이드(161 내지 164) 의 베이스(190)는 커버(175C)와 홀더 부재(171 내지 174)에 의해서 죄여진다. 홀더 부재(171 내지 174)와 커버(175C)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홀더 부재들(171 내지 174) 각각은, 블레이들(161 내지 164) 중 대응하는 블레이드를 유지시키도록 기다란 형상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부재들(171 내지 174)은, 인접한 홀더 부재들(171 내지 174)이 서로 타이트한 접촉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동 방향(D)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래서, 와이퍼(151 내지 154)의 분량에 관계없이, 와이퍼(151 내지 154)를 수용하는 공간이 최대한 절감될 수 있다. 이는 전체로서 잉크 와이퍼 장치(130)를 소형화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레임(135)은 와이핑 위치(WP)에 위치된다. 대기 위치(18)로부터 와이핑 위치(WP)로 이동한 후에,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프레임(135)의 위에 위치된다. 기록 헤드(30)는, 와이핑 위치(WP)에 위치될 때 잉크 흡인 장치(20)의 바로 위에 위치된다.
대기 위치(18)로부터 와이핑 위치(WP)로 진행할 때, 기록 헤드(30)와 캐리지(14)는 주 주사 방향(T1)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와이핑 위치(WP)로부터 대기 위치(18)로 후퇴될 때, 기록 헤드(30)와 캐리지(14)는 주 주사 방향(T2)으로 이동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장치(138)는 제1의 리드 스크루(181), 제2의 리드 스크루(182), 및 드라이버(140)를 포함한다. 이동 장치(138)는 와이퍼들(151 내지 154) 중에서 원하는 동작에 적합한 선택된 와이퍼를 이동 방향(D)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선택된 와이퍼 장치(들)(151 내지 154)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할 수 있게 된다. 동작시, 이동 장치(138)는 인접한 와이퍼들 (151 내지 15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을 연속적으로 이동시킨다.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인접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이 이동 방향(D)으로 서로 타이트한 접촉 상태로 유지되는 도 7 및 도 8의 상태로부터 이동 방향(D)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된다.
제1 및 제2의 리드 스크루(181, 182)는 프레임(135)의 대향 측벽들(135A, 135B)의 사이에 배치되며, 측벽들(135A, 13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리드 스크루(181, 182)는 이동 방향(D)으로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다. 제1의 리드 스크루(181)는 제1의 피더 부재에 대응되고, 제2의 리드 스크루(182)는 제2의 피더 부재에 대응된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의 리드 스크루(181, 182)가 설명된다. 제1 및 제2의 리드 스크루(181, 182)는 서로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1의 리드 스크루(181)는 한 쌍의 제1의 나사부(191, 193)와 제2의 나사부(192)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제2의 리드 스크루(182)는 한 쌍의 제1의 나사부(210, 203)와 제2의 나사부(202)를 포함한다.
제1의 나사부들(191, 193)은 제1의 리드 스크루(181)의 축방향 대향측에, 즉 이동 방향(D)에 대하여 리드 스크루(181)의 전방 섹션 및 후방 섹션에 배치된다. 유사하게, 제1의 나사부들(201, 203)은 제2의 리드 스크루(182)의 축방향 대향측에, 즉 이동 방향(D)에 대하여 리드 스크루(182)의 전방 섹션 및 후방 섹션에 배치된다. 제2의 나사부(192)는 제1의 나사부들(191, 193)의 사이에, 즉 제1의 리드 스크루(181)의 전방 섹션과 후방 섹션 사이의 중간 섹션에 형성된다. 유사하게, 제2 의 나사부(202)는 제1의 나사부들(201, 203)의 사이에, 즉 제2의 리드 스크루(182)의 전방 섹션과 후방 섹션 사이의 중간 섹션에 형성된다.
각 제1의 나사부(191, 193)의 피드 피치(feed pitch)(제1의 피드 피치)는 제2의 나사부(192)의 피드 피치(제2의 피드 피치)보다 작다. 마찬가지로, 각 제1의 나사부(201, 203)의 피드 피치(제1의 피드 피치)는 제2의 나사부(202)의 피드 피치(제2의 피드 피치)보다 작다. 다시 말하면, 제2의 나사부들(192, 202) 각각은 각 제1 나사부(191, 193, 201, 203)의 피드 피치보다 더 큰 피드 피치를 갖는다. 제1의 나사부들(191, 193, 201, 203)의 피드 피치는 동일하며, 제2의 나사부들(192, 202)의 피드 피치는 동일하다. 도 13a 및 13b는 각각 나선 기점(spiral base point)으로부터의 축방향 거리와 제1 및 제2의 리드 스크루(181, 182)의 각각에 있어서의 피드 피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은 이동 방향(D)에 대하여 접촉 시작점(700)과 접촉 종료점(701)을 갖는다. 접촉 시작점(700)에서, 블레이드(161 내지 164)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접촉하게 된다. 접촉 종료점(701)에서, 블레이드(161 내지 164)는 접촉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한다. 제1의 나사부들(191, 201)은, 제1의 비동작 영역에 대응하는 도 7 및 도 8의 초기 위치(대기위치)로부터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접촉 시작점(700)까지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을 이동시키기 위해 와이퍼들(151 내지 154)을 이동시킨다. 제1의 나사부들(193, 203)은, 제2의 비동작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종료점(701)으로부터 소정의 이동 말단까지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을 이동시키기 위해 와이퍼들(151 내지 154)을 이동시킨다.
제2의 나사부들(192, 202)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하기 위해 동작 영역에 대응하는 접촉 시작점(700)으로부터 접촉 종료점(701)까지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을 이동시키기 위해 와이퍼들(151 내지 154)을 이동시킨다. 다시 말하면, 제2의 나사부들(192, 202)은 와이핑 기간(t2) 동안에, 즉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이 접촉 시작점(700)에 도달하는 와이핑 시작 시간(t1)으로부터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이 접촉 종료점(701)에 도달하는 와이핑 종료 시간(t3)까지 와이퍼들(151 내지 154)을 가이드한다.
제1의 나사부들(191, 201) 각각이 상대적으로 작은 피치를 가지므로, 이들 나사부(191, 201)는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을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이동시킨다. 그래서,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접촉 시작점(700)에 상대적으로 천천히 도달한다.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이 접촉 시작점(700)에 상대적으로 빠르게 도달하게 되면,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 각각에 작용하는 하중이 접촉 시작점(700)에서 급격하게 증가하게 된다. 반대로,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이 접촉 시작점(700)에 상대적으로 천천히 도달하게 되면, 접촉 시작점(700)에서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 각각에 작용하는 하중의 급격한 증가가 억제된다. 이는 리드 스크루(181, 182)를 구동하는 드라이버(140)(도 7 참조)의 모터(149)의 파워 스윙(power swing)을 방지한다.
제2의 나사부들(192, 202) 각각이 상대적으로 큰 피드 피치를 가지므로, 제2의 나사부들(192, 202)은 상대적으로 높은 속도로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을 이 동시킨다. 그래서, 와이핑 기간(t2) 동안에,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동하면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한다.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할 때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이 상대적으로 느리게 이동하면,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노즐 개구들(55A 내지 55D)로부터 잉크를 빨아들일 수 있게 된다. 이는 노즐 개구들(55A 내지 55D) 내에 있는 잉크의 메니스커스(meniscus)를 손상하거나 또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 상에 남아있는 잉크의 양을 증대시키게 된다. 반대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할 때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이 빠르게 이동하면, 와이핑 기간(t2)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노즐 개구들(55A 내지 55D) 내에 있는 잉크의 메니스커스가 최적의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도 효과적으로 와이핑된다.
접촉 종료점(701)에 도달하고 나면,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제1의 나사부들(193, 203)에 의해 이동된다. 이로 인해,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이 접촉 종료점(701)으로부터 분리될 때, 각 블레이드(161 내지 164)에 작용하는 반작용력의 해제에 의해 야기되는 잉크의 튀김을 최대한 억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각 블레이드(161 내지 164)가 접촉 시작점(700)에 접촉하고 난 바로 후의 상태 A에서, 블레이드(161 내지 164)에 작용하는 반작용력 Fx는 최대화된다. 블레이드(161 내지 164)가 접촉 시작점(700)을 통과하고 난 후의 상태 B에서, 즉 블레이드(161 내지 164)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하고 있는 상태에서, 블레이드(161 내지 164)에 작용하는 반작용력 Fx는 상태 A의 반작용력보다 작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촉 시작점(700)에서의 반작용력 Fx는 와 이핑 동작 중에 작용하는 반작용력 Fx보다 수 배 더 크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드라이버(140)는 제1 및 제2의 리드 스크루(181, 182)를 동기화하여 회전하도록 작동시킨다. 드라이버(140)는 프레임(135)의 측벽(135B)에 설치된다.
드라이버(140)는 톱니형 벨트(141), 기어(142, 143, 145, 146, 147, 147A), 가이드 롤러(144), 피니언(148), 및 모터(149)를 포함한다. 모터(149)는 컨트롤러(7)의 명령에 응답하여 구동된다. 모터(149)는, 예를 들면 스테핑 모터로 구성된다.
타이밍 벨트인 톱니형 벨트(141)는 기어들(142, 143, 145,146)의 둘레에 감겨진다. 소정 레벨의 장력이 톱니형 벨트(141)에 작용하도록, 가이드 롤러(144)가 외측으로부터 톱니형 벨트(141)에 대하여 눌려진다. 기어(142)는 제2의 리드 스크루(182)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기어(146)는 제1의 리드 스크루(181)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제2의 리드 스크루(182)의 후단부 및 제1의 리드 스크루(181)의 후단부는 측벽(13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의 리드 스크루(182)의 전단부 및 제1의 리드 스크루(181)의 전단부는 측벽(135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143)는 지지 부재(15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기어(145)는 측벽(135B)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피니언(148)은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되어, 모터(149)의 구동력을 기어(147A)를 통하여 기어(147)에 전달한다. 기어(146, 147)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모터(149)가 구동되면, 제1 및 제2의 리드 스크루(181, 182)는 동일 방향으 로 동기화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와이퍼(151 내지 154)의 홀더 부재(171 내지 174)는, 이동 방향(D)에 대하여 경사지는 일 없이 또는 원치 않는 마찰력에 의해 끌리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원활하게 이동한다. 그래서 블레이드(161 내지 164)는 이동 방향(D)에 대하여 경사지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한다.
도 15는 도 7의 화살표 A1의 방향에서 본 잉크 와이퍼 장치(130)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7의 화살표 A2의 방향에서 본 잉크 와이퍼 장치(130)를 나타낸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151 내지 154)의 홀더 부재(171 내지 174) 각각은, 대응하는 블레이드(161 내지 164)를 유지하기 위한 중간 섹션(176) 및 한 쌍의 가이드부(175A, 175)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75A, 175)는 중간 섹션(176)의 대향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의 리드 스크루(181)가 가이드부(175A)를 관통하고, 제2의 리드 스크루(182)가 가이드부(175)를 관통한다.
도 17 및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220)이 가이드부(175A, 175) 각각을 리드 스크루(181, 182) 중 대응하는 리드 스크루에 연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9를 참조하면, 가이드부(175A)에 수용된 핀(220)의 말단부(220A)는 제1의 리드 스크루(181)의 나사 홈(192A)과 맞물려진다. 유사하게, 가이드부(175)에 수용된 핀(220)의 말단부는 제2의 리드 스크루(182)의 나사 홈과 맞물려진다. 제1 및 제2의 리드 스크루(181, 182)가 동기화하여 회전할 때, 홀더 부재(171 내지 174)는 이동 방향(D) 및 이동 방향(D)에 반대인 방향으로 일직선으로 이동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에 위치되면,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은 제2의 나사부들(192, 202) 사이의 영역의 위에 위치 된다. 이 상태에서, 잉크 흡인 장치(20)의 캡 몸체(80)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바로 아래에 위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몸체(80)와 승강 장치(250)는 리드 스크루들(181, 182) 사이에서 그 아래에 위치된다.
캡 몸체(80)는 승강 장치(250)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되면서, 제1 및 제2의 리드 스크루들(181, 182)의 사이를 이동한다. 캡 몸체(80)와 승강 장치(250)는 잉크 와이퍼 장치(130)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잉크젯 타입의 프린터는 소형화된다.
이하에서는, 잉크 와이퍼 장치(130)의 동작이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20은 잉크 와이퍼 장치(130)에 의해 행해지는 와이핑 동작의 절차를 나타낸다. 이 절차는 컨트롤러(7)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와이핑 동작을 시작하기 전에,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은 도 3 및 도 4의 잉크 흡인 장치(20)에 의해 잉크 흡인이 이루어지며,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와이핑 위치(WP)에 위치해 있다. 잉크 흡인 장치(20)는 선택적으로 4개의 노즐 개구 라인(54A 내지 54D)에 잉크 흡인을 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흡인 펌프(19)를 작동시키고 4개의 개폐 밸브(85)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함으로써, 개방된 개폐 밸브(85)에 대응하는 노즐 개구 라인에 잉크 흡인이 이루어진다.
와이핑 동작은, 잉크 흡인이 행해진 노즐 개구 라인에 대응하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행해져야 한다. 그렇지만, 해당 노즐 개구 라인에 잉크 흡인이 이루어지지 않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는 와이핑 동작이 불필요하다. 예를 들면, 노즐 개구 라인들(54A 내지 54D) 모두에 잉크 흡인이 이루어진다면, 와이핑 영역들(WA1 내지 WA4) 모두를 와이핑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것 이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잉크 와이퍼 장치(130)에 의해 실행되는 와이핑 동작의 절차는 도 20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이 절차가 시작되기 전에, 와이퍼들(151 내지 154) 각각은 도 7 및 8의 초기 위치(대기 위치)에 위치된다. 이 위치에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제1의 나사부(191, 201)와 맞물려진 상태로 유지되며, 인접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서로 타이트하게 접촉한 상태로 유지된다.
예를 들면, 도 2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와이핑 영역들(WA1 내지 WA4) 전체가 와이핑되어야 한다면, 와이핑 동작을 위해 제2의 블레이드(162)가 선택된다. 제1, 제3 또는 제4의 블레이드(161, 163, 164)는 이 동작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즉, 도 20의 스텝 ST1에서, 제1의 블레이드(161)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되지 않음이 결정된다. 그래서 스텝 ST4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로부터 대기 위치(18)로 이동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3에서, 모터(149)가 소정의 스텝 수 X1으로 회전되며, 그래서 제1의 와이퍼(151)는 와이핑 동작을 행하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동시에 대기 위치로부터 이동 방향(D)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와이퍼(151), 즉 최선두의 와이퍼는 다른 와이퍼들(152 내지 154)보다 먼저, 제1의 나사부(191, 201)로부터 제2의 나사부(192, 202)로 지나간다. 그리고 나서 제1의 와이퍼(151)는 제2 내지 제4의 와이퍼(152 내지 154)가 이동하는 속도보다 더 높은 속도로 이동 방향 (D)으로 진행한다. 그 다음에, 제1의 와이퍼(151)는 제2의 나사부(192, 202)로부터 제1의 나사부(193, 203)로 지나간다. 다시 말하면, 제1의 와이퍼, 즉 최선두의 와이퍼는 상대적으로 큰 피드 피치를 각각 갖는 제2의 나사부(192, 202)에 의해, 뒤따라오는 제2의 와이퍼(152)의 속도보다 더 높은 속도로 이동 방향(D)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의 와이퍼(151)와 제2의 와이퍼(152) 사이의 간격은 증대된다.
다음에, 도 20의 스텝 ST5에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전 부분이 제2의 블레이드(162)에 의해 와이핑되어야 함이 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6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대기 위치(18)로부터 와이핑 위치(WP)로 이동된다. 후속되는 스텝 ST7에서, 모터(149)가 소정의 스텝 수 X2로 회전됨으로써, 제2의 와이퍼(152)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와이핑 영역(WA1 내지 WA2) 전체를 와이핑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어서 스텝 ST9에서, 제3의 블레이드(163)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되지 않음이 결정되고, 스텝 ST12가 실행된다. 스텝 ST12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와이핑 위치(WP)로부터 대기 위치(18)로 복귀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11에서, 모터(149)가 소정의 스텝 수 X3으로 회전됨으로써, 제3의 와이퍼(153)가 와이핑을 행하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에, 스텝 ST13에서, 제4의 블레이드(164)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되지 않음이 결정되고, 스텝 ST16이 실행된다. 스텝 ST16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대기 위치(18)로 이동되게 된다. 그렇지만,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스텝 ST12에서 이미 대기 위치(18)로 이동되었으므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 는 스텝 ST16에서 대기 위치에서 그냥 유지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15에서, 모터(149)가 소정의 스텝 수 X4로 회전됨으로써, 제4의 와이퍼(154)가 와이핑을 행하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전 부분에 제2의 블레이드(162)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와이핑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21a 및 21d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4의 와이핑 영역(WA1, WA4)과 기록 헤드(30)의 측면 표면(30R)이 제1 및 제4의 블레이드(161, 164)에 의해 와이핑되어야 하면, 와이핑 동작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행해진다. 제2 및 제3의 블레이드(162, 163)는 이 동작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도 20의 스텝 ST1에서, 제1의 블레이드(161)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됨이 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2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와이핑 위치(WP)에서 유지된다. 후속되는 스텝 ST3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1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의 와이퍼(151)가 제1의 와이핑 영역(WA1)을 와이핑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에, 스텝 ST5에서, 제2의 블레이드(162)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되지 않음이 결정되고, 스텝 ST8이 실행된다. 스텝 ST8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와이핑 위치(WP)로부터 대기 위치(18)로 복귀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7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2로 회전됨으로써, 제2의 와이퍼(152)가 와이핑을 행하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하게 된다.
계속하여, 스텝 ST9에서, 제3의 블레이드(163)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되지 않 음이 결정되고, 스텝 ST12가 실행된다. 스텝 ST12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대기 위치(18)에서 유지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11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3로 회전됨으로써, 제3의 와이퍼(153)가 와이핑을 행하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어서 스텝 ST13에서, 제4의 블레이드(164)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됨이 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14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대기 위치(18)로부터 와이핑 위치(WP)로 이동된다. 후속되는 스텝 ST15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4로 회전됨으로써, 제4의 와이퍼(154)가 제4의 와이핑 영역(WA4)과 기록 헤드(30)의 측면 표면(30R)을 와이핑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 및 제4의 와이핑 영역(WA1, WA4) 및 측면 표면(30R)이 제1 및 제4의 블레이드(161, 164)에 의해 와이핑된다.
도 21c를 참조하면, 제3의 블레이드(163)에 의해 한 번에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라인 사이 구역들(650)을 와이핑할 때, 와이핑 동작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행해진다. 제3의 블레이드(163)를 제외한 블레이드들(161, 162, 164)은 이 동작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도 20의 스텝 ST1에서, 제1의 블레이드(161)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되지 않음이 결정되고, 스텝 ST4가 실행된다. 스텝 ST4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와이핑 위치(WP)로부터 대기 위치(18)로 이동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3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1으로 회전됨으로써, 제1의 와이퍼(151)가 와이핑을 행하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하게 된다.
다음에, 스텝 ST5에서, 제2의 블레이드(162)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되지 않음이 결정되고, 스텝 ST8이 실행된다. 스텝 ST8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대기 위치(18)에서 유지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7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2로 회전됨으로써, 제2의 와이퍼(152)가 와이핑을 행하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하게 된다.
이어서 스텝 ST9에서, 제3의 블레이드(163)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됨이 결정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10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대기 위치(18)로부터 와이핑 위치(WP)로 이동된다. 다음의 스텝 ST11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3로 회전됨으로써, 제3의 와이퍼(153)는 라인 사이 와이핑부(163A 내지 163E)에 의해 한 번에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라인 사이 구역(650)을 와이핑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하게 된다(도 21c 참조).
또한, 스텝 ST13에서, 제4의 블레이드(164)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되지 않음이 결정되고, 스텝 ST16이 실행된다. 스텝 ST16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와이핑 위치(WP)로부터 대기 위치(18)로 이동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15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4로 회전됨으로써, 제4의 와이퍼(154)가 와이핑을 행하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 결과,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라인 사이 구역(650)이, 도 21c를 참조하면 제3의 블레이드(163)에 의해 신뢰성있게 와이핑된다.
잉크 와이퍼 장치(130)에 의한 와이핑 동작은 상기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와이핑 동작의 절차는 임의의 와이핑 모드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와이핑 모드는 제1 및 제3의 블레이드(161, 163)에 의한 와이핑, 제2 및 제4의 블레이드(162, 164)에 의한 와이핑, 또는 제1 및 제4의 블레이드(161, 164) 중 단 하나의 블레이드에 의한 와이핑일 수 있다.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및 제2의 리드 스크루(181, 182)가 동기화하여 회전할 때, 복수의 상이한 타입의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인접한 와이퍼들(151 내지 15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 각각이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접촉 시작점(700)에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피드 피치를 각각 갖는 제1의 나사부들(191, 201)이 블레이드(161 내지 164)를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블레이드(161 내지 164)가 접촉 시작점(700)에 도달할 때 블레이드(161 내지 164)에 작용하는 하중(반작용력)을 억제한다.
유사하게, 각 블레이드(161 내지 164)를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접촉 종료점(701)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피치를 각각 갖는 제1의 나사부들(193, 203)은 블레이드(161 내지 164)를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블레이드(161 내지 164)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 사이의 분리에 의해 야기되는 잉크의 튀김을 억제한다.
그렇지만, 와이핑 기간(t2)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큰 피드 피치를 각각 갖는 제2의 나사부들(192, 202)은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 각각을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이동시킨다. 그래서,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잉크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 상에 잔류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 노즐 개구들(55A 내지 55D) 내에 있 는 잉크의 메니스커스를 손상시키는 일 없이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비교적 신속하게 와이핑할 수 있게 된다.
각 리드 스크루(181, 182)의 피드 피치를 점진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이동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으며, 그래서 각 와이퍼(151 내지 154)에 작용하는 하중의 급격한 변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흡인 장치(20)의 캐핑 동작 및 밸브의 작동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피드 피치를 각각 갖는 제1의 나사부(191, 201, 193, 203)의 동작을 지연시킴으로써, 이들 나사부들(191, 201, 193, 203) 및 다른 구성요소들이 최적의 타이밍으로 동작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이 와이퍼들(151 내지 154) 중 선두 와이퍼에 의해 와이핑되고 나면, 와이퍼들(151 내지 154) 중 후속 와이퍼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하기 시작하도록 된다. 즉, 잉크 와이퍼 장치(130)에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서로 독립적으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하도록 된다. 다시 말하면, 와이퍼들(151 내지 154) 중 하나가 제2의 나사부(192, 202)에 의해 이동되면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할 때, 와이퍼들(151 내지 154) 중 나머지는 와이퍼들(151 내지 154)에 의해 와이핑될 수 있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영역(동작 영역)의 외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와이퍼들(151 내지 154) 사이에 균일한 피치 수(P)를 규정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리드 스크루 (181, 182)와 맞물려진다. 다시 말하면,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드 스크루(181, 182)의 제1의 나사부 각각의 피드 피치는 제2의 나사부 각각의 피드 피치와 다르므로, 인접한 와이퍼들 사이의 간격은 가변적이다. 하지만, 인접한 와이퍼들 사이의 피치 수(P)는 일정하며 각 리드 스크루(181, 182) 전체를 통하여 균일하게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접한 와이퍼들 사이의 피치 수(P)는, 인접한 와이퍼들의 대응 핀들(220)(도 19 참조)이 리드 스크루(181, 182)와 맞물려지는 각 리드 스크루(181, 182)의 두 지점 사이의 피치 수(P)와 일치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예시된 실시예에서, 와이퍼들(151 내지 154) 각각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접촉 시작점(700)에 도달할 때 제1의 나사부(191, 201)와 맞물려진다. 또한, 각 와이퍼(151 내지 154)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접촉 종료점(701)으로부터 분리될 때 제1의 나사부(193, 203)와 맞물려진다. 그래서, 제2의 나사부(192, 202) 각각에 의해서 규정되는 피치 수(P2)는 인접한 와이퍼들 사이의 피치 수(P)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작다.
또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접촉하기 시작할 때 각 와이퍼(151 내지 154)가 리드 스크루(181, 182)와 맞물려지는 각 리드 스크루(181, 182)의 지점과,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할 때 와이퍼(151 내지 154)가 리드 스크루(181, 182)와 맞물려지는 리드 스크루(181, 182)의 지점 사이의 피치 수는 인접한 와이퍼들 사이의 피치 수(P)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작다. 다시 말하면, 이동 방향(D)에 대하여 길이 L의 기록 헤드(30)(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대응하는 각 리드 스크루(181, 182)의 섹션의 피치는 인접한 와이퍼들 사이의 피치 수(P) 와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작다. 따라서, 와이퍼들 중 선두 와이퍼(도 23에서는 제1의 와이퍼(151))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와이핑을 종료하고 나서만, 후속 와이퍼(도 23에서는 제2의 와이퍼(152))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하기 시작하도록 된다.
만약 피치 수(P)가 이동 방향(D)에 대하여 기록 헤드(30)에 대응하는 각 리드 스크루(181, 182)의 섹션의 피치 수와 동일하다면, 인접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와이핑 전 및 후에 서로 타이트한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와이퍼들(151 내지 154)에 의해서 점유되는 공간이 최소화된다.
하지만, 피치 수(P)가 이동 방향(D)에 대하여 기록 헤드(30)에 대응하는 각 리드 스크루(181, 182)의 섹션의 피치 수보다 더 크다면, 선두 와이퍼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와이핑을 완료할 때와 후속 와이퍼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하기 시작할 때의 사이에 시간 지연이 초래된다. 그래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의 이동이 완료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구동되는 모터(149)에 의해서도, 캐리지(14)가 동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및 제4의 와이핑 영역(WA1, WA4)만이 와이핑되는 상기한 경우에서, 예를 들면 제1의 블레이드(161)는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의 와이핑 영역(WA1)을 와이핑하기 위해 이동된다. 그 후에, 제2의 블레이드(162)가 기록 헤드(30)에 도달하기 전에,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로부터 대기 위치(18)로 이동된다. 이 상태에서, 제2 및 제3의 블레이드(162, 163)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하는 일 없이 와이핑 위치(WP)에 대응하는 동작 영역을 연속적으로 지나간다. 그리고 나서, 제4의 블레 이드(164)가 기록 헤드(30)에 도달하기 전에, 기록 헤드(30)는 대기 위치(18)로부터 와이핑 위치(WP)로 복귀된다. 이 상태에서, 제4의 블레이드(164)는 제4의 와이핑 영역(WA4)을 와이핑하도록 동작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은 모터(149)를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일 없이 와이핑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상이한 타입의 와이퍼들로 형성되거나 또는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선택 가능하다. 선택된 와이퍼가 와이핑 위치(WP)에 대응하는 동작 영역으로 들어가기 전에,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와이핑 위치(WP)로 이동된다. 반대로, 선택된 와이퍼와는 다른 와이퍼가 와이핑 위치(WP)에 대응하는 동작 영역으로 들어가기 전에,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는 대기 위치(18)로 후퇴된다.
소정량만큼 주 주사 방향(D)으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를 약간 이동시킴으로써, 각 블레이드에 의해 와이핑되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영역은 변경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제2 내지 제4의 와이핑 영역(WA2 내지 WA4) 중 어느 하나가 도 9의 제1의 블레이드(161)에 의해 와이핑될 수 있다.
특히, 예시된 실시예에서, 잉크 흡인 장치(20)는 노즐 개구 라인(55A 내지 55D)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잉크 흡인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전 부분 또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한정된 부분에 대해서 와이핑 동작이 요구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의 잉크 와이퍼 장치(130)는, 와이퍼(151 내지 154)의 선택적인 사용을 통하여, 와이핑이 요구되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영역만을 와이핑할 수 있다. 그래서 잉크 와이퍼 장치(20)는 바람직하게는 잉크 흡인 장치(20)를 갖는 잉크젯 프린터(10)에 사용된다. 또한, 노즐 개구 라인들(55A 내지 55D)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와이핑 영역만 와이핑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소위 반응성 잉크의 사용을 수월하게 한다.
와이퍼들(151 내지 154) 각각은 대응하는 홀더 부재(171 내지 174)를 가지며, 이들은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갖는 갖는다. 그래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이동 방향(D)으로 인접한 와이퍼들(151 내지 154)과 타이트한 접촉 상태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와이퍼들이 많은 분량으로 제공된다 하더라도, 잉크 와이퍼 장치(130)를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정렬된 와이퍼들의 분량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2개의 리드 스크루(181, 182)의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배치는 잉크 와이퍼 장치(130)의 사이즈를 축소시키며, 잉크 와이퍼 장치(130)의 구조를 단순화시킨다. 따라서, 잉크젯 프린터(10)의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고, 잉크젯 프린터(10)의 구조가 전체적으로 단순화될 수 있다.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을 상이한 재료 및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현재의 요건에 적합한 다양한 방식으로 와이핑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이 상이한 고무 재료들로 형성되면,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잉크 저항성 및 사용 수명의 측면에서 서로 확실히 다르다. 이와 달리,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이 경도(硬度) 또는 두께, 또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수직한 치수의 측면에서 서로 다르면,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할 때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상이한 레벨의 와이핑 압력을 가하게 된다. 게다가,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이 펠드(felt) 재료로 형성되면,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젖은 천과 유사한 방식으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문지르게 된다. 또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과 플래튼(12) 사이의 틈새, 또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높이가 가변적이면,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가해지는 블레이드(161 내지 164)의 가압력이 변경될 수 있다. 이들 변형 실시예들은, 잉크 요소들에 따라 와이핑 성능이 변경되어야 하거나 또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현재 열화 상태에 따라 와이핑력이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단일 타입의 블레이드에 의한 와이핑이 불충분할 때 복수 타입의 블레이드들로부터 선택함으로써 와이핑이 행해질 수 있으면,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은 효과적으로 와이핑될 수 있다.
상이한 타입의 블레이드들이 사용되는 경우의 예로서, 도 9의 제3의 블레이드(163)가 논의될 것이다. 설명한 바와 같이, 제3의 블레이드(163)는 라인 사이 와이핑부(163A 내지 163E)를 갖는다. 제3의 블레이드(163)를 사용하여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함으로써, 노즐 개구 라인(54A 내지 54D)의 노즐 개구들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노즐 플레이트 표면(61) 상에 남아있는 잉크, 소위 캡 마크(cap mark)가 제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 몸체(80)의 상단부(97)는 잉크 흡인 장치(20)에 의해 잉크 흡인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대하여 눌려진다. 캡 몸체(80)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으로부터 분리되고 난 후에, 상단부(97)에 대응되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부분에 는 캡 마크로서 잉크가 남아있을 수 있다. 하지만, 예시된 실시예에서, 이러한 캡 마크는 제3의 블레이드(163)의 라인 사이 와이핑부(163A 내지 463E)에 의해서 확실하게 와이핑될 수 있다.
도 9의 제4의 블레이드(164)는 사이드 블레이드(164S)를 갖는다. 사이드 블레이드(164S)를 사용함으로써, 기록 헤드(30)의 측면 표면으로부터 잉크가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상이한 타입의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대하여 이동 방향(D)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하도록 된다. 즉, 종래 기술과 달리, 블레이드들을 위치 설정하기 위해 블레이드들을 회전시킬 필요가 없다. 그래서 잉크 와이퍼 장치(130)는 그 사이즈가 축소될 수 있고, 이러한 잉크 와이퍼 장치(130)에 의해 점유되는 공간이 절감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회전 블레이드 타입의 장치와 비교하여, 이동 방향(D)에 직교하는 잉크 와이퍼 장치(130)의 수직 치수가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그래서 잉크젯 프린터(10)는 그 사이즈가 축소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서로 간섭하는 일 없이 서로 독립적으로 단일 모터(149)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모터(149) 및 리드 스크루(181, 182)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되며, 이들 각각은 와이퍼(151 내지 154)의 분량보다 더 적은 분량으로 제공된다. 이 구조는 와이퍼들(151 내지 154)을 이동시키는 메커니즘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이러한 메커니즘을 최소화시킨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도 24의 제2 내지 제4의 블레이드(162 내지 164)가 도 9의 대응하는 블레이드들과 다르다는 사실을 제외하고, 도 1 내지 도 2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래서, 도 24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도 1 내지 도 23도 또한 참조하면서 설명될 것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의 블레이드(161 내지 164)는 상이한 타입의 블레이드들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내지 제4의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형상은 서로 다르게 이루어지나 재료는 동일한 것으로 형성된다. 하지만, 이와 달리, 제1 내지 제4의 블레이드(161 내지 164)가 상이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이한 재료에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에 가해지는 가압력의 측면에서 서로 다른 재료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이한 재료에는, 젖은 천과 유사한 방식으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문지르는 재료도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의 블레이드(161 내지 164) 각각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제1 내지 제4의 와이핑 영역들(WA1 내지 WA4) 중 대응하는 와이핑 영역에 대응되게 형상이 이루어진다. 즉, 제1의 블레이드(161)는 제1의 와이핑 영역(WA1)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핑부(161A)를 갖는다. 제2의 블레이드(162)는 제2의 와이핑 영역(WA2)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핑부(162D)를 갖는다. 제3의 블레이드(163)는 제3의 와이핑 영역(WA3)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핑부(163F)를 갖는다. 제4의 블레이드(164)는 제4의 와이핑 영역(WA4)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핑부(164A)를 갖는다.
4개의 와이핑부(161A, 162D, 163F, 164A)는, 이동 방향(D)에 직교하는 주 주 사 방향(T)으로 서로에 대하여 오프셋된 위치에 배열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와이핑부(161A, 162D, 163F, 164A)의 위치들은,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의 와이핑 영역(WA1 내지 WA4)의 위치들에 대응된다. 하지만, 구성요소의 제작 또는 설치 오류를 보상하기 위해, 인접한 와이핑부들은 주 주사 방향(T)으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인접한 와이핑부들에 대응하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영역들은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이는 구성요소의 제작 또는 설치 오류에 관계없이, 인접한 와이핑부들에 의해 와이핑되는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영역들 사이에 와이핑되지 않은 영역이 초래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도 24의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의 와이퍼들(151 내지 154)을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노즐 개구 라인들 중 임의의 노즐 개구 라인이 선택적으로 와이핑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원하는 바에 따라 제1 내지 제4의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 중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를 사용하여, 제1 내지 제4의 와이핑 영역들(WA1 내지 WA4) 중 하나 이상의 와이핑 영역이 와이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잉크 와이퍼 장치(130)에 의한 와이핑 동작의 절차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동작에 앞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로 이동된다. 또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이 도 7 및 8의 초기 위치(대기 위치)에 위치된다, 즉 인접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이 서로 타이트한 접촉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제1의 나사부(191, 201)와 맞물려진다.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제1 내지 제4의 와이핑 영역들(WA1 내지 WA4) 전 체가 와이핑되어야 한다면, 와이핑 동작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서 행해진다. 먼저, 도 20의 스텝 ST1에서, 제1의 블레이드(161)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됨이 결정된다. 그러면, 스텝 ST2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에서 유지된다. 후속되는 스텝 ST3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1으로 회전되며, 그래서 제1의 와이퍼(151)가 제1의 와이핑 영역(WA1)을 와이핑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5에서, 제2의 블레이드(162)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됨이 결정된다. 그러면 스텝 ST6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에서 유지된다. 후속되는 스텝 ST7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2로 회전되며, 그래서 제2의 와이퍼(152)가 제2의 와이핑 영역(WA2)을 와이핑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스텝 ST9에서, 제3의 블레이드(163)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됨이 결정된다. 그러면 스텝 ST10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에서 유지된다. 후속되는 스텝 ST11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3로 회전되며, 그래서 제3의 와이퍼(153)가 제3의 와이핑 영역(WA3)을 와이핑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스텝 ST13에서, 제4의 블레이드(164)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됨이 결정된다. 그러면 스텝 ST14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에서 유지된다. 후속되는 스텝 ST15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4로 회전되며, 그래서 제4의 와이퍼(154)가 제4의 와이핑 영역(WA4)을 와이핑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이 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와이핑 영역들(WA1 내지 WA4) 전체가, 이동 방향(D)으로 이동하는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의 블레이드들(164 내지 164)에 의해 연속적으로 와이핑된다. 제1 내지 제4의 와이핑 영역들(WA1 내지 WA4)을 연속적으로 와이핑하기 위해, 모터(149)는 정지되는 일 없이 지속적으로 작동되며, 그래서 제1 내지 제4의 블레이드(161 내지 164)가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제1의 나사부들 각각은 제2의 나사부들 각각의 피치와 다른 피치를 가지므로, 리스 스크루(181, 182)가 와이퍼들(151 내지 154)을 이동시키는 속도가 변경된다. 따라서, 모터(149)의 속도는 변경될 필요가 없다, 즉 모터(149)는 일정 속도로 구동될 수 있다.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의 제2 및 제4의 와이핑 영역(WA2, WA4)은 와이핑되지 않고 제1 및 제3의 와이핑 영역(WA1, WA3)이 와이핑되어야 하면, 와이핑 동작은 다음의 절차에 따라서 행해진다. 먼저, 도 20의 스텝 ST1에서, 제1의 블레이드(161)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됨이 결정된다. 그러면 스텝 ST2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에서 유지된다. 후속되는 스텝 ST3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1으로 회전되며, 그래서 제1의 와이퍼(151)는 제1의 와이핑 영역(WA1)을 와이핑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나서 스텝 ST5에서, 제2의 블레이드(162)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되지 않음이 결정된다. 그러면 스텝 ST8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로부터 대기 위치(18)로 이동된다. 후속되는 스텝 ST7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2로 회전되며, 그래서 제2의 와이퍼(152)는 제2의 와이핑 영역(WA2)을 와이 핑하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스텝 ST9에서, 제3의 블레이드(163)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됨이 결정된다. 그러면 스텝 ST10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대기 위치(18)로부터 와이핑 위치(WP)로 이동된다. 후속되는 스텝 ST11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3로 회전되며, 그래서 제3의 와이퍼(153)는 제3의 와이핑 영역(WA3)을 와이핑하면서 이동 방향(D)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스텝 ST13에서, 제4의 블레이드(164)에 의한 와이핑이 요구되지 않음이 결정된다. 그러면 스텝 ST16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로부터 대기 위치(18)로 이동된다. 후속되는 스텝 ST15에서, 모터(149)가 스텝 수 X4로 회전되며, 그래서 제4의 와이퍼(154)는 제4의 와이핑 영역(WA4)을 와이핑하는 일 없이 이동 방향(D)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제1 및 제3의 와이핑 영역(WA1, WA3)은 와이핑되지 않고 제2 및 제4의 와이핑 영역(WA2, WA4)이 와이핑되어야 하면, 스텝 ST4와 ST12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대기 위치(18)로 이동된다. 또한, 스텝 ST6와 ST14에서, 캐리지(14)와 기록 헤드(30)가 와이핑 위치(WP)로 이동된다.
도 24의 실시예에서, 블레이드들 중 선두 블레이드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하는 동안에, 후속 블레이드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하기 시작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블레이드가 동시에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한다고 해도,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갖는 단일의 블레이드가 전체적으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들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는 메커 니즘에 가해지는 하중은 저감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 각각에서, 와이퍼들(151 내지 154) 각각은 연관된 블레이드(161 내지 164)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접촉하기 시작할 때 또는 블레이드(161 내지 164)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할 때 리드 스크루(181, 182)의 제1의 나사부들과 맞물려진다. 하지만, 각 와이퍼(151 내지 154)는 연관된 블레이드(161 내지 164)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접촉하기 시작할 때 또는 블레이드(161 내지 164)가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할 때 리드 스크루(181, 182)의 제2의 나사부들과 맞물려질 수도 있다.
각 블레이드(161 내지 164)의 형상은 예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 다른 적절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이동 방향(D)으로 이동하면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한다. 그렇지만,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은 이동 방향(D)에 반대인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노즐 플레이트 표면(61)을 와이핑할 수도 있다.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을 세정하기 위한 클리너 부재가 캐리지(14)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 각각이 이동 방향(D)의 소정 위치에 정지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캐리지(14)가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에 대하여 주 주사 방향(T)으로 이동된다. 그에 따라 클리너 부재가 블레이드들(161 내지 164)을 세정한다.
도 7의 드라이버(140)의 톱니형 벨트(141)는 기어 열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와이퍼들(151 내지 154)이 질질 끌리는 일 없이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되는 한, 리드 스크루들(181, 182) 중 하나는 예를 들면 막대와 같은 가이드 부재로 변경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와이퍼들(151 내지 154)은 단일의 리드 스크루에 의해 이동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지(14)에 의해 운반되는 4개의 잉크 카트리지(2 내지 5)는 각각, 예를 들면 검정, 청록, 자홍 및 노랑의 칼라 잉크를 보유한다. 하지만, 잉크젯 프린터(10)는 검정 잉크를 보유한 잉크 카트리지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잉크젯 프린터(10)는 2개, 3개, 또는 5개 이상의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예를 들면 잉크젯 프린터(10)는 검정 잉크를 제외한 3가지 칼라 잉크를 보유하는 3개의 잉크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와이퍼의 수는 4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수가 2개 미만으로 되지 않는 한 변경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터(10)가 검정 잉크, 청록 잉크, 자홍 잉크 및 노랑 잉크를 각각 보유한 4개의 잉크 카트리지를 갖지만 2개의 와이퍼를 갖는 경우에, 도 3 및 4에 도시된 캡 몸체(80)의 칸막이들(81)은 중간의 칸막이를 제외하고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 및 제2의 노즐 개구 라인(54A, 54B)은 동시에 잉크 흡인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제1 및 제2의 노즐 개구 라인(54A, 54B)은 대응하는 와이퍼에 의해 한번에 와이핑된다. 이어서, 제3 및 제4의 노즐 개구 라인(54C, 54D)이 동시에 잉크 흡인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제3 및 제4의 노즐 개구 라인(54C, 54D)은 다른 와이퍼에 의해 한번에 와이핑된다.
이와 달리, 각 블레이드의 일측면에 의해 와이핑되는 노즐 개구 라인들은 블레이드의 반대 측면에 의해 와이핑되는 노즐 개구 라인과 다를 수 있다. 이 구조는 잉크 카트리지의 분량에 대한 와이퍼의 분량을 저감시킨다.
본 발명은 잉크젯 타입의 기록 장치에 대한 적용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유형의 액체 분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LCD(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컬러 필터의 제작에 사용되는 컬러 물질, 유기 EL 디스플레이 또는 FED(면발광 디스플레이)의 전극의 제작에 사용되는 전극 물질, 및 바이오칩의 제작에 사용되는 생체 유기(bioorganic) 물질과 같은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밀 피펫(pipette)으로서의 샘플 분사 장치에도 또한 적용 가능하다.
예시된 이동 장치(138)는 복수의 와이퍼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공되었다. 또한, 액체 분사 장치의 와이퍼 이외의 다른 가동(可動) 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이동 장치(138)와 동일한 구성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퍼를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장치(138) 외에, 본 액체 분사 장치는, 복수의 가동 요소들과 맞물려지며 그래서 이들 가동 요소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 스크루를 포함하는 다른 이동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지 제한적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되고,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구체 사항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첨부된 특허 청구항의 범위 및 등가물 내에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액체 분사 헤드에 규정된 복수의 노즐 개구 라인을 선택적으로 와이핑하는, 간단하게 구성되고 소형화된 액체 분사 장치의 제공, 및 액체 분사 헤드의 현재 오염 상태에 대응하여 액체 분사 헤드를 와이핑할 수 있는 컴팩트한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Claims (21)

  1. 액체 분사 헤드의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와이핑하기 위해 상기 액체 분사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퍼와;
    상기 이동 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와이퍼들을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회전되는 리드 스크루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리드 스크루와 맞물려지고,
    상기 리드 스크루는 제1의 나사부와 제2의 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제1의 나사부는 상기 제2의 나사부의 피드 피치보다 더 작은 피드 피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들 각각은, 제2의 나사부와 맞물린 때에는 상기 노즐 개구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동작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나, 제1의 나사부와 맞물린 때에는 상기 동작 영역의 외부인 비동작 영역에 위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루는, 상기 와이퍼가 상기 동작 영역에서 이동 중일 때는 상대적으로 고속으로, 그리고 상기 와이퍼가 상기 비동작 영역에서 이동 중일 때는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상기 와이퍼들 각각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들은, 상기 와이퍼들 중 하나가 상기 동작 영역으로부터 밖으로 이동하고 난 후에, 상기 와이퍼들 중 그 후속하는 와이퍼가 상기 동작 영역으로 들어가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리드 스크루와 맞물려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는 소정의 와이핑 위치 및 상기 와이핑 위치로부터 후퇴된 대기 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동작 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와이퍼들 각각은 상기 액체 분사 헤드가 상기 와이핑 위치에서 유지될 때 상기 노즐 개구 표면을 와이핑하고, 상기 액체 분사 헤드가 대기 위치에서 유지될 때 상기 노즐 개구 표면을 와이핑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와이퍼들 사이에서의 상기 리드 스크루의 피치 수는 상기 제2의 나사부의 피치 수와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접한 와이퍼들 사이에서의 상기 리드 스크루의 피치 수는, 상기 와이퍼들 각각이 상기 노즐 개구 표면과 접촉하기 시작할 때 상기 리드 스크루와 맞물려지는 상기 리드 스크루의 지점과 상기 와이퍼들 각각이 상기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분리되기 시작할 때 상기 리드 스크루와 맞물려지는 상기 리드 스크루의 지점 사이의 피치 수와 동일하거나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개구 표면에는 복수의 노즐 개구 라인이 규정되며, 상기 와이퍼들 각각은 상기 노즐 개구 라인들 중 하나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들은 상이한 타입의 와이퍼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12. 삭제
  13. 액체 분사 헤드의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와이핑하기 위해 상기 액체 분사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이동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퍼; 및
    상기 와이퍼들을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로서,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이동 방향으로 뻗어있으며 상기 와이퍼들과 맞물려지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 스크루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 스크루는 상기 와이퍼들을 상기 이동 방향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 스크루는 상이한 피드 피치를 갖는 나사부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15. 액체 분사 헤드의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로서, 상기 장치는:
    상기 노즐 개구 표면으로부터 액체를 와이핑하기 위해 상기 액체 분사 헤드에 대하여 소정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이한 타입의 와이퍼들; 및
    상기 상이한 타입의 와이퍼들이 상기 노즐 개구 표면의 동일 영역을 와이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와이퍼들을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들 각각은 상기 노즐 개구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동작 영역, 상기 동작 영역에 선행하는 제1의 비동작 영역, 및 상기 동작 영역에 후속하는 제2의 비동작 영역에서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이동 장치는, 상기 와이퍼들을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회전되는 리드 스크루와, 상기 리드 스크루를 회전시키는 드라이버를 포함하며,
    상기 리드 스크루는 제1의 나사부와 제2의 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제1의 나사부는 상기 제2의 나사부의 피드 피치보다 더 작은 피드 피치를 가지며,
    상기 와이퍼들 각각은 상기 제1의 나사부와 맞물려질 때는 상기 제1 또는 제2의 비동작 영역에 위치되지만 상기 제2의 나사부와 맞물려질 때는 상기 동작 영역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들은 상기 이동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들 각각은 상기 노즐 개구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를 유지하기 위한 홀더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의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이한 타입의 블레이드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기 노즐 개구 표면에 수직한 치수, 경도, 두께, 재료 및 형상 중 적어도 하나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기 노즐 개구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와이핑부의 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측면 표면을 와이핑하기 위한 측면 와이핑부를 갖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KR1020050063251A 2004-07-14 2005-07-13 액체 와이퍼 장치를 갖는 액체 분사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99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07184 2004-07-14
JPJP-P-2004-00207185 2004-07-14
JP2004207185 2004-07-14
JPJP-P-2004-00207184 2004-07-14
JPJP-P-2005-00184148 2005-06-23
JP2005184149A JP4661394B2 (ja) 2004-07-14 2005-06-23 液体噴射装置
JPJP-P-2005-00184149 2005-06-23
JP2005184148A JP4687274B2 (ja) 2004-07-14 2005-06-23 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払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132A KR20060050132A (ko) 2006-05-19
KR100799005B1 true KR100799005B1 (ko) 2008-01-28

Family

ID=34937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32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9005B1 (ko) 2004-07-14 2005-07-13 액체 와이퍼 장치를 갖는 액체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75296B2 (ko)
EP (1) EP1616702B1 (ko)
KR (1) KR1007990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0294B2 (ja) * 2006-01-25 2012-10-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2007301983A (ja) * 2006-04-10 2007-11-22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ヘッド用のメンテナンス装置
KR101309791B1 (ko) 2006-06-19 2013-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의 구동 제어방법
JP4952130B2 (ja) * 2006-08-11 2012-06-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装置
KR100831286B1 (ko) * 2006-11-09 2008-05-22 주식회사 디지아이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헤드 와이핑 장치
JP2009298062A (ja) * 2008-06-16 2009-12-24 Seiko Epson Corp 流体噴射装置
JP2010046838A (ja) * 2008-08-20 2010-03-04 Brother Ind Ltd 画像記録装置
JP5438632B2 (ja) 2010-08-31 2014-03-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滴吐出装置
JP5477981B2 (ja) * 2012-03-22 2014-04-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
JP6142575B2 (ja) 2013-03-04 2017-06-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2018096468A (ja) * 2016-12-14 2018-06-21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JP7302282B2 (ja) 2019-05-22 2023-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2539A (en) 1993-04-19 1995-07-11 Xerox Corporation Printhead maintenance device for a full-width ink-jet printer including a wiper rotated by a lead screw
JP2000318171A (ja) * 1999-05-07 2000-11-21 Canon Inc クリーニング方法、および、それが使用され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1018405A (ja) 1999-07-07 2001-01-23 Toshiba Tec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6241337B1 (en) 1998-12-28 2001-06-05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printer with cleaning mechanism having a wiper blade and transduce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5507A (en) * 1940-12-16 1942-03-10 Daniel J Crowley Combined article of furniture and radio receiving set
US5689293A (en) * 1989-01-23 1997-11-18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head capping device
JPH0326546U (ko) 1989-07-25 1991-03-18
DE69321783T2 (de) * 1992-07-28 1999-04-29 Canon K.K., Tokio/Tokyo Wischmechanismus für einen Tintenstrahlaufzeichnungskopf und damit versehener Aufzeichnungskopf
JPH06320744A (ja) * 1993-04-19 1994-11-22 Xerox Corp 全巾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の湿式拭い保守装置
JPH0623999A (ja) 1993-06-16 1994-02-01 Seikosha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3374896B2 (ja) 1997-04-09 2003-0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H11334090A (ja) 1998-05-29 1999-12-0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DE69938285T2 (de) 1998-12-15 2009-03-12 Canon K.K. Tintenstrahldrucker
JP2001030507A (ja) 1999-07-23 2001-02-06 Toshiba Tec Corp カラー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6655781B2 (en) * 2001-10-30 2003-1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urved wiper blade system for inkjet printheads
JP3943997B2 (ja) 2002-06-07 2007-07-1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20050035991A1 (en) * 2003-08-12 2005-02-17 Fredrickson Daniel John Inkjet printer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7044580B2 (en) * 2003-11-18 2006-05-16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head maintenance apparatus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2539A (en) 1993-04-19 1995-07-11 Xerox Corporation Printhead maintenance device for a full-width ink-jet printer including a wiper rotated by a lead screw
US6241337B1 (en) 1998-12-28 2001-06-05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printer with cleaning mechanism having a wiper blade and transducer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printer
JP2000318171A (ja) * 1999-05-07 2000-11-21 Canon Inc クリーニング方法、および、それが使用され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1018405A (ja) 1999-07-07 2001-01-23 Toshiba Tec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16702A1 (en) 2006-01-18
EP1616702B1 (en) 2012-10-31
US7575296B2 (en) 2009-08-18
KR20060050132A (ko) 2006-05-19
US20060012629A1 (en)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75340B2 (ja) 液体噴射装置
CN107443909B (zh) 液体喷射头的清洁装置以及液体喷射装置
EP3231613B1 (en) Cleaning device of liquid ejection head and liquid ejection device
KR100799005B1 (ko) 액체 와이퍼 장치를 갖는 액체 분사 장치
US7758151B2 (en) Wiper device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US8465122B2 (en) Liquid jetting apparatus
US20090309918A1 (en) Fluid ejecting apparatus
JP5170159B2 (ja) 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払拭装置
JPH112018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22129724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7543909B2 (en) Wiper device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JP4661394B2 (ja) 液体噴射装置
JP2008149483A (ja) 記録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記録装置
JP2005342991A (ja) 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噴射ヘッドの液体吸収装置
JP4687274B2 (ja) 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払拭装置
JP2002086758A (ja)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
JP2005212141A (ja) 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噴射ヘッドのワイピング方法
JP2005246698A (ja) 液体噴射装置、液体噴射装置のフラッシング方法
JP200511168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224879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ヘッドの回復処理方法
JP4127222B2 (ja) 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
JP4200738B2 (ja) 液体噴射装置のキャッピング操作方法
JP2010120176A (ja) 液体噴射装置
JP2005081595A (ja) 液体噴射装置
JP2012086368A (ja) ワイピング方法、ワイピング制御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21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99005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8012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1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