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8291B1 -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291B1
KR100798291B1 KR1020040110798A KR20040110798A KR100798291B1 KR 100798291 B1 KR100798291 B1 KR 100798291B1 KR 1020040110798 A KR1020040110798 A KR 1020040110798A KR 20040110798 A KR20040110798 A KR 20040110798A KR 100798291 B1 KR100798291 B1 KR 100798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ing
gas mask
glasses
viewing window
out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8891A (ko
Inventor
김영남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20040110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291B1/ko
Publication of KR20060038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9/00Relieving load on bearings
    • F16C39/06Relieving load on bearings using magnetic means
    • F16C39/063Permanent magne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독면에 사용되는 탈착식 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독면의 투시창 내측에 삽입되는 내측 지지링과 방독면의 투시창 외측에 거치되고 그 내주연에 렌즈를 갖는 외측 지지링을 각각 분할 형성하되, 내측 지지링의 내주면과 외측 지지링의 외주연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자석체를 복수개 형성하여, 상기 자석체에 의해 서로 부착 고정되게 함으로서,
저시력이나 난시를 갖고 있는 사용자로 하여금 그 안경 조립체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안경조립체의 손쉬운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면서도 강력한 자력을 갖는 자석체에 의해 구보나 격렬한 활동 중에서 이탈할 우려가 없는 것이며, 렌즈가 투시창 외측에 위치하므로 방독면 내부의 습기에 의해 시야가 흐려지는 등의 번거로움을 탈피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에 대한 것이다.
방독면, 안경, 지지링, 자석체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Glasses for transparent shield of respirator}
도 1은 본 발명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을 방독면에 착용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을 방독면에 착용한 상태의 요부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의 타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내측 지지링 11,11' : 돌출부
12,12' : 요홈부 13,13' : 자석체
20 : 외측 지지링 21,21' : 돌출부
22,22' : 요홈부 23,23' : 자석체
24 : 렌즈
30 : 고정클립 31 : 분실방지끈
100 : 방독면 101 : 투시창
102 : 안면시트 103 : 요홈조
본 발명은 방독면에 사용되는 탈착식 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석체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한 내,외측 지지링을 형성하여 이에 의해 방독면의 투시창 내,외측에 부착 사용함으로서, 방독면용 안경의 용이한 착탈을 가능케 하면서도 방독면의 착용시 내측의 습기에 의한 김서림으로 시야가 흐려지거나 용이치 못한 것을 개선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독면은 제 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이 독가스를 사용하게 되자 방호대책으로 최초의 방독면이 연합군에 의해 개발 사용된 것으로, 오늘날 화생방무기가 주목을 받게 되자 방독면도 독가스로부터 화생방무기로 확대되어 그 용도가 넓어졌다.
그러나, 근자에 들어서는 전시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탄광, 공장 등에서 유독 가스나 증기, 유독성 미립자 등으로 오염된 환경속에서 작업하거나, 소화작업 폭동진압용으로 소방관, 경찰관이 방독면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으며, 특히 화재시에 발생되는 각종 유해 유독가스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방독면의 착용이 요구되고 있는 등 방독면의 이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방독면은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게 하여 외부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한 바와 같이 안면에 밀착 착용되므로 안경을 착용하는 병사나 사용자는 반드시 안경을 벗고 착용하여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시력이 좋지 않은 병사가 방독면을 착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 방독면의 투시창 내측에 별도의 렌즈 조립체를 결합하여 상기 렌즈를 통해 저시력의 병사나 착용자로 하여금 원활한 시야의 확보를 가능케 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렌즈 조립체는 그 방독면의 내측 투시창에 조립되는 것이므로, 그 렌즈에 습기에 의한 김서림이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야 확보에도 매우 어려움이 있어 대부분의 사용자가 이를 기피하고 있으며, 설사 이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김서림에 의한 시야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전력이나 활동의 차질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방독면의 투시창 내측에 삽입되는 내측 지지링과 방독면의 투시창 외측에 거치되고 그 내주연에 렌즈를 갖는 외측 지지링을 각각 분할 형성하되, 내측 지지링의 내주면과 외측 지지링의 외주연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의 자석체를 복수개 형성하여, 상기 자석체에 의해 서로 부착 고정되게 함으로서,
저시력이나 난시를 갖고 있는 사용자로 하여금 그 안경 조립체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안경조립체의 손쉬운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면서도 강력한 자력을 갖는 자석체에 의해 구보나 격렬한 활동 중에서 이탈할 우려가 없는 것이며, 렌즈가 투시창 외측에 위치하므로 방독면 내부의 습기에 의해 시야가 흐려지는 등의 번거로움을 탈피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그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을 방독면에 부착한 상태의 방독면 전체도이다.
방독면(100)의 투시창(101) 내측에, 투시창(101)과 안면시트(102) 간의 조립구조상 발생하는 요홈조(103)로 압입 고정되는 크기를 갖는 내측 지지링(10)과,
상기한 투시창(101) 외측에, 그 투시창(101)의 크기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내부에는 렌즈(24)가 내장되어 고정된 외측 지지링(20)을 각각 분할 형성하되,
상기한 내측 지지링(1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11)(11')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11)(11')의 일측으로 요홈부(12)(12')를 형성하여, 그 요홈부(12)(12')에 자석체(13)(13')를 삽입 부착하고,
상기 외측 지지링(20)의 외주면에는 또다른 돌출부(21)(21')를 복수개 형성하고, 그 돌출부(21)(21')의 일측으로 자석체(23)(23')가 삽입 부착된 요홈부(22)(22')를 형성하며,
상기한 각각의 자석체(13)(13')(23)(23')는 서로 대응 부착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 내측 지지링(10)과 외측 지지링(20)이 상기 자석체(13)(13')(23)(23')에 의해 투시창(101)의 내,외측에 부착 고정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외측 지지링(20)의 일측에 고정클립(30)을 갖는 분실방지끈(31)을 고정 형성하여, 상기 고정클립(30)에 의해 상기한 외측 지지링(20)이 방독면(100)으로부터 연결 고정되게 함으로서, 일시적으로 외측 지지 링(20)을 분리하여야 하거나, 큰 충격에 의해 그 외측 지지링(20)이 분리되는 경우 그 외측 지지링(20)의 분실을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은 통상의 방독면(100) 투시창(101) 내,외측에 내측 지지링(10)과 외측 지지링(20)을 자석체에 의해 부착 고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먼저, 내측 지지링(10)은 일반적인 방독면(100) 특히, 군용 방독면에 형성된 투시창(101)의 내측으로부터 안면시트(102)의 연결부에 형성되는 요홈조(103)에 삽입 계지될 정도의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한 요홈조(103)는 방독면의 내측에 인위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안면시트(102)와 투시창(101)을 결합 고정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홈으로서, 상기한 요홈조(103)에 내측 지지링(10)을 압압하여 삽입하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내측 지지링(1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11)(11')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돌출부(11)(11')에는 투시창(101)을 향하는 요홈부(12)(12')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요홈부(12)(12')에는 자석체(13)(13')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의 내측 지지링(10)을 투시창(101)의 내측에 삽입 고정한 상태에서 렌즈(24)를 갖는 외측 지지링(20)을 투시창(101)의 외측으로부터 밀착하여 상기한 내측 지지링(10)의 자석체(13)(13')에 의해 일정한 방향 및 위치로 부착 고정되 게 하는 것인데,
상기한 외측 지지링(20)은 전기한 내측 지지링(10)의 직경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고 그 내측에는 사용자의 시력을 보정하기 위한 렌즈(24)가 내장되어 있는 것이며, 그 외측 지지링(20)의 외주면에는 상기한 내측 지지링(10)의 돌출부(11)(11')와 대응 위치에 또다른 돌출부(21)(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돌출부(21)(21')에는 투시창(101)을 향하는 요홈부(22)(22')가 형성되어 있고 그 요홈부(22)(22')에는 자석체(23)(23')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내측 지지링(10)의 자석체(13)(13')와 외측 지지링(20)의 자석체(23)(23')가 상호 인력에 의해 투시창(101)의 내,외측에서 견고하게 부착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자석체(13)(13')(23)(23')는 비교적 큰 자력을 갖고 있는 것이 효과적이며, 구보나 운등 등 활동시에는 분리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인위적인 힘에 의해 잡아 당길 경우에는 분리될 정도의 인력을 갖고 있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보급된 방독면에 안경 조립체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 안경에 의해 용이하게 시력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그 렌즈(24)가 습기가 발생하여 시야가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며, 손쉬운 제거가 가능하여 보다 용이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 안경은 방독면으로부터 일시적으로 그 안경을 제거하여야 하는 경우 그 외측 지지링(20)을 투시창(101)으로부터 제거하면 되는 것인데, 이때 외측 지지링(20)을 분실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외측 지지링(20)의 외측에 도 4의 도시와 같이 별도의 분실방지끈(31) 단부를 고정 형성하되, 그 분실방지끈(31)의 타단에는 고정클립(30)을 형성하여, 그 고정클립(30)을 방독면(100)의 착용밴드나 고리 등에 걸어 놓으므로서 외측 지지링(20)을 분리하여 늘어트리더라도 상기한 분실방지끈(31)에 의해 분리되거나 이탈하지 않으므로 분실 및 손상의 위험이 감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은, 저시력이나 난시를 갖고 있는 사용자로 하여금 그 안경 조립체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안경조립체의 손쉬운 분리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면서도 강력한 자력을 갖는 자석체에 의해 구보나 격렬한 활동 중에서 이탈할 우려가 없는 것이며, 렌즈가 투시창 외측에 위치하므로 방독면 내부의 습기에 의해 시야가 흐려지는 등의 번거로움을 탈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방독면(100)의 투시창(101) 내측에, 투시창(101)과 안면시트(102) 간의 조립구조상 발생하는 요홈조(103)로 압입 고정되는 크기를 갖는 내측 지지링(10)과,
    상기한 투시창(101) 외측에, 그 투시창(101)의 크기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내부에는 렌즈(24)가 내장되어 고정된 외측 지지링(20)을 각각 분할 형성하되,
    상기한 내측 지지링(10)의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돌출부(11)(11')를 형성하고, 그 돌출부(11)(11')의 일측으로 요홈부(12)(12')를 형성하여, 그 요홈부(12)(12')에 자석체(13)(13')를 삽입 부착하고,
    상기 외측 지지링(20)의 외주면에는 또다른 돌출부(21)(21')를 복수개 형성하고, 그 돌출부(21)(21')의 일측으로 자석체(23)(23')가 삽입 부착된 요홈부(22)(22')를 형성하며,
    상기한 각각의 자석체(13)(13')(23)(23')는 서로 대응 부착 위치에 형성되게 하여 내측 지지링(10)과 외측 지지링(20)이 상기 자석체(13)(13')(23)(23')에 의해 투시창(101)의 내,외측에 부착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2. 제 1항에 있어서,
    외측 지지링(20)의 일측에 고정클립(30)을 갖는 분실방지끈(31)을 고정 형성하여, 상기 고정클립(30)에 의해 상기한 외측 지지링(20)이 방독면(100)으로부터 연결 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KR1020040110798A 2004-12-22 2004-12-22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KR100798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798A KR100798291B1 (ko) 2004-12-22 2004-12-22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0798A KR100798291B1 (ko) 2004-12-22 2004-12-22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754U Division KR200373447Y1 (ko) 2004-10-30 2004-10-30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891A KR20060038891A (ko) 2006-05-04
KR100798291B1 true KR100798291B1 (ko) 2008-01-28

Family

ID=3714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798A KR100798291B1 (ko) 2004-12-22 2004-12-22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15B1 (ko) * 2006-02-18 2008-01-02 김영남 고정클립 및 분리형 안경테를 갖는 방독면용 렌즈결합체
CN103284356B (zh) * 2013-05-30 2015-04-15 广州广一大气治理工程有限公司 一种磁电式空气净化口罩
KR102346280B1 (ko) * 2020-02-26 2022-01-03 주식회사 이노 (Inno) 방독면과 고글의 공용 장착이 가능한 보조 안경테용 조립체
KR102412200B1 (ko) * 2020-08-06 2022-06-23 이향제 필터 교체형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891A (ko) 200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5839Y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US20070033716A1 (en) Goggles with removable frame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550620B2 (en) Frame hinge and side arm, eyeglass frame with multiple wearer connections and improved spectacle kit
US8550619B2 (en) Removable lens eyewear system
WO2008045318A3 (en) Goggle attachment system for helmet
US4698857A (en) Light secure eyecup for use with night vision goggles
KR100798291B1 (ko)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US20180373064A1 (en) Eye glasses structure
CA2346047C (en) Spectacle kit
KR200373447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US6789271B2 (en) Eye protection
KR200410974Y1 (ko) 자석에 의해 탈,부착되는 방독면 투시창용 안경
KR100789315B1 (ko) 고정클립 및 분리형 안경테를 갖는 방독면용 렌즈결합체
KR200415990Y1 (ko) 고정클립 및 분리형 안경테를 갖는 방독면용 렌즈결합체
KR200424055Y1 (ko) 전차용 방독면안경
KR100696078B1 (ko) 촛점 유지가 가능한 방독면용 렌즈 결합구
KR101036729B1 (ko) 방독면 안경
CN114887247A (zh) 一种自吸过滤式防毒防核辐射全面具
KR101698409B1 (ko) 다기능 복합 안경
JP3726128B2 (ja) 防護マスク
KR200369371Y1 (ko) 방독면용 탈착식 안경조립체
KR20120032237A (ko) 전투용 기능성 안경
US20250049154A1 (en) Dual-layered face mask
CN220569015U (zh) 可拆卸镜片配件
KR200282514Y1 (ko) 견착사격이 가능토록 된 전면고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8 Dual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81R01D

Patent event date: 20041222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1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3I

Patent event date: 20041222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