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7534B1 - 식물세포배양배지에 혼합당 처리를 통한 이차 대사산물의대량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세포배양배지에 혼합당 처리를 통한 이차 대사산물의대량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534B1
KR100797534B1 KR1020060049694A KR20060049694A KR100797534B1 KR 100797534 B1 KR100797534 B1 KR 100797534B1 KR 1020060049694 A KR1020060049694 A KR 1020060049694A KR 20060049694 A KR20060049694 A KR 20060049694A KR 100797534 B1 KR100797534 B1 KR 100797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culture
taxus
plant cell
cell cult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6381A (ko
Inventor
김진아
김창헌
송재영
최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제넥스
Priority to JP2008514560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8541755A/ja
Priority to PCT/KR2006/002141 priority patent/WO2006129988A1/en
Priority to KR1020060049694A priority patent/KR100797534B1/ko
Priority to EP06747492.4A priority patent/EP1891206B1/en
Priority to US11/915,869 priority patent/US8936940B2/en
Publication of KR20060126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53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4Plant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18Culture media for cell or tissue culture
    • C12N5/0025Culture media for plant cell or plant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38Chemical stimulation of growth or activity by addition of chemical compounds which are not essential growth factors; Stimulation of growth by removal of a chemical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7/00Preparation of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with only O, N, S, Se or Te as ring hetero atoms
    • C12P17/02Oxygen as only ring hetero at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을 고수율로 생산하는 방법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용 배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식물 세포를 배양할 때 배양 배지에 당의 혼합처리를 통해 식물세포의 이차대사산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대사산물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세포배양에 포도당과 과당을 혼합 처리함으로써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배양기간을 단축시키는 방법을 확립하여 식물세포배양을 이용한 이차대사산물 생산의 산업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식물세포, 이차대사산물, 당

Description

식물세포배양배지에 혼합당 처리를 통한 이차 대사산물의 대량 생산방법{MASS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 IN PLANT CELL CULTURE BY TREATMENT OF SACCHARIDE MIXTURE IN MEDICUM}
도 1a는 실시예 1에 따라, 자당, 과당, 엿당, 또는 포도당을 첨가하여 택서스 취넨시스(Taxus chinensis) 세포주 SYG-1를 배양한 뒤, 세포건조중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b는 실시예 1에 따라, 자당, 과당, 엿당, 또는 포도당을 첨가하여 택서스 취넨시스 SYG-1를 배양한 뒤, 파클리탁셀의 생산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포도당과 과당을 혼합 처리하여 택서스 취넨시스 SYG-1를 배양한 뒤, 세포건조중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포도당과 과당을 혼합 처리하여 택서스 취넨시스 SYG-1를 배양한 뒤, 파클리탁셀의 생산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라, 배양 진행 중에 탄소원으로서 단일 당을 추가로 첨가하여, 파클리탁셀의 생산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라, 배양 진행 중에 탄소원으로서 상이한 당을 혼합처리하여 추가로 첨가하여 택서스 취넨시스 SYG-1를 배양한 경우의 파클리탁셀의 생산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라, 식물세포 생장시와 이차대사산물 생산시에 탄소원으로서 상이한 당을 혼합처리하여 택서스 취넨시스 SYG-1를 배양한 경우의 파클리탁셀의 생산 양상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식물세포배양에서 이차대사산물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배지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식물 세포를 배양할 때 배양 배지에 2종 이상의 당류를 혼합 처리함으로써 식물세포의 성장을 촉진하고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세포배양을 이용한 이차대사산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물은 의약품, 농약, 향신료, 색소, 식품 첨가물, 화장품 등으로 사용되는 폭 넓은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는 유용한 자원이다. 그러나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차대사산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인 반면 식물로부터의 직접적인 생산을 통한 공급은 제한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식물 기원 이차대사산물을 식물세포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하려고 하는 시도가 있어 왔다 (Stockigt 등의 문헌 [Plant Cell Tissue Org. Cult. 43: 914-920, 1995] 참조).
식물세포배양을 통한 이차대사산물의 대량생산은 배양 세포주의 불안정성, 낮은 생산성, 느린 성장과 대량 배양(scale-up)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식물세포배양의 낮은 생산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노력이 시도된 바 있으며, 이러한 시도에는 1) 당, 질산염, 인산염, 성장조절제, 전구체의 첨가 등과 같은 배양 배지의 영양 물질 조작; 2) 배양 온도, 조명, 배지의 pH, 진탕 및 통기 조건 등과 같은 배양 환경의 최적화; 3)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유도제(elicitor)의 처리; 4) 이차대사산물의 효과적인 회수를 위한 세포막의 투과성화(permeabilization)와 이원상 배양 (two-phase culture); 5) 이차대사산물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변형하거나 외래 유전자를 도입하여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을 증가시키는 대사공학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은 특정 식물세포 혹은 특정 이차대사산물에만 한정되어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으며, 대다수의 식물세포배양과 이차대사산물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법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
식물세포를 기내 배양하기 위해서는 식물세포의 성장에 필수적인 각종 영양물질을 포함하는 영양배지에서 배양하게 된다. 이때 영양배지의 성분인 당, 질산염, 인산염, 성장조절제 등의 조성 조절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에 필요한 전구체의 첨가 등과 같은 배양 배지의 영양 물질 조작을 통하여 식물세포배양의 이차대사산물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물 조직 및 세포 배양에는 탄소원의 공급이 필요하며, 조직배양에서 가장 흔히 사용되는 탄소원은 자당과 포도당이다. 또한 과당, 젖당 엿당, 갈 락토오스 및 전분도 이용되고 있지만, 장미과(Rosaceae)의 어떤 식물과 사과나무 조직배양에는 솔비톨이 좋고, 사과대목인 M9과 Dedrobium에는 과당, 그리고 밀의 약배양에는 포도당이 좋은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자당의 일반적인 농도는 2~3%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5~12%의 농도를 사용하기도 한다. 단자엽식물을 배양할 경우에는 포도당이 많이 이용된다 (식물조직배양기술, 향문사, 1987).
그러나 식물의 종, 혹은 배양된 조직 또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선호하는 탄소원의 종류가 다르며, 특히 이차대사산물 생산을 위한 식물세포 배양의 경우에는 공급되는 탄소원에 따라 세포의 성장 및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식물 기원 이차대사산물을 식물세포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산업적으로 대량 생산하려고 하는 시도가 있어왔으나, 식물 조직 및 식물세포배양기술의 산업화를 위해 대다수의 식물세포배양과 이차대사산물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대량생산 방법 중 배양시 혼합 탄소원의 처리에 의한 대량 생산 방법에 대한 상세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2종 이상의 당류를 첨가하여 식물세포를 배양함으로써 이차대사산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2종 이상의 당류를 포함하는 식물세포의 성장배지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용 생산배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및 당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당류가 탄소원으로 첨가된 식물세포 배양용 배지에 식물세포를 배양하여 상기 식물세포가 생산하는 이차대사산물의 생산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및 당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당류를 탄소원으로 포함하는, 식물 세포의 생장 배지 및 식물세포에 의한 이차산물 생산용 배지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식물세포배양에서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 향상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2종이상의 당을 혼합하여 식물 세포배양을 실시하였다.
식물체가 일반적으로 세포의 성장과 무관하게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지만, 식물세포 배양의 경우는 세포의 성장에 의존적 또는 무관하게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한다. 하지만 세포의 성장과 무관하게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더라도 세포의 성장이 물질 대사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 기초하여, 배양 배지의 탄소원을 2종 이상의 당을 혼합하여 첨가하여 식물세포를 배양하였다. 그 결과, 식물세포의 성장이 촉진되고, 이차대사산물의 생산량이 증대됨을 발견하였다. 또한 식물세포배양에 탄소원으로 2종 이상의 당을 혼합하여 첨가하는 경우, 탄소원으로 자당만을 첨가하는 경우보다 배양기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세포 생장 및 생산에 최적인 2종 이상의 탄소원의 선정 및 그 비율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종 이상의 탄소원의 조합 및 그에 따른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을 증대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소원으로 2 종 이상의 당류가 혼합된 혼합당이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여 식물세포배양을 수행함으로써, 식물세포의 이차대사산물 생산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대량 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차대사산물의 대량 생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으로 첨가된 혼합당은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 및 당 알코올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의 당류가 혼합된 혼합당일 수 있다. 상기 사용 가능한 당류의 예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이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당류의 종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7045530514-pat00014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당으로 포도당 및 과당, 또는 자당 및 과당의 혼합당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도당과 과당의 혼합비는 1:5 내지 5:1 중량비,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1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포도당에 비해 과당이 지나치게 많을 경우에는 세포성장이 매우 빠르고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도 빠르게 증가하지만,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이 증가하기도 전에 과도한 성장으로 인해 세포가 괴사하는 현상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있어서, 택서스 취넨시스(Taxus chinensis) 세포 배양을 이용하여 파클리탁셀 및 택센 화합물을 생산하는 경우, 탄소원으로서 포도당과 과당의 혼합당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때, 포도당과 과당의 혼합비율(포도당:과당)은 1:5 내지 5:1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1 중량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2의 비율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에 있어서, 상기 포도당과 과당의 혼합당 처리시에, 상기 포도당을 포도당과 과당이 세포 배양액 내에서 1:1로 분해되어 존재할 수 있는 자당으로 대체하여, 자당과 과당의 혼합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자당과 과당의 혼합비율은 자당이 분해되어 포도당과 과당이 생성되는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포도당과 과당의 혼합당 내의 두 당의 혼합비율 범위를 기준으로 적합하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자당과 과당의 혼합비율(자당:과당)은 1:4 내지 4:1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2에서 2:1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2:1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식물세포 배양용 배지에서 탄소원으로 자당(sucrose)을 사용하는 경우, 자당이 포도당과 과당으로 분해되었을 때, 포도당이 소모된 후 과당을 소모하는 시기에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이 정체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또한 배양 배지의 탄소원으로 자당이 아닌 포도당 또는 과당 등의 단당류를 한 가지 종류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배양 중반에 일어나는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 정체 현상은 나타나지 않지만, 자당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양 배지에 자당의 분해 산물인 포도당 및/또는 과당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하면, 당이 전환되는 시기의 변화를 줄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화가 이차대사산물 생산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인식에 기초한 것으로, 탄소원으로서 자당을 단독으로 첨가하는 대신, 혼합당 형태, 예컨대 포도당과 과당, 또는 과당과 자당의 혼합당을 첨가하고, 이 들의 혼합비율을 변화시키면서 이차대사산물 생산을 위한 최적 비율을 선발함으로써, 식물세포배양을 통하여 이차대사산물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식물로부터 생산할 수 있는 이차대사산물의 종류는 매우 광범위하며, 각 식물 종과 이로부터 생산되는 이차대사산물의 특성에 따라, 그 생산에 적용되는 기술은 매우 다양하다. 본 발명의 식물세포배양에서 이차대사산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은 이차대사산물을 생산하는 모든 식물세포에 적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낮은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을 보이는 여러 식물세포, 특히, 치료저항성 난소암 및 유방암의 치료에 유효한 것으로 입증된 파클리탁셀의 생산에 이용되는 주목(Taxus spe cies)세포 등에 적용함으로써,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파클리탁셀의 산업적 생산에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한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식물세포배양에서 이차대사산물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방법은 주목 속에 속하는 다양한 종의 주목 세포에 적용되어 이들의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생산되는 이차대사산물을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식물세포가 생산하는 이차대사산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파클리탁셀, 택센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파클리탁셀, 및 택센화합물은 택서스속 식물에서 유래된 세포에서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세포 배양방법 및 배양용 배지에 적용가능한 식물세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식물세포는 택서스 바카타 (Taxus bacata), 택서스 브레비폴리아 (Taxus brevifolia), 택서스 카나덴시스 (Taxus canadensis), 택서스 취넨시스 (Taxus chinensis), 택서스 쿠스피다타 (Taxus cuspidata), 택서스 플로리다나 (Taxus floridana), 택서스 글로보사 (Taxus globosa), 택서스 메디아(Taxus media), 택서스 월리치아나 (Taxus wallichiana), 및 택서스 유나넨시스 (Taxus yunnanens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로부터 유래된 식물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세포배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모든 식물세포배양용 배지를 사용 할 수 있으며, 이들에 포함된 탄소원을 상기와 같은 혼합당으로 대체하여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세포배양용 배양 배지는 당분야에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영양분 및 식물세포의 생육력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그 밖의 인자, 즉, 탄소원, 질소원, 염 및 비타민 등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세포배양용으로 사용 가능한 배지로서, 앤더슨 로도덴드론 배지(Anderson rhododendron medium), 씨에이치유 배지(CHU(N6) medium), 씨엘씨 이포모에 배지(CLC/Ipomoea medium), 체-풀 비티스 배지(Chee & Pool (C2D) vitis medium), 데 그리프-야곱 배지(De greef & jacobs medium), 디케이더블유-정글란 배지(DKW/JUNGLANS medium), 에릭슨 배지(Eriksson(er) medium), 갬보그 배지(Gamborg B5 medium), 그리숍-도이 배지(Gresshof & doy (DBM2) medium), 헬러 배지(Hellers medium), 카오 미카이룩(kao michayluk medium), 운드슨 코키드 배지(knudson corchid medium), 린더만 오키드 배지(Lindemann Orchid medium), 리트베이 배지(Litvay medium), 린스마이어-스쿡 배지(Linsmaier & Skoog medium), 맥카운 우디플랜트 배지(McCowns woody plant medium), 무라시케-스쿡 배지(Murashige & Skoog medium), 무라시케- 밀러 배지(murashige & Miller medium), 니취 배지(nitsch medium), 엔엘엔 배지(NLN medium), 오키맥스 배지(orchimax medium), quoirin & Lepoivre medium, rugini olive medium, schenk & hildebrandt medium, 에스 배지(S-Medium), 베이신-웬트 배지(vacin and went medium), 화이트 배지(white medium) 또는 웨스트바코 배지(westvaco WV3 medium) 또는 이를 변형한 배지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를 가하거나, 성분 중 일부를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통상의 식물세포배양용 배지'는 상기에 열거된 배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세포배양용 배지로서 변형된 갬보그 B5 배지[참조: Gamborg et al., Can. J. Biochem., 46:417-421(1968),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됨]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차대사산물을 생산을 위해서는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변형된 갬보그 B5 배지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39097109-pat00002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는 상기 표 2의 배지를 기본 배지로 사용하였으며, 자당으로 되어 있는 탄소원을 본 발명의 혼합당으로 대체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당은 통상의 식물세포 배양용 배지에 포함된 탄소원의 함량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존 배양 배지의 탄소원 농도와 동일하게 배양 배지내 혼합당의 함량이 2-12 %(w/v), 바람직한 4-8%(w/v)의 농도로 사용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6 %(w/v)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w/v)'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I) 본 발명의 한 측면에 있어서, 식물세포배양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물세포배양용 배지의 탄소원을 상기한 바와 같은 혼합당으로 대체한 변형 배지를 배양 개시시부터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II)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식물세포배양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물세포배양용 배지의 탄소원을 상기한 바와 같은 혼합당으로 대체한 변형 배지를 배양 개시시부터 사용하고, 상기 탄소원의 고갈 시점에 탄소원으로서 상기 표 1에 기재된 당류 중 1 가지 이상을 추가로 첨가하여 배양을 속행하는 것일 수 있다.
III)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식물세포배양은 배양 개시시에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식물세포배양용 배지를 사용하여 식물세포를 생장시키고, 상기 배지 내의 탄소원의 고갈 시점에 탄소원으로서 표 1에 기재된 당류 중 2 가지 이상의 혼합당을 추가로 첨가하여 배양을 속행하는 것일 수 있다.
IV)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식물 세포의 배양시에, 식물세포 생장기, 또는 이차대사산물 생산기, 또는 식물세포 생장기와 이차대사산물 생산기 모두에 상기 혼합당을 첨가하여 식물세포 배양을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식물 세포의 생장기와 이차대사산물의 생산기에 사용되는 배지의 종류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일 수 있으며, 이들 배지 중 하나 이상이 탄소원으로 상기 혼합당을 포함하도록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을 촉진하기 위하여 배양 중간에 탄소원을 첨가하는 경우 (상기 방법 II 또는 III), 탄소원의 추가적 첨가시기는 초기 배지 내의 탄소원의 고갈 시기로서 사용되는 배지 종류와 배양되는 식물세포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며, 보통 배양 중 배지 내 당의 농도가 2% 이하로 되고 완전히 고갈되기 전에 탄소원을 첨가한다. 첨가되는 탄소원의 양은 첨가 후의 배지 내 당 농도가 6 %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당 첨가 후 최종농도가 4 % 이하가 되도록 첨가할 수 있다. 예컨대, 탄소원의 추가적 첨가시기는 배양 개시 후 7일 이후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배양 개시 후 14일 이후일 수 있다. 또한 첨가하는 당의 농도는 0.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의 농도로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첨가하는 탄소원은 표 1에 기재되어있는 당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당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가로 첨가되는 탄소원으로서 자당 단독, 과당 단독, 포도당과 과당의 혼합당, 또는 자당과 과당의 혼합당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혼합당을 사용하는 경우에 혼합당 조성 및 혼합당의 함량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는 것이 좋다. 배양 개시시에도 혼합당이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고, 추가되는 탄소원도 혼합당인 경우, 상기 두 가지 혼합당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또한, 파클리탁셀의 생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추가로 첨가되는 혼합당 내의 과당의 함량이 높을수록 파클리탁셀의 생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실험적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파클리탁셀의 생산에 적용하는 경우, 배양 진행중에 추가되는 탄소원으로서 과당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과당의 함량이 50% 이상인 포도당과 과당의 혼합당 또는 자당과 과당의 혼합당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세포의 배양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적절한 식물세포의 배양 방법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분식 배양 (batch culture), 연속식 배양 (continuous culture), 유가식 배양 (fed-batch culture), 반연속식 회분 배양 (semi-continuous batch process), 고정화 배양 (immobilized culture), 이원상 배양 (two-phase culture), 이단계 배양(two stage culture) 등의 배양 방법으로 식물세포를 배양할 수 있으며, 상기 배양 방법의 수행시, 배양 배지에 2 종 이상의 당류가 혼합된 혼합당을 탄소원으로 제공함으로써 이차대사산물의 대량 생산을 실현할 수 있다. 배양될 식물세포의 특성과 이차대사산물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배양 방법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세포 배양조건은 혼합당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통상의 식물세포 배양조건을 모두 적용가능하며, 특정 종류의 식물세포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배양조건을 본 발명에도 적용가능하며 배양대상 식물세포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체적으로 설정된 배양조건을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예에서, 상기 배양되는 식물세포가 택서스속 식물세포인 경우, 상기 식물세포 배양 단계는
(i) 택서스(Taxus)속 식물세포를 본 발명에 따른 혼합당을 첨가한 배지에 접종한 배양액을 20℃ 내지 25℃에서 배양하고,
(ii) 세포의 생육이 진행되었을 때, 배양온도를 26℃ 내지 32℃로 변화시켜 배양을 계속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배양조건은 대한민국 특허 제0266448호(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됨)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상기 온도 변화 시점은 세포 생장이 어느 정도 진행되고,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일반적으로 식물세포 생육단계에서의 증식기 또는 대수기에 해당되며, 식물세포 종류, 생산되는 이차대사산물 종류 또는 배양온도, 배지조성 등의 배양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있어서, 온도 변화 시점은 배양 개시 후 10일 이후, 바람직하게는 14일 이후 28일 이내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식물세포 배양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세포 생육을 어느 정도 또는 충분히 진행시킨 후, 배양 온도를 상승시키면 파클리탁셀 등의 이차대사산물의 생산량이 증대되며, 이는 이와 같이 변화된 배양온도가 파클리탁셀 등의 이차대사산물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를 새로 생성시키는 데에 적당한 온도이거나, 또는 이미 존재하는 파클리틱셀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의 최적온도에 가까울 것이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본 발명의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대량 생산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생산된 이차대사산물을 회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방법과 같이 탄소원으로서 2종 이상의 당류가 혼합된 혼합당을 첨가하여 식물세포로부터 이차대사산물을 제조하는 경우, 자당만을 첨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약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의 이차대사산물의 생산량 증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택서스 취넨시스 (Taxus chinensis) 세포를 배양하면서 파클리탁셀 및 택센 화합물을 생산할 경우, 파클리탁셀의 생산성은 약 2배 증가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탄소원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혼합당을 포함하고, 식물세포의 이차대사산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식물세포배양용 배지를 제공한다. 상기 식물세포배양용 배지는, 통상적인 식물세포배양용 배지로서, 탄소원이 상기한 바와 같은 혼합당으로 대체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당의 조성과 각 성분의 함량, 식물세포배양용 배지의 종류, 및 적용 가능한 식물세포 종류는 상기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이차대사산물 생산성에 미치는 단일 탄소원의 효과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파클리탁셀 및 택산 화합물를 생산하는 택서스 취넨시스 (Taxus chinensis) SYG-1 세포주 (KCTC-0232BP)를 식물세포배양의 이차대사산물 생산에 사용하기 위한 세포주로 사용하였다.
세포의 증식을 위해 500 ㎖의 삼각플라스크에 3%의 자당을 포함하는 변형된 갬보그 B5 배지를 넣고 3g/L의 SYG-1 세포를 접종하여 24℃의 암조건에서 150 rpm으로 14일간 배양하였다.
파클리탁셀의 생산을 위해 250 ㎖의 삼각플라스크에 6%의 자당을 포함하는 변형된 갬보그 B5 배지를 넣고, 여기에 상기 14일간 배양한 SYG-1의 배양액 50 ㎖를 넣어, 24℃의 암조건에서 150 rpm으로 14일간 배양한 후, 배양 온도를 29℃로 변경하여 28일간 더 배양하였다. SYG-1의 파클리탁셀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탄소원으로 상기 자당 및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당을 사용하여 배양을 하였다.
즉, 변형된 갬보그 B5 배지에 자당, 포도당, 과당 및 엿당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종류의 당을 배양 초기에 각각 6%를 첨가하여 세포를 배양하고, 배양 14, 21, 28, 35, 42일째에 각각 임의의 샘플을 취하여 세포의 성장 정도와 파클리탁셀의 생산량을 측정하였다.
세포의 성장정도는 세포 건조중량 (dry cell weight, DCW)의 측정을 통해 관찰하였다. 세포 건조중량은 임의로 채취된 식물세포 배양액을 흡인여과기 (Buchner funnel)을 이용하여 와트만 4번 여과지로 여과하여 얻은 세포를 60 ℃의 건조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측정한 중량이다.
또한 파클리탁셀의 생산량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파클리탁셀 및 택센 화합물의 정량 방법 (대한민국 특허 제 0266448호 참조,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포함됨)으로 정량하였다.
탄소원을 한 종류씩 각각 처리하여 배양한 SYG-1의 세포의 성장정도 및 파클리탁셀 생산량을 도 1a와 도 1b에 도시하였다. 도 1a 및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당을 처리한 처리구에 비해 포도당, 과당 또는 엿당을 처리한 처리구에서 탁솔의 생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2: 포도당과 과당의 혼합처리에 의한 파클리탁셀의 생산성 시험
배양에 사용된 배지에 탄소원으로서 포도당과 과당을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SYG-1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 후 14, 21, 28, 35, 42 일째에 각각 임의의 샘플을 취하여 세포의 성장정도와 파클리탁셀의 생산량을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도 2a, 2b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도 2a는 포도당과 과당의 비율별 혼합처리를 실시한 세포 건조중량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파클리탁셀 생산량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소원으로 2% 포도당과 4% 과당의 혼합당 또는 3% 포도당과 3% 과당의 혼합당을 처리한 군은, 세포 성장에 있어서는 자당만 6% 처리한 군과 거의 유사한 빠른 세포성장을 보이면서, 배양 35일째의 파클리탁셀의 생산량에 있어서는 자당만 6%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각각 약 67% 및 약 33%의 생산량 증가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당 처리에 의하여 단일 종류의 당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1% 포도당과 5% 과당을 처리한 구에서는 세포의 성장이 매우 활발하나, 파클리탁셀의 생산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세포의 과도한 성장이 세포의 괴사로 이어진 결과로 보인다.
Figure 112006039097109-pat00003
실시예 3: 자당과 과당의 혼합처리에 의한 파클리탁셀의 생산성 시험
배양에 사용된 배지에 탄소원으로서 포도당과 과당, 및 자당과 과당을 하기 표 4와 같이 각각 처리한 다음, 배양 개시 후 배지내 당의 함량이 2% 이하가 되는 28, 49 일째에 자당을 첨가하여 56일까지 연장 배양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SYG-1 세포를 배양하였다. 배양 후 14, 21, 28, 35, 49, 56일째에 임의의 샘플을 취하여, 세포의 성장 정도와 파클리탁셀의 생산량을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측정된 세포 성장 정도 측정 척도로서의 세포 건조중량 결과를 보면, 탄소원으로 본 발명의 포도당과 과당, 또는 자당과 과당의 혼합당을 사용하는 경우, 자당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유사한 성장 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측정된 파클리탁셀의 생산량 결과를 도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SYG-1 배양세포에 2% 포도당과 4% 과당을 처리한 구와 4% 자당과 2% 과당을 처리한 군은, 파클리탁셀의 생산성에 있어서, 6% 자당만을 처리한 군과 비교하여, 56일째에 각각 약 58% 및 약 30%의 증가를 보였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본 발명의 혼합당 처리에 의하여 단일 종류의 당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이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06039097109-pat00004
실시예 4: 배양 중 당의 첨가에 따른 파클리탁셀의 생산성 시험
탄소원으로서 4% 자당과 2% 과당이 첨가된 변형된 갬보그 B5 배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SYG-1 세포를 배양하다가, 배지내 당의 함량이 2% 이하가 되는 21일 및 35일째에 하기의 표 5와 같은 조성의 탄소원을 2.5%의 양으로 추가로 첨가하여 연장 배양하였다. 배양 후 14, 21, 28, 35, 49일째에 임의의 샘플을 취하여 파클리탁셀의 생산량을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기에서 측정된 바와 같은 탄소원으로 혼합당을 첨가하여 배양 진행 중간에 추가로 다양한 탄소원의 첨가하여 배양하는 경우의 파클리탁셀의 생산량 결과를 도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첨가당 성분 중 과당의 비가 높을수록 파클리탁셀의 생산량 증가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Figure 112006039097109-pat00005
실시예 5: 세포 생장 및 파클리탁셀 생산 시 상이한 혼합당 처리에 의한 파클리탁셀의 생산성 시험
세포의 증식을 위해 500 ㎖의 삼각플라스크에 3%의 자당 혹은 2% 자당과 1% 과당을 포함하는 변형된 갬보그 B5 배지를 넣고 3g/L의 농도가 되도록 SYG-1 세포를 접종하여 24℃의 암조건에서 150 rpm으로 14일간 배양하였다. 이렇게 14일간 배양된 세포 50 ㎖를 각각 6% 자당 혹은 4% 자당과 2% 과당이 포함된 변형된 갬보그 B5 배지에 넣고, 24℃의 암조건에서 150 rpm으로 14일간 배양한 후, 배양 온도를 29℃로 변경하여 28일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14, 21, 28, 35, 42일째에 임의의 샘플을 취하여 파클리탁셀의 생산량을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생장 및 생산 배양 시 혼합당 처리에 의한 파클리탁셀의 생산변화를 도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표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SYG-1 세포의 생장시와 이차대사산물 생산시 모두 단일당인 자당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세포 생장시 및 이차대사산물 생산시 중 한 시기 이상에서 본 발명의 혼합당을 처리한 경우가 현저하게 증가된 파클리탁셀의 생산성을 보여주었다 (각각 183%, 67% 및 286%). 또한, 생장기와 생산기 모두에서 혼합당을 처리한 경우가 가장 높은 파클리탁셀의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39097109-pat00006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양배지에 탄소원으로서 2종 이상의 당류가 혼합된 혼합당을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으로 그 생산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진 식물세포배양의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혼합당을 처리함으로써 이차대사산물의 최대생산성에 도달하는 기간이 짧아져 배양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오므로, 파클리탁셀 등의 산업적으로 유용한 식물기원 이차대사산물의 산업적 생산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Claims (22)

  1. 탄소원으로서 단당류 및 이당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당류가 혼합된 혼합당이 첨가된 식물세포배양용 배지를 사용하여 식물세포를 배양하여, 상기 식물세포에서의 이차대사산물의 생산성을 향상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당은 포도당, 과당, 만노오스, 리보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 자당, 멜리비오스, 트레할로오스, 셀로비오스, 락토오스, 및 말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2종 이상의 당류가 혼합된 것인,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당의 함량이 전체배지에 대해서 2 내지 12 %(v/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당이 포도당과 과당이 1:5 내지 5:1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있는 것인,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당이 자당과 과당이 1:4 내지 4:1의 중량비로 혼 합되어 있는 것인,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하기의 배지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배지로부터 탄소원이 배제되고 포도당, 과당, 만노오스, 리보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 자당, 멜리비오스, 트레할로오스, 셀로비오스, 락토오스, 및 말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당류가 혼합된 혼합당이 전체 배지에 대하여 2 내지 12 %(v/w)의 양으로 첨가된 것인,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앤더슨 로도덴드론 배지(Anderson rhododendron medium), 씨에이치유 배지(CHU(N6) medium), 씨엘씨 이포모에 배지(CLC/Ipomoea medium), 체-풀 비티스 배지(Chee & Pool (C2D) vitis medium), 데 그리프-야곱 배지(De greef & jacobs medium), 디케이더블유-정글란 배지(DKW/JUNGLANS medium), 에릭슨 배지(Eriksson(er) medium), 갬보그 배지(Gamborg B5 medium), 그리숍-도이 배지(Gresshof & doy (DBM2) medium), 헬러 배지(Hellers medium), 카오 미카이룩(kao michayluk medium), 운드슨 코키드 배지(knudson corchid medium), 린더만 오키드 배지(Lindemann Orchid medium), 리트베이 배지(Litvay medium), 린스마이어-스쿡 배지(Linsmaier & Skoog medium), 맥카운 우디플랜트 배지(McCowns woody plant medium), 무라시케-스쿡 배지(Murashige & Skoog medium), 무라시케- 밀러 배지(murashige & Miller medium), 니취 배지(nitsch medium), 엔엘엔 배지(NLN medium), 오키맥스 배지(orchimax medium), quoirin & Lepoivre medium, rugini olive medium, schenk & hildebrandt medium, 에스 배지(S-Medium), 베이신-웬트 배지(vacin and went medium), 화이트 배지(white medium), 웨스트바코 배지(westvaco WV3 medium) 및 이들의 변형 배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세포는 택서스 바카타 (Taxus bacata), 택서스 브레비폴리아 (Taxus brevifolia), 택서스 카나덴시스 (Taxus canadensis), 택서스 취넨시스 (Taxus chinensis), 택서스 쿠스피다타 (Taxus cuspidata), 택서스 플로리다나 (Taxus floridana), 택서스 글로보사 (Taxus globosa), 택서스 메디아(Taxus media), 택서스 월리치아나 (Taxus wallichiana), 및 택서스 유나넨시스 (Taxus yunnanens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식물로부터 유래된 것인,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대사산물은 파클리탁셀 및 택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화합물인,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세포의 배양은 회분식 배양 (batch culture), 연속식 배양 (continuous culture), 유가식 배양 (fed-batch culture), 반연속식 회분 배양 (semi-continuous batch process), 고정화 배양 (immobilized culture), 이원상 배양 (two-phase culture), 및 이단계 배양(two stage culture)으로 이루어 진 군 중에서 선택된 식물세포배양 방법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인,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세포의 배양이
    (i) 식물세포를 상기 혼합당을 첨가한 배지에서 20℃ 내지 25℃의 온도조건 하에서 배양하고,
    (ii) 배양된 식물세포가 대수기에 이르렀을 때, 배양온도를 26℃ 내지 32℃로 변화시켜 배양을 계속 진행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으로서 혼합당이 첨가된 식물세포배양용 배지를 배양 개시시부터 사용하여 식물세포 배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첨가된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으로 혼합당이 첨가된 식물세포배양용 배양배지를 배양 개시시부터 사용하고, 상기 배지 내 당의 함량이 2% 이하일 때 포도당, 과당, 만노오스, 리보오스, 아라비노오스, 자일로오스, 갈락토오스, 자당, 멜리비오스, 트레할로오스, 셀로비오스, 락토오스, 및 말토오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당류를 배지내 당농도가 6% 이하가 되도록 추가로 첨가하여 배양을 계속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세포의 배양개시시에는 탄소원으로서 상기의 혼합당 이외의 탄소원을 포함하는 식물세포배양용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을 수행하고, 상기 배지 내 당 함량이 2% 이하로 된 때에 상기 혼합당을 추가로 첨가하여 배양을 계속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세포의 배양시에, 식물세포 생장기, 또는 이차대사산물 생산기, 또는 식물세포 생장기와 이차대사산물 생산기 모두에 상기 혼합당을 첨가하여 식물세포 배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당의 첨가 시기가 식물세포 생장기와 이차대사산물 생산기 모두인 경우, 상기 두 시기에 첨가되는 혼합당이 서로 상이한 것인, 식물세포배양에 의한 이차대사산물의 생산 방법.
  16. 탄소원으로서 자당과 과당이 1:4 내지 4: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당 또는 포도당과 과당이 1:5 내지 5: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당을 전체 배지에 대하여 2 내지 12 %(v/w)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세포에 의한 이차대사산물 생산용 배지.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지는 하기의 배지들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배지로부터 탄소원이 배제되고 자당과 과당이 1:4 내지 4: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당 또는 포도당과 과당이 1:5 내지 5:1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당이 첨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세포의 이차대사산물 생산용 배지:
    앤더슨 로도덴드론 배지(Anderson rhododendron medium), 씨에이치유 배지(CHU(N6) medium), 씨엘씨 이포모에 배지(CLC/Ipomoea medium), 체-풀 비티스 배지(Chee & Pool (C2D) vitis medium), 데 그리프-야곱 배지(De greef & jacobs medium), 디케이더블유-정글란 배지(DKW/JUNGLANS medium), 에릭슨 배지(Eriksson(er) medium), 갬보그 배지(Gamborg B5 medium), 그리숍-도이 배지(Gresshof & doy (DBM2) medium), 헬러 배지(Hellers medium), 카오 미카이룩(kao michayluk medium), 운드슨 코키드 배지(knudson corchid medium), 린더만 오키드 배지(Lindemann Orchid medium), 리트베이 배지(Litvay medium), 린스마이어-스쿡 배지(Linsmaier & Skoog medium), 맥카운 우디플랜트 배지(McCowns woody plant medium), 무라시케-스쿡 배지(Murashige & Skoog medium), 무라시케- 밀러 배지(murashige & Miller medium), 니취 배지(nitsch medium), 엔엘엔 배지(NLN medium), 오키맥스 배지(orchimax medium), quoirin & Lepoivre medium, rugini olive medium, schenk & hildebrandt medium, 에스 배지(S-Medium), 베이신-웬트 배지(vacin and went medium), 화이트 배지(white medium) 또는 웨스트바코 배지(westvaco WV3 medium) 및 이들의 변형 배지.
  19. 삭제
  20. 삭제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세포는 택서스 바카타 (Taxus bacata), 택서스 브레비폴리아 (Taxus brevifolia), 택서스 카나덴시스 (Taxus canadensis), 택서스 취넨시스 (Taxus chinensis), 택서스 쿠스피다타 (Taxus cuspidata), 택서스 플로리다나 (Taxus floridana), 택서스 글로보사 (Taxus globosa), 택서스 메디아(Taxus media), 택서스 월리치아나 (Taxus wallichiana), 택서스 유나넨시스 (Taxus yunnanens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식물로부터 유래된 식물세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세포의 이차대사산물 생산용 배지.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대사산물은 파클리탁셀 및 택센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한 가지 이상의 화합물인, 식물세포의 이차대사산물 생산용 배지.
KR1020060049694A 2005-06-03 2006-06-02 식물세포배양배지에 혼합당 처리를 통한 이차 대사산물의대량 생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97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514560A JP2008541755A (ja) 2005-06-03 2006-06-02 植物細胞培養培地で混合糖処理による二次代謝産物の量産方法
PCT/KR2006/002141 WO2006129988A1 (en) 2005-06-03 2006-06-02 Mass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 in plant cell culture by treatment of saccharide mixture in medicum
KR1020060049694A KR100797534B1 (ko) 2005-06-03 2006-06-02 식물세포배양배지에 혼합당 처리를 통한 이차 대사산물의대량 생산방법
EP06747492.4A EP1891206B1 (en) 2005-06-03 2006-06-02 Mass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in plant cell culture by use of a saccharide mixture in the culture medium
US11/915,869 US8936940B2 (en) 2005-06-03 2006-06-02 Mass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 in plant cell culture by treatment of saccharide mixture in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752 2005-06-03
KR20050047752 2005-06-03
KR1020060049694A KR100797534B1 (ko) 2005-06-03 2006-06-02 식물세포배양배지에 혼합당 처리를 통한 이차 대사산물의대량 생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381A KR20060126381A (ko) 2006-12-07
KR100797534B1 true KR100797534B1 (ko) 2008-01-24

Family

ID=3748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6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7534B1 (ko) 2005-06-03 2006-06-02 식물세포배양배지에 혼합당 처리를 통한 이차 대사산물의대량 생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36940B2 (ko)
EP (1) EP1891206B1 (ko)
JP (1) JP2008541755A (ko)
KR (1) KR100797534B1 (ko)
WO (1) WO20061299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O6210117A1 (es) * 2009-04-21 2010-10-20 Garces Lucia Atehortua Metodo para multiplicar tejido celular de jatropha curcas
US20190231837A1 (en) * 2016-01-27 2019-08-01 Bio Harvest Ltd. Olive derived cell culture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using the same
CN110531001B (zh) * 2019-09-20 2022-03-08 杭州师范大学 一种用于区分云南红豆杉和南方红豆杉的代谢标志物及其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4110A1 (en) 1995-04-27 1996-10-31 Samyang Genex Co., Ltd. A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taxol by semi-continuous culture
WO1999000513A1 (en) 1997-06-26 1999-01-07 Samyang Genex Corporation Mass production of paclitaxel by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during the plant cell cultur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7816A (en) * 1992-02-20 1995-04-18 Phyton Catalytic, Inc. Enhanced production of taxol and taxanes by cell cultures of taxus species
CA2069122A1 (en) 1992-05-21 1993-11-22 Richard N. Arteca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production of taxol, taxol precursors and derivatives of taxol from plant tissue culture
EP0642586A4 (en) 1992-05-21 1995-11-29 Penn State Res Found CULTURAL -i (TAXUS) FABRIC AS A SOURCE OF TAXOL, RELATED TAXANS AND OTHER NEW ANTI-TUMOR / ANTI-VIRAL SUBSTANCES (01/20/94).
EP1063300B1 (en) 1993-11-15 2003-09-03 Mitsui Chemicals, Inc. A method of producing a taxane-type diterpene and method of obtaining cultured cells which produce the taxane-type diterpene at a high rate
US6248572B1 (en) * 1995-04-27 2001-06-19 Samyang, Genex, Corporation Production of taxol from taxus plant cell culture adding silver nitrate
JP4047929B2 (ja) * 1996-05-24 2008-02-13 ファイトン・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タキサス種の細胞培養によるタキサンの増強生産
WO1998037176A1 (en) * 1997-02-19 1998-08-27 Phytobiotech Inc. Method for increasing the growth of plant cell cultures
JP3897264B2 (ja) 1997-06-25 2007-03-22 三井化学株式会社 タキサン型ジテルペン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34110A1 (en) 1995-04-27 1996-10-31 Samyang Genex Co., Ltd. A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taxol by semi-continuous culture
WO1999000513A1 (en) 1997-06-26 1999-01-07 Samyang Genex Corporation Mass production of paclitaxel by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during the plant cell culture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technol. Prog., (Nov.-Dec. 2004) Vol.20(6):1666-1673
J. Nat. prod., (March 1996) Vol.59(3):246-250
US 6069009 A (PHYTOBIOTECH INC.) 30 May 2000
WO 93/17121 A1 (PHYTON CATALYTIC, INC.) 02 Sep. 199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36940B2 (en) 2015-01-20
US20090317877A1 (en) 2009-12-24
JP2008541755A (ja) 2008-11-27
EP1891206A1 (en) 2008-02-27
WO2006129988A1 (en) 2006-12-07
EP1891206B1 (en) 2013-07-24
EP1891206A4 (en) 2009-06-03
WO2006129988B1 (en) 2007-02-01
KR20060126381A (ko)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64270C (en) Mass production of paclitaxel by changing the temperature of the medium during the plant cell culture
DE69329154T2 (de) Erhöhte produktion von taxol und taxanen mittels -taxus-spezifische zellkulturen
JPH08500973A (ja) タキソール、関連タキサン及び他の新規な抗癌/抗ウイルス性化合物原料としてのイチイ培養組織
Dunlop et al. Synergistic response of plant hairy‐root cultures to phosphate limitation and fungal elicitation
Choi et al. Enhancement of paclitaxel production by temperature shift in suspension culture of Taxus chinensis
Jia et al. Cellulose production from Gluconobacter oxydans TQ-B2
KR100797534B1 (ko) 식물세포배양배지에 혼합당 처리를 통한 이차 대사산물의대량 생산방법
Bonfill et al. Paclitaxel and baccatin III production induced by methyl jasmonate in free and immobilized cells of Taxus baccata
AU727388B2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growth of plant cell cultures
Navia-Osorio et al. Production of paclitaxel and baccatin III in a 20-L airlift bioreactor by a cell suspension of Taxus wallichiana
Rana et al.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to produce secondary metabolites by Pleurotus ostreatus
Zou Optimization of nutritional factors for exopolysaccharide production by submerged cultivation of the medicinal mushroom Oudemansiella radicata
KR100514907B1 (ko) 뽕나무 버섯 균사체 생산방법 및 그 배지 조성물
US5871979A (en) Method for mass production of taxol by semi-continuous culture with Taxus chinensis cell culture
CN105349592B (zh) 代谢互补的植物细胞系混种培养生产次级代谢产物的方法
CN107573122A (zh) 牛樟芝的液体发酵培养方法及培养基
Siddikee et al. Optimization of gibberellic acid production by Methylobacterium oryzae CBMB20
KR100276871B1 (ko) 식물세포배양에서 에이지엔오쓰리 전처리에 의한 팩리택셀의 대량 생산 방법
Farkya et al. Impact of symbiotic fungi on produc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by plant cell culture
Farkya et al. High podophyllotoxin producing hairy root line of Linum Album: influence of carbohydrates, temperature and photoperiod
CN114041423A (zh) 一种高紫杉烷类富含性的红豆杉离体培养方法
TH18027C3 (th) กรรมวิธีการเพาะเลี้ยงถั่งเช่าสีทองด้วยการหมักแบบเหลวสำหรับผลิตสารคอร์ไดซิปิน
MXPA99007627A (en) Method for increasing the growth of plant cell cultures
HK1060903A (en) Enhanced production of taxol and taxanes by cell cultures of taxus spec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9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4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9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1217

Appeal identifier: 2007101010855

Request date: 20071017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10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10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62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121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119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