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7492B1 -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 Google Patents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492B1
KR100797492B1 KR1020037015216A KR20037015216A KR100797492B1 KR 100797492 B1 KR100797492 B1 KR 100797492B1 KR 1020037015216 A KR1020037015216 A KR 1020037015216A KR 20037015216 A KR20037015216 A KR 20037015216A KR 100797492 B1 KR100797492 B1 KR 10079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abial pad
sheet
absorbent
support shee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593A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야마키고이치
노다유키
도쿠모토메구미
사카이아카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07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6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interlabial absorbing articles
    • A61F13/5516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interlabial absorbing articles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61F13/47209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having only interlabial part, i.e. with no extralabial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52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ompostable or biodegrad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a reinforc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13/15211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soluble or disintegratable in liquid
    • A61F2013/15235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soluble or disintegratable in liquid by its solubility in w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357Stiffness, e.g. Taber rigid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from several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2013/8497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having decorations or indicia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체(13)를 구비하고, 착용시에는 신체측에 대향하는 흡수 시트부(14a)와, 이 흡수 시트부(14a)를 배킹하는 서포트 시트부(14b)로 이루어지는 음순간 패드에 관한 것이다. 흡수 시트부(14a)를 음순간 패드(14)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분할된 한 쌍의 흡수 시트체(16)로 구성하고, 흡수 시트체(16)와 불투수성의 서포트 시트(12)를 음순간 패드(14)의 가장자리부(15)에 서 접합하여, 흡수 시트체(16)와 서포트 시트(12)와의 사이에 경혈이 유입될 수 있는 공극부(18)를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서, 음순 내벽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경혈을 조속히 흡수체에 이동시켜, 음순 내에서의 형상 적합성(피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INTERLABIAL PAD AND PACKAGE THEREOF}
본 발명은 여성의 음순에 계착시켜 사용하는 특히, 생리대와 병용할 수 있는 음순간 패드 및 상기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포장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여성용 생리 용품으로서는 생리대나 탐폰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리대는 의복에 접촉시켜 사용하는 것이며, 질구 부근에의 밀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신체와의 간극으로부터 경혈이 새기 쉬운 한편, 탐폰은 그 물품의 속성에 기인하여 착용시의 이물감이나 불쾌감이 생기기 쉽고, 질내에의 착용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하에 생리대와 탐폰의 중간에 위치하는 생리 용품으로서, 최근 음순간 패드라는 생리 용품이 주목받게 되었다.
이 음순간 패드는 여성의 음순 사이에 그 일부분을 끼우고, 음순에 접촉시켜 착용하는 것이며, 생리대에 비하여 소형이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하고, 쾌적한 것 이외에, 경혈로 신체를 더럽히는 범위가 좁기 때문에 위생적이고 청결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생리대보다도 신체와의 밀착성이 높기 때문에 새지 않고, 질내에 삽입하는 탐폰과 비교하여 착용시의 심리적 저항도 적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순간 패드는 경혈이 흡수체에 흡수되기 전에 패드 표면에서 흘러내려, 새는 경우가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은 음순 내벽을 따라서 유출하는 경혈은 유동 속도가 느리고, 음순 내벽과의 습성도 높기 때문에 음순 내에서 서서히 유출하는 것이 아니라, 음순 내에 다량의 경혈이 체류한 후에 일시에 유하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도 2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24)는 패드의 의복측에 손잡이부(24a)를 갖고 있고, 착용자가 손잡이부(24a)를 손가락으로 잡음으로써 패드의 착용을 간편히 행할 수 있게 한 것이지만(WO99/56689호 공보), 손잡이부(24a)의 근방 이외에 는 손가락으로부터의 압박력이 걸리지 않아 패드를 음순 사이에 압입하기 곤란하여 패드와 음순 내벽과의 밀착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경혈이 흡수체에 흡수되기 전에 패드 표면에서 흘러내려, 경혈이 새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34)는 패드의 후방 영역(34b)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36)을 따라서 접어 구부리면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음순간 패드(34)는 볼록부를 음순 사이에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24)와 비교하여 패드와 음순 내벽과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하고 있어도 역시 경혈은 패드 표면을 흘러내리는 경향이 있어서, 경혈이 샐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경우, 음순간 패드는 생리대보다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경혈이 새는 것에 의한 피해도 아주 심해진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음순 내벽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경혈을 조속히 흡수체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음순간 패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흡수 시트부를 음순간 패드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분할된 한 쌍의 흡수 시트체로 구성하고, 상기 흡수 시트체와 불투수성의 서포트 시트를 음순간 패드의 가장자리부에서 접합시키고, 상기 흡수 시트체와 상기 서포트 시트와의 사이에 경혈이 유입될 수 있는 공극부를 형성함으로써 음순 내벽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경혈을 조속히 흡수체에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음순 내에서의 형상 적합성(피트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게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것을 제공한다.
(1)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구비하고, 착용시에는 신체측에 대향하는 흡수 시트부와, 이 흡수 시트부를 배킹하는 서포트 시트부로 이루어지는, 음순에 계착(係着 ; 끼워 맞춰 착용함)시켜 사용하는 음순간 패드로서, 상기 흡수 시트부가 상기 음순간 패드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분할된 한 쌍의 흡수 시트체로 구성되고, 상기 흡수 시트체와 상기 서포트 시트부를 구성하는 불투수성의 서포트 시트가 상기 음순간 패드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흡수 시트체의 의복측 표면과 상기 서포트 시트의 신체측 표면과의 사이에 체액이 유입될 수 있는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예컨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시트부(44a)와, 흡수 시트부(44a)를 배킹하는 서포트 시트부(44b)로 이루어진다. 흡수 시트부(44a)는 적어도 체액, 예컨대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체(43)를 구비하고, 그 표면을 필요에 따라 투수성의 피복 시트(41)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착용시에는 신체측에 대향하도록 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흡수 시트부(44a)는 음순간 패드(44)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분할된 한 쌍의 흡수 시트체(46)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서포트 시트부(44b)는 불투수성의 서포트 시트(42)로 구성되어 있다.
흡수 시트체(46)와 서포트 시트(42)는 음순간 패드(44)의 가장자리부에서 서로 접합되어 있고, 이외의 접촉면은 비접합의 상태로 있다. 따라서, 흡수 시트체(46)의 의복측 표면과 서포트 시트(42)의 신체측 표면과의 사이에는 경혈이 유입될 수 있는 공극부(48)가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형태는, 예컨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를 대략 중심선(즉, 흡수 시트체의 분할선)을 따라서 접어 구부려 음순 사이에 끼우면, 각각의 흡수 시트체(46)가 음순의 내벽에 밀착되는 한편, 흡수 시트체(46)의 의복측 표면과 서포트 시트(42)의 신체측 표면과의 사이에 포켓형의 공극부(48)가 형성된다. 따라서, 배설된 경혈은 공극부(48)에 조속히 유입되어, 흡수 시트체(46)의 의복측 표면(서포트 시트(42)와의 접촉면)으로부터 흡수되는 동시에, 흡수 시트체(46)의 신체측 표면(음순 내벽과의 접촉면)으로부터도 흡수된다. 즉, 흡수 시트체(46)와 서포트 시트(42)를 그 접촉면에서 전면적으로 접합한 경우와 비교하여, 흡수체(43)의 표면적을 증대시켜 흡수 효율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경혈을 조속히 흡수체(43)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흡수 시트부(44a)는 한 쌍의 흡수 시트체(46)로 구성되고, 음순간 패드(44)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분할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 시트체(46)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패드가 접혀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형상 추종성이 양호해지며, 음순 내에서의 형상 적합성(피트성)이 향상된다.
(2) 상기 음순간 패드의 측단이 원호형을 이루고, 상기 원호의 양가장자리 끝이 상기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의 가장자리 끝을 향하여 모아지는 상기 (1)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전체 형상으로서는 음순에 계착하는 데 적합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타원형, 난형, 표주박형, 물방울형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단, 음순과의 형상 적합성을 고려하면,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의 측단(50)이 원호형을 이루고, 상기 원호의 양가장자리 끝이 음순간 패드(44)의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의 가장자리 끝(52)을 향하여 모아지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한 쌍의 흡수 시트체가 격리하여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 시트체 사이에 홈부가 마련되어 있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한 쌍의 흡수 시트체를 인접하여 배치시키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흡수 시트체 사이에 홈부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흡수 시트체(46)를 10 mm 이내의 범위에서 격리시켜 배치함으로써 흡수 시트체(46) 사이에 홈부(54)를 마련할 수 있다.
통상의 음순간 패드에서는 일단 경혈이 피복 시트를 투과하면 피복 시트에 경혈의 일부가 고화하여 잔류하기 때문에, 흡수체 내부에 흡수능이 남아 있는 경우라도 그 이상의 흡수는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성질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홈부(54)를 마련하면 경혈이 홈부(54)를 따라 신체 전후 방향으로 조속히 이동하기 때문에 흡수 시트체(46)에 포함된 흡수체(43)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흡수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다.
(4) 상기 서포트 시트의 신체측 표면에 상기 한 쌍의 흡수 시트체의 분할선을 따르도록 띠형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예컨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시트(42)의 신체측 표면에 한 쌍의 흡수 시트체(46)의 분할선을 따르도록(즉, 음순간 패드(44)의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띠형 흡수체(58)를 배치한 것이어도 좋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를 한 쌍의 흡수 시트체(46)의 분할선을 따라서 접어 구부리면 띠형 흡수체(56)가 나타나고, 이 상태로 패드를 음순 사이에 끼우면 띠형 흡수체(58)는 질구 근방을 포함하는 음순의 심부에, 한 쌍의 흡수 시트체(46)는 음순의 내벽에 밀착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질구 근방을 포함하는 음순 심부에 밀착하는 띠형 흡수체(56)가 질구로부터 배설되는 경혈의 대부분을 일차적으로 흡수하는 동시에, 만일 다량의 경혈이 일시에 흘러내려 버린 경우라도 음순 내벽에 접촉하는 한 쌍의 흡수 시트체(46)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경혈의 흡수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띠형 흡수체(56)와 한 쌍의 흡수 시트체(46)가 서로 어울려 음순 내벽을 따라서 일시에 흘러내리는 다량의 경혈을 조속히 흡수체(43)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5) 상기 서포트 시트의 신체측 표면에 시트형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 시트체의 의복측 표면과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신체측 표면과의 사이에 체액이 유입될 수 있는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있어서는, 예컨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수 시트체의 의복측의 면(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복 시트(41)의 의복측의 면)과 서포트 시트(42)의 신체측의 면과의 사이에 시트형 흡수체(6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함으로써 흡수 시트체(46)의 의복측 표면과 시트형 흡수체(60)의 신체측 표면과의 사이의 공극부(48)에 유입된 경혈이 흡수 시트체(46)에 포함되는 흡수체(43)뿐만 아니라, 시트형 흡수체(60)에 의해서도 흡수된다. 따라서, 경혈을 흡수체에 더욱 조속히 이동시킬 수 있고, 고속이며 다량의 경혈에도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 시트형 흡수체(60)를 구성하는 섬유를 음순간 패드(44)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배향시키면, 흡수된 경혈이 섬유의 배향 방향, 즉, 신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기 쉬워져, 흡수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6) 상기 서포트 시트의 의복측에 상기 서포트 시트의 긴 길이 방향의 각 측부에 한 곳 이상의 접합 부분과, 상기 서포트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한 곳 이상의 비접합 부분을 가지고 접합된 미니 시트편을 구비하고, 상기 한 곳 이상의 비접 합 부분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미니 시트편과 상기 서포트 시트와의 사이에서 상기 서포트 시트의 면 방향으로 손가락 폭의 개구가 직접적으로 확보되는 손가락 삽입용 입구를 형성하는 것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는, 예컨대,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가락 삽입용 입구(64)를 형성하기 위한 미니 시트편(62)을 부설할 수 있다.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니 시트편(62)은 서포트 시트(42)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는 미니 시트편(62)의 양날개부 중 적어도 한쪽의 날개부가 서포트 시트(42)의 표면에 대하여 접합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비접합 상태로 있는 미니 시트편(62)의 한쪽의 날개부와 서포트 시트(42)와의 사이에 날개부 입구가 형성되고, 이러한 날개부 입구가 손가락의 삽입이 가능한 손가락 삽입용 입구(64)가 된다.
또한, 서포트 시트(42)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는, 미니 시트편(62)은 서포트 시트(42)의 좌우측부에서만 접합되고, 내측에서는 접합(점착)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미니 시트편(62)은 서포트 시트(42)의 하나의 측부에서 다른 측부에 걸친 상태로 부착되게 되고, 이러한 하나의 측부에서 다른 측부에 걸친 부분에 있어서, 관통 또는 비관통의 공간(손가락 삽입용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에서는 손가락을 삽입하여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손가락 폭」이란 손가락의 두께가 아닌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손톱의 넓이 방향의 손가락의 폭인 것을 말하고, 「손가락 폭의 개구」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데 충분한 크기를 갖는 개구를 말한다.
또한, 서포트 시트의 면 방향에 손가락 폭의 개구가 「직접적으로 확보된다」란 패드 착용을 위해 손가락을 패드에 자연스러운 형태로 삽입한 경우에(손가락의 볼록한 부분이 서포트 시트의 의복측 표면을 향하도록 하여 그대로 삽입한 경우에), 패드 자체가 일차적으로 손가락 삽입에 알맞는 형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착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한 후에 손가락을 회전시킴으로써 면 방향으로 손가락 폭의 개구를 확보할 수 있는, 이차적으로 서포트 시트의 면 방향으로 손가락 폭의 개구가 형성되는 경우는 제외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미니 시트편을 구비한 패드에 있어서는, 상기 손가락 삽입용 입구에 손가락을 삽입함으로써 손가락 끝에 패드를 일시적으로 고정시켜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있어서, 손가락 삽입용 입구는 착용자의 손가락 폭의 개구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평한 형상인 손가락 끝이 서포트 시트에 대하여 다른 방향으로 되지 않고 자연스럽게 서포트 시트의 면에 접하도록 삽입되게 된다. 즉,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착용자의 손가락 끝 형상에 따라 서포트 시트의 면 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착용자의 손가락 삽입 방향이 확정되어 착용자가 손가락 끝의 볼록한 부분으로 착용 지점을 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음순 사이에의 착용이라도 정확한 착용 지점을 적당하고 확실하게 파악하면서 적절한 위치에 패드를 착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서포트 시트의 긴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측부」에는 패드의 가장자리부 뿐만 아니라, 미니 시트편의 접합 가능한 가장자리부 근방 도 포함된다.
(7) 적어도 상기 한 쌍의 흡수 시트체가 상기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정점으로 하여 신체측 방향에 산 모양으로 구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양측단에서 연속되는 끝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니 시트편이 상기 끝부분의 의복측에 접합되어 있는 상기 (6)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예컨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흡수 시트체(46)(즉, 피복 시트(41) 및 흡수체(43))가 음순간 패드(44)의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66)을 정점으로하여 신체측 방향에 산 모양으로 구성된 경사부(68)와, 경사부(68)의 양측단에서 연속되는 끝부분(70)으로 이루어지고, 미니 시트편(62)을 끝부분(70)의 의복측에 접합시킨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흡수 시트체(46)가 음순의 심부에 진입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음순간 패드(44)의 전체 형상이 음순의 협지력(挾指力)이 작용하기 쉬운 형상으로 된다. 따라서, 착용자에 대하여 양호한 밀착성과 착용감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경사부(68) 중심의 접은 자리를 손가락의 볼록한 부분이 따르도록 손가락 삽입용 입구(64)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음순간 패드(44)를 유지함으로써,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음순으로 확실하게 음순간 패드(44)를 향하게 할 수 있어, 그 착용을 용이하게 만든다.
또한, 이 형태에 있어서는, 적어도 흡수 시트부(즉, 피복 시트(41) 및 흡수체(43))를 산 모양으로 구성하고 있으면 되지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포트 시트(42)도 산 모양으로 구성한 것 또한 당연히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8) 생리대와 병용되는 생리대 병용용 음순간 패드인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생리대(이하, 단순히 「생리대」라고 칭함)의 사용자 중에는 경혈의 양이 많을 때는 몇 장이나 겹쳐 사용한다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뻣뻣하고 착용감이 나쁘며 의복의 외부에서 패드의 존재를 알아채기 쉽다(눈에 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겹쳐 사용하는 것이 불필요한 질 근방 이외의 부분에까지 생리대가 겹쳐지기 때문에, 염증이나 진무름의 원인도 되었다. 그러나, 패드와 생리대를 병용함으로써 질 근방에만 생리 용품이 겹쳐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더욱이, 생리대를 교환하지 않고, 패드만을 교환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는 눈에 띄기 쉬운 크기의 생리대를 갖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라는 효과도 있다. 여기서 생리대란 경혈 흡수용으로서 판매되고 있는 생리대뿐만 아니라, 분비물 흡수용 시트도 포함하여도 좋다.
(9)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 흡수 패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경혈을 배출하는 질구와 소변을 배출하는 요도구는 모두 음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를 음순 사이에 끼워 사용할 경우에는 소변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변을 음순 사이, 특히 요도구 부근에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요실금 특히 경도의 요실금에 유용한 흡수 패드를 얻을 수 있 다.
(10)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분비물 흡수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음순간 패드를 질분비물 흡수용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는 음순 사이에 끼워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질구로부터의 경혈 이외의 분비물(질분비물)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그것을 위한 용도(질분비물 흡수용)로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분비물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불쾌감을 경감할 수 있으므로, 생리중이 아닌 착용자에게 있어서도 유효하다.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포장체.
음순간 패드를 개별 포장하면 패드를 하나씩(개별 포장마다) 운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형태는 복수의 패드를 하나의 포장 용기 내에 포장한 경우와 비교하여, 패드를 청결히 유지하면서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도록 한다.
(12) 상기 (6)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봉구를 갖는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포장체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가 상기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상기 개봉구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상기 포장 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포장체.
여기서,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개봉구를 향하여 개구하도록」이란, 도 1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체(72)를 개봉하면 그 개봉구에 미니 시트편(62), 나아가서는 그것에 의하여 형성되는 손가락 삽입용 입구(64)가 나타나고, 즉시 손가락 삽입용 입구(64)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포장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포장체(72)는 포장 용기(76)의 상면측에 부설된 탭 테이프(74)를 도면의 우측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봉할 수 있으며, 그 개봉구에 손가락 삽입용 입구(64)가 나타나고, 이는 개봉구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착용자는 즉시에 손가락 삽입용 입구(64)에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다.
(13) 상기 음순간 패드가 상기 미니 시트편이 상기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의복측 방향을 향해서 산 모양으로 접혀진 형상이 되도록 상기 포장 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상기 (12)에 기재한 포장체.
「의복측 방향으로 산 모양으로 접혀진 형상이 되도록」이란 의복측이 볼록형으로 만곡되어 있는 경우 이외에,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복측이 볼록형으로 만곡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음순간 패드(44)를 포장 용기(76) 내에 포장함으로써 포장 용기(76)의 개봉시에 접어 포개어진 손가락 삽입용 입구(64)가 자연스럽게 열리기 때문에, 착용자는 손가락을 삽입하는 곳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패드의 착용을 한층 더 신속하고 간이하게 할 수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미니 시트편이 「산 모양으로 접혀진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좋고, 패드 전체가 「산 모양으로 접혀진 형상」으로 되어 있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예컨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 전체를 「산 모양으로 접혀진 형상」으로 접어 포개어 포장 용기(76)로 포장한 포장체(72) 이외에,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니 시트편(62)만을 「산 모양으로 접은 형상」으로 하는 한편, 음순간 패드(44)의 본체 부분에 관해서는 의복측을 향하여 계곡 모양으로 접혀진 형상으로 접어 포개어 포장 용기(76) 내에 포장한 포장체(72)이어도 좋다.
또한, 포장 용기의 개봉 형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16 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상단측을 잘라내어 개봉하는 포장 용기(76) 이외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서 좌우 양측으로(소위 좌우 여닫이식으로) 개봉하는 포장 용기(76)와 같은 것이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b)는 평면도, (a)는 (b)의 A-A'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포장체의 개봉 방법을 도시하는 공정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포장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포장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따른 미니 시트편의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착용 방법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따른 미니 시트편의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에 따른 미니 시트편의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의 A-A' 단면도이다.
도 25는 포장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포장체의 A-A' 단면도이다.
도 27은 포장체의 별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8은 포장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9는 음순간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에서의 길이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피」라고 할 때는 흡수 시트체가 돌출되어 있는 방향의 치수를 의미하고, 「폭」이라고 할 때는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의 치수를 의미하며, 「길이」라고 할 때는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치수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순간 패드(14)를 도시한 도면이며, (a)는 평면도이고, (b)는 (a)의 A-A' 단면도이다.
[(A) 기본적인 음순간 패드의 구성]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음순간 패드(14)는 흡수 시트부(14a)와, 흡수 시트부(14a)를 배킹하는 서포트 시트부(14b)로 이루어진다. 흡수 시트부(14a)는 적어도 경혈을 흡수하는 흡수체(13)를 구비하고, 그 표면을 소망에 의해 투수성의 피복 시트(11)로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며, 착용시에는 신체측에 대향하도록 하여 사용된다. 그리고, 흡수 시트부(14a)는 음순간 패드(14)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분할된 한 쌍의 흡수 시트체(16)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서포트 시트부(14b)는 불투수성의 서포트 시트(12)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흡수 시트체(16)와 서포트 시트(12)는 음순간 패드(14)의 가장자리부(15)에 서 서로 접합되어 있고, 이외의 접촉면은 비접합의 상태로 있다. 따라서, 흡수 시 트체(16)의 의복측 표면과 서포트 시트(12)의 신체측 표면과의 사이에는 경혈이 유입될 수 있는 공극부(18)가 형성된다.
또한, 음순간 패드(14)의 전체 형상으로서는 음순에 계착하는 데 적합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실질적으로 세로 길이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컨대, 타원형, 난형, 표주박형, 물방울형 등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음순간 패드(14)의 사이즈는 음순에 계착하기 쉬운 사이즈로 하는 것을 충분히 고려한 뒤에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길이는 60∼15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80∼120 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음순간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의 외관상의 길이 치수는 10∼60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가 60 mm보다 긴 경우에는 음순 사이에 개재되지 않는 영역이 착용자의 대퇴부 등에 스침에 따라 생기는 마찰이 양 음순에 의한 협지력보다 커져서, 음순간 패드가 탈락할 우려가 있다. 또한, 짧은 길이 방향의 길이 치수가 10 mm보다 짧은 경우에는 음순 사이에 개재될 수 있는 영역이 적어지기 때문에 음순 내면과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여, 음순간 패드의 탈락의 위험성이 생기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한 「겉보기」란 길이 치수가 최단의 2 점간 거리(도 29의 V에 해당)를 의미한다. 이것은, 제조 공정과의 관계에서 요철 형상을 한 2점간의 길이, 즉, 요철 형상을 전개한 편평(균일)한 상태에서의 2 점간 거리를 실제의 길이(도 29의 W에 해당)로서 취급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심사숙고하여 정의한 것이다.
피복 시트(11)에 포함되는 흡수체(13)의 사이즈는 피복 시트(11)에 내포했을 때에 그 가장자리부가 딱딱해지며 착용감을 악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복 시트(11)의 외윤곽으로부터 2∼10 mm 정도 작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14)는 흡수체(13)를 피복 시트(11)에 의해서 피포된 흡수 시트체(16)가 접착제 등에 의해서 서포트 시트(12)에 점착되어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수불용성의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등의 합성 고무를 주성분으로 하는 감압형 접착제,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감열형 접착제, 수용성의 열가소성 수지(예컨대, 폴리비닐알콜(PVA))를 주성분으로 하는 접착제, 전분풀 또는 아크릴산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가교제, 가소제 또는 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감수성 젤,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가교제와 가소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불감수성 젤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제의 배치 방법으로서는 면형, 도트형, 메쉬형, 심줄 모양 등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피복 시트]
피복 시트로서는 직포, 부직포 등의 액체를 투과하는 구조의 시트형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직포, 부직포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섬유의 예로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를 들 수 있다. 화학 섬유의 예로서는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의 반합성 셀룰로오스, 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소 수성 화학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단섬유, PE와 PP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섬유, 또는 심부 재료가 PP 내지 PET, 초부 재료가 PE인 복합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특히 부직포의 경우에는 웹포밍은 건식 방법(카드법, 스펀 본드법, 멜트블론법, 에어레이드법, 스루 에어법, 지점 본드법 등)이나 습식 방법 등을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복수개의 방법을 조합 수행함으로써 제조하여도 좋다. 본딩의 방법으로서는 서멀 본딩, 니들 펀치, 케미컬 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이들 방법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류 교락(交絡)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형성한 스펀 레이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러한 재료 중, 음순 내면으로부터의 액 이동성이나 활성제에 의한 화학적 자극 및 음순 내벽과의 밀접성을 고려하면, 신체면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mm인 레이온을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40∼80%를 적층하고, 그 의복면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mm인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14∼42%의 레이온과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7∼51 mm이고 합계 단위 중량에 대하여 6∼18%의 PET를 혼합하여 적층하고, 2층의 합계 단위 중량이 20∼60 g/m2가 되도록 적층한 후, 수류 교락에 의해 섬유를 서로 얽혀 건조시키고, 두께를 0.13∼0.50 mm의 범위로 조정한 스펀 레이스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이 때, 의복면측에 PET를 혼입함으로써 투수성 시트가 습윤 상태로 되더라도 부피를 유지하기 쉽기 때문에 음순 내벽과의 밀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 시트 중, 질구 접촉 영역을 구성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경혈을 흡 수체에 이동시키는 모세관력과 투수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개공율 5∼60%, 구멍부 면적 0.28∼4.9 mm2의 범위인 개공 부직포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음순 내벽 접촉 영역을 구성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경혈을 흡수체에 이동시키는 모세관력은 물론, 음순 내벽과의 접촉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표면에 요철이 없는 비개공의 부직포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
흡수체는 액체(경혈)의 흡수 유지가 가능하면 좋고, 부피가 크며, 형태가 붕괴되지 않고,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재질로서는 셀룰로오스(천연 펄프, 화학 펄프, 천연 코튼 등), 재생 셀룰로오스(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 반합성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등), 입자형 고분자 흡수체, 섬유형 고분자 흡수체, 화학 섬유(열가소성 소수성 화학 섬유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것 등), 친수성 수지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재료를 흡수체에 성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컨대 에어레이드법, 멜트블론법, 스펀 레이스법, 초지법 등에 의해서 시트화한 것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에어레이드 펄프(또는 이것에 고분자 흡수체를 혼합한 것),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멜트블론 부직포, 친수성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스펀 레이스 부직포, 티슈, 셀룰로오스 발포체, 합성 수지의 연속 발포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시트화한 것을 일단 분쇄한 후에, 재차 흡수체에 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흡수체는 액체(체액)의 흡수 유지가 가능하면 좋지만, 부피가 크며, 형태가 붕괴되지 않고, 화학적 자극이 적으며, 또한 음순에 잘 적합되도록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의복면측에는 섬유 길이 1∼10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펄프를 50∼150 g/m2 적층하고, 그 신체면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20∼51 mm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레이온을 60∼90%, 천연 코튼을 40∼10%의 혼합비로 150∼250 g/m2 적층하여 도트형의 엠보스 가공에 의해 시트화시킨, 부피 2∼10 mm, 바람직하게는 3∼5 mm로 조정한 부직포 시트를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체면측에서 의복면측으로 액체를 이동시키기 쉬워지고, 흡수 유지력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펄프층의 신체면측에는 섬도 1.1∼4.4 dtex, 섬유 길이 25∼51 mm인 레이온을 단위 중량 15∼40 g/m2로 조정한 메쉬 스펀 레이스 부직포를 부설함으로써 신체면측에서 이동하여 나온 액체를 메쉬 스펀 레이스에 의해 확산시키고, 펄프층의 거의 전역에 액체를 유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보다 많은 액체를 흡수하는 일이 가능하다.
[서포트 시트]
서포트 시트로 사용하는 재료는 투수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복 시트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패드를 생리대와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생리대 병용용 패드).
또한, 상기 서포트 시트에 불투수성의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흡수체에 유지되어 있는 경혈이 음순간 패드의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습성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착용시에 새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착용시에 서의 불쾌감을 저감시킬 수 있다.
불투수성의 소재를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PE, PP 등의 합성 수지를 박막화한 불투수성 필름, 합성 수지에 무기 충전제를 충전하고 연신 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진 통기성 필름, 종이나 부직포와 불투수성 필름을 복합화한 라미네이트 필름, 발수 처리된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의 이면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것 등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불투수성 시트에 통기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서는 10∼30%의 개공율로, 구멍 직경 0.1∼0.6 mm의 모세관을 흡수체에 형성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불투수성의 소재를 채용하는 경우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예로서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재료로 한, 밀도 0.900∼0.925 g/cm3, 단위 중량 15∼30 g/m2의 범위로 얻어지는 필름을 들 수 있다. 착용감을 손상하지 않도록 유연성을 고려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착용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유연성을 고려한 경우에는, 예컨대, 밀도가 0.900∼0.925 g/cm3인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재료로 한 단위 중량 15∼30 g/m2의 범위에서 얻어지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순 사이에 착용되어 있을 때에 불투수성 시트끼리, 또는 병용하는 패드, 속옷 등에 접촉했을 때에 마찰이 크고 음순간 패드가 음순으로부터 탈락하여 버릴 위험성을 저하시키기 위해서, 상기 필름에 엠보스 가공을 하고, 볼록형의 융 기부를 마련함으로써 접촉율을 저하시켜 마찰 저항치를 적게 하여도 좋다.
[미니 시트편]
미니 시트편에 사용하는 재료는 손가락을 삽입했을 때에 파손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 것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시트형 부직포, 탄성 신축성 부직포, 필름, 폼 필름, 탄성 신축성 필름, 발포 시트, 박엽지 등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라미네이트 가공한 것으로부터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재료로 구성되는 미니 시트편의 가로 방향 파단 강도는 적어도 0.1 N/10 mm인 것이 바람직하며, 0.1∼1.0 N/10 m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 파단 강도는 10 mm 폭 당 해당하는 파단 강도이며, 텐실론 인장 시험기로 척 간격 100 mm로 미니 시트편을 끼우고, 속도 100 mm/분으로 인장하여 평가한 값이다.
상기한 조건을 고려하면 구체적으로는, 밀도 0.920 g/cm3의 LDPE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두께 15∼30 μm의 필름 등을 들 수 있지만, 미니 시트편의 손가락 삽입용 입구에 손가락을 넣었다 빼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밀도 0.915 g/cm3의 LDPE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부피가 0.3∼1.0 mm이고, 구멍 직경 0.3∼1.5 mm인 모세관이 15∼60%의 개공율로 형성된 폼 필름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니 시트편은 착용자의 손가락 끝 사이즈에 구애되지 않고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서포트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신장성 또는 탄성 신축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미니 시트편에 신장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잡는 간격 100 mm, 인장 속도를 100 mm/분으로 정속 신장한 경우의 5% 신장시의 응력이 0.1∼0.5 N/25 mm인 신장성 스펀 본드 부직포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미니 시트편에 탄성 신축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를 사용한 섬유형 시트나 필름 시트, 및 이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나 천연 고무 등의 탄성 신축성 소재를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또는 비탄성 신축성 소재와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LDPE 수지를 주재료로 하는 필름에 콜게이트 가공을 하여 신축성을 부여하는 것도 적합한 실시예의 하나이다.
미니 시트편의 길이는 음순간 패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또한 손가락 삽입용 입구에 손가락을 넣었다 빼는 것을 용이하게 하도록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음순간 패드 길이의 적어도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80%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60%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손가락 삽입용 입구의 개구부의 폭은 적어도 20 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50 mm의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30∼40 mm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미니 시트편의 형태로서는, 예컨대,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를 구성하는 서포트 시트(42)의 의복측 표면을 따라서 음순간 패드(44)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띠형의 미니 시트편(62)을 횡단적으로 배치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이 형태에서는 미니 시트편(62)은 음순간 패드(44)의 양측단에 고정되고, 음순간 패드(44)의 긴 길이 방향을 향하여 개구부, 즉 손가락 삽입용 입구(6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형태에 있어서는 손가락(78)의 볼록한 부분을 서포트 시트(42)에 접촉 시키면서 손가락 삽입용 입구(64)에 손가락(78)을 삽입하면,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의 긴 길이 방향과 음열(陰裂)(80)의 방향이 동일 방향을 향하게 된다. 그리고 손가락(78)의 볼록한 부분으로 음순간 패드(44)를 음순 내부에 압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음순간 패드(44)를 확실하게 착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미니 시트편은 예컨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순간 패드(44)의 긴 길이 방향의 중앙부 근방에서 상기 긴 길이 방향의 하나의 가장자리 끝(82)까지 음순간 패드(44)를 구성하는 서포트 시트(42)를 완전히 덮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러한 형태는 손가락(78)의 선단이 미니 시트편(62)으로부터 노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경혈과 손가락(78)이 비접촉의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예컨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띠형의 미니 시트편(62)을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시킨 음순간 패드(44)도 손가락(78)의 선단이 미니 시트편(62)으로부터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도 20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44)와 같이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3은 음순간 패드(44)의 평면도이며,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음순간 패드(44)의 A-A' 단면도이다. 미니 시트편을 부설할 때에는 예컨대,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니 시트편(62)을 서포트 시트(42)의 의복측 표면에서 약간 뜨게 함으로써 미리 손가락 삽입용의 공간(83)을 형성해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 미니 시트편(62)의 폭은 음순간 패드(44)의 폭보다 약간 넓게 형성되고, 서포트 시트(42)의 의복측 표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약간 느슨하게 한 상태로 음순간 패드(44)의 가장자리부(45)에 접합된다. 고정의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감압형 핫멜트 접착제, 감열형 핫멜트 접착제, 열 밀봉, 초음파 밀봉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의 도포 형태로서는, 예컨대, 면형, 선형, 나선형, 도트형 등 임의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하는 음순간 패드(44)는 그 가장자리부(45)에 미니 시트편(62)의 측단이 접합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음순간 패드(44)의 착용시에 가장자리부(45)가 딱딱한 착용감을 부여하지 않도록 접합부의 폭을 2∼5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자리부(45)보다 음순간 패드(44)의 내측(중심부측)에 미니 시트편(62)을 접합하면, 가장자리부(45)의 질감이 유연해지고, 착용감이 더욱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때, 미니 시트편(62)은 핫멜트형 접착제에 의해 서포트 시트(42)에 점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니 시트편과 서포트 시트가 적당한 강도로 접합되도록 그 접합 강도에 관해서는 패드의 짧은 길이 방향의 파단 강도를 0.3∼1.2 N/10 mm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파단 강도는 10 mm 폭 당에 해당하는 파단 강도이며, 텐실론 인장 시험기로 척 간격 20 mm로, 상부 척에 미니 시트편을, 하부 척에 서포트 시트를 끼워 속도 100 mm/분으로 인장하여 평가한 값이다.
또한, 미니 시트편에 대해서는 미니 시트편의 식별을 착용자가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착색이나 모양 등의 인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여, 서포트 시트와는 상이한 색조나 모양, 색도를 갖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포장 용기]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를 포장하는 포장 용기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PE, PP, PET 등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나 두께 15∼60 μm 정도의 필름, 종이, 또는 이들을 라미네이트 가공한 라미네이트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포장 용기의 내표면측에 관해서는 유연한 감촉을 고려하여 단위 중량 15∼50 g/m2의 범위인 크레이프 티슈, 코튼과 펄프의 혼합물로서 적어도 10 질량% 이상의 코튼을 포함하는 단위 중량 15∼70 g/m2의 범위인 습식 스펀 레이스 부직포, 적어도 30 질량% 이상의 레이온을 포함하는 단위 중량 20∼70 g/m2의 범위인 스펀 레이스 부직포, 단위 중량 20∼50 g/m2의 범위인 PP로 이루어지는 멜트블론 부직포 등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위 중량 5∼20 g/m2의 범위인 멜트블론 부직포를 단위 중량 6∼10 g/m2의 범위인 스펀 본드 부직포에 의해 샌드위치하여 이루어지는 복합 부직포 등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한편, 포장 용기의 외표면측에 관해서는 내수압을 고려하여 단위 중량 10∼30 g/m2의 범위인 PE로 이루어지는 필름, 개공율이 10∼30%, 단위 중량이 15∼30 g/m2의 범위인 개공 플라스틱 시트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장 용기의 내표면측 재료와 외표면측 재료는 핫멜트 접착제, 열 엠보스 가공, 초음파 밀봉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일체화한다. 이 때, 핫멜트 접착제의 경우에는 도포량 3∼10 g/m2, 도포 면적율 5∼40%의 범위로, 나선형 내지 심줄 모양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열 엠보스 가공이나 초음파 밀봉의 경우에는 밀봉 면적율 5∼20%의 범위로, 선형, 도트형 내지 교차선형 등의 배열로 점착된다. 라미네이트재의 감촉을 고려한 것이다.
[포장체]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를 포장 용기로 포장하여 이루어지는 포장체로서는 이미 전술한 것 이외에도 예컨대,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이 포장체(72)는 음순간 패드(44)를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미니 시트편(62)이 대향하도록 접어 포개고, 그 음순간 패드(44)를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장 용기(76)인 1장의 포장용 시트로 둘러싸도록 하여 그 가장자리 끝을 접합함으로써 밀봉한 것이다. 이 때, 2장의 포장용 시트에 의해서 음순간 패드(44)를 끼워 붙이고, 그 가장자리 끝을 접합하여 밀봉하여도 좋다. 또한, 미니 시트편(62)을 대향하도록 접어 포개는 것은 포장 용기(72)의 개봉시에 미니 시트편(62)을 착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포장 용기(76)는 접합부(84)가 박리 가능한 상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텐실론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속도 100 mm/분으로 측정한 박리 강도 0.3∼1.0 N/25 mm의 범위 내에서 열 밀봉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박리하기 쉽고, 또한 조작중에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포장 용기는 손잡이 탭(86)이 부설되어 있고, 2개의 손잡이 탭(86)을 잡고 열어서 포장 용기(76)를 개봉할 수 있다.
포장용 시트를 접합하여 포장 용기를 구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포장 용기(76)와 같이 접합부(84)를 박리하여 개봉하는 것 이외에, 도 27이나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합부(84)의 내부 가장자리측에 절취선(88)을 형성해 두고, 절취선(88)을 찢음으로써 개봉하는 것이어도 좋다. 도 27에 도시하는 포장체(72)는 음순간 패드를 이면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포장용 시트와 동시에 접어 포갠 후, 3변의 가장자리를 열 밀봉에 의해 접합하고, 그 내부 가장자리측에 절취선을 형성한 것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포장체(72)는 음순간 패드를 이면측이 서로 대향하도록 접어 포갠 후, 2장의 포장용 시트에 끼우고, 4변의 가장자리를 열 밀봉에 의해 접합하여, 그 내부 가장자리측에 절취선을 형성한 것이다.
절취선(88)의 파단 강도는 보관시에는 파손되지 않고, 개봉시에는 용이하게 파단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0.2∼3.0 N/25 mm, 더욱이 0.3∼1.5 N/25 m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절취선(88)은 용이하게 파단시키기 위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포장 용기(76)의 단부로부터 시작될 필요가 있지만, 그 파단이 가능하기만 하면 절취선(88)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절취선(88)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접합부(84)의 강도를 높게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포장 용기(76)와 같이 접합부(84)를 박리하여 개봉함으로써 잘못 취급해 버리는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27 및 도 28중 어느 쪽 포장체의 경우에도 착용자가 절취선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화살표 등을 인쇄 하거나, 또는 절취선의 개시 위치 근방을 다른 부분과는 상이한 형상으로 컷트하는 포장체 전체를 고의로 비대칭 형상으로 하여, 절취선의 개시 위치를 착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한 음순간 패드의 구성]
본 발명의 음순간 패드는 생분해성 소재 및/또는 수분산성 소재 및/또는 수용성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드는 사용후 그대로 변기에 탈락시켜 흘려보낼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고 청결하게 패드를 파기할 수 있고, 화장실 내의 쓰레기를 저감시킬 수도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생분해성」이란 방선균을 비롯하여 세균, 그 밖의 미생물의 존재하에, 자연계의 프로세스에 따라서 염기성 또는 호기성 조건하에서 물질이 이산화탄소 또는 메탄 등의 가스, 물 및 생물 자원으로 분해되는 것을 말하고, 상기 물질의 생분해능(생분해 속도, 생분해도 등)이 낙엽 등과 같이 자연스럽게 생기는 재료, 또는 동일 환경하에서 생분해성으로서 일반적으로 인식되는 합성 폴리머에 필적하는 것을 말한다. 「수분산성」이란 수해성과 동일한 의미로서, 사용시의 한정된 양의 수분(경혈)에 의해서는 영향받지 않지만,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중에서는 섬유가 적어도 통상의 화장실 배관을 막히게 하는 일이 없는 정도의 소단편으로 용이하게 분산되는 성질을 말한다. 「수용성」이란 사용시의 한정된 양의 수분(경혈)에서는 영향은 없지만, 다량의 물 또는 수류 중에서는 용해하는 성질을 말한다.
[피복 시트]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하기 위한 피복 시트의 소재로서는 천연 섬유, 화학 섬유중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천연 섬유의 예로서는 분쇄 펄프,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이들을 수용성 수지에 의해 화학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에어레이드 펄프 등을 들 수 있다. 화학 섬유의 예로서는 레이온, 피브릴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PE, PP, PET,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 등의 화학 섬유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것 이외에, 소위 생분해성 섬유인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용성을 갖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콜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한 소재 중에서도 펄프나 코튼 등의 셀룰로오스, 레이온 등의 재생 셀룰로오스, 폴리젖산 등의 소위 생분해성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소재는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웹 또는 부직포에 성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젖산이나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등의 소위 생분해성 섬유의 웹포밍은 카드법, 스펀 본드법, 멜트블론법 또는 에어레이드법에 의한 건식법이나 습식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복수 조합하여 수행하여도 좋다. 본딩의 방법으로서는 서멀 본딩, 니들 펀치, 케미컬 본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수류 교락법에 의해 시트형으로 형성한 스펀 레이스를 사용하여도 좋다.
수분산성을 부여하는 성형 방법의 예로서 섬유의 수소 결합에 의해 섬유를 시트형으로 성형하여 수해지(水解紙)로 만드는 방법, 수용성의 결합제에 의해 섬유를 교락시키고 시트형으로 성형하여 수해지로 만드는 방법, 또는 섬유를 교락시켜 시트형으로 성형하여 수해지로 만드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양호한 수분산성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섬유 길이를 2∼51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2∼10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수분산성과 사용시에 파손이 생기지 않는 강도를 함께 갖게 하기 위해서, 섬도(굵기)는 1.1∼4.4 dtex의 범위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섬유로서 레이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섬도를 1.1∼3.3 dtex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수분산성은 양호해지지만, 건조시에 보풀이 일어나고 보풀이 빠지기 쉬워지며 한편, 이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분산성이 현저히 저하된다.
피복 시트의 단위 중량은 20∼60 g/m2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복 시트의 파단 강도(잡는 간격 100 mm, 인장 속도 100 mm/분으로 정속 신장한 경우의 파단 강도)는 종횡 모두 적어도 800 mN/25 mm이어야 하며, 착용시의 유연성을 고려하면 1000∼7000 mN/25 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복 시트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1.1∼4.4 dtex이고 길이 5∼10 mm인 레이온 섬유와 목재 펄프를 90:10∼70:30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단위 중량을 25∼40 g/m2, 두께를 0.2∼0.5 mm로 조정한 습식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피복 시트에는 경혈의 투과성(투수성)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거나, 또는 경혈이 투과하기 쉬운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해서 복수개의 구멍을 뚫어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멍 직경을 0.5∼1.5 mm의 범위로, 구멍부 면적율(총 면적에 대한 개공율)을 3∼20%의 범위로 형성시키면 좋다.
[흡수체]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하기 위한 흡수체의 소재로서는 투수성의 피복 시트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긴산소다, 전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흡수재나 고흡수성 폴리머의 입상물 또는 섬유형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피복 시트와 같은 소재와 혼합하여 성형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수체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목재 펄프를 단위 중량 150∼500 g/m2으로 적층하여 티슈에 봉입하고, 이것을 프레스 장치로 두께 2∼10 mm로 조정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전분 등의 흡수재를 5∼30 g/m2의 비율로 상기 흡수체에 혼입시킴으로써 경혈의 흡수나 유지 능력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서포트 시트]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불투수성인 서포트 시트의 소재로서는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비닐알콜, 알긴산소다, 폴리아크릴산소다, 폴리아크릴산에테르, 폴리비닐피롤리돈, 이소부틸렌과 무수말레산과의 공중합체와 같은 수용성 고분자, 또는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전분, 덱스트린 등의 생분해성 고분자를 들 수 있다.
상기한 소재에 관해서는 단독으로 또는 상기한 소재와 혼합하여 필름형, 시트형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필름 시트에 실리콘 수지 등의 발수 성 소재를 적어도 한 면에, 보다 적합하게는 양면에 도포하거나, 또는 혼합시켜도 좋고, 또한 상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등에 티슈를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지어도 좋다.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서 상기 소재에 0.1∼5 질량%의 범위로 무기 안료를 혼합하여 서포트 시트에 착색을 하여도 좋다.
불투수성의 서포트 시트의 구체적인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젖산으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두께 10∼20 μm, 단위 중량 15∼20 g/m2의 범위인 티슈를 접합 면적율 5∼40%의 범위에서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라미네이트지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라미네이트지는 패드가 습윤될때에도 불투수성을 유지할 수 있고, 정화조에 과도한 부담을 부여하지 않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미니 시트편]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하기 위한 미니 시트편의 소재로서는 폴리젖산,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PVA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또는 이들 재질로 이루어지는 필름과 티슈와의 라미네이트재 등을 들 수 있다.
[포장 용기]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포장 용기를 수용성 섬유를 사용한 섬유 시트, 생분해성 또는 수용성 수지를 사용한 필름, 또는 상기 섬유 시트와 상기 필름의 라미네이트재, 상기 필름과 티슈와의 라미네이트재 등으로 구성하면 좋다.
[접합 방법]
또한, 생분해성·수분산성·수용성을 부여하기 위한 접합 방법으로서는 수용 성 또는 수팽윤성을 갖는 폴리비닐알콜 등에 의한 접착, 열 밀봉 또는 수소 결합에 의한 접합 등의 접합 방법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흡수 시트부를 음순간 패드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분할된 한 쌍의 흡수 시트체로 구성하고, 상기 흡수 시트체와 불투수성의 서포트 시트를 음순간 패드의 가장자리부에서 접합하며, 상기 흡수 시트체와 상기 서포트 시트와의 사이에 경혈이 유입될 수 있는 공극부를 형성했기 때문에, 음순 내벽을 따라서 흘러내리는 경혈을 조속히 흡수체에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음순 내에서의 형상 적합성(피트성)도 향상된다.

Claims (13)

  1. 음순에 계착(係着)시켜 사용하는 음순간 패드로서,
    착용시에 신체측에 대향하고, 체액을 흡수하는 흡수체를 내포하여 상기 음순간 패드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 분할된 한 쌍의 흡수 시트체로 구성되는 흡수 시트부와,
    상기 흡수 시트부를 배킹하는 불투수성 서포트 시트와,
    상기 서포트 시트의 신체측 표면에, 상기 음순간 패드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 배치된 띠형 흡수체와,
    상기 음순간 패드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가장자리부 이외의 면을 비접합 상태로 하고 상기 흡수 시트체와 상기 서포트 시트를 접합한 가장자리부와,
    상기 흡수 시트체와 상기 서포트 시트 사이에 형성되는, 체액이 유입될 수 있는 공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의 측단이 원호형을 이루고, 상기 원호의 양 가장자리 끝이 상기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의 가장자리 끝을 향하여 모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흡수 시트체가 이격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 시트체들 사이에 홈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시트의 신체측 표면에 시트형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흡수 시트체의 의복측 표면과 상기 시트형 흡수체의 신체측 표면과의 사이에 체액이 유입될 수 있는 공극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시트의 의복측에, 상기 서포트 시트의 긴 길이 방향의 각 측부에 있어서의 한 곳 이상의 접합 부분과, 상기 서포트 시트의 짧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한 곳 이상의 비접합 부분을 가지고 접합된 미니 시트편을 구비하고, 상기 한 곳 이상의 비접합 부분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미니 시트편과 상기 서포트 시트와의 사이에서 상기 서포트 시트의 면 방향에 손가락 폭의 개구가 직접적으로 확보되는 손가락 삽입용 입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쌍의 흡수 시트체는 상기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정점으로 하여 신체측 방향에 산 모양으로 구성된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양측단에서 연속하는 끝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니 시트편은 상기 끝부분의 의복측에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생리대와 병용되는 생리대 병용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요실금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질분비물 흡수용 음순간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순간 패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한 음순간 패드가 개봉구를 갖는 개별 포장용의 포장 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포장체로서, 상기 음순간 패드는 손가락 삽입용 입구가 상기 개봉구를 향하여 개구되도록 상기 포장 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순간 패드가 상기 미니 시트편이 상기 음순간 패드의 긴 길이 방향의 대략 중심선을 따라서 의복측 방향을 향해서 산 모양으로 접혀진 형상이 되도록 상기 포장 용기에 포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체.
KR1020037015216A 2001-05-22 2002-05-21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KR100797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2403 2001-05-22
JP2001152403 2001-05-22
JPJP-P-2001-00276338 2001-09-12
JP2001276338 2001-09-12
PCT/JP2002/004895 WO2002094159A1 (fr) 2001-05-22 2002-05-21 Tampon interlabial et son conditionn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593A KR20040007593A (ko) 2004-01-24
KR100797492B1 true KR100797492B1 (ko) 2008-01-24

Family

ID=2661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216A KR100797492B1 (ko) 2001-05-22 2002-05-21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40153042A1 (ko)
EP (1) EP1426025A4 (ko)
JP (1) JP4178044B2 (ko)
KR (1) KR100797492B1 (ko)
CN (1) CN1226022C (ko)
TW (1) TW570776B (ko)
WO (1) WO20020941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0781B2 (ja) * 2001-05-22 2009-02-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及びその包装体
JP2004261230A (ja) * 2003-02-18 2004-09-24 Uni Charm Corp 水洗可能な陰唇間パッド
US8246593B2 (en) 2003-07-03 2012-08-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for dynamic body fit
WO2005055903A1 (ja) 2003-12-09 2005-06-23 Uni-Charm Corporation 陰唇間パッド
TWI350743B (en) 2003-12-09 2011-10-21 Uni Charm Corp Interlabial pad
KR101143077B1 (ko) * 2003-12-09 2012-05-08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음순간 패드
JP4555616B2 (ja) * 2004-06-11 2010-10-0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JP4953611B2 (ja) * 2005-10-04 2012-06-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陰唇間パッド
JP4812562B2 (ja) * 2006-08-28 2011-11-0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MX2010001384A (es) * 2007-08-03 2010-04-09 Kimberly Clark Co Articulos absorbentes que se adhiere al cuerpo.
US7947027B2 (en) 2007-12-28 2011-05-2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8292862B2 (en) 2007-08-03 2012-10-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ynamic fitting body adhering absorbent article
US11147722B2 (en) 2008-11-10 2021-10-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multifunctional acrylate skin-adhesive composition
JP7093653B2 (ja) * 2018-03-15 2022-06-3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8728U (ja) * 1991-05-20 1992-11-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5662633A (en) * 1991-07-23 1997-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window with a body-conforming acquisition element positioned therein
WO1999001096A1 (en) * 1997-07-01 1999-0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ing aid for a body appli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9101A (en) * 1974-09-06 1977-06-14 Colgate-Palmoliv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5885265A (en) * 1995-11-22 1999-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 dispersible and flushable interlabial absorbent structure
US5964689A (en) * 1996-08-30 1999-10-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n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with a central groove
US5968026A (en) * 1996-08-30 1999-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US6183456B1 (en) * 1997-06-16 2001-0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eminine hygiene system and kit using an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EP0888764A1 (en) * 1997-07-01 1999-01-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se of a handling aid for a body appli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6010001A (en) * 1997-11-21 2000-01-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dividual packaging for hygienic wiping
US6316688B1 (en) * 1998-04-27 2001-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anitary napkin comprising three dimensionally shaped tube of absorbent material
US6503233B1 (en) * 1998-10-02 2003-01-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good body fit under dynamic conditio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8728U (ja) * 1991-05-20 1992-11-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5662633A (en) * 1991-07-23 1997-09-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window with a body-conforming acquisition element positioned therein
WO1999001096A1 (en) * 1997-07-01 1999-0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andling aid for a body applied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6022C (zh) 2005-11-09
JPWO2002094159A1 (ja) 2004-09-02
CN1511023A (zh) 2004-07-07
EP1426025A1 (en) 2004-06-09
US20040153042A1 (en) 2004-08-05
KR20040007593A (ko) 2004-01-24
EP1426025A4 (en) 2004-12-29
WO2002094159A1 (fr) 2002-11-28
JP4178044B2 (ja) 2008-11-12
TW570776B (en) 200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7742B1 (en) Interlabial pad
US7074214B2 (en) Interlabial product having form for finger securement, and individual package
KR100801943B1 (ko) 음순간 패드
KR100797494B1 (ko) 음순간 패드
KR100797492B1 (ko)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KR100736642B1 (ko) 음순간 패드
JP4178043B2 (ja) 陰唇間パッド
JPWO2002094153A1 (ja) 陰唇間パッド
US7354425B2 (en) Interlabial pad
KR20040000487A (ko) 개별 포장체 및 그 외장 용기
JP4178042B2 (ja) 陰唇間パッド
KR100629790B1 (ko) 흡수성 음순간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632597B2 (ja) 陰唇間パッド、包装体及び陰唇間パッドの製造方法
US20050010187A1 (en) Inter-labium pudenda pad and package body for the pad
KR100923940B1 (ko) 음순간 패드 및 그 포장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7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