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029B1 - Replaceable Outsole Shoes - Google Patents
Replaceable Outsole Sho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7029B1 KR100797029B1 KR1020070091024A KR20070091024A KR100797029B1 KR 100797029 B1 KR100797029 B1 KR 100797029B1 KR 1020070091024 A KR1020070091024 A KR 1020070091024A KR 20070091024 A KR20070091024 A KR 20070091024A KR 100797029 B1 KR100797029 B1 KR 1007970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fastening plate
- shoe
- sole
- auxiliary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52—Interchangeable heel parts without special attachment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에 관련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발밑창의 후족부 하부면을 제거하여 보조밑창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판상이며 어느 일면에 슬라이딩운동을 유도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결합홈 내부까지 출몰되는 조정레버가 마련되는 제1체결판과; 판상의 어느 일면에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판과 결합되며, 어느 일측 결합돌기에 상기 조정레버의 말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홈이 마련되는 제2체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체결판 및 제2체결판이 상기 신발밑창과 보조밑창의 결합면에 서로 대응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조밑창을 탈부착시킬 수 있음으로 하나의 신발로 다수의 상이한 기능을 갖는 신발로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는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specifically, in a shoe configured to detach a secondary sole by removing a bottom surface of a foot of a shoe sole, and a plate-shaped coupling groove for inducing sliding movement is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 first fastening plate having an adjustment lever which is mounted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A second fastening plate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plate and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having a cutting groove into which one end portion of the adjustment lever is inserted into one coupling protrus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is fixed to each other o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shoe sole and the auxiliary outsole can be detachable to the auxiliary outsole having a number of different functions as a single shoe It is a technology for shoes that can be replaced with an auxiliary outsole that can be used as a shoe.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련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신발밑창에 탈부착이 가능하여 적절한 보조밑창을 교체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e that can be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a shoe sole, thereby replacing an appropriate auxiliary sole.
용도와 기능에 따라 다양한 신발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단순히 발을 보호한다는 차원을 넘어서 당뇨병과 같은 질병의 치료를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신발이라던지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한 형태를 갖는 신발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Various shoes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use and function, and recently, shoe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reating diseases such as diabetes or shoes having a form to enhance exercise effects are widely used beyond simply protecting the feet. have.
특히, 운동효과를 높이기 위한 신발로 제공되는 신발은 보통 뒷굽이 없거나 뒷굽부위가 지면과 이격되게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이 많다. 그리고 뒷굽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고안된 신발들도 알려져 있다.In particular, shoes provided as shoes for enhancing the movement effect are usually formed without the heel or the heel is incli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lso known are shoes designed to replace only the heel.
이하, 본 발명과 관련하여 뒷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utlined for a shoe that can be replaced in the heel.
먼저, 본 출원인에 의해 실용신안출원되어 등록된 제 428437호의 "탈부착 가능한 뒷굽을 가지는 신발밑창"이 있었으며, 첨부되는 도1은 이에 따른 신발밑창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보여준다. 몸통부재(10)에 대해 뒷굽부재(30)가 조립식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하는 것이나, 단순히 상기 몸통부재에 탈 착홈(20)을 두고 뒷굽부재에는 탈착돌기(32)를 두어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 기술에서는 탈착홈이나 탈착돌기가 탄성을 갖는 몸통부재나 뒷굽부재와 동일한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므로 상기 탈착홈 및 탈착돌기가 쉽게 손상될 수 있었으며 결합이나 분리시에도 쉽게 미끄럼 동작이 일어나지 않아 사용상 애로점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First, there was a "shoes sole with a detachable heel" of the No. 428437 registered and applied for utility model by the present applicant, Figure 1 attached shows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shoe sole accordingly. The main point is that the
또 다른 종래기술로 특허출원번호 1992-0008946호의 "신발밑창"이 있었고, 도2는 이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준다.Another prior art was the "sole of shoes" of patent application No. 1992-0008946, Figure 2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shoe accordingly.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발밑창의 경우 본체(10)에 구비되는 뒷굽부재(2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돌출부(16)과 요홈부(25)를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기술이다.As shown in the case of the shoe sole, the
상기 기술 역시 단순히 뒤굽 부분을 탈부착될 수 있도록 본체 및 뒷굽부재 자체에 돌출부와 요홈부를 두도록 하는 구성이었으므로 실제 사용상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해서는 전혀 고려가 되지 않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The above technique also had a configuration in which protrusions and grooves were placed on the main body and the heel member itself so that the heel portion could be detachably attached, and thus had limitations that were not considered at all.
본 발명에서는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하도록 하되, 교체가 보다 용이하고 잦은 교체에도 손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인위적인 외력을 가하여야만 보조밑창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안정성과 사용상 편리함이 높은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auxiliary outsole, but it is easier to replace and frequent damage does not occu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e with high stability and ease of use by enabling the separation of the auxiliary sole only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한 신발은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을 갖는 보조밑창을 제공할 수 있어 용도에 맞게 적절한 보조밑창을 공급하여 다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At the same time, the sho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uxiliary outsole having a variety of shapes and materials to provide a shoe that can be utilized for a variety of purposes by supplying a suitable auxiliary outsole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제시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신발밑창의 후족부 하부면을 제거하여 보조밑창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판상이며 어느 일면에 슬라이딩운동을 유도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상기 결합홈 내부까지 출몰되는 조정레버가 마련되는 제1체결판과; 판상의 어느 일면에 상기 결합홈에 대응하는 결합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판과 결합되며, 어느 일측 결합돌기에 상기 조정레버의 말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홈이 마련되는 제2체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체결판 및 제2체결판이 상기 신발밑창과 보조밑창의 결합면에 서로 대응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보조밑창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을 제안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object as presented in the shoe is configured to remove the bottom of the foot of the shoe sole to remove the auxiliary outsole, plate-like and engaging grooves for inducing sliding movement on one side is formed and A first fastening plate having an adjustment lever which is mounted from one side of the coupling groove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groove; A second fastening plate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on one surface of the plate and coupled to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having a cutting groove into which one end portion of the adjustment lever is inserted into one coupling protrus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is fixed to each other on the mating surface of the shoe sole and the auxiliary outsole is installed so as to replace the auxiliary outsole, characterized in that to detachable Suggest shoes.
바람직하게 상기 제1체결판은 상기 조정레버가 상기 결합홈 내부로 출몰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홈과; 상기 유도홈 바닥면에는 조정레버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제한턱과; 상기 유도홈과 마주보게 제1체결판의 측면으로 돌출되되, 상기 조정레버가 관통되는 사각홀이 형성되는 조정레버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레버는, 상기 제한턱에 맞닿아 이동이 제한되도록 조정레버의 말단부 하부면에 돌출되는 스토퍼;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을 제안한다.Preferably,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the guide groove to guide the adjustment lever to be released into the coupling groove; A limiting jaw formed on the guide groove bottom by varying the height to limit the maximum moving distance of the adjustment lever; And an adjustment lever guide projecting toward the side of the first fastening plate facing the guide groove, the adjustment lever guide having a square hole through which the adjustment lever penetrates, wherein the adjustment lever is in contact with the limiting jaw so as to limit movement. A stopper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distal end of the adjustment lever; proposes a shoe that can be replaced with the auxiliary outsole further comprises.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밑창은 수평방향의 편평한 결합면을 갖추며 상기 결합면과 직각을 이루어 신발밑창과 접촉되는 수직결합면이 구비되고 상기 수직결합면에는 돌출되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가 신발밑창에 마련되는 지지대홈에 끼워지는 결합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을 제안한다.Preferably, the auxiliary outsole has a flat coupling surfac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s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surface and is provided with a vertical coupling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hoe sole, and the vertical coupling surface is provided with a protruding support formed on the support sole. It proposes a shoe that can be replaced of the auxiliary outso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upling structure that is fitted to the support groove.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밑창은 비스듬히 경사지거나 굴곡진 결합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추어 신발밑창과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을 제안한다.Preferably, the auxiliary outsole proposes a shoe that can be replaced with an auxiliary outs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ombined with a shoe sole by having any one of an inclined or curved coupling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보조밑창은 지면을 향한 저면부가 편평한 수평면을 이루거나 후방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도록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을 또한 제안한다.Preferably, the auxiliary outsole also proposes a shoe replaceable auxiliary 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portion toward the ground forms a flat horizontal plane or inclined so that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becomes farther toward the rear.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조정레버는 스프링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을 제안한다.More preferably, the adjustment lever proposes a shoe that can be replaced with an auxiliary out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pring is connected.
그리고 본 발명은 신발밑창의 후족부 하부면을 제거하여 보조밑창을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 판상이며 어느 일면에 돌출된 다수의 결합핀이 형성되는 제1체결판과; 판상의 어느 일면에 상기 결합핀에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공들은 상기 결합핀이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는 루즈(LOOSE)부와 상기 루즈부와 이어져 상기 결합핀이 강제 압입될 수 있는 타이트(TIGHT)부로 이루어지는 제2체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제1체결판 및 제2체결판이 상기 신발밑창과 보조밑창의 결합면에 서로 대응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결합핀을 결합공의 루즈부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판 또는 제2체결판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결합핀이 타이트부에 끼워지도록 하여 상기 보조밑창의 탈부착이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을 제안한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oe configured to detach the auxiliary sole by remov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oot of the shoe sole, the first fastening plate is formed plate-like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ins protruding on one surfac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ins a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coupling holes are connected to a loose portion through which the coupling pin can be inserted without interference and the loose portion to forcibly press the coupling pin.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made of a tight part, wherein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are fixedly install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coupling surface of the shoe sole and the auxiliary sole. A shoe that can be replaced with an auxiliary outso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sole is detachable by allowing the coupling pin to be fitted to the tight part by horizontally moving the first fastening plate or the second fastening plate in the state of being fitted to the loose part of the Suggest.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은 상황에 맞게 적절한 보조밑창을 선택하여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다용도의 신발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A shoe that can be replaced with an auxiliary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versatile shoe because it can be used by selecting and replacing an appropriate auxiliary sole according to a situation.
그리고 신발밑창에 보조밑창을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경질 재질로 사출성형되는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을 활용하므로 상기 보조밑창의 탈부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체결부위가 쉽게 손상되지 않아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rst fastening plate and the second fastening plate which are injection molded with a hard material are used to attach and detach the auxiliary sole to the shoe sole, the secondary sol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fastening part is easily damaged even during long-term use. There is also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durability.
또한, 상기 보조밑창의 형상이나 재질을 변경하여 운동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신발이나 일반적인 보행용 신발 등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auxiliary outsole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shoes or general walking shoes that can enhance the exercise effect.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한 설명을 전개하기로 한다. 단, 제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구체화한 하나의 실시가능한 형태를 보여주는 것이므로 당업자에 의한 단순한 변경이나 균등적 요소로의 치환과 같은 변형 실시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임을 지적한다.Detailed description will be made through the following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shoe that can be replaced the auxiliary out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since the presented embodiments show one possible embodiment embodied on the basis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odifications such as simple changes or equivalent el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Point out that
통상의 신발과 같이 신발밑창과 갑피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신발밑창이나 갑피의 형상이나 재질 등은 공지의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신발밑창의 경우 아웃솔과 미드솔을 갖추게 되는 것이 가장 일반적일 것이며 운동화나 구두인 경우에는 갑피의 재질과 형상이 달라지게 된다.Like normal shoes, the shoe sole and upper are included, and the shape and the material of the shoe sole or upper may be variously known. That is, in the case of the shoe sole, it is most common to have an outsole and a midsole, and in the case of sneakers or shoes, the material and shape of the upper are changed.
첨부되는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의 개략적인 측면도를 보여주며, 도4는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을 보여주는 사시도에 해당된다.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hoe that can be replaced with an auxiliary sole configured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corresponds to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astening plate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
본 발명에서는 신발밑창(100)의 후족부 하부면이 함몰되어 제거된 형태를 이루며 이곳에 보조밑창(200)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을 기본적인 구조로 한다. 특히, 상기 신발밑창(100) 후족부에 보조밑창(200)을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 상기 신발밑창과 보조밑창의 결합면(A)에 제1체결판(300)과 제2체결판(400)을 서로 대응되게 설치토록 구성함을 주요한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ar foot of the
상기 제1체결판(300)과 제2체결판(400)은 신발밑창(100)과 보조밑창(200)의 결합면(A) 형상에 맞게 성형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합면(A)이 편평한 수평면을 이루는 것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1체결판(300)과 제2체결판(400)도 편평한 판상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 다른 유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먼저, 제1체결판(300)에 대해 설명하며 상기 제1체결판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상의 사출 성형물로서 어느 일면에 결합홈(31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310)은 제2체결판(400)이 직선슬라이딩 운동 될 수 있도록 매끄럽게 가공되며 좌우 가장자리에는 제2체결판(400)의 결합돌기(41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외측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First, the
그리고 상기 제1체결판(300)에는 결합될 제2체결판(400)의 구속을 위한 조정레버(320)가 더 마련되며 상기 조정레버(320)는 결합홈(310)의 어느 일측으로부터 결합된다. 즉, 상기 조정레버(320)는 결합홈(310) 내부까지 출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최대로 전진되었을 때는 제2체결판(400)을 구속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조정레버(320)의 설치를 위해서 상기 제1체결판(300)의 일측에 상기 결합홈(310)의 내부로까지 형성되는 유도홈(301)을 두도록 하며, 상기 유도홈(301)의 바닥면에는 조정레버(320)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높이를 달리하여 형성되는 제한턱(302)을 두도록 한다. 상기 유도홈(301)에 설치되는 조정레버(320)는 사용자가 밀거나 당김에 의해서 전진 또는 후퇴되어 제2체결판(400)을 구속하거나 이동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조정레버(320)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판(300)의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되며 유도홈(301)과 마주보게 조정레버 가이드(303)를 두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install the
상기 조정레버 가이드(303)는 상기 조정레버(320)가 관통되는 사각홀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조정레버(320)의 출몰시에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하고 상기 조정레 버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한편, 상기 결합홈(310) 내부를 향한 조정레버(320)의 말단부는 반대측 단부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며 그 하부면에는 높이를 달리하여 상기 제한턱(302)에 걸릴 수 있는 스토퍼(325)가 형성된다. 상기 조정레버(320)를 사용자가 당기거나 밀게 되면 제한된 범위에서 상기 조정레버(320)는 전후진하게 되고 상기 조정레버의 말단부의 두께가 상기 사각홀보다 크므로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stal end of the
상기 조정레버(320)의 작동을 위해 상기 조정레버에 스프링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5는 상기 조정레버와 조정레버 가이드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에 해당되며, 코일 스프링(330)을 이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상기 코일 스프링(330)을 조정레버(320)와 조정레버 가이드(303) 사이에 설치하면 상기 조정레버(320)에 외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조정레버(320)는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인해 최대로 전진된 상태를 이루며, 제2체결판(400)의 구속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기 조정레버(320)를 후퇴시켜 후술할 제2체결판(400)의 절개홈(420)이 유도홈(301)과 일치되게 한 후 조정레버(320)를 놓게 되면 조정레버의 말단부가 상기 절개홈(420)에 끼워져 구속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connecting the spring to the adjustment lever for the operation of the
본 예와 반대로 상기 조정레버를 밀어 전진시키는 경우에 상기 절개홈에 조정레버의 말단부가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In contrast to the present example, when the adjustment lever is pushed forward, the distal end of the adjustment lever may be coupled to the incision groove.
다음으로 제2체결판(4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제1체결판(300)과 같은 판상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결합홈(310)에 대응하여 상호간에 결합구조를 이루는 결합돌기(410)가 일면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결합돌기(410)의 어느 일측면 에는 상기 조정레버(320)의 말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절개홈(420)이 마련된다. 상기 절개홈(420)과 유도홈(301)이 일치하는 상태가 되면 조정레버(320)를 전진시켜 상기 절개홈(420)에 조정레버(320)가 끼워지도록 하여 구속상태를 이루도록 한다.Next, the
신발밑창(100) 후족부에 보조밑창(200)을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제1체결판(300)과 제2체결판(400) 중 어느 하나는 신발밑창(100) 후족부 하부면에 고정 설치되며, 나머지 하나는 보조밑창(200) 상면부에 고정 설치된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신발밑창(100)과 보조밑창(200)의 결합면(A)이 편평한 수평면을 이루므로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을 서로 대응하게 설치하여 보조밑창을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y one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6은 제2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신발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를 보여준다.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FIG. 6 show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ho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본 제2실시예에서는 신발밑창(100)에 결합될 보조밑창(200)에 있어서 수평방향의 편평한 결합면(A)을 두며 동시에 상기 결합면(A)과 직각을 이루어 신발밑창과 접촉되는 수직결합면(B)을 두어서 상기 수직결합면(B)에 돌출되는 지지대(210)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10)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결합면(B)과 접촉되는 신발밑창(100)에는 지지대홈(110)을 두어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auxiliary sole 200 to be coupled to the
상기 보조밑창(200)과 신발밑창(100)이 형성하는 결합면(A)에는 제1실시예에 서 언급한 제1체결판(300)과 제2체결판(400)이 기본적으로 설치된다.The
본 발명에서는 보조밑창(200)의 자유로운 교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따라서 상기 보조밑창(200)의 형상이나 재질은 필요에 맞게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특히, 도7은 상기 보조밑창의 실시가능한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신발의 측면도에 해당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밑창(200)의 형상 특히 지면을 향한 저면부를 편평한 수평면을 이루는 것으로 하거나 후방으로 갈수록 지면과의 이격거리가 멀어져 경사진 형태를 이루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밑창(200)의 저면부에 경사를 주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나이, 신체건강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경사를 갖는 보조밑창을 선택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운동효과를 고려한다면 상기 보조밑창의 저면부 경사각이 클수록 좋을 것이며, 보조밑창의 재질 또한 소프트한 것에서부터 다소 경질을 이루는 것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할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ole 200 can be replaced freely. Therefore, the shape and the material of the auxiliary sole 200 can be variously selected according to necessity. In particular, FIG. 7 corresponds to a side view of a schematic shoe showing the feasible shape of the auxiliary so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shape of the sub-sole 200, in particular, the bottom portion toward the ground to form a flat horizontal plane, or toward the rear toward the distance away from the ground can be selected from any one of the inclined form. Whe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auxiliary sole 200 is inclined, the auxiliary sole having an appropriate inclination may be selected and combin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age and physical health. Considering the exercise effect, the large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bottom portion of the auxiliary outsole will be better, the material of the auxiliary outsole will also be a variety of choices, such as from soft to somewhat hard.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도8은 이에 따른 신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에 해당된다.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FIG. 8 corresponds to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hoe accordingly.
본 제3실시예에서는 신발밑창(100)과 탈부착될 수 있는 보조밑창(200)의 형상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신발밑창(100)과 보조밑창(200)의 결합면(A)이 비스듬히 경사지거나 굴곡진 형태 중 어느 하나의 것으로 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신발밑창(100) 및 보조밑창(200)의 각 결합면(A)에는 타 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제1체결판(300)과 제2체결판(4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체결판(300) 및 제2체결판(400)의 형상은 결합면(A) 형상에 따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즉, 결합면(A)이 비스듬한 경사를 이루되, 편평한 면일 경우에는 상기 제1,2체결판은 편평한 판상을 이루게 되고, 상기 결합면이 굴곡을 이루는 경우에는 제1,2체결판도 굴곡진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도9는 제4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의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의 사시도를 보여준다.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FIG. 9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astening plate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in a sho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판(300)과 제2체결판(400)은 기본적으로 판상 형태를 이루며 둘 중 어느 하나는 신발밑창(100)에 부착되고 다른 하나는 보조밑창(2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체결판(300)의 어느 일면에 돌출되는 다수의 결합핀(350)이 형성되는 것으로 하는데, 상기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은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되는 것으로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결합핀은 합성수지나 금속 혹은 비철금속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the
상기 제1체결판(300)과 결합되는 제2체결판(400)의 어느 일면에는 상기 결합핀(350)에 대응하는 다수의 결합공(450)들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공(450)들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루즈(LOOSE)부(451)와 타이트(TIGHT)부(452)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공(450)을 이루는 루즈부(451)를 통해서 결합핀(350)이 끼워지며 상기 제1체결판(300) 또는 제2체결판(400)을 수평이동시키면 상기 결합핀(350)은 타이트부(452)에 맞물리게 되어 고정 상태를 이루게 된다. 즉, 상기 타이트부(452)는 루즈부(451)에 비교하여 작은 홈을 이룸으로서 상기 결합핀(350)이 타이트부(452)에 강 제 압입됨으로써 상호간에 구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One surface of the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체결판(300)을 신발밑창(100) 후족부 하면부에 설치토록 하며, 제2체결판(400)은 보조밑창(200) 상면부에 부착시키며 신발밑창(100) 또는 보조밑창(200) 중 어느 하나를 수평이동시킴에 의해서 상기 결합핀(350)이 결합공(450) 중 타이트부(452)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그리고 상기 결합공(450)의 방향은 상하방향 혹은 좌우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하여도 무방하다.And the direction of the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은 다양한 보조밑창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신발로 복수개의 신발로 활용할 수 있어 폭넓은 사용이 기대되는 기술이다.A shoe that can be replaced with an auxiliary s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selectively replacing a variety of auxiliary soles as needed,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plurality of shoes as a single shoe, which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그리고 본 발명은 운동화에서부터 구두 등 다양한 신발에도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이다.A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very high technology tha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shoes, such as sneakers.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밑창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oe so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신발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oe 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보조밑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의 개략적인 측면도.3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hoe that can be replaced with an auxiliary sole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을 보여주는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fastening plate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도5는 상기 조정레버와 조정레버 가이드 사이에 스프링을 설치한 예를 보여주는 부분 단면도.Figure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ing a spring between the adjustment lever and the adjustment lever guide.
도6은 제2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신발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6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sho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7은 상기 보조밑창의 실시가능한 형상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신발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a schematic shoe showing the feasible shape of the auxiliary sole;
도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측면도.8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ho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9는 제4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신발에 있어서의 제1체결판과 제2체결판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fastening plate and a second fastening plate in the sho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Used in Drawings>
100 : 신발밑창 110 : 지지대홈100: sole 110: support groove
200 : 보조밑창 210 : 지지대200: auxiliary sole 210: support
300 : 제1체결판 310 : 결합홈300: first fastening plate 310: coupling groove
320 : 조정레버 301 : 유도홈320: adjustment lever 301: guide groove
302 : 제한턱 303 : 조정레버가이드302: limiting jaw 303: adjusting lever guide
325 : 스토퍼 330 : 스프링325: stopper 330: spring
400 : 제2체결판 410 : 결합돌기400: second fastening plate 410: coupling protrusion
420 : 절개홈 350 : 결합핀420: cutting groove 350: coupling pin
450 : 결합공 451 : 루즈부450: coupling hole 451: rouge
452 : 타이트부 A : 결합면452: Tight portion A: mating surface
B : 수직결합면 B: vertical mating surface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1024A KR100797029B1 (en) | 2007-09-07 | 2007-09-07 | Replaceable Outsole Sho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1024A KR100797029B1 (en) | 2007-09-07 | 2007-09-07 | Replaceable Outsole Sho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7029B1 true KR100797029B1 (en) | 2008-01-22 |
Family
ID=39218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1024A KR100797029B1 (en) | 2007-09-07 | 2007-09-07 | Replaceable Outsole Sho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702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93078A1 (en) * | 2013-05-27 | 2014-12-04 | (주)알앤디팩토리 | Shoe having improved ground traction func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219Y1 (en) | 1999-01-15 | 2001-05-15 | 이승용 | A outer of shoes |
KR200243308Y1 (en) | 2001-03-19 | 2001-10-08 | 안관호 | Matrix type exchangeable shoesheel |
JP2004337183A (en) | 2003-03-14 | 2004-12-02 | Ryuichi Kadoyama | Shoe |
KR200428437Y1 (en) | 2006-07-14 | 2006-10-12 | 이태성 | Shoe sole with removable heel |
-
2007
- 2007-09-07 KR KR1020070091024A patent/KR10079702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219Y1 (en) | 1999-01-15 | 2001-05-15 | 이승용 | A outer of shoes |
KR200243308Y1 (en) | 2001-03-19 | 2001-10-08 | 안관호 | Matrix type exchangeable shoesheel |
JP2004337183A (en) | 2003-03-14 | 2004-12-02 | Ryuichi Kadoyama | Shoe |
KR200428437Y1 (en) | 2006-07-14 | 2006-10-12 | 이태성 | Shoe sole with removable heel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93078A1 (en) * | 2013-05-27 | 2014-12-04 | (주)알앤디팩토리 | Shoe having improved ground traction function |
KR101481760B1 (en) * | 2013-05-27 | 2015-01-12 | 백주헌 | Shoes with improved ground-attach func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365239Y1 (en) | A sole for bowling shoes | |
US20250031805A1 (en) | Sole of a Shoe | |
US20130061494A1 (en) | Footwear with sole assembly having midsole plate and heel insert and associated methods | |
CA2566875A1 (en) | Footwear outsole and reversible attachment therefor | |
US20120174435A1 (en) | Shoe with interchangeable heel | |
CN102387724A (en) | Insole for a shoe having a movable massaging member | |
US7874083B1 (en) | Sole wear protection system | |
SK500342013A3 (en) | Shoe with anti-slip tap sole | |
US11337489B2 (en) | Modular orthotic footwear system | |
CN114886202A (en) | High heel-flat shoe capable of being completely converted | |
KR102272670B1 (en) | Shoes | |
KR100797029B1 (en) | Replaceable Outsole Shoes | |
TWM275736U (en) | Shoes capable of automatically wearing and taking off | |
KR100693282B1 (en) | Shoes with detachable heels | |
CN104257004A (en) | Buffering type magnetic climbing shoes | |
JP3984601B2 (en) | Health footwear bottom and insole | |
KR20080030730A (en) | Versatile shoes | |
KR101475881B1 (en) | Shoes in the front for easy bending | |
KR100646201B1 (en) | Interchangeable foot restraint mechanism | |
KR20100030224A (en) | Structure of shoes bottom | |
KR20120079769A (en) | Replaceable high heels | |
CN204146449U (en) | Buffer-type magnetic force climbing boot | |
KR200471407Y1 (en) | slip preventing shoes | |
JP3236265U (en) | Shoes with infested protruding elements | |
KR100801406B1 (en) | Shoe he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10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0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8011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1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