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6780B1 - 환기유닛 - Google Patents

환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780B1
KR100796780B1 KR1020060098546A KR20060098546A KR100796780B1 KR 100796780 B1 KR100796780 B1 KR 100796780B1 KR 1020060098546 A KR1020060098546 A KR 1020060098546A KR 20060098546 A KR20060098546 A KR 20060098546A KR 100796780 B1 KR100796780 B1 KR 10079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ventilation unit
motor
noise
rotating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to KR1020060098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두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그 내면에 다수의 장홈이 형성된 케이징; 케이징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케이징의 내부에, 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회전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유닛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환기유닛에 의하면, 그 케이징의 형상을 단순히 변형시킴으로써, 케이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효율적으로 차단되도록 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소음, 환기, 흡음

Description

환기유닛{A ventilation uni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유닛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유닛 다수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환기유닛의 외부케이징, 흡음부재 및 케이징을 나타낸 부분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환기유닛 110 : 외부케이징
120 : 케이징 130 : 흡음부재
140 : 모터 150 : 회전팬
본 발명은 환기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 케이징의 형상을 단순히 변형시킴으로써, 소음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며, 공기 조화기에 이용될 수 있는 환기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 1과 같은 환기유닛이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유닛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유닛(10)는 케이징(8), 실외공기흡입구(1), 실내공기흡입구(2) 및 회전팬(3)이 구비된다.
상기 실외공기흡입구(1) 및 실내공기흡입구(2)는 케이징(8)의 일측에 구비된다. 여기서, 실외공기흡입구(1)는 실외의 공기가 케이징(8) 내부로 흡입되도록 하며, 실내공기흡입구(2)는 실내의 공기가 케이징(8)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상기 회전팬(3)은 임펠러(4)가 내부에 구비된 회전팬케이싱(5)과 팬모터(9)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임펠러(4)는 팬모터(6)와 벨트풀리(7)에 의하여 연결되어, 팬모터(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함으로써,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가 환기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유닛(10)는 팬모터(6)와 벨트풀리(7)에 의하여 연결되어 회전팬(3)이 회전하기 때문에, 분진이 많이 발생하며, 구동 중 벨트풀리(7)의 슬립현상이 일어나며, 벨트풀리(7)의 관성 모멘트로 인하여 에너지가 손실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르면 벨트와 같은 소모품이 사용되기 때문에, 소모품의 유지보수비용이 들어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유닛(10)은 케이징(8) 외부로 소음이 크게 방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소음으로 인하여, 사용 공간에 심각한 소음 공해를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환기유닛(10)은 평평한 면을 갖는 케이징(8)을 구비하기 때문에, 케이징(8) 내부에서 발생된 소리가 케이징(8)의 평평한 면에 부딪힌 후, 그 자체 내부로 반사됨으로써 오히려 소음이 가중되어, 종래 기술의 환기유닛(100)에 의한 소음 공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러한 소음 공해를 줄이기 위하여,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유닛(10)의 케이징(8) 일측에 별도의 소음저감부재를 구비할 수 있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유닛(100)은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소음저감부재를 구비하는 데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그 케이징의 형상을 단순히 변형시킴으로써, 소음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한 환기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기유닛은 적어도 두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그 내면에 다수의 장홈이 형성된 케이징; 상기 케이징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상기 케이징의 내부에, 상기 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회전팬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징의 장홈은 상기 회전팬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공기의 송 풍 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케이징을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징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부케이징; 및 상기 케이징 및 상기 외부케이징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며, 소음을 흡수하는 재질로 구비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징의 각 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흡음부재는 유리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유닛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유닛을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환기유닛의 외부케이징, 흡음부재 및 케이징을 나타낸 부분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케이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유닛(100)은 외부케이징(110), 케이징(120), 흡음부재(130), 모터(140) 및 회전팬(150)을 포함한다.
상기 외부케이징(110)은 후술할 케이징(130)을 둘러싸도록 케이징(130)의 외주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케이징(120)은 적어도 두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면에는 다수의 장홈(121)이 형성된다. 이는 케이징(120) 내부에 구비되는 모터(140) 및 회전팬(150)이 구동하면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유닛(100)에서 발생된 소음은, 평평한 면을 갖는 케이징을 구비한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유닛에서 발생된 소음에 비하여, 케이징(120)과 충돌하는 횟수가 많아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환기유닛(100)에서 발생되는 소음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케이징(120) 내에서의 이동거리가 길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징(120)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리가 장홈(121)에 여러번 충돌하면서 소리의 이동거리가 길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징(120) 내부에 장홈(121)을 형성함으로써, 소음이 케이징(120)과 여러번 충돌하게 하며, 소리의 이동거리가 길어지도록 함으로써, 1차적으로 소음이 감소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케이징(120)에 형성된 장홈(121)은 회전팬(150)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는, 회전팬(150)에 의하여 강제 순환되는 공기가 케이징(120) 내부에 형성된 장홈(121)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에 따라, 케이징의 회전팬(150)을 통과한 공기는 일정한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환기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징(120)은 도 4와 같이 그 횡단면이 사각 형상인 장홈(121)이 형성되지만,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 원형, 마름모꼴 또는 삼각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의 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케이징(120)의 일측에는 다수의 홀(122)이 형성된다. 이는 케이징(120)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이 케이징(120) 외부로 방출되어, 케이징(120)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있는 흡음부재(120)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흡음부재(130)는 케이징(120)과 외부케이징(11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며, 소음을 흡수하는 재질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유닛(100)은 케이징(120)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흡수하도록 케이징(120)과 외부케이징(110) 사이의 공간에 유리섬유를 구비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흡음부재(130)의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흡음부재(130)가 적용가능하다. 이렇게 흡음부재(130)를 구비함으로써, 케이징(120)에 형성된 홀(122)을 통과하여 케이징(120) 외부로 방출된 소음이 흡음부재(130)에 의하여 흡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징(120)에 형성된 장홈(121)에 의하여 소음이 1차적으로 차단되도록 한 다음, 흡음부재(130)에 의하여 2차적으로 흡수되어, 외부로 소음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모터(140)는 케이징(130) 내부에 구비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기유닛(10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팬(150)은 케이징(130)의 내부에 구비되며, 모터(140)와 직접 연결되어 모터(140)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공기를 강제 순환시킨다. 이렇게 모터(140)와 회전팬(150)이 직접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환기유닛(100)이 차지하는 면적을 줄여 공간적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별도의 소모품이 필요하지 않게 되어, 유지보수비용이 적게 들며, 분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팬(150)은 스틸(steel)과 같은 경량 재질로 구비되어, 모터(140)로부터 회전팬(150)으로 구동력이 전달될 때, 에너지의 손실을 막아, 에너지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환기유닛에 의하면,
첫째, 단순히 케이징의 형태를 변형시킴으로써, 케이징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을 갖는다.
둘째, 회전팬과 모터가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보다 적은 공간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공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셋째, 케이징에 형성된 홀을 통과한 소음이 흡음부재에 의하여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5)

  1. 적어도 두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이며, 그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도록 그 내면에 다수의 장홈이 형성된 케이징;
    상기 케이징 내부에 구비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케이징의 내부에, 상기 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회전팬;
    상기 케이징을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징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외부케이징; 및
    상기 케이징 및 상기 외부케이징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며, 소음을 흡수하는 재질로 구비되는 흡음부재를 포함하는 환기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징의 장홈은 상기 회전팬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공기의 송풍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유닛.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징의 각 면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유닛.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부재는 유리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유닛.
KR1020060098546A 2006-10-10 2006-10-10 환기유닛 KR10079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546A KR100796780B1 (ko) 2006-10-10 2006-10-10 환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546A KR100796780B1 (ko) 2006-10-10 2006-10-10 환기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780B1 true KR100796780B1 (ko) 2008-01-22

Family

ID=39218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546A KR100796780B1 (ko) 2006-10-10 2006-10-10 환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7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9535A (zh) * 2010-05-10 2010-09-22 苏州市普滤得净化有限公司 一种洁净间系统
KR101157076B1 (ko) 2009-12-11 2012-07-03 최종국 환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291A (ko) * 1997-12-03 1999-07-05 구자홍 공기 흡입 장치의 쉬라우드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7291A (ko) * 1997-12-03 1999-07-05 구자홍 공기 흡입 장치의 쉬라우드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076B1 (ko) 2009-12-11 2012-07-03 최종국 환기장치
CN101839535A (zh) * 2010-05-10 2010-09-22 苏州市普滤得净化有限公司 一种洁净间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591B1 (ko) 팬 모터
TWI394895B (zh) Centrifugal fans and air fluid machinery using the centrifugal fan
AU2012361649B2 (en) Axial-flow fan
KR20140017924A (ko) 터보 블로워장치
KR20130041639A (ko) 시로코팬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WO2014006650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この室内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20170140899A (ko) 소음저감 및 바람 유도 구조를 갖는 송풍기
KR100796780B1 (ko) 환기유닛
ES2606343T3 (es) Unidad exterior de acondicionador de aire
JP6225034B2 (ja) 防音箱の吸排気口構造
KR102057957B1 (ko)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KR0146268B1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474051B1 (ko) 공기조화기
KR102136879B1 (ko) 터보팬 및 이를 사용한 천정형 공기조화기
EP2090839B1 (en) Air conditioner
JP2009250112A (ja) 遠心送風機の羽根車
JP5465072B2 (ja) ダクト用換気扇
JP2011247096A (ja) 送風装置
KR100611011B1 (ko) 공조기의 터보팬
KR20080094255A (ko) 관류 송풍기
KR100718747B1 (ko) 주차장 환기장치
CN203743021U (zh) 风扇结构
KR10178910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432001Y1 (ko) 주차장 환기장치
KR101623974B1 (ko) 포집과 배출 효율이 극대화된 송풍 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