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6720B1 - 휴대폰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720B1
KR100796720B1 KR1020060131711A KR20060131711A KR100796720B1 KR 100796720 B1 KR100796720 B1 KR 100796720B1 KR 1020060131711 A KR1020060131711 A KR 1020060131711A KR 20060131711 A KR20060131711 A KR 20060131711A KR 100796720 B1 KR100796720 B1 KR 100796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s
opening
display unit
mobile phon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1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덕
고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아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아벨
Priority to KR1020060131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디스플레이부와 키버튼부 각각에 내설되는 상,하 프레임; 상기 상,하 프레임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내설되되 상기 상,하 프레임을 탄성지지하며 디스플레이부를 개폐시키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를 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프레임, 탄성편, 개폐장치

Description

휴대폰 개폐장치{Open and Shut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휴대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휴대폰 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휴대폰 개폐장치 110 : 상부 프레임
120 : 하부 프레임 130 : 탄성편
140 : 커버부재
본 발명은 스윙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를 간단할 수 있는 휴대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바타입(bar type), 플립타입(flip type), 플립업타입(flip-up type), 폴더타입(folder type), 슬라이드타입(slide type), 가로 보기 타입 등 사용되는 시대에 따라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형태가 변화하여 왔다.
최근에는 바타입이나 플립타입, 플립업타입 등은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으며, 폴더타입, 슬라이드타입 및 가로 보기 타입 등이 각광받고 있으며 이러한 타입들에 대해 더 슬립하고 작게 제작하는 기술이 많이 연구 개발되는 실정이다.
또한 각 타입들마다 특성에 맞는 힌지장치들을 적용하여 사용되고 있는데, 폴더타입의 경우 상하 몸체를 연결하는 축을 기본 구성으로 하여 축을 중심으로 상하 몸체가 개폐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원리이다.
그리고 슬라이드타입의 경우 상하 몸체의 사이에 서로 마찰력을 작게 할 수 있는 슬라이더를 마련하여 서로 상대 이동되게 하는 원리이다.
그리고 가로 보기 타입의 경우 축을 회전시켜 화면부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과 폴더타입과 가로 방향으로 화면부를 회전시키는 원리 등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휴대폰 개폐를 위한 힌지장치들의 다양한 형태에도 불구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가 매우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제작 원가 상승 및 제작공정 정밀도를 요구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를 간단할 수 있는 휴대혼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휴대폰 개폐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키버튼부 각각에 내설되는 상,하 프레임; 상기 상,하 프레임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내설되되 상기 상,하 프레임을 탄성지지하며 디스플레이부를 개폐시키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하 프레임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되 대칭면 상에 개폐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스토퍼;를 마련되도록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커버튼부는 상호 연결시키되 상기 상,하 프레임 및 탄성편을 밀폐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개폐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는 버부재;를 더 마련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부재는 그 면이 웨이브진 형태의 주름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하 프레임은 상기 탄성편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걸림턱;을 더 형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휴대폰 개폐장치는(10)는 상,하부 프레임(110,120), 탄성편(130)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상부 프레임(110)은 디스플레이부(210)에 내설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120)은 키버튼부(220)에 내설되어 상기 상,하부 프레임(110,120)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 프레임(110,120)의 인접된 위치에는 각각 결착홈(112,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편(130)은 "C"자 형상의 양단부에 고정바(132,134)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결착홈(112,122)에 고정바(132,134)를 삽입 결합함으로써 탄성편(130)으로 하여금 상,하부 프레임(110,120)을 탄성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상,하부 프레임(110,120)은 서로 대칭된 형상을 하고, 대칭면(118,128))이 서로 면 접촉하며 디스플레이부(210)를 개폐하도록 하고 있으며, 상기 대칭면의 끝단에는 대칭면(117,128)에 대해 일정 경사각(θ)을 갖는 스토퍼(114,124)를 각각 마련하여 디스플레이부(210)의 개폐 각도를 항시 일정하게 각도를 갖고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상기 결착홈(112,122) 내부에는 상기 고정바(132,134)의 결착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걸림턱(116,126);을 더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의 개방시 상기 스토퍼(114,124)에 의해 상,하부 프레임(110,120)이 일정 각도에서 정지할 경우 그 탄력에 의해 고정바(132,134)가 결착홈(112,12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의 개폐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는 커버부재(140);를 더 마련하도록 하며, 상기 커버부재(140)로는 그 면이 웨이브진 형태의 주름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하부 프레임(110,120)의 대칭면(118,128)과 탄성편(13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210)가 개폐됨에 따라 이로 인해 외측면 내측의 길이 변화가 달라지고 변화되는 길이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커버부재(140)를 사용함으로써 탄성편(130)의 손상을 방지하고 휴대폰의 미적 수려함을 추구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를 열고 닫을 때 상기 상,하부 프레임(110,120)은 서로 면 접촉을 하게 되고, 이를 탄성편(130)을 이용해 수행하게 함으로써 휴대폰의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부재(140)에 의해 탄성편(130)의 손상을 방지하고, 휴대폰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미적 수려함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를 간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부재를 웨이브 형태로 형성시켜 외부부터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고, 탄성편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디스플레이부와 키버튼부 각각에 내설되는 상,하 프레임;
    상기 상,하 프레임이 서로 인접한 위치에 내설되되 상기 상,하 프레임을 탄성지지하며 디스플레이부를 개폐시키는 탄성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은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되 대칭면 상에 개폐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하는 스토퍼;를 마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버튼부는 상호 연결시키되 상기 상,하 프레임 및 탄성편을 밀폐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개폐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는 커버부재;를 더 마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그 면이 웨이브진 형태의 주름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개폐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프레임은 상기 탄성편의 이탈을 방지하게 하는 걸림턱;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개폐장치.
KR1020060131711A 2006-12-21 2006-12-21 휴대폰 개폐장치 KR100796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11A KR100796720B1 (ko) 2006-12-21 2006-12-21 휴대폰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1711A KR100796720B1 (ko) 2006-12-21 2006-12-21 휴대폰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720B1 true KR100796720B1 (ko) 2008-01-21

Family

ID=3921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1711A KR100796720B1 (ko) 2006-12-21 2006-12-21 휴대폰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7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980B1 (ko) 2009-07-16 2011-09-05 (주) 유원컴텍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746A (ko) * 2000-07-14 2001-09-26 이형도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20030023179A (ko) * 2001-09-12 2003-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폴더부 충격완화장치
KR20050028237A (ko) * 2003-09-18 2005-03-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용 힌지장치
KR20050061957A (ko) * 2003-12-19 2005-06-2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쿠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746A (ko) * 2000-07-14 2001-09-26 이형도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20030023179A (ko) * 2001-09-12 2003-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폴더부 충격완화장치
KR20050028237A (ko) * 2003-09-18 2005-03-2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단말기용 힌지장치
KR20050061957A (ko) * 2003-12-19 2005-06-23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단말기의 쿠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980B1 (ko) 2009-07-16 2011-09-05 (주) 유원컴텍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492B1 (ko) 내부로 벤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의 힌지 및 내부로 벤딩 가능한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KR100617673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이를채용하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796721B1 (ko) 휴대폰 개폐장치
KR101690794B1 (ko) 접이형 휴대 장치의 스냅 힌지 장치
KR100796720B1 (ko) 휴대폰 개폐장치
JP5633921B2 (ja) スライド蓋の防水装置、及び電子機器
PL1857623T3 (pl) Zawias do łączenia przegubowego struktury ruchomej w odniesieniu do struktury nieruchomej
KR101144136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0998879B1 (ko) 힌지 모듈
KR20040104359A (ko) 내구성의 토션 스프링이 설치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슬라이드 장치
US20110175507A1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034578B1 (ko) 힌지 모듈
KR100650254B1 (ko) 슬라이드 힌지형 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20100040082A (ko) 휴대폰의 스윙 힌지장치
KR100941433B1 (ko) 휴대폰의 개폐장치
KR100824385B1 (ko) 슬라이더 힌지 장치
KR100976155B1 (ko) 탄성밴드가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슬라이드 힌지장치
US8463337B2 (en) Sliding module with scratch prevention device
KR20038251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200438864Y1 (ko) 슬라이딩 휴대폰용 슬림 모듈
KR100945481B1 (ko) 패드 팝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100810220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자 커버 개폐장치
KR20080044556A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200355886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조립체
KR10067233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