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6655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655B1
KR100796655B1 KR1020060094929A KR20060094929A KR100796655B1 KR 100796655 B1 KR100796655 B1 KR 100796655B1 KR 1020060094929 A KR1020060094929 A KR 1020060094929A KR 20060094929 A KR20060094929 A KR 20060094929A KR 100796655 B1 KR100796655 B1 KR 10079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hosphor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electro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승욱
정진근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4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655B1/ko
Priority to US11/902,666 priority patent/US2008008823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65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6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inside or on the side face of the spac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2Fluorescent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0Manufacture of 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 up, converted or stored; Applying coatings to the vessel
    • H01J9/22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 H01J9/227Applying luminescent coatings with luminescent material discontinuously arranged, e.g. in dots o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형광체 조성물은 형광체, 소성 촉진제 및 비히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은 바인더 및 용매와 같이 최종 형광막에 잔존할 경우 불순물이 되는 물질들을 소성 공정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그 소성 온도도 저감시킬 수 있어 온도에 의한 패널의 손상없이, 높은 발광 효율 및 휘도유지율을 나타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소성촉진제,SeO2,V2O5,MoO3,CeO2,형광막,PDP,발광효율,휘도유지율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HOSPHOR COMPOSITION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과 표시전극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전극과 방전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전극과 방전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전극과 방전셀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중 표시 전극을 선택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과 주사 전극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7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과 유지 전극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2은 도 9의 ⅩⅡ-ⅩⅡ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험예에 따른 SeO2, V2O5, MoO3 및 CeO2의 열중량분석(TGA) 측정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향상된 발광 효율 및 개선된 휘도 유지율을 나타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은 기체 방전에 의해 형성된 플라즈마로부터 방사되는 자외선이 형광체층을 여기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가시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해상도의 대화면 구성이 가능하여 차세대 평판 표시 장치로 각광받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반사형 교류 구동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하판 구조의 경우 격벽 위에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균일하고 안정한 방전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세라믹 재료인 형광체의 표면 특성이 보전되어야 한다. 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형광체 방전은 표면에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형광체층을 형성시킬 때 형광체의 표면 특성이 보전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형광체층 형성 방법으로는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을 사용한 인쇄법이 가장 널리 사용되는데, 이때 형광체 슬러리 조성물에 일정 수준의 점성을 주기 위하여 에틸 셀룰로오즈 수지, 니트로 셀룰로오즈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의 바인더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지들, 또한 사용된 용매가 건조, 소성 등의 공정을 거쳐 제거되지 않을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내의 불순물로 남게 되고, 이는 방전 불량 및 발광 효율 저하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형광체층 형성시 사용되는 바인더 및 용매 등의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고 휘도 유지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형광체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형광체, 소성 촉진제 및 비히클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소성 촉진제는 6A족, 5B족, 6B족, 란탄 계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원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이 바람직하고, SeO2, V2O5, MoO3,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제1 기판, 이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해서 형성되는 방전셀들, 이 방전셀들에 형성되며 형광체 및 소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형광체층, 상기 각각의 방전셀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방전셀에서 마주해 방전갭을 이루는 주사전극과 유지전극, 이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덮는 유전체층 및 상기 주사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들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은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 각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주사 전극과 유지 전극 각각이 상기 어드레스 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벨트 형 상을 이루는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띠 형상을 이루는 버스 전극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투명 전극이 상기 방전셀 내부를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출 전극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돌출전극이 서로 마주해 상기 방전갭을 이루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상기 버스전극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주사 전극들과 상기 유지 전극들 사이의 상기 유전체층 상에 형성되는 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형광체층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적색, 녹색, 청색별로 상기 방전셀에 형성되며, 적색 방전셀, 녹색 방전셀 및 청색 방전셀이 1 조로 1개의 화소를 이루어 1920×1080의 해상도를 이루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기판, 이 전면 기판과 마주하는 배면 기판, 상기 전면기판으로 형성되어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내부에 매립하는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과의 조합에 의해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제2 격벽, 상기 제2 격벽 상에 형성되며, 형광체 및 소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형광체층, 상기 각각의 방전셀을 둘러쌓으면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면기판에서 배면기판을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주사전극과 유지전극 및 상기 주사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광체층에서 불순물로 작용할 수 있는 비히클(vehicle,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을 소성 공정에서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소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형광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체층은 형광체와 함께, 비히클 즉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형광체 조성물을 목적 부분(격벽)에 도포(인쇄)한 후, 소성 공정을 실시하여 형성한다. 상기 소성 공정에서 비히클은 휘발되어 제거되고, 형광체만이 형광체층에 잔존하여야 하는데, 비히클의 일부가 휘발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 비히클 중 용매의 경우는 쉽게 제어될 수도 있으나, 바인더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분자 수지는 400℃ 이상의 온도에서 상당 시간 소성 공정을 거쳐야 제거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고온에서 장시간 소성 공정을 거친다 하더라도 형광체 조성물의 두께 및 형상에 의해서 충분히 제거되지 않고 잔탄(C, CO, CH(29), CH(45), 여기에서, CH는 하이드로카보네이트이며, 뒤의 숫자는 분자량이다)등이 잔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잔탄은 형광체 표면의 발광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형광체와 화학적 결합을 거쳐서 형광체의 열화로 나타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형광체의 발광 효율이 나빠지고 휘도 유지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소성 촉진제를 형광체 조성물에 사용함으로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은 형광체, 소성 촉진제 및 비히클을 포함한다.
상기 소성 촉진제는 소성시 온도가 형광체 조성물 전체에 잘 퍼지게 도와주어 낮은 온도에서도 탈바인딩을 일어나게 하여 형광체 물질의 열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성 촉진제는 고분자 수지의 결합력을 역화시켜서 같은 온도에서 더 빠른 탈바인딩 속도를 가지게 하면서도 고분자 수지의 잔존물인 잔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소성 촉진제로는 6A족, 5B족, 6B족, 란탄 계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원소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산화물이 바람직하고, SeO2, V2O5, MoO3,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소성 촉진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소성 촉진제를 사용함에 따른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형광체 조성물에서 상기 소성 촉진제는 0.1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 중량%로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소성 촉진제의 함량이 0.1 중량%보다 적게 사용하는 경우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너무 많은 혼합으로 인해 형광체의 발광을 방해하여 휘도의 개선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소성 촉진제는 소량으로 첨가하여도 충분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성 촉진제를 형광체 조성물에 사용함에 따라 소성 온도를 종래 약 480~510℃에서 400~460℃로 저감시킬 수 있어, 온도에 의한 플라즈마 패널의 손상없이 불순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향상된 발광 효율 및 개선된 휘도 유지율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기존과 동일한 설비에서 동일한 시간 내에 얻을 수 있다.
상기 형광체 조성물은 적색, 녹색 및 청색 형광체 조성물 모두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적색 형광체로는(Y,Gd)BO3:Eu, Y(V,P)O4:Eu, (Y,Gd)2O3:Eu 또는 Y2O3:Eu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녹색 형광체로는 Zn2SiO4:Mn, YBO3:Tb 또는 (Zn,A)2SiO4:Mn(A는 알칼리 금속)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청색 형광체로는 BaMgAl10O17:Eu, CaMgSi2O6:Eu, CaWO4:Pb 또는 Y2SiO5:Eu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적색 형광체, 녹색 형광체 및 청색 형광체로 이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모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에서 형광체의 함량은 30 내지 5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형광체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휘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방전 공간이 협소해져 오방전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에 포함된 비히클(vehicle)은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한다.
상기 바인더로는 에틸 셀룰로오스 또는 니트로 셀룰로오스와 같이 셀룰로오스계 고분자 또는 아크릴 수지를 1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광체 조성물에서 일반적으로 바인더로 사용되는 것은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형광체 조성물에서 상기 바인더의 함량은 4.5 내지 7 중량%가 바람직하다. 바인더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형광체층 형성 공정에서 소성 시간이 길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용매로는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 테르페놀(terpineol), 에틸 카비톨(ethyl carbitol), 동물성 기름 및 식물성 기름과 같은 유기 용매류 등을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광체 조성물에서 일반적으로 용매로 사용되는 것은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함량은 형광체 조성물에서 형광체, 바인더 및 소성 촉진제의 사용량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며, 굳이 한정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로 형성된 형광체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제1 기판, 이 제1 기판과 마주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및 제2 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해서 형성되는 방전셀들, 이 방전셀들에 형성되며 형광체 및 소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형광체층, 상기 각각의 방전셀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방전셀에서 마주해 방전갭을 이루는 주사전극과 유지전극, 이 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을 덮는 유전체층 및 상기 방전셀에서 상기 표시 전극과 교차하게 형성되는 어드레스 전극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은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도면 부호에 대하여는 이후 도면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어떠한 구조를 갖던 상관없이 형광체층은 해당하는 색상의 형광체와 소성 촉진제를 포함하며, 이때 형광체층에서 상기 소성 촉진제의 함량은 형광체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5 내지 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내지 12.5 중량%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소성 촉진제의 함량이 형광체 조성물에서보다 형광체층에서 증가한 것은, 형광체 조성물에서 유기 용매와 바인더가 제거됨에 따라 소성 촉진제가 포함되는 물질 전체에서 차지하는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의 일부를 분해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1 실시예의 PDP는, 전면기판(20)과 배면기판(10)이 서로 대향 배치되고, 이 사이의 공간을 격벽(16)이 구획해서 방전셀들(18)을 형성하고 있다. 방전셀(18)은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인 서브 픽셀(sub pixel)을 이루고, 복수개의 서브 픽셀이 모여 하나의 화소를 이룬다. 그리고, 각각의 방전셀(18)에 대응하는 표시전극(25)과 어드레스전극(12)이 형성된다. 이 표시전극(25)과 어드레스전극(12)은 이격되어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며, 각 방전셀(18)은 표시 전극(25)과 어드레스 전극(12)이 교차하는 지점에 위치한다.
전면기판(20)은 빛이 투과하는 유리와 같은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다. 전면기 판으로는 방전셀(18)의 방전에 의해 형성된 화상이 표시된다.
그리고, 각 방전셀(18)에 대응하게 표시전극(25)이 형성된다. 표시전극(25)은 주사전극(21)과 유지전극(23)의 쌍으로 형성될 수 있고, 주사전극(21)과 유지전극(23)은 방전셀(18)에서 평면으로 마주해 방전갭을 형성한다. 여기서, 주사전극(21)은 어드레스전극(12)과 작용해서 켜지는 방전셀(18)을 선택하고, 유지전극(23)은 주사전극(21)과 작용해서 선택된 방전셀(18)에 대해서 유지기간동안 방전을 형성한다.
이 표시전극(25)은 유전체(예, PbO, B2O3, SiO2)로 형성된 유전체층(28)으로 매립되어 보호된다. 유전체층(28)은 방전시 하전 입자들의 충돌에 의한 표시전극(25)의 손상을 방지한다.
유전체층(28)은 다시 보호막(예, MgO)으로 덮여질 수 있다. 이 보호막(29)은 방전시 하전 입자들이 유전체층(28)에 직접 충돌하여 유전체층(28)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하전 입자들이 충돌하면, 2차 전자를 방출시켜 방전 효율을 높인다.
그리고, 전면기판(20)과 대향하는 배면기판(10) 상에는 어드레스전극(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어드레스전극(12)은 표시전극(25)과 교차하면서 각 방전셀(18)에 대응하게 일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웃한 어드레스전극(12)과는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면기판(10) 전체를 놓고 보았을 때, 어드레스전극(12) 전체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이룬다. 이 어드레스전 극(12)은 주사전극(21)과 작용해서 켜지는 방전셀(18)을 선택한다.
이 어드레스전극(12)은 유전체층(14)에 의해서 매립되어 보호되며, 그 위로 도면의 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 격벽(16a) 및 도면이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격벽(16b)를 포함하는 격벽(16)이 형성되어 방전셀(16)을 구획한다.
방전셀(18) 내부는 색상별 가시광을 발산하는 형광체층(19)이 형성된다. 이 형광체층은 형광체와 소성 촉진제를 포함한다. 형광체층(19)은 방전셀(18)을 구획하고 있는 격벽(16)의 벽면과 그 바닥면에 형광체가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이 형광체층(19)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적색(R), 녹색(G), 청색(B)별로 방전셀에 형성되며, 적색 방전셀(18R), 녹색 방전셀(18G), 청색 방전셀(B)이 1 조로 1개의 화소(pixel)를 이룬다.
이처럼 형광체층(19)이 형성된 방전셀들(18) 내부는 네온, 제논 등의 혼합된 방전가스가 채워진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예에 따른 PDP의 방전셀과 표시전극의 배치 관계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격벽(16)은 어드레스전극(12)과 교차하는 제1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로 격벽((16a)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도면의 y축 방향으로 어드레스전극의 연장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세로 격벽(16b)을 포함한다.
이 같은 격벽(16a, 16b)의 구성에 의해서, 방전셀(18)은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서 격자 형상으로 구획 형성된다. 이때, 동일한 색상의 방전셀은 열(도면의 y축 방향)을 이루면서 배치되고, 행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는 서로 다른 색상의 방전셀들이 순서대로 위치한다.
한편, 행방향으로 위치하는 서로 다른 색상의 방전셀, 즉 적색 방전셀(18R), 녹색 방전셀(18G), 청색 방전셀(18B)이 1 조를 이루어 1 개의 화소를 이룬다. 이처럼 정의되는 화소의 개수에 의해서 PDP의 해상도는 결정되며, 또한 방전셀의 크기 역시 결정된다.
도 2로 돌아가서, 표시전극(25)의 주사전극(21) 및 유지전극(23)은 방전셀(18)에서 마주해 방전갭(g)을 형성한다.
주사전극(21) 및 유지전극(23)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거리(g)를 유지하면서 길게 연장된다. 이때, 주사전극(21) 및 유지전극(23)은 전면기판(20) 중 배면기판(10)과 마주하는 대향면 상에 박막으로 형성되고 벨트 형상의 투명전극(211, 231)과 이 투명전극(211, 231) 위에 형성되는 띠 형상의 버스전극(213, 233)을 포함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해서, 표시전극(25)은 방전셀(18)의 상면에 위치한다.
여기서, 버스전극(213, 233)은 구리(Cu), 은(Ag)과 같이 도전성이 좋은 물질인 금속으로 형성되고, 투명전극(211, 231)은 ITO와 같은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방전셀의 상면을 가리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버스전극(213, 233)과 투명전극(211, 231)은 전면기판(20)의 대향면(201) 상에 박막으로 형성되어 배면기판(10)과의 조합에 의해서 각 방전셀(18)의 상면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서, 제2 실시예에서 표시전극(45)은 주사전극(41)과 유지전극(43)을 포함하고, 각각은 띠 형상의 버스전 극(413, 433)과 이 버스전극(413, 4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방전셀 내부를 향해 각 방전셀별로 돌출하는 돌출 전극(411, 43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전극(55)은 주사전극(51)과 유지전극(55)을 포함하고, 각각은 띠 형상의 버스전극(513, 533)과, 이 버스전극(513, 53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방전셀 내부를 향해 돌출하는 돌출전극(511, 531)을 포함한다. 이때, 돌출전극(511, 531)은 평면적으로 마주해 방전갭(g)을 이루는 띠 형상의 선단부(511a, 531a)와, 이 선단부(511a, 531a)를 버스전극(513, 533)과 연결하는 띠 형상의 연결부(511b, 531b)를 포함하고, 선단부(511a, 531a)와 연결부(511b, 531b)는 각각 제1 방향과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따라서, 제3 실시예의 돌출전극(511, 531)은 평면에서 'T' 형상을 이룬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것으로서, 유전체층 상에는 주사전극(21)과 유지전극(23) 사이에 위치하는 홈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부(41)는 주사전극(21)과 유지전극(23) 사이에 형성되어 방전의 개시전압을 낮출 수 있다.
이 홈부(41)는 주사전극(21)과 유지전극(23)이 평면으로 마주해 이루어진 방전갭(g)에 대응하게 형성되는데, 홈부(41)의 제2 방향 폭(g1)은 방전갭(g)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홈부(41)는 주사전극(21)과 유지전극(23) 사이에 위치한다.
이하에서는 유전체층(28)에 대해서 첨부한 도 6을 참조로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에서, 표시전극(25)은 유전체로 이루어진 유전체층(28)에 덮여져 매립되 고, 보호된다. 상기 유전체층(28)은 상기 전면기판(20)의 대향면(201) 상에 유전체(PbO, B2O3, SiO2 등)를 증착해서 형성되고, 방전셀의 가스방전에 의해 형성된 가시광을 차단하지 않도록 투명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유전체층(28) 상에는 홈부(41)가 형성된다. 이 홈부(41)는 방전갭(g) 즉, 주사전극(21)과 유지전극(23) 사이에 대응하는 유전체층(28) 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주사전극(21)과 유지전극(23)이 평면적으로 마주하는 사이에 홈부(41)가 위치하게 되고, 이 홈부(41)로 인해 방전시 주사전극(21)과 유지전극(23) 사이의 전기 선속(electric flux)이 종전(홈부가 없는 경우)과 비교해서 직선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기 선속 밀도가 높아져 개시전압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는 1920×1080의 해상도를 갖는 것으로서, 이는 어떠한 구조도 가능하므로 이 구조에 대하여 별도의 도면을 들어 설명하지 않는다.
이하,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PDP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PDP를 부분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PDP는 전면기판(200)과 배면기판(100) 사이로 제1 격벽(150) 및 제2 격벽(160)의 조합에 의해서 방전셀(180)이 구획되고, 제1 격벽(150)으로는 표시전극(250)이 매립되어 방전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전면기판(200)은 가시광이 투과하는 투명한 유리기판으로 형성되고, 배면기판(100)과는 마주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전면기판(200) 상에는 제1 격벽(150)이 형성된다. 제1 격벽(150)은 내부에 표시전극(250)을 매립하고 있으며,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가로 격벽(150a)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세로 격벽(150b)을 포함한다.
표시전극(250)은 어드레스전극(120)과 작용해서 켜지는 방전셀을 선택하는 주사전극(210)과 이 주사전극(210)과 작용해서 선택된 방전셀에 대해 유지 방전을 일으키는 유지전극(230)을 포함하며, 전면기판(200)에서 배면기판(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유지전극(230)과 주사전극(210)의 순서로 제1 격벽(150)에 매립된다. 또한, 주사전극(210)과 유지전극(230)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각각의 방전셀에 대해 방전셀(180) 둘레를 둘러쌓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주사전극(210)과 유지전극(230)이 동시에 제1 격벽(150)에 매립되기 때문에, 제1 격벽(150)은 PbO, B2O3, SiO2 등과 같은 유전체로 형성되어 주사전극(210)과 유지전극(230)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1 격벽(150)은 하전 입자가 표시전극(250)에 직접 충돌하여 이들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하전 입자를 유도하여 벽전하를 축적하게 된다.
한편, 표시전극(250)을 매립하는 제1 격벽(150)의 벽면은 보호막(270)에 의하여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막(270)은 하전 입자가 제1 격벽(150)에 충돌하여 제1 격벽(15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며, 방전시 2차 전자를 방출한다.
또한, 배면기판(100) 상에는 제2 격벽(160)이 형성되며, 제1 격벽(150)과 동일하게 가로격벽(160a) 및 세로격벽(160b)을 포함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격벽(150) 상에는 형광체가 제공되어 격벽의 벽면 및 그 바닥면으로 형광체층(190)이 형성된다. 상기 형광체층은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로 형성되어 형광체 및 소성 촉진제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격벽(150)은 제2 격벽(160)의 바로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2 실시예의 PDP는 표시전극(250)을 매립하는 제1 격벽(150)과 형광체층(190)을 형성하고 있는 제2 격벽(160)의 조합에 의해서 방전셀(180)을 형성한다.
그리고, 전면기판(200)과 대향하는 배면기판(100) 상에는 어드레스전극(120)이 형성될 수 있다. 어드레스전극(120)은 표시전극(250)과 교차하면서 각 방전셀(180)에 대응하게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웃한 어드레스전극(120)과는 나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배면기판(100) 전체를 놓고 보았을 때, 어드레스전극(120) 전체는 스트라이프 형상을 이룬다. 이 어드레스전극(120)은 주사전극(210)과 작용해서 켜지는 방전셀(180)을 선택한다.
한편, 상술한 바처럼, 주사전극(210)이 배면기판(100)에 가깝게 제1 격벽(150)에 매립되기 때문에, 주사전극(210)과 어드레스전극(12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낮은 전압에서도 켜지는 방전셀을 선택하는 어드레싱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2 격벽(160)에 형광체층(190)이 형성되고, 그 위로 위치하는 제1 격벽(150)에 표시전극(250)이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형광체와 표시전극(25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져 발광 효율 및 휘도가 좋아지게 된다.
어드레스전극(120)은 유전체층(140)에 의해서 매립되어 보호되며, 그위로 제2 격벽(160)이 형성되어 형광체층(190)을 이루고 있다.
형광체층(190)은 제2 격벽(160)의 벽면과 그 바닥면에 형광체가 도포되어 이루어진다. 이 형광체층(190)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적색(R), 녹색(G), 청색(B)별로 방전셀에 형성되며, 적색 방전셀(18R), 녹색 방전셀(18G), 청색 방전셀(B)이 1 조로 1개의 화소(pixel)를 이룬다.
그리고, 방전셀들(180) 내부는 네온, 제논 등의 혼합된 방전가스가 채워진다.
이하,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해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PDP의 방전셀 구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8을 참조로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PDP의 표시전극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6 실시 형태에서, 표시전극은 제1 격벽(150)에 매립되어 있으며, 제1 격벽(150)은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의 사이 공간 중 전면기판을 향해 위치한다. 그리고, 제1 격벽(150)은 제1 방향의 가로격벽(150a) 및 제2 방향의 세로격벽(150b)를 포함해서 방전셀을 격자 형상으로 구획한다. 이에 따라, 표시전극은 상대적으로 방전셀의 상부에 위치해 방전셀 둘레를 둘러쌓게 된다.
표시전극은 전면기판에서 배면기판을 향해 유지전극(230)과 주사전극(210)의 순서로 제1 격벽(150)에 매립되어 있으며,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제6 실시 형태에서, 유지전극(230)은 전면기판에 이웃해서 제1 격벽(150) 에 매립되어있고, 주사전극(210)은 유지전극(230)의 아래 방향(도면의 z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매립 형성된다.
주사전극(210)과 유지전극(230) 각각은 가로격벽(150a)에 매립되는 띠 형상의 라인전극(210a, 230a)과 가로격벽(150a)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세로격벽(150b)에 매립되는 띠 형상의 연결전극(210b, 230b)을 포함한다.
라인전극(210a, 230a)은 각각 가로격벽(150a)의 내부에 형성되어, 가로격벽(150a)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때, 라인전극(210a, 230a)은 일 예에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띠 형상을 이루며, 장변이 도면의 z축을 따라 배치된다.
이러한 라인전극(210a, 230a)은 각 방전셀별로 마주하면서 구비될 수 있게, 1개 가로격벽(150a)에 대해서 쌍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라인전극(210a, 230a)은 도면의 y축 방향에서 방전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한다(도 8 및 도 9 참조).
그리고, 연결전극(210b, 230b)은 세로격벽(150b)의 내부에 형성되며, 방전셀(18)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는 한 쌍의 라인전극(210a, 230a)을 서로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전극(210b, 230b)은 라인전극(210a, 230a)과 동일하게,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띠 형상을 이루며, 장변이 도면의 z축을 따라 배치된다. 이에 따라, 연결전극(210b, 230b)은 도면의 x축 방향에서 방전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한다(도 8 및 도 9 참조).
결국, 주사전극(210)과 유지전극(230)은 라인전극(201a, 230a)과 연결전극(210b, 230b)의 조합에 의해서 방전셀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평면 형상이 방전셀과 동일하게 직사각형의 형상을 이루며, PDP 전체를 놓고 보았을 때, 격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유지전극(230)과 주사전극(210)은 도면의 z축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제1 격벽(150)에 매립되어 있기 때문에, 도면의 z축 방향에서 평면으로 마주하게 된다.
한편, 도 11은 도 9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9의 XⅡ-XⅡ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처럼, 제6 실시 형태에서 방전셀은 제1 격벽(150b)과 이 제1 격벽(150b)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격벽(150b) 바로 아래에 배치되는 제2 격벽(160b)의 조합에 의해서 구획된다.
여기서, 제1 격벽(150b)은 전면기판(200)을 향해 위치하고, 제2 격벽(160b)은 배면기판(100)을 향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라인전극(210a, 230a, 도 11) 및 연결전극(210b, 203b), 즉 표시전극은 방전셀(180)의 상부에 위치하는 반면에, 형광체층(190)은 방전셀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즉, 제6 실시 형태에서 표시전극은 제1 격벽(150b)에 매립되고, 형광체층(190)은 제2 격벽(160b)의 벽면과 그 바닥면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표시전극은 방전셀의 상부 측면에 위치해 방전셀의 둘레를 감싸게 된다. 그리고, 형광체층(190)은 표시전극 보다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 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SeO2, V2O5, MoO3 및 CeO2의 열분해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들 각각의 성분 2g과, BaMgAl10O17:Eu2+ 청색 형광체 40g,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와 터피네올의 혼합 유기 용매(혼합비 30 : 70 중량비) 52g 및 에틸렌 셀룰로오스(EC) 유기 바인더 6g과 혼합하고, 이 혼합물의 열중량분석(TGA)을 실시하였다. TGA 분석은 10℃/min 속도로 등온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와 터피네올의 혼합 유기 용매(혼합비 30 : 70 중량비)에 유기 바인더인 에틸렌 셀룰로오스(EC)만을 혼합한 것을 대조예로 하여 TGA 분석 결과를 도 13에 함께 나타내었다. 도 13에서 y축의 중량%는 페이스트가 열분해되고 남은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SeO2, V2O5, MoO3 및 CeO2를 사용한 페이스트는 모두 대조예보다 더 빠른 열분해 곡선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를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SeO2, V2O5 성분은 더 빠른 분해 곡선을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게 되고, MoO3, CeO2 성분은 더 낮은 분해 온도을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이 결과로부터, 상기 물질들을 적절히 섞어서 사용할 경우 페이스트에서 고분자 수지의 잔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발광효율의 향상과 휘도 유지율을 개선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15)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와 터피네올의 혼합 유기 용매(혼합비 30 : 70 중량비)에 유기 바인더인 에틸렌 셀룰로오스(EC) 수지 580g를 녹이고, 여기에 BaMgAl10O17:Eu2+ 청색 형광체 4000g 및 소성 촉진제를 첨가하여 교반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혼합물의 점도를 조절하면서 3-롤 밀로 혼련(Knead)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청색 형광체 페이스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유기 용매의 함량, 상기 소성 촉진제의 종류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변경하였다.
상기의 페이스트를 하판 격벽면 위에 인쇄, 건조, 소성한 뒤 패널을 조립, 봉착, 배기, 가스 주입 및 에이징(Aging) 단계를 거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소성 촉진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단위: g) 형광체 파우더 고분자 수지(EC 사용) 소성 촉진제 유기 용매
종류
비교예 1 4000 580 - - 5420
실시예 1 4000 580 SeO2 10 5410
실시예 2 4000 580 V2O5 15 5405
실시예 3 4000 580 MoO3 15 5405
실시예 4 4000 580 CeO2 20 5400
실시예 5 4000 580 SeO2, V2O5 (1:1 중량비) 20 5400
실시예 6 4000 580 MoO3, CeO2 (1:1 중량비) 25 5395
실시예 7 4000 580 MoO3, CeO2 (1:1 중량비) 30 5390
실시예 8 4000 580 V2O5, MoO3 (1:1 중량비) 30 5390
실시예 9 4000 580 SeO2, MoO3 (1:1 중량비) 25 5395
실시예 10 4000 580 V2O5, CeO2 (1:1 중량비) 30 5390
실시예 11 4000 580 SeO2, V2O5, MoO3 (1:1:1 중량비) 35 5385
실시예 12 4000 580 SeO2, V2O5, CeO2 (1:1:1 중량비) 40 5380
실시예 13 4000 580 SeO2, MoO3, CeO2 (1:1:1 중량비) 45 5375
실시예 14 4000 580 V2O5, MoO3, CeO2 (1:1:1 중량비) 50 5370
실시예 15 4000 580 SeO2, V2O5, MoO3, CeO2 (1:1:1:1 중량비) 50 5370
상기 실시예 1 내지 15 및 비교예 1의 형광체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도 3에 나타낸 구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였다. 즉, 패널의 제조상 모든 공정과 소성온도는 동일하게 하였으며, 이는 동일한 조건에서 신물질의 첨가가 잔탄의 제거에 우수하여 발광효율 증가와 휘도유지율 개선에 더 효과가 있음을 보이기 위함이다.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잔탄량, 초기 휘도, 휘도 유지율 및 초기 대비 암점 증가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잔탄량은 형광체를 악화시키는 잔탄의 성분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C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 형광체가 쉽게 열화되므로, 그 중 C, CO, CH(29), CH(45)가 가장 해로운 잔탄으로 정의되고(CH는 하이드로카보네이트이며 뒤의 숫자는 분자량이다)있다. 따라서, 이들 성분을 총 고형 물질(TDS: Total Dissolved Solid) 분석을 통하여 형광체층에 남은 잔존량 분석을 하였다.
초기 휘도는 패널 전백 휘도(패널 전면을 흰색으로 나타낸 상태(full White pattern))를 측정하였고, 같은 조건으로 만든 패널 휘도의 평균치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를 100%로 하여 상대휘도로 나타내어 개선된 정도를 쉽게 나타나도록 했으며, 측정은 Minolta사의 CA-100plus 접촉식 휘도계를 사용하였다.
휘도 유지율은 초기 휘도를 100%로 하여 나타낼 수 있는 최대 휘도인 100IRE의 세기로 1% 패턴을 만들고 100시간마다 수명 평가를 하여 500시간 경과 뒤 초기 휘도에서 얼마나 감소하였는지를 나타내었다(이 수명 측정법의 결과는 일반 동영상 수명의 경우 약 7배 가속되어 얻을 수 있다. 즉, 가속 수명이 2000시간 동안 50% 휘도 유지율을 갖는다면, 동영상의 경우 14000시간 후에 휘도가 초기 휘도의 50% 수준을 갖게 되는 것이다).
진동 낙하시 암점 발생율은 완성된 패널을 모듈 상태로 만든 후, 진동 낙하 실험시 형광체층이 무너지지 않고 얼마나 잘 견디는 지를 평가한 것이다. 이 실험은 1.50Grm으로 2시간 수직방향으로 진동후 1m 높이에서 3회 낙하충격을 주어 실시하여, 초기 대비 암점 증가수를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이는 혹시 첨가된 물질이 형광체층에 악영향을 미쳐 암점으로 나타나게 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잔탄량(ppm) 초기 휘도 휘도유지율 (500hr후) 초기대비 암점 증가수
C CO CH(29) CH(45)
비교예 5.41E-4 3.58E-3 2.16E-4 6.07E-5 100.0% 82.1% 0
실시예 1 4.75E-6 1.82E-5 3.02E-6 4.92E-7 105.9% 86.5% 0
실시예 2 6.41E-6 2.51E-5 4.12E-6 7.23E-7 106.5% 87.7% 0
실시예 3 6.15E-6 5.24E-5 5.32E-6 6.67E-7 105.8% 86.4% 0
실시예 4 3.99E-6 4.35E-5 6.40E-6 6.84E-7 107.1% 88.0% 0
실시예 5 5.62E-6 7.67E-5 2.62E-6 5.83E-7 109.0% 87.4% 0
실시예 6 5.34E-6 5.96E-5 6.79E-6 7.25E-7 108.6% 86.1% 0
실시예 7 4.26E-6 6.84E-5 5.96E-6 4.69E-7 108.7% 87.2% 0
실시예 8 5.53E-6 6.78E-5 2.88E-6 1.74E-7 109.4% 88.6% 0
실시예 9 1.85E-6 5.41E-5 3.57E-6 3.98E-7 107.8% 86.5% 0
실시예 10 1.77E-6 3.13E-5 1.25E-6 1.47E-7 110.3% 88.8% 0
실시예 11 3.48E-6 2.28E-5 5.44E-6 5.57E-7 109.7% 87.9% 0
실시예 12 6.56E-6 7.55E-5 4.61E-6 4.16E-7 108.4% 88.4% 0
실시예 13 7.64E-6 4.64E-5 1.53E-6 5.59E-7 107.4% 86.9% 0
실시예 14 6.31E-6 6.93E-5 3.73E-6 7.81E-7 107.9% 87.4% 0
실시예 15 7.25E-6 3.72E-5 5.34E-6 2.52E-7 108.2% 88.0% 0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SeO2, V2O5, MoO3 및 CeO2를 1종 이상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15의 경우 초기 휘도는 5 내지 10% 상승하였고, 휘도 유지율은 4 내지 6%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고분자 수지로부터 나오는 잔탄(C, CO, CH(29), CH(45)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형광체 조성물은 소성 촉진제를 더욱 사용함에 따라 바인더 및 용매와 같이 최종 형광막에 잔존할 경우 불순물이 되는 물질을 소성 공정에서 쉽게 제거할 수 있고 또한 그 소성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어, 온도에 의한 패널의 손상없이, 높은 발광 효율 및 휘도 유지율을 나타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형광체;
    6A족 산화물, 5B족 산화물, MoO3, 란탄 계열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산화물, 및 SeO2를 포함하는 소성 촉진제; 및
    비히클
    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2. 삭제
  3. 형광체; 및
    SeO2, V2O5, MoO3,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소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조성물은 상기 소성 촉진제를 0.1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 조성물은 상기 소성 촉진제를 1 내지 5 중량%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히클은 바인더 및 용매를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7.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마주하는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해서 형성되는 방전셀들;
    상기 방전셀들에 형성되며, 형광체 및 6A족 산화물, 5B족 산화물, MoO3, 란탄 계열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산화물, 및 SeO2를 포함하는 소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형광체층;
    상기 각각의 방전셀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방전셀에서 마주해 방전갭을 이루는 주사전극과 유지전극;
    상기 주사 전극과 유지 전극을 매립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주사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 각각은,
    상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벨트 형상을 이루는 투명전극과, 상기 투명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띠 형상을 이루는 버스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전극과 유지전극 각각은,
    상기 방전셀 내부를 향해 각각 돌출 형성되는 돌출전극과, 상기 돌출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띠 형상을 이루는 버스전극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전극은 서로 마주해 상기 방전갭을 이루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상기 버스전극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사전극과 상기 유지전극 사이의 상기 유전체층 상에 형성되는 홈부를 더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적색, 녹색, 청색별로 상기 방전셀에 형성되며,
    적색 방전셀, 녹색 방전셀 및 청색 방전셀이 1 조로 1개의 화소를 이루어 1920×1080의 해상도를 이루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삭제
  14.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마주하는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 사이의 공간을 구획해서 형성되는 방전셀들;
    상기 방전셀들에 형성되며, 형광체 및 SeO2, V2O5, MoO3,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소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형광체층;
    상기 각각의 방전셀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방전셀에서 마주해 방전갭을 이루는 주사전극과 유지전극;
    상기 주사 전극과 유지 전극을 매립하는 유전체층; 및
    상기 주사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소성 촉진제를 형광체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5 내지 25 중량%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소성 촉진제를 형광체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12.5 중량%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7.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마주하는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으로 형성되어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내부에 매립하는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과의 조합에 의해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제2 격벽;
    상기 제2 격벽 상에 형성되며, 형광체와 6A족 산화물, 5B족 산화물, MoO3, 란탄 계열 산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산화물, 및 SeO2를 포함하는 소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형광체층;
    상기 각각의 방전셀을 둘러쌓으면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면기판에서 배면기판을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주사전극과 유지전극; 및
    상기 주사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
    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8. 삭제
  19.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마주하는 배면기판;
    상기 전면기판으로 형성되어 유지전극과 주사전극을 내부에 매립하는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과의 조합에 의해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제2 격벽;
    상기 제2 격벽 상에 형성되며, 형광체와 SeO2, V2O5, MoO3, CeO2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소성 촉진제를 포함하는 형광체층;
    상기 각각의 방전셀을 둘러쌓으면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전면기판에서 배면기판을 향해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주사전극과 유지전극; 및
    상기 주사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어드레스전극;
    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소성 촉진제를 형광체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0.25 내지 25 중량%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소성 촉진제를 형광체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12.5 중량% 포함하는 것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60094929A 2006-09-28 2006-09-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Expired - Fee Related KR1007966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929A KR100796655B1 (ko) 2006-09-28 2006-09-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US11/902,666 US20080088237A1 (en) 2006-09-28 2007-09-24 Phosphor composition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929A KR100796655B1 (ko) 2006-09-28 2006-09-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655B1 true KR100796655B1 (ko) 2008-01-22

Family

ID=39218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9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6655B1 (ko) 2006-09-28 2006-09-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088237A1 (ko)
KR (1) KR1007966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55015B2 (en) 2021-03-31 2024-11-26 Lumileds Llc Thin compact wavelength converting structure for pcLE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829A (ko) * 1996-09-24 1998-07-06 손욱 형광표시관용 형광체 페이스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59253B2 (ja) * 1990-11-28 2002-02-25 富士通株式会社 フラット型表示装置の階調駆動方法及び階調駆動装置
US6097357A (en) * 1990-11-28 2000-08-01 Fujitsu Limited Full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EP1231590A3 (en) * 1991-12-20 2003-08-06 Fujitsu Limited Circuit for driving display panel
EP0554172B1 (en) * 1992-01-28 1998-04-29 Fujitsu Limited Color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device
JP3025598B2 (ja) * 1993-04-30 2000-03-27 富士通株式会社 表示駆動装置及び表示駆動方法
JP2891280B2 (ja) * 1993-12-10 1999-05-17 富士通株式会社 平面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
JP3163563B2 (ja) * 1995-08-25 2001-05-08 富士通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424587B2 (ja) * 1998-06-18 2003-07-07 富士通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2829A (ko) * 1996-09-24 1998-07-06 손욱 형광표시관용 형광체 페이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88237A1 (en)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1336A1 (en) Phosphor and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8129905B2 (en) Phosphor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phosphor
KR10058940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 형광체
US7919922B2 (en) Green phosphor for plasma display panel and plasma display panel including a phosphor layer formed of the same
KR10079665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조성물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US20100052506A1 (en) Blue phosphor, light-emitting device, and plasma display panel
KR20100070024A (ko) 형광체층 형성용 조성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 방법
US20080191600A1 (en) Display Device and Green Phosphor
EP2404979B1 (en) Phosphor and plasma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KR1007958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 형광체 및 이로부터형성된 형광막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761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적색 형광체 및 이로부터형성된 형광막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8114312B2 (en) Display device and green phosphor
KR2007007821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및 이로부터 형성된형광막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596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 형광체 및 이로부터형성된 형광막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79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31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7009055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형광체 페이스트 조성물 및이로부터 형성된 형광막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2008000789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청색 형광체 및 이로부터형성된 형광막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0789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청색 형광체 및 이로부터형성된 형광막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30045A (ko) 가스 방전 발광 패널
KR2007009249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적색 형광체 및 이로부터제조된 형광막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9054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 형광체 페이스트 조성물및 이로부터 제조된 형광막을 구비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9054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청색 형광체 및 이로부터형성된 형광막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9054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 형광체 및 이로부터형성된 형광막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10167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녹색 형광체 조성물 및이로부터 제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9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