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6602B1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602B1
KR100796602B1 KR1020060074878A KR20060074878A KR100796602B1 KR 100796602 B1 KR100796602 B1 KR 100796602B1 KR 1020060074878 A KR1020060074878 A KR 1020060074878A KR 20060074878 A KR20060074878 A KR 20060074878A KR 100796602 B1 KR100796602 B1 KR 100796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layer
hole injection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8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연주
이승현
김혜동
이성택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66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60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subpixels, e.g. red-green-blue-white [RGBW]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10K59/35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ical arrangement of th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필터 없이 정공주입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풀칼라를 구현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반사막을 포함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고, 각각의 화소영역별로 두께가 차이가 나는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을 상에 위치하는 제 1 발광층,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제 1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발광층 및 상기 제 2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상기 유기막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realize a full color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a hole injection layer without a color filter, comprising: a substrate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A first electrode on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including a reflective film; A hole injection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for each pixel region, a first emission layer on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a first emission layer on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An organic film layer including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and a third light emitting layer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It provid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a second electrode positioned on the organic film layer.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 상에 반사막을 포함하는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고 각각의 화소영역별로 두께가 차이가 있는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발광층,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제 1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발광층, 상기 제 2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막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forms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reflective film on the substrate, and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for each pixel region. A hole injection layer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positioned on the hole injection layer,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and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positioned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herein an organic film layer including a light emitting layer is formed, and a second electrode is formed on the organic film layer.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도 1 은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실시예1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4 is a graph showing a spectru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1;

도 5 는 실시예2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5 is a graph showing the spectru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2;

도 6 은 실시예3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6 is a graph showing the spectru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xample 3;

도 7 은 비교예1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스펙트럼을 도시한 그래프.7 is a graph showing a spectrum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 1;

<도면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100,200,300: 기판 110,210,310: 제 1 전극100,200,300: substrate 110,210,310: first electrode

120,220,320: 화소정의막 130,230,330: 유기막층120,220,320: pixel defining layer 130,230,330: organic layer

133,233,333: 제 1 발광층 134,234,234: 제 2 발광층133,233,333: first light emitting layer 134,234,234: second light emitting layer

135,235,335: 제 3 발광층 231b,231c,331c,331d: 제 1 정공주입층135,235,335: third light emitting layer 231b, 231c, 331c, 331d: first hole injection layer

232,332: 제 2 정공주입층 140,240,340: 제 2 전극232,332: second hole injection layer 140, 240, 340: second electrode

150: 투명코팅층 160: 컬러필터층150: transparent coating layer 160: color filter layer

170: 오버코팅층170: overcoating layer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컬러필터 없이 정공주입층 및 제 2 전극의 두께를 조절하여 풀칼라를 구현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at can realize a full color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the second electrode without a color filter. will be.

일반적으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한 애노드(anode), 상기 애노드 상에 위치한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상기 발광층 상에 위치한 캐소드(cathode)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상기 애노드와 캐소드 간에 전압을 인가하며, 정공과 전자가 상기 발광층 내로 주입되고, 상기 발광층 내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는 상기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엑시톤(exiton)을 생성하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상태에서 기저상태로 전이하면서 빛을 방출하게 된다.In genera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s a substrate, an anode located on the substrate, an emission layer (EML) located on the anode, and a cathode located on the emission layer. In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holes and electrons are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holes and electrons injected into the light emitting layer are recombined in the light emitting layer to generate excitons. These excitons emit light as they transition from the excited state to the ground state.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풀칼라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R, G 및 B 각각에 해당하는 발광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상기 R, G 및 B 각각에 해당하는 발광층은 서로 다른 수명특성을 가지고 있어, 장시간 구동할 경우 화이트 밸런스를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In order to promote full colorization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ere is a method of forming a light emitting layer corresponding to each of R, G, and B. However,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layer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R, G, and B have different life characteristics, and thu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white balance is difficult to maintain for a long time.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단일색의 광, 즉 백색 광을 방출하는 발광층을 형성하고, 상기 발광층으로부터 소정색에 해당하는 광을 추출하기 위한 칼라필터층 또는 상기 발광층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소정색의 광으로 변환하는 색변환층을 형 성하는 방법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light of a single color, that is, white light is formed, and a color filter layer for extracting light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lor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or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layer is converted into light of a predetermined color. There is a method of forming a color conversion layer.

도 1 은 종래의 백색 광을 방출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대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emitting conventional white light.

도 1을 참조하면, 제 1 화소영역(a)인 청색화소영역, 제 2 화소영역(b)인 녹색화소영역 및 제 3 화소영역(c)인 적색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100)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100) 상에 반사전극인 제 1 전극(110)을 형성한다.Referring to FIG. 1, a substrate 100 including a blue pixel area as a first pixel area a, a green pixel area as a second pixel area b, and a red pixel area as a third pixel area c is provided. A first electrode 110, which is a reflective electrode, is formed on the substrate 100.

여기서, 상기 기판(100)과 상기 제 1 전극(110) 사이에는 박막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및 절연막 등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Here, a thin film transistor, a capacitor, and an insulating film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substrate 100 and the first electrode 110.

상기 제 1 전극(110) 상에 화소정의막(120)을 형성한 후 패터닝하여 개구부를 형성한다. The pixel defining layer 120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10 and then patterned to form an opening.

상기 제 1 전극(110) 상에 청색발광층인 제 1 발광층(133), 녹색발광층인 제 2 발광층인(134) 및 적색발광층인 제 3 발광층(135)을 순서대로 적층하여 유기막층(130)을 형성한다. 상기 유기막층(130)은 백색광을 구현하다.The organic layer 130 is form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133, which is a blue light emitting layer,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134, which is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layer 135, which is a red light emitting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110. Form. The organic layer 130 implements white light.

이어서, 상기 유기막층(130) 상에 반투과전극인 제 2 전극(140)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전극(140) 상에 투명보호막(150)을 형성한다. 상기 투명보호막(150) 상에 컬러필터층(160)을 상기 제 1 전극(110)과 대응되도록 형성한다. 상기 컬러필터층(160) 상에 오버코팅층(170)을 형성한다. 이로써 백색광을 구현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완성한다.Subsequently, a second electrode 140 which is a transflective electrode is formed on the organic layer 130, and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150 is formed on the second electrode 140. The color filter layer 160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protective layer 150 to correspond to the first electrode 110. An overcoat layer 170 is formed on the color filter layer 160. This complete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that implements white light.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청색 발광층, 녹색 발광층 및 적색발광층이 순서대로 적층된 유기막층을 이용하여 백색광을 방출한다. 이러한 종래의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컬러필터층을 꼭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비용이 상 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백색광을 발광하기 위해서는 R, G, B 세가지 피크가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이를 조절하기 어렵고, 조절한다고 하여도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mits white light using an organic film layer in which a blue light emitting laye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a red light emitting layer are sequentially stacked. Since the conventional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requires a color filter layer,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ncreases. In addition, in order to emit white light, three peaks of R, G, and B must be balanced, bu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m,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uminous efficiency is lowered even if they are adjus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공주입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풀칼라를 구현할 수 있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implement a full color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반사막을 포함하는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고, 각각의 화소영역별로 두께가 차이가 나는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발광층,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제 1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발광층 및 상기 제 2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 상기 유기막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comprising a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 A first electrode on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including a reflective film; A hole injection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for each pixel region,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on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on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An organic film layer including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and a third light emitting layer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It provide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a second electrode positioned on the organic film layer.

또한, 본 발명은 제 1,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고, 상기 기판 상에 반사막을 포함하는 제 1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고 각각의 화소영역별로 두께가 차이가 있는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발광층,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제 1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발광층, 상기 제 2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 층을 형성하고, 상기 유기막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bstrate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forms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reflective film on the substrate, and is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for each pixel region. A hole injection layer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positioned on the hole injection layer,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and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positioned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forming an organic layer including a light emitting layer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organic layer.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figures, where a layer is said to be "on" another layer or substrate,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layer or substrate, or a third layer may be interposed therebetween.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제 1 화소영역(a), 제 2 화소영역(b), 제 3 화소영역(c)을 포함하고, 유리, 스테인레스 스틸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되는 기판(200)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화소영역(a)은 청색화소영역, 녹색화소영역 및 적색화소영역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이고, 상기 제 2 화소영역(b)은 청색화소영역, 녹색화소영역 및 적색화소영역 중에서 상기 제 1 화소영역(a)으로 선택되지 않은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 제 3 화소영역(c)은 청색화소영역, 녹색화소영역 및 적색화소영역 중에서 상기 제 1 화소영역(a) 및 제 2 화소영역(b)으로 선택되지 않은 어느 하나이다.Referring to FIG. 2, a substrate 200 including a first pixel region a, a second pixel region b, and a third pixel region c is formed of glass, stainless steel, plastic, or the like. . Here, the first pixel area (a) is one selected from a blue pixel area, a green pixel area, and a red pixel area, and the second pixel area (b) is selected from among a blue pixel area, a green pixel area, and a red pixel area. Any one not selected as the first pixel region a is used. Further, the third pixel area c is not selected as the first pixel area a and the second pixel area b from among the blue pixel area, the green pixel area, and the red pixel area.

상기 기판(200) 상에 반사막을 포함하는 제 1 전극(21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기판(200)과 상기 제 1 전극(210) 사이에는 박막트랜지스터, 캐패시터 및 절연막 등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A first electrode 210 including a reflective film is formed on the substrate 200. Here, a thin film transistor, a capacitor, and an insulating film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substrate 200 and the first electrode 210.

여기서 상기 제 1 전극(210)은 일함수가 높은 ITO 또는 IZO 및 Al, 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반사막 포함하는 2 중 구조 또는 3 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210 may be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or a triple structure including a reflective film made of ITO or IZO having a high work function, and Al, Ag, or an alloy thereof.

이어서, 상기 제 1 전극(210) 상부에 화소정의막(220)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화소정의막(220)은 벤조사이클로부텐,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아크릴계수지 등의 유기막 또는 스핀 온 글래스와 같은 무기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an opening is formed by forming and patterning a pixel defining layer 220 on the first electrode 210. The pixel definition layer 220 may be formed of an organic layer such as benzocyclobutene, polyimide, polyamide, acrylic resin, or an inorganic layer such as spin on glass.

이어서, 상기 제 1 전극(210) 상에 각각의 화소영역별로 두께가 차이가 있는 정공주입층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정공주입층은 각각의 화소영역별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공주입층은 제 1 정공주입층 및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상기 제 1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 2 정공주입층 또는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 상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 1 정공주입층 및 상기 제 1 정공주입층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걸쳐 위치하는 제 2 정공주입층을 포함하는 2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정공주입층,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제 1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정공주입층 및 상기 제 3 화소영역의 제 2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정공주입층을 포함하는 3중 구조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2중 구조인 정공주 입층의 후자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겠다.Subsequently, a hole injection layer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for each pixel region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210. The hole injection layer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for each pixel region. The hole injection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and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areas, and on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or the second and third pixel area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It may be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including a first hole injection layer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to and a second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including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In addition, a first hole injection layer, a second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and a third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n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of the third pixel region. It may also be formed into a triple structure comprising a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tter case of the hole injection layer having the doubl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이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제 1 전극(210) 상에 제 1 정공주입층(231b,231c)을 레이저 열전사법을 수행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 1 정공주입층(231b, 231c)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걸쳐 제 2 정공주입층(23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화소영역의 상기 제 2 정공주입층(232)의 두께는 200~3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200Å 미만이면 정공주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없고, 300Å을 초과하면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두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Subsequently, first hole injection layers 231b and 231c ar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210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by laser thermal transfer. A second hole injection layer 232 is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including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s 231b and 231c. Her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232 in the first pixel region is preferably 200 to 300 kPa. This is because the hole injection efficiency is not improved when it is less than 200 mV, and when the thickness exceeds 300 mV, the thickness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s increased.

또한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상기 제 1 정공주입층(231b,231c) 및 제 2 정공주입층(232)의 총두께는 각각의 화소영역별로 차이가 있는데, 적색화소영역일 경우 600~700Å, 녹색화소영역일 경우 300~400Å 및 청색화소영역일 경우 50~1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total thicknesses of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s 231b and 231c and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232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areas are different for each pixel area. In the case of the green pixel region, 300 to 400 Hz and the blue pixel region are preferably 50 to 100 Hz.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상기 제 1 정공주입층(231b,231c) 및 제 2 정공주입층(232)의 총두께가 차이가 있는 것은 상기 제 1 정공주입층(231b,231c) 및 제 2 정공주입층(232)이 공진기 역할을 수행하여 미세공동효과를 구현하므로, 화소별로 한정한 각각의 두께 범위를 벗어날 경우, 즉 한정한 범위보다 얇아지면 파장이 짧아져서 한 색이 아닌 혼합색이 나타나는 문제점 및 한정한 범위보다 두꺼워지면 파장이 길어져서 한색이 아닌 혼합색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 total thicknesses of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s 231b and 231c and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232 in the second and third pixel area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s 231b and 231c and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231b and 231c. 2 Since the hole injection layer 232 acts as a resonator and realizes a microcavity effect, when the thickness is out of each thickness range defined for each pixel, that is, when the thickness is thinner than the limited range, the wavelength becomes shorter. And when it becomes thicker than the limited range, the wavelength will become long and a problem arises that a mixed color rather than one color appears.

여기서, 미세공동효과란 일반적으로 반사 양극과 반투과 음극 사이에 다중반사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는 넓은 색 발광층을 갖는 발광층에 대해 광 학적 매카니즘을 사용하여 R, G, B로 변환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 공정에서 형성될 유기발광층에서 색이 발광되면 그 광이 직접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와 제 2 전극에 의해서 반사된 후 다시 제 1 전극의 반사막에 의해 반사되어 외부로 방출되는 경우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정공주입층의 두께, 즉, 광학 두께를 조절하고, 제 2 전극의 두께를 조절하여 반사율 및 투과율을 조절하여 다중간섭을 발생시켜 미세공동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Here, the microcavity effect generally refers to the occurrence of multi-reflection interference between the reflective anode and the semi-transmissive cathode, which is used to convert the light emitting layer having a wide color emitting layer into R, G, and B using an optical mechanism. . In this embodiment, when the color is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o be formed in a later process, the light is directly emitted to the outside, and is reflected by the second electrode and then reflected by the reflective film of the first electrode to be emitted outside It can be divided into branches. In the latter case, the microcavity effect may be realized by controlling 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that is, the optical thickness, and controlling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이어서, 상기 제 2 정공주입층(232) 상에 제 1 발광층(233)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상기 제 1 발광층(233) 상에 제 2 발광층(234)을 미세 패턴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법을 수행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 2 발광층(234) 상에 제 3 발광층(235)을 미세패턴 마스크를 이용한 증착법을 수행하여 형성한다. 이로써 유기막층(230)을 완성한다. 상기 제 1 화소영역(a)에서는 상기 제 1 발광층(233)의 상부에 상기 제 2 발광층(234) 및 상기 제 3 발광층(235)이 형성되지 않았으므로, 상기 제 1 발광층(233)으로부터 제 1 발광색이 직접 구현된다. 반면에 상기 제 1 발광층(233), 상기 제 2 발광층(234) 및 상기 제 3 발광층(235)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영역에서는, 상기 제 1 정공주입층(231b,231c)의 두께를 조절하여 제 2 발광색 및 제 3 발광색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발광색 및 제 3 발광색은 백색 발광층에서 컬러필터 없이 각각의 색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화소영역(b)의 정공주입층(231b)의 두께를 상기 제 3 화소영역(c)의 정공주입층(231c)의 두께보다 얇게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Subsequently,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is formed on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232,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34 is finely pattern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in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It is formed by performing a deposition method using a mask. The third emission layer 235 is formed on the second emission layer 234 by performing a deposition method using a fine pattern mask. This completes the organic layer 230. Since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34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layer 235 are not form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in the first pixel area a,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may have a first shape. Emissive color is directly implemented. On the other hand, in the region in which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34,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layer 235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s 231b and 231c may be adjusted. The second emission color and the third emission color can be realized. Therefore, the second emission color and the third emission color have the effect of realizing each color without a color filter in the white emission layer.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231b of the second pixel region b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231c of the third pixel region c. It doesn't work.

여기서, 상기 제 1 발광층(233)은 적색발광층, 녹색발광층 및 청색발광층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 제 2 발광층(234)은 적색발광층, 녹색발광층 및 청색발광층 중에서 상기 제 1 발광층(233)으로 선택되지 않은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3 발광층(235)은 적색발광층, 녹색발광층 및 청색발광층 중에서 상기 제 1 발광층(233) 및 상기 제 2 발광층(234)으로 선택되지 않은 어느 하나이다. Here,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is any one selected from a red light emitting laye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a blue light emitting layer. In additio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34 is not selected as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among the red light emitting layer,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layer 235 is the red light emitting layer,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34 are not selected.

여기서, 상기 제 1 발광층(233)을 하나의 화소영역에만 형성하는 이유는 미세공동효과를 이용하여 구현이 힘들거나, 특히 발광효율이 좋지 않은 광을 보안하기 위한 것으로, 효율이 좋지 않은 색상의 발광층을 직접 패터닝하면 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 1 발광층(233)을 직접 패터닝 하므로, 나머지 화소영역의 백색광을 구현하기 위하여 두가지 피크만 조절하면 되기 때문에 종래의 세가지 피크를 조절하여 백색광을 구현하는 것보다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The reason why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is formed only in one pixel area is to secure a light that is difficult to implement using light microcavity effect, in particular, light emitting efficiency is not good, and the light emitting layer of color having low efficiency This is because direct patterning can improve the efficiency of light. In addition, since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is directly patterned, only two peaks need to be adjusted to implement white light of the remaining pixel region, and thus, it is easier to implement white light by adjusting three conventional peaks. .

또한, 유기발광층의 적층 순서로는 상기 제 1 발광층(233)은 청색 발광층, 상기 제 2 발광층(234)은 녹색 발광층 및 상기 제 3 발광층(235)은 적색발광층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유기발광층의 적층 순서가 호스트 물질 자체의 이동도 및 밴드갭 에너지 도펀트 물질 자체의 밴드갭 에너지가 재결합 영역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stacking ord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is most preferably used as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34 as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layer 235 as the red light emitting layer. This is because the stacking orde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ffects the recombination region due to the mobility of the host material itself and the bandgap energy of the bandgap energy dopant material itself.

또한 상기 제 1 발광층(233), 상기 제 2 발광층(234) 및 상기 제 3 발광층(235)의 두께는 각각 30~3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30Å 미만이거나, 300Å를 초과하면 균형을 유지하기가 힘들어 백색광을 구현하는데 문제점이 발생하 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청색 발광층의 두께는 30~200Å, 상기 녹색 발광층의 두께는 50~300Å 및 상기 적색 발광층의 두께는 100~300Å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233,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234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layer 235 is preferably 30 ~ 300Å. The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a balance when the balance is less than 30 Hz or exceeds 300 Hz, which causes a problem in implementing white light.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is 30 ~ 200Å, the thickness of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is 50 ~ 300Å and the thickness of the red light emitting layer is most preferably 100 ~ 300Å.

또한 상기 유기막층(230)은 정공수송층, 정공억제층,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 중에서 선택되는 단일층 또는 다중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ganic layer 230 may further include a single layer or multiple layers selected from a hole transport layer, a hole suppression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이어서, 상기 유기막층(230) 상에 제 2 전극(240)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전극(240)은 알루미늄은(AlAg) 또는 마그네슘은(MgAg)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알루미늄은은 알루미늄, 은을 각각 도핑해서 알루미늄, 은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알루미늄의 두께는 5~200Å, 은의 두께는 50~5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그네슘은은 두 물질이 함께 도핑되며 형성되고, 마그네슘은의 두께는 80~4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제 2 전극(240)이 한정한 두께 범위를 벗어나 두꺼워지면 저항이 감소하는 반면에 투과율이 나빠지고 반사율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240)이 한정한 두께보다 얇아지면 투과율은 증가하지만, 저항이 높아져 전극으로서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Subsequently, a second electrode 240 is formed on the organic layer 230. The second electrode 240 is preferably aluminum silver (AlAg) or magnesium silver (MgAg). Here, the aluminum is doped with aluminum and silver, respectively, and aluminum and silver are sequentially formed, and the thickness of aluminum is preferably 5 to 200 kPa and the thickness of silver is 50 to 500 kPa. In addition, the magnesium is formed of two materials doped together with silver, the thickness of the magnesium is preferably 80 ~ 400Å.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second electrode 240 becomes thick outside the limited thickness range, the resistance decreases while the transmittance becomes poor and the reflectance increases. In addition, when the second electrode 240 becomes thinner than the defined thickness, the transmittance increases, but the resistance increases, which causes a problem that cannot be used as an electrode.

또한, 상기 제 2 전극(240)의 상술한 바와 같이 두께를 한정한 이유는 정공주입층의 두께 한정이유와 마찬가지로 제 2 전극의 두께를 조절하여 반사율 및 투과율을 조절하여 다중간섭을 발생시켜 미세공동효과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극(240)의 반사율은 투과 스펙트럼의 선폭 제어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In addition, the reason for limit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240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reason for limiting 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lectrode to adjust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to generate multi-interference to fine microcavity. To implement the effect. Here, the reflectance of the second electrode 240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line width control of the transmission spectrum.

이로써, 미세공동효과를 이용하여 청색, 적색, 녹색, 백색을 구현하는 유기 전계발광소자를 완성한다.As a result,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mplementing blue, red, green, and white colors is completed using the microcavity effect.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 1 화소영역(a), 제 2 화소영역(b), 제 3 화소영역(c) 및 제 4 화소영역(d)을 포함하는 기판(300)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화소영역(a)은 청색화소영역, 적색화소영역 및 녹색화소영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 2 화소영역(b)은 청색화소영역, 적색화소영역, 녹색화소영역 중에서 상기 제 1 화소영역(a)으로 선택되지 않은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 3 화소영역(c)은 청색화소영역, 적색화소영역, 녹색화소영역 중에서 상기 제 1 화소영역(a) 및 상기 제 2 화소영역(b)으로 선택되지 않은 어느 하나이다. 또한 상기 제 4 화소영역은 백색화소영역이다.Referring to FIG. 3, a substrate 300 including a first pixel area a, a second pixel area b, a third pixel area c, and a fourth pixel area d is provided. Here, the first pixel area (a) is any one selected from a blue pixel area, a red pixel area, and a green pixel area. The second pixel area b is any one of the blue pixel area, the red pixel area, and the green pixel area not selected as the first pixel area a. The third pixel area c is any one of the blue pixel area, the red pixel area, and the green pixel area not selected as the first pixel area a and the second pixel area b. The fourth pixel area is a white pixel area.

상기 기판(300) 상에 반사막을 포함하는 제 1 전극(310)을 형성한다. 상기 기판(300)과 상기 제 1 전극(310) 사이에는 박막트랜지스터, 캐패시터, 절연막 등이 더욱 포함될 수 있다. A first electrode 310 including a reflective film is formed on the substrate 300. A thin film transistor, a capacitor, an insulating film,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between the substrate 300 and the first electrode 310.

상기 제 1 전극(310)은 일함수가 높은 ITO 또는 IZO 및 Al, Ag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반사막 포함하는 2 중 구조 또는 3 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electrode 310 may be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or a triple structure including a reflective film made of ITO or IZO having a high work function, and Al, Ag, or an alloy thereof.

이어서, 상기 제 1 전극(310) 상부에 화소정의막(320)을 형성하고 패터닝하여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 화소정의막(320)은 벤조사이클로부텐, 폴리이미드, 폴리아마이드, 아크릴계수지 등의 유기막 또는 스핀 온 글래스와 같은 무기막으로 형 성될 수 있다.Subsequently, an opening is formed by forming and patterning a pixel defining layer 320 on the first electrode 310. The pixel definition layer 320 may be formed of an organic layer such as benzocyclobutene, polyimide, polyamide, acrylic resin, or an inorganic layer such as spin on glass.

이어서, 상기 제 1 전극(310) 상에 각각의 화소별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정공주입층을 형성한다. 상기 정공주입층은 각각의 화소영역별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단일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공주입층은 제 1 정공주입층 및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상기 제 1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 2 정공주입층 또는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 상에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 1 정공주입층 및 상기 제 1 정공주입층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걸쳐 위치하는 제 2 정공주입층을 포함하는 2중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정공주입층,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제 1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정공주입층 및 상기 제 3 화소영역의 제 2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정공주입층을 포함하는 3중 구조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2중 구조인 정공주입층의 후자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겠다.Subsequently, a hole injection layer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for each pixel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310. The hole injection layer may be formed as a single layer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for each pixel region. The hole injection layer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and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areas, and on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or the second and third pixel areas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It may be formed in a double structure including a first hole injection layer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to and a second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including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In addition, a first hole injection layer, a second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and a third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n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of the third pixel region. It may also be formed into a triple structure comprising a lay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tter case of the hole injection layer having a doubl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제 1 전극(310) 상에 제 1 정공주입층(331b,331c)을 레이저 열전사법 을 수행하여 형성한다. 상기 제 1 정공주입층(331b, 331c)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걸쳐 제 2 정공주입층(33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4 화소영역의 제 2 정공주입층(332)의 두께는 200~3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First hole injection layers 331b and 331c are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310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by laser thermal transfer. A second hole injection layer 332 is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including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s 331b and 331c.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332 in the first and fourth pixel areas is preferably 200 to 300 mW.

또한 상기 제 1 정공주입층(331b,331c) 및 상기 제 2 정공주입층(332)의 총두께는 화소별로 차이가 있는데, 적색화소영역일 경우 600~700Å, 녹색화소영역일 경우 300~400Å, 청색화소영역일 경우 50~1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정공주입 층(331b,331c) 및 상기 제 2 정공주입층(332)의 총두께가 차이가 있는 이유는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In addition, the total thicknesses of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s 331b and 331c and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332 are different for each pixel, 600 to 700 Å for the red pixel area, 300 to 400 Å for the green pixel area, In the case of a blue pixel region, it is preferable that it is 50-100 Hz. The reason why the total thicknesses of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s 331b and 331c and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332 are different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이어서, 상기 제 2 정공주입층(332) 상에 제 1 발광층(333)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및 3 화소영역의 상기 제 1 발광층(333) 상에 제 2 발광층(334)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발광층(334) 상에 제 3 발광층(335)을 형성한다. 이로써 유기막층(330)을 완성한다. 상기 제 1 발광층(333), 상기 제 2 발광층(334) 및 상기 제 3 발광층(335)의 두께는 각각 30~3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광층들에 대한 설명은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Subsequently, a first emission layer 333 is formed on the second hole injection layer 332.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334 is formed on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333 in the second and third pixel areas, and a third light emitting layer 335 is formed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334. This completes the organic layer 330.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333,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334,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layer 335 are respectively 30 to 300 μm. Description of the light emitting layers is the same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상기 유기막층(330) 상에 제 2 전극(340)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전극(340)에 대한 설명도 도 2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내용과 동일함으로 생략한다.The second electrode 340 is formed on the organic layer 330. Here,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electrode 340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FIG.

이로써, 제 1 화소영역, 제 2 화소영역, 제 3 화소영역 및 제 4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완성한다.As a result,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the first pixel region, the second pixel region, the third pixel region, and the fourth pixel region is completed.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들어 예시하기로 하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llustra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examples.

<실시예1>Example 1

청색화소영역의 기판 상에 알루미늄을 1000Å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알루미늄 상에 ITO을 125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ITO 상에 정공주입층으로 이데미츠사의 IDE406을 7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정공수송층으로 이데미츠사의 IDE320을 15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D512를 3wt% 함유한 청색발광층을 6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청색발광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GD206을 6wt% 함유한 녹색발광층을 10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녹색 발광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P1을 9wt% 함유한 적색 발광층 물질을 150Å으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녹색 발광층 상에 전자수송층인 Alq3를 150Å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전자주입층인 LiF를 5Å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자주입층 상에 캐소드 전극으로 알루미늄을 10Å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알루미늄 상에 은을 25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Aluminum was formed on the substrate of the blue pixel region to a thickness of 1000 Å, and ITO was formed on the aluminum to 125 Å thickness. Idemit's IDE406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70 Å as the hole injection layer on the ITO. Idemit's IDE320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50 Å as a hole transport layer on the hole injection layer. On the hole transport layer, a blue light emitting layer containing BW215 of Idemitsu Co., Ltd. as a host material and 3 wt% of BD512 of Idemitsu Co., Ltd.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60 Hz. On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containing 6 wt% of Idemitsu Co., Ltd. BH215 as a host material and Idemitsu Co., Ltd.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μs. Subsequently, a red light emitting layer material containing 150 wt% of BH215 of Idemitsu Corp. as a host material and 9 wt% of P1 of Idemitsu Corp.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on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Subsequently, Alq3, which is an electron transport layer, was formed on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to a thickness of 150 GPa, and LiF, which wa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was formed 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Subsequently, aluminum was formed on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by using a cathode at a thickness of 10 kPa, and silver was formed on the aluminum at a thickness of 250 kPa.

<실시예2>Example 2

녹색화소영역의 기판 상에 알루미늄을 1000Å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알루미늄 상에 ITO을 125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ITO 상에 정공주입층으로 이데미츠사의 IDE406을 30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정공수송층으로 이데미츠사의 IDE320을 15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D512를 3wt% 함유한 청색발광층을 6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청색발광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GD206을 6wt% 함유한 녹색발광층을 10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녹색 발광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 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P1을 9wt% 함유한 적색 발광층 물질을 150Å으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녹색 발광층 상에 전자수송층인 Alq3를 150Å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전자주입층인 LiF를 5Å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자주입층 상에 캐소드 전극으로 알루미늄을 10Å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알루미늄 상에 은을 25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Aluminum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000 Å on the substrate of the green pixel region, and ITO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25 Å on the aluminum. Idemit's IDE406 wa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300 mm 3 as a hole injection layer on the ITO. Idemit's IDE320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50 Å as a hole transport layer on the hole injection layer. On the hole transport layer, a blue light emitting layer containing BW215 of Idemitsu Co., Ltd. as a host material and 3 wt% of BD512 of Idemitsu Co., Ltd.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60 Hz. On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containing 6 wt% of Idemitsu Co., Ltd. BH215 as a host material and Idemitsu Co., Ltd.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μs. Subsequently, on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a red light emitting layer material containing 150 wt% of BH215 of Idemitsu Co., Ltd. as a host material and 9 wt% of P1 of Idemitsu Co., Ltd.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Subsequently, Alq3, which is an electron transport layer, was formed on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to a thickness of 150 GPa, and LiF, which wa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was formed 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Subsequently, aluminum was formed on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by using a cathode at a thickness of 10 kPa, and silver was formed on the aluminum at a thickness of 250 kPa.

<실시예3>Example 3

적색화소영역의 기판 상에 알루미늄을 1000Å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알루미늄 상에 ITO을 125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ITO 상에 정공주입층으로 이데미츠사의 IDE406을 62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정공수송층으로 이데미츠사의 IDE320을 15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D512를 3wt% 함유한 청색발광층을 6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청색발광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GD206을 6wt% 함유한 녹색발광층을 10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녹색 발광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P1을 9wt% 함유한 적색 발광층 물질을 150Å으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녹색 발광층 상에 전자수송층인 Alq3를 150Å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전자주입층인 LiF를 5Å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자주입층 상에 캐소드 전극으로 알루미늄을 10Å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알루미늄 상에 은을 25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Aluminum was formed on the substrate of the red pixel region to a thickness of 1000 Å, and ITO was formed on the aluminum to a thickness of 125 Å. Idemit's IDE406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620 kPa as the hole injection layer on the ITO. Idemit's IDE320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50 Å as a hole transport layer on the hole injection layer. On the hole transport layer, a blue light emitting layer containing BW215 of Idemitsu Co., Ltd. as a host material and 3 wt% of BD512 of Idemitsu Co., Ltd.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60 Hz. On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containing 6 wt% of Idemitsu Co., Ltd. BH215 as a host material and Idemitsu Co., Ltd.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μs. Subsequently, a red light emitting layer material containing 150 wt% of BH215 of Idemitsu Corp. as a host material and 9 wt% of P1 of Idemitsu Corp.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on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Subsequently, Alq3, which is an electron transport layer, was formed on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to a thickness of 150 GPa, and LiF, which wa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was formed 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Subsequently, aluminum was formed on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by using a cathode at a thickness of 10 kPa, and silver was formed on the aluminum at a thickness of 250 kPa.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청색화소영역의 기판 상에 알루미늄을 1000Å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알루미늄 상에 ITO을 125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ITO 상에 정공주입층으로 이데미츠사의 IDE406을 12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정공수송층으로 이데미츠사의 IDE320을 15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수송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D512를 3wt% 함유한 청색발광층을 6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청색발광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GD206을 6wt% 함유한 녹색발광층을 10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녹색 발광층 상에 호스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BH215, 도펀트 물질로 이데미츠사의 P1을 9wt% 함유한 적색 발광층 물질을 150Å으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녹색 발광층 상에 전자수송층인 Alq3를 150Å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전자수송층 상부에 전자주입층인 LiF를 5Å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전자주입층 상에 캐소드 전극으로 알루미늄을 10Å의 두께로 형성하였고, 상기 알루미늄 상에 은을 250Å의 두께로 형성하였다.Aluminum was formed on the substrate of the blue pixel region to a thickness of 1000 Å, and ITO was formed on the aluminum to 125 Å thickness. Idemit's IDE406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20 으로 as the hole injection layer on the ITO. Idemit's IDE320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50 Å as a hole transport layer on the hole injection layer. On the hole transport layer, a blue light emitting layer containing BW215 of Idemitsu Co., Ltd. as a host material and 3 wt% of BD512 of Idemitsu Co., Ltd.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60 Hz. On the blue light emitting layer,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containing 6 wt% of Idemitsu Co., Ltd. BH215 as a host material and Idemitsu Co., Ltd.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to a thickness of 100 μs. Subsequently, a red light emitting layer material containing 150 wt% of BH215 of Idemitsu Corp. as a host material and 9 wt% of P1 of Idemitsu Corp. as a dopant material was formed on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Subsequently, Alq3, which is an electron transport layer, was formed on the green light emitting layer to a thickness of 150 GPa, and LiF, which was an electron injection layer, was formed on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Subsequently, aluminum was formed on the electron injection layer by using a cathode at a thickness of 10 kPa, and silver was formed on the aluminum at a thickness of 250 kPa.

도 4 는 <실시예1>의 발광스펙트럼 및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x축은 파장(단위:㎚)이고, y축은 강도(a.u.:arbitrary unit)를 나타낸다.4 is a graph showing the emission spectrum and the intensity of <Example 1>. The x-axis represents wavelength (unit: nm), and the y-axis represents intensity (a.u.:arbitrary unit).

도 4를 참조하면, 강도가 대략 3.1이며, 파장영역 460~480㎚ 사이에서 최대 피크를 나타내며, 최대피크가 청색의 파장범위 내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intensity is approximately 3.1, the maximum peak is shown between the wavelength range of 460 to 480 nm, and the maximum peak is located in the blue wavelength range.

도 5 는 <실시예2>의 발광스펙트럼 및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x축은 파장(단위:㎚)이고, y축은 강도(a.u.:arbitrary unit)를 나타낸다.FIG. 5 is a graph showing the emission spectrum and the intensity of Example 2. FIG. The x-axis represents wavelength (unit: nm), and the y-axis represents intensity (a.u.:arbitrary unit).

도 5를 참조하면, 강도가 대략 1.5이고, 파장영역 520~560㎚ 사이에서 최대 피크를 나타내며, 최대 피크가 녹색의 파장범위 내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intensity is approximately 1.5, the maximum peak is indicated between the wavelength range of 520 to 560 nm, and the maximum peak is located within the wavelength range of green.

도 6은 <실시예3>의 발광스펙트럼 및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x축은 파장(단위:㎚)이고, y축은 강도(a.u.:arbitrary unit)를 나타낸다.6 is a graph showing the emission spectrum and intensity of <Example 3>. The x-axis represents wavelength (unit: nm), and the y-axis represents intensity (a.u.:arbitrary unit).

도 6을 참조하면, 강도가 대략 1.3이고, 파장영역 640~680㎚ 사이에서 최대 피크를 나타내며, 최대 피크가 적색의 파장범위 내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intensity is about 1.3, the maximum peak is indicated between 640 nm and 680 nm, and the maximum peak is located within the red wavelength range.

도 7은 <비교예1>의 발광스펙트럼 및 강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x축은 파장(단위:㎚)이고, y축은 강도(a.u.:arbitrary unit)를 나타낸다.7 is a graph showing the emission spectrum and intensity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x-axis represents wavelength (unit: nm), and the y-axis represents intensity (a.u.:arbitrary unit).

도 7을 참조하면, 강도가 2이고, 파장영역 480~500㎚ 사이에서 나타내며, 최대피크가 녹색과 청색의 혼합색이 구현되는 영역 내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intensity is 2, the wavelength range is between 480 nm and 500 nm, and the maximum peak is located in the region where the mixed color of green and blue is realiz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칼라필터 없이 정공주입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백색광에서 풀칼라를 구현 할 수 있다. 컬러필터가 없기 때문에 공정의 단순화 및 제조비용 등의 효과가 있다.As suc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full color in white light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without a color filter. Since there is no color filter, there is an effect of simplifying the process and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수동형 유기전계발광소자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passiv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will b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컬러필터 없이 정공주입층의 두께를 조절하여 미세공동효과를 구현하며, 이로 인하여 유기전계발광소자의 풀칼라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컬러필터가 없기 때문에 공정이 단순화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microcavity effect by adjusting 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without a color filter, and thus, the full color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an be realized. 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color filter, the process is simplified and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Claims (14)

제 1,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A substrate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반사막을 포함하는 제 1 전극;A first electrode on the substrate, the first electrode including a reflective film;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고, 각각의 화소영역별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발광층,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제 1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발광층 및 상기 제 2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A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for each pixel region, a first emission layer positioned on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a first emission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and second pixel regions; An organic film layer including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and a third light emitting layer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상기 유기막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electrode located on the organic film lay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기판은 제 4 화소영역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And the substrate further comprises a fourth pixel reg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화소영역의 정공주입층의 두께는 200~3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The hole injection layer of the first pixel reg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200 ~ 300 계.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정공주입층의 두께는 적색화소영역일 경우 600~700Å, 녹색화소영역일 경우 300~400Å, 청색화소영역일 경우 50~1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The thickness of the hole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areas is 600 to 700 Å for the red pixel area, 300 to 400 Å for the green pixel area, and 50 to 100 Å for the blue pixel area.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정공주입층은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 상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 1 정공주입층 및 상기 제 1 정공주입층을 포함하는 기판 전면에 걸쳐 위치하는 제 2 정공주입층을 포함하는 2중 구조 또는 기판 전면에 걸쳐 위치하는 제 1 정공주입층 및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제 1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고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 2 정공주입층을 포함하는 2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The hole injection layer includes a first hole injection layer disposed on the second and third pixel areas and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and a second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including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A double structure or a double structure comprising a first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hole injection layer located on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and having different thickness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정공주입층은 기판 전면에 걸쳐 위치하는 제 1 정공주입층,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상기 제 1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정공주입층 및 상기 제 3 화소영역의 상기 제 2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정공주입층을 포함하는 3중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The hole injection layer may include a first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a second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hole injection layer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and the third pixel region of the third pixel region. 2.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triple structure including a third hole injection layer positioned on a hole injection lay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2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발광층 중에서 상기 제 1 발광층으로 선택되지 않은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 3 발광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발광층 중에서 상기 제 1 발광층 및 제 2 발광층으로 선택되지 않은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is any one selected from among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s,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is any one selected from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among red, green, and blue light emitting layers,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layer is red, green. And a blue light emitting layer which is not selected as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발광층은 청색발광층, 상기 제 2 발광층은 녹색발광층 및 상기 제 3 발광층은 적색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Wherein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is a blue light emitting layer,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is a green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layer is a red light emitting lay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발광층, 상기 제 2 발광층 및 상기 제 3 발광층의 두께는 각각 30~3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The thickness of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and the third light emitting layer is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30 ~ 300Å.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4 화소영역은 기판; The fourth pixel region may include a substrate;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A first electrode on the substrate;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발광층, 상기 제 1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발광층 및 상기 제 2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A hole injection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on the hole injection layer,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on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and a third light emitting layer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Organic film layer; 상기 유기막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ompris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organic film lay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 4 화소영역은 백색화소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And the fourth pixel area is a white pixel area. 제 1,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을 제공하고,Providing a substrate including first,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상기 기판 상에 반사막을 포함하는 제 1 전극을 형성하고,Forming a first electrode including a reflective film on the substrate,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고 각각의 화소영역별로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발광층, 상기 제 2 및 제 3 화소영역의 제 1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발광층, 상기 제 2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을 형성하고,A hole injection layer disposed on the first electrode and having a different thickness for each pixel region, a first emission layer positioned on the hole injection layer, and a first emission layer positioned on the first emission layer of the second and third pixel regions Forming an organic film layer including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and a third light emitting layer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상기 유기막층 상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second electrode on the organic film layer.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기판은 제 4 화소영역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The substrate further comprises a fourth pixel region.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 4 화소영역은 기판; The fourth pixel region may include a substrate;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제 1 전극;A first electrode on the substrate; 상기 제 1 전극 상에 위치하는 정공주입층, 상기 정공주입층 상에 위치하는 제 1 발광층, 상기 제 1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발광층 및 상기 제 2 발광층 상에 위치하는 제 3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막층;A hole injection layer on the first electrode, a first light emitting layer on the hole injection layer, a second light emitting layer on the first light emitting layer, and a third light emitting layer on the second light emitting layer Organic film layer; 상기 유기막층 상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And a second electrode disposed on the organic layer.
KR1020060074878A 2006-08-08 2006-08-08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tive KR1007966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878A KR100796602B1 (en) 2006-08-08 2006-08-08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878A KR100796602B1 (en) 2006-08-08 2006-08-08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6602B1 true KR100796602B1 (en) 2008-01-21

Family

ID=3921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878A Active KR100796602B1 (en) 2006-08-08 2006-08-08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66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384A (en) * 2010-03-31 2011-10-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assive matrix OLD module with reflect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975A (en) 2003-05-29 2004-12-16 Sony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KR20060007899A (en) * 2004-07-22 2006-01-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60039460A (en) * 2004-11-03 2006-05-09 (주)그라쎌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06156344A (en) 2004-09-24 2006-06-1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55975A (en) 2003-05-29 2004-12-16 Sony Corp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KR20060007899A (en) * 2004-07-22 2006-01-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6156344A (en) 2004-09-24 2006-06-1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KR20060039460A (en) * 2004-11-03 2006-05-09 (주)그라쎌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384A (en) * 2010-03-31 2011-10-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assive matrix OLD module with reflectiv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46263B1 (en) * 2010-03-31 2016-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assive matrix oled module having reflec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7388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434361B1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color display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US7098590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optical resonance effect
CN102956673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its manufacture method
KR10105810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7859188B2 (en) LED device having improved contrast
US6121726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color display having color transmitting layers and fluorescence converting layer with improved structure for color conversion efficiency on a color transmitting layer
US842704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WO2022078138A1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display panel
KR10139921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60046476A (en) Electroluminescence Panel
KR100874321B1 (en) Light 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TW201503450A (en) Illumina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lighting device
KR10152048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de de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of
JP2007141789A (en) LIGHT EMITT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KR100796602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303011B2 (en) Top-emit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694627B (en) Front emission type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CN114050220A (en) Transparent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preparation method
KR20040048235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optical resonator
KR101989086B1 (en) Oled lighting el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79475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0796610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2184574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101373438B1 (en) Whit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