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5515B1 -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515B1
KR100795515B1 KR1020070003238A KR20070003238A KR100795515B1 KR 100795515 B1 KR100795515 B1 KR 100795515B1 KR 1020070003238 A KR1020070003238 A KR 1020070003238A KR 20070003238 A KR20070003238 A KR 20070003238A KR 100795515 B1 KR100795515 B1 KR 100795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emisinin
skin
present
skin whiten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훈
이종성
정광선
정은선
김새봄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5515B1/ko
Priority to JP2009545491A priority patent/JP2010515725A/ja
Priority to US12/522,381 priority patent/US20100061948A1/en
Priority to PCT/KR2008/000136 priority patent/WO200808498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5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1In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92Oral adminis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테미시닌은 멜라닌 생성과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함으로써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므로,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에 매우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rtemisinine}
본 발명은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피부 내부의 멜라닌(melanin) 농도와 분포에 따라 결정되어진다. 인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자외선으로 발생하는 피부손상을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멜라닌 생합성에는 멜라닌 세포에 존재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의 작용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티로시나제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e)을 멜라닌 중합체 생성의 중간산물인 도파(DOPA, 디히드록시페닐알라닌)와 도파퀴논(dopaquinone)으로 전환함으로써 피부 흑화과정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멜라닌의 합성이 피부 내에서 과도하게 일어나면, 피부 톤을 어둡게 하고,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키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 내의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시키면, 피부 톤을 밝게 하여 피부 미백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및 유전적 원인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 소 침착증을 개선시킬 수 있다.
종래에는 피부 미백이나 피부 과색소 침착증을 개선하기 위하여, 히드로퀴논 (hydroquinone), 아스콜빈산(ascorbic acid), 코직산(kojic acid), 글루타치온 (glutathione) 및 시스테인과 같은 티로시나제에 대해 저해 활성을 갖는 물질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히드로퀴논은 소정의 미백효과를 발휘하지만 피부자극성이 심하여 배합량을 극소량으로 제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아스콜빈산은 산화되기 쉬워 이를 배합한 화장료의 경우 변색, 변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코직산은 용액 내에서 불안전하여 화장료의 제조공정이 복잡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글루타치온 및 시스테인 등의 티올계 화합물은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가질 뿐만 아니라 경피흡수에도 문제점이 있고, 이들의 배당체 및 유도체들도 극성이 높으므로 화장료의 배합 성분으로 사용하기는 어렵다. 그 외에 비타민 C의 경우 수용액 상태에서 쉽게 산화되어 지속적인 효과를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 생약재 추출물들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들이 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 색깔을 띄고 있어 배합상에서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효성분이 동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제품 제조시 동일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아테미시닌은 개똥쑥(Artemisia annua L) 유래의 물질로서, 말라리아균인 plasmodium berghei의 세포막 형성 물질에 직접 작용하여 그를 사멸시키는 사실이 밝혀졌다. 약학적 응용사례를 보면, 아테미시닌은 삼일열, 클로로퀸 (chloroquin) 저항 말라리아, 디스토마에 대한 유효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 다. 또한, 동양의약적으로 독감발열, 학질, 소화불량, 건위약, 서체(暑滯), 이질, 악창(惡瘡) 개선에 이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천연 물질인 아테미시닌의 효능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피부 미백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대해 연구하던 중, 아테미시닌이 멜라닌 생성과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함으로써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7002855708-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아테미시닌은 천연 생약재, 예를 들어 개똥쑥으로부터 추출·분리하여 사용하거나, 화학적인 합성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시판되는 시약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테미시닌은 멜라닌 생성과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함으로써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므로,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에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미백을 위한 화장품 또는 의약품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서, 아테미시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아테미시닌의 함량이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미백 효과가 너무 미약하 고,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미백 효과의 증가가 미비하고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은, 아테미시닌과 함께 피부 미백 효과를 갖는 공지의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갖기 위하여, 유효성분인 아테미시닌 이외에 추가로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또는 담체를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오일, 식물성 오일,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오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콜 설페이트, 지방족 알콜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콜,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아테미시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미백 효과를 갖기 위하여, 유효성분인 아테미시닌 이외에 추가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용 제형; 연고, 크림 등의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 등을 비롯하여 약제학적 제제에 적합한 어떠한 형태로든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외용제의 경우, 상기 아테미시닌의 일일 투 여량은 1.0 내지 3.0㎖가 바람직하고, 하루 1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경구용 제형의 경우, 상기 아테미시닌의 일일 투여량은 0.1 내지 100㎎/㎏이 바람직하고, 하루 일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아테미시닌의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쥐의 색소세포(B16 melanoma cells)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한 아테미시닌은 Sigma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murine melanoma(B16 F10) 세포를 10%의 FBS(fetal bovine serum)가 함유된 DMEM 배지로 6-웰 플레이트에 웰당 1×105 개로 접종한 후, 5% CO2 37℃ 하에서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적당 농도로 희석된 배지에 교체한 후, 5% CO2 및 37 ℃ 하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아테미시닌의 농도범위는 세포독성이 없는 10 μM, 50 μM, 100 μM로 결정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phosphated buffer saline)로 세척하고, 이것을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혈구계 (hemato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후 5,000 내지 10,000 rpm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여 펠렛(pellet)을 얻었다. 이 세포 펠렛을 60℃에서 건조한 후, 10% DMSO가 함유된 1M 수산화나트륨액 100 ㎕를 넣어 60℃ 항온조에서 세포 내 멜라닌을 얻었다. 이 액을 가지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microplate reader)로 49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수당 멜라닌 양을 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처리 농도(μM) 멜라닌 생성 억제율(%)
아테미시닌 10 22
50 50
100 65
알부틴 100 52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테미시닌은 알부틴보다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2 :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아테미시닌의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쥐의 색소세포(B16 melanoma cells)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murine melanoma(B16 F10) 세포를 10%의 FBS가 함유된 DMEM 배지로 6-웰 플레이트에 웰당 1×105 개로 접종한 후, 5% CO2 37℃ 하에서 세포가 웰 바닥에 약 80% 이상 부착될 때까지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적당 농도로 희석된 배지에 교체한 후, 5% CO2 및 37 ℃ 하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아테미시닌의 농도범위는 세포독성이 없는 10 μM, 50 μM, 100 μM로 결정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이것을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세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세포는 혈구계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측정한 후 5,000 내지 10,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한 다음 상등액을 제거하여 펠렛을 얻었다. 이 세포 펠렛을 분해완충액 (lysis buffer)을 이용하여 분쇄한 후, 12,000 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수집하였다. 이 액을 가지고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로 492㎚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일정수당 티로시나제 활성을 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알부틴을 사용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시료 처리 농도(μM)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
아테미시닌 10 19
50 38
100 67
알부틴 100 45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테미시닌은 알부틴보다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율이 높게 나타났다.
실시예 3 : 동물수준에서의 미백 효과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아테미시닌의 동물수준에서의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람과 유사하게 자외선에 의해 색소침착이 생긴다고 알려진 갈색 몰모토 (Tortoiseshell guinea pigs; Brown guinea pigs)를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갈색 몰모토에서 자외선(UV)에 의한 색소침착을 유발하기 위하여, 갈색 몰모토 배위의 털을 제거한 피부에 3×3 ㎠의 정방형 창문이 뚫린 차광용 알루미늄 호일을 접착시킨 후, SE lamp(파장 290~320 ㎚, Toshiba)로 자외선을 조사하였다(총조사 에너지량 = 1350 mJ/㎠). 자외선 조사 후 알루미늄 호일을 벗겨내고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시료(아테미시닌 및 알부틴)를 도포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2~3일 후에 색소침착이 나타났으며, 약 2주 후에 최고에 도달하였고, 이때부터 각 시료를 도포하였다. 도포횟수는 1일 1회 또는 2회로, 50일간 계속하였다. 시료는 특정한 용매(프로필렌 글리콜:에탄올:물 = 5:3:2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용해 및 희석하였으며, 면봉으로 도포하고, 다른 부위에 반드시 용매를 도포하는 대조부위를 마련하였다. 효과 판정과 함께 누적자극성 여부도 관찰하였다.
색차계(미놀타 CR2002 chromameter)를 사용하여 피부의 흑백정도를 측정하여 효과를 판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데는 L*A*B* 표색계를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L*값을 지표로 하였다. L*값은 표준 백판으로 교정하며, L*값은 1개 부위에 5회 이상 반복하여 측정하였고, 색소침착을 균등하게 하였다. 도포 시작시점과 완료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하기 수학식 1로 구하고, 이 값으로 효과를 판정하였다.
△L* = 도포 완료일의 L*값 - 도포 개시일의 L*
△L* 값을 시료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에 대해서 구한 후 비교하면, 미백물질의 효과를 알 수 있다.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처리 농도(%) 미백효과(△L)
아테미시닌 0.2 0.40
1.0 0.65
알부틴 1.0 0.55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테미시닌은 알부틴보다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시료도포시험 중 누적 자극을 보이지 않았으므로 안전성 또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 확인 실험
본 발명에 따른 아테미시닌의 인체 피부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피부 외용제의 제조
아테미시닌을 함유한 피부 외용제는 하기 표 4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대조군은 티로시나제 저해제를 포함하지 않은 피부 외용제이며, 시험군은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이고, 비교 시험군은 알부틴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이다.
피부 외용제의 제조를 위하여, 정제수, 글리세린, 부틸렌 글리콜을 혼합하고 70℃에서 용해하였으며(수상 파트), 상기 세 성분과 트리메탄올아민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70℃에서 용해하였다(유상 파트). 상기 유상 파트를 수상 파트에 첨가하고 호모믹서(일본 Tokushu Kika사)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하였고, 여기에 트리메탄올아민을 최종 첨가하였다. 혼합액에 생성된 기포를 제거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피부 외용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
대조군 시험군 비교 시험군
정제수 72.0 72.0 72.0
글리세린 8.0 8.0 8.0
부틸렌 글리콜 4.0 4.0 4.0
아테미시닌 - 1.0 -
알부틴 - - 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8.0 8.0
스쿠알란 5.0 5.0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0.4
세테아릴 알콜 1.0 1.0 1.0
트리메탄올아민 0.1 0.1 0.1
총 중량 100 100 100
2. 피부누적 자극 시험
상기 1에서 제조한 각 피부 외용제를 사용하여, 20~40대의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남자-15명, 여자-15명)을 대상으로 윗 팔뚝 부위에 격일로 총 9회의 24시간 누적첩포를 시행하여, 아테미시닌이 피부에 자극을 주는지의 여부를 측정하였다.
첩포 방법은 핀 챔버(Finn chamber, Epitest Ltd, 핀란드)를 이용하였다. 챔버에 상기 1에서 제조한 각 피부 외용제를 15㎕씩 적하한 후 첩포를 실시하였다. 매회 피부에 나타난 반응 정도를 하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점수화하였다.
평균 반응도 = {[(반응지수×반응도) / (총피검자수×최고점수(4점))] × 100} ÷ 검사횟수 (9회)
이때, 반응도에서 ±는 1점, +는 2점, ++는 4점의 점수를 부여하며, 평균 반응도가 3 미만일 때 안전한 조성물로 판정하였다.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반응이 나타난 피검자 수 평균 반응도
1주 2주 3주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7차 8차 9차
±+ ++ ±+ ++ ±+ ++ ±+ ++ ±+ ++ ±+ ++ ±+ ++ ±+ ++ ±+ ++
대조군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시험군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비교 시험군 2 - - - - - - - - - - - - - - - - - - - - - - - - - - 0.18
피검인원 30 30 30 30 30 30 30 30 30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시험군)의 경우 ±, +, ++에 해당하는 사람의 수가 각각 2명, 0명, 0명이었고, 그 외 나머지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평균 반응도가 0.18로 3 미만이므로, 안전한 조성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시험군)는 대조군이나 알부틴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비교 시험군)와 같이 뚜렷한 누적자극 양상을 나타내지 않아, 인체 피부에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화장료 제제
1. 유연화장수 (함량 : 중량%)
아테미시닌 0.01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2.0
프로필렌 글리콜 2.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2. 영양화장수 (함량 : 중량%)
아테미시닌 0.01
밀납 4.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5.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3. 영양크림 (함량 : 중량%)
아테미시닌 0.005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4. 맛사지 크림 (함량 : 중량%)
아테미시닌 0.005
밀납 10.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8
유동파라핀 4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 글리콜 3.0
프로필렌 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5. 팩 (함량 : 중량%)
아테미시닌 0.005
폴리비닐알콜 13.0
소듐카복시메틸셀룰로스 0.2
알란토인 0.1
에탄올 5.0
노닐페닐에테르 0.3
방부제, 미량색소, 미량향료, 미량정제수 잔량
총계 100.0
제제예 2 : 약학적 제제
1. 산제의 제조
아테미시닌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아테미시닌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아테미시닌 100㎎
옥수수전분 100㎎
유 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아테미시닌은 멜라닌 생성과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함으로써 미백효과가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피부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므로,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에 매우 효과적이 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02855708-pat0000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테미시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7002855708-pat00003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테미시닌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01 내지 15 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약학 조성물.
KR1020070003238A 2007-01-11 2007-01-11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Active KR100795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238A KR100795515B1 (ko) 2007-01-11 2007-01-11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JP2009545491A JP2010515725A (ja) 2007-01-11 2008-01-09 アルテミシニンを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US12/522,381 US20100061948A1 (en) 2007-01-11 2008-01-09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rtemisinine
PCT/KR2008/000136 WO2008084983A1 (en) 2007-01-11 2008-01-09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artemisin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238A KR100795515B1 (ko) 2007-01-11 2007-01-11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515B1 true KR100795515B1 (ko) 2008-01-16

Family

ID=3921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238A Active KR100795515B1 (ko) 2007-01-11 2007-01-11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061948A1 (ko)
JP (1) JP2010515725A (ko)
KR (1) KR100795515B1 (ko)
WO (1) WO200808498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061B1 (ko) 2012-01-10 2014-10-22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테미신산, 이의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I3137052T1 (sl) 2014-04-28 2019-01-31 Epipharm Ag Zdravljenje ali preprečevanje seboreične keratoze z uporabo artemizinina in njegovih derivatov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1255A (ko) * 1989-04-10 1991-08-07 원본미기재 아르테미시닌 및 이 유도체를 사용한 피부병의 치료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6204A (en) * 1987-07-31 1990-04-10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Pure polyanhydride from dicarboxylic acid and coupling agent
JPH03170422A (ja) * 1989-11-22 1991-07-24 Dermatologic Res Corp 皮膚疾患の治療法
JP3667027B2 (ja) * 1997-03-06 2005-07-06 株式会社ノエビア 皮膚外用剤
AU747407B2 (en) * 1998-04-14 2002-05-16 Bioagency Ag Use of organophosphoric compounds for the therapeutic and preventative treatment of infections
JP4280341B2 (ja) * 1998-11-09 2009-06-17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保湿性植物抽出物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AU2322800A (en) * 1999-02-02 2000-08-25 Kansai Koso Co., Ltd. Testosterone-5alpha-reductase inhibitors, hair growth stimulant/hair nourishment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for whitening cosmetics
AU2003233509A1 (en) * 2002-05-07 2003-11-11 University Of Mississipi Artemisinin-based peroxide compounds as broad spectrum anti-infective agents
US20070269537A1 (en) * 2003-02-10 2007-11-22 Bioderm Research Skin Condition Improvement Including Acne, Rosacea, and Topical Wounds by Artemisia Annua Extract via Iron Siderophore Trojan Horse Delivery System
JP4390809B2 (ja) * 2004-01-07 2009-12-24 イーエルシー マネージメント エルエルシー 発毛遅延のための化粧品組成物及び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1255A (ko) * 1989-04-10 1991-08-07 원본미기재 아르테미시닌 및 이 유도체를 사용한 피부병의 치료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Theories and Applications of Chem. Eng., 2004, Vol. 10, No. 2
강화쑥미용비누(햇님 쇼핑몰) 2006-09-01
민족의학신문제576호등록일: 2006/08/25[리포트] 싸자리 추출물, 기존물질보다 미백효과 커
한국식품영양학회 제14권 6호 568-572 2001년 12월 31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061B1 (ko) 2012-01-10 2014-10-22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아테미신산, 이의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61948A1 (en) 2010-03-11
WO2008084983A1 (en) 2008-07-17
JP2010515725A (ja)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533B1 (ko) 알파 비사볼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492074B1 (ko) 수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60019772A (ko) 풀키네노시드 b4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JP2010535758A (ja) ジオスゲニンを含む皮膚美白用組成物
KR100886743B1 (ko) 지페노사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제 또는 발모제
KR101026879B1 (ko)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60109B1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08694B1 (ko) 라파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9708A (ko) 아프젤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795514B1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245563B1 (ko) 마데카소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제
KR100795515B1 (ko) 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25902B1 (ko) 하이드록삼산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24060B1 (ko) 퓨린 유도체를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 조성물
KR102731149B1 (ko) 리퀴댐버릭 락톤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550A (ko) 슈잔드린 및 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063147B1 (ko) 진세노사이드 Ro(ginsenoside Ro)를함유하는 조성물
KR101161738B1 (ko) 진센노사이드 알에이치2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JP2011511063A (ja) プラチコジン−dを含有する皮膚美白剤
KR100901519B1 (ko) 플라티코딘-디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제
KR100862969B1 (ko) 바르비투르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제
KR101155695B1 (ko) 진센노사이드 알지3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00016815A (ko) 돌나물 추출물 및 알부틴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90097059A (ko) 헤스페레틴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 촉진 조성물
KR20100085562A (ko) 프로파페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