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262B1 - Brake device and elevator hoist - Google Patents
Brake device and elevator hois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5262B1 KR100795262B1 KR1020057019849A KR20057019849A KR100795262B1 KR 100795262 B1 KR100795262 B1 KR 100795262B1 KR 1020057019849 A KR1020057019849 A KR 1020057019849A KR 20057019849 A KR20057019849 A KR 20057019849A KR 100795262 B1 KR100795262 B1 KR 1007952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ke
- mounting member
- brake device
- elevator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87—Devices facilitating maintenance, repair or inspection tas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1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 B66D5/14—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axial effect embodying dis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24—Operating devices
- B66D5/30—Operating devices electric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9/00—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 F16D59/02—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spring-loaded and adapted to be released by mechanical, fluid, or electromagnetic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75—Constructional features of axially engaged brakes
- F16D2055/0091—Plural actuators arranged side by side on the same side of the r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F16D2121/22—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for releasing a normally applied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는,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본체가 브레이크 설치 부재에 장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설치 부재는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브레이크 설치 부재는 고정구에 의해 지지부에 대해 고정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설치 부재의 회전은 고정구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In the brake device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rota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portion, the brake device main body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is attached to the brake installation member. The brake mounting member is rotatable about the rotation center of the rotating body. The brake mounting member is fixed to the support by a fastener. In addition, the rotation of the brake mounting member is regulated by the faste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권상기 등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장치,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or example, a brake device installed in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or the like, and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예를 들면 일본특허 특개평 11-49460호 공보에는, 엘리베이터 권상기의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되는 브레이크 디스크를 한 쌍의 브레이크 슈로 사이에 끼움으로써 브레이크 디스크 및 회전축의 회전을 제동하는 종래의 브레이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49460 discloses a conventional brake device that brakes rotation of a brake disc and a rotating shaft by sandwiching a brake disk that is integrally rotated with a rotating shaft of an elevator hoist between a pair of brake shoes. It is.
이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슈의 마모 상태 등이 정기적으로 점검된다.In such a brake apparatus, the wear state of a brake shoe, etc. are checked regularly.
그러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승강로 내의 바닥부나 상부의 좁은 공간 내에 엘리베이터 권상기가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원의 손이 닿기 어려운 위치에 브레이크 장치가 배치되는 경우가 있어서, 보수 점검 작업의 작업 효율이 저하되고 마는 경우가 있었다.However, in the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since the elevator hoisting machine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narrow part of the bottom part or upper part in a hoistway, a brake apparatus may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is hard to reach a worker, and the work efficiency of maintenance inspection work falls. There was a case to dr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수 점검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ubjects, and an object of this invention is to obtain the brake apparatus which can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maintenance inspection work.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는,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브레이크 설치 부재, 지지부에 대해 브레이크 설치 부재를 고정하여 브레이크 설치 부재의 회전을 규제하는 고정구, 및 브레이크 설치 부재에 장착되어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The brak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ke mounting member that is rotatable about a rotational center of a rotating body, a fastener that fixes the brake mounting member to the support portion to restrict rotation of the brake mounting member, and a brake mounting member that is rotated. The brake device main body which brakes the whole rotation is provided.
또,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모터부를 포함하는 권상기 본체, 구동 쉬브를 포함하며 모터부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체, 권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체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회전체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본체를 갖는 브레이크 장치, 및 권상기 본체에 대한 브레이크 장치 본체의 회전 변위를 규제하는 고정구를 구비하고 있다.In addition, the hoist for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isting unit main body including a motor unit, a drive sheave, a rotating body rotat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unit, and rotational displacement i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of the hoisting machine. And a brake device having a brake device body for braking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body, and a fixture for restricting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brake device body relative to the hoisting machine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나타내는 측면도,FIG.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hoist for elevator of FIG. 1;
도 3은 도 2의 브레이크 장치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ake device of FIG.
도 4는 도 2의 브레이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brake device of FIG. 2;
도 5는 도 3의 고정용 볼트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bolt of FIG. 3 is removed;
도 6은 도 4의 브레이크 장치 본체를 회전 변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rake device main body of FIG. 4 is rotated and displaced;
도 7은 도 2의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 면도,7 is a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maintenance check operation for the brake device of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의 측면도,8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도 9는 도 8의 브레이크 장치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9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a maintenance check operation for the brake device of FIG. 8;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단면도이다.10 is a sectional view of a brake device according to
이하, 본 발명의 매우 적합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very suitabl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승강로(1)의 하부(피트)에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3) 및 평형추(4)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하게 된다.1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엘리베이터 칸(3)의 하부에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5a, 5b)가 설치되어 있다. 평형추(4)의 상부에는 평형추 서스펜션 쉬브(6)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엘리베이터 칸측 리턴 풀리(7) 및 한 쌍의 평형추측 리턴 풀리(8a, 8b)가 배치되어 있다.Under the
엘리베이터 칸(3) 및 평형추(4)는 복수 개(도면에서는 1개만 나타냄)의 메인 로프(9)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는, 로프 단부 접속부(10)가 고정되어 있다. 메인 로프(9)는, 로프 단부 접속부(10)에 접속된 제 1 단부(9a) 및 제 2 단부(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The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는 메인 로프(9)가 감겨진 구동 쉬브(11)를 가지고 있다. 메인 로프(9)는, 제 1 단부(9a)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5b),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5a), 엘리베이터 칸 측 리턴 풀리(7), 구동 쉬브(11), 평형추측 리턴 풀리(8a), 평형추측 리턴 풀리(8b) 및 평형추 서스펜션 쉬브(6)에 감겨져 있다. 즉, 엘리베이터 칸(3) 및 평형추(4)는 메인 로프(9)에 의해 2 : 1 로핑 방식으로 매달려져 있다.The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는 구동 쉬브(11)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바닥부의 플로어 면상에 고정된 베이스(12)에는 모터부(13)와 지지부로서의 베어링 스탠드(14)가 고정되어 있다. 권상기 본체(15)는 베이스(12), 모터부(13) 및 베어링 스탠드(14)를 가지고 있다.FIG. 2: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구동 쉬브(11)의 외주부에는, 메인 로프(9)가 삽입되는 복수의 로프 홈(11a)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쉬브(11)는 주축(16)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 쉬브(11) 및 주축(16)을 갖는 회전체(17)는 모터부(13) 및 베어링 스탠드(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회전체(17)는 모터부(13)의 구동력에 의해 주축(16)의 축선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베어링 스탠드(14)에는 회전체(17)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18)가 탑재되어 있다. 브레이크 장치(18)는, 주축(16)에 고정되어 주축(16)과 일체로 회전하는 브레이크 디스크(19)와, 베어링 스탠드(14)에 장치된 브레이크 설치 부재 (20)와, 브레이크 설치 부재(20)에 설치되며 브레이크 디스크(19)를 통하여 회전체(17)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본체(21)를 가지고 있다.The
브레이크 장치 본체(21)는 회전체(17)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된 복수(여기서는 2개)의 브레이크 유닛(22)을 가지고 있다. 각 브레이크 유닛(22)은 브래킷(23)을 통하여 브레이크 설치 부재(20)에 장착되어 있다.The brake device
도 3은 도 2의 브레이크 장치(18)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브레이크 장치(18)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각 브레이크 유닛(22)은 브레이크 디스크(19)를 사이에 협지하는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24)와, 브레이크 디스크(19)에 접하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패드(24)를 가압하는 제동 스프링(25)과, 제동 스프링(25)에 저항하여 브레이크 패드(24)를 브레이크 디스크(19)로부터 개리(開離)시키는 전자 마그넷(26)을 가지고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주축(16)은 주축용 베어링(27)을 통하여 베어링 스탠드(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설치 부재(20)는 베어링 스탠드(14)에 대하여 회전체(17)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브레이크 설치 부재(20)와 주축(16)의 사이에는 보조 베어링(28)이 설치되어 있다. 주축용 베어링(27) 및 보조 베어링(28)으로서는 롤링 베어링(rolling bearing)이 사용되고 있다.The
브레이크 설치 부재(20)에 대한 브레이크 설치 부재(20)의 회전은, 고정구로서의 복수의 고정용 볼트(29)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즉, 브레이크 설치 부재(20)는 고정용 볼트(29)에 의해 베어링 스탠드(14)에 고정되어 있다.Rotation of the
고정용 볼트(29)는 브레이크 설치 부재(20)를 관통하여 베어링 스탠드(14)에 나사 부착되어 있다. 브레이크 설치 부재(20)에는 고정용 볼트(29)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20a)이 설치되어 있다. 또, 베어링 스탠드(14)에는 고정용 볼트(29)가 나사 부착되는 복수의 나사구멍(14a)이 설치되어 있다.The
도 5는 도 3의 고정용 볼트(29)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4의 브레이크 장치 본체(21)를 회전 변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브레이크 장치(18)는 고정용 볼트(29)를 빼냄으로써 회전체(17)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또, 브레이크 설치 부재(20)에는 나사구멍(14a)보다 다수의 관통구멍(20a)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관통구멍(20a)은 회전체(17)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등각도(等角度) 피치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용 볼트(29)를 관통구멍(20a)에 선택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의 설치 조건 등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 본체(21)의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도 7은 도 2의 브레이크 장치(18)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승강로(1) 내의 바닥부에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 설치되어 있는 경우, 브레이크 유닛(22)이 플로어 면이나 승강로 벽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서 브레이크 유닛(22)의 주위에 충분한 보수 점검 작업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the maintenance inspection work for the
이와 같은 경우 고정용 볼트(29)를 제거하여 브레이크 설치 부재(20)를 회전시켜서 브레이크 유닛(22)의 위치를 회전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유닛(22)을 보수 점검 작업을 하기 쉬운 위치까지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수 점 검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fixing
실시 형태 2.
다음에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가 승강로(1)내의 상부(정상부)에 배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는 지지보(support beam)(3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메인 로프(9)는 제 1 단부(9a)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5a), 엘리베이터 칸 서스펜션 쉬브(5b), 구동 쉬브(11) 및 평형추 서스펜션 쉬브(6)에 감겨져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일하다.8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 elevator apparatus (elevator apparatus without machine room) according to
도 9는 도 8의 브레이크 장치(18)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승강로(1) 내의 상부에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3) 상부로부터 브레이크 유닛(22)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이 행해진다. 그러나, 2개의 브레이크 유닛(22)을 설치하는 경우 제동력을 균등하게 가하기 위해, 한쪽의 브레이크 유닛(22)이 엘리베이터 칸(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면 다른 쪽 브레이크 유닛(22)은 엘리베이터 칸(3)으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다른 쪽의 브레이크 유닛(22)에 대한 보수 점검 작업이 곤란하게 되고 만다.FIG. 9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maintenance inspection work for the
이와 같은 경우 고정용 볼트(29)를 제거하여 브레이크 설치 부재(20)를 회전시켜서 브레이크 유닛(22)의 위치를 회전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 유닛(22)을 보수 점검 작업을 하기 쉬운 위치까지 변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보수 점 검 작업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such a case, the fixing
실시 형태 3.
다음에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의 단면도이다.10 is a sectional view of a brake device according to
도면에 있어서, 베어링 스탠드(14)에는 축방향으로 돌출한 원통 형상의 베어링 지지부(14b)가 설치되어 있다. 베어링 지지부(14b)는 주축(16)을 에워싸고 있다. 베어링 지지부(14b)의 외주면과 브레이크 설치 부재(20)의 사이에는 보조 베어링(28)이 개재되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같다.In the figure, the bearing stand 14 is provided with a
이와 같이, 보조 베어링(28)은 주축(16)과 브레이크 설치 부재(20)의 사이에는 없고, 베어링 스탠드(14)와 브레이크 설치 부재(20)의 사이에 설치해도 된다.In this way,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고정구로서 고정용 볼트(29)를 나타내었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빠짐 방지 록(lock)이 부착된 핀 등이라도 된다.In addition, although the fixing
또, 고정구는 회전체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등각도 피치로 배치하는 것이 매우 적합하나, 예를 들면 도 8의 엘리베이터 칸(3) 위로부터 닿지 않는 위치 등에는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고정구의 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Moreover, although it is suitable to arrange | position a fixture at equiangular pitch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center of a rotating body, it is not necessary to arrange | position it, for example in the position which does not reach from the cage | basket |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브레이크 디스크(19)의 둘레 방향의 2개소에서 브레이크 디스크(19)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 본체(21)를 나타내었으나, 1개소 또는 3개소 이상에서 제동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brake apparatus
그리고 또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로(1) 내의 하부 또는 상부에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가 배치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는 예를 들면 승강로 내의 다른 위치나 전용의 기계실에 배치해도 된다. 단, 작업 공간이 작은 승 강로(1) 내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히 유효하다.Moreover, in the above example, although the case where the
또, 상기의 예에서는, 구동 쉬브(11)의 회전축이 수평으로 되도록 엘리베이터용 권상기(2)를 배치하였으나, 구동 쉬브의 회전축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으로 되도록 엘리베이터용 권상기를 배치해도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에 탑재되는 브레이크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른 기기에 탑재되는 브레이크 장치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In the above example, the brake device mounted on the hoist for elevator has been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brake device mounted on other equipmen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권상기 등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장치, 및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등에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a brake device installed in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or the like, an elevator hoisting machine or the lik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19849A KR100795262B1 (en) | 2005-10-18 | 2004-02-19 | Brake device and elevator hois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7019849A KR100795262B1 (en) | 2005-10-18 | 2004-02-19 | Brake device and elevator hois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6047A KR20060036047A (en) | 2006-04-27 |
KR100795262B1 true KR100795262B1 (en) | 2008-01-15 |
Family
ID=3714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19849A KR100795262B1 (en) | 2005-10-18 | 2004-02-19 | Brake device and elevator hois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5262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78767A (en) | 1973-11-05 | 1975-06-26 | ||
GB2236623A (en) | 1989-08-18 | 1991-04-10 | Hitachi Ltd | Electromagnetic disc brake for an elevator |
KR100222373B1 (en) * | 1996-03-22 | 1999-10-01 | 가즈오 히카리 | Brake Device for Hoist |
-
2004
- 2004-02-19 KR KR1020057019849A patent/KR10079526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78767A (en) | 1973-11-05 | 1975-06-26 | ||
GB2236623A (en) | 1989-08-18 | 1991-04-10 | Hitachi Ltd | Electromagnetic disc brake for an elevator |
KR100222373B1 (en) * | 1996-03-22 | 1999-10-01 | 가즈오 히카리 | Brake Device for Hois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6047A (en) | 2006-04-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37357B2 (en) | Elevator apparatus with sheave rotational speed difference determination for detecting an abnormality | |
KR20140137278A (en) | Descending device for escape | |
JP4558724B2 (en) | Elevator hoisting machine and brake device therefor | |
KR20020021160A (en) | Elevator device | |
JP5254232B2 (en) | Elevator hoist brake with integral bearing and brake surface | |
KR100691663B1 (en) | Drive of elevator | |
KR100795262B1 (en) | Brake device and elevator hoist | |
JP5951038B2 (en) | Elevator suspension equipment | |
EP1845051B1 (en) | Hoist for elevator | |
KR20020062284A (en) | Lift with a car attached to a support | |
JP4499496B2 (en) | Elevator hoisting machine | |
EP1705148A1 (en) | Elevator hoist | |
WO2006030484A1 (en) | Elevator apparatus | |
JPWO2004000711A1 (en) | Elevator equipment | |
CN1110441C (en) | Elevator with speed limiter | |
WO2020183643A1 (en) | Elevator hoisting machine brake and hoisting machine | |
JP4312553B2 (en) | Traction elevator hoisting machine | |
KR100824493B1 (en) | Hoist for elevator | |
KR100790654B1 (en) | Elevator hoist | |
JP7134366B2 (en) | elevator counterweight device | |
KR100822121B1 (en) | Hoist for elevator | |
KR100803873B1 (en) | Elevator device | |
JPWO2006030483A1 (en) | Elevator hoisting machine | |
KR100703461B1 (en) | Hoist for elevator | |
KR100798988B1 (en) | Hoist for elev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05101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