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4769B1 -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 Google Patents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769B1
KR100794769B1 KR1020050131867A KR20050131867A KR100794769B1 KR 100794769 B1 KR100794769 B1 KR 100794769B1 KR 1020050131867 A KR1020050131867 A KR 1020050131867A KR 20050131867 A KR20050131867 A KR 20050131867A KR 100794769 B1 KR100794769 B1 KR 100794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movable member
displacement means
blocking
promo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9576A (ko
Inventor
윤기탁
홍삼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769B1/ko
Publication of KR20070069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9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76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이 변하도록 움직이는 변위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오프빔을 차단하는 차단수단를 포함하며, 상기 변위수단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어에 해상도 향상을 위해 적용된 픽셀촉진장치의 가동부재 구동 신뢰성 향상 및 화질 개선을 위해 가동부재 및 고정부재에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된 차단수단에 관한 것이다.
픽셀촉진장치(Pixel Enhancement Actuator), 오프빔, 차단수단, 변위수단, 구동수단, 가동부재, 고정부재, 투과형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션 시스템(Projection System)

Description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Pixel Enhancement Actuator with Offbeam Interception Material}
도1은 투과형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를 이용한 프로젝션 시스템에 픽셀촉진장치를 적용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2와 도3은 변위수단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4는 변위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에 맺히는 빛의 변위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5는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이 2분리된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나타낸 도면
도6은 픽셀촉진장치의 사시도
도7은 픽셀촉진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8은 가동부재의 배면 분해 사시도
도9는 가동부재의 배면 사시도
도10은 가동부재에서 코일 홀더가 형성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를 앞에서 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를 뒤에서 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램프 2 : 콘덴싱렌즈
3 : 제1다이크로익미러 4 : 제1LCD
5 : 제2다이크로익미러 6 : 제2LCD
7 : 제3LCD 8 : X-프리즘
9 : 픽셀촉진장치 10 : 투사렌즈
11,31 : 변위수단 20 : 고정부재
21 : 고정부 22 : 요크
23 : 마그네트 24 : 판 스프링
25 : 제1커버 26 : 제2커버
27 : 샤프트삽입홈 28 : 스토퍼
30 : 가동부재 32 : 샤프트
33 : 제1베어링 34 : 전원공급선
35 : 코일 36 : 제2베어링
37 : 지지부재 38 : 코일홀더
39 : 돌출부 40 : 가동부재에 설치된 차단수단
41 : 고정부재에 설치된 차단수단
본 발명은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어에 해상도 향상을 위해 적용되는 픽셀촉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가동부재 구동 신뢰성 향상 및 화질 개선을 위해 가동부재 및 고정부재에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된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스플레이어 장치는 경량화, 경박화 뿐만 아니라 대화면으로 되어가는 추세에 놓여져 있다. 특히, 대화면 디스플레이어 장치는 디스플레이어 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화제로 떠오르고 있으며, 현재까지 이러한 대화면 디스플레이어 장치로 개발된 것 중에는 프로젝션 텔레비전이 있다. 이와 같이 대화면 디스플레이어 장치인 프로젝션 텔레비전은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됨에 따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어 장치가 필요로 하게 되고, 이에 따라 더욱 높은 해상도를 갖는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어 디바이스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해상도라 함은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몇 개의 픽셀로 나타냈는 지를 나타내는 말이다. 즉, 해상도는 이미지를 표현함에 있어서 정밀함을 표시하는 척도로 사용된다. 종래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픽셀의 수를 증가시키는 물리적인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인간의 시각 특성을 이용하여 해상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된다.
즉, 실제의 물리적인 해상도보다 훨씬 향상된 해상도의 화질로 보이게 함으 로써, 물리적으로 해상도가 향상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 신호를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로 분리하고, 각각 제1영상과 제2영상을 형성하여 스크린의 제1위치와 제2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인간의 시각 특성에 따라 해상도가 향상된 것처럼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인간의 시각 특성에 따라 영상신호를 분리하는 방법은 화면 구성할 때 발생하는 회피처리된 오프빔들 중 일부가 불필요하게 유효빔 영역에 침범하여 화질저하를 가져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동부재와 고정부재에 각각 일체형으로 구성된 차단수단을 통해 불필요한 오프빔의 영향을 차단하여 화질을 개선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는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위치가 변하도록 움직이는 변위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변위수단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변위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오프빔을 차단하는 차단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구동장치는 가동부재와 고정부재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위수단은 굴절률이 일정한 판형부재의 투광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위수단은 소정시간 동안 상기 변위수단을 통과한 광원의 위치가 반복적으로 변화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위수단은 소정시간 동안 상기 변위수단을 통과한 광원의 각도가 반복적으로 변화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가동부재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수단은 투과홀을 가지는 판형부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변위수단의 외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변위수단을 투과하는 유효빔의 외측과 맞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일체형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 사이의 갭을 차폐시키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가동부재를 움직이는 회전축에 직교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판형부재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가동부재의 상측의 상단 또는 상기 가동부재의 하측의 하단에 형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은 투과형 LCD를 이용한 프로젝션 시스템에 픽셀촉진장치를 적용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램프(1)에서 발생한 광원이 콘덴싱렌즈(2)에서 집광 되어 제1 다이크로익미러(3)에서 분리된다. 상기 제1다이크로익미러(3)에서 반사된 레드빛은 제1LCD(4)에 투과되며, 상기 제1다이크로익미러(3)에서 투과된 빛은 제2다이크로익미러 (5)에서 재분리된다. 상기 제2다이크로익미러(5)에서 반사된 그린 빛은 제2LCD(6)에 투과되고, 상기 제2다이크로익미러(5)에 투과된 블루빛은 제3LCD(7)로 투과된다. 상기 제1LCD(4)와 상기 제2LCD(6) 및 상기 제3LCD(7)를 투과한 각각의 빛은 X-프리즘(8)에서 결합하여 픽셀촉진장치(9)를 투과하여 투사렌즈(10)를 통해 스크린에 투사된다.
여기서 상기 픽셀촉진장치(9)는 마이크로 디바이스와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며 빛이 투과할 수 있는 판이 삽입되어 도2에서와 같이 시간에 따라 회전시켜 스크린에서 픽셀의 위치를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고, 각 위치에 다른 영상정보를 마이크로 디바이스가 가진 픽셀의 수보다 높은 해상도를 구현한다.
도2와 도3은 변위수단(11)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도2(a)는 상기 변위수단(11)이 없는 상태 또는 상기 변위수단(11)의 움직임이 없는 상태로서, 프리즘 또는 투사렌즈에서 방출된 영상이 스크린상의 동일한 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반면에 도2(b)는 상기 변위수단(11)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이고, 도2(c)는 상기 변위수단(11)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최초, 도2(a)상태인 상기 변위수단(11)이 도2(b)의 상태 또는 도2(c)의 상태로 변화된다면 영상이 상기 변위수단(11)을 지나면서 굴절되어 스크린상에 다른 위치에 맺히게 된다.
즉, 상기 변위수단이 광경로 변경수단으로 작동함으로써, 영상을 투사하는 경우 상기 변위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의 다른 위치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변위수단의 두께, 상기 변위수단의 기울어진 각도(빛의 입사각), 상기 변위수단의 굴절률에 따라 스크린에서의 빛의 이동 정도가 계산될 수 있으며, 스크린에서 필요한 빛의 이동 정도에 따라 상기 변위수단의 두께, 기울어진 각도, 굴절률이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수학식1의 스넬(snell)의 법칙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Figure 112005077296695-pat00001
(
Figure 112005077296695-pat00002
은 공기의 굴절률,
Figure 112005077296695-pat00003
는 변위수단의 굴절률,
Figure 112005077296695-pat00004
은 빛의 입사각,
Figure 112005077296695-pat00005
는 빛의 굴절각)
따라서, 상기 변위수단을 지난 빛의 경로차이(D)는 다음 수학식 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5077296695-pat00006
Figure 112005077296695-pat00007
아울러, 상기 변위수단을 지난 빛의 경로차이(D)는 투사렌즈의 배율에 따라 실제 스크린에서 맺히는 빛의 변위가 결정된다. 이에 따라 픽셀촉진장치의 가동부재 구동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4는 변위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스크린에 맺히는 빛의 변위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면, 사각형상의 픽셀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상기 변위수단을 움직이고, 이에 따라 스크린상의 영상이 움직이는 것을 보여준다. 도4(a)는 종래 픽셀 구조로서 소정시간(T=0~T1)동안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영상을 보여주고 있으나, 도4(b)와 도4(c)는 시간(T=0)에서와 시간(T=T1)에서 각각 다른 위치에 상이한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동일한 픽셀 수로 2배의 해상도를 인식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영상신호는 제1영상신호와 제2영상신호로 분리되고, 한 프레임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 동안 상기 제1영상신호 및 제2영상신호의 영상이 각각 합성되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5에는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이 2 분리된 제1영상과 제2영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은 도5(a)에 도시된 제1영상과 도5(b)에 도시된 제2영상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도5에 도시된 제1영상과 제2영상은 픽셀의 위치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도6은 픽셀촉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7은 픽셀촉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8은 가동부재의 배변 분해 사시도이고, 도9는 고정부재의 배면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픽셀촉진장치는 고정부재(20)와 가동부재(30)가 포함된다. 먼저, 상기 고정부재(20)는 영상형성수단과 스크린 사이의 광경로 상에 위치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일측에 고정부(21)가 형성된다. 도면에는 나사 결합이 가능하도록 홀이 형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고정되는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즉, 상기 고정부재(20)는 광 경로 상에 변위수단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의 일측에는 마그네트(23)와 요크(22)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마그네트(23)와 상기 요크(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어느 한쪽에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23)는 N극과 S극이 형성된 2극 마그네트일 수 있으면, N극 또는 S극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1극 마그네트일 수 있다. 또한, N극과 S극이 다수 형성된 다극 마그네트도 가능하다.
상기 마그네트(23)는 자계를 이용하여 상기 가동부재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요크(22)는 자로(자계의 경로)를 형성함으로써 자계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가동부재(30)는 상기 고정부재(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동부재(30)는 장방형 또는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되며 광경로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변위수단(31)을 고정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변위수단(31)은 빛이 투과되는 투광체로서 짧은 시간 동안 소정 각도를 주기적으로 회전하면서 영상이 스크린상에 맺히는 위치를 변화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변위수단(31)은 광경로에 대하여 직교하거나 소정 각도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변위수단(31)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각은 주기적으로 변화한다.
상기 가동부재(30)는 양측에 샤프트(3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샤프트삽입홈(27)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원활한 회전을 위한 제1, 2 베어링(33)(36)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32)는 상기 가동부재(30) 또는 상기 변위수단(31)의 회전 중심축의 역할을 하고, 상기 회전 중심축은 광 경로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베어링(33)은 원기둥 형태로서 중심에 상기 샤프트(32)가 삽입되고, 상기 제1베어링(33)은 상기 고정부재(20)의 상기 샤프트삽입홈(27)에 위치한다. 상기 제2베어링은 상기 가동부재(30)측의 외측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20)의 내측면에 걸릴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가동부재(30)는 상기 고정부재(2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베어링(36)에 의해 좌측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없도록 고정되고, 우측의 상기 제1베어링(33) 측에는 판 스프링(24)이 형성되어 우측으로도 이동될 수 없도록 고정된다.
다만, 판 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해 적당한 움직임이 보장되면서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가동부재(3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판 스프링(24)은 일단만 상기 고정부재(20)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재(30)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2 베어링(33)(36)의 상측에는 제1커버(25)와 제2커버(26)가 형성되어 상기 가동부재(30)가 상측 방향으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커버(25)는 두 개의 나사로 상기 가동부재(30)에 결합되고, 상기 제2커버(26)는 하나의 나사로 일부분만 상기 가동부재(30)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이유는 상기 가동부재(30)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적당한 움직임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제2커버(26)는 적당한 탄성력을 가지며, 이는 상기 판 스프링(24)의 작동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가동부재(30)의 적당한 움직임을 보장하면서 상기 고정부재(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가동부재(30)의 측면, 즉 고정부재(20)에 형성된 상기 마그네트(23)와 대항하는 면에는 코일(3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35)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동부재(30)의 측면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홀더(38)가 구비되고, 상기 코일 홀더(38)에 상기 코일(35)이 지지가 되어 고정된다. 상기 코일(35)은 대략 직사각형 형태 또는 레이스 트랙 형태로 형성되어 전류를 방향에 따라 상기 마크네트(23)를 중심으로 상기 가동부 재(3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코일(35)은 전원공급선(34)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면, 코일(35)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고정부재(20)에 형성된 상기 마크네트(23)와 상호작용에 의해 인력과 척력이 발생하여 상기 가동부재(30)가 구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 코일(35)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30)가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수단(31)은 가동부재(30)에 결합되는데, 상기 가동부재(30)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39)에 상기 변위수단(31)을 위치시킨 후 지지부재(37)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9)의 형상은 도7에 자세히 도시되었다.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가동부재(30)와 함께 사출되어 별도의 지지부재(37) 없이 상기 가동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부재(3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재(20)의 내측에는 스토퍼(28)가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나 오동작 또는 과도한 작동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30)의 회전 범위를 일정 각도 이하로 제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해상도 향상 장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광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어전류의 인가에 따라 상기 코일(35) 및 상기 마그네트(23)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픽셀촉진장치는 디스플레이기기의 광 경로 상에 위치하여, 제어 전류의 인가에 따라 상기 코일(35) 및 상기 마그네트(23)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30)의 회전범위는 바람직하게 -0.75도에서 +0.75도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1위치와 제2위치에 주기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가동부재(30)는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가 인가되는 시간 동안 적어도 1회 이상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해상도를 현격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동부재(30)가 회전을 함에 따라서 상기 변위수단(31) 역시 함께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변위수단(31)을 투과하여 발생하는 오프빔, 즉 화면을 구성하는 빔이 아닌 불필요하여 회피처리된 빔들 중 일부가 유효빔 영역을 침범하여 화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X-프리즘에서 모아진 빛이 평행광으로 집광되어 상기 변위수단(31)을 향해 진행하게 된다. 이때 평행광으로 집광되지 못한 일부의 광이 굴절되어 상기 변위수단(31)을 통과하기 전에 밖으로 휘어져서,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30) 사이를 통과하여 스크린에 투과된다. 이에 따라 투과된 빛은 상기 변위수단(31)을 통과한 빛과 합성되어 화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 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를 앞에서 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를 뒤에서 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11과 도12를 참조하면,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구동수단에 일체형으로 차단수단(40)(41)을 구성하였다.
상기 변위수단(31)에 의해 생기는 오프빔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구동수단 중 상기 가동부재(30)에 일체형으로 상기 차단수단(40)을 구성하였다. 상기 가동부재 (30)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기 차단수단(40)은 회전축과 직교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투과홀을 가지는 판형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변위수단(31)을 투과하는 유효빔의 외측과 맞접하고,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변위수단(31)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수단(40)은 도11과 도1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변위수단(31)의 앞면과 뒷면에 각각 위치한다. 이렇게 설치된 상기 차단수단(40)은 상기 가동부재(30)의 위치 이동시 같이 이동하면서, 각 위치에서 발생하는 오프빔을 차단하여 화질을 개선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30) 사이를 통과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해 상기 구동수단 중 상기 고정부재(20)에 일체형으로 상기 차단수단(41)을 구성하였다. 상기 고정부재(20)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상기 차단수단(41)은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30) 사이의 갭을 차폐시킨다. 그리고 상기 차단수단(41)은 상기 가동부재(30)를 움직이는 회전축에 직교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판형부재로서 상기 가동부재(30)의 상단의 상측 또는 하단의 하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수단(41)은 도11과 도1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고정부재(20)의 앞면 또는 뒷면 중 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상기 차단수단(41)은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30) 사이를 통과하는 빛을 차단하여 화질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30)에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된 상기 차단수단(40)(41)은 상기 변위수단(31)으로부터 발생한 오프빔과,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30) 사이의 갭을 통과한 빛을 차단하여 화질을 개선시킨다. 또한, 상기 차단수단(40)(41)은 상기 고정부재(20)와 상기 가동부재(3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부가적인 오프빔 차단 구조물이 있는 경우보다는 설계자유도를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 가동부재와 고정부재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차단수단을 통해 불필요한 오프빔의 영향을 차단함으로써 화질 개선의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픽셀촉진장치를 지난 빛의 경로차이를 계산하여 스크린에 맺히는 빛의 변위를 결정함으로써, 픽셀촉진장치의 가동부재 구동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수단이 가동부재와 고정부재에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부가적인 오프빔 차단 구조물이 있는 경우보다 설계자유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스크린에 투사되는 영상의 위치가 변하도록 움직이는 변위수단;
    상기 변위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 및
    상기 변위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오프빔을 차단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에 설치되는 차단수단을 포함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가동부재와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굴절률이 일정한 판형부재의 투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소정시간동안 상기 변위수단을 통과한 영상의 위치가 반복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수단은 소정시간 동안 상기 변위수단을 통과한 영상의 각도가 반복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가동부재에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투과홀을 가지는 판형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변위수단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변위수단을 투과하는 유효빔의 외측과 맞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에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 사이의 갭을 차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가동부재를 움직이는 회전축에 직교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판형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수단은 상기 가동부재의 상단의 상측 또는 상기 가동부재의 하단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KR1020050131867A 2005-12-28 2005-12-28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94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867A KR100794769B1 (ko) 2005-12-28 2005-12-28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1867A KR100794769B1 (ko) 2005-12-28 2005-12-28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576A KR20070069576A (ko) 2007-07-03
KR100794769B1 true KR100794769B1 (ko) 2008-01-15

Family

ID=38505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18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4769B1 (ko) 2005-12-28 2005-12-28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7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692U (ko) * 1997-12-17 1999-07-05 구자홍 프로젝션 티브이의 패널 각도조정장치
JPH11298829A (ja) * 1998-04-10 1999-10-29 Toshiba Corp 表示装置
KR20040101097A (ko) * 2003-11-08 2004-12-02 주식회사 하이소닉 미세운동부재와 영상틸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시스템
KR20050113326A (ko) * 2004-05-27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692U (ko) * 1997-12-17 1999-07-05 구자홍 프로젝션 티브이의 패널 각도조정장치
JPH11298829A (ja) * 1998-04-10 1999-10-29 Toshiba Corp 表示装置
KR20040101097A (ko) * 2003-11-08 2004-12-02 주식회사 하이소닉 미세운동부재와 영상틸팅장치 및 이를 구비한 프로젝션시스템
KR20050113326A (ko) * 2004-05-27 2005-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9576A (ko) 200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51812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7425074B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20050264501A1 (en) Display device
US20050128438A1 (en) Actuator for improvement of resolution
KR20050118510A (ko) 디스플레이기기의 해상도 향상 장치 및 그 구동방법
US7762669B2 (en) Display device for improving an image resolution of projection-type display device
EP1821283A2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US7290884B2 (en) Display device having resolution improving apparatus for project-type display device
US781093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794769B1 (ko) 오프빔 차단부재가 있는 픽셀촉진장치
KR20050113326A (ko) 해상도 향상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
US20050264547A1 (en) Display device
KR20120124875A (ko) 적외선차단필터 교체장치
KR20070032268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37239A (ko) 엑츄에이터
KR20070032270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32269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3547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070037227A (ko) 엑츄에이터
KR20050117100A (ko) 해상도 향상 장치
KR20070037237A (ko) 엑츄에이터
KR20070037236A (ko) 엑츄에이터
DK174272B1 (da) Baglysprojektionsskæ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