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3866B1 -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866B1
KR100793866B1 KR1020060038218A KR20060038218A KR100793866B1 KR 100793866 B1 KR100793866 B1 KR 100793866B1 KR 1020060038218 A KR1020060038218 A KR 1020060038218A KR 20060038218 A KR20060038218 A KR 20060038218A KR 100793866 B1 KR100793866 B1 KR 100793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support
vehicle
mounting device
tank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697A (ko
Inventor
강경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8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866B1/ko
Publication of KR20070105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는, 차량의 바디에 설치된 프레임에 다수개가 장착되기 위한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료탱크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모듈 상태에서 상기 각 연료탱크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에 볼팅되며 상기 연료탱크를 장착되게 하는 서포트와; 상기 다수개의 서포트가 일체가 되게 상기 서포트를 연결하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서포트는 상기 각각의 연료탱크에 2개씩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2개의 서포트를 하나로 연결되게 상기 서포트에 대하여 직교하며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서포트 사이에는 패드가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 볼트의 수량을 줄임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기존과 달리 조립 방식 및 구조를 단순화하여 중량을 줄이고, 내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연료탱크, 볼팅, 내구력

Description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DEVICE OF MOUNTING FUEL TANK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요부 상세도.
도 3은 도 1에 연료탱크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적인 구성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연료탱크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저부에서 본 연료탱크의 저면도.
도 7은 도 6의 서포트 조립체의 사시도.
도 8a는 도 5의 'A'부 상세도.
도 8b는 도 8a의 요부 상세도.
도 8c는 도 5의 'B'부 상세도.
도 9는 도 5의 서포트와 패드의 조립 단면도.
도 10은 도 8c의 스트랩과 밴더의 톡스 공법이 적용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연료탱크
10'. 연료탱크 모듈
21. 바디
23. 서포트
23e. 장착브라켓
25a. 스트랩
25e. 밴더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볼트의 수량을 줄이고, 내구력을 향상시키며,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차량의 연료탱크(10)의 서포트(support)(13)의 볼팅(bolting)을 위해 브라켓(11,12)을 바디(1)에 플러그(plug) 용접과 전 둘레 용접으로 고정한다.
그리고 상부에서 하부로 로딩(Loading) 장비를 이용하여 연료탱크를 이동시킨 후, 도 3의 적색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자형 스트랩(strap)을 이용하여 볼트로 고정한다.
또한 상기 연료탱크의 미끄럼 및 충격 흡수용으로 하단에 사각 일자형의 패 드(pad)(14)를 장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상기 서포트(13)를 각 개별로 장착하기 위해 많은 수량의 볼트(24개)가 소요된다.
또한 '井'자 형상으로 각각의 부품을 용접하였으므로, 용접의 열 영향으로 인한 내구력이 떨어졌다.
그리고 많은 브라켓의 사용으로 중량이 커지고, 상기 연료탱크(10)를 각 개별로 상부 로딩에 의해 장착하였다. 따라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볼트의 수량이 줄어들고, 내구력이 향상되며,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는, 차량의 바디에 설치된 프레임에 다수개가 장착되기 위한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료탱크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모듈 상태에서 상기 각 연료탱크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에 볼팅되며 상기 연료탱크를 장착되게 하는 서포트와; 상기 다수개의 서포트가 일체가 되게 상기 서포트를 연결하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서포트는 상기 각각의 연료탱크에 2개씩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2개의 서포트를 하나로 연결되게 상기 서포트에 대하여 직교하며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서포트 사이에는 패드가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적인 구성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연료탱크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의 저부에서 본 연료탱크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6의 서포트 조립체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는, 차량의 프론트 바디 조립체(이하, 바디)(21)에 다수개가 장착되기 위한 것으로, 각각의 연료탱크(10)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모듈(module)(10') 상태에서 각 연료탱크(10)의 저부에 설치되어 바디(21)에 다수개의 볼트(23a)에 의해 볼팅되며 연료탱크(10)를 장착되게 하는 서포트(23)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서포트(23)에 의해 연료탱크(10)가 견고하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2개)의 서포트(23)가 일체가 되게 다수개의 서포트(23)를 연결하는 장착브라켓(23e)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서포트(23)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연료탱크(10)에 2개씩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착브라켓(23e)은 2개의 서포트(23)를 하나로 연결되게 서포트(23)에 대하여 직교하며 설치된다.
그리고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10)에는 서포트(23)의 양단에 설치되어 연료탱크(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밴더(25e)가 설치되며, 이 밴더(25e)의 일측은 서포트(23)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23c)에 걸리도록 후크 타입으로 설치되고, 상기 밴더(25e)의 다른 일측은 서포트(23)의 타단에 설치된 스트랩(25a)과 톡스(tox) 공법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톡스 공법은, 후술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steel)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상판(upper plate)인 밴더(25e)를 원형의 펀치(punch)를 이용하여 강하게 밀고, 상기 펀치의 가압력의 증가에 따라 밴더(25e)는 마찬가지로 스틸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하판(lower plate)인 스트랩(25a) 속으로 확산되어 지면서 끼워지는 방식을 말한다. 특히 이 톡스 공법은 상판과 하판이 접하는 부분에서 언더컷(undercut)을 형성하여 결합되므로 상판과 하판간의 결합력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23) 일단의 관통공(23c)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후크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면가공부(23b)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랩(25a)은 서포트(23)의 타단에 체결된 볼트(25c)에 설치된 핀(25b)에 걸리도록 하며 설치되고, 상기 밴더(25e)는 스트랩(25a)의 안쪽면과 밀착하며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10)와 서포트(23) 사이에는 패드(24)가 설치된다.
특히, 이 패드(24)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료탱크(10)와 맞닿는 모든 면을 완전히 감싸며 설치되고, 중앙부분(t)에 비하여 양 가장자리 부분(D)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앙부분(t)은 5mm이고, 상기 양 가장자리 부분(D)은 9mm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패드(24)의 양 끝단부에는 소정 크기로 돌출된 돌기부(24a)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24a)는 약 1mm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랩(25a)의 단부는 전술한 톡스 공법에 의해 스트랩(25a)의 강성 증대를 위해 안쪽으로 접히며 결합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톡스 공법에 따라 상기 스트랩(25a)은 언더컷 형상으로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바디(21)와 프론트 프레임 조립체(또는 프레임)(22)를 조립하여 용접하고, 이렇게 용접된 이들 조립체를 행거(미도시)를 이용하여 위에 매달아 놓은 상태에서 연료탱크 모듈(10')을 지그(미도시)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위로 올려서 작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연료탱크(10)의 앞뒤 움직임을 제어하는 밴더(25e) 구조를 설명하면, 상기 서포트(23)는 앞뒤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기존에는 연료탱크(10) 하면과 평행한 형상이었으나, 서포트(23) 형상이 위로 올라와서 차량의 급제동 또는 급출발시 연료탱크(10)의 쏠림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밴더(25e)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한쪽은 밀착형 후크를 적용하고, 다른 한쪽 핀(25b) 및 볼트(25c)를 적용한 톡스 공법을 적용하여 연료탱크(10)의 움직임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경우에는 양쪽 모두 볼팅 방식을 적용하거나, 한쪽은 볼팅 다른 한쪽은 볼팅 구조로 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한쪽은 후크로 작업성 개선하였고(볼팅에 따른 작업 시간 절감), 다른 한쪽은 핀(25b) 및 볼팅 방식과 스트랩(25a)의 톡스 공법 적용으로 내구력이 증대되었다.
또한 미끌림 및 충격 흡수가 우수한 밀착형 구조의 패드(24)를 적용하였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23)를 완전히 감싸기 위해 직사각형의 일자형 패드(24)에 양쪽 끝단부를 예컨대, 양면 테이프로 고정한 형상에서 서포트(23)를 'ㄷ'자 형상으로 고정하고,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내구력을 향상시켰고, 상단면은 1mm의 높이의 돌기부(24a)를 형성하여 연료탱크(10)와 패드(24)의 접착력을 향상시켰다.
다시 말해서 패드(24)의 측면부의 단면 변화(두께 증대)하여 내구력을 증대 시켰고, 양 끝단을 상부로 1mm 올라오게 하여 연료탱크(10)의 밀착성을 향상시켰다.
그리고 용접 열의 영향으로 인한 내구력 저하를 없애기 위해 일체형 구조로 하여 용접 작업을 삭제하였고, 이에 따라 서포트(23)의 내구력을 증대시켰다.
즉, 종래에는 '井'자 형상으로 각각의 부품을 용접하여 구성하였는데, 본 발명은 용접 열의 영향에 의한 내구력 저하를 없애기 위해 일체형 프레스 금형품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바디에 용접된 브라켓(도 1의 12, 13 참조)을 없애고, 일체형 구조 적용으로 중량 절감(-9Kg)을 이루었다. 즉, 상기 서포트(23)의 구조를 최적화하여 형상을 단순화하여 중량을 절감하였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 모듈(10') 장착시 작업성이 용이하도록 장착브라켓(23e)에 지그 홀(미도시)을 형성하였다. 즉, 라인 조립성 및 장착 오조립의 방지를 위해 장착브라켓(23e)에 지그 홀을 추가하여 작업성을 개선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종래에 비해 볼트의 수량을 줄임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존과 달리 조립 방식 및 구조를 단순화하여 중량을 줄이고, 내구력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차량의 바디에 설치된 프레임에 다수개가 장착되기 위한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연료탱크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모듈 상태에서 상기 각 연료탱크의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바디에 볼팅되며 상기 연료탱크를 장착되게 하는 서포트와;
    상기 다수개의 서포트가 일체가 되게 상기 서포트를 연결하는 장착브라켓;을 포함하고,
    이때, 상기 서포트는 상기 각각의 연료탱크에 2개씩 나란하게 설치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은 상기 2개의 서포트를 하나로 연결되게 상기 서포트에 대하여 직교하며 설치되며,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와 상기 서포트 사이에는 패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연료탱크와 맞닿는 모든 면을 감싸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중앙부분에 비하여 양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분은 5mm이고, 상기 양 가장자리 부분은 9mm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양 끝단부에는 소정 크기로 돌출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약 1mm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에는 상기 서포트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탱크의 외주면을 감싸는 적어도 하나의 밴더가 설치되며,
    상기 밴더의 일측은 상기 서포트의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에 걸리도록 후크 타입으로 설치되고,
    상기 밴더의 다른 일측은 상기 서포트의 타단에 설치된 스트랩과 톡스 공법에 의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상기 서포트의 타단에 체결된 볼트에 설치된 연결부재에 걸리도록 하며 설치되고,
    상기 밴더는 상기 스트랩의 안쪽면과 밀착하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후크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면가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KR1020060038218A 2006-04-27 2006-04-27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KR100793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218A KR100793866B1 (ko) 2006-04-27 2006-04-27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8218A KR100793866B1 (ko) 2006-04-27 2006-04-27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97A KR20070105697A (ko) 2007-10-31
KR100793866B1 true KR100793866B1 (ko) 2008-01-15

Family

ID=38819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218A KR100793866B1 (ko) 2006-04-27 2006-04-27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8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342B1 (ko) * 2012-07-13 2014-06-11 광일이노텍 주식회사 연료탱크 지지 밴드 제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326U (ko) * 1988-06-21 1990-01-12
JP2000219049A (ja) 1999-01-28 2000-08-08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2001012308A (ja) 1999-06-30 2001-01-16 Suzuki Motor Corp 燃料ボンベ付自動車の燃料ボンベ搭載構造
JP2004169767A (ja) 2002-11-18 2004-06-17 Nissan Motor Co Ltd シリンダ取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326U (ko) * 1988-06-21 1990-01-12
JP2000219049A (ja) 1999-01-28 2000-08-08 Toyota Motor Corp 自動車の燃料タンク支持構造
JP2001012308A (ja) 1999-06-30 2001-01-16 Suzuki Motor Corp 燃料ボンベ付自動車の燃料ボンベ搭載構造
JP2004169767A (ja) 2002-11-18 2004-06-17 Nissan Motor Co Ltd シリンダ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697A (ko) 200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10043B (zh) 具有电池固定装置的电动车、尤其是地面运输车
KR101092369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
KR100793866B1 (ko) 차량용 연료탱크 마운팅 장치
CN107097850B (zh) 一种通用型铝合金汽车副车架结构
JP4785464B2 (ja) 車両前部構造
JP2013203138A (ja) 車体前部の衝撃吸収構造
CN206327103U (zh) 悬架纵臂支架和车辆
CN211335958U (zh) 一种汽车油杯安装支架
CN211869511U (zh) 用于车辆的动力总成组件和车辆
CN205154346U (zh) 摩托车消声器安装组件
JPH0794160A (ja) 車両用のバッテリ取付構造
CN211442199U (zh) 支架组件及车辆
JP2009162265A (ja) 空気ばね
CN209096472U (zh) 一种排气管吊挂结构
CN216480262U (zh) 储气罐安装结构和具有其的车辆
CN212685222U (zh) 全地形车的发动机上悬置及具有其的全地形车
CN216916054U (zh) 一种后保险杠与后底护板集成安装结构及车辆
KR200497125Y1 (ko) 에어스프링 차량 설치용 브라켓구조
CN215408879U (zh) 一种发动机用多功能水泵垫板结构
CN210911988U (zh) 一种具有预挂功能的汽车后附加电池支架及其连接结构
CN210622911U (zh) 尿素罐固定箍带
CN210912399U (zh) 一种冷凝器、干燥器集成支架
CN210178826U (zh) 一种汽车制动器底板
CN210391097U (zh) 平叉、刹车组件及车辆
CN216139968U (zh) 一种集成式制动器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8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