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316B1 - Vehicle exhaust system with exhaust balance and orifice tube - Google Patents
Vehicle exhaust system with exhaust balance and orifice tub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3316B1 KR100793316B1 KR1020060051386A KR20060051386A KR100793316B1 KR 100793316 B1 KR100793316 B1 KR 100793316B1 KR 1020060051386 A KR1020060051386 A KR 1020060051386A KR 20060051386 A KR20060051386 A KR 20060051386A KR 100793316 B1 KR100793316 B1 KR 1007933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haust
- pipe
- exhaust gas
- orifice tube
- silenc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30/00—Combination of silencers and other devices
- F01N2230/04—Catalytic conver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06—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mproving exhaust evacuation or circulation, or reducing back-pressur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14—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difying or adapting flow area or back-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배기계의 배압저감 및 배기가스의 배출속도 증대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배기 밸런스 및 오리피스관이 구비된 차량의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device of a vehicle equipped with an exhaust balance and an orifice tube, which can reduce the back pressure of the vehicle exhaust system and increase the exhaust velocity of the exhaust gas.
본 발명은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가 배관되고, 배기 매니폴드의 후방측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는 촉매 컨버터가 형성되고, 배기 파이프의 후방측에는 배기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소음기가 형성되어지되, 내부가 다수의 챔버로 구획형성된 소음기의 하우징 양단에는 각각 배기가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인렛 파이프 및 아웃렛 파이프가 형성되며 각각의 챔버는 인너 파이프로써 연통되도록 형성된 차량의 배기계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의 아웃렛 파이프 전방에는 배기가스의 통과단면적을 줄여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는 오리피스관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기의 인렛 파이프에 접속되는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는 흐르는 배기가스의 일부가 임시 수용되도록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배기 밸런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xhaust pipe for guiding exhaust gas into the atmosphere is piped, a catalytic converter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exhaust pipe at the rear side of the exhaust manifold, and a silencer is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exhaust pipe to reduce exhaust noise. An inlet pipe and an outlet pipe for introducing and discharging exhaust gas are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a housing of a muffler, each of which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chambers, and each chamber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inner pipe. An orifice tube is formed in front of the pipe to reduce the passa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haust gas so that the flow rate is increased, and an exhaust balanc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to temporarily receive a portion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 the middle of the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of the silencer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배기계, 소음기, 배기 밸런서, 오리피스관 Exhaust system, silencer, exhaust balancer, orifice tub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차량 배기계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general vehicle exhaust system.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소음기의 단면구성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general silencer.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기계의 구성도.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기계의 배기가스 흐름도.Figure 4 is a flow chart of the exhaust gas of the vehicle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기계의 구성도.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기계의 배기가스 흐름도.6 is an exhaust gas flow chart of a vehicle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30 : 배기 파이프 32 : 배기 밸런서30: exhaust pipe 32: exhaust balancer
40,50 : 소음기 41,51 : 머플러 하우징40,50: Silencer 41,51: Muffler Housing
42,52 : 인렛 파이프 43,53 : 아웃렛 파이프42,52: Inlet Pipe 43,53: Outlet Pipe
44,45, 54,55 : 인너 파이프 46,56 : 전방 챔버44,45, 54,55:
47,57 : 중간 챔버 48,58 : 후방 챔버47,57:
49,59 : 격벽 60, 70 : 오리피스관49,59:
본 발명은 배기 밸런스 및 오리피스관이 구비된 차량의 배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차량의 후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차량 배기계의 도중에 배압저감을 위한 배기 밸런스가 구비될 뿐만 아니라, 소음기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속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오리피스관이 도중에 형성됨으로써, 차량 배기계의 배압저감 및 배기가스의 배출속도 증대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배기 밸런스 및 오리피스관이 구비된 차량의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device of a vehicle provided with an exhaust balance and an orifice tube, and more particularly, an exhaust balance for reducing back pressure in the middle of a vehicle exhaust system for guiding exhaust gas generated from an engine to the rear of the vehicle. In addition, an orifice tube is formed on the way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ilencer, thereby reducing the back pressure of the vehicle exhaust system and increasing the exhaust speed of the exhaust gas. It relates to an exhaust device.
차량의 배기계는 엔진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촉매 컨버터를 통과시켜 일정부분 정화할 뿐만 아니라, 길이가 길게 배관된 배기파이프를 통과시켜 온도를 낮추고, 배기파이프의 도중에 마련된 소음기를 통과시켜 엔진의 폭발소음을 감쇄시킬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The exhaust system of the vehicle not only purifies the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engine through the catalytic converter, but also lowers the temperature by passing the exhaust pipe, which is long in length, and passes the silencer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exhaust pipe to explode the noise of the engine. It is made for the purpose of attenuating.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배기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보통은 차량의 후미에 위치되는 소음기(20)와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10) 사이에는 배기 파이프(11)가 배관되고, 배기 매니폴드(11) 후방측의 배기 파이프 도중에는 인체에 유해한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 등을 배기가스 성분을 정화하기 위한 촉매 컨버터(12)가 장치된다. 이러한 촉매 컨버터에서는 백금, 파라듐, 로듐 등으로 된 촉매가 수용되어 있어서 CO, HC, NOx 등의 유해성분을 CO2, H2O, H2 등의 무해한 성분으로 산화 및 환원시키게 된다.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haust system of a general vehicle, in which an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차 배기계의 소음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일반적으로 머플러라고 불리우는 소음기(20)의 머플러 하우징(21)의 전방측에는 배기 파이프(11)의 끝단이 접속되고, 머플러 하우징(21)의 후방측에는 테일 파이프(13)가 접속된다. 머플러 하우징(21)은 그 내부가 다수의 챔버(26,27,28)로 구획되고, 각각의 챔버 간에는 배기 파이프(11) 측에서 유입된 배기가스가 테일 파이프(13)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가능하도록 연통된 구조를 이룬다.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ilencer structure of a general vehicle exhaust system. An end of the
즉, 머플러 하우징(21)의 전방측에는 배기 파이프(11)와 접속되어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인렛 파이프(22)가 형성되고, 그 후방측에는 테일 파이프(13)가 접속되기 위한 아웃렛 파이프(23)가 형성되며, 각 챔버들 간을 구획하는 격벽(29)의 도중에는 인렛 파이프(22)에서 유입된 배기가스를 아웃렛 파이프(23)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인너 파이프(24,25)가 형성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an
한편, 통과되는 배기가스의 배압저감을 위하여 인너 파이프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배압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동작되거나 개방정도가 조절되는 배압 조절밸브 등을 갖춘 소음기가 공급 및 사용되고 있기도 하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duce the back pressure of the exhaust gas passing in the front or rear of the inner pipe may be supplied and used with a silencer having a back pressure control valve or the like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back pressure or the opening degree is adjusted.
그런데 차량 배기계의 배압저감을 위하여 소음기 내부에 별도의 배압 조절밸브를 장착하게 될 경우에 그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배압 조절밸브의 고정시에 소음기의 역할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a separate back pressure control valve is installed inside the silencer for reducing the back pressure of the vehicle exhaust system,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there is a problem such that the role of the silencer can not be fulfilled when the back pressure control valve is fixed.
또한, 이미 소음기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소음기 외부로 배출되는 속도를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에 소음기 내부에서 배기가 스의 흐름이 지체되는 현상 등이 발생될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device for speeding up the speed at which the exhaust gas introduced into the silenc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silenc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w of the exhaust gas is delayed inside the silencer.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엔진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를 차량의 후방으로 유도하기 위한 차량 배기계의 도중에 배압저감을 위한 배기 밸런스가 구비될 뿐만 아니라, 소음기 내부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속도를 증대시키기 위한 오리피스관이 도중에 형성됨으로써, 차량 배기계의 배압저감 및 배기가스의 배출속도 증대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배기 밸런스 및 오리피스관이 구비된 차량의 배기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not only is provided with an exhaust balance for reducing the back pressure in the middle of the vehicle exhaust system for guiding the exhaust gas generated from the engine to the rear of the vehicle, An orifice tube is formed on the way to increase the speed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ilencer, thereby reducing the exhaust pressure of the vehicle exhaust system and increasing the exhaust velocity of the exhaust gas.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엔진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가 배관되고, 배기 매니폴드의 후방측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는 촉매 컨버터가 형성되고, 배기 파이프의 후방측에는 배기 소음을 감쇄시키기 위한 소음기가 형성되어지되, 내부가 다수의 챔버로 구획형성된 소음기의 하우징 양단에는 각각 배기가스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인렛 파이프 및 아웃렛 파이프가 형성되며 각각의 챔버는 인너 파이프로써 연통되도록 형성된 차량의 배기계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의 아웃렛 파이프 전방에는 배기가스의 통과단면적을 줄여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는 오리피스관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기의 인렛 파이프에 접속되는 배기 파이프의 도중에는 흐르는 배기가스의 일부가 임시 수용되도록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배기 밸런스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pipe for guiding the exhaust gas generated in the engine to the atmosphere is piped, a catalytic converter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exhaust pipe on the rear side of the exhaust manifold, In the rear side of the exhaust pipe, a silencer is formed to reduce exhaust noise. Inlet pipes and outlet pipes for inflow and exhaust of exhaust ga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housing of the silencer, which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chambers. In the exhaust system of a vehicl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pipe, an orifice tube is formed in front of the outlet pipe of the muffler to reduce the passag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haust gas to increase the flow rate, and in the middle of the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inlet pipe of the muffler Some of the flowing exhaust gas is temporari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haust balance having a predetermined volume so as to form.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오리피스관의 전방단은 소음기 전방의 배기 파이프에서 분지되어 그 후방단이 전방 챔버에 노출된 아웃렛 파이프의 전방에 위치되며, 배기 파이프가 접속되는 인렛 파이프의 후방단은 후방 챔버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end of the orifice tube is branched from the exhaust pipe in front of the muffler and the rear end thereof is located in front of the outlet pipe exposed to the front chamber, and the rear end of the inlet pipe to which the exhaust pipe is connected is the rear cha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be exposed to.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인렛 파이프의 후방단과 아웃렛 파이프는 챔버 간을 구획하는 격판으로부터 소정 구간 떨어진 위치에 직선 상으로 배치되어지되, 상기 인렛 파이프의 후방단과 아웃렛 파이프의 전방단 사이에 상기 오리피스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end of the inlet pipe and the outlet pipe ar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diaphragm partitioning between the chambers, the orifice pipe between the rear end of the inlet pipe and the front end of the outlet pip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웃렛 파이프의 전방단은 깔대기 형상으로 확관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outlet pip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ipe is formed in a funnel shap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기장치의 구성 및 작동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vehicle exhaus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기계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기계의 배기가스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기계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배기계의 배기가스 흐름도이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a vehicle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4 is a flow chart of the exhaust gas of the vehicle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vehicle exhaust system, and FIG. 6 is a flow chart of an exhaust gas of a vehicle exhaust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소음기의 내부에 구획되는 각각의 챔버에 대해서는 차량의 전후를 기준으로 전방 챔버, 중간 챔버, 후방 챔버라 하기로 한다. 한편, 각 챔버를 구획하는 격판의 도중에는 인렛 파이프, 아웃렛 파이프 또는 인너 파이프가 관통형성되어 인렛 파이프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가 아웃렛 파이프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chamber partitioned inside the silencer will be referred to as a front chamber, an intermediate chamber, and a rear chamber based on the front and rear of the vehicle. Meanwhile, an inlet pipe, an outlet pipe, or an inner pipe are formed in the middle of the diaphragm for partitioning each chamber so that the exhaust ga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can be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outlet pipe.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소음기(40)의 경우에는 인렛 파이프(42)의 후방단이 후방 챔버(43)에 노출되도록 배관되는 반면에, 아웃렛 파이프(43)의 전방단은 전방 챔버(46)에 노출되도록 배관되고, 중간 챔버(47)의 전/후방 측에 위치되는 각각의 격판(49)에는 각 챔버 간을 연통시키기 위한 인너 파이프(44,45)가 배관되는 것이다. 특히, 인렛 파이프(42)에 접속되는 배기 파이프(30)의 도중에서부터 전방 챔버(46)에 노출된 아웃렛 파이프(43)의 전방 위치까지에는 배기가스의 통과단면적을 좁혀 배기가스의 유속이 빨라지도록 하기 위한 오리피스관(60)이 배관된다.First, in the case of the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소음기(50)의 경우에는 인렛 파이프(52)의 후방단이 전방 챔버(56)에 노출되고, 아웃렛 파이프(53)의 전방단은 중간 챔버(57)에 노출되며, 전방 챔버(56)와 후방 챔버(58)의 사이 및 중간 챔버와 후방 챔버(58)의 사이에는 각각 인너 파이프(54,55)가 배관되는 것이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소음기(50)의 구조에서는 인렛 파이프(52)와 아웃렛 파이프(53)가 서로 직선 상으로 배관되며, 인렛 파이프(52)에서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배기가스의 유속을 빨라지도록 하기 위 한 오리피스관(70)이 형성된다.Meanwhile, in the case of the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각각의 소음기(40,50)에 형성된 오리피스관(60,70)은 배기 파이프(30) 측에서 소음기(40,50) 내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유속이 빨라지도록 함으로써, 소음기(40,50)의 각 챔버를 통과한 후 아웃렛 파이프를 지나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배기가스의 속도를 보다 빠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배기 파이프(30)를 통과하여 소음기(40,50)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전체 또는 대부분은 인렛 파이프(42,52)를 통해 소음기(40,50)로 유입되도록 하지만, 인렛 파이프를 통과하는 과정 또는 통과한 후의 배기가스의 일부분을 이용하여 아웃렛 파이프(43,53)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흐름속도 증대를 위한 가압력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소음기(40,50)의 내부에 오리피스관(60,70)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한편, 아웃렛 파이프(43,53)의 전방단은 오리피스관(60,70)을 통과한 가압용 배기가스 및 소음기의 내부를 통과하는 주기류 배기가스의 흐름이 보다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깔대기 형상으로 확관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ront end of the outlet pipe (43, 53) is a funnel to make the flow of the pressurized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orifice pipe (60, 70) and the main stream exhaust gas flowing through the interior of the silencer more smoothly It is preferable to expand into a shape.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배기계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배압 저감을 위한 수단으로서, 배기 파이프(30)의 도중에는 하나 이상의 배기 밸런서(32)가 형성된다. 이 배기 밸런서(32)는 그 내부에 소정의 용적을 가지는 통형상의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배기 파이프를 통해 배기가스가 흐르는 과정에서 일부의 배기가스를 수용하여 배기계의 배압을 낮추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배기가스의 압력이 높을 때에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수용하여 두었다가 배기가스의 압력이 낮아 졌을 때에 압력차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방출하여 주기류의 배기가스의 압력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기계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배기 밸런서가 소음기(40,50)의 전방측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 배기 밸런서(32)는 촉매 컨버터의 전후방 또는 소음기의 전후방 등 여러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배기 파이프(30)와 배기 밸런서(32) 사이는 단면적이 좁은 크기의 연결관(34)으로써 연결된다.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vehicle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hown that the exhaust balancer is formed only on the front side of the
도면 중에 미설명된 도면부호 41과 51은 각각 각 소음기의 머플러 하우징을 지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머플러 하우징의 내부가 3개의 챔버로 구획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의 한 예에 불과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배기계의 작동상태를 첨부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렛 파이프(42) 후방단이 후방 챔버(48)에 노출되고 아웃렛 파이프(43)의 전방단이 전방 챔버(46)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소음기(40)의 경우에는 배기 파이프(30)로부터 분지된 채로 형성된 오리피스관(60)을 통해 엔진의 운전과정에서 발생된 배기가스의 일부가 흐르게 된다. 오리피스관(60)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를 제외한 나머지 대부분의 배기가스는 인렛 파이프(42)를 통하여 후방 챔버(48)로 유입되어진다.First, as shown in FIGS. 3 to 4, the
인렛 파이프(42)를 통해 후방 챔버(48)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인너 파이프(45)로 연통된 중간 챔버(47)를 지나고, 다시 인너 파이프(44)를 통해 전방 챔버(46)로 흐르게 된 후, 아웃렛 파이프(43)를 통과하여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The exhaust gas introduced into the
그런데, 오리피스관(60)은 전방측(배기 파이프로부터 분지된 부분) 단면적이 후방측 단면적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을 향할수록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이렇게 오리피스관(60)을 통과하며 유속이 빨라진 배기가스는 아웃렛 파이프(43)로 입력되는 주기류의 배기가스를 가압하게 됨으로써 소음기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전체적인 배기가스의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소음기 내부에 배기가스의 흐름이 정체됨으로 인한 배압의 증가가 방지된다.However, since the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렛 파이프(50)의 후방단이 전방 챔버(56)에 노출되고 아웃렛 파이프(53)의 전방단이 중간 챔버(57)에 노출된 구조의 소음기(50)에서는 전방 챔버(56)로 유입된 배기가스 중의 일부가 전방 챔버(56)와 중간 챔버(57)를 구획하는 격벽(59)에 마련된 오리피스관(70)을 통과하면서 유속이 높아지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S. 5 to 6, the rear end of the
전방 챔버(56)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주기류는 인너 파이프(54)를 통해서 후방 챔버(58)로 이동된 후, 다시 중간 챔버(57)와 후방 챔버(58) 사이에 마련된 인너 파이프(55)를 통해서 중간 챔버(57)로 흐르게 된다. 중간 챔버(57)로 유입된 주기류의 배기가스는 아웃렛 파이프(53)의 입구로 유입된 후 대기 중으로 방출이 된다.After the main flow of the exhaust gas introduced into the
이 과정에서 오리피스관(70)을 통과하며 유속이 빨라진 가압용 배기가스는 아웃렛 파이프(53)로 유입된 배기가스의 흐름을 가압하게 됨으로써 소음기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전체적인 배기가스의 유속이 빨라지게 된다. 따라서, 소음기 내부에 배기가스의 흐름이 정체됨으로 인한 배압의 증가가 방지된다.In this process, the pressurized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한편, 엔진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를 소음기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30)의 도중에는 하나 이상의 배기 밸런서(3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엔진이 운전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 상태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기가스의 일부가 배기 밸런서(32)에 수용됨으로써 배기계 전체의 배압이 일정 수준 낮아지는 효과를 얻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at least one
이렇게 배기 밸런서(32)에 수용된 배기가스는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 상태로 배기가스가 흐르는 과정에서 배기 파이프(30) 측으로 유도되어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진다.The exhaust gas contained in the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차량의 배기계에 의하여 배기 밸런서를 통해서 배기가스의 배압이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음기를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유속을 상대적으로 높여 소음기 내부에 배기가스가 정체되는 현상 등을 줄여 배기가스의 전체적인 흐름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엔진의 출력향상 및 차량의 연비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는 커다란 장점이 있는 것이다.The exhaust system of the vehicl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not only automatically adjust the back pressure of the exhaust gas through the exhaust balancer, but also increase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silencer, which can cause the exhaust gas to stagnate inside the silencer. By reducing the overall flow of exhaust gas can be made quickly, there is a big advantage that can ultimately lead to improved engine output and fuel economy of the vehicl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1386A KR100793316B1 (en) | 2006-06-08 | 2006-06-08 | Vehicle exhaust system with exhaust balance and orifice tub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1386A KR100793316B1 (en) | 2006-06-08 | 2006-06-08 | Vehicle exhaust system with exhaust balance and orifice tub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7298A KR20070117298A (en) | 2007-12-12 |
KR100793316B1 true KR100793316B1 (en) | 2008-01-11 |
Family
ID=39142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13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3316B1 (en) | 2006-06-08 | 2006-06-08 | Vehicle exhaust system with exhaust balance and orifice tub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3316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0170B1 (en) * | 1991-04-02 | 1994-01-08 | 허찬희 | Back pressure reduction method by back pressure capacitor and back pressure capacitor |
KR100464711B1 (en) * | 2002-03-14 | 2005-01-06 | 김수원 | Exhaust for automobile |
-
2006
- 2006-06-08 KR KR1020060051386A patent/KR10079331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0170B1 (en) * | 1991-04-02 | 1994-01-08 | 허찬희 | Back pressure reduction method by back pressure capacitor and back pressure capacitor |
KR100464711B1 (en) * | 2002-03-14 | 2005-01-06 | 김수원 | Exhaust for automobil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등록특허공보 제10-0464711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7298A (en) | 2007-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024127B2 (en) | Exhaust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261876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urifying exhaust gas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US4004649A (en) | Muffler | |
JP4866440B2 (en) | Silencer | |
CN101699043A (en) | Exhaust device for four cycle engine | |
EP2354482B1 (en) | Exhaust muffler device | |
US4172508A (en) | Exhaust silencers | |
KR100846319B1 (en) | Muffler with catalyst | |
KR100793316B1 (en) | Vehicle exhaust system with exhaust balance and orifice tube | |
US3498406A (en) | Triflow muffler for exhaust gases | |
CN203532004U (en) | Improved diesel engine silencer | |
JP5009333B2 (en) | Exhaust silencer | |
US3613829A (en) | Double triflow muffler | |
US20240384673A1 (en) | Muff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KR200346657Y1 (en) | an air exhauster for car | |
JP2005069191A (en) | Exhaust device | |
CN104420939A (en) | Silencer of improved diesel engine | |
CN218093192U (en) | Silencing and purifying device for vehicle | |
KR100925869B1 (en) | silencer | |
KR100706545B1 (en) | Structure of muffler | |
KR200148695Y1 (en) | Muffler variable apparatus of a car with variable plate | |
JP5091183B2 (en) | Silencer | |
TWI805635B (en) | Exhaust system for two-stroke engine and respective motor vehicle | |
JP3075432U (en) | Car silencer | |
EP0879937A1 (en) | Silencer group for muffl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