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2916B1 - Passenger seat airbag door separator - Google Patents
Passenger seat airbag door sepa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2916B1 KR100792916B1 KR1020060126700A KR20060126700A KR100792916B1 KR 100792916 B1 KR100792916 B1 KR 100792916B1 KR 1020060126700 A KR1020060126700 A KR 1020060126700A KR 20060126700 A KR20060126700 A KR 20060126700A KR 100792916 B1 KR100792916 B1 KR 1007929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 airbag
- bar
- passenger seat
- sepa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2
- 239000005357 flat glas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666377 Ap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771 Facia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074 Re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도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수석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도록 열려지는 크래쉬 패드의 도어부가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해, 도어부에 의한 윈드 글래스와의 충돌을 방지시켜 윈도 글래스 파편으로 인한 2차 부상의 위험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seat airbag door separation device, which allows the door part of the crash pad to be opened so that the passenger seat airbag cushion can be folded, thereby preventing collision with the wind glass by the door part, thereby preventing secondary damage due to window glass fragments.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risk of inju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이 운전석을 이루는 크래쉬 패널(D)의 조수석 위치에서 내부로 수용되어 ACU(Air bag Control Unit)를 통해 작동되는 에어백 모듈(1)의 작동 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2)의 팽창 압력으로 에어백 도어(4)를 2부분으로 나누어 분리시켜주는 도어 분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when the passenger seat airbag is accommodated inside the passenger seat position of the crash panel (D) forming the driver's seat is op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airbag module (1) through the ACU (Air bag Control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oor separating device for separating the airbag door 4 into two parts by the expansion pressure of the airbag cushion 2 to be deployed.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 분리 장치의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assenger seat airbag door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 분리를 위한 링크 부재의 구성도Figure 2 (a), (b) is a block diagram of the link member for removing the passenger seat airbag do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가)내지(다)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 분리의 전개 상태도3 (a) to (c) is a deployment state diagram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door sepa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에어백 모듈 2 : 에어백 쿠션1: airbag module 2: airbag cushion
3 : 에어백 모듈 하우징 4 : 에어백 도어3: airbag module housing 4: airbag door
4a : 하부 도어 4b : 상부 도어4a:
4c : 절개홈 4d : 분리홈4c:
5 : 도어 힌지 스트랩 6 : 도어 접힘 힌지 바5: door hinge strap 6: door folding hinge bar
7 : 분리 바 7a,8a : 바디 로드7:
7b : 채널 7c,8d : 힌지 체결단7b: Channel 7c, 8d: Hinge end
8 : 고정 바 8b : 삽입 걸림단8:
8c : 간격 형성 축8c: gap forming axis
9 : 연결 스트랩 D : 크래쉬 패널9: connection strap D: crash panel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수석 에어백 도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enger air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ssenger airbag door separation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안전장치에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능동적 안전장치(브레이크, ABS, TCS, Navigation)있고 또한, 사고 발생시 승객을 보호할 수 있는 수동적 안전장치(safty belt, airbag, pretentioner)가 장착되어진다.In general, there are active safety devices (brake, ABS, TCS, Navigation) to prevent accidents, and passive safety devices (safty belt, airbag, pretentioner) to protect passengers in case of accidents. It is mounted.
이러한 안전 장치 중 에어백 시스템은 충돌 시에 탑승자가 2차 충돌을 일으키기 전에 에어백을 가스를 이용해 팽창시켜서 탑승자를 보호하는 장치로서, 운전석과 조수석에 장착되어 안면 상해를 예방하는데 사용되고 있다.Among these safety devices, the airbag system is a device that protects the occupants by inflating the airbags with gas before the second collision of the occupants in a collision, and is used to prevent facial injury by being mounted on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이중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은 크래쉬 패드 내에 장착되어 차량 충돌 사고시,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은 상체부위가 관성에 의해 전방 윈드 글래스측으로 쏠림에 따라 크래쉬 패드에 부딪치거나 심한 경우에 앞 유리창에 부딪칠 때, 부상이나 인명을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The dual passenger airbag system is mounted in the crash pad so that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the passenger in the passenger seat will be injured when the upper body is hit by the inertia and the windshield as it is directed to the front windshield. It is also used as a means to protect lives.
그러나, 이러한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은 그 전개 특성상 크래쉬 패드의 일부분인 도어부위가 전개되는 에어백에 의해 분리되면서 전방 윈도 글래스쪽으로 빠르게 이동되는데, 이때 도어가 전방 윈드 그래스에 부딪히게 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전개 속도로 인해 윈도 글래스가 균열되거나 파손되면서 그 파편으로 인해 승객에게 2차 부상을 입히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However, such a passenger seat airbag system is rapidly moved toward the front window glass while being separated by the airbag in which the door part, which is a part of the crash pad, is deployed, in which case the door hits the front windgrass, As a result, the window glass cracks or breaks, causing the passenger to have a second injur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조수석 에어백 쿠션이 전개되도록 열려지는 크래쉬 패드의 도어부가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해, 도어부에 의한 윈드 글래스와의 충돌을 방지시켜 윈도 글래스 파편으로 인한 2차 부상의 위험을 방지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the door part of the crash pad, which is opened so that the passenger seat airbag cushion is developed, is folded, thereby preventing the door part from colliding with the wind glass, and thus as a window glass fragment. The purpose is to prevent the risk of secondary inju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운전석을 이루는 크래쉬 패널의 조수석 위치에서 내부로 수용되어 ACU(Air bag Control Unit)를 통해 작동되는 에어백 모듈의 작동 시, 크래쉬 패널의 밖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의 팽창 압력으로 크래쉬 패널로부터 분리되는 에어백 도어 분리장치가,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airbag cushion that is received in the passenger seat position of the crash panel constituting the driver's seat inside the operation of the airbag module operated through the air bag control unit (ACU), the outside of the crash panel deployed Airbag door separator that separates from the crash panel at the inflation pressure of
에어백 쿠션에 의해 분리되도록 분리홈을 통해 크래쉬 패널에 각각 구획된 상·하부 도어와, 상기 상·하부 도어가 분리되도록 그 중간부위를 절개시킨 절개 홈으로 이루어진 에어백 도어와;An airbag door including upper and lower doors respectively partitioned into a crash panel through a separation groove so as to be separated by an airbag cushion, and an incision groove in which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is cut ou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doors are separated;
일단이 상부 도어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 도어에 고정되어 에어백 쿠션 전개 후 하부 도어를 잡아 상부도어 쪽으로 접어지도록 구속하는 도어 힌지 스트랩; A door hinge strap having one end fixed to the upper door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lower door to restrain the lower door to be folded toward the upper door after the airbag cushion is deployed;
상기 에어백 도어의 하부부위를 구속해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에 의해 분리된 후 떨어져 나가는 속도를 줄여주도록 에어백 도어의 하부와 에어백 모듈 하우징에 고정된 도어 접힘 힌지 바 및;A door folding hinge bar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airbag door and the airbag module housing to reduce the speed of detachment after being separated by the inflating airbag cushion to constrain the lower portion of the airbag door;
에어백 쿠션에 의해 분리된 후 떨어져 나가는 에어백 도어를 잡아 구속하도록 에어백 도어와 에어백 모듈 하우징에 고정된 연결 스트랩;A connection strap secured to the airbag door and the airbag module housing to hold and restrain the airbag door that is separated after being separated by the airbag cushion;
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그리고, 상기 도어 접힘 힌지 바는 일단이 하부 도어에 힌지 고정된 분리 바와, 일단은 에어백 모듈 하우징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 바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 바로 이루어진다.The door folding hinge bar has a separation bar having one end hinged to the lower door,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airbag module housing,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tted to the separation bar.
또한, 상기 분리 바는 하부 도어에 힌지 고정되는 힌지 체결단과, 상기 힌지 체결단에서 길게 이어진 바디 로드 및 상기 바디 로드의 길이 방향으로 끝단부위까지 절개되어진 채널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separation bar comprises a hinge fastening end hinged to the lower door, a body rod extending from the hinge fastening end and a channel cut to the end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rod.
그리고, 상기 고정 바는 길게 형성된 바디 로드와, 분리 바의 절개되어진 채널로 끼워지도록 상기 바디 로드의 일단에서 간격 형성 축을 매개로 돌출된 삽입 걸림단 및 상기 삽입 걸림단의 반대 부위에서 에어백 모듈 하우징에 힌지 고정되는 힌지 체결단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fixing bar has an elongated body rod, an insertion end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body rod via a gap forming shaft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ut-out channel of the separation bar, and an airbag module housing at an opposite portion of the insertion end. The hinge is fixed to the hinge en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도어 분리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은 운전석을 이루는 크래쉬 패널(D)의 조수석 위치에서 내부로 수용된 에어백 모듈 하우징(3)을 매개로 장착되어 ACU(Air bag Control Unit)를 통해 작동되는 에어백 모듈(1)과, 상기 에어백 모듈(1)의 작동 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2)의 팽창 압력으로 2부분으로 나뉘어져 분리되는 에어백 도어(4), 상기 에어백 도어(4)의 2부분 분할부위로 에어백 쿠션(2) 전개 후 하부 부위를 잡아 상부부위 쪽으로 접어지도록 구속하는 도어 힌지 스트랩(5), 상기 에어 백 도어(4)의 하부부위를 구속해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2)에 의해 분리된 후 떨어져 나가는 속도를 줄여주도록 에어백 도어(4)의 하부와 에어백 모듈 하우징(3)에 고정된 도어 접힘 힌지 바(6) 및 에어백 쿠션(2)에 의해 분리된 후 떨어져 나가는 에어백 도어(4)를 잡아 구속하도록 에어백 도어(4)와 에어백 모듈 하우징(3)에 고정된 연결 스트랩(9)으로 구성되어진다.Figure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passenger seat airbag door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enger seat airb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irbag module housing (3) accommodated inside the passenger seat position of the crash panel (D) constituting the driver's seat The airbag door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separated by the inflation pressure of the airbag module (1) mounted through the ACU (Air bag Control Unit) and the airbag cushion (2) deployed during operation of the airbag module (1) (4), a door hinge strap (5) for restraining the lower portion of the airbag door (4) to be folded toward the upper portion after the airbag cushion (2) deployment to the divided portion of the airbag door (4), the lower portion of the airbag door (4) Door folding hinge bars (6) and airbag cues fixed to the bottom of the airbag door (4) and the airbag module housing (3) to constrain the site and reduce the rate of separation after being separated by the inflating airbag cushion (2) After the separation by the following formula (2) is composed of the connecting straps (9) fixed to the air bag door (4) and the airbag module housing (3) so as to hold the air
여기서, 상기 에어백 도어(4)는 에어백 쿠션(2)에 의해 분리되도록 분리홈(4d)을 통해 크래쉬 패널(D)에 각각 구획된 상·하부 도어(4b,4a)와, 상기 상·하부 도어(4b,4a)가 분리되도록 그 중간부위를 절개시킨 절개홈(4c)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또한, 상기 도어 힌지 스트랩(5)는 일단이 상부 도어(4b)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부 도어(4a)의 분리 시 분리된 후 떨어져 나가는 속도를 줄여주면서, 동시에 하부 도어(4a)를 잡아 상부도어(4b) 쪽으로 접어지도록 구속하도록 고정되어진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그리고, 상기 도어 접힘 힌지 바(6)는 일단이 하부 도어(4a)에 힌지 고정된 분리 바(7)와, 일단은 에어백 모듈 하우징(3)에 힌지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 바(7)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정 바(8)로 이루어진다.The door
여기서, 상기 분리 바(7)는 도 2(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도어(4a)에 힌지 고정되는 힌지 체결단(7c)과, 상기 힌지 체결단(7c)에서 길게 이어진 바디 로드(7a) 및 상기 바디 로드(7a)의 길이 방향으로 끝단부위까지 절개되어진 채널(7b)로 이루어진다.Here, the
이때, 상기 채널(7b)은 도 2(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체결단(7c)이 끝 나는 부위의 폭을 가장 크게 형성하면서, 바디 로드(7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끝단부위가 서로 접촉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고정 바(8)는 도 2(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된 바디 로드(8a)와, 분리 바(7)의 절개되어진 채널(7b)로 끼워지도록 상기 바디 로드(8a)의 일단에서 간격 형성 축(8c)을 매개로 돌출된 삽입 걸림단(8b) 및 상기 삽입 걸림단(8b)의 반대 부위에서 에어백 모듈 하우징(3)에 힌지 고정되는 힌지 체결단(8d)으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분리 바(7)와 고정 바(8)의 힌지 체결은, 돌출된 핀을 일체로 형성해 홈을 이용해 끼워주거나 또는 별도의 핀을 관통시켜 체결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hinge fastening of the separating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작동 시, 크래쉬 패널(D)의 밖으로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2)의 팽창 압력으로 크래쉬 패널(D)로부터 분리되는 에어백 도어(4)의 급격한 분리 속도를 줄여 주면서 동시에, 분리된 에어백 도어(4)부위가 윈도 글래스에 부딪혀 파손되면서 파편으로 인한 2차적인 상해 가능성을 차단하는 특징을 갖게 된다.The passenger seat airba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sudden separation speed of the
이는 에어백 도어(4)의 전개 속도를 조절하는 에어백 도어 분리장치의 작용에 따르는데, 즉 도 3(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ACU에 의해 에어백 모듈(1)로부터 전개되는 에어백 쿠션(2)이 팽창 압력으로, 에어백 도어(4)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 도어(4a)부위를 가압하게 되면, 상기 하부 도어(4a)가 밀려나면서 상·하부 도어(4b,4a)로 분리하는 분리홈(4d)부위를 잡아주는 도어 힌지 스트랩(5)에 구속된 상태로 떨어져 나가게 된다.This is in accordance with the action of the airbag door separator that controls the deployment speed of the
이때, 상기 에어백 모듈 하우징(3)과 하부 도어(4a)사이에 구비된 도어 접힘 힌지 바(6)가 늘어나면서 하부 도어(4a)의 분리를 저지하게 되는데, 이는 크래쉬 패널(D)로부터 떨어져 나가려는 하부 도어(4a)에 힌지 고정된 분리 바(7)를 에어백 모듈 하우징(3)에 힌지 고정된 고정 바(8)가 어느 정도 구속해 주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door
즉, 상기 고정 바(8)가 분리 바(7)와 결합된 상태에서 떨어져 나가려는 하부 도어(4a)로부터 분리 바(7)가 힘을 받을 때, 고정 바(8)의 삽입 걸림단(8b)이 분리 바(7)의 로드(7a)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진 채널(7b)을 따라 완전히 빠져 분리되기 전 까지 하부 도어(4a)를 구속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이는, 상기 분리 바(7)의 채널(7b)이 도 2(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7a)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면서 그 끝단부위가 서로 접촉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분리 바(7)와 고정 바(8)의 분리가 어느 정도 저지되도록 상기 채널(7b)이 고정 바(8)의 삽입 걸림단(8b)과 마찰 저항을 일으키기 때문이다.As the
이어, 에어백 쿠션(2)의 전개가 더 진행됨에 따라 떨어져 나가는 상부 도어(4b)와 같이 도 3(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도어(4a)를 구속했던 분리 바(7)와 고정 바(8)가 완전히 분리되어져 하부 도어(4a)도 크래시 패드(D)로부터 완전히 떨어져 나가게 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3 (b), such as the
즉, 에어백 쿠션(2)의 전개 진행에 따라 더욱 가압되는 하부 도어(4a)로부터 분리 바(7)가 더욱 당겨지고, 이로 인해 분리 바(7)는 채널(7b)이 고정 바(8)의 삽입 걸림단(8b)과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겨내고 고정 바(8)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진다.That is, the
이어, 에어백 쿠션(2)의 전개로 인해 크래시 패드(D)로부터 상·하부 도어(4b,4a)가 완전히 떨어져 나감에 따라, 도 3(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 쿠션(2)은 승객 쪽으로 전개되고, 연결 스트랩(9)에 의해 구속되는 상·하부 도어(4b,4a)는 서로 접히면서 즉, 상부 도어(4b)쪽으로 하부 도어(4a)가 겹쳐지면서 분리되어진다.Subsequently, as the upper and
이때, 상기 상부도어(4b)와 하부도어(4a)에 각각 고정된 도어 힌지 스트랩(5)은, 하부 도어(4a)를 잡아 상부도어(4b) 쪽으로 접어지도록 구속하게 되며, 상기 도어 힌지 스트랩(5)의 길이는 상부도어(4b) 쪽으로 하부도어(4a)가 접어지는 충분한 길이를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이 에어백 쿠션(2)의 전개 시, 상·하부 도어(4b,4a)로 분리된 에어백 도어(4)가 크래시 패드(D)로부터 분리되는 순간이 어느 정도 지연되면서 하부 도어(4a)를 접으면서 분리되도록 즉, 하부 도어(4a)에 고정된 분리 바(7)와 에어백 모듈 하우징(3)에 고정된 고정 바(8)간 마찰 저항을 통해, 상·하부 도어(4b,4a)로 분리된 에어백 도어(4)에 가해지는 에어백 쿠션(2)의 전개 압력을 먼저 받는 하부 도어(4a)의 분리를 지연시켜 줌에 따라, 에어백 쿠션(2)의 완전 전개 시 도어 힌지 스트랩(5)을 매개로 하부 도어(4a)를 상부 도어(4b)쪽으로 겹쳐지도록 하면서 분리 되는 거동을 구현하게 된다.In this manner, when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쿠션의 전개 압력을 먼저 받는 에어백 도어의 하부부위가 상부부위와 별도로 분리되도록 이원화하면서 동시에, 하부부위의 분리를 어느 정도 지연시켜 떨어져 나갈 때 상부 부위 쪽으로 겹쳐지도록 해, 일체형 단품 형상 에어백 도어부의 급격한 분리에 의한 윈드 글래스와의 충돌을 방지시켜 윈도 글래스 파편으로 인한 2차 부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art of the airbag door which is first subjected to the deployment pressure of the airbag cushion is dualized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and at the same time, the separation of the lower part is delayed to some extent so as to overlap the upper part when it is separ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ision with the wind glass by the rapid detachment of the integrated single-piece airbag door part, thereby preventing the risk of secondary injury due to the window glass fragments.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6700A KR100792916B1 (en) | 2006-12-13 | 2006-12-13 | Passenger seat airbag door sepa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6700A KR100792916B1 (en) | 2006-12-13 | 2006-12-13 | Passenger seat airbag door separat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2916B1 true KR100792916B1 (en) | 2008-01-08 |
Family
ID=3921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670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2916B1 (en) | 2006-12-13 | 2006-12-13 | Passenger seat airbag door sepa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2916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98960A (en) | 1994-02-01 | 1995-03-21 | Morton International, Inc. | Airbag module doors having slip-in and snap-in tether attachments |
EP0846600A1 (en) | 1996-12-06 | 1998-06-10 |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 Improvements relating to airbag door tethering devices |
JP2001041565A (en) * | 1999-07-29 | 2001-02-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Automatic bath unit |
-
2006
- 2006-12-13 KR KR1020060126700A patent/KR10079291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98960A (en) | 1994-02-01 | 1995-03-21 | Morton International, Inc. | Airbag module doors having slip-in and snap-in tether attachments |
EP0846600A1 (en) | 1996-12-06 | 1998-06-10 |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 Improvements relating to airbag door tethering devices |
JP2001041565A (en) * | 1999-07-29 | 2001-02-16 | Mitsubishi Electric Corp | Automatic bath unit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6-7724호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1565호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83790B1 (en) | Seat airbag for vehicle | |
CN102741092B (en) | Front passenger's seat knee airbag device | |
KR20190019195A (en) | Airbag cushions for automotive airbag devices and airbag devices | |
KR20010103736A (en) | An air-bag and a method of deploying an air-bag | |
KR20140124231A (en) | Device to protect Passenger's Neck for air-bag module | |
KR101460725B1 (en) | An airbag of vehicle | |
KR101542851B1 (en) | Airbag of vehicle | |
KR102452472B1 (en) | Occupant ankle protection apparatus for vehicle | |
KR20050017520A (en) | Air-Bag System | |
KR102263721B1 (en) | Passenger Airbag Aparatus Of Vehicle | |
KR100792916B1 (en) | Passenger seat airbag door separator | |
JP2007253923A (en) | Airbag device | |
KR100794049B1 (en) | Tether Structure of Car Airbag | |
KR100980929B1 (en) | Housingless passenger seat airbag device | |
KR100527779B1 (en) | Envelopment separation device of curtain air bag in vehicle | |
KR100806592B1 (en) | Passenger protective airbag device | |
KR100788189B1 (en) | Car passenger airbag module and folding method | |
KR100792423B1 (en) | Damage prevention structure of curtain airbag protection cushion | |
KR100580015B1 (en) | Guide device of curtain airbag | |
KR100622119B1 (en) | Car Passenger Airbag Module | |
KR100656618B1 (en) | Car Curtain Airbags | |
KR200144273Y1 (en) | Front passenger's airbag cover | |
JPS599958Y2 (en) | airbag | |
KR20080054310A (en) | Opening angle limiter of passenger airbag door | |
KR100693609B1 (en) | Knee protection air bags for vehicl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8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