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2154B1 -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154B1
KR100792154B1 KR1020070021646A KR20070021646A KR100792154B1 KR 100792154 B1 KR100792154 B1 KR 100792154B1 KR 1020070021646 A KR1020070021646 A KR 1020070021646A KR 20070021646 A KR20070021646 A KR 20070021646A KR 100792154 B1 KR100792154 B1 KR 10079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arm
bracket
fixing plate
hanger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전
최영재
김휘동
Original Assignee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강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강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6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5Fluid spring
    • B60G2202/152Pneumatic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3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vehicle
    • B60G2300/02Trucks; Loa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적인 조립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 시 중량물인 행거 브래킷에 의하여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근 골격계 질환 및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의 A암 브래킷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 하단부에 고정 홀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 중앙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을 하부 프레임의 내측면 일측에 가 고정 볼트에 의해 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 고정 홀; 및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 중앙부 일측에 'ㄷ'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양측 끝단부에 고정 홀이 형성되어 상기 A암 회전축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A암 고정구; 로 구성되며, 행거 브래킷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A암 브래킷의 고정 홀과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고정 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천공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 홀과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슬롯; 상기 A암 브래킷의 가 고정 홀과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 중앙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 고정 볼트의 머리가 삽입되는 볼트머리 수용 홈; 상기 고정판의 하부면 중앙부에 상기 고정판의 하부 방향으로 역 'Y'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 레그; 상기 고정 레그의 하단부 양측 끝단에 형성되어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 슬롯;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 스프링, 행거 브래킷, A암 브래킷, 현가장치, 볼트 회전 방지 턱

Description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Suspension for Heavy Duty Truck Using Air Spring}
도 1a는 종래의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A암 브래킷의 정면도
도 1c는 종래의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행거 브래킷의 정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A암 브래킷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행거 브래킷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행거 브래킷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행거 브래킷의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A암 브래킷과 행거 브래킷의 장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10) : 휠 축
(11) : 서포트 빔 (12) : 하부 프레임
(13) : 에어 스프링 (15) : 스테빌라이져 링크
(16) : 행거 브래킷 (17) : A암
(18) : A암 브래킷 (160)(180) : 고정판
(160a)(180a) : 고정 홀 (161) : 고정 슬롯
(162) : 볼트머리 수용 홈 (163) : 고정 레그
(164): 체결 슬롯 (165) : 볼트 회전 방지 턱
(166) : 회전축 삽입 홀 (181) : 가 고정 홀
(182) : A암 고정구
본 발명은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행거 브래킷과 A암을 하부 프레임에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거 브래킷의 체결 슬롯과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 또한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조립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 시 중량물인 행거 브래킷에 의하여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근 골격계 질환 및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통상적인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1)는 휠 축(10)의 하부면 양측 끝단부에 중앙부가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서포트 빔(11)과, 상기 서포트 빔(11)의 양측 끝단부 상단에 하부면이 고정되어 하부 프레임(12)의 하단부 양측 끝단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에어 스프링(13)과, 상기 서포트 빔(11)의 하부면 일측단에 양측단이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15)와,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15)의 양측 끝단부와 그 하단부가 연결되며, 상단부 일측면은 상기 하부 프레임(12)의 외측면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행거 브래킷(16)과, 상기 휠 축(10)의 상부면 중앙부에 그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A암(17)과, 상기 하부 프레임(12)의 내측면 일측에 상기 행거 브래킷(16)을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되, 일측면에는 상기 A암(17)의 양측 끝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A암 브래킷(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b는 종래의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A암 브래킷의 정면도로서, 통상적인 종래의 A암 브래킷(18)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 하단부에 고정 홀(180a)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 형성된 고정판(180)과, 상기 고정판(180)의 타측면 중앙부 일측에 'ㄷ'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양측 끝단부에 고정 홀(182a)이 형성된 A암 고정구(182)로 구성된다.
도 1c는 종래의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행거 브래킷의 정면도로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종래의 행거 브래킷(16)은 A암 브래킷의 고정 홀(도시되지 않음)과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고정 홀(160a)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천공 형성된 고정판(160)과, 상기 고정 홀(160a)과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160)의 일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슬롯(161)과, 상기 고정판(160)의 하부면 중앙부에 상기 고정판(160)의 하부 방향으로 역 'Y'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 레그(163)와, 상기 고정 레그(163)의 하단부 양측 끝단에 형성되어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부재(167)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 슬롯(164)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1)에 사용되는 행거 브래킷(16)과 A암 브래킷(18)을 하부 프레임(12)에 고정시킬 시에는 2인의 작업자 중 한 명의 작업자가 행거 브래킷(16)을 들어올려 하부 프레임(12)의 외부면에 맞대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명의 작업자는 A암 브래킷(18)을 하부 프레임(12)의 내주면에 맞댄 후 행거 브래킷(16)의 고정 슬롯(161)에 고정 볼트(도시되지 않음)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 볼트의 일측 끝단부가 A암 브래킷(18)의 타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상기 고정 볼트의 일측 끝단부에 너트(도시되지 않음)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A암 브래킷(18)과 행거 브래킷(16)을 하부 프레임(12)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행거 브래킷(16)은 그 중량물이 30kg 이상 되는 중량물이고, A암 브래킷(18) 또한 중량물임으로써 작업자가 중량물인 행거 브래킷(16)의 고정 홀(160a)과 A암 브래킷(18)의 고정 홀(180a)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가 되도록 오랜 시간 들어 올린 상태를 유지해야 함으로써 작업자에게 근 골격계 질환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힘이 빠져 행거 브래킷(16) 또는 A암 브래킷(18)을 놓칠 경 우에는 안전사고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작업시간 또한 매우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과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을 연결할 시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양측 끝단부를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에 맞댄 후 일측 끝단부가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부재(167) 중 하나인 고정 볼트(167a)를 체결 슬롯(164)에 삽입한 다음, 상기 고정 볼트(167a)의 일측 끝단에 너트(167b)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과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과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을 연결할 시에는 고정 볼트(167a)에 너트(167b)를 체결할 시에 고정 볼트(167a)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 볼트(167a)의 볼트 머리(167a')를 고정시킨 후 고정 볼트(167a)의 일측 끝단부에 너트(167b)를 체결해야 함으로써 연결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오래 걸려 전체적인 조립 과정이 매우 오래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행거 브래킷과 A암을 하부 프레임에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거 브래킷의 체결 슬롯과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 또한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조립 작 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작업 시 중량물인 행거 브래킷과 A암 브래킷에 의하여 작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근 골격계 질환 및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휠 축의 상부면 중앙부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A암의 양측 끝단부를 하부 프레임의 내측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A암 브래킷과, 서포트 빔의 하부면 일측단에 양측단이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의 양측 끝단부를 하부 프레임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행거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A암 브래킷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 하단부에 고정 홀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 중앙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을 하부 프레임의 내측면 일측에 가 고정 볼트에 의해 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 고정 홀; 및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 중앙부 일측에 'ㄷ'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양측 끝단부에 고정 홀이 형성되어 상기 A암 회전축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A암 고정구; 로 구성되며, 상기 행거 브래킷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A암 브래킷의 고정 홀과 대응되도록 다수개 의 고정 홀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천공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 홀과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의 일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슬롯; 상기 A암 브래킷의 가 고정 홀과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의 타측면 중앙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가 고정 볼트의 머리가 삽입되는 볼트머리 수용 홈; 상기 고정판의 하부면 중앙부에 상기 고정판의 하부 방향으로 역 'Y'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 레그; 상기 고정 레그의 하단부 양측 끝단에 형성되어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 슬롯;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행거 브래킷의 체결 슬롯의 일측면 상단부에는 볼트 회전 방지 턱이 더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행거 브래킷의 체결 슬롯의 중앙부에는 회전축 삽입 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삽입 홈을 중심으로 일측에 위치한 체결 슬롯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의 또 다른 사시도로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따른 대 형 차량용 현가장치(1)는 휠 축(10)의 하부면 양측 끝단부에 중앙부가 고정 설치된 한 쌍의 서포트 빔(11)과, 상기 서포트 빔(11)의 양측 끝단부 상단에 하부면이 고정되어 하부 프레임(12)의 하단부 양측 끝단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에어 스프링(13)과, 상기 서포트 빔(11)의 하부면 일측단에 양측단이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15)와,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15)의 양측 끝단부와 그 하단부가 연결되며, 상단부 일측면은 상기 하부 프레임(12)의 외측면 일측에 다수개의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는 한 쌍의 행거 브래킷(16)과, 상기 휠 축(10)의 상부면 중앙부에 그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A암(17)과, 상기 하부 프레임(12)의 내측면 일측에 상기 행거 브래킷(16)을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 설치되되, 일측면에는 상기 A암(17)의 양측 끝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A암 브래킷(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A암 브래킷의 사시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암 브래킷(18)은 고정판(180), 가 고정 홀(181), A암 고정구(18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8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 판(180)의 상, 하단부에는 고정 홀(180a)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 형성되고, 상기 가 고정 홀(181)은 상기 고정판(180)의 일측면 중앙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180)을 하부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의 내측면 일측에 가 고정 볼트(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A암 고정구(182)는 상기 고정판(180)의 타측면 중앙부 일측에 'ㄷ'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양측 끝단부에는 고정 홀(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됨으로써 A암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의 양측 끝단을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행거 브래킷의 사시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행거 브래킷(16)은 고정판(160), 다수개의 고정 슬롯(161), 볼트머리 수용 홈(162), 고정 레그(163), 체결 슬롯(164)으로 구성된다.
상기 행거 브래킷(16)의 고정판(16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A암 브래킷의 고정 홀(도시되지 않음)과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 홀(160a)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천공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고정 슬롯(161)은 상기 고정 홀(160a)과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160)의 일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볼트머리 수용 홈(162)은 상기 A암 브래킷의 가 고정 홀(도시되지 않음)과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160)의 타측면 중앙부 양측에 형성되어 가 고정 볼트(도시되지 않음)의 머리가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고정 레그(163)는 상기 고정판(160)의 하부면 중앙부에 상기 고정판(160)의 하부 방향으로 역 'Y'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 슬롯(164)은 상기 고정 레그(163)의 하단부 양측 끝단에 형성되어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도시되지 않음)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행거 브래킷의 정면도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의 일측면 상단부에는 볼트 회전 방지 턱(165)이 돌출 형성됨으로써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 볼트(167a) 및 너트(167b)와 같은 고정부재(167)를 사용하여 상기 체결 슬롯(164)에 고정시킬 시에 상기 고정 볼트(167a)의 볼트 머리(167a')가 상기 볼트 회전 방지 턱(165)에 걸려 회전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 볼트(167a)에 너트(167b)를 체결하는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행거 브래킷의 정면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의 중앙부에는 회전축 삽입 홈(166)이 더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삽입 홈(166)을 중심으로 일측에 위치한 체결 슬롯(164)의 내주면에는 나사산(도시되지 않음)이 더 형성됨으로서 고정 볼트(167a)를 사용하여 상기 체결 슬롯(164)에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시킬 시에 상기 회전축 삽입 홈(166)에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양측 끝단부를 삽입한 후 상기 체결 슬롯(164)의 타측단에서부터 고정 볼트(167a)를 삽입한 후 상기 고정 볼트(167a)를 상기 회전축 삽입 홈(166)을 중심으로 일측에 위치한 체결 슬롯(164)에 나사체결함으로써 매우 손쉽게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을 상기 체결 슬롯(164)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A암 브래킷과 행거 브래킷이 하부 프레임에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A암 브래킷과 행거 브래킷의 장착상태도로서,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브래킷(16)이 하부 프레임(12)에 장착되기 전에 먼저 A암 브래킷(18)의 고정판(180)을 상기 하부 프레임(12)에 맞댄 후 상기 A암 브래킷(18)의 고정판(180) 일측면 중앙부 양측에 형성된 가 고정 홀(181)에 가 고정 볼트(183)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하부 프레임(12)의 내측면 일측에 상기 A암 브래킷(18)을 가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하부 프레임(12)의 내측면 일측에 A암 브래킷(18)을 가 고정 시킨 후 상기 A암 브래킷(18)과 대응되는 하부 프레임(12)의 외측면 일측에 행거 브래킷(16)의 고정판(160)을 맞댄 후 상기 A암 브래킷(18)의 고정판(180)에 형성된 고정 홀(180a)에 행거 브래킷(16)의 고정판(160)에 형성된 고정 홀(160a)이 일치되도록 맞춘 후 상기 행거 브래킷(16)의 고정판(160) 일측면에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슬롯(161)에 고정 볼트(168)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 볼트(168)가 A암 브래킷(18) 및 행거 브래킷(16)의 고정 홀(180a)(160a)을 관통한 후 고정 볼트(168)의 일측 끝단이 상기 A암 브래킷(18)의 타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상기 고정 볼트(168)의 일측 끝단부에 너트(168a)를 나사 체결함으로써 상기 A암 브래킷(18)과 행거 브래킷(16)을 하부 프레임(12)의 내측면과 외측면 일측에 동시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행거 브래킷(16)의 타측면 중앙부 양측에는 상기 A암 브래킷(18) 의 가 고정 홀(181)과 대응되도록 볼트머리 수용 홈(16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 고정 볼트(183)의 머리가 상기 볼트머리 수용 홈(162)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행거 브래킷(16)을 하부 프레임(12)의 외측면 일측에 고정할 시에 상기 하부 프레임(12)의 외측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가 고정 볼트(183)의 머리와 행거 브래킷(16)이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하부 프레임(12)의 외측면 일측에 행거 브래킷(16)이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에는 행거 브래킷(16)과 A암 브래킷(18)을 하부 프레임(12)에 고정시킬 시에 2인의 작업자 중 한 명의 작업자가 행거 브래킷(16)을 들어올려 하부 프레임(12)의 외부면에 맞대고 있는 상태에서 다른 한명의 작업자는 A암 브래킷(18)을 하부 프레임(12)의 내주면에 맞댄 후 행거 브래킷(16)의 고정 슬롯(161)에 고정 볼트(168)를 삽입하여 상기 고정 볼트(168)의 일측 끝단부가 A암 브래킷(18)의 타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한 후 상기 고정 볼트(168)의 일측 끝단부에 너트(168a)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A암 브래킷(18)과 행거 브래킷(16)을 하부 프레임(12)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중량물인 행거 브래킷(16)을 오랜 시간 들어 올린 상태로 있어야 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 및 근 골격계 질환의 발생률이 매우 높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1)에서는 행거 브래킷(16)을 하부 프레임(12)에 부착하기 전에 A암 브래킷(18)을 하부 프레임(12)에 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 1인이 행거 브래킷(16)과 A암 브래킷(18)을 하부 프레임(12)에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정 작업 또한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조립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어 중량물인 행거 브래킷(16)에 의한 작업자 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근 골격계 질환의 발생률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행거 브래킷과 스테빌라이져 링크의 연결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양측 끝단부에 형성된 고정 홀(도시되지 않음)을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의 일측면에 맞대어 일치시킨 후 상기 체결 슬롯(164)의 타측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 고정부재(167) 중의 하나인 고정 볼트(167a)를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체결 슬롯(164)에 고정 볼트(167a)를 삽입하면 상기 고정 볼트(167a)의 일측 끝단부가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타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 타측면으로 돌출된 고정 볼트(167a)의 일측 끝단부에 고정부재(167) 중 하나인 너트(167b)를 나사체결함으로써 상기 행거 브래킷(16)과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양측 끝단부를 연결한다. 이때 상기 고정 볼트(167a)의 볼트 머리(167a')는 상기 체결 슬롯(164)의 일측면 상단부에 돌출 형성된 볼트 회전 방지 턱(165)에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고정 볼트(167a)의 볼트 머리(167a')를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시키지 않고도 매우 용이하게 고정 볼트(167a)에 너트(167b)를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양측 끝단부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 중앙부에 형성된 회전축 삽입 홈(166)에 삽입한 후 상기 체결 슬롯(164)의 타측에서부터 일측 방향으로 고정 볼트(167a)를 삽입한 후 회전시켜 상기 고정 볼트(167a)를 상기 회전축 삽입 홈(166)의 일측에 위치한 체결 슬롯(164)에 나사체결 함으로써 상기 행거 브래킷(16)과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을 매우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종래에는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양측 끝단부를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에 맞댄 후 일측 끝단부가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도록 고정 볼트(167a)를 체결 슬롯(164)에 삽입한 다음, 상기 고정 볼트(167a)의 일측면에 너트(167b)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과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을 연결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고정 볼트(167a)에 너트(167b)를 체결할 시에 고정 볼트(167a)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고정 볼트(167a)의 볼트 머리(167a')를 고정시킨 후 고정 볼트(167a)의 일측 끝단부에 너트(167b)를 체결해야 함으로써 연결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오래 걸렸으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1)에서는 체결 슬롯(164)의 일측면 상단부에 볼트 회전 방지 턱(165)이 구비되어 고정 볼트(167a)의 볼트 머리(167a')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고정 볼트(167a)의 볼트 머리(167a')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며,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의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1)에서는 체결 슬롯(164)의 중앙부에 회전축 삽입 홈(166)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 삽입 홈(166)에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양측 끝단을 삽입한 후 체결 슬롯(164)에 고정 볼트(167a)를 삽입 한 다음 상기 고정 볼트(167a)를 회전시켜 회전 축 삽입 홈(166)을 중심으로 일측에 위치한 체결 슬롯(164)에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과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의 연결 작업을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는 행거 브래킷을 하부 프레임에 부착하기 전에 A암 브래킷을 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 1인이 행거 브래킷과 A암을 하부 프레임에 매우 용이하고 신속하게 부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거 브래킷의 체결 슬롯에 스테빌라이져 링크의 회전축의 양측 끝단을 연결할 시에도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 볼트의 머리를 고정시킬 필요가 없어 그 연결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전체적인 조립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거 브래킷을 하부 프레임에 부착하기 전에 A암 브래킷을 하부 프레임에 가 고정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중량물인 행거 브래킷과 A암 브래킷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중량물인 행거 브래킷과 A암 브래킷에 의한 작업자 에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근 골격계 질환의 발생률을 대폭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휠 축(10)의 상부면 중앙부에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A암(17)의 양측 끝단부를 하부 프레임(12)의 내측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A암 브래킷(18)과, 서포트 빔(11)의 하부면 일측단에 양측단이 연결되는 스테빌라이져 링크(15)의 양측 끝단부를 하부 프레임(12)의 외측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행거 브래킷(16)을 포함하여 구성된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A암 브래킷(18)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 하단부에 고정 홀(180a)이 일정 간격으로 천공 형성된 고정판(180); 상기 고정판(180)의 일측면 중앙부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판(180)을 하부 프레임(12)의 내측면 일측에 가 고정 볼트(183)에 의해 가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 고정 홀(181); 및 상기 고정판(180)의 타측면 중앙부 일측에 'ㄷ'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양측 끝단부에 고정 홀이 형성되어 상기 A암 회전축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A암 고정구(182); 로 구성되며,
    상기 행거 브래킷(16)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A암 브래킷(18)의 고정 홀(180a)과 대응되도록 다수개의 고정 홀(160a)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천공 형성된 고정판(160); 상기 고정 홀(160a)과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160)의 일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 슬롯(161); 상기 A암 브래킷(18)의 가 고정 홀(181)과 대응되도록 상기 고정판(160)의 타측면 중앙부 양측에 형성되어 가 고정 볼트(183)의 머리가 삽입되는 볼트머리 수용 홈(162); 상기 고정판(160)의 하부면 중앙부에 상기 고정판(160)의 하부 방향으로 역 'Y'자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 고정 레그(163); 상기 고정 레그(163)의 하단부 양측 끝단에 형성되어 스테빌라이져 링크 회전축(150)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부재(167)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체결 슬롯(164);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의 일측면 상단부에는 볼트 회전 방지 턱(165)이 더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브래킷(16)의 체결 슬롯(164)의 중앙부에는 회전축 삽입 홈(166)이 더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삽입 홈(166)을 중심으로 일측에 위치한 체결 슬롯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KR1020070021646A 2007-03-05 2007-03-05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KR10079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646A KR100792154B1 (ko) 2007-03-05 2007-03-05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646A KR100792154B1 (ko) 2007-03-05 2007-03-05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154B1 true KR100792154B1 (ko) 2008-01-04

Family

ID=3921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646A KR100792154B1 (ko) 2007-03-05 2007-03-05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1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153A (ja) 1997-08-19 1999-03-02 Fukoku Co Ltd 車体支持機構
US6851689B2 (en) 2001-02-26 2005-02-08 The Boler Company Vehicle suspension
KR20050117582A (ko) * 2003-04-03 2005-12-14 헨드릭슨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차축 클램프 조립체 탑 패드와 에어 스프링 설치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9153A (ja) 1997-08-19 1999-03-02 Fukoku Co Ltd 車体支持機構
US6851689B2 (en) 2001-02-26 2005-02-08 The Boler Company Vehicle suspension
KR20050117582A (ko) * 2003-04-03 2005-12-14 헨드릭슨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차축 클램프 조립체 탑 패드와 에어 스프링 설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19283C (zh) 用于片状部件的紧固件
BRPI0615008A2 (pt) braço de suspensão de roda
EP0941915B1 (en) Wheel axle suspension for a vehicle with a gas spring system
BRPI0614769A2 (pt) suporte de tubo de came
EP3571081B1 (en) A suspension device
US5382043A (en) Suspension alignment device
US4719540A (en) Unitized mounting device for mounting electrical components of a luminaire
KR100792154B1 (ko) 에어 스프링을 이용한 대형 차량용 현가장치
US6941634B2 (en) Method for attaching axles to a leaf springs on hydraulic disc brake vehicles
JP2004291116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アーム固定装置及び該アーム固定装置を装着可能にされた産業用ロボット
KR20230097821A (ko) 토크 체결용 지그
US5240280A (en) Split-type straddle bracket for connecting a vehicle axle with a vehicle suspension system
JP4807827B2 (ja) チエン吊り具
JP2559331Y2 (ja) 車両におけるリザーバタンクの取付構造
JP3704998B2 (ja) エアスプリング取付構造
US6666442B1 (en) Vehicle engine hanger
JP3769502B2 (ja) エアコン室外機の天井吊下げ用架台
IT202100019331A1 (it)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angolo di camber per una sospensione di un autoveicolo
CN111746804B (zh) 一种用于飞行器的组件及该飞行器
JPS6243993Y2 (ko)
JP5797698B2 (ja) 支持碍子装着部用アダプタ
JP2902570B2 (ja) 吊荷用フック構造
JPS6123507Y2 (ko)
JP3365967B2 (ja) 車載用スピーカの取付け方法
JPH10205879A (ja) 空気調和機の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