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2076B1 - 네트워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076B1
KR100792076B1 KR1020060066976A KR20060066976A KR100792076B1 KR 100792076 B1 KR100792076 B1 KR 100792076B1 KR 1020060066976 A KR1020060066976 A KR 1020060066976A KR 20060066976 A KR20060066976 A KR 20060066976A KR 100792076 B1 KR100792076 B1 KR 100792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nnection
adapter
network device
network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훈
방준완
도근창
이상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076B1/ko
Priority to US11/655,825 priority patent/US809080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04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 H04W40/08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wireless node resources based on transmission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간적인 설치 제약을 해결하면서 네트워크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수단과, 근거리 내의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및,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네트워크 디바이스{NETWORK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적용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리모트 컨트롤러(20)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의 네트워크 디바이스(40)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네트워크 서버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리모트 컨트롤러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네트워크 서버 20: 리모트 컨트롤러
22: 네트워크 어댑터 40: 네트워크 디바이스
본 발명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간적인 설치 제약을 해결하면서 네트워크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설치 공간에서의 배선 문제와, 이동성을 위해, 전력선 통신, Zigbee, RF 등과 같이 비독립형 전송매체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력선 통신, Zigbee, RF 등과 같이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각 네트워크(예를 들면, 각 가정)를 구분하는 네트워크 식별자(홈코드 등)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구분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H1)과 가정(H1)은 비독립형 전송매체인 전력선에 의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가정(H1)은 네트워크 서버(1a)와, 가전 기기(2a), (2b)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시스템이고, 가정(H2)은 네트워크 서버(1b)와, 가전 기기(2c)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가정(H1)은 예를 들면, 홈코드로 0x11이 설정되어 있고, 가정(H2)은 홈코드로 0x01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새로운 가전 기기(2d)를 가정(H2)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하는 방법을 생각해 본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홈코드와 같은 네트워크 식별자를 설정할 때, 이 가전 기기(2d)는 홈코드를 전혀 저장하지 않은 상태이고, 전원이 인가되면 즉, 전력선에 연결되면 네트워크 서버(1b)로부터 홈코드를 수신하여 설정함으로써,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즉, 가전 기기(2d)가 가정(H2)의 네트워크에 등록되어 네트워크 서버(1b)에 의한 제어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 방법에 있어서, 가정(H1)과 가정(H2)에서 거의 동시에 새로운 가전기기를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가전 기기(2d)는 가정(H2)의 홈코드(0x01)을 수신하기 이전에, 가정(H1)의 홈코드(0x11)를 수신하는 경우, 당연히 홈코드(0x11)로 홈코드를 설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전 기기(2d)는 네트워크 서버(1b)에 의한 제어를 수행하지 않고, 네트워크 서버(1a)의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보안 상의 심각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전력선 통신에 국한되지 않고,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존재하는 문제이다.
또한,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네트워크 서버(1b)와, 네트워크 디바이스(2d) 간에 상당한 거리가 있을 경우, 사용자가 네트워크 서버(1b)와 네트워크 디바이스(2d)에 각각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입력을 해야 하므로, 상당한 거리의 이동에 의한 시간적인 간격에 따라 상술된 보안 상의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그 입력과, 네트워크 연결의 확인을 위해 이러한 거리를 반복적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네트워크 연결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의 네트 워크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신뢰성 높은 네트워크 연결 및 등록을 성취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최소한의 조작에 의해 해당 네트워크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그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수단과, 근거리 내의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및,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최소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단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인 네트워크 어댑터는 근거리 내의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등록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인 네트워크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따라 근거리 내의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서버(10)는 특정 공간에 놓여져서 네트워크의 제어 등을 수행하며, 이미 형성된 네트워크에 연결되고자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도 역시 사용자의 편의 또는 기능상의 요구에 의해 특정 공간에 놓여지게 된다. 즉, 네트워크 서버(10)(예를 들어, 주방에 설치된 냉장고)와, 네트워크 디바이스(40)(예를 들면, 세탁실에 설치된 세탁기)가 원거리에 놓여진다. 이럴 경우,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네트워크 디바이스(40)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네트워크 서버(1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40) 간을 이동하면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거리 이동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같이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20)가 네트워크 서버(10)와 근거리에서 네트워크 서버(10)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 이 네트워크 연결에 의한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이 리모트 컨트롤러(20)를 들고 네트워크 디바이스(40)가 놓은 장소로 이동하여, 기저장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40)와 근거리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네트워크 디바이스(40)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원거리에 놓은 네트워크 서버(10)와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서버(10)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서버(1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완료하게 된다.
도 3은 도 2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적용된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소정 영역 내의 디바이스를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네트워크 서버(10)와, 네트워크 서버(10)와 비독립형 전송 매체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일종인 리모트 컨트롤러(20)와, 네트워크 서버(10) 및 리모트 컨트롤러(20)와 비독립형 전송 매체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는, 신규로 네트워크 연결되고자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네트워크 서버(10)와, 리모터 컨트롤러(20)는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 함에 있어, 통신 범위가 근거리로 제한되도록 통신을 수행하고, 또한, 리모터 컨트롤러(2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40)도 역시 근거리로 제한되도록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리모트 컨트롤러(2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4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리모트 컨트롤러(20)가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하기 까지 네트워크 서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근거리 제한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네트워크 서버 이외의 다른 서버와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통신이 수행될 가능성을 낮추도록 한다.
네트워크 서버(10)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수단(11)과, 비독립형 전송매체에 따른 프로토콜(예를 들면, PLC, ZigBee, RF 등)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어댑터(12)와, 네트워크 서버(10)가 냉장고 또는 DTV인 경우, 네트워킹 이외의 독자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부(13)와, 사용자에게 적어도 네트워크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4)과,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네트워크 어댑터(12)를 제어하여, 소정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마이컴(15)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리모트 컨트롤러(20)의 각 구성요소인 입력수단(21)과, 네트워크 어댑터(22)와, 표시수단(23) 및 마이컴(25)은 네트워크 서버(10)의 입력수단(11)과, 네트워크 어댑터(12)와, 표시수단(14) 및 마이컴(15)에 대응되는 기본 기능을 수행한다. 보통 리모트 컨트롤러(20)의 경우, 네트워크 서버(10)와 같이 독자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므로,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다만, 도 4의 네트워크 어댑터(22)는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설명이 하기에서 개시된다. 특히, 리모트 컨트롤러(20)의 마이컴(25)은 네트워크 디바이스(40)와의 통신을 수 행할 때, 네트워크 서버(10)의 마이컴(15)과 유사하게 기능한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40)는 네트워크 서버(10)의 구성요소들에 그 명칭에 대응하여 유사한 구성요소를 구비한다. 다만, 도 5의 네트워크 어댑터(42)는 도 4의 네트워크 어댑터(22)와 같이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도 4은 도 3의 리모트 컨트롤러(20)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어댑터(22)는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31)와, 리모트 컨트롤러(20)의 마이컴(25)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접속 인터페이스(32)와, 비독립형 전송매체에 따른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33)로 이루어지고, 네트워크 연결 결과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34)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송수신부(31)는 자세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조부, 변조부, 증폭부, 안테나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 그 세부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숙한 사람에게는 용이하게 인식된다.
접속 인터페이스(32)는 마이컴(25)과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접속 수단에 해당되며, 마이컴(25)로부터의 명령 및 데이터의 수신과, 제어부(33)로부터의 이러한 명령에 대한 결과 보고 및 데이터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이다.
제어부(33)는 적용된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방식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과, 이후의 데이터 송수신 등을 제어하는 소자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 제어부(33)가 신규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리모트 컨트롤러(20)를 네트워크 서버(10)가 제어하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도록 하는 과정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표시부(34)는 네트워크 어댑터(22)의 전원 공급 상태, 또는 동작 상태(정상 동작, 동작 오류 등)를 표시할 수도 있고, 리모트 컨트롤러(20)가 별도의 표시수단을 구비하지 못한 경우, 네트워크 연결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 표시부(34)는 시각적 표시뿐만 아니라 청각적 표시도 가능하다.
제어부(33)의 검색모듈(33a)은 송수신부(31)를 통하여 연결가능한 네트워크를 검색한다. 이때, 검색모듈(33a)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최소 송신 전력으로 이러한 검색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모트 컨트롤러(20)를 네트워크 서버(10)의 근거리가 되도록 이동시켜야 한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20)와 네트워크 서버(10)만이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검색은 예를 들면, PLC 통신의 경우, 네트워크 서버(10)가 연결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20)로 송신하므로, 이러한 연결 요청 메시지의 확인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는, ZigBee 통신의 경우, 이러한 검색은 검색모듈(33a)이 송수신부(31)를 통하여 network join 과정에서 network join enable 상태인 PAN coordinator인 네트워크 서버(10)로부터 channel과 PAN ID의 수신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이 검색수단(33a)은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또는 네트워크 서버(10))에서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하여, 이에 따라 네트워크를 검색하게 된다.
등록모듈(33b)은 검색모듈(33a)에 의해 검색된 네트워크 중에서 하나의 네트워크에 구성원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산정모듈(33c)은 검색모듈(33a)에 의해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를 산정하는 수단이다. 즉, 산정모듈(33c)은 네트워크 어댑터(22)가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의 개수를 산정하여, 이에 대한 결과를 등록모듈(33b)에 알려준다. 여기서, 산정모듈(33c)은 검색모듈(33a)에 의해 검색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식별자의 종류에 따라 네트워크의 개수를 산정한다. 보통, 네트워크 서버(10)의 네트워크 어댑터(12)는 소정의 설정시간 동안 복수회의 네트워크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산정모듈(33c)이 동일한 네트워크 식별자인 (PAN ID, channel)를 복수회 수신한 경우 네트워크는 1개이고, 상이한 네트워크 식별자를 수신한 경우는 복수개의 네트워크에 해당된다.
산정모듈(33c)의 산정 결과에 따라, 등록모듈(33b)은 연결가능한 네트워크가 단수인 경우, 이 네트워크(즉, 네트워크 서버(10))가 사용자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20)가 접속되기를 원하는 네트워크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 네트워크 식별자를 자신의 네트워크 식별자로 저장하고, 이 네트워크 식별자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서버(10)로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다.
또한, 네트워크 어댑터(22)는 신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40)에 대해서는 상술된 네트워크 서버(10)의 네트워크 어댑터(12)와 같이, 네트워크 식별자를 네트워크 디바이스(40)에 송신하고, 그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20)와 네트워크 디바이스(40) 간에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5는 도 3의 네트워크 디바이스(40)의 네트워크 어댑터의 구성도이다. 도 5의 네트워크 어댑터(52)는 도 4의 네트워크 어댑터(42)와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 어지나, 일부의 기능이 상이하다.
먼저, 네트워크 디바이스(40)가 리모트 컨트롤러(20)와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할 때는 리모트 컨트롤러(20)와 네트워크 서버(10) 간의 네트워크 연결과 동일하므로, 이때의 리모트 컨트롤러(20)의 네트워크 어댑터(22)와 동일하다. 그러나, 일단, 네트워크 어댑터(42)가 리모트 컨트롤러(20)에 의해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등록모듈(53b)은 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1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메시지(예를 들면, looking for the server 메시지)를 네트워크 서버(10)로 송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네트워크 서버(10)가 응답 메시지를 송신하여 등록모듈(53b)이 송수신부(51)를 통하여 수신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 디바이스(40)의 네트워크 어댑터(42)가 리모트 컨트롤러(20)를 통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고 있으나, 네트워크 서버(1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40)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상술된 동작이 요구되는 것이다.
도 6은 네트워크 서버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리모트 컨트롤러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ZigBee 통신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개시한다.
자세하게는, 도 6의 단계(S41)에서, 네트워크 서버(10)의 마이컴(15)은 입력수단(11)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즉, 사용자가 새로운 리모트 컨트롤러(20)를 현재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연결하여 제어하고자 하는 것인지 판단한다.
이에 대응하여, 도 7의 단계(S51)에서, 리모트 컨트롤러(20)의 마이컴(25)도 사용자로부터의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이 이루어졌는지 판단한다.
도 6의 단계(S42)에서, 마이컴(15)은 네트워크 어댑터(12)로 네트워크 연결 허용 명령을 송신하고, 이에 따라 네트워크 어댑터(12)는 현재 상태를 다른 네트워크 어댑터로부터의 PAN으로의 연결 허용(join enable) 상태로 전환한다.
도 7의 단계(S52)에서, 마이컴(25)은 네트워크 어댑터(22)로 하여금 네트워크 연결 과정(network join procedure)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에, 네트워크 어댑터(22)의 검색모듈(33a)은 네트워크 검색을 수행한다. 이때, 네트워크 어댑터(22)는 근거리 내에서의 통신만이 가능하도록 송신 전력을 최소로 하여 검색을 수행한다.
도 6의 단계(S43)에서, 네트워크 서버(10)의 네트워크 어댑터(12)는 네트워크 어댑터(22)의 네트워크 연결 과정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연결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이는, 네트워크 어댑터(12)가 기저장하고 있는 네트워크 식별자를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외부로 송신하여, 네트워크 어댑터(22)의 검색모듈(33a)이 수신하도록 한다. 즉, 단계(S43)과 단계(S52)가 서로 유기적으로 동작하게 되며,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 과정은 ZigBee 프로토콜에 규정된 바에 따라 수행된다.
도 6의 단계(S44)에서, 네트워크 어댑터(12)는 설정시간(t1) 동안 네트워크 연결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즉, 네트워크 어댑터(12)는 이 설정시간(t1) 동안 네트워크 연결 허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의 단계(S53)에서, 네트워크 어댑터(22)는 설정시간(t2) 동안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도 7의 단계(S54)에서, 검색모듈(33a)은 검색된 네트워크 식별자를 모두 산정모듈(33c)로 보내고, 산정모듈(33c)은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의 종류에 따라 연결가능한 네트워크의 개수를 산정하여 등록모듈(33b)로 보낸다. 이에 등록모듈(33b)은 네트워크의 개수가 단수인지를 판단하며, 만약 단수이면, 단계(S5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56)로 진행한다.
단계(S55)에서, 등록모듈(33b)은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에 대응하는 네트워크로 연결 요청을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하고, 이에 도 6의 단계(S45)에서, 네트워크 어댑터(12)가 이를 수신하여 단계(S46)에서, 네트워크 연결 허용을 네트워크 어댑터(22)로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한다. 특히, 네트워크 어댑터(12)는 네트워크 어댑터(22)로부터의 연결 요청 시에 리모트 컨트롤러(20)의 MAC 주소를 등록한다. 이에 등록모듈(33b)이 네트워크 어댑터(12)로 네트워크 정보(예를 들면, 홈코드, 인증키, 암호화키 등)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요청하고, 단계(S46)에서, 네트워크 어댑터(12)는 이에 대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네트워크 어댑터(12)로 전송하며, 이에 등록모듈(33b)이 이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여,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다.
단계(S56)에서, 등록모듈(33b)은 복수의 네트워크 어디에도 연결하기를 포기하고, 수신된 네트워크 식별자를 폐기한다. 이렇게 네트워크가 복수개 검색되면, 사용자가 직접 네트워크 식별자를 입력하는 경우가 아닐 때, 등록모듈(33b)이 어떤 네트워크가 사용자가 연결을 원하는 네트워크인지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포기한다.
도 6의 단계(S47)에서, 네트워크 어댑터(12)는 네트워크 정보에 대한 처리(연결 요청의 수신, 연결 허용의 송신 및 네트워크 정보의 송신 등)를 수행하였으면 리모트 컨트롤러(20)의 성공적인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었음을, 또는 네트워크 정보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았으면 리모트 컨트롤러(20)의 네트워크 연결이 실패하였음을 마이컴(15)에 알리고, 이에 마이컴(15)은 표시수단(14)을 통하여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 결과를 알린다.
도 7의 단계(S57)에서, 네트워크 어댑터(22)는 단계(S55)에 따른 경우 네트워크 연결 성공을, 또는 단계(S56)에 따른 경우 네트워크 연결 실패를 마이컴(25)에 알리고, 이에 마이컴(25)은 그 네트워크 연결 결과를 표시수단(24)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알린다. 또한, 네트워크 어댑터(22)는 내장된 표시부(34)를 통하여 네트워크 연결 결과를 알릴 수도 있다. 단계(S57)에서, 리모트 컨트롤러(22)는 네트워크 연결 실패인 경우, 네트워크 연결 과정을 재수행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표시부(34) 또는 표시수단(24)으로 그 사실을 알리고, 일정 시간이 흐른 후에 재시도하도록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상술된 도 6 및 7의 방법에 의해, 리모트 컨트롤러(20)의 네트워크 어댑터(22)는 네트워크 연결에 의한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하며, 이후에 통신을 위해 송신전력을 정상 전력으로 재설정한다. 하기의 도 8에서, 사용자는 네트워크 정보를 저장한 리모트 컨트롤러(20)를 새롭게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네트워크 디바 이스(40)의 근거리에 위치시키고, 도 6 및 도 7의 방법과 동일하게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한다.
도 7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때, 도 5의 네트워크 서버(10)의 기능을 리모트 컨트롤러(20)가 수행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40)가 도 6의 리모트 컨트롤러(20)의 기능을 대부분 수행하게 된다. 즉, 도 7의 단계(S61) 내지 (S66)은 도 6의 단계(S51) 내지 (S56)과 유사한 동작으로 진행된다.
다만, 단계(S67)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40)의 등록모듈(52b)은 수신된 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10)로 연결 요청(예를 들면, looking for the sever 메시지)를 멀티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하고, 이에 네트워크 어댑터(12)는 수신된 연결 요청에 포함된 네트워크 정보를 판독하여, 자신의 네트워크 정보인 경우, 등록모듈(52b)로 연결 허용을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송신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40)와 네트워크 서버(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네트워크 어댑터(12)는 네트워크 디바이스(20)의 MAC 주소를 저장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리모트 컨트롤러(20)를 네트워크 서버(10)의 근거리로 이동시키고, 각각에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리모트 컨트롤러(20)가 네트워크 서버(1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고, 그 이후에, 다시 리모트 컨트롤러(20)를 네트워크 디바이스(40)의 근거리로 이동시키고, 각각에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네트워크 디바이스(40)와 리모트 컨트롤러(2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된다. 또한, 네트워크 디바이스(40)는 자동적으로 네트워크 서버(10)와의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원거리에 위치된 네트워크 디바이스(40)와 네트워크 서버(10)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완료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네트워크 연결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독립형 전송매체를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신뢰성 높은 네트워크 연결 및 등록을 성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최소한의 조작에 의해 해당 네트워크에 안정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입력수단과;
    정상 송신 전력보다 낮은 최소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최소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근거리 내의 네트워크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및;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로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을 송신하여 상기 네트워크 연결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완료한 이후에, 정상 송신 전력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단수의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6. 정상 송신 전력보다 낮은 최소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최소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근거리 내의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검색수단과;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등록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어댑터는 상기 네트워크 연결의 수행 완료 이후에, 정상 송신 전력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등록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어댑터.
  10.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사용자로부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대한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연결 시작 요청에 따라, 정상 송신 전력보다 낮은 최소 송신 전력을 이용하여, 최소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근거리 내의 네트워크를 근거리 내의 네트워크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상기 수행 단계 이후에, 정상 송신 전력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의 개수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검색된 네트워크가 단수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상기 네트워크 연결을 수행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행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정보에 따라 네트워크 서버에 대한 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
KR1020060066976A 2006-01-23 2006-07-18 네트워크 디바이스 KR100792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976A KR100792076B1 (ko) 2006-07-18 2006-07-18 네트워크 디바이스
US11/655,825 US8090807B2 (en) 2006-01-23 2007-01-22 Home code setting method for home networ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976A KR100792076B1 (ko) 2006-07-18 2006-07-18 네트워크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076B1 true KR100792076B1 (ko) 2008-01-04

Family

ID=39216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976A KR100792076B1 (ko) 2006-01-23 2006-07-18 네트워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729B1 (ko) 1994-07-29 1999-06-15 포만 제프리 엘 네트워크내의 통신을 위한 노드 및 방법
KR20040047630A (ko) * 2002-11-29 2004-06-0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가전 네트워크용 어댑터, 인덱스서버, 가전 네트워크 접속 방법, 가전 네트워크용 어댑터제어 방법, 및 인덱스 서버의 동작 방법
KR20040103367A (ko) * 2003-05-30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60045122A (ko) * 2004-04-19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고유코드를 설정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홈 네트워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2729B1 (ko) 1994-07-29 1999-06-15 포만 제프리 엘 네트워크내의 통신을 위한 노드 및 방법
KR20040047630A (ko) * 2002-11-29 2004-06-05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가전 네트워크 시스템, 가전 네트워크용 어댑터, 인덱스서버, 가전 네트워크 접속 방법, 가전 네트워크용 어댑터제어 방법, 및 인덱스 서버의 동작 방법
KR20040103367A (ko) * 2003-05-30 200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40104349A (ko) * 2003-05-30 2004-1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20060045122A (ko) * 2004-04-19 200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의 고유코드를 설정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위한홈 네트워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90807B2 (en) Home code setting method for home network system
KR100470853B1 (ko) 네트워크 장치, 네트워크 접속 관리 장치 및 네트워크장치의 증설 방법
KR102002420B1 (ko) 이동기기를 이용하는 스마트 홈 시스템
EP12174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US20160198211A1 (en) Ir pairing for rf4ce remote controls
KR100565487B1 (ko)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104503378B (zh) 一种机器人以及基于该机器人的控制家电的方法
CN201749342U (zh) 一种控制装置及控制系统
CN103858380A (zh) 用于通信连接服务的方法和设备
JP2002186058A (ja) 家電機器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及び方法
CN105159121B (zh) 家用电器及其开关机控制方法和系统及智能设备
CN105652675A (zh) 一种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装置、终端及系统
CN103685733A (zh) 一种遥控控制方法及终端
US8484323B2 (en) Network system connected with multiple master device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4377644B2 (ja) 家電遠隔制御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サーバ及び家電遠隔制御方法
CN105182774A (zh) 基于G.hn的智能家庭网关控制系统及方法
JP2023091045A (ja) 家電システム及び家電機器
JP2014036242A (ja) 遠隔制御システム
US20180159853A1 (en) Home network system using z-wave network and home automation device connection method using same
JP4931659B2 (ja) 家電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CN106130842A (zh) 家电设备的控制方法、家电设备及其wifi模块
EP3373528B1 (en) Device control system
KR100792076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JP2017017554A (ja) リモコン
KR101772097B1 (ko) 다중 접속이 가능한 보일러용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