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2004B1 -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 - Google Patents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2004B1
KR100792004B1 KR1020060068001A KR20060068001A KR100792004B1 KR 100792004 B1 KR100792004 B1 KR 100792004B1 KR 1020060068001 A KR1020060068001 A KR 1020060068001A KR 20060068001 A KR20060068001 A KR 20060068001A KR 100792004 B1 KR100792004 B1 KR 100792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mo
phenylacetate
difluoro
bicarbonat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8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구
박상수
하병조
Original Assignee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60068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2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2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200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 C07C67/30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modifying the acid moiety of the ester, such modification not being an introduction of an ester group by introduction of halogen; by substitution of halogen atoms by other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3/00Asymmetric synthe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4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67/62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2Halogen-containing esters
    • C07C69/65Halogen-containing esters of unsaturated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09Geometrical is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페닐아세테이트의 브롬화 과정에서 염기성물질을 첨가함으로써 강산인 브롬산(HBr)을 중화시켜 부산물로 생성되는 페놀류의 생성을 억제하여 목적물인 파라이성체를 높은 선택성으로 합성할 수 있다.
파라브로모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 파라이성체, 오르쏘이성체, 브롬산, 중탄산염, 수율

Description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Process for preparing 4-bromo-3,5-difluorophenyl acetate}
본 발명은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파라브로모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를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는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파라브로모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는 "파라이성체"로, 오르쏘브로모디플루오로아세테이트, 예를 들면 2-브로모-3,5-디플로오로페닐 아세테이트는 "오르쏘이성체"로 명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파라이성체는 의약, 농약, 액정화합물 등의 중요한 중간체로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파라이성체의 합성방법으로는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30955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디플루오로페놀의 브롬화 반응용매로서 1,2-디메톡시에탄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브롬화 반응을 진행하여 합성하였다. 이렇게 진행된 브롬화 반응의 결과 반응액에서 목적 물질인 파라이성체가 65.8% 생성되었으며, 디플루오로페놀은 8.1%가 미반응되어 검출되었다.
또한, 반응액에서 부생성물질인 오르쏘이성체와 비스이성체는 각각 20.5%와 5.1%로 검출되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는 목적 물질인 파라이성체 이외에도 다량의 부생성물질과 출발물질이 혼재되어 있어 파라이성체의 수율이 극히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파라이성체를 높은 수율로 얻기 위하여 예의연구를 거듭한 결과, 페닐아세테이트의 브롬화 과정에서 염기성물질을 첨가할 경우 강산인 브롬산(HBr)을 중화시켜 부산물로 생성되는 페놀류의 생성을 억제하여 목적물인 파라이성체를 높은 선택성으로 합성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파라이성체를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는 파라브로모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 예를 들면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파라브로모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즉,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은 출발물질로서 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에 브롬을 첨가하고, 중탄산염을 상기 출발물질에 대해 0.5 내지 1.5의 몰비율로 첨가하여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페닐아세테이트류의 파라선택성이 있는 브롬체인 파라브로모디플 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를 합성하기 위한 것으로 페닐아세테이트의 브롬화 과정에서 염기성물질을 첨가하여 생성되는 강산인 브롬산(HBr)을 중화시켜 부산물로 생성되는 페놀류의 생성을 억제하여 목적물인 파라이성체를 높은 선택성으로 합성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브롬화 반응에 있어서 일반적인 방법에 의한 브롬화 반응의 경우 다음 반응식 1에서와 같이 출발물질[식(1)], 파라이성체[식(2)], 오르쏘이성체[식(3)]와 함께 생성되는 브롬산(HBr)에 의해 분해되는 페놀[식(4)]의 생성 등의 양상을 보이게 된다.
[반응식]
Figure 112006051726191-pat00001
(1) (2) (3) (4)
본 발명에 의하면, 출발물질로서 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에 브롬을 첨가하는 통상적인 브롬화 반응에서, 상기 출발물질에 대해 0.5 내지 1.5의 몰비율로 염기성 물질로서 중탄산염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할 경우 염기성물질에 의해 반응과정에서 생성되는 강산인 브롬산(HBr)이 중화되어 페놀류 의 생성을 억제하여 목적물인 파라이성체가 높은 선택성으로 합성되게 된다.
상기에서 중탄산염을 만일 0.5몰 미만으로 첨가할 경우에는 강산을 충분히 중화시키지 못하게 되고, 반대로 1.5몰이 넘는 경우에는 반응용액의 점도가 증가하게 되어 부작용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범위로 중탄산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염기성물질인 중탄산염으로는 중탄산나트륨(NaHCO3) 또는 중탄산포타슘(KHCO3)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3구 플라스크에 3,5-디플루오로 아세테이트(MW 172, 8.6g, 50mmol), 중탄산나트륨 50 mmol, 디클로로메탄(10ml)에 넣고, 상온에서 15분간 저어주었다. 그 후에 브롬(50mmol)을 투입하였다. 10시간 뒤에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액에 황산수소나트륨 용액(10%, 100mmol)을 투입하여 브롬을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증류수로 세척을 한 뒤 황산마그네슘으로 처리하여 물을 제거한 후 여과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반응물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5-디플루오로페닐 아세테이트 19%, 2-브로모-3,5-디플루오로페닐 아세테이트 1%, 목적물인 4-브로모-3,5-디플루오로페닐 아세테이트 80%의 전환율을 보였다.
비교예 1
3구 플라스크에 3,5-디플루오로 아세테이트(MW 172, 8.6g, 50mmol), 디클로로메탄(10ml)에 넣고, 상온에서 15분간 저어주었다. 그 후에 브롬(50mmol)을 투입하였다. 10시간 뒤에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액에 황산수소나트륨 용액(10%, 100mmol)을 투입하여 브롬을 제거하였다. 유기층을 증류수로 세척을 한 뒤 황산마그네슘으로 처리하여 물을 제거한 후 여과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반응물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5-디플루오로페닐 아세테이트 12%, 2-브로모-3,5-디플로오페닐 아세테이트 5%, 4-브로모-3,5-디플루오로페닐 아세테이트 70%, 기타 3,5-디플루오로페닐 13%의 전환율을 보였다.
본 발명의 파라브로모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 즉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은 페닐아세테이트의 브롬화 과정에서 염기성물질을 첨가함으로써 강산인 브롬산(HBr)을 중화시켜 부산물로 생성되는 페놀류의 생성을 억제하여 목적물인 파라이성체를 높은 선택성으로 합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3,5-디플루오로페닐아세테이트의 브롬화반응에 있어서, 출발물질로서 3,5-디플루오로페닐 아세테이트에 브롬을 통상의 방법으로 첨가하고, 상기 출발물질에 대해 중탄산염을 0.5 내지 1.5의 몰비율로 첨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탄산염은 중탄산나트륨 또는 중탄산포타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
KR1020060068001A 2006-07-20 2006-07-20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92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001A KR100792004B1 (ko) 2006-07-20 2006-07-20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8001A KR100792004B1 (ko) 2006-07-20 2006-07-20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2004B1 true KR100792004B1 (ko) 2008-01-04

Family

ID=3921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800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2004B1 (ko) 2006-07-20 2006-07-20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20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555A (ja) * 1999-04-28 2000-11-07 Kanto Denka Kogyo Co Ltd p−ブロモフェノール類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555A (ja) * 1999-04-28 2000-11-07 Kanto Denka Kogyo Co Ltd p−ブロモフェノール類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173B1 (ko) 페닐아세트아미드 화합물의 제조 방법
ES2313618T3 (es) Compuestos de diarilfenoxialuminio.
IL209691A (en) Biphenyl is converted
Keegstra Copper catalysed preparation of vinyl ethers from unactivated vinylic halides
JP5381257B2 (ja) 含フッ素ボロン酸エステル化合物の製造方法
KR100792004B1 (ko) 4-브로모-3,5-디플루오로 페닐아세테이트의 합성방법
US8729320B2 (en) Method for producing difluorocyclopropane compound
JP4165858B2 (ja) tert−アミロキシハロゲノベンゼン化合物とその製法およびtert−アミロキシシアノビフェニル化合物とその製法、並びにシアノヒドロキシビフェニル化合物の製法
JP6643735B2 (ja) 含フッ素α−ケトカルボン酸エステル類の実用的な製造方法
JP2003335735A (ja) パーフルオロイソプロピルアニリン類の製造方法
KR100906478B1 (ko) 호모알렌일 알코올 유도체와 인듐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
JP4269902B2 (ja) 芳香族不飽和化合物の製造方法
JP4948030B2 (ja) 含フッ素アルコ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JP5664779B2 (ja) ヘキサフルオロアセトンまたはその水和物の製造法
JP5372556B2 (ja) α付加型アリル化反応による選択的ホモアリルアルコール誘導体の製造法
JPWO2004054997A1 (ja) 1−アセトキシ−3−(置換フェニル)プロペ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7625643B2 (ja) 2‐m‐ヒドロキシフェニル酢酸の製造方法及び2‐m‐ヒドロキシフェニル酢酸
JP3998925B2 (ja) 3,3,3−トリフルオロ−2−ヒドロキシプロピオン酸誘導体の製造方法
KR102376869B1 (ko) 요오드 함유 규소 화합물의 제조 방법
JP3340760B2 (ja) パラ−第三級ブトキシフェニルジメチルカルビノールおよびその製造法
FR2522652A1 (fr)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ortho- ou de para-nitrophenetole pratiquement pur
JP5773850B2 (ja) 光学活性α−アルキルセリン誘導体の製造方法
KR100927242B1 (ko) 알릴알렌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JP4104863B2 (ja) テトラヒドロピラニルオキシアミンの製造方法
JP4902840B2 (ja) ルイス酸性フルオラススタノキサン触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704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