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90216B1 -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216B1
KR100790216B1 KR1020060100726A KR20060100726A KR100790216B1 KR 100790216 B1 KR100790216 B1 KR 100790216B1 KR 1020060100726 A KR1020060100726 A KR 1020060100726A KR 20060100726 A KR20060100726 A KR 20060100726A KR 100790216 B1 KR100790216 B1 KR 100790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nt
dispersant
thin film
group
transparent electro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선미
최재영
이동기
최성재
신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0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216B1/ko
Priority to US11/735,178 priority patent/US8138568B2/en
Priority to EP07116655.7A priority patent/EP1914781B1/en
Priority to JP2007268075A priority patent/JP2008103329A/ja
Priority to CN2007101625077A priority patent/CN10116588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216B1/ko
Priority to US13/372,881 priority patent/US8603836B2/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7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five-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pyrroles, polythioph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20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 H01B1/24Conductive material dispersed in non-conductive organic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comprising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electrical, optical, physical properties; materials therefor; method of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 상에 형성된 CNT 박막층을 포함하며, 상기CNT 박막층은 CNT와 도핑된 분산제를 포함하는 CNT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CNT투명전극은 전도성이 우수하고, 저렴하고 간단한 상온 습식 공정에 의해 제조 가능할 뿐 아니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 가능하여 이미지센서, 태양전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EL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패널 등 빛의 통과와 전도성 등 두 가지 특성을 동시에 필요로 하는 소자에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다.
CNT, 투명전극, 전도성 분산제, CNT 조성물, 도핑

Description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A Transparent CNT Electrode Using Conductive Dispersa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CNT 투명전극의 단면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CNT 투명전극의 표면을 SEM으로 촬영한 사진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CNT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중, 도핑 단계에서 도핑 용액에 CNT 박막을 침지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CNT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중, 도핑 단계에서 CNT 박막을 세척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CNT 투명전극의 도판트 용액의 농도와 도핑 시간에 따른 도핑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CNT 투명전극의 투과도에 따른 도핑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기판 및 상기 투명기판 상에 형성된 CNT 박막층을 포함하며, 상기CNT 박막층은 CNT와 도핑된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공정(wet process)이 가능하고 전도성이 우수하며, 플렉서블(flexible) 디스플레이에도 적용 가능한 CNT 투명전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투명 기판 위에 도전막이 형성된 투명전극은 이미지센서, 태양전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EL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패널 등 빛의 통과와 전도성 등 두 가지 특성을 동시에 필요로 하는 소자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투명기판의 전극으로 기존에는 ITO(indium tin oxide) 전극이 주로 사용되어 왔는데, 이는 ITO가 유리기판 위에 박막을 형성하기 쉽고 광투과 특성 및 우수한 도전성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ITO 전극의 제조시에는 진공증착 장비를 사용하게 되며, 그 중에서도 특성이 가장 우수한 스퍼터링 장비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퍼터링에 의해 투명전극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처리 온도가 200도 이상, 때로는 400도 이상의 고온이 되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더욱이 ITO 전극의 경우에는 유연성이 낮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경우 표면저항이 증가하며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이하 'CNT')를 투명 기판의 도전막으로 사용하는 투명전극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CNT란 하나의 탄소가 다른 탄소원자와 육각형 벌집무늬로 결합되어 튜브형태를 이루고 있는 물질로서 이방성이 매우 크고, 단일벽, 다중벽, 다발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지며, 튜브의 직경이 나노미터(nm = 10억분의 1m) 수준으로 극히 작은 영역의 물질이다. CNT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전기적 선택성, 뛰어난 전계방출 특성, 고효율의 수소저장매체 특성 등을 지닌다. 특히 CNT는 높은 전기전도도를 나타내어 도전막 등의 형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합성방법으로는 전기방전법, 열분해법, 레이저증착법, 플라즈마 화학기상 증착법, 열화학기상증착법 및 전기분해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CNT를 이용하여 도전막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CNT를 적절한 분산매에 분산시킬 것이 요구되는데, 특히 CNT의 경우 분자간 힘인 반 데르 발스(van der Waals) 힘과 같은 표면인력(~ 950 me V/nm)에 의해 입자간에 응집하기 쉽다. 이러한 CNT의 응집현상은 기계적 강도와 전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3차원적 네트워크 구조형성을 방해하기 때문에 CNT를 적절한 분산제에 의하여 분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기물 분산제는 절연체(insulator)로 작용하기 때문에 CNT 박막을 만들었을 때 전도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기존에 보고된 논문(Nano letters 2005, Vol 5, No. 4, 757-760)에서도 물에서 분산된 CNT 용액을 이용해서 필름을 만든 후 절연체로 작용될 수 있는 유기물을 물에 침지시켜 제거하려는 노력 을 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기물의 제거방법은 완벽성과 재현성의 확보가 어렵다.
그리고, 전도성 분산제에 의하여 CNT를 충분하게 분산시킨 경우에도, 전도성 분산제가 CNT 표면을 둘러싸게 되고, 전도성 분산제의 전도도가 CNT의 전도도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CNT를 이용한 도전막의 전도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전도도가 향상된 CNT 투명전극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의 목적은 상기한 특성의 CNT 투명전극을 제조하는 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투명 기판;
상기 투명 기판 위에 형성된 CNT 박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CNT 박막층은 CNT및 도핑된 분산제를 포함하는 CNT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기판은 유리 및 석영을 포함하는 투명 무기 기판이거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이써이써케톤, 폴리이써이미드, 아크릴 수지, 올레핀 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노르보넨계 수지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플렉서블 투명 기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CNT 조성물에 포함되는 CNT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다발형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분산제는 전도성 분산제일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전도성 분산제는 CNT와의 친화성이 높은 방향족 고리로 구성된 헤드부와, 분산매에 친화성을 갖는 테일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a) CNT 박막 형성을 위한 CNT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투명기판 위에 상기CNT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도성 분산제가 포함된 CNT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CNT 박막의 전도성 분산제를 도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NT 투명전극의 제조방법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ⅰ) 상기 CNT 박막이 형성된 투명기판을 도핑 용액에 침지시키는 단계;
ⅱ) 상기 CNT 박막에 잔존하는 도핑제를 세척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도핑된 CNT 박막을 건조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c) 단계는 요오드, 브롬, 염소, 염화요오드, 삼염화요오드, 브롬화요오드 등의 증기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 등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CNT 투명전극은 투명 기판과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된 CNT 박막층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CNT 박막층은 CNT와 도핑된 분산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제공하는 CNT 투명전극은 CNT와 CNT 간에 전하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도핑된 분산제, 특히 도핑된 전도성 분산제를 포함함으로써 전도도가 우수하며, 그에 따라 투과도의 저하 없이 높은 전도 특성을 시현한다. 또한 상기 CNT 투명전극은 상온 습식공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기판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응용할 수 있는 범위가 매우 넓다.
도 1은 이러한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CNT 투명전극의 단면 개략도를 보여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따른 CNT 투명전극은 투명 기판(10)과 CNT 박막층(20)을 포함하며, 상기 CNT 박막층은 CNT(21)와 도핑된 분산제(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CNT 투명전극에서, 상기 투명 기판(10)으로는 투명성을 갖고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및 석영과 같은 투명 무기 기판이 사용되거나, 플라스틱 등의 플렉서블 투명 기판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렉서블 투명 기판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athalate), 폴리에틸렌 설폰(polyethylene sulfone),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이써이써케톤(polyetheretherketon) 폴리이써이미드(polyetherimide), 아크릴 수지, 올레핀 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노르보넨계 수지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투명전극에서, CNT박막층을 이루는 CNT조성물에 포함되는 CNT(21)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한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구체적으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다발형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학적 처리에 의한 분리방법을 이용하여 금속성 탄소나노튜브를 선택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CNT를 분산시키기 위한 분산제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전도성 분산제로는 CNT와의 친화성이 높은 방향족 고리로 구성된 헤드부와 사용되는 분산매에 친화성을 갖는 테일부의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도성 분산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헤드부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테일부가 1개 또는 2개 치환 된 화합물이나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 싸이오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헤드부가 폴리싸이오펜(polythiophene)류인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74745861-pat00001
상기 식에서, Ar은 C6의 방향족; 또는 S, N 또는 O를 포함하는 C4 - 5 의 헤테로 방향족이고,
X는 NH- 또는 CH=CH- 이고,
a는 0 또는 1이며,
l은 5 내지 60의 정수이다.
Figure 112006074745861-pat00002
상기 식에서, Y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키닐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Z는 -H, -CH3, -OH, 카르복실산이나 그의 염, 술폰산이나 그의 염 및 인산이나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b는 0 또는 1이고,
m은 1 내지 9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9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분산제는 도핑된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일반적으로CNT 박막은 CNT 표면이 분산제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는데, 상기 분산제는 CNT에 비하여 전도도가 떨어지므로 CNT사이에서 절연체로 작용하여 CNT박막 전체의 전도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한 CNT투명전극에 있어서는, 상기 분산제에서 CNT간에 전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산제를 도핑시켜 이용함으로써 CNT박막의 전도성을 향상시켰으며, 상기 전도성이 향상되는 원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도성 분산제라 함은 전도성 고분자와 같은 조성을 가지지만 사용하는 용매와 입자에 맞추어 분자량을 조절하거나 작용기(functional group)(분산제에서 테일부에 해당)를 도입한 것으로, 그 기본 특성은 전도성 고분자와 유사하다. 즉, 전도성 고분자는 단일결합과 이중결합이 교대로 반복되는 공액구조를 가지며 일반적으로 절연체 (또는 반도체) 특성을 나타내지만 도핑을 통해 전도체 (또는 반도체) 특성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화학적 처리, 즉 도핑처리는 공액고분자내의 교대로 반복되는 단일결합(결합차수 : 1)과 이중결합(결합차수 : 2)을 1.5중결합(결합차수 : 1.5)으로 되게 하여 전자밀도가 비편재화되도록 함으로써, 분자내 또는 분자간에 전자가 쉽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아래 그림은 예를 들어, 폴리싸이오펜 고분자에서 도핑을 했을 때 전하운반체(charge carrier)로 작용하는 폴라론(polarons) 과 바이폴라론(bipolarons)의 상태를 보여준다.
Figure 112006074745861-pat00003
본 발명의 구현예에 의한 CNT투명전극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작용을 수행하는 도핑제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P형 도판트(전자수용체, electron acceptor) 또는 N형 (전자공여체, electron acceptor) 도판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사용 가능한 P형 도판트의 예로는 루이스(Lewis) 산 [PF5, AsF5, SbF5, ClO4 -, BF4 -, BF3, BCl3, BBr3, SO3, NO2(SbF6), NO(SbCl6), NO2(BF4)], 프로톤(Proton) 산 [H2SO4, HClO4, HNO3, FSO3H, CF3SO3H], 천이금속 할라이드[FeCl3, MoCl5, WCl5, SnCl4, MoF5, RuF5, TaBr5, SnI4], 귀금속 할라이드[AuCl3, HAuCl4] 및 유기물[벤조퀴논(benzoquinone), 테트라클로로벤조퀴논(tetrachlorobenzoquionoe),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tetracyano-quinodimethane), 다이클로로다이시아노벤조퀴논( dichlorodicyanobenzoquione)]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N형 도판트의 예로는 알칼리 금속 (Li, Na, K, Cs) 및 알킬 암모늄 이온 (테트라에틸 암모늄 이온, 테트라부틸 암모늄 이온)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상기 CNT와 분산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1:0.005 내지 1:100의 혼합 중량비로 혼합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혼합 중량비의 범위보다 분산제의 양이 적으면 적절한 CNT의 분산효과를 볼 수 없고, 반대로 분산제의 양이 많을 경우에는 CNT의 높은 전도도를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어 오히려 마이너스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CNT 박막의 투과도는 용도 및 경우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투명전극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550 nm혹은 600nm의 가시광 투과도가 60%이상, 바람직하게는 75%이상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CNT 투명 전극은 도핑된 분산제를 포함하여 우수한 전도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플렉서블 기판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기판에도 적용 가능하여, 이미지센서, 태양전지,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유기 EL 디스플레이, 터치 스크린 패널 등의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명전극으로 폭넓게 응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상술한 CNT 투명전극의 일 제조방법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CNT투명전극은 (a) CNT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CNT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 투명기판 위에 상기CNT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도성 분산제가 포함된 CNT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CNT 박막의 전도성 분산제를 도핑 용액에 침지시켜 도핑시키는 단계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각 단계에서 사용되는 재료는 위에서 CNT 투명전극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각 단계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a) CNT 박막 형성을 위한 CNT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먼저 CNT박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CNT 및 분산제와 유기용매,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분산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산제 용액을 포함하는 CNT 조성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서 사용가능한 분산매로는 구체적으로 단독의 유기용매, 단독의 물, 1종 이상의 유기용매의 혼합물, 또는 1종 이상의 극성용매와 물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유기용매로는 통상의 유기용매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알콜류, 케톤류, 글리콜류, 글리콜 에테르류, 글리콜 에테르 아세테이트류, 아세테이트류, 터피네올류 등을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CNT 조성물 중의 분산제 용액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000025% ~ 50%의 범위일 수 있으며, CNT는 상기 분산제 용액의 0.005% ~ 1% 정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박막의 형성 방법에 따라 용매을 추가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b) 투명기판 위에 상기 CNT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도성 분산제가 포함된 CNT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이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제조된 CNT 조성물을 이용하여 투명기판 위에 전도성 분산제가 포함된 CNT박막을 형성한다.
투명기판 위에CNT박막을 형성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코팅방법, 예를 들어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필트레이션(filtration)이나 바 코팅(bar coating)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방법들 중에서 용액의 특성과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은 미리 표면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 처리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O2 플라스마 처리와 같은 공지된 방법들을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다.
CNT 박막의 투과도는 용도 및 경우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나, 투명전극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550 nm혹은 600nm의 가시광 투과도가 60%이상, 바람직하게는 75%이상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좋다.
(c) CNT 박막내의 전도성 분산제를 도핑하는 단계
마지막으로는 CNT 박막의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CNT 박막내의 분산제를 도판트 용액을 사용하여 도핑시킨다.
상기 CNT박막내의 분산제를 도핑하는 단계는, 화학적 방법인 액상 공정(in solution process) 또는 기상 공정(in vapor process)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액상 공정은, ⅰ) CNT 박막이 형성된 상기 투명기판을 도핑 용액에 침지시키는 단계, ⅱ) CNT 박막에 잔존하는 도핑제를 세척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도핑된 CNT 박막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액상 공정에 의하여 전도성 분산제를 도핑시키기 위하여는 우선 상기 CNT 박막을 도판트 용액에 일정시간, 바람직하게는 10분 ~ 24 시간 정도 침지시킨 후, CNT박막에 잔존하는 도판트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도핑된 CNT박막을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세척하는데, 예를 들면 니트로메탄(nitromethane) 용액에 10분 ~ 24 시간 정도 담가 놓는다.
이어서 상기 세척된 CNT 박막을 통상의 건조방법에 따라 건조시킴으로써 도핑처리를 완료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처리는 약 80℃에서 2시간 정도 건조시킨 후 다시 상온에서 6시간 정도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는 사용하는 도판트 용액의 용매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상 공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요오드(I2), 브롬(Br2), 염소(Cl2), 염화요오드(ICl), 삼염화요오드(ICl3), 브롬화요오드(IBr) 등을 포함하는 할로겐 기체를 사용하여, CNT 투명전극을 반응기에 넣고 상기 할로겐 기체를 채워준 후 1시간이상 쪼이는 방법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1
i) CNT 박막의 제조
CNT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전도성 분산제로서 화학식 3에 해당하는 분산제 20mg을 물 20ml에 넣고 용해한 후, 이 용액에 CNT 20mg을 첨가하여 초음파분산기(sonicbath)에서 10시간 분산시킨 다음, 10,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CNT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화학식 3]
Figure 112006074745861-pat00004
상기 식에서, Z는 -H, -CH3 , -OH, 카르복실산이나 그의 염, 술폰산이나 그의 염 및 인산이나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분자량은 10,000(n=37)이다.
위에서 준비된CNT 조성물을 필트레이션(filtration)하여 CNT 층(layer)을 얻은 후 투명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도포하고, 이를 60℃에서 2시간 건조시켜 600nm 가시광 투과도가 77%인 CNT박막층이 형성된 기판을 수득하였다.
ⅱ) CNT 박막의 도핑
전 단계에서 수득된 기판을 0.25M의 2,3-디클로-5,6-디시아노-p-벤조퀴논(DDQ; 2,3-dichloro-5,6-dicyano-p-benzoquinone) 니트로메탄 용액에 4시간 침지 시켰다. 이어서, CNT박막에 잔존하는 도핑제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기판을 니트로메탄 용액에서 12시간 세척하였다. 그 이후 상기 세척된 기판을 80℃에서 2시간 건조 후 다시 상온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실시예 2
도핑 용액으로 0.1 M 삼염화금(AuCl3) 니트로메탄 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의하여 수득한 CNT투명전극에 대하여 도핑 전후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으며 CNT 투명전극의 표면모양을 SEM으로 촬영하여 도2에 나타내었다.
표1. 600nm 가시광 투과도가 77%인 CNT 박막의 도핑 효과
Figure 112006074745861-pat00005
*투명 전극의 물성 평가
(1) 투과도 측정
투과도는 UV-Visible spectrophotometer에 의해 측정하였다. (2) 표면 저항(Sheet Resistance) 측정
표면저항(Ω/sq)은 잘 알려져 있는 포-포인트 프로브 (four-point probe)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상기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CNT투명 전극의 경우에는 도핑 후의 표면 저항이 도핑 전에 비하여 50% 이상, 최대85% 이상 감소하게 되어, 이미지센서, 태양전지,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투명전극으로서 우수한 특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판트 용액의 농도와 침투 시간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CNT박막을 O2 플라즈마 처리한 PET 필름위에 스핀 코팅방식으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600nm 가시광 투과도가 79.51%인 CNT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도핑 용액으로 0.01M, 0.1 M 삼염화금(AuCl3) 니트로메탄 용액을 사용하여 상기 전극을 각각 10분, 20분, 30분, 1시간, 4시간 담근 후, 니트로메탄 용액으로 3번 헹군후 1시간동안 담그면서 세척하였다. 그 이후 세척된 기판은 상온에서 하루밤동안 건조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각 투명전극의 투과도 및 표면 저항을 측정하여 도 4 및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도판트 용액의 농도와 시간에 따른 도핑 결과
Figure 112006074745861-pat00006
실시예 4
투과도 변화에 따른 도핑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CNT함량을 조절하여 투과도가 상이한 5개의 CNT투명전극을 제조하였다. 도핑 용액으로 0.1 M 삼염화금(AuCl3) 니트로메탄 용액을 사용하고, CNT박막을 O2 플라즈마 처리한 PET 필름위에 스핀 코팅방식으로 형성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투과도 및 표면 저항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 및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600nm 가시광 투과도 별 도핑 결과
Figure 112006074745861-pat00007
상기 표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방법에 의한 CNT 투명 전극은 투과도의 변화에 관계 없이 전 투과도 영역에 걸쳐서 평균 60% 이상의 표면 저항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구현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다양한 변형예들도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CNT 투명전극은, 도핑 처리된 분산제를 이용하여 CNT박막의 전도도를 현저히 향상시킴으로써,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극으로 폭넓게 응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의 진공장비를 필요로 하는 스퍼터링 공정 등을 거치지 않고 간단한 상온습식 공정(wet process)에 의해 제조될 수 있어 제조비용 및 제조 공정면에서 효율적이며, 고투과 도 및 저저항의 우수한 특성을 발휘한다.
나아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투명 전극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용의 플렉서블 투명전극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주목 받고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전극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투명 기판;
    상기 투명기판 상에 형성된 CNT 박막층을 포함하며;
    상기 CNT 박막층은 CNT, 도핑된 분산제를 포함하는 CNT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기판이 유리 및 석영을 포함하는 투명 무기 기판이거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이써이써케톤, 폴리이써이미드, 아크릴 수지, 올레핀 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및 노르보넨계 수지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플렉서블 투명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투명전극.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NT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이중벽 탄소나노튜브,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및 다발형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투명전극.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금속성 탄소나노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전도성 분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투명전극.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분산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헤드부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테일부가 1개 또는 2개 치환된 화합물; 및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 싸이오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
    [화학식 1]
    Figure 112006074745861-pat00008
    상기 식에서, Ar은 C6 의 방향족; 또는 S, N 또는 O를 포함하는 C4 - 5 의 헤테로 방향족이고,
    X는 NH- 또는 CH=CH-이고,
    a는 0 또는 1이며,
    l은 5 내지 60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74745861-pat00009
    상기 식에서, Y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 된 C1-C1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키닐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Z는 -H, -CH3, -OH, 카르복실산이나 그의 염, 술폰산이나 그의 염 및 인산이나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b는 0 또는 1이고,
    m은 1 내지 9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9의 정수이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NT와 분산제의 혼합중량비가 1:0.005 내지 1: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된 분산제는 루이스산 [PF5, AsF5, SbF5, ClO4 -, BF4 -, BF3, BCl3, BBr3, SO3, NO2(SbF6), NO(SbCl6), NO2(BF4)], 프로톤산 [H2SO4, HClO4, HNO3, FSO3H, CF3SO3H], 천이금속 할라이드[FeCl3, MoCl5, WCl5, SnCl4, MoF5, RuF5, TaBr5, SnI4], 귀금속 할라이드[AuCl3, HAuCl4] 및 유기물[벤조퀴논, 테트라클로로벤조퀴논,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다이클로로다이시아노벤조퀴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P형 도판트, 또는 알칼리 금속 (Li, Na, K, Cs) 및 알킬 암모늄 이온(테트라에틸 암모늄 이온, 테트라부틸 암모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N형 도판트로 도핑된 분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NT 박막은 550 nm혹은 600nm의 가시광 투과도가 60%이상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투명전극의 제조방법.
  10. (a)CNT 박막 형성을 위한 CNT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b)투명 기판 위에 상기 CNT 조성물을 이용하여CNT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c)상기 CNT박막내의 분산제를 도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CNT투명전극의 제조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 c ) 단계는
    ⅰ) 상기 CNT 박막이 형성된 투명기판을 도핑 용액에 침지시키는 단계;
    ⅱ) 상기 CNT 박막에 잔존하는 도판트를 세척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도핑된 CNT 박막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NT 조성물은 CNT; 및 분산제와 유기용매, 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분산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분산제 용액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CNT와 전도성 분산제의 혼합비가 1:0.005 내지 1: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헤드부에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테일부가 1개 또는 2개 치환된 화합물; 및 폴리(3,4-에틸렌다이옥시 싸이오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6074745861-pat00010
    상기 식에서, Ar은 C6의 방향족; 또는 S, N 또는 O를 포함하는 C4 - 5 의 헤테로 방향족이고,
    X는 NH- 또는 CH=CH-이고,
    a는 0 또는 1이며,
    l은 5 내지 60의 정수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06074745861-pat00011
    상기 식에서, Y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10의 알키닐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20의 아릴알킬렌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Z는 -H, -CH3, -OH, 카르복실산이나 그의 염, 술폰산이나 그의 염 및 인산이나 그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b는 0 또는 1이고,
    m은 1 내지 9의 정수이며,
    n은 0 내지 9의 정수이다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루이스산 [PF5, AsF5, SbF5, ClO4 -, BF4 -, BF3, BCl3, BBr3, SO3, NO2(SbF6), NO(SbCl6), NO2(BF4)], 프로톤산 [H2SO4, HClO4, HNO3, FSO3H, CF3SO3H], 천이금속 할라이드[FeCl3, MoCl5, WCl5, SnCl4, MoF5, RuF5, TaBr5, SnI4], 귀금속 할라이드[AuCl3, HAuCl4] 및 유기물[벤조퀴논, 테트라클로로벤조퀴논,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다이클로로다이시아노벤조퀴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P형 도판트, 또는 알칼리 금속 (Li, Na, K, Cs) 및 알킬 암모늄 이온(테트라에틸 암모늄 이온, 테트라부틸 암모늄 이온)으로 이루어진 N형 도판트로 도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CNT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필트레이션, 바 코팅 방법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CNT투명전극의 제조방법.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도핑하는 단계는 요오드, 브롬, 염소, 염화요오드, 삼염화요오드, 브롬화요오드 증기를 사용하는 기상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NT투명전극의 제조방법
KR1020060100726A 2006-10-17 2006-10-17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90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26A KR100790216B1 (ko) 2006-10-17 2006-10-17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US11/735,178 US8138568B2 (en) 2006-10-17 2007-04-13 Transparent carbon nanotube electrode using conductive dispersa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EP07116655.7A EP1914781B1 (en) 2006-10-17 2007-09-18 Transparent carbon nanotube electrode using conductive dispersa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JP2007268075A JP2008103329A (ja) 2006-10-17 2007-10-15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透明電極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07101625077A CN101165883B (zh) 2006-10-17 2007-10-16 利用导电分散剂的透明碳纳米管电极及其制造方法
US13/372,881 US8603836B2 (en) 2006-10-17 2012-02-14 Transparent carbon nanotube electrode using conductive dispersant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726A KR100790216B1 (ko) 2006-10-17 2006-10-17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216B1 true KR100790216B1 (ko) 2008-01-02

Family

ID=38857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72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0216B1 (ko) 2006-10-17 2006-10-17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138568B2 (ko)
EP (1) EP1914781B1 (ko)
JP (1) JP2008103329A (ko)
KR (1) KR100790216B1 (ko)
CN (1) CN101165883B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699A (ko) * 2008-02-15 2009-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투명전극,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989409B1 (ko) * 2008-12-17 2010-10-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층구조 플렉시블 투명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27369A (ko) * 2009-05-26 2010-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US7852548B2 (en) 2008-08-11 2010-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KR20110036543A (ko) * 2008-06-09 2011-04-07 유니다임, 인크. 이식 도전체 제조를 위한 향상된 cnt/탑코팅 프로세스
KR101047215B1 (ko) * 2009-07-30 2011-07-06 정태승 주사전자현미경〔sem〕용 전도성 콜드 마운팅 시편의 제작방법
KR101272483B1 (ko) * 2010-12-09 2013-06-10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다층 구조의 투명 전도성 판재의 제조방법
KR101298234B1 (ko) * 2010-03-19 2013-08-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35999B1 (ko) 2007-12-07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펀트로 도핑된 산화그라펜의 환원물, 이를 포함하는 박막및 투명전극
KR101450591B1 (ko) * 2008-06-05 2014-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엔 도핑 물질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소자
US9218080B2 (en) 2010-03-19 2015-12-22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nti-static outer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60032302A (ko) 2014-09-15 2016-03-2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서블 투명전극용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5539A (ko) * 2017-04-13 2018-10-23 광주과학기술원 도핑된 공액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효과 트랜지스터
KR20230050055A (ko) 2021-10-07 2023-04-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전도성 전극
KR20230154505A (ko) 2022-05-02 2023-11-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층의 상변태를 이용한 반투명 면상 발열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216B1 (ko) 2006-10-1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83737B1 (ko) * 2007-01-17 2009-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망상 탄소나노튜브 박막층을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47987B1 (ko) * 2007-02-27 2008-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용 분산제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조성물
AU2008260162B2 (en) 2007-05-29 2013-06-20 Tpk Holding Co., Ltd. Surfaces having particles and related methods
KR100951730B1 (ko) * 2007-05-30 201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도성이 개선된 카본나노튜브,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카본나노튜브를 함유하는 전극
US8501529B2 (en) * 2007-05-30 2013-08-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arbon nanotube having improved conductivity, process of preparing the same, and electrode comprising the carbon nanotube
KR100913700B1 (ko) * 2007-06-12 2009-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탄소 나노튜브(cnt) 박막 및 그제조방법
CN101458598B (zh) * 2007-12-14 2011-06-08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70560B (zh) * 2007-12-27 2012-01-25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58593B (zh) * 2007-12-12 2012-03-14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676832B (zh) * 2008-09-19 2012-03-28 清华大学 台式电脑
CN101470566B (zh) * 2007-12-27 2011-06-08 清华大学 触摸式控制装置
CN101458597B (zh) * 2007-12-14 2011-06-08 清华大学 触摸屏、触摸屏的制备方法及使用该触摸屏的显示装置
CN101458600B (zh) * 2007-12-14 2011-11-30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58594B (zh) * 2007-12-12 2012-07-18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58609B (zh) * 2007-12-14 2011-11-09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70559B (zh) * 2007-12-27 2012-11-21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58595B (zh) * 2007-12-12 2011-06-08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19519B (zh) * 2007-10-23 2012-06-20 清华大学 触摸屏
CN101458606B (zh) * 2007-12-12 2012-06-20 清华大学 触摸屏、触摸屏的制备方法及使用该触摸屏的显示装置
CN101458605B (zh) * 2007-12-12 2011-03-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620454A (zh) * 2008-07-04 2010-01-06 清华大学 便携式电脑
CN101419518B (zh) * 2007-10-23 2012-06-20 清华大学 触摸屏
CN101458604B (zh) * 2007-12-12 2012-03-28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58596B (zh) * 2007-12-12 2011-06-08 北京富纳特创新科技有限公司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655720B (zh) * 2008-08-22 2012-07-18 清华大学 个人数字助理
CN101464763B (zh) * 2007-12-21 2010-09-29 清华大学 触摸屏的制备方法
CN101458599B (zh) * 2007-12-14 2011-06-08 清华大学 触摸屏、触摸屏的制备方法及使用该触摸屏的显示装置
CN101458608B (zh) * 2007-12-14 2011-09-28 清华大学 触摸屏的制备方法
CN101656769B (zh) * 2008-08-22 2012-10-10 清华大学 移动电话
CN101458603B (zh) * 2007-12-12 2011-06-08 北京富纳特创新科技有限公司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58602B (zh) * 2007-12-12 2011-12-21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70558B (zh) * 2007-12-27 2012-11-21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58975B (zh) * 2007-12-12 2012-05-16 清华大学 电子元件
CN101464757A (zh) * 2007-12-21 2009-06-24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58601B (zh) * 2007-12-14 2012-03-14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58607B (zh) * 2007-12-14 2010-12-29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64766B (zh) * 2007-12-21 2011-11-30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US8574393B2 (en) 2007-12-21 2013-11-05 Tsinghua University Method for making touch panel
CN101464764B (zh) * 2007-12-21 2012-07-18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64765B (zh) * 2007-12-21 2011-01-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屏及显示装置
CN101470565B (zh) * 2007-12-27 2011-08-24 清华大学 触摸屏及显示装置
US8308930B2 (en) * 2008-03-04 2012-11-13 Snu R&Db Foundation Manufacturing carbon nanotube ropes
JP5266889B2 (ja) * 2008-06-04 2013-08-21 ソニー株式会社 光透過性導電体の製造方法
US8946848B2 (en) * 2008-06-05 2015-02-03 Omnivisi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sensor with carbon nanotube based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
US8237677B2 (en) * 2008-07-04 2012-08-07 Tsinghua University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US8390580B2 (en) * 2008-07-09 2013-03-05 Tsinghua University Touch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using the same, and methods for making the touch panel and the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
KR101091196B1 (ko) * 2008-08-14 2011-12-09 한국전기연구원 탄소나노튜브가 코팅된 폴리카보네이트 투명전도성 필름 및이를 이용한 터치패널
US8673258B2 (en) * 2008-08-14 2014-03-18 Snu R&Db Foundation Enhanced carbon nanotube
US8357346B2 (en) * 2008-08-20 2013-01-22 Snu R&Db Foundation Enhanced carbon nanotube wire
US20100045610A1 (en) * 2008-08-20 2010-02-25 Snu R&Db Foundation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KR101660813B1 (ko) 2008-08-21 2016-10-10 티피케이 홀딩 컴퍼니 리미티드 개선된 표면, 코팅 및 관련 방법
US8021640B2 (en) 2008-08-26 2011-09-20 Snu R&Db Foundation Manufacturing carbon nanotube paper
WO2010026571A2 (en) 2008-09-02 2010-03-11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Metal nanowire thin-films
TWI395710B (zh) * 2009-01-06 2013-05-11 Univ Tatung 奈米碳管複合材料之製作方法
US8272124B2 (en) * 2009-04-03 2012-09-25 Formfactor, Inc. Anchoring carbon nanotube columns
CN102414840A (zh) * 2009-04-30 2012-04-11 汉阳大学校产学协力团 包含碳纳米管层的硅太阳能电池
IT1394220B1 (it) * 2009-05-15 2012-06-01 Univ Padova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un manufatto di materiale plastico flessibile e trasparente con bassa resistenza elettrica superficiale e manufatto di materiale plastico ottenuto con questo procedimento.
CN101924816B (zh) * 2009-06-12 2013-03-20 清华大学 柔性手机
US9786444B2 (en) * 2009-06-25 2017-10-10 Nokia Technologies Oy Nano-structured flexible electrodes, and energy storage devices using the same
JP5432624B2 (ja) * 2009-07-28 2014-03-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透明導電膜付き基材
US20110048508A1 (en) * 2009-08-26 2011-03-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ping of Carbon Nanotube Films for the Fabrication of Transparent Electrodes
CN102005443B (zh) * 2009-09-02 2014-0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KR20110061909A (ko) * 2009-12-02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펀트로 도핑된 그라펜 및 이를 이용한 소자
US8604332B2 (en) * 2010-03-04 2013-12-10 Guardian Industries Corp.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s including carbon nanotubes and nanowire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518472B2 (en) 2010-03-04 2013-08-27 Guardian Industries Corp. Large-area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s including doped carbon nanotubes and nanowire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460747B2 (en) 2010-03-04 2013-06-11 Guardian Industries Corp. Large-area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s including alloyed carbon nanotubes and nanowire composit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110126998A (ko) * 2010-05-18 2011-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Cnt 조성물, cnt 막구조체, 액정표시장치, cnt 막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FR2961625A1 (fr) 2010-06-16 2011-12-23 Arkema France Procede de preparation de films transparents conducteurs a base de nanotubes de carbone
US20120015098A1 (en) * 2010-07-14 2012-01-19 Qian Cheng Carbon nanotube bas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and methods for preparing and patterning the same
CN103155174B (zh) 2010-08-07 2017-06-23 宸鸿科技控股有限公司 具有表面嵌入的添加剂的装置组件和相关的制造方法
JP5627390B2 (ja) 2010-10-22 2014-11-19 株式会社東芝 光電変換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061101A (zh) * 2010-10-29 2011-05-18 清华大学 碳纳米管复合材料
JP5948837B2 (ja) * 2011-03-29 2016-07-06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電子機器
US9835913B2 (en) 2011-04-15 2017-1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ransparent electrode for electronic displays
CN102201548B (zh) * 2011-04-18 2014-04-23 电子科技大学 一种柔性发光器件用基板及其制备方法
CN102208558B (zh) * 2011-04-18 2013-07-10 电子科技大学 一种柔性发光器件用基板及其制备方法
CN102208546A (zh) * 2011-04-18 2011-10-05 电子科技大学 一种柔性光电子器件用基板及其制备方法
CN102819335A (zh) * 2011-06-09 2012-12-12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触摸屏面板的制备方法
CN102819337B (zh) * 2011-06-09 2015-06-17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触摸屏面板的制备方法
KR101327069B1 (ko) 2011-07-28 2013-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극 구조체 및 전극 제조 방법
DE102011081331A1 (de) * 2011-08-22 2013-02-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berührungssensitiven Bedien- und Anzeigeeinrichtung
DE102011081332A1 (de) * 2011-08-22 2013-02-28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einer berührungssensitiven Bedien- und Anzeigeeinrichtung
JP5813875B2 (ja) 2011-08-24 2015-11-17 イノバ ダイナミ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パターン化された透明導体および関連する製造方法
US20130100390A1 (en) * 2011-10-25 2013-04-25 Yewen Wang Liquid Crystal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808792B2 (en) * 2012-01-17 2014-08-19 Northrop Grumman Systems Corporation Carbon nanotube conductor with enhanced electrical conductivity
WO2013128458A1 (en) 2012-03-01 2013-09-06 Ramot At Tel-Aviv University Ltd. Conductive nanowire films
US9199870B2 (en) 2012-05-22 2015-12-01 Corning Incorporated Electrostatic method and apparatus to form low-particulate defect thin glass sheets
CN103455179A (zh) * 2012-05-28 2013-12-18 东元奈米应材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的透明导电层的高解析度激光蚀刻方法
CN103625043A (zh) * 2012-08-24 2014-03-12 天津富纳源创科技有限公司 碳纳米管薄膜板的制造方法及碳纳米管薄膜板
US20140302296A9 (en) * 2012-09-24 2014-10-09 C3Nano Inc.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with carbon nanotubes, inks to form the films and corresponding processes
JP5717706B2 (ja) * 2012-09-27 2015-05-1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3223569A1 (de) 2013-11-19 2015-05-2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homogenen leitfähigen Kohlenstoffnanoröhrchen haltigen Beschichtung auf einem Substrat und Substrat mit homogener leitfähiger Kohlenstoffnanoröhrchen haltiger Beschichtung
CN104849317B (zh) 2014-02-18 2018-09-18 元太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半导体感测装置及制作方法
JP6197235B2 (ja) 2014-06-26 2017-09-20 国立大学法人 奈良先端科学技術大学院大学 ナノ材料−ドーパント組成物複合体の製造方法、ナノ材料−ドーパント組成物複合体およびドーパント組成物
WO2015198980A1 (ja) 2014-06-26 2015-12-30 国立大学法人奈良先端科学技術大学院大学 ナノ材料-ドーパント組成物複合体の製造方法、ナノ材料-ドーパント組成物複合体およびドーパント組成物
CN105321592B (zh) * 2014-08-01 2017-03-22 广东阿格蕾雅光电材料有限公司 碳纳米管‑高分子层状复合透明柔性电极及其制备方法
WO2016060225A1 (ja) 2014-10-17 2016-04-21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膜及び該複合膜の製造方法
US9296614B1 (en) 2014-11-12 2016-03-29 Corning Incorporated Substrate such as for use with carbon nanotubes
CN104599746B (zh) 2015-01-27 2017-06-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控元件及其制备方法和触摸屏
CN104576321A (zh) * 2015-01-30 2015-04-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极结构、其制作方法、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04616838B (zh) * 2015-02-10 2018-02-0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器件的制作方法及电子器件
DE102015102553A1 (de) * 2015-02-23 2016-08-25 Technische Hochschule Nürnberg Georg Simon Ohm Dispergier-Additiv
CN104731413B (zh) * 2015-04-02 2018-11-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单元及其制作方法和柔性触控显示装置
CN104934551B (zh) * 2015-05-14 2017-07-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电极层及其制备方法、显示基板、显示装置
JP6390027B2 (ja) * 2015-11-24 2018-09-19 矢崎総業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材料
JP6626708B2 (ja) * 2015-12-18 2019-1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分散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熱電変換層の製造方法
JP6842070B2 (ja) * 2016-02-22 2021-03-1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複合材料、導電性材料、導電性粒子及び導電性フィルム
JP6868609B2 (ja) * 2016-03-24 2021-05-1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複合体及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線材
US11240917B2 (en) 2016-04-07 2022-02-01 Technology Innovation Momentum Fund (Israel) Limited Partnership Printing of nanowire films
JP6977571B2 (ja) * 2018-01-12 2021-12-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機能性薄膜、有機機能性積層膜、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光電変換素子及び有機機能性薄膜形成用塗布液
CN110391341B (zh) * 2018-04-16 2023-08-22 清华大学 聚合物太阳能电池的制备方法
EP3671342B1 (en) * 2018-12-20 2021-03-17 IMEC vzw Induced stress for euv pellicle tensioning
CN110120449B (zh) * 2019-05-24 2020-12-22 广东省半导体产业技术研究院 一种透明柔性显示系统及其制备方法
CN114132918B (zh) * 2021-12-31 2023-10-20 西安交通大学 一种量产的高电导多壁碳纳米管薄膜材料的制备方法
CN114195131A (zh) * 2022-01-04 2022-03-18 大连工业大学 一种单壁碳纳米管透明电热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737A (ko) * 2005-02-19 2006-08-23 한국기계연구원 탄소나노튜브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83620A (en) * 1976-12-30 1980-01-15 Pedro Buarque De Macedo Joint doped porous glass article with high modifier concentrations
US4645713A (en) * 1985-01-25 1987-02-24 Agency Of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Method for forming conductive graphite film and film formed thereby
JPH05241165A (ja) 1992-02-28 1993-09-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066442A (en) 1995-10-23 2000-05-23 Konica Corporation Plastic film having an improved anti-static property
EP1244168A1 (en) * 2001-03-20 2002-09-25 Francois Sugnaux Mesoporous network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cell
US6872681B2 (en) 2001-05-18 2005-03-29 Hyperion Catalysis International, Inc. Modification of nanotubes oxidation with peroxygen compounds
JP4207398B2 (ja) 2001-05-21 2009-01-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構造体の配線の製造方法、並びに、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構造体の配線およびそれを用い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デバイス
US7563711B1 (en) 2001-07-25 2009-07-21 Nantero, Inc. Method of forming a carbon nanotube-based contact to semiconductor
WO2003049219A1 (en) * 2001-11-30 2003-06-12 The Trustees Of Boston College Coated carbon nanotube array electrodes
AU2003229333A1 (en) 2002-05-21 2003-12-12 Eikos, Inc. Method for patterning carbon nanotube coating and carbon nanotube wiring
WO2004009884A1 (en) 2002-07-19 2004-01-29 University Of Florida Transparent electrodes from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KR100759547B1 (ko) * 2002-07-29 2007-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탄소나노튜브,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연료전지
CA2511771A1 (en) * 2002-12-06 2004-06-24 Eikos, Inc. Optically transparent nanostructured electrical conductors
KR100551229B1 (ko) * 2003-06-26 2006-02-10 주식회사 디피아이 솔루션스 디스플레이용 유기 투명 전극의 제조방법
US7455793B2 (en) * 2004-03-31 2008-11-2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Non-aqueous dispersions comprising electrically doped conductive polymers and colloid-forming polymeric acids
US7378040B2 (en) 2004-08-11 2008-05-27 Eikos, Inc. Method of forming fluoropolymer binders for carbon nanotube-based transparent conductive coatings
US7247670B2 (en) * 2004-08-24 2007-07-24 General Electric Company Nanotubes and methods of dispersing and separating nanotubes
US7226818B2 (en) 2004-10-15 2007-06-05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performance field effect transistors comprising carbon nanotubes fabricated using solution based processing
JP2006171336A (ja) 2004-12-15 2006-06-29 Takiron Co Ltd 画像表示用透明電極体および画像表示装置
TWI251354B (en) * 2005-02-02 2006-03-11 Ind Tech Res Inst Solar energy power module with carbon nano-tube
JP5023456B2 (ja) * 2005-03-28 2012-09-1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有機薄膜太陽電池素子
US7710739B2 (en) * 2005-04-28 2010-05-0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US7645497B2 (en) 2005-06-02 2010-01-12 Eastman Kodak Company Multi-layer conductor with carbon nanotubes
US7593004B2 (en) 2005-06-02 2009-09-22 Eastman Kodak Company Touchscreen with conductive layer comprising carbon nanotubes
KR100754984B1 (ko) 2005-11-16 2007-09-04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이용한 고순도 탄소나노튜브 필름의 제조방법
KR20070076875A (ko) 2006-01-20 2007-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용 분산제 및 그를 포함하는 탄소나노튜브조성물
JP5071921B2 (ja) * 2006-06-08 2012-11-1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スメクティック液晶化合物
JP2008081384A (ja) 2006-09-29 2008-04-10 Fuji Xerox Co Ltd 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分散液および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構造体の製造方法、並びに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構造体
KR100790216B1 (ko) 2006-10-1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05761A (ko) 2008-04-03 2009-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737A (ko) * 2005-02-19 2006-08-23 한국기계연구원 탄소나노튜브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999B1 (ko) 2007-12-07 2014-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펀트로 도핑된 산화그라펜의 환원물, 이를 포함하는 박막및 투명전극
KR20090088699A (ko) * 2008-02-15 2009-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투명전극,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596372B1 (ko) 2008-02-15 2016-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투명전극,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450591B1 (ko) * 2008-06-05 2014-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엔 도핑 물질 및 방법, 이를 이용한 소자
KR20110036543A (ko) * 2008-06-09 2011-04-07 유니다임, 인크. 이식 도전체 제조를 위한 향상된 cnt/탑코팅 프로세스
KR101703845B1 (ko) 2008-06-09 201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식 도전체 제조를 위한 향상된 cnt/탑코팅 프로세스
US7852548B2 (en) 2008-08-11 2010-1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phoretic display apparatus
KR100989409B1 (ko) * 2008-12-17 2010-10-2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층구조 플렉시블 투명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101598565B1 (ko) * 2009-05-26 2016-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27369A (ko) * 2009-05-26 2010-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나노튜브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7215B1 (ko) * 2009-07-30 2011-07-06 정태승 주사전자현미경〔sem〕용 전도성 콜드 마운팅 시편의 제작방법
US10620729B2 (en) 2010-03-19 2020-04-14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620009B2 (en) 2010-03-19 2023-04-04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display device
US12130976B2 (en) 2010-03-19 2024-10-29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display device
KR101298234B1 (ko) * 2010-03-19 2013-08-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인식 횡전계형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600109B2 (en) 2010-03-19 2017-03-21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727158B2 (en) 2010-03-19 2017-08-08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907460B2 (en) 2010-03-19 2024-02-20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display device
US9218080B2 (en) 2010-03-19 2015-12-22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nti-static outer laye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016594B2 (en) 2010-03-19 2021-05-25 Lg Display Co., Ltd. Touch sensing typ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272483B1 (ko) * 2010-12-09 2013-06-10 한국과학기술원 탄소나노튜브와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다층 구조의 투명 전도성 판재의 제조방법
KR20160032302A (ko) 2014-09-15 2016-03-24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서블 투명전극용 다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351982B1 (ko) * 2017-04-13 2022-01-17 광주과학기술원 도핑된 공액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효과 트랜지스터
KR20180115539A (ko) * 2017-04-13 2018-10-23 광주과학기술원 도핑된 공액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효과 트랜지스터
KR20230050055A (ko) 2021-10-07 2023-04-14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투명 전도성 전극
KR20230154505A (ko) 2022-05-02 2023-11-09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층의 상변태를 이용한 반투명 면상 발열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138568B2 (en) 2012-03-20
EP1914781A3 (en) 2009-11-25
US20120141666A1 (en) 2012-06-07
EP1914781A2 (en) 2008-04-23
EP1914781B1 (en) 2014-01-01
JP2008103329A (ja) 2008-05-01
CN101165883B (zh) 2010-11-10
US8603836B2 (en) 2013-12-10
CN101165883A (zh) 2008-04-23
US20080088219A1 (en)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216B1 (ko) 전도성 분산제를 이용한 cnt 투명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Hofmann et al. Materials for transparent electrodes: from metal oxides to organic alternatives
Song et al. Conductive channel formation for enhanced electrical conductivity of PEDOT: PSS with high work-function
Zhang et al. High-efficiency ITO-free polymer solar cells using highly conductive PEDOT: PSS/surfactant bilayer transparent anodes
Yu et al. Recent development of carbon nanotube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Sun et al. Review on application of PEDOTs and PEDOT: PSS in energy conversion and storage devices
Xia et al. Highly conductive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poly (styrene sulfonate) films treated with an amphiphilic fluoro compound as the transparent electrode of polymer solar cells
Huang et al. Effective work function modulation of graphene/carbon nanotube composite films as transparent cathodes for organic optoelectronics
JP6465795B2 (ja) 銀ナノワイヤをベースとする透明導体材料の電気的および光学的性能の少なくともいずれかを改善する方法
CN103348417A (zh) 透明导电性层压体以及有机薄膜装置
Yun et al. Composite films of oxidized multiwall carbon nanotube and poly (3, 4-ethylenedioxythiophene): polystyrene sulfonate (PEDOT: PSS) as a contact electrode for transistor and inverter devices
WO2008057615A2 (en) Highly transparent and conductive carbon nanotube coatings
Zhao et al. Highly stable and conductive PEDOT: PSS/GO-SWCNT bilayer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Lukaszkowicz et al. Graphene-based layers deposited onto flexible substrates: Used in dye-sensitized solar cells as counter electrodes
WO2011023498A1 (en) Doping of carbon nanotube films for the fabrication of transparent electrodes
US20150083466A1 (en) Method For The Functionalisation Of Metal Nanowires And The Production Of Electrodes
Iwan et 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graphene oxide and reduced graphene oxide films deposited onto glass and Ecoflex® substrates towards organic solar cells
Mozaffari et al. Synthesis of polyindole nanoparticles and its copolymers via emulsion polymerization for the application as counter electrode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CN103137238B (zh) 透明导电膜及其形成方法
GB2424121A (en) Solar cell using electrode formed from cotton fabric coated with conductive polymer
Shanmugasundaram et al. Electrospun and electropolymerized carbon nanofiber–polyaniline–Cu material as a hole transport material for organic solar cells
US20030129525A1 (en)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an electroconductive pattern
US11935668B2 (en) Conductive material, and conductive film and solar cell using same
Sau et al. Significant enhancement in the conductivity of highly transparent PEDOT: PSS thin film through maleic acid treatment
Taş et al. Fabrication of unilateral conductive and transparent polymer thin films decorated with nanomaterials for flexible electr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