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162B1 - Antenna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Google Patents
Antenna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0162B1 KR100790162B1 KR1020030024363A KR20030024363A KR100790162B1 KR 100790162 B1 KR100790162 B1 KR 100790162B1 KR 1020030024363 A KR1020030024363 A KR 1020030024363A KR 20030024363 A KR20030024363 A KR 20030024363A KR 100790162 B1 KR100790162 B1 KR 1007901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tenna
- hole
- cam
- housing
- cam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01Q1/24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extendable from a housing along a given path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안테나 하우징;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관통홀의 단부에 연결되고, 방향성을 가지는 형상의 캠홀;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관통홀을 통해 인입/인출되는 로드 안테나;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일단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로드 안테나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 안테나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일단부에 밀착되는 안테나 탑; 및 상기 안테나 탑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로드 안테나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캠홀에 상응하는 형상의 정렬 캠을 구비하고, 상기 정렬 캠이 상기 캠홀에 결합되면, 상기 캠홀 및 정렬 캠의 장축 방향을 따라 상기 안테나 탑이 상기 안테나 하우징 상에 밀착되어 그의 외주면이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하우징에 방향성을 가지는 캠홀을 형성하고, 로드 안테나의 단부에는 상기 캠홀의 형상에 상응하는 정렬 캠을 구비함으로써, 로드 안테나가 인입되었을 때 안테나 탑과 안테나 하우징의 외주면을 일치시켜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comprising: an antenna housing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cam hol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antenna housing a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through hole, the cam hole having a directional shape; A load antenna drawn in /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antenna housing; An antenna tower provided on an upper end of the rod antenna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antenna housing and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antenna housing while the rod antenna is retracted; And an alignment cam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antenna tower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antenna, the alignment cam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am hole, and when the alignment cam is coupled to the cam hole, along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cam hole and the alignment cam.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disclosed in which the antenna tow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ntenna housing and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incide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tenna housing. The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forms a cam hole having a directionality in the antenna housing, and an alignment ca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m hole is formed at the end of the rod antenna, so that the antenna tower and the antenna antenna when the rod antenna is retrac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tenna housing to match to make the appearance beautiful.
단말기, 안테나, 정렬 캠, 캠홀Terminal, antenna, alignment cam, cam hole
Description
도 1은 통상적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enna device of a conventional portable wireless terminal,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FIG. 2B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2A;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3B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3A;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4B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4A;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 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FIG. 5B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illustrated in FIG. 5A;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202 : 안테나 하우징 221 : 관통홀202: antenna housing 221: through hole
225 : 캠홀 231 : 로드 안테나225: cam hole 231: rod antenna
233 : 안테나 탑 235 : 정렬 캠
233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통상적으로 "휴대용 무선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단말기로 분류된다. 바-형 단말기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단말기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 장치에 의해 플립이나 커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을 의미하며, 폴더-형 단말기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접철되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는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general, the term “portable wireless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and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Such portable wireless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terminals according to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terminal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the flip-type terminal means a configuration that the flip or cov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r-shaped housing by the hinge device, and the folder-type terminal Means that the folder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folder is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the hinge device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The variously classified portable wireless terminal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한편, 상기한 종래의 휴대용 무선 단말기들은 무선 통신의 신뢰성 확보 및 통화품질 향상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안테나 장치를 구비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essentially provided with an antenna device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and improve the call quality.
도 1은 통상적인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휴대용 무선 단말기(100)의 안테나 장치는 단말기 본체(101)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안테나 하우징(102)과,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을 통해 상기 본체(101)의 내측으로 인입 또는 외부로 인출되는 로드 안테나(131)를 구비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enna device of a conventional portable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 안테나(131)가 인입/인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121)과, 상기 관통홀(121)을 감싸도록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 내에 실장된 코일 형태의 헬리컬 안테나(123)를 구비한다.The
상기 로드 안테나(131)는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의 관통홀(121)을 통해 상기 본체(101)의 내부로 인입 또는 외부로 인출된다. 인입된 상기 로드 안테나(131)는 상기 본체(101)의 배터리 안착면(11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안테나(131)의 상단에는 안테나 탑(133)이 구비된다. 상기 안테나 탑(133)은 상기 로드 안테나(131)가 상기 본체(101)의 내부로 지나치게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사용자가 상기 로드 안테나(131)를 인출시키기 용이하게 한다.
The
한편,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은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며, 외관의 미려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모서리는 곡면처리 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 탑(133)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에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로드 안테나(131)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의 상단에 밀착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테나 탑(133)이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과 일치되는 위치에 밀착되지 못하고, 임의의 각도만큼 뒤틀린 상태로 상기 안테나 하우징(102)에 밀착되어 단말기(100)의 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 안테나가 인입된 상태에서 안테나 하우징과 안테나 탑이 일치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that is fixed in a position where the antenna housing and antenna tower coincide with a rod antenna inser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길이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안테나 하우징;An antenna housing formed with a through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관통홀의 단부에 연결되고, 방향성을 가지는 형상의 캠홀;A cam hole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antenna housing a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through hole, the cam hole having a directional shape;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관통홀을 통해 인입/인출되는 로드 안테나;A load antenna drawn in /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antenna housing;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일단부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로드 안테나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 안테나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일단부에 밀착되는 안테나 탑; 및An antenna tower provided on an upper end of the rod antenna in a shape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antenna housing and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antenna housing while the rod antenna is retracted; And
상기 안테나 탑의 일면으로부터 상기 로드 안테나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캠홀에 상응하는 형상의 정렬 캠을 구비하고,
상기 정렬 캠이 상기 캠홀에 결합되면, 상기 캠홀 및 정렬 캠의 장축 방향을 따라 상기 안테나 탑이 상기 안테나 하우징 상에 밀착되어 그의 외주면이 상기 안테나 하우징의 외주면에 일치하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개시한다.An alignment cam extending from one surface of the antenna tower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antenna an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am hole;
When the alignment cam is coupled to the cam hole, the antenna tow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ntenna housing along the long axis direction of the cam hole and the alignment cam so th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coincides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tenna housing. do.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200)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200)의 안테나 장치는 단말기 본체(201)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안테나 하우징(202)과,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을 통해 상기 본체(201)의 내측으로 인입 또는 외부로 인출되는 로드 안테나(231)를 구비한다. 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 안테나(231)가 인입/인출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221)과, 상기 관통홀(221)을 감싸도록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 내에 실장된 코일 형태의 헬리컬 안테나(223)를 구비한다. 또 한,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캠홀(225)이 상기 관통홀(221)의 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캠홀(225)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의 단부로부터 상기 관통홀(221)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221)의 크기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이다. 또한, 상기 캠홀(225)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타원 형상임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로드 안테나(231)는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의 관통홀(221)을 통해 상기 본체(201)의 내부로 인입 또는 외부로 인출된다. 인입된 상기 로드 안테나(231)는 상기 본체(201)의 배터리 안착면(21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 안테나(231)의 상단에는 안테나 탑(23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로드 안테나(231)는 상기 안테나 탑(233)의 일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드 안테나(23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정렬 캠(235)을 구비한다. 상기 정렬 캠(235)은 상기 캠홀(225)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타원으로 구성된다. The
한편,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은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이며, 외관의 미려함을 추구하기 위하여 그 외주면의 모서리는 곡면처리 된다. 또한, 상기 안테나 탑(233)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에 상응하는 형상으로서 상기 로드 안테나(231)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의 상단에 밀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로드 안테나(231)가 인입되면, 상기 정렬 캠(235)이 상기 캠홀(225)에 상응하는 위치로 결합되면서, 상기 안테나 탑(235)은 기 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의 일단부에 밀착된다. 즉, 상기 캠홀(225) 및 정렬 캠(235)의 장축 방향에 따라 상기 안테나 탑(233)이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 상에 밀착되는 방 향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202)과 안테나 탑(233)이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외주면이 서로 일치된다. When the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300)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3a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300)의 안테나 장치는 단말기 본체(301)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안테나 하우징(302)과, 상기 안테나 하우징(302)을 통해 상기 본체(301)의 내측으로 인입 또는 외부로 인출되는 로드 안테나(331)를 구비한다. 3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a
상기 안테나 하우징(302)은 선행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관통홀(321), 코일 형태의 헬리컬 안테나(323) 및 캠홀(325)을 구비한다. 상기 캠홀(325)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302)의 단부로부터 상기 관통홀(321)에 접근함에 따라 상기 관통홀(321)의 크기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이다. 또한, 상기 캠홀(325)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302)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직사각형에 근접한 형상이며, 각 모서리가 곡선 처리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로드 안테나(331)는 상단에 안테나 탑(333)이 구비되고, 상기 안테나 탑(333)의 일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드 안테나(33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정렬 캠(335)을 구비한다. 상기 정렬 캠(335)은 상기 캠홀(325)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이 직사각형에 근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정렬 캠(335)의 각 모서리 또는 양 측면(337)은 곡면으로 처리되는 것에 유의 한다. 상기 안테나 탑(333)이 임의의 각도, 특히 90도 뒤틀린 상태로에서 상기 로드 안테나(331)가 인입될 때, 상기 정렬 캠(335)의 측면(337)이 곡면으로 처리됨으로써 기 설정된 방향으로 상기 안테나 탑(333)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The
상기 로드 안테나(331)가 인입되면, 상기 정렬 캠(335)이 상기 캠홀(325)에 상응하는 위치로 회전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안테나 탑(333)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302)의 일단부에 기 설정된 방향으로 밀착된다. 즉, 상기 캠홀(325)과 정렬 캠(335)의 장축 방향에 따라 상기 안테나 탑(333)이 상기 안테나 하우징(302) 상에 밀착되는 방향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302)과 안테나 탑(333)이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외주면이 서로 일치된다. When the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400)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400)의 안테나 장치는 단말기 본체(401)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안테나 하우징(402)과, 상기 안테나 하우징(402)을 통해 상기 본체(401)의 내측으로 인입 또는 외부로 인출되는 로드 안테나(431)를 구비한다. 4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a
상기 안테나 하우징(402)은 선행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관통홀(421), 코일 형태의 헬리컬 안테나(423) 및 캠홀(425)을 구비한다. 상기 캠홀(425)의 폭은 상기 관통홀(421)의 지름과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안테나 하우징(402)의 길이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장공 형상이다. 또한, 상기 캠홀(425)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402)의 단부로부터 상기 관통홀(421)에 접근함에 따라 그 폭이 점차 감소하는 테이퍼진 형상이다. The
상기 로드 안테나(431)는 상단에 안테나 탑(433)을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탑(433)의 일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로드 안테나(431)의 외주면을 감싸는 정렬 캠(435)을 구비한다. 상기 정렬 캠(435)은 상기 캠홀(425)에 상응하는 형상이다. 이때, 상기 정렬 캠(435)의 양 측단은 곡면으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로드 안테나(431)가 인입되면, 상기 정렬 캠(435)이 상기 캠홀(425)에 상응하는 위치로 회전하여 결합되면서, 상기 안테나 탑(433)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402)의 일단부에 기 설정된 방향으로 위치된다. 즉, 상기 정렬 캠(435)의 장축 방향에 따라 상기 안테나 탑(433)이 상기 안테나 하우징(402) 상에 밀착되는 방향이 결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402)과 안테나 탑(433)이 밀착된 상태에서, 각각의 외주면이 서로 일치된다.When the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500)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500)의 안테나 장치는 단말기 본체(501)의 후면 상단에 설치된 안테나 하우징(502)과, 상기 안테나 하우징(502)을 통해 상기 본체(501)의 내측으로 인입 또는 외부로 인출되는 로드 안테나(531)를 구비한다.
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a
상기 안테나 하우징(502)은 선행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관통홀(521), 코일 형태의 헬리컬 안테나(523) 및 캠홀(525)을 구비한다. 상기 캠홀(525)은 상기 관통홀(521)의 내주면 상에 삼각형 형상의 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홈과 상기 관통홀(521)의 내주면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50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525a)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캠홀(525)의 일변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502)의 일단부에 접하고, 상기 안테나 하우징(502)의 길이방향을 따라 그 폭이 점차 감소하게 된다. 상기 캠홀(525)은 한쌍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로드 안테나(531)는 상단에 안테나 탑(533)을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탑(533)의 일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캠홀(525)에 상응하는 형상의 정렬 캠(535)을 구비한다. 즉, 상기 정렬 캠(535)은 상기 로드 안테나(531)의 외주면에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된 구성이다.The
상기 로드 안테나(531)가 인입되면, 상기 정렬 캠(535)이 상기 경사면(525a)에 의해 적절한 위치로 회전하면서 상기 캠홀(525)에 완전히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 안테나(531)가 완전히 인입되어 상기 안테나 하우징(502)과 안테나 탑(533)이 밀착되면, 상기 안테나 하우징(502)과 안테나 탑(533)의 외주면이 서로 일치된다.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600)의 안테나 장치는 단말기 본체(601)의 후면 상단 에 설치된 안테나 하우징(602)과, 상기 안테나 하우징(602)을 통해 상기 본체(601)의 내측으로 인입 또는 외부로 인출되는 로드 안테나(631)를 구비한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antenna device of the
상기 안테나 하우징(602)은 선행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관통홀(621) 및 캠홀(625)을 구비한다. 상기 캠홀(625)은 상기 안테나 하우징(602)의 일단부로부터 소정 깊이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관통홀(621)에 연결된 실린더 형상이다. 상기 캠홀(625)의 내주면에는 삼각형 형상의 돌출면(625a)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625a)은 그 양 측변이 상기 안테나 하우징(60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625b)에 의해 상기 캠홀(625)의 내주면에 연결된다. 상기 돌출면(625a)의 일변은 상기 캠홀(625)의 바닥면에 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한쌍이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로드 안테나(631)는 상단에 안테나 탑(633)을 구비하고, 상기 안테나 탑(633)의 일면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면(625b)과 경사면(625b) 사이에 위치되는 정렬 캠(635)을 구비한다. The
상기 로드 안테나(631)가 인입되면, 상기 정렬 캠(635)이 상기 경사면(625b)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드 안테나(631)이 완전히 인입되어 상기 안테나 하우징(602)과 안테나 탑(633)이 밀착되면, 상기 정렬 캠(635)는 상기 경사면(625b)과 경사면(625b)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안테나 하우징(502)과 안테나 탑(533)의 외주면이 서로 일치된다.Whe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하우징에 형성된 캠홀은 타원, 직사각형 또는 장공과 같이 일방향으로 장축으 로 구성되고 그 수직 방향으로 단축으로 구성되어 방향성을 갖게 되거나, 경사면을 가지는 홈 또는 돌출면을 구비함으로써, 로드 안테나가 인입된 상태에서 안테나 탑의 외주면을 상기 안테나 하우징에 일치시키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antenna device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am hole formed in the antenna housing has a long axis in one direction, such as an ellipse, a rectangle, or a long hole, and is configured in a short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have a directional or inclined surface. By having a groove or a protruding surface having a,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ntenna tower to match the antenna housing in the state in which the rod antenna is retracted.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안테나 장치는 안테나 하우징에 방향성을 가지는 캠홀을 형성하고, 로드 안테나의 단부에는 상기 캠홀의 형상에 상응하는 정렬 캠을 구비함으로써, 로드 안테나가 인입되었을 때 안테나 탑과 안테나 하우징의 외주면을 일치시켜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device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irectional cam hole in the antenna housing, and at the end of the rod antenna is provided with an alignment cam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am hole, the rod antenna is retracted. Wh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ntenna tower and the antenna housing matc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ppearance is beautiful.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4363A KR100790162B1 (en) | 2003-04-17 | 2003-04-17 | Antenna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24363A KR100790162B1 (en) | 2003-04-17 | 2003-04-17 | Antenna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0542A KR20040090542A (en) | 2004-10-26 |
KR100790162B1 true KR100790162B1 (en) | 2007-12-31 |
Family
ID=37371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243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90162B1 (en) | 2003-04-17 | 2003-04-17 | Antenna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016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12604A (en) | 1996-09-24 | 1998-04-28 | Motorola Inc | Antenna assembly and antenna attachment method |
JP2000332514A (en) | 1999-05-18 | 2000-11-30 | Sony Corp | Portable radio device |
JP2002111340A (en) | 2000-09-27 | 2002-04-12 | Sony Corp | Antenna |
KR200284259Y1 (en) | 2002-01-21 | 2002-08-13 |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 A portable phone antenna having the zig-zag shaped line |
-
2003
- 2003-04-17 KR KR1020030024363A patent/KR10079016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112604A (en) | 1996-09-24 | 1998-04-28 | Motorola Inc | Antenna assembly and antenna attachment method |
JP2000332514A (en) | 1999-05-18 | 2000-11-30 | Sony Corp | Portable radio device |
JP2002111340A (en) | 2000-09-27 | 2002-04-12 | Sony Corp | Antenna |
KR200284259Y1 (en) | 2002-01-21 | 2002-08-13 |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 A portable phone antenna having the zig-zag shaped l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90542A (en) | 2004-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339530B2 (en) | Antenna for a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a hinge | |
US20050024274A1 (en) | Internal antenna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KR100383623B1 (en) | Hinge module for portable radiotelephone | |
US20060112516A1 (en) | Hinge assembly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KR100790162B1 (en) | Antenna device of portable wireless terminal | |
EP1083623A1 (en) | Antenna device installed in flip cover of flip-up type portable phone | |
US20020070903A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antenna-mounting structure | |
WO2018053681A1 (en) | Sim card holder and user terminal | |
KR20000036958A (en) | Rotary folder type cellular phone | |
KR100404324B1 (en) | Monopole antenna for mobile phone having only a portion exposed | |
KR200214951Y1 (en) | Detachable hinge arm for portable radiotelephone | |
KR20030032223A (en) | Foldertype cellular phone for opening cover completely | |
KR100808168B1 (en) | Swivel Hinge Device | |
KR20030061919A (en) | Portable phone with helical antenna applied to hinge dummy | |
US6166696A (en) | Dual radiator galvanic contact antenna for portable communicator | |
JP3045428U (en) | Noise absorbing material | |
KR20040041909A (en) | Folder type terminal with folder stopper | |
KR20070053384A (en) | Built-in antenna device of portable terminal | |
JP3897904B2 (en) | Antenna for mobile devices | |
KR102291149B1 (en) | Charging Cable For Mobile Device | |
JP2002111341A (en) | Antenna | |
JP2004328211A (en) | antenna | |
KR200350274Y1 (en) | portable telephone | |
KR200317071Y1 (en) | Apparatus for fixing antena of mobile phone | |
KR200275800Y1 (en) | Hinge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4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4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