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9703B1 - Organic waste carbonization equipment - Google Patents
Organic waste carbonization equip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9703B1 KR100789703B1 KR1020070092385A KR20070092385A KR100789703B1 KR 100789703 B1 KR100789703 B1 KR 100789703B1 KR 1020070092385 A KR1020070092385 A KR 1020070092385A KR 20070092385 A KR20070092385 A KR 20070092385A KR 100789703 B1 KR100789703 B1 KR 1007897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discharge
- carbonization
- support
-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63 carboniz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9000010815 organic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801 sewage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9 land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18 waste he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GUFODBRKLSHSI-UHFFFAOYSA-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Chemical compound O1C2=CC(Cl)=C(Cl)C=C2OC2=C1C=C(Cl)C(Cl)=C2 HGUFODBRKLSHS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00 carboni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23G5/027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using direct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33—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comminuting or crush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using gaseous or liquid fue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rotating or oscillating dru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42—Waste feed arrangements
- F23G5/444—Waste feed arrangements for solid wast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1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field or garden waste or biomas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2—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conveyors
- F23G2205/121—Screw convey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4—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hopper or b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5/00—Waste feed arrangements
- F23G2205/18—Waste feed arrangements using airlock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7/00—Control
- F23G2207/20—Waste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 및 파쇄가 이루어진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면 유기성 폐기물을 적의의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적의의 온도로 가열하여 탄화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탄화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rbonization apparatus invented so that when the dried and crushed organic waste is put into the organic waste is transported to the temperature of the host while transporting the organic waste at the hostile speed.
본 발명은 베이스(11) 상에 고정·설치되는 원통체 형상의 탄화 하우징(20)과, 탄화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구동모터(M1)와 연계된 체인 및 체인스프로켓 등의 구동전달수단(C1)에 의해 구동하도록 한 이송 로더(30)와, 이송 로더(30)의 전단부에 설치되며 그 상단에 공급 호퍼(42)를 구비하는 공급관(41)을 설치하여서 된 공급 하우징(40)과, 이송 로더(30)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그 하단에 배출관(51)을 설치하여서 된 배출 하우징(50)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ylindrical carbonized housing 20 fixed and installed on the base 11 is rotatably supported by the carbonized housing 20, such as chains and chain sprockets associated with the drive motor M1. The feed housing which is provided by the feed loader 30 which was driven by the drive transmission means C1, and the supply pipe 41 which is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the feed loader 30, and has the feed hopper 42 in the upper end. 40 and the discharge housing 50, which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transfer loader 30 and provided with a discharge pipe 51 at the lower end thereof, is characterized by technical features.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탄화시켜 연료용 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열효율이 우수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화과정에서 발생한 건류가스를 수거한 다음 재연소시켜 악취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탄화가 균일하고 우수하게 이루어진 양질의 연료용 탄을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arbonize the organic waste to produce a coal for fuel, the thermal efficiency is excellent to save energy as well as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odor by collecting and reburning the dry gas generated in the carboniz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obtain a high quality fuel coal made of uniform and excellent carboniz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 슬러지와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탄화(炭化)시켜 주기 위한 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1차 건조 및 파쇄가 이루어진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면 적의의 속도로 이송시키면서 적의의 온도로 가열하여 유기성 폐기물을 탄화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유기성 폐기물 탄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bonization apparatus for heating and carbonizing organic waste such as sewage sludge and food waste to a certain temperature, and more specifically, if the organic waste in which primary drying and crushing is introduced is added,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rganic waste carbonization apparatus invented to carbonize organic wastes by heating to a suitable temperature while being transferred to.
하수 슬러지와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가 사회적인 쟁점으로 대두하면서 하수 슬러지와 음식물 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각종의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As the treatment of organic wastes such as sewage sludge and food waste has emerged as a social issue, various methods for efficient treatment of sewage sludge and food waste have been proposed.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안 중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안은 두 가지이며, 첫째로는 유기성 폐기물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매립 또는 소각하거나 해양에 투기하는 방안이 있고, 둘째로는 유기성 폐기물을 가공(탄화)하여 연료용 탄으로 재활용하는 방안이 있다.Currently, there are two methods currently used to treat organic waste. First, there is a method of minimizing the volume of organic waste and landfilling or incineration or dumping it into the ocean. Second, processing organic waste (carbonization). There is a way to recycle the fuel coal.
유기성 폐기물을 매립 또는 소각하거나 해양에 투기하는 방안은 여러 가지 사회적인 문제를 발생시킬 수밖에 없는데, 지상에 매립할 경우에는 침출수로 인해 매립지 인근의 주변환경을 크게 오염시킬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매립지의 한정으로 인해 매립행위 자체가 점차적으로 제한될 수밖에 없고, 또한 유기성 폐기물을 소각할 경우에는 소각에 따른 상당량의 연료의 소모가 지적됨은 물론 소각과정에서 방대한 오염물질이 배출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해양투기의 경우에는 해양오염이라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향후로는 국가간의 협약으로 인해 폐기물을 해양에 투기하는 행위 자체가 금지될 것인바, 연일 방출되는 막대한 양의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효율적인 처리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Landfilling, incineration, or dumping of organic wastes can lead to a number of social problems. However, when landfilled on the ground, leachate can not only pollute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landfill, but also due to the limitation of landfill. Landfilling itself is gradually limited, and in the case of incineration of organic waste, it is pointed out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fuel is consumed by incineration, and a large amount of pollutants are emitted during incineration.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marine pollution, in the future, the agreement between the nations will prohibit the dumping of wastes on the sea itself.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efficient disposal of huge amounts of organic wastes released every day. have.
위와 같은 요구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을 탄화시켜 연료용 탄으로 제조하는 방안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몇몇의 탄화장치는 현재 상용화되어 유기성 폐기물의 탄화에 사용되고 있다.In accordance with the above requirements, carbonization of organic wastes to produce carbon for fuel has been actively studied, and some carbonization devices are currently commercialized and used for carbonization of organic wastes.
현재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탄화장치의 경우 직열 방식과 간접열 방식의 탄화장치가 있는데, 직열 방식 탄화장치의 경우 구동 모터 등에 의해 자전하는 회전판에 직열을 가한 상태에서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면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이 원심력에 의해 회전판의 외측으로 밀려나면서 직열에 의한 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탄화의 대량처리가 가능하였으나 장비의 가격이 고가이고 운용에 따른 비용지출이 많을 뿐만 아니라 직열을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탄화과정에서 화재의 위험이 따르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Currently, the carbonization apparatus developed and used includes a direct heating method and an indirect heating method. In the case of the direct heating type carbonization device, when the organic waste is added to the rotating plate rotating by a driving motor, etc. It was pushed out to the outside of the rotating plate to make carbonization by direct heat. Bulk processing of carbonization was possible, but the cost of equipment is high, the expenditure of operation is high, and because it uses the direct heat, Problems such as risks of being followed are pointed out.
그리고, 간접열 방식 탄화장치의 경우 이송 스크류가 설치된 원통형 이송 파이프 내로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여 이송 스크류로 이송시키면서 이송 파이프의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 로 직열 방식 탄화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악취의 발생량도 줄일 수 있었으나 음식물 쓰레기가 뻑뻑하게 밀려나가거나 불규칙하게 이송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균일한 탄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탄화의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는데, 완전한 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유기성 폐기물을 소각할 경우에는 소각과정에서 다량의 오염물질(다이옥신 등)과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indirect heat type carbonization apparatus, the organic waste is introduced into the cylindrical transfer pipe in which the transfer screw is installed and transferred to the transfer screw to carbonize food waste by heat applied from the outside of the transfer pipe. Compared to the device, the price is cheaper and the amount of odor can be reduced. However, since the food waste is stiff or irregularly conveyed, it is not uniformly carbonized for organic waste. In the case of incineration of organic waste that is not completely carbonized, a large amount of pollutants (dioxin, etc.) and odor are generated during the incineration process.
한편, 유기성 폐기물 중 음식물 쓰레기는 사료화하는 방안이 제안되기도 하였는데,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에 사용되는 장비의 시공·설치를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투입될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 과정에서 각종 부원료를 투입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설 및 운용에 따른 비용의 부담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또한, 위 제조된 사료는 음식물 쓰레기를 주원료로 사용함으로 인해 제조된 사료에 대한 수요자의 호응이 떨어져 적극적인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it has been proposed to feed food wastes among organic wastes, and the construction and installation of equipment used to feed food wastes will inevitably cost a lot, and various auxiliary materials should be added during the food wastes feed process. Therefore, the burden of cost according to the facility and operation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and the above-mentioned feed has not been actively utilized due to the poor response of the consumer to the manufactured feed due to the use of food waste as the main raw material. to b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안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건조 및 파쇄수단에 의해 1차로 건조 및 파쇄된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면 이를 완전하게 탄화시켜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연료용 탄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며, 탄화과정에서 발생한 건류가스(악취를 포함한 가스)를 재연소시켜 작업장과 인근지역의 환경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탄화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열효율을 향상시켜 운용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eliminate all the problems of the organic waste treatment method as described above, by inputting the organic waste dried and crushed primarily by the drying and shredding means to be completely carbonized and discharge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high quality fuel coal, and to re-burn dry gas (odorous gas) from carbonization process to improve the environment in the workplace and neighboring areas, and to collect waste heat from carbonization process. The technical task was completed by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and reducing the operating cost by allowing recycling.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 상에 고정·설치되며 내부가 격판에 의해 구획되도록 한 원통체 형상의 탄화 하우징과, 탄화 하우징에 회전·지지되는 것으로 구동모터와 연계된 체인 및 체인 스프로켓 등의 구동전달수단에 의해 구동하도록 한 이송 로더와, 이송 로더에 설치되는 탄화관과, 이송 로더의 전,후단에 설치되는 공급 하우징 및 배출 하우징 등의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며, 공급 하우징으로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이 이송 로더의 탄화관을 경유하며 탄화가 이루어져 배출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s a cylindrical carbonized housing fixed and installed on the base and partitioned by a diaphragm, and the chain and chain associated with the drive motor to be rotated and supported by the carbonized housing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means such as a transfer loader driven by a drive transmission means such as a sprocket, a carbonization pipe installed at the transfer loader, and a supply housing and a discharge housing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transfer loader. In other words, the organic waste supplied to the supply housing is carbonized through the carbonization pipe of the transfer loader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using.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탄화장치는 별도의 수단(건조기 등)에 의해 1차로 건 조 및 파쇄된 유기성 폐기물(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등)을 투입하면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적의의 온도로 가열하여 탄화시켜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그 처리가 상당히 고민스러울 수밖에 없었던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The carbonization apparatus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heated to the appropriate temperature in the process of transporting organic wastes by inputting organic wastes (food waste, sewage sludge, etc.), first dried and crushed by a separate means (dryer, etc.). It is to be carbonized,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disposal of organic waste, which had to be considerably troublesome.
본 발명은 탄화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을 뿐만 아니라 탄화 하우징의 내부로 공급되는 열기가 격판에 의해 상,하로 대류하면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열기가 탄화 하우징 내에 장시간 체류하여 열효율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으며, 탄화과정에서 발생하는 건류가스를 수거하여 버너에서 발생하는 화기로 연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악취의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configured to recycle the waste heat generated during the carbonization process, but also to allow the heat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arbonization housing to be discharged while convection up and down by the diaphragm so that the heat stays in the carbonization housing for a long time to improve thermal efficiency. Ultimately, energy can be saved by maintaining it, an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odor by collecting dry gas generated in the carbonization process and combusting the fire generated by the burner.
또한,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이 자전하는 이송 로더의 각 탄화관에 의해 이송되며 탄화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삽판에 의해 퍼져서 탄화관 내로 공급된 정량의 유기성 폐기물이 고온으로 가열된 탄화관 내부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탄화관의 내벽면을 타고 오르다가 낙하하면서 뒤집히는 과정을 반복하며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에 대한 탄화가 균일하고 우수하게 이루어져 양질의 연료용 탄을 얻을 수 있는 것인바,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carbonized and transported by each carbonization pipe of the transport loader, the organic waste is rotated, and the quantity of organic waste that is spread by the shovel and supplied into the carbonization pipe is transferred to the inside of the carbonization pipe heated to a high temperature In this process, the carbonization of organic waste is uniformly and excellently obtained by repeatedly transporti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carbonization pipe up and down while being inverted, thereby obtaining high-quality fuel coals. The effect which becomes is really advantageous invention.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1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탄화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탄화 하우징(2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는 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11) 상에 고정·설치되는 원통체 형상의 탄화 하우징(20)과, 탄화 하우징(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구동모터(M1)와 연계된 체인 및 체인 스프로켓 등의 구동전달수단(C1)에 의해 구동하도록 한 이송 로더(30)와, 이송 로더(30)의 선단부에 설치되며 그 상단에 공급 호퍼(42)를 구비하는 공급관(41)을 설치하여서 된 공급 하우징(40)과, 이송 로더(30)의 후단부에 설치되며 그 하단에 하방으로 신장하는 배출관(51)을 설치하여서 된 배출 하우징(50)과, 브로우어(61)를 구비하는 탄화 버너(60) 등으로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1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상기 탄화 하우징(20)의 전·후측에 배기 덕트(21)와 공급 덕트(22)를 설치하며, 공급 덕트(22)의 단부는 탄화 버너(60)의 브로우어(61) 선단에 연결하여 탄화 버너(60)의 연소에 의해 발생한 열풍이 탄화 하우징(20)의 후측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배기 덕트(21)의 단부는 외부 장치(미도시됨; 건조기 등)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하여 탄화 하우징(20)을 경유한 공기(열기를 포함한 공기)를 외부 장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배출 하우징(50)에 배출 덕트(54)를 설치하여 배출 덕트(54)의 단부를 브로우어(61)에 연결하여 탄화과정에서 발생한 건류가스(악취를 함유한 가스)가 브로우어(61)로 배출되어 탄화 버너(60)의 화기에 의해 연소 될 수 있도록 한다.A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로더(30)는 탄화 하우징(20)을 가로지르며 관통하도록 설치되는데, 탄화 하우징(20)의 내부에 이송 로더(30)의 외연을 감싸도록 한 복수의 격판(23)을 설치하되, 각 격판(23)은 상·하단부가 교호로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공급 덕트(22)에 의해 탄화 하우징(20) 내로 공급된 열풍이 상하로 대류 하면서 탄화 하우징(20) 내부를 장시간 경유하여 배기 덕트(21)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2, the
상기 이송 로더(30)는 후방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기울기를 이루도록 설치하여 이송 로더(3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 로더(30)가 갖는 기울기에 의해 후방으로 자연스럽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The
이때, 상기 이송 로더(30)의 기울기는 1.5°이상 3°이내의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기울기가 적을 경우에는 대상물(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이송효과가 떨어지고 이송 로더(30)의 경사도가 커질 경우 장비에 편중하중이 발생하여 각 구동부위 등에 무리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inclination of the
도 3에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로더(30)를 발췌한 사시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로더(30)는 전,후측 지지판(31,31a)을 복수의 중공체 탄화관(32)으로 연결하되, 각 탄화관(32)의 외부 표면에 복수의 보강살(320)을 형성하여 탄화관(32)의 뒤틀림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각 탄화관(32)과 전,후측 지지판(31,31a)이 접하는 영역에 공급 및 배출 개구(33,33a)가 형성되도록 하고, 전측 지지판(31)에 형성된 공급 개구(33)의 외연에는 전방으로 돌출하는 반원형(전면, 축방향에서 봤을 때의 형상)의 삽판(330)을 형성하여 이송 로더(30)의 회전구동에 따라 삽판(330)이 회전하면서 그 하방에 위치하는 대상물(음식물 쓰레기)을 일정량씩 퍼올려 탄화관(32) 내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한편, 이송 로더(30)의 공급 개구(33)에 형성되는 삽판(330)은 전측 지지판(31)의 내주면과 가장 근접하는 공급 개구(33)의 바깥 지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점차적으로 돌출되는 나선(spiral)형 돌출판의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에는 삽판(330)이 유기성 폐기물을 퍼올리는 과정에서 삽판(330)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시켜 줄 수 있고 다소 적은 양의 유기성 폐기물을 탄화관(32) 내로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즉, 위와 같이 구성할 경우 탄화작업의 효율성은 다소 떨어질 수 있더라도 이송 로더(30)의 구동시에 유기성 폐기물로 인해 이송 로더(30)의 삽판(330)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켜 장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소량의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여 탄화시키므로 탄화의 효과를 우수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도 4에 본 발명에 따른 탄화 하우징(20)과 이송 로더(30)와 공급 하우징(40)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로더(30)의 전측 지지판(31) 선단에 회전 드럼(34)을 플랜지(310,340) 결합하고, 회전 드럼(34)의 선단에 지지 드럼(35)을 플랜지(340,350) 결합하여 지지 드럼(35)의 선단부가 공급 하우징(4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 드럼(35)의 전측에 내측으로 밴딩된 단속판(352)을 형성하여 단속판(352)의 내측 영역에 통공(351)을 천공하고, 전측 지지판(31)과 회전 드럼(34)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플랜지(310,340)는 탄화 하우징(20)에 고정설치된 회전 지지체(24)의 지지홈(240)에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며, 회전 드럼(34)과 지지 드럼(35)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플랜지(340,350)는 공급 하우징(40)에 고정설치된 회전 지지체(43)의 지지홈(430)에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4 is a referenc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상기 공급 하우징(40)의 내부에 공급공(45)을 구비하며 후단에 토출공(46)이 형성된 급송관(44)을 설치하여 급송관(44)의 토출공(46)이 지지 드럼(35)의 통공(351)을 통해 이송 로더(30)의 선단에 위치되도록 하고, 공급공(45)에 공급관(41)을 결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급송관(44)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급송관(45)에는 공급 모터(M2)와 체인 및 체인 스프로켓 등의 구동전달수단(C2)에 의해 연계되는 공급 스크류(S)를 설치한다.The
이때, 상기 전측 지지판(31) 및 회전 드럼(34)과 지지 드럼(35)의 플랜지(310,340,350)에는 전·후로 돌출하는 가이드 판(311,341,351)을 형성하여 가이드 판(311,341,351)과 전측 지지판(31) 및 회전 드럼(34)과 지지 드럼(3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고내열성 테플론 블럭(T)을 개재하여야 하고, 각 플랜지(310,340,350)의 외경은 회전 지지체(43)의 지지홈(430)이 갖는 내경보다 적게 구성하여야 하며, 상호 조합된 플랜지(310,340,350)의 두께는 회전 지지체(43)의 지지홈(430)이 갖는 폭보다 얇게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고열에 의해 이송 로더(30)에 발생하는 축방향의 열팽창이 테플론 블럭(T)의 신축성과 지지홈(430)의 여유분 폭에 의해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축의 직각 방향으로 발생하는 열팽창이 각 플랜지(310,340,350)와 지지홈(430)의 외경 및 내경 차이에 의해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41)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호퍼(42)를 구비하는 공급관(41)의 내부에 상·하부 공급 커버(47,47a)를 힌지결합하고, 상·하부 공급 커버(47,47a)는 공급관(41)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공급 실린더(48,48a)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폐가 제어되도록 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상기 하부 공급 커버(47a)의 일측에는 하부 공급 커버(47a) 상에 적재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적재량을 감지하여 적재량이 일정 기준에 도달하였을 때 센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센서 수단(미도시됨.)을 설치하고, 하부 공급 실린더(48a)는 센서 수단의 센서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하부 공급 커버(48a)를 열었다가 일정시간(적재된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이 완료될 수 있는 시간)의 경과 후에 역으로 작동하여 하부 공급 커버(47a)를 닫을 수 있도록 하며, 상부 공급 실린더(48)는 하부 공급 실린더(48a)와 반대로 작동하며 상부 공급 커버(47)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On one side of the
위와 같이 공급관(41)을 구성하게 되면 하부 공급 커버(44a)가 열렸을 경우에는 상부 공급 커버(4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하부 공급 커버(44a)가 닫혔을 경우에는 상부 공급 커버(44)가 열려지므로 공급 호퍼(42)의 유기성 폐기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탄화장치(10)의 내부에서 발생한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으며, 또한, 이송 로더(30)의 탄화관(32)내로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무산소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탄화과정에서 유기성 폐기물이 연소하는 것을 방지시켜 줄 수 있다.When the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탄화 하우징(20)과 이송 로더(30)와 배출 하우징(50)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 로더(30)의 후측 지지판(31a) 후단에 연결 드럼(36)을 플랜지(310a,360) 결합하고, 연결 드럼(36)의 후단에 지지 드럼(37)을 플랜지(360,370) 결합하여 지지 드럼(37) 의 후단부가 배출 하우징(5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후측 지지판(31a)과 연결 드럼(36)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플랜지(310a,360)는 탄화 하우징(20)에 고정설치된 회전 지지체(24a)의 지지홈(240a)에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며, 연결 드럼(36)과 지지 드럼(37)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플랜지(360,370)는 배출 하우징(50)에 고정설치된 회전 지지체(55)의 지지홈(550)에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한다.6 is a referenc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이때, 상기 후측 지지판(31a) 및 연결 드럼(36)과 지지 드럼(37)의 플랜지(310a,360,370)에는 전·후로 돌출하는 가이드 판(311a,361,371)을 형성하여 가이드 판(311a,361,371)과 후측 지지판(31a) 및 연결 드럼(36)과 지지 드럼(37)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고내열성 테플론 블럭(T)을 개재하여야 하고, 각 플랜지(310a,360,370)의 외경은 회전 지지체(55)의 지지홈(550)이 갖는 내경보다 적게 구성하여야 하며, 상호 조합된 플랜지(310a,360,370)의 두께는 회전 지지체(43)의 지지홈(430)이 갖는 폭보다 얇게 구성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고열에 의해 이송 로더(30)에 발생하는 축방향의 열팽창이 테플론 블럭(T)의 신축성과 지지홈(550)이 갖는 여유분의 폭에 의해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축의 직각 방향으로 발생하는 열팽창이 각 플랜지(310a,360,370)와 지지홈(550)의 외경 및 내경 차이에 의해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In this case,
도 7에 본 발명에 따른 배출관(51)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51)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하부 배출 커버(52,52a)의 단부를 힌지결합하여 회전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상·하부 배출 커버(52,52a)는 배 출관(51) 외측에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배출 실린더(53,53a)에 의해 독립적으로 개폐가 제어되도록 한다.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상기 하부 배출 커버(52a)의 일측에는 하부 배출 커버(52a) 상에 적재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적재량을 감지하여 적재량이 일정 기준에 도달하였을 때 센서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한 센서 수단(미도시됨.)을 설치하고, 하부 배출 실린더(52a)는 센서 수단의 센서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하부 배출 커버(52a)를 열었다가 일정시간(적재된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이 완료될 수 있는 시간)의 경과 후에 역으로 작동하여 하부 배출 커버(52a)를 닫을 수 있도록 하며, 상부 배출 실린더(53)는 하부 배출 실린더(53a)와 반대로 작동하며 상부 배출 커버(52)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On one side of the
위와 같이 배출관(51)을 구성하게 되면 하부 배출 커버(52a)가 열렸을 경우에는 상부 배출 커버(52)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하부 배출 커버(52a)가 닫혔을 경우에는 상부 배출 커버(52)가 열려지므로 탄화가 이루어진 유기성 폐기물을 지속적으로 배출하면서 탄화장치(10)의 내부에서 발생한 악취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으며, 또한, 이송 로더(30)의 탄화관(32)내로 산소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무산소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탄화과정에서 유기성 폐기물이 연소하는 것을 방지시켜 줄 수 있다.When the
<발명의 작용><Action of invention>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장비를 가동시키면 구동 모터(M1)가 이송 로더(30)를 회전·구동시켜 줌과 아울러 공급 모터(M2)에 의해 공급 스크류(S)가 구 동하며, 탄화 버너(60) 및 브로우어(61)에 의해 발생한 열풍이 탄화 하우징(20)의 후측으로 공급되어 각 격판(23)에 의해 탄화 하우징(20)의 내부를 상,하로 대류하면서 통과하여 탄화관(32)을 고온으로 가열시켜 주고, 탄화 하우징(20)의 내부를 경유한 열풍은 탄화 하우징(20)의 전측에 형성된 배기 덕트(21)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때, 배출 하우징(50)에 설치된 배출 덕트(54)의 단부가 브로우어(61)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탄화과정에서 발생한 건류가스가 브로우어(61)로 공급되어 연소되므로 악취를 연소시켜 줄 수 있는 것이며, 배기 덕트(21)는 탄화 하우징(20)을 경유한 열풍을 환수하여 필요한 장비(건조장치) 등에 공급할 수 있어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equipment is operated, the drive motor M1 rotates and drives the
장비를 가동시킨 상태에서 탄화장치(10)의 공급관(41)에 마련된 공급 호퍼(42)를 통해 1차로 건조 및 파쇄된 유기성 폐기물을 투입하면 공급관(41)의 내부에 설치된 하부 공급 커버(47a)에 적층되는데,(이때, 상부 공급 커버(47)는 열린 상태임.) 하부 공급 커버(47a)에 적층된 유기성 폐기물이 일정량에 도달하면 그 중량을 감지한 센서 수단(미도시됨.)의 센서신호에 의해 상부 공급 실린더(48)가 작동하여 상부 공급 커버(47)를 닫음과 동시에 하부 공급 실린더(48a)가 작동하여 하부 공급 커버(47a)를 열어 하부 공급 커버(47a) 상에 적재되어 있던 유기성 폐기물을 하방으로 배출시켜 급송관(44)으로 투입되며, 유기성 폐기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하부 공급 실린더(48a)가 작동하여 하부 공급 커버(47a)를 닫아주고 뒤이어 상부 공급 실린더(48a)가 작동하여 상부 공급 커버(48)를 열어주어 유기성 폐기물의 공급이 개시된다.When the organic waste, first dried and crushed, is introduced through the
급송관(44) 내로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은 공급 모터(M2)로 구동하고 있는 공급 스크류(S)의 작용에 의해 이송되어 토출공(46)을 통해 이송 로더(30)의 선단에 낙하되며, 이송 로더(30)의 선단에 낙하된 유기성 폐기물은 지지 드럼(35)의 전측에 형성된 단속판(352)에 의해 전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된다.The organic waste introduced into the
상기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의 공급과정에서 공급관(41) 내부에 설치된 상·하부 공급 커버(47,47a)가 연동 개폐하며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므로 공급 하우징(40)의 내부가 상,하부 공급커버(47,47a)에 의해 외부와 항시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을 공급하게 되며, 이로써, 본원 발명은 외부 공기(산소)가 이송 로더(30)의 탄화관(32)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켜 탄화과정에서 유기성 폐기물이 연소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유기성 폐기물의 탄화과정에서 발생한 건류가스(악취를 포함한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I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organic wast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and lower supply covers 47 and 47a installed in the
이송 로더(30)의 선단에 낙하되어 적층된 유기성 폐기물은 회전 구동하는 이송 로더(30)의 각 공급 개구(33) 외연에 형성된 삽판(33)에 의해 적당량이 퍼올려 지는데, 전술한 실시형태에서 기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송 로더(30)가 후방(배출 개구(33a) 방향)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기울기를 이루므로 이송 로더(30)가 회전구동하는 과정에서 삽판(330)에 의해 퍼올려 진 유기성 폐기물이 공급 개구(33)를 통해 탄화관(32) 내로 공급되며, 탄화관(32) 내로 공급된 유기성 폐기물은 고온으로 가열된 탄화관 내부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탄화관(32)의 내벽면을 타고 오르다가 낙하하면서 뒤집히는 과정을 반복하며 이송하므로 균일한 탄화가 이루어지게 된다.The organic waste dropped and stacked at the tip of the
탄화관(32)을 경유하며 탄화가 이루어진 유기성 폐기물은 배출 개구(33a)를 통해 배출 하우징(50)으로 배출되고, 배출 하우징(50)에 집하된 탄화 유기성 폐기물은 배출관(51)을 통해 배출되어 배출관(51)의 내부에 설치된 하부 배출 커버(52a)에 적층되는데,(이때, 상부 배출 커버(52)는 열린 상태임.) 하부 배출 커버(42a)에 적층되는 탄화 유기성 폐기물이 일정량에 도달하면 그 중량을 감지한 센서 수단(미도시됨.)의 센서신호에 의해 상부 배출 실린더(53)가 작동하여 상부 배출 커버(52)를 닫음과 동시에 하부 배출 실린더(53a)가 작동하여 하부 배출 커버(52a)를 열어 하부 배출 커버(52a) 상에 적재되어 있던 탄화 유기성 폐기물을 하방으로 배출하며, 탄화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이 완료되면 하부 배출 실린더(53a)가 작동하여 하부 배출 커버(52a)를 닫아주고 뒤이어 상부 배출 실린더(53)가 작동하여 상부 배출 커버(52)를 열어주어 탄화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이 개시된다.The organic waste carbonized through the
상기와 같은 탄화 유기성 폐기물의 배출과정에서 배출관(51) 내부에 설치된 상·하부 배출 커버(52,52a)가 연동 개폐하며 탄화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하므로 배출 하우징(50)의 내부가 상,하부 배출 커버(52,52a)에 의해 외부와 항시 차단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유기성 폐기물을 배출시켜 줄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본원 발명은 외부 공기(산소)가 이송 로더(30)의 탄화관(32)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시켜 탄화과정에서 유기성 폐기물이 연소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유기성 폐기물의 탄화과정에서 발생한 건류가스(악취를 포함한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된다.In the discharge process of carbonized organic waste, the upper and lower discharge covers 52 and 52a installed inside the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탄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rbonization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화 하우징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rbonized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로더를 발췌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fer loa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화 하우징과 이송 로더와 공급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reference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arbonized housing, the transfer loader and the supply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reference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화 하우징과 이송 로더와 배출 하우징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 단면도.Figure 6 is a cross-sectional reference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carbonized housing, the transfer loader and the discharg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참고 단면도.Figure 7 is a referenc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discharge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used in main part of drawing
10: 탄화장치 11: 베이스10: carbonization unit 11: base
20: 탄화 하우징 21: 배기 덕트20: carbonized housing 21: exhaust duct
22: 공급 덕트 30: 이송 로더22: supply duct 30: feed loader
31,31a: 전,후측 지지판 32: 탄화관31, 31a: front and rear support plate 32: carbide tube
40: 공급 하우징 41: 공급관40: supply housing 41: supply pipe
44: 급송관 50: 배출 하우징44: feed pipe 50: discharge housing
60: 탄화 버너 M1: 구동 모터60: carbonization burner M1: drive motor
M2: 공급 모터 S : 공급 스크류M2: feed motor S: feed screw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2385A KR100789703B1 (en) | 2007-09-12 | 2007-09-12 | Organic waste carbonization equipment |
PCT/KR2007/006268 WO2009035187A1 (en) | 2007-09-12 | 2007-12-05 | Waste's carboniz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92385A KR100789703B1 (en) | 2007-09-12 | 2007-09-12 | Organic waste carbonization equip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9703B1 true KR100789703B1 (en) | 2008-01-02 |
Family
ID=39216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92385A Active KR100789703B1 (en) | 2007-09-12 | 2007-09-12 | Organic waste carbonization equipmen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9703B1 (en) |
WO (1) | WO2009035187A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3162298A (en) * | 2013-02-07 | 2013-06-19 | 惠东县同力兴环保科技有限公司 | Processing method of rubbish or dirt |
KR101320887B1 (en) * | 2011-03-17 | 2013-10-23 | (주)씨이에스 | Bunner apparatus for bio solid type fuel using organic wastes |
KR101945401B1 (en) * | 2018-08-14 | 2019-04-17 | (주)니드텍 | Organic waste disposal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90085247A1 (en) * | 2016-05-06 | 2019-03-21 | Aemerge Llc | Rotating drum device for use with carbonizer system and process of use thereof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76087A (en) | 1991-12-17 | 1993-01-05 | Roy F. Weston,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temperature thermal stripping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soil and waste materials with non-oxidative cross-sweep gases |
JP2005113018A (en) | 2003-10-08 | 2005-04-28 | Okawara Mfg Co Ltd | Method for treating waste gas in carbonization apparatus, and mechanism thereof |
JP2006299010A (en) | 2005-04-18 | 2006-11-02 | Kurimoto Ltd | External heating rotary kiln |
JP2007105605A (en) | 2005-10-12 | 2007-04-26 | Wako Kikai Kogyo Kk | Carbonization apparatus and the method |
KR20070069420A (en) * | 2005-12-28 | 2007-07-03 | 윤상현 | Carbonization Equipment of Dried Organic Waste |
-
2007
- 2007-09-12 KR KR1020070092385A patent/KR100789703B1/en active Active
- 2007-12-05 WO PCT/KR2007/006268 patent/WO200903518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176087A (en) | 1991-12-17 | 1993-01-05 | Roy F. Weston, Inc. |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temperature thermal stripping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soil and waste materials with non-oxidative cross-sweep gases |
JP2005113018A (en) | 2003-10-08 | 2005-04-28 | Okawara Mfg Co Ltd | Method for treating waste gas in carbonization apparatus, and mechanism thereof |
JP2006299010A (en) | 2005-04-18 | 2006-11-02 | Kurimoto Ltd | External heating rotary kiln |
JP2007105605A (en) | 2005-10-12 | 2007-04-26 | Wako Kikai Kogyo Kk | Carbonization apparatus and the method |
KR20070069420A (en) * | 2005-12-28 | 2007-07-03 | 윤상현 | Carbonization Equipment of Dried Organic Wast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0887B1 (en) * | 2011-03-17 | 2013-10-23 | (주)씨이에스 | Bunner apparatus for bio solid type fuel using organic wastes |
CN103162298A (en) * | 2013-02-07 | 2013-06-19 | 惠东县同力兴环保科技有限公司 | Processing method of rubbish or dirt |
KR101945401B1 (en) * | 2018-08-14 | 2019-04-17 | (주)니드텍 | Organic waste disposal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9035187A1 (en) | 2009-03-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066024A (en) | Rotating fluidized bed combustor | |
KR100789703B1 (en) | Organic waste carbonization equipment | |
JP2011196598A (en) | Method of supplying combustion air in vertical waste incinerator, and vertical waste incinerator | |
KR102238864B1 (en) | A garbage incineration system | |
WO2010150412A1 (en) | Organic sludge treatment equipment | |
KR100983631B1 (en) | waste's carbonization system | |
KR20080101522A (en) | Powdered Food Waste Incineration Device | |
KR100989703B1 (en) | Incineration boiler with improved waste heat recovery efficiency and maintainability | |
JPH11286684A (en) | Continuous carbonization furnace | |
CN112980473A (en) | Spiral drying and carbonization integrated equipment and method for sludge treatment | |
KR200421392Y1 (en) | Food Waste Incinerator | |
KR100890898B1 (en) | Carburetor for food waste | |
JP5603862B2 (en) | Sewage sludge treatment equipment | |
KR200360960Y1 (en) | Sludge Treatment System | |
JP3618280B2 (en) | Waste carbonization and reduction equipment | |
CN110006047A (en) | Waste incinerator and waste gasification incinerator | |
KR102308315B1 (en) | Organic waste disposal device that improves usability of organic waster | |
KR100467767B1 (en) | Continuous carbonizing apparatus for organic wastes | |
KR200290646Y1 (en) | Incinerator | |
KR102279792B1 (en) | Treatment System for Solidification of Household Waste | |
CA1065685A (en) | Rotating fluidized bed combustor | |
KR100588085B1 (en) | Organic waste carbonization furnace | |
KR101134350B1 (en) | Combustion furnace of refuse derived fuel | |
KR102231433B1 (en) | Pyrolysis semi-carbonizer using waste heat | |
KR20210031295A (en) | System for incinerating was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10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2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16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