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8889B1 -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889B1
KR100788889B1 KR1020060050828A KR20060050828A KR100788889B1 KR 100788889 B1 KR100788889 B1 KR 100788889B1 KR 1020060050828 A KR1020060050828 A KR 1020060050828A KR 20060050828 A KR20060050828 A KR 20060050828A KR 100788889 B1 KR100788889 B1 KR 10078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er
service
quality
wlan
mana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4798A (ko
Inventor
권혜연
신형철
노광현
신재욱
정광렬
황유선
천경열
박애순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PCT/KR2006/0024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137705A1/en
Priority to CN200680022604XA priority patent/CN101218783B/zh
Priority to US11/922,847 priority patent/US20090225705A1/en
Priority to EP06768996A priority patent/EP1894349A4/en
Publication of KR20060134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88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4Applicable to portable or mobil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 H04L41/5054Automatic deployment of services triggered by the service manager, e.g. service implementation by automatic configuration of network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Architectures of resource allocation
    • H04L47/783Distributed allocation of resources, e.g. bandwidth brokers
    • H04L47/785Distributed allocation of resources, e.g. bandwidth brokers among multiple network domains, e.g. multilateral agreements
    • H04L47/786Mapping reservation between domai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0Actions related to the user profile or the type of traffic
    • H04L47/805QOS or priority a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77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wherein the managed service relates to simple transport services, i.e. providing only network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망 연동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게이트웨이와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먼저, 단말 장치는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와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여 무선랜 액세스 베어러를 설정한다.
그리고, 단말 장치는 게이트웨이와 패킷을 교환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무선랜 액세스 베어러를 통해 협상한다. 게이트웨이는 외부 베어러의 서비스 품질에 따라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고, 이후 단말 장치와 게이트웨이는 I-WLAN 베어러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는 종단 장치와 패킷을 교환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I-WLAN 베어러를 통해 게이트웨이와 협상한다. 게이트웨이는 외부 베어러의 가용 자원 및 I-WLAN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따라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고, 이후 단말 장치와 게이트웨이는 IP 베어러를 설정한다.
QoS, 3GPP, WLAN, WAG, PDG

Description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NEGOTIATING QUALITY OF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GPP-무선랜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3GPP IP 연결을 위한 QoS 관리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랜 사용자 장치가 IP 베어러를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사용자 장치의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직접 IP 연결을 위한 QoS 관리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망 연동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게이트웨이와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격적인 디지털 셀룰러 기반의 2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출현 이후, 지역에 상관없이 보다 양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이 ITU를 통해 표준 규격으로 확정되었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단일 주파수 대역의 동일 무선 접속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글로벌 로밍을 통해 전세계를 단일 통화권으로 구성할 수 있고 고대역폭으로 최대 2Mbps의 빠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여 기존의 음성 서비스 뿐만 아니라 이미지, 동화상을 비롯해 영상 전화, 인터넷 접속 등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한다.
표준화 초기의 목표는 국제적으로 단일한 시스템 표준의 완성이었으나, 단일 표준화에는 실패하였다. 현재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크게 유럽/일본 중심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와 북미 중심의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으로 나뉜다.
CDMA-2000은 3GPP2(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s 2)에서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CDMA-2000은 Core Network로 북미 표준인 IS-41 기반의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Air Interface로 기지국간 동기를 필요로 하는 동기식을 사용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UMTS는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s)에서 표준화가 진행되 고 있다. UMTS는 Core Network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기반의 GSM-MAP(GSM Mobile Application Part)을 사용하고 Air Interface로 기지국간 동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비동기식을 사용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3GPP에서는 시스템 표준의 진화에 Release 개념을 사용하는데, Release 6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슈 중 중요한 것으로 3GPP-무선랜 연동(3GPP-WLAN Interworking)이 있다. 3GPP-무선랜 연동의 목적은 3GPP의 서비스 및 기능을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접속 환경의 사용자에게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3GPP-무선랜 연동의 표준화가 계속 진행 중이지만, 3GPP-무선랜 연동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을 협상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회선 교환 방식(Circuit-Switched)과 대비되는 패킷 교환 방식(Packet-Switched)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패킷 교환 방식은 통신 메시지를 적당한 크기로 나누고, 패킷이라 불리는 데이터 단위에 목적지 주소와 적당한 크기로 나눈 통신 메시지를 담아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방식이다. 특히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을 기반으로 네트워크의 각 노드가 통신하는 ALL-IP 네트워크로서, 3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통신 메시지가 인터넷 프로토콜에 의해 교환된다. 패킷 교환 방식에서는 통신 메시지를 다수의 패킷으로 나눔으로써 다수의 사용자가 네트워크 내의 동일한 경로(채널)을 공유할 수 있다. 만약 네트워크 상의 노드에 입력되는 패킷의 유형이 모두 동일하다면 해당 노드는 입력되는 패킷 또는 패킷의 집합에 대해 동일한 우선 순위 또는 동일한 정책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를 베스트 에포트(Best Effort) 방식이라 한다. 그러나 현재의 네트워크는 대역폭을 무한히 확장할 수 없고, 화상 전화, 방송, 멀티미디어, VoIP와 관련된 서로 다른 유형의 패킷을 다루므로, 이러한 베스트 에포트 방식만으로는 각 패킷에 적합한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지 못한다. 특히 3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그 목표가 음성 서비스, 이미지, 동화상 제공, 영상 전화, 인터넷 접속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으므로 서비스 품질을 위한 표준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GPP-무선랜 연동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방법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망 연동 시스템에서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게이트웨이와 단말 장치, 그리고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무선 접속망과 패킷 교환 서비스망 사이를 연결하는 핵심망과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을 중계하는 장치로서, 제1 베어러 관리부와, 제2 베어러 관리부와, 제3 베어러 관리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1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에 포함된 종단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1 베어러를 관리한다. 그리고, 제2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무선 접속망에 접속하는 단말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2 베어러를 관리한다. 제3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종단 장치 사이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3 베어러를 관리한다.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베어러를 통해 요청하는 제1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상기 제1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상기 제1 베어러의 가용 자원 및 상기 제2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무선 접속망과 핵심망으로 연결된 패킷 교환 서비스망과 패킷을 교환하는 단말 장치로서, 제1 베어러 관리부와, 제2 베어러 관리부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1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핵심망과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 사이를 중계하는 게이트웨이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1 베어러를 관리하고, 제2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이 포함하는 종단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2 베어러를 관리한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제1 베어러에 할당된 자원을 관리한다. 한편,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제2 베어러의 설정을 위한 제1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를 상기 제어부에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를 상기 제1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하며,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1 베어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요청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은 무선 접속망과 패킷 교환 서비스망 사이를 연결하는 핵심망과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이다. 먼저,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에 포함된 종단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1 베어러를 설정한다. 다음,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 접속망에 접속하는 단말 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와 패킷을 교환하기 위한 제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하는 제1 서비스 품질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이 상기 제1 베어러의 서비스 품질에 적합한 경우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 경우 상기 제2 베어러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종단 장치와 패킷을 교환하기 위한 제3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하는 제2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2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이 상기 제1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적합한 경우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며,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 경우 상기 제3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은 무선 접속망과 핵심망으로 연결된 패킷 교환 서비스망과 패킷을 교환하는 단말 장치의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이다. 먼저,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무선 접속망이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1 베어러의 설정을 위하여 제1 서비스 품질을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1 베어러를 설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핵심망과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 사이를 중계하는 게이트웨이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2 베어러의 설정을 위하여 제2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1 베어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요청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2 베어러를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이 포함하는 종단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3 베어러의 설정을 위하여 제3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2 베어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요청하고,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3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3 베어러를 설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GPP-무선랜 연동 시스템에 대하여 도 1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GPP-무선랜 연동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GPP-무선랜 연동 시스템은 무선랜 사용자 장치(WLAN User Equipment, WLAN UE)(100), 무선랜 액세스망(WLAN Access Network, WLAN AN)(1), 3GPP 핵심망(2),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3GPP Packet-Switched Service Network)(3), 인터넷(또는 인트라넷)(4)을 포함한다.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는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3)에 가입된 사용자 단말로 무선랜 액세스망(1)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이다.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는 무선랜 액세스망(1)에만 접속할 수도 있고, 무선랜 액세스망(1) 및 3GPP 액세스 망에 모두 접속할 수도 있다. 여기서 3GPP 액세스 망은 WCDMA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노드B 및 이 노드B를 제어하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로서 이 3GPP 액세스 망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 장치는 3GPP 액세스 망을 통해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3)에 접속한다.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는 무선랜 카드를 포함하는 이동 장치,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나 PDA가 될 수 있고, 무선랜 카드 및 3GPP 액세스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장치, 랩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나 PDA가 될 수도 있다.
무선랜 액세스망(1)은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에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로서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와 무선랜 접속을 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WLAN Access Point, WLAN AP)(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무선 접속 규격으로 IEEE 802.11에 규정된 무선 액세스 프로토콜에 따른 무선랜을 사용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무선랜 액세스망(1)은 통상의 무선 접속망이 되어도 무방하고,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는 기지국, 노드B에 해당하는 무선 접속 장치가 되어도 무방하다.
3GPP 핵심망(2)은 무선랜 액세스망(1)과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3)을 연결하는 코어 네트워크이다. 3GPP 핵심망(2)은 무선랜 액세스 게이트웨이(WLAN Access Gateway, WAG)(300),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Packet Data Gateway, PDG)(40) 및 3GPP AAA 서버(3GPP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Accounting Server, 3GPP AAA Server)(60)를 포함한다.
무선랜 액세스 게이트웨이(300)는 무선랜 액세스망(1)과 3GPP 핵심망(2) 사이를 중계하는 게이트웨이이다. 무선랜 액세스망(1)과 3GPP 핵심망(2)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으므로, 무선랜 액세스 게이트웨이(300)는 프로토콜의 변환을 수행하여 무선랜 액세스망(1)과 3GPP 핵심망(2)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는 3GPP 핵심망(2)와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3)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이다. 3GPP 핵심망(2)와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3)은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으므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는 프로토콜의 변환을 수행하여 3GPP 핵심망(2)과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3) 간에 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3)은 3GPP에서 규정하는 패킷 교환 서비스망으로,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에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무선랜 액세스망(1) 및 3GPP 핵심망(2)을 경유하여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3)으로부터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통상적으로 무선랜 3GPP IP 액세스(WLAN 3GPP IP Access)라고 한다.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3)에 포함되어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에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등의 종단의 네트워크 노드를 3GPP 종단 장치(50)라고 칭하도록 한다.
한편,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무선랜 액세스망(1)을 통해 인터넷(4)에 직접 접속하여 IP 기반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통상적으로 무선랜 직접 IP 연결(WLAN Direct IP Access)이라고 한다. 인터넷(4)은 인터넷 종단 장치(70)를 포함하며, 이 종단 장치(70)가 IP 기반 서비스를 제공한다.
3GPP AAA 서버(60)는 3GPP-무선랜 연동에서 사용자 인증, 서비스 권한 및 과금을 담당하는 서버이다.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는 무선랜 3GPP IP 액세스 또는 무선랜 직접 IP 연결을 위해 3GPP AAA 서버(60)에 인증을 수행한다. 그리고 3GPP AAA 서버(60)는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제공받은 서비스 품질, 망 사용량, 대역폭 사용량에 따라 과금을 수행한다.
인터넷(4)은 일종의 패킷 교환 서비스망으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종단 장치(70)를 포함한다.
다음은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3GPP IP 연결을 위한 QoS 관리 기능을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3GPP IP 연결을 위한 QoS 관리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 I-WLAN(Interworking 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 변환부(140),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을 포함한다. 그리고, 무선랜 액세스(20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220),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 및 W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40)를 포함한다. 또, 무선랜 액세스 게이트웨이(300)는 W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310),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320), 및 W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330)를 포함한다. 한편,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는 W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10), I-WLAN(Interworking 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 변환부(440),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50), 및 외부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60)를 포함한다.
먼저,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의 구성 요소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살펴보면,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 및 변환부(140)와 내부 서비스 프리미티브(Internal Service Primitive)를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 그리고, 변환부(140)는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 및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와 내부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통해 정보를 교환한다.
여기서 내부 서비스 프리미티브는 계층 모듈들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함수를 의미하며, 요청(Request) 프리미티브, 지시(Indication) 프리미티브, 응답(Response) 프리미티브, 확인(Confirm) 프리미티브를 포함한다. 요청 프리미티브는 상위 계층이 하위 계층에게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함수이다. 그리고, 지시 프리미티브는 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에게 통신 상대로부터 어떤 요청이 전달되어 왔음을 알리기 위한 인터페이스 함수이다. 또, 응답 프리미티브는 상위 계층이 하위 계층에게 지시 프리미티브에 대한 응답을 보내기 위한 인터페이스 함수이다. 확인 프리미티브는 하위 계층이 상위 계층에게 요청 프리미티브에 대한 응답을 보내기 위한 인터페이스 함수이다.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 무선랜 액세스 게이트웨이(300), 및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의 구성 요소간의 인터페이스는 도 2을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무선랜 베어러(B110)의 설정을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의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는 무선랜 베어러(B11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의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와 협상하여 무선랜 베어러(B110)를 설정한다. 설정된 무선랜 베어러(B110)는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와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 사이에서 패킷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한편,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의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는 무선랜 베어러(B110)에 할당된 자원 정보와 무선랜 베어러(B110)의 가용 자원 정보를 유지한다.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가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에 무선랜 베어러(B11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 협상을 요청하면,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가능 여부를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220)를 통해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에 문의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무선랜 베어러(B110)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가 해당 서비스 품질을 거부하는 경우,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와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는 재협상을 한다. 그리고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가 해당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와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는 협상된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는 무선랜 베어러(B110)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유지한다. 이때,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로부터 협상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 또는 무선랜 베어러(B110)에 할당된 자원 정보를 수신하여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는 무선랜 베어러(B110)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 또는 무선랜 베어러(B110)에 할당된 자원 정보를 유지하며 관리한다.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의 W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40)와 무선랜 액세스 게이트웨이(300)의 W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310)는 Wn 베어러(B120)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Wn 베어러(B120)의 서비스는 베스트 에포트 방식을 따른다. 여기서 베스트 에포트 방식은 패킷 또는 패킷의 집합에 대해 동일한 우선 순위 또는 동일한 정책을 적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무선랜 액세스 게이트웨이(300)의 W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330)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의 W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10)는 Wp 베어러(B140)를 생성하고 관리하며 유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Wn 베어러(B140)의 서비스는 베스트 에포트 방식을 따른다.
외부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60)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와 종단 장치(500)가 패킷을 교환하는데 이용하는 외부 베어러(B160)를 설정하고 관리하며 유지한다. 이때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는 외부 베어러(B160)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 또는 외부 베어러(B160)에 할당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외부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60)로부터 제공받아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는 외부 베어러(B160)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 또는 외부 베어러(B160)에 할당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며 관리한다.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의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22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와 W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40) 사이를 중계한다. 즉,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22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가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의 내용을 내부 서비스 프리미티브로 제공받는다. 그리고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22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로부터 제공받은 내용을 다시 내부 프리미티브로 W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40)에 제공한다. 그러면, W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40)는 제공받은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Wn 베어러(B120)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생성한 메시지를 무선랜 액세스 게이트웨이(300)의 W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310)에 제공한다. 또한 역으로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220)는 W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40)로부터 제공받은 내부 프리미티브를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에 제공한다.
한편,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의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220)는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와도 연동한다. 즉,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22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포함하는 내부 프리미티브를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내부 프리미티브를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에 전달한다. 그리고,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220)는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의 결과를 포함하는 내부 프리 미티브를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내부 프리미티브를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에 제공한다.
무선랜 액세스 게이트웨이(300)의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320)는 W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310)와 W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330) 사이를 중계한다.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320)의 역할은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220)로부터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I-WLAN 베어러(B150)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의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I-WLAN 베어러(B15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와 협상하여 I-WLAN 베어러(B150)를 설정한다. 설정된 I-WLAN 베어러(B150)는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 사이에서 패킷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 사이의 서비스 품질은 무선랜 베어러(B110)가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무선랜 베어러(B110)의 서비스 품질 또는 무선랜 베어러(B110)의 가용 자원을 참고한다. 이를 위하여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와 협상할 서비스 품질이 적합한 지 여부를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에 문의한다. 그러면,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는 무선랜 베어러(B110)의 서비스 품질 또는 무선랜 베어러(B110)의 가용 자원을 참고하여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가 문의한 서비스 품질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가 문의 받은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 경우,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가 수락한 서비스 품질을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에 요청한다. 이때,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서비스 품질에 대해서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와 협상할 때 무선랜 베어러(B110)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구체적으로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무선랜 베어러(B110)의 서비스, Wn 베어러(B120)의 서비스, 및 Wp 베어러(B140)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와 협상한다.
한편,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는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가 요청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에 문의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는 외부 베어러(B160)의 가용 자원 또는 외부 베어러(B160)의 서비스 품질을 참고하여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가 요청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결정하고 결정 내용을 포함하는 내부 프리미티브를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에 제공한다. 이때,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가 외부 베어러(B160)에 할당된 자원 또는 외부 베어러(B160)의 서비스 품질을 참고하는 것은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 사이의 서비스 품질이 외부 베어러(B160)가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가 서비스 품질에 대한 요청을 거부하는 경우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와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는 서비스 품질에 대해 재협상 한다. 그러나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가 서비스 품질에 대해 수락을 하는 경우,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와 I-WLAN 베어러 서비 스 관리부(420)는 I-WLAN 베어러(B150)를 설정한다. 그리고 나서,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와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는 I-WLAN 베어러(B150)의 속성 변환과 같은 관리를 수행하고 I-WLAN 베어러(B150)를 유지한다.
한편, I-WLAN 베어러(B150)가 설정되는 경우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I-WLAN 베어러(B150)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 또는 I-WLAN 베어러(B150)에 할당된 자원 정보를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에 제공한다. 또한,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는 I-WLAN 베어러(B150)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 또는 I-WLAN 베어러(B150)에 할당된 자원 정보를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에 제공한다.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의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는 외부 네트워크인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3)의 종단 장치(500)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서비스 품질에 대해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와 협상을 수행한다. 협상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 및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는 IP 베어러(B170)를 설정하고 유지, 관리한다. 이 IP 베어러(B170)는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 및 종단 장치(500) 사이의 패킷 교환(즉, 종단간 패킷 교환)을 위해 사용된다.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는 복수의 종단 장치(500)와 패킷 교환을 위해서 복수의 종단 장치(500)에 대응하는 복수의 IP 베어러(B170)를 설정한다. 이때,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는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와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여 복수의 IP 베어러(B170)를 설정한다.
다음은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의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와 패킷 데 이터 게이터웨이(400)의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50)가 IP 베어러(B170)를 설정하기 위하여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IP 베어러(B170)는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와 종단 장치(500)가 패킷을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베어러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랜 사용자 장치가 IP 베어러(B170)를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는 IP 베어러(B17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를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에 조회한다(S110). 이를 위하여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는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에 관한 프리미티브를 변환부(140)에 제공한다. 변환부(140)는 수신한 프리미티브를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에 전달되는 프리미티브로 변환하여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에 제공한다.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제공받은 프리미티브가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에 전달되는 프리미티브임을 파악하고,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는 I-WLAN 베어러(B150)에 할당된 자원을 관리한다. 따라서,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는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가 요청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I-WLAN 베어러(B150)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한다(S120). 즉, I-WLAN 베어러(B150)의 가용 자원이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가 요청한 서비스 품질을 지원할 정도로 존재한다면,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는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가 요청한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가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가 요청한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 경우에,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는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가 수락한 서비스 품질을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에 요청한다(S130). 더 구체적으로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는 IP 베어러(B17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에 요청하는 프리미티브를 변환부(140)에 제공한다. 변환부(140)는 수신한 프리미티브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에 전달되어야 함을 파악하고, 수신한 프리미티브를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에 전달되는 메시지로 변환하여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에 제공한다.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수신한 메시지를 I-WLAN 베어러(B150)를 통해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의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에 전달한다.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는 수신한 메시지를 변환부(440)에 제공한다. 그러면, 변환부(440)는 제공받은 메시지를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50)가 해석할 수 있는 포맷의 프리미티브로 변환하여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50)에 제공한다. 한편,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가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가 요청한 서비스 품질을 거부한 경우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는 새로운 서비스 품질을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30)에 요청한다.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50)는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의 서비스 품질 요청을 포함하는 프리미티브를 변환부(440)로부터 제공받은 경우에, 해당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를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에 문의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는 외부 베어러(B160)에 할당된 자원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있 다. 그리고,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는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에 대해 외부 베어러(B160)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한다(S140). 이때,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는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에 대해 외부 베어러(B160)의 가용 자원 및 I-WLAN 베어러(B150)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는 서비스 품질에 대한 결정 내용을 포함하는 프리미티브를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를 통해 변화부(440)에 제공한다. 변환부(440)는 제공받은 프리미티브를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50)가 해석할 수 있는 포맷의 프리미티브로 변환하여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50)에 제공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가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 경우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와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50)는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가 수락한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는 IP 베어러(450)를 설정하고 관리하며 유지한다(S150). 한편,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가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을 거부한 경우,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는 새로운 서비스 품질을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에 요청한다.
다음은 사용자 패킷의 전달 방법을 설명한다.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와 종단 장치(500)는 IP 베어러(B170)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패킷을 교환한다. 이때, IP 베어러(B170)는 I-WLAN 베어러(B150)의 서비스와 외부 베어러(B160)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그리고, I-WLAN 베어 러(B150)는 무선랜 베어러(B110)의 서비스, Wn 베어러(B120)의 서비스, 및 Wp 베어러(B140)의 서비스를 이용한다.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의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의 외부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60)는 종단 장치와 패킷을 교환하기 위한 외부 베어러를 설정한다(S210).
그런 다음,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는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I-WLAN 베어러(B150)를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을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요청 받는다(S220).
그리고 나서,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는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이 외부 베어러의 서비스 품질에 적합한 지를 판단하여(S230), 적합한 경우에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다(S240). 만약 적합하지 않으면,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는 I-WLAN 베어러(B15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재협상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가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면,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는 I-WLAN 베어러를 설정한다(S250).
다음으로,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20)는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IP 베어러(B170)를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을 I-WLAN 베어러를 통해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다(S260).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는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IP 베어러(B170)를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이 외부 베어러(B160)의 가용 자원에 적합한 지를 판단하여(S270), 적합한 경우에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다(S280). 이때,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는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이 I-WLAN 베어러(B150)의 가용 자원에 적합한 지를 더 판단하여,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을 수락할 수 있다. 한편,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이 외부 베어러(B160)의 가용 자원에 적합하지 않은 경우,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와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는 IP 베어러(B17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재협상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430)가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가 요청하는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 경우,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450)는 IP 베어러(B170)를 설정한다(S290).
다음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의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사용자 장치의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의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는 무선 랜 베어러(B110)의 설정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에 요청한다(S310).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300)가 해당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 경우,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는 해당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는 무선랜 베어러(B110)를 설정한다(S320).
다음으로,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I-WLAN 베어러(B15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무선랜 베어러(B110)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에 요청한다(S330). 이때,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I-WLAN 베어러(B15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무선랜 베어러(B110)의 가용 자원에 따라 먼저 결정하고, 결정된 서비스 품질을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에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가 해당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I-WLAN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20)는 해당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는 I-WLAN 베어러를 설정한다(S340).
다음으로,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는 IP 베어러(B17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I-WLAN 베어러(B150)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에 요청한다(S350). 이때,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는 IP 베어러(B17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I-WLAN 베어러(B150)의 가용 자원에 따라 먼저 결정하고, 결정된 서비스 품질을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에 요청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400)가 IP 베어러(B17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 경우,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50)는 해당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는 IP 베어러(B170)를 설정한다(S360).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직접 IP 연결을 위한 QoS 관리 기능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직접 IP 연결을 위한 QoS 관리 기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는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60), 변환부(170),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8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는 외부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50), 변환부(260),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70)를 더 포함한다.
먼저,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의 구성 요소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살펴보면,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6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와 내부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통해 통신한다. 그리고, 변환부(170)는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 및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80)와 내부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통해 통신한다.
다음,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의 구성 요소 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살펴보면, 액세스 네트워크 관리부(220)는 외부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50) 및 변환부(260)와 내부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통해 통신한다. 그리고, 변환부(260)는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70)와 내부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통해 통신한다.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10)와 무선랜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10)는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고 협상된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는 무선랜 베어러(B110)를 설정하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무선랜 베어러(B110)가 설정되면,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60)와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는 각각 무선랜 베어러(B110)에 할당된 자원을 관리한다.
변환부(170) 및 변환부(260)는 내부 서비스 프리미티브와 외부 서비스 시그널링에 해당하는 메시지를 변환하는 기능을 가진다.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의 외부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50)는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와 인터넷(4)의 종단 장치(700)가 패킷을 교환하는데 사용하는 외부 베어러(B180)를 설정하고 관리하며 유지한다. 그리고,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는 외부 베어러(B180)에 할당된 자원을 관리한다.
다음은 무선랜 사용자 장치(100)와 종단 장치(700)가 패킷을 교환하는데 사용하는 IP 베어러(B190)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80)는 IP 베어러(B190)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의 적합성 여부를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60)에 조회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60)는 무선랜 베어러(B110)의 가용 자원에 따라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80)가 요청한 서비스 품질의 적합성 여부를 결정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160)가 서비스 품질에 대해 적합하다고 결정한 경우,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80)는 결정된 서비스 품질을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의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70)에 요청한다. 이때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 부(180)는 무선랜 베어러(B110)의 서비스를 이용하여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200)에 서비스 품질을 요청하며, 이 요청은 변환부에서 내부 서비스 프리미티브로 변환되어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70)에 전달된다.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70)는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80)로부터 서비스 품질을 요청받은 경우, 해당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에 문의한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는 외부 베어러(B180)의 가용 자원에 따라 해당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는 무선랜 액세스 베어러(B110)의 가용 자원을 더 참조하여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연결 수락 및 능력 제어부(230)가 IP 베어러(B190)의 설정을 위한 서비스 품질에 대해 수락하는 경우,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180)와 IP 베어러 서비스 관리부(270)는 해당 서비스 품질을 지원하는 IP 베어러(B190)를 설정하고 관리하며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랜 사용자 장치는 3GPP 무선랜 연동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서비스 품질 협상을 통해 3GPP 패킷 교환 서비스망의 종단 장치와 데이터 패킷을 교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랜 사용자 장치는 종단 장치와 패킷을 교환하기 위한 IP 베어러를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와 협상하므로 서비스 품질 협상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21)

  1. 삭제
  2. 무선 접속망과 패킷 교환 서비스망 사이를 연결하는 핵심망과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을 중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에 포함된 종단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1 베어러를 관리하는 제1 베어러 관리부;
    상기 무선 접속망에 접속하는 단말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2 베어러를 관리하는 제2 베어러 관리부;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종단 장치 사이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3 베어러를 관리하는 제3 베어러 관리부; 및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3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베어러를 통해 요청하는 제1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상기 제1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상기 제1 베어러의 가용 자원 및 상기 제2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에 대한 상기 단말 장치의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3 베어러를 설정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하는 제2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상기 제1 베어러의 서비스 품질에 따라 결정하고,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에 대한 상기 단말 장치의 요청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2 베어러를 설정하는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이러 관리부와 상기 제3 베어러 관리부 사이를 중계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에 대한 상기 단말 장치의 요청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메시지를 내부 프리미티브로 변환하여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에 제공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 장치가 요청하는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에 대한 수락 여부를 포함하는 제1 프리미티브를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에 제공하고,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제1 프리미티브를 상기 변환부에 제공하며,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1 프리미티브를 상기 제3 베어러 관리부가 해석 가능한 포맷의 프리미티브로 변환하여 상기 제3 베어러 관리부에 제공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망과 상기 핵심망 사이를 중계하는 게이트웨이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4 베어러를 관리하는 제4 베어러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8. 무선 접속망과 패킷 교환 서비스망 사이를 연결하는 핵심망과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을 중계하는 게이트웨이의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에 포함된 종단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1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접속망에 접속하는 단말 장치가 상기 게이트웨이와 패킷을 교환하기 위한 제2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하는 제1 서비스 품질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이 상기 제1 베어러의 서비스 품질에 적합한 경우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 경우 상기 제2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종단 장치와 패킷을 교환하기 위한 제3 베어러를 설정하기 위하여 요청하는 제2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2 베어러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이 상기 제1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적합한 경우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수락한 경우 상기 제3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이 상기 제1 베어러의 가용 자원 및 상기 제2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적합한 경우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
  11. 무선 접속망과 핵심망으로 연결된 패킷 교환 서비스망과 패킷을 교환하는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핵심망과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 사이를 중계하는 게이트웨이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1 베어러를 관리하는 제1 베어러 관리부;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이 포함하는 종단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2 베어러를 관리하는 제2 베어러 관리부; 및
    상기 제1 베어러에 할당된 자원을 관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제2 베어러의 설정을 위한 제1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를 상기 제어부에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를 상기 제1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하며,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1 베어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요청하는 단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2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접속망이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3 베어러를 관리하는 제3 베어러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제1 베어러의 설정을 위한 제2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를 상기 제어부에 요청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를 상기 제3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하고,
    상기 제1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3 베어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요청하는 단말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1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말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베어러 관리부는 상기 제3 베어러의 설정을 위한 제3 서비스 품질을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상기 제3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3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말 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러 관리부와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 사이를 중계하는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가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상기 게이트웨이에 요청하는 프리미티브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리미티브를 메시지로 변환하여 상기 제1 베어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전달하는 단말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제2 베어러 관리부가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의 수락 여부를 상기 제어부에 요청하는 프리미티브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프리미티브를 상기 제1 베어러 관리부를 통해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단말 장치.
  18. 무선 접속망과 핵심망으로 연결된 패킷 교환 서비스망과 패킷을 교환하는 단말 장치의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무선 접속망이 포함하는 무선 접속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1 베어러의 설정을 위하여 제1 서비스 품질을 상기 무선 접속 장치에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무선 접속 장치가 상기 제1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1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
    (c) 상기 핵심망과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 사이를 중계하는 게이트웨이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2 베어러의 설정을 위하여 제2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1 베어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2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e) 상기 패킷 교환 서비스망이 포함하는 종단 장치와의 패킷 교환을 위한 제3 베어러의 설정을 위하여 제3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2 베어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요청하는 단계; 및
    (f)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3 서비스 품질을 수락하는 경우 상기 제3 베어러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제2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1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제2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1 베어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3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2 베어러의 가용 자원에 따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상기 제3 서비스 품질을 상기 제2 베어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에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품질 협상 방법.
KR1020060050828A 2005-06-22 2006-06-07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788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2415 WO2006137705A1 (en) 2005-06-22 2006-06-22 Apparatus and method for negotiating quality of service
CN200680022604XA CN101218783B (zh) 2005-06-22 2006-06-22 用于协商服务质量的装置和方法
US11/922,847 US20090225705A1 (en) 2005-06-22 2006-06-22 Apparatus and Method for Negotiating Quality of Service
EP06768996A EP1894349A4 (en) 2005-06-22 2006-06-22 APPARATUS AND METHOD FOR NEGOTIATING QUALITY OF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4168 2005-06-22
KR20050054168 2005-06-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798A KR20060134798A (ko) 2006-12-28
KR100788889B1 true KR100788889B1 (ko) 2007-12-27

Family

ID=37813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828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8889B1 (ko) 2005-06-22 2006-06-07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25705A1 (ko)
KR (1) KR100788889B1 (ko)
CN (1) CN1012187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08188A1 (en) * 2006-05-25 2008-01-10 Proximetr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resource management with quality of service (qos) management
US8036635B2 (en) * 2006-09-30 2011-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656988B (zh) * 2008-08-19 2011-11-16 中国移动通信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服务质量管理方法、装置及系统
US9544924B2 (en) * 2008-11-25 2017-01-10 Lantiq Beteiligungs-GmbH & Co. KG Ad hoc communication protocol method and apparatus
KR100968037B1 (ko) 2009-04-21 2010-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베어러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932034B (zh) * 2009-06-26 2013-10-02 华为技术有限公司 提高服务质量的方法及系统和应用网网元
CN101990274B (zh) * 2009-08-04 2014-02-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通过无线局域网接入网络实现接入的方法及系统
US8762232B2 (en) * 2010-01-20 2014-06-24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accounting information handling in an interworking
US9781770B2 (en) * 2012-04-23 2017-10-0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to address infrequent transmission
US9357430B2 (en) * 2012-10-26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amog bearer management
CN103796250B (zh) * 2012-10-31 2018-06-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确定回传网络中wlan业务qos的方法和系统
WO2014124666A1 (en) * 2013-02-13 2014-08-2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ethod and network element for managing backhaul resources
GB201311827D0 (en) * 2013-06-28 2013-08-14 British Telecomm Wireless Access Point
US9819469B2 (en) 2013-07-01 2017-11-14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enabling quality of service (QoS) on WLAN for traffic related to a bearer on cellular networks
US10506476B2 (en) * 2015-06-10 2019-12-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Establishing an interaction session on a bearer in a radio communication network
CN117412337A (zh) * 2017-08-11 2024-01-16 华为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和数据传输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4560A (ja) * 1999-07-16 2001-04-06 Fujitsu Ltd 相互通信システム及び相互通信方法
KR20050012257A (ko) * 2002-06-06 2005-01-31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Wlan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간의 연동의 혼성 결합을위한 논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로서의 연동기능(iwf)
KR20050050668A (ko) * 2002-10-08 2005-05-31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양한 타입의 무선 통신 시스템간의 서비스 품질 맵핑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27490A1 (en) * 2000-01-25 2001-10-04 Gabor Fodor RSVP handling in 3G networks
DE60030404T2 (de) * 2000-02-22 2007-02-22 Lucent Technologies Inc. Vefahren zum Weiterreichen von Echtzeitverbindungen in drahtlosen Kommunikationssystemen
WO2001071981A2 (en) * 2000-03-23 2001-09-27 Sharewave, Inc. Multimedia extensions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US6760762B2 (en) * 2000-07-17 2004-07-06 Tele Services Solutions, Inc Intelligent network providing network access services (INP-NAS)
FR2829650B1 (fr) * 2001-09-13 2004-07-09 Cit Alcatel Passerelle inter-reseaux de transmission de signaux numeriques
KR100474706B1 (ko) * 2002-09-11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티씨피/아이피를 이용한 프로세서 간 통신장치
US6904058B2 (en) * 2002-09-20 2005-06-07 Intel Corporation Transmitting data over a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wireless network
EP1623534B1 (en) * 2003-05-01 2011-12-2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y of data-based/voice services over piconets and wireless lans (wlans) coupled to 3gpp devices including protocol architecture and information elements relating to short message service (sms) over wla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4560A (ja) * 1999-07-16 2001-04-06 Fujitsu Ltd 相互通信システム及び相互通信方法
KR20050012257A (ko) * 2002-06-06 2005-01-31 톰슨 라이센싱 에스.에이. Wlan과 이동 통신 네트워크 간의 연동의 혼성 결합을위한 논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로서의 연동기능(iwf)
KR20050050668A (ko) * 2002-10-08 2005-05-31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양한 타입의 무선 통신 시스템간의 서비스 품질 맵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18783B (zh) 2010-09-15
KR20060134798A (ko) 2006-12-28
CN101218783A (zh) 2008-07-09
US20090225705A1 (en)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8889B1 (ko) 서비스 품질을 협상하는 장치 및 방법
US69805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end-to-end quality of service in a wireless packet data system
EP1392077B1 (en) Managing the Quality of Service (QoS) levels during transfer betwee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nd a mobile telephone network
US906573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d-to-end quality of service (QoS)
KR100739505B1 (ko) 망 연동 시스템 및 망 연동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품질 협상방법
Kim et al. Architecture for 3G and 802.16 wireless networks integration with QoS support
WO200613770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egotiating quality of service
US7944833B2 (en) End-to-end QoS interoper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CN101043414B (zh) 一种保证无线局域网和封包数据网关的服务质量配置一致性的方法
US7436827B2 (en) Data bearers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23042044A1 (en) Control signaling between 3gpp network entities and transport network
WO2009132492A1 (zh) 一种racs支持移动ip的系统及方法
KR100767313B1 (ko) 이종 망간 핸드오프의 서비스 품질을 관리 및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Rexhepi et al. A framework for QoS & mobility in the Internet next generation
Nursimloo et al. Integrating fast mobile IPv6 and SIP in 4G network for real-time mobility
EP1601141B1 (en) Interwork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754284A (zh) 资源控制方法及系统
WO2008079063A1 (en) SERVlCE BASED HANDOVER COMBINED WITH MS AND NETWORK INITIATED SECONDARY PDP CONTEXT ACTIVATION
Baumann et al. From GPRS to UMTS
Boringer et al. QoS in I-MPLS-based heterogeneous networks
WO200606439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anteeing qos during handover
WO2009012727A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 flux d'activation secondaire lancé par un réseau
WO2006123897A1 (en) End-to-end qos interoperation apparatus and method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