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434B1 - Handling device for a switch - Google Patents
Handling device for a swi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8434B1 KR100788434B1 KR1020020006833A KR20020006833A KR100788434B1 KR 100788434 B1 KR100788434 B1 KR 100788434B1 KR 1020020006833 A KR1020020006833 A KR 1020020006833A KR 20020006833 A KR20020006833 A KR 20020006833A KR 100788434 B1 KR100788434 B1 KR 1007884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
- switch
- cam
- roller
- le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Landscapes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개폐기의「끊기」,「넣기」 또는「접지」위치에 대해서, 소정의 각 위치에 확실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개폐기용 조작기를 제공한다. 모터(4) 또는 수동핸들(5)에 의해 회전되는 출력축(2)에 설치된 캠판(7)의 둘레 가장자리에 개폐기의 「넣기」,「끊기」,「접지」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오목부, 및 모터(4)를 정지시키는 스위치와 맞닿는 핀(9a), (9b)과, 캠전동용 롤러(12) 및 록크용 롤러(13)를 구비한 캠종동 레버(10)와, 캠전동용 롤러(12)가 상기 각 위치에 있어서, 록크용 롤러(13)가 그 오목부에 걸리게 되어 출력축의 회전을 잠그는 유지래치(14)와, 캠판(7)의 오목부와 캠전동용 롤러(13)의 걸어맞춤을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3a)와, 록크 레버의 수평이동에 의해 회동하여, 유지래치(14)의 록크를 해제하는 록크 해제부재, 및 마그네트(17)로 구동하는 록크 해제용 로드(17a)를 구비하는 개폐기용 조작기. An actuator for a switch which can be reliably operated at each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reak", "load" or "ground" position of the switch is provided. On the peripheral edge of the cam plate 7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2 which is rotated by the motor 4 or the manual handle 5, it is formed in the part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of "insertion", "break", and "ground" of the switch. Cam follower lever 10 including a recess 9 and pins 9a and 9b that abut the switch to stop the motor 4, a cam-driven roller 12 and a lock roller 13, and a cam. In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transmission roller 12, the locking roller 13 is caught in the recessed portion, and the retaining latch 14 locking the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the recessed portion of the cam plate 7, and the cam-driven roller The micro switch 13a which detects the engagement of the (13), the lock release member which rotates by horizontal movement of a lock lever, and releases the lock of the holding latch 14, and the lock release driven by the magnet 17. Actuator for a switchgear provided with the rod 17a.
개폐기용 조작기Manipulator for switchgea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조작기의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 (c)는 정면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whole of the manipulator of this invention is shown, (a) is a side view, (b) is a top view, (c) is a front view.
도 2는 본 발명의 조작기의 캠판 주변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Fig. 2 shows the periphery of the cam plate of the manip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and (b) is a side view.
도 3은 유지래치의 기계 잠금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Figure 3 shows the mechanical locking of the holding latch, (a) is a plan view, (b) is a side view.
도 4는 핸들의 빼고 넣기를 규제하는 기구의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of the mechanism which regulates the removal of a handle.
도 5는 본 발명의 록크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is a side view.
도 6은 본 발명의 록크 레버의 다른 실시예의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록크 레버의 다른 실시예의 조작설명도이다.7 is an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1:조작기 1a:케이스1: Manipulator 1a: Case
2:출력축 3:연결 레버2: output shaft 3: connecting lever
4:모터 5:수동핸들4: motor 5: manual handle
5a:원통축부 5b:걸림홈 5a: Cylindrical Shaft 5b: Jamming Groove
5c:테이퍼부 6:조작축5c: Taper part 6: Operation shaft
6a:수동핸들 삽입구멍 7:캠판6a: Manual handle insertion hole 7: Cam version
7a∼c:오목부 8a∼d:마이크로 스위치7a to c:
9a, b:핀 10:캠종동 레버9a, b: Pin 10: Cam follower lever
11:스프링 12:롤러11: Spring 12: Roller
12a:축 13:록크용 롤러12a: Shaft 13: Lock roller
13a:마이크로 스위치 14:유지래치13a: micro switch 14: holding latch
14a:오목부 15:록크 해제부재14a: recess 15: lock release member
15a:리턴스프링 16:록크 레버15a: return spring 16: lock lever
16a:록크 레버의 걸쇠걸림부 16b:걸쇠16a: latching part of the
16c:자물쇠 16d:장공16c:
16e:걸고리 걸림홈 16f:걸고리 걸림홈16e: Hook
17:마그네트 17a:푸셔롯드(pusher rod)17:
18:후크 상하이동용 레버 18a:후크18: Hook
18b:장공 18c:축18b:
18e:후크의 테이퍼부 19:리턴스프링18e: Taper part of the hook 19: Return spring
20:셔터 20a:구멍20:
20b:록크 걸고리 21:마그네트20b: lock hook 21: magnet
21a:스토퍼 롯드21a: stopper rod
본 발명은, 접지 개폐기부단로기(開閉器付斷路器) 등의 개폐기의「넣기」,「끊기」,「접지」를 조작하는 개폐기용 조작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ctuator for a switch that operates "loading", "breaking", and "grounding" of a switch such as a ground switch disconnector.
개폐기의「넣기」,「끊기」,「접지」의 3위치의 절환에 개폐기용 조작기가 사용되고 있다.An actuator for a switch is used to switch between three positions of "opening", "breaking" and "grounding" of the switch.
개폐기용 조작기는, 예를 들면 특개평8-315692호 공보, 또는 실용신안등록 제301214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The actuator for switchgear is described, for example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8-315692, 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3012144.
개폐기용 조작기는, 조작기의 출력축의 일단에 개폐기의 주회로접점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롯드(rod)에 연결되는 연결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출력축은 자동인 경우 기어식 모터에 의해, 수동인 경우에는 수동핸들에 의해 회전하는 조작축에 의해 회전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모터 또는 수동핸들에 의해 연결레버를 회전시켜서 조작 롯드를 움직여 개폐기의 주회로접점을「넣기」,「끊기」또는「접지」의 3위치로 절환한다.The actuator for the switchgear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output shaft of the manipulator with a connecting lever connected to an operation rod for operating the main circuit contact of the switchgear. The output shaft has a structure that rotates by an operating shaft that rotates by a geared motor when automatic and by a manual handle when manual. The operating rod is moved by rotating the connecting lever by a motor or a manual handle to switch the main circuit contact of the switch to the three positions of "opening", "breaking" or "grounding".
그러나, 종래의 개폐기용 조작기는, 특히「끊기」조작의 경우, 연결레버를 잘못해서 과도하게 동작시켜서 소정의 위치를 지나쳐버려, 확실히「넣기」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breaking" operation, the conventional actuator for a switchgear may overwork a connection lever by mistake, overshoo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may not stop at a "loading" position certainly.
또한, 수동조작의 경우, 핸들의 빼고 넣기가 자유자재롭기 때문에, 핸들을「 넣기」,「끊기」,「접지」이외의 도중의 위치에서 빼거나, 또는 지나쳐버리거나 해서 확실히「넣기」,「끊기」,「접지」위치로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manual operation, since the handle is free to be pulled out, the handle may be pulled out of a position other than the "loading", "cutting", or "grounding", or it may be overdone, and the "loading" and "hanging" And the "ground" position is problematic.
그래서, 본 발명은, 개폐기의「넣기」,「끊기」또는「접지」위치에 대해서, 소정의 각 위치에 확실하게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개폐기용 조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n, this invention provides the actuator for switchgear which can be reliably operated in each predetermined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loading", "breaking", or "grounding" position of a switch.
본 발명은, 모터 또는 수동핸들로 출력축을 회전시켜서 개폐기의「넣기」,「끊기」,「접지」를 절환하는 개폐기용 조작기에 있어서, 출력축에 설치된 캠판과, 캠판의 둘레 가장자리에 개폐기의「넣기」,「끊기」,「접지」의 각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 오목부, 및 캠판의 표면에 형성된 모터를 정지시키는 마이크로스위치와 맞닿는 핀과, 캠판의 둘레 가장자리(周緣)로 힘이 가해져서 전동하는 캠 전동용 롤러 및 록크용 롤러를 구비한, 캠판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캠 종동레버와, 캠 전동용 롤러가 캠판의「넣기」,「끊기」 또는「접지」 위치에서, 록크용 롤러가 그 오목부(凹部)에 걸리게 되어 출력축의 회전을 록크시키는 유지(保持)래치와, 캠판의 오목부와 캠 전동용 롤러의 걸어맞춤을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록크 레버의 수평이동에 의해 회동해서, 유지래치의 오목부로부터 록크용 롤러를 빼내어 록크를 해제하는 록크 해제부재, 및 마그네트로 구동되는 록크 해제용 롯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ctuator for switchgear which rotates an output shaft by a motor or a manual handle to switch "opening", "breaking" and "grounding" of a switch, comprising a cam plate provided on the output shaft and a "loading" of the switch on the circumferential edge of the cam plate. Force is applied to the concave portion formed at the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sitions of "break" and "ground", a pin contacting the microswitch for stopping the moto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m plate, and a peripheral edge of the cam plate. The cam driven lever, which is moved up and down by the rotation of the cam plate, which is equipped with the cam cam roller for rolling and the roller for locking, and the cam roller for locking the cam plate at the "loading", "breaking" or "ground" position of the cam plate. Number of lock levers, a holding latch for locking the rotation of the output shaft to engage the recess, a micro switch for detecting engagement between the recess of the cam plate and the roller for cam transmiss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rod for locking is released by the rotation by the movement, the stack of locking roller from the concave portion of the holding latches driven by the lock releasing member, and a magnet to release the lock.
상기 구성에 있어서, 다시, 상기 출력축을 구동하는 조작축에 끼워 넣는 원통축부의 원주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선단부에 테이퍼부가 형성된 수동핸들과, In the above constitution, a manual locking groove is formed in the circumference of the cylindrical shaft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operation shaft for driving the output shaft, and the tapered portion is formed at the distal end portion;
수동핸들의 걸림홈에 걸림 또는 이탈하기 위해 상하 이동하는 후크를 지님과 동시에, 장공(長孔)에서 조작축 쪽으로 힘이 가해져서 축지지되며, 캠 종동레버의 상하 이동에 의해 회동하고, 후크를 상하 이동시키는 후크 상하 이동용 레버를 구비하고 있다.At the same time, it has a hook that moves up and down to engage or disengage the locking groove of the manual handle. At the same time, it is supported by a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shaft in the long hole, and is rotated by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cam driven lever. A hook for moving up and down is provided.
또한, 상기 록크 레버에는, 캠 종동레버의 롤러를 축지지하는 축이 삽입되는 장공과, 수동핸들을 조작축에 끼워 넣는 수동 핸들 삽입공을 개폐하는 셔터 측의 하부 가장자리 측에 형성된 걸고리 걸림홈과, 셔터의 개폐에 의해 회동하여 록크 레버의 걸고리 걸림홈에 출입하는 록크 걸고리를 설치해도 된다.In addition, the lock lever has a long hole into which the shaft for supporting the roller of the cam driven lever is inserted, and a hook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edge side of the shutter sid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manual handle insertion hole for inserting the manual handle into the operation shaft. The lock hook may be provided to rotate by opening and closing the shutter and to enter and exit the hook locking groove of the lock lever.
실시예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조작기의 전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측면도, (b)는 평면도, (c)는 정면도이다. 조작기(1)의 출력축(2)의 일단에는 개폐기(도시생략)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롯드(도시생략)에 연결되는 연결레버(3)가 설치되고, 출력축 (2)은, 자동인 경우 모터(4)에 의해, 수동인 경우에는 케이스(1a)의 바깥에서 수동핸들(5)로 회전시키는 조작축(6)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이상의 구조는 종래의 조작기의 구조와 바뀐 점은 없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whole of the manipulator of this invention is shown, (a) is a side view, (b) is a top view, (c) is a front view. One end of the
도 2는 본 발명의 조작기의 캠판 주변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출력축(2)에는 연결레버와 반대측에 캠판(7)이 설치되고, 캠판은 출력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한다. 캠판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간격을 두고서 개폐기의「넣기」-「끊기」-「접지」의 각 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에 오목부(7a), (7b), (7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판(7)의 표면에는 개폐기의「넣기」-「끊기」-「접 지」의 각 위치에 상당하는 부분에서 마이크로 스위치(8a), (8b), (8c), (8d)와 맞닿는 핀(9a), (9b)이 설치되어 있다.Fig. 2 shows the periphery of the cam plate of the manipu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and (b) is a side view. On the
출력축(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단이 회동자유자재로 장착된 캠 종동 레버(10)가 스프링(11)에 의해 캠판(7)측으로 힘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캠 종동레버(10)의 거의 중앙에는 캠판(7)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르는 롤러(12)가 설치되고, 캠종동 레버(10)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회동 가능한 유지래치(14)의 하부 오목부(14a)에 걸어맞춤 또는 이탈하는 록크용 롤러(13)가 설치되어 있다.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유지래치(14)는 그 오목부(14a)가 록크용 롤러(13)에 맞닿도록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한, 롤러(12)가 캠판(7)의 오목부(7a)∼(7c)에 있는 것을 검지하는 마이크로 스위치(13a)가 설치되어 있다.The
도 3은 유지래치의 기계록크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유지래치(14)에는, 그 상부를 이동시키는 록크 해제부재(15)가 걸어 맞춰지고, 록크 해제부재(15)는 록크 레버(16)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록크 레버 (16)의 수평이동에 의해 회동하며, 유지래치(14)의 오목부(14a)가 록크용 롤러(13)로부터 벗어나서 기계적 록크가 해제되어, 캠판(7)의 회전에 의해 캠종동 레버(10)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 록크 해제부재(15) 및 록크 레버(16)는 밀어 당긴 후에, 리턴스프링(15a)의 작용으로 중립위치로 되돌아간다.Fig. 3 shows the mechanical lock of the retaining latch, wherein (a) is a plan view and (b) is a side view. The
또한, 유지래치(14)의 상부를 밀어서 기계 록크를 해제하기 위해서, 마그네트(17)로 구동되는 푸셔롯드(17a)가 배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록크 레버(16)의 단부는 L형의 걸쇠걸림부(16a)에 형성되고,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형부에 걸쇠(16b)를 걸어서, 필요에 따라 자물쇠(도 1의 16c)로 채워서 잠그도록 되어있다.The end of the
도 4는 핸들의 빼고 넣기를 규제하는 기구의 설명도이고, 수동핸들(5)의 빼고 넣기를 규제하는 기구로서, 수동핸들(5)의 원통축부(5a)의 원주에 걸림홈(5b)을 형성하고, 선단에 테이퍼부(5c)를 형성한다. 수동핸들(5)의 걸림홈(5b)에 걸림 또는 이탈하기 위해 상하 이동하는 후크(18a)는, 후크 상하이동용 레버(18)의 선단에 설치되고, 후크 상하이동용 레버(18)는, 장공(18b)에서 축(18c)에 축지지되어, 캠 종동레버(10)의 중앙부 롤러(12)의 상하 이동에 의해 회동한다.FIG. 4 is an explanatory view of a mechanism for regulating the removal of the handle, and a mechanism for regulating the removal of the
후크 상하이동용 레버(18)는 리턴스프링(19)으로 축(18c)쪽에 힘이 가해지고, 롤러(12)가 캠판(7)의 오목부(7b)에 있을 때는 후크(18a)의 하단이 수동핸들 (5)의 걸림홈(5b)보다 위에 있기 때문에, 핸들(5)의 빼고 넣기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한 롤러(12)가 캠판(7)의 외주부(外周部)에 있을 때는 후크(18a)의 하단이 수동핸들(5)의 걸림홈(5b)에 걸리게 되어 수동핸들(5)를 뽑아낼 수 없다. 또, 후크(18a)의 하단 외측에는 테이퍼부(18e)가 형성되어, 후크(18a)가 수동핸들(5)의 걸림홈(5b)보다 아래의 위치에 있을지라도, 수동핸들(5)의 테이퍼부(5c)를 강하게 밀어 넣으면, 후크 상하이동용 레버(18)가 리턴스프링(19)의 힘을 이기고 상승하여, 수동핸들(5)를 끼워 넣을 수 있다.The
장치 케이스(1a)의 수동핸들 삽입구멍(6a)에는 셔터(2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셔터(20)의 하부에는 마그네트(21)에 의해 전진 후퇴하는 스토퍼 롯드(21a)가 출입하는 구멍(20a)이 형성되어 있다.
The
다음에 본 발명의 개폐기용 조작기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operation | movement of the actuator for switchgear of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1) 전동조작(1) Electric operation
「끊기」위치에서 「넣기」위치로 조작하는 경우When operating from the "hang" position to the "insert" position
도 2에 있어서, 캠판(7) 중앙의「끊기」위치의 오목부(7b)에 캠종동 레버(10)의 롤러(12)가 들어가 있고, 이 상태는 마이크로 스위치(13a)로 검출되어 마그네트(17)의 여자(勵磁)가 가능하며, 유지래치(14)의 오목부(14a)에 록크용 롤러(13)가 걸리게 되어 잠겨진 상태로 되어있다.In FIG. 2, the
이 잠겨진 상태에서,「넣기」를 명령하면, 마그네트(17)에 의해 롯드(17a)가 유지래치(14)를 밀어서 유지래치(14)의 오목부(14a)로부터 록크용 롤러(13)가 빠져나와 잠금이 해제되고, 이어서 모터(도 1의 4)가 회전한다. In this locked state, when the "insertion" command is made, the
모터(4)의 회전에 의해 출력축(2)에 고정된 캠판(7)이 회전하고, 캠판(7)의 회전에 따라서 캠 종동레버(10)에 설치된 롤러(12)가 캠판(7)의 「끊기」위치의 오목부(7b)로부터 밀어 올려져 마이크로 스위치(13a)가 작동해서 마그네트(17)의 여자를 해제하고 유지래치(14)는 다음의 잠금이 가능하도록 대기한다. 다시, 캠판(7)이 회전하면 롤러(12)는「넣기」위치의 오목부(7a)로 들어간다. 이 때 핀(9a)의 위치를 마이크로 스위치(8d)가 검출해서 모터(4)가 정지함과 동시에, 유지래치(14)의 오목부(14a)에 록크용 롤러(13)가 걸리게되어 잠금 상태가 된다. The
또한, 마이크로 스위치(13a)는 오목부(7a)와 롤러(12)의 걸어맞춤을 검출해 마그네트(17)의 여자를 가능하게 해서, 다음 동작을 위해 대기한다.In addition, the
「끊기」에서「접지」로 조작하는 경우도, 상기와 같은 동작이며, 「접지」 명령에 의해 유지래치(14)가 롯드(17a)로 밀려서 유지래치(14)의 오목부(14a)로부터 록크용 롤러(13)가 빠져나와 잠금이 해제된다. 캠판(7)의 회전에 따라서, 캠종동 레버(10)에 설치된 롤러(12)가 캠판(7)의「끊기」위치의 오목부(7b)로부터 밀어 올려져서,「접지」위치의 오목부(7c)로 들어가고, 모터(4)는 정지한다. 그리고, 유지래치(14)의 오목부(14a)에 록크용 롤러(13)가 걸리게 되어 잠겨진 상태가 된다.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operating from "break" to "ground", and the retaining
「넣기」,「끊기」,「접지」의 반대 조작은, 모터를 역회전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The opposite operation of "insertion", "break" and "ground" can be performed by rotating the motor in reverse.
이상과 같이,「넣기」,「끊기」,또는「접지」의 각 위치에서 잠김으로, 예를 들면「넣기」위치에서「끊기」위치를 건너 뛰어「접지」위치로 조작될 우려가 없다.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risk of being operated at the "ground" position by jumping from the "insertion" position to the "ground" position, for example, by locking at each position of "put", "hang", or "ground".
또한, 도 1,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넣기」,「끊기」또는「접지」의 각 위치에서 록크 레버(16)를 빼내고 걸쇠(16b)를 걸어 잠금으로써, 소정위치에서의 잠금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또한, 전동동작 도중에, 만일 정전, 스위치 문제, 그 밖의 조작불능이 된 경우, 수동조작 조건을 정리한 후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20)의 구멍으로부터 스토퍼 롯드(21a)를 떼어 내고, 셔터(20)를 열어서 수동핸들(5)의 테이퍼부 (5c)를 강하게 밀어 넣고, 후크 상하이동용 레버(18)가 리턴스프링(19)의 힘을 이기고 상승하여, 수동핸들(5)을 조작축(6)으로 밀어 넣는 것이 가능하고, 수동으로 조작축(6)을 회전시켜서 조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vent of a power failure, a switch problem, or other inoperability, after the manual operation conditions are summarized, as shown in Fig. 4, the
(2) 수동조작 (2) Manual operation
상술하지 않은 회로에 의해 수동조작 조건이 가능하게 되면, 마그네트(21)가 작용되어 셔터(20)의 삽입공(20a)으로부터 스토퍼 롯드(21a)가 빠져 나와, 셔터 개방이 가능해진다. 셔터(20)를 열고 수동핸들(5)을 조작축(6)으로 밀어 넣는다.「끊기」,「넣기」또는「접지」위치로 잠기어 있을 때, 후크 상하이동용 레버(18) 선단의 후크(18a)는 수동핸들(5)의 걸림홈(5b)보다 상부 위치에 있으므로, 수동핸들(5)의 밀어 넣기가 저지되는 일없이, 용이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When the manual operation condition is enabled by the circuit which is not mentioned above, the
캠판(7)의「끊기」위치의 오목부(7b)에 롤러가 들어가 있을 경우, 유지래치(14)의 오목부(14a)에 록크용 롤러(13)가 걸리게 되어 잠겨진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자물쇠(16c)를 풀고, 걸쇠(16b)를 벗겨서 록크 레버(16)를 누르면, 유지래치(14)가 회전하여 록크용 롤러(13)와의 걸림이 풀려 잠금이 해제된다.When the roller enters into the recessed
이어서 수동핸들(5)을 회전시키면 조작축(6)의 회전에 의해 출력축(2)에 고정된 캠판(7)이 회전하고, 캠판(7)의 회전에 따라서 캠종동 레버(10)에 설치된 롤러(12)가 캠판(7)의「끊기」위치의 오목부(7b)로부터 밀어 올려져서,「넣기」위치의 오목부(7a)로 들어간다. 롤러(12)가 캠판의「끊기」위치의 오목부(7a)로 들어가면, 유지래치(14)의 오목부(14a)에 록크용 롤러(13)가 걸리게 되어 잠겨진 상태가 된다.Subsequently, when the
한편, 수동핸들이 회전되고 있으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판(7)의 회전에 따라서 캠종동 레버(10)에 설치된 롤러(12)가 캠판(7)의「끊기」위치의 오목부(7b)로부터 밀어 올려져, 후크 상하이동용 레버(18)의 선단 후크(18a)는 수동핸 들(5)의 걸림홈(5b)으로 들어가며, 이 상태에서는 수동핸들(5)을 빼낼 수는 없다. 더욱 캠판(7)을 회전시켜서, 롤러(12)가 캠판(7)의「넣기」위치의 오목부(7a)로 들어가면, 후크(18a)는 수동핸들(5)의 걸림홈(5b)으로부터 빠져나와, 수동핸들(5)을 빼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manual handle is being rotated, as shown in Fig. 4, the
롤러(12)가 캠판(7)의「넣기」위치의 오목부(7a)로 들어가면, 유지래치(14)의 오목부(14a)에 록크용 롤러(13)가 걸리게 되어 잠겨진 상태가 되고, 회전이 저지된다.When the
「끊기」에서「접지」로 조작하는 경우도, 상기와 같은 동작이며, 록크 레버(16)를 누르고, 유지래치(14)의 오목부(14a)로부터 록크용 롤러(13)를 때어내어서 잠금이 해제되고, 수동핸들(5)에 의한 캠판(7)의 회전에 따라서, 캠종동 레버(10)에 설치된 롤러(12)가 캠판(7)의「끊기」위치의 오목부(7b)로부터 밀어 올려져서,「접지」위치의 오목부(7c)로 들어가며, 유지래치(14)의 오목부(14a)에 록크용 롤러(13)가 걸리게 되어 잠겨진 상태가 되고, 회전이 저지된다. The operation described above is also performed in the case of "breaking" and "grounding". The
「접지」,「넣기」,「끊기」의 반대 조작은, 수동핸들(5)을 역회전시킴으로써 행해진다.The reverse operation of "grounding", "loading" and "breaking" is performed by rotating the
이상과 같이,「넣기」,「끊기」또는「접지」위치에서 잠궈지므로,「끊기」위치를 건너 뛰어 조작될 우려가 없다. 또한,「넣기」,「끊기」또는「접지」의 각 위치에서 록크 레버를 뽑아내어 걸쇠를 걸어 잠금으로써, 위치를 잠글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locked at the "insert", "break" or "ground" position, there is no fear of operating by skipping the "break" position. In addition, the position can be locked by extracting the lock lever at each of the positions of "insertion", "break" or "ground", and locking the latch.
실시예 2Example 2
본 실시예는, 수동핸들(5)에 의한 오동작을 확실하게 막기 위해, 하나의 절 환 조작(예를 들면, 끊기에서 넣기)이 종료된 후, 수동핸들(5)을 일단 빼내지 않으면 다음 조작으로 진행하지 않는 구조로 한 것이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reliably prevent a malfunction by the
도 5는 본 발명의 록크 레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도 6은 동 정면도이고, 실시예 1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과 같이, 유지래치(14)에는 그 상부를 이동시키는 록크 해제부재(15)가 걸어맞춤되고, 록크 해제부재(15)는, 록크 레버(16)에 회동 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록크 레버(16)의 수평이동에 의해 회동하고, 또 리턴스프링(15a)의 작용에 의해 중립위치로 돌아간다.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lock lev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plan view, (b) is a side view, Figure 6 is a front view,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member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ption is omit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retaining
록크 레버(16)에는 캠종동 레버(10)에 롤러(12)를 축지지시키는 축(12a)이 장공(16d)에 삽입되어 있고, 캠판(7)의 회전에 의해 캠종동 레버(10)가 상하로 움직이며, 롤러(12)가 상하로 움직이고, 이 상하 이동에 의해 록크 레버(16)는 록크 해제부재(15)를 회동시킨다.In the
또한, 록크 레버(16)에는, 셔터(20)측의 아래 가장자리 측에 걸고리 걸림홈(16e) 및 걸림홈(16f)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셔터(20)에는, 역L자형의 록크 걸고리(20b)가 접속되어 있다. 셔터(20)를 개폐시킴으로써, 록크 걸고리(20b)는 회동해서 록크 레버(16)의 걸고리 걸림홈(16e) 또는 걸림홈(16f)으로 출입해서, 록크 레버(16)의 수평이동을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한다. An inverted L-shaped
또한, 록크 레버(16)의 단부는 L형의 걸쇠 걸림홈(16a)으로 형성되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형 부분에 걸쇠(16b)를 걸고, 필요에 따라 자물쇠(16c(도 1))로 채워 잠그도록 되어있다. In addition, the end of the
본 실시예의 조작에 대해서, 도 5(b) 및 도 7의 조작설명도에 의해 끊기로부터 넣기로 절환하는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switching from breaking to inserting by the operation explanatory diagrams of Figs. 5 (b) and 7.
도 5(b)에 있어서, 셔터(20)는, 수동핸들 삽입구멍(20a)을 막고 있고, 이 상태에서는 록크 걸고리(20b)가 록크 레버(16)의 걸고리 걸림홈(16e) 및 걸림홈(16f)으로부터 빠져나와 있기 때문에, 록크 레버(16)의 밀고 당김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또, 유지래치(14)는 잠겨진 상태로 있다.In Fig. 5 (b), the
다음에,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환 조작을 위해, 록크 레버(16)를 누르면, 유지래치(14)가 회전되어 록크용 롤러(13)와의 걸림이 풀어져 잠금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셔터(20)를 열면, 록크 걸고리(20b)는 록크 레버(16)의 걸고리 걸림홈(16e)에 걸린다.Next, as shown in Fig. 7A, when the
그 후, 수동핸들(5)을 끼워 넣고 조작축(6)을 회전시키면 캠판(7)이 회전하고, 캠판(7)의 회전에 따라서 캠종동 레버(10)에 설치된 롤러(12)가 캠판(7)의「끊기」위치의 오목부(7b)로부터 밀어 올려지며, 더욱 캠판(7)이 회전하면 롤러(12)는「넣기」위치의 오목부(7a)로 들어간다. 이 동작 시에, 도 7(a)의 2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12)의 축(12a)에 의해 록크 레버(16)가 밀어 올려져서, 걸고리 걸림홈(16e)은 록크 걸고리(20b)로부터 빠져나오고, 록크 레버(16)는 리턴스프링(15a)의 작용에 의해 셔터(20)측으로 이동한다. Thereafter, when the
롤러(12)가「넣기」위치의 오목부(7a)로 들어가면,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고리 걸림홈(16f)이 록크 걸고리(20b)에 들어가기 때문에, 록크 레버(16) 를 움직일 수 없다.When the
그리고, 다음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수동핸들(5)을 뽑아내어, 도 5(b)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셔터(20)를 닫고 록크 걸고리(20b)를 걸고리 걸림홈(16f)으로부터 빼낸 다음, 록크 레버(16)를 밀어 넣고, 도 7(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상기 조작을 반복해서, 수동핸들(5)에 의해 캠판(7)을 회전시켜서 절환한다.When the next operation is performed, the
본 실시예에 의하면, 수동핸들(5)을 빼지 않는 한, 다음의 절환동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음 조작을 건너뛰는 오동작을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next switching operation is impossible unless the
또한,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넣기」,「끊기」또는「접지」의 각 위치에서 록크 레버(16)를 뽑아내어 걸쇠(16b)를 걸어 잠금과 동시에, 록크 레버(16)에 의해 록크 걸고리(20b)의 움직임이 저지되어 셔터(20)를 열 수 없기 때문에, 소정위치에서의 잠금을 더욱 확실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C, the
본 발명에 의하면 캠 기구에 의한 기계적 록크가 행해지하므로, 다음 조작을 건너뛰는 오동작을 저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chanical lock by the cam mechanism is performed, a malfunction that skips the next oper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인 경우, 완전히「넣기」,「끊기」또는「접지」위치로 되지 않으면 수동핸들을 뽑아내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확실한 조작을 행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nual handle cannot be pulled out unless it is in the "insertion", "hang", or "ground" position completely, the operation can be reliably performed.
Claims (3)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1207020A JP4891495B2 (en) | 2001-07-06 | 2001-07-06 | Actuator for switch |
JPJP-P-2001-00207020 | 2001-07-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04983A KR20030004983A (en) | 2003-01-15 |
KR100788434B1 true KR100788434B1 (en) | 2007-12-24 |
Family
ID=1904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68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8434B1 (en) | 2001-07-06 | 2002-02-06 | Handling device for a switch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891495B2 (en) |
KR (1) | KR100788434B1 (en) |
CN (1) | CN1259682C (en) |
TW (1) | TW518625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2754B1 (en) * | 2002-10-21 | 2005-06-07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Manipulation contact device for switch |
KR100740996B1 (en) | 2005-06-16 | 2007-07-19 | 하이테콤시스템(주) | automatic recovery device for earth leakage breaker |
KR100817533B1 (en) | 2007-01-02 | 2008-03-27 | 임중우 | Automatic lever rotating device of earth leakage breaker |
KR100832331B1 (en) | 2007-05-04 | 2008-05-26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Power train of high voltage load switch |
KR100905525B1 (en) | 2007-08-03 | 2009-07-01 | 주식회사 비엠일렉텍 | Automatic tap-changing cam contactor against commercial voltage fluctuations and charger |
JP5367594B2 (en) | 2010-01-13 | 2013-12-11 | 株式会社東芝 | Switch operating device |
KR101060872B1 (en) | 2010-06-07 | 2011-08-31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Power train of high voltage load switch |
EP2728600B1 (en) * | 2012-10-31 | 2018-02-21 | ABB Schweiz AG | Switch assembly for a medium or high voltage switchgear, comprising a three-position switch |
CN104952665B (en) * | 2015-05-20 | 2017-10-24 | 保定通力电器设备有限公司 | One kind radiating outdoor vacuum circuit breaker |
CN108352269B (en) * | 2015-11-09 | 2019-11-22 | 三菱电机株式会社 | Operat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
CN106655503B (en) * | 2016-11-24 | 2023-08-15 | 国网浙江省电力公司温州供电公司 | Bluetooth function switch on post that opens and shuts |
WO2020258042A1 (en) * | 2019-06-25 | 2020-12-30 | Abb Schweiz Ag | Motor operator for circuit break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otor operator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4762A (en) * | 1991-08-26 | 1993-03-05 | Toshiba Corp | Breaker |
JPH08293231A (en) * | 1995-04-24 | 1996-11-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Operating mechanism for switch |
KR20000042114A (en) * | 1998-12-24 | 2000-07-15 | 이종수 | Contact operator of a ring main unit for an electric power equipment |
JP2000208004A (en) * | 1999-01-12 | 2000-07-28 | Takaoka Electric Mfg Co Ltd | Mechanical locking mechanism of switchgear operating device |
JP2000228136A (en) * | 1999-02-04 | 2000-08-15 | Takaoka Electric Mfg Co Ltd | Mechanical locking mechanism of switchgear operating device |
KR20040034227A (en) * | 2002-10-21 | 2004-04-28 | 엘지산전 주식회사 | Manipulation contact device for switch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46945A (en) * | 1986-08-08 | 1988-06-18 | Kao Corp | Antisliding sheet |
JPH0334011Y2 (en) * | 1987-03-18 | 1991-07-18 | ||
JPH0581970A (en) * | 1991-05-21 | 1993-04-02 | Mitsubishi Electric Corp | Disconnector operating mechanism |
JP3738490B2 (en) * | 1996-08-01 | 2006-01-25 | 株式会社明電舎 | Switchgear |
-
2001
- 2001-07-06 JP JP2001207020A patent/JP4891495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
- 2002-01-15 TW TW091100492A patent/TW518625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2-02-06 KR KR1020020006833A patent/KR10078843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2-06-14 CN CNB021225354A patent/CN1259682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4762A (en) * | 1991-08-26 | 1993-03-05 | Toshiba Corp | Breaker |
JPH08293231A (en) * | 1995-04-24 | 1996-11-05 | Mitsubishi Electric Corp | Operating mechanism for switch |
KR20000042114A (en) * | 1998-12-24 | 2000-07-15 | 이종수 | Contact operator of a ring main unit for an electric power equipment |
JP2000208004A (en) * | 1999-01-12 | 2000-07-28 | Takaoka Electric Mfg Co Ltd | Mechanical locking mechanism of switchgear operating device |
JP2000228136A (en) * | 1999-02-04 | 2000-08-15 | Takaoka Electric Mfg Co Ltd | Mechanical locking mechanism of switchgear operating device |
KR20040034227A (en) * | 2002-10-21 | 2004-04-28 | 엘지산전 주식회사 | Manipulation contact device for switc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59682C (en) | 2006-06-14 |
TW518625B (en) | 2003-01-21 |
CN1396612A (en) | 2003-02-12 |
JP4891495B2 (en) | 2012-03-07 |
JP2003022735A (en) | 2003-01-24 |
KR20030004983A (en) | 2003-01-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8434B1 (en) | Handling device for a switch | |
KR100577889B1 (en) | Switchgear device with device to control discharge and disconnection of energy storage device during extraction of plug-in circuit breaker | |
JP5337564B2 (en) | Circuit breaker with locking mechanism | |
US6184483B1 (en) | Plug-in circuit breaker comprising an operating lever for opening and closing of poles | |
EP0450699A2 (en) | Enabling means for locking, by a padlock, hand control devices of electromechanical equipments | |
JP4659934B2 (en) | Reversible plug-in and cutting mechanism and locking device thereof | |
JPH06203734A (en) | Drawing-out type low-voltage breaker | |
JP4586304B2 (en) | Locking device for drawer type electrical equipment unit | |
JP2008092669A (en) | Locking device for drawer type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 |
US7064283B2 (en) | Device for fixing a power circuit breaker in an insertion rack | |
US7605335B2 (en) | Position switch | |
US6207909B1 (en) | Latching handle mechanism for securing a module | |
JP3738490B2 (en) | Switchgear | |
KR200476959Y1 (en) | 3-Position Interlock Mechanism for Vacuum CircuitBreaker | |
AU2004201557A1 (en) | Locking device of a plug-in electrical apparatus and switchgear apparatus comprising such a device | |
CN101026056A (en) | Breaker and breaker iron core retaining device | |
JP4155172B2 (en) | Circuit breaker interlocking breaking mechanism | |
US7129430B2 (en) | Low-voltage circuit breaker | |
CN211081279U (en) | Handle structure and sliding door | |
KR0149654B1 (en) | Auto open-close device of magnetic lifter | |
CN217239998U (en) | Switch cabinet | |
KR900000763Y1 (en) | Opening / closing operation mechanism of automatic switchgear of breakdown section of distribution line | |
CN115158871B (en) | Container | |
CN218182084U (en) | Switch electric appliance | |
JPH087717A (en) | Operating mechanism of switchgea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20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1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0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1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7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