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유닛 및 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 및 수평프레임(2)(3)들과, 상기 수직 및 수평프레임(2)(3)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유닛(10)들과 수직방향 프 레임의 상하단에 결합되는 지지유닛(30)을 포함하는 구성의 조립식 구조물(1)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연결유닛(10)은 사용 위치 및 용도 등에 따라 수직 및 수평프레임(2)(3)을 다양하게 연결하는 것으로서, 1)수직프레임(2)에 2개의 수평프레임(3)을 직각방향으로 연결하는 것, 2)수직프레임(2)에 2개 혹은 3개의 수평프레임(3)을 직각방향으로 연결하는 것, 3)수직프레임(2)에 2개의 수평프레임(3)을 평형하게 연결하는 것, 4) 수직 및 수평프레임(2)(3)의 절단 없이 플레이트(40) 등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 등 다양한 구성의 것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연결유닛(10)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는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수직프레임(2)에 2개의 수평프레임(3)을 직각방향으로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프레임 직경에 부합하는 홈(12)(12')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전후측에 테이퍼 나사부(13)(13')와 패킹(4)이 결합되는 요철형 프레임고정구(14)(14')가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유닛부재(11)(11')를 마주보게 배치하고, 양측 유닛부재(11)(11')는 프레임고정구(14)(14')가 형성된 측에 핀공을 형성하여 홈(12)(12') 중심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핀(15)으로 상호 결합하고, 프레임고정구(14)(14')의 내측에는 핀공 쪽에서 바깥쪽으로 점차 넓어지는 경사면(14a)을 형성하여 유닛부재(11)(11')가 핀(15)을 중심으로 테이퍼 나사부(13)(13') 쪽이 개방되게 하며, 테이퍼 나사부(13)(13')에는 2개의 유닛부재(11)(11')를 고정하는 너트(16)를 결합한 구성이다.
연결유닛(10)의 제 2실시예로는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수직프레임(2)에 2개 혹은 3개의 수평프레임(3)을 직각방향으로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프레임 직경에 부합하는 홈(12)(12')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전후측에 테이퍼 나사부(13)(13')와 패킹(4)이 결합되는 요철형 프레임고정구(14)(14')가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유닛부재(11)(11')를 마주보게 배치하고, 양측 유닛부재(11)(11')는 프레임고정구(14)(14')가 형성된 측에 핀공을 형성하여 홈(12)(12') 중심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핀(15)으로 상호 결합하고, 프레임고정구(14)(14')의 내측에는 핀공 쪽에서 바깥쪽으로 점차 넓어지는 경사면(14a)을 형성하여 유닛부재(11)(11')가 핀(15)을 중심으로 테이퍼 나사부(13)(13') 쪽이 개방되게 하며, 테이퍼 나사부(13)(13')에는 2개의 유닛부재(11)(11')를 고정하는 너트(16)를 결합한다. 유닛부재(11)(11')의 측면에는 테이퍼 나사부(13)(13') 및 프레임고정구(14)(14')와 직각되게 중심에 나사공(17a)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17)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결합구(17)에는 끼움된 상태에서 볼트(18)로 고정되며 전방으로 결합공(19a)이 형성되고 결합공(19a)의 개구측에는 외측에 경사면(19c)이 형성된 가압편(19b)이 다수개 분할 형성된 나사봉(19)을 결합하고, 나사봉(19)에는 결합공(19a)에 끼워진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20)를 나사 결합하되, 고정부재(20)의 내측에는 상기 나사봉(19)의 가압편(19b)에 형성된 경사면(19c)과 대응하는 경사면(20a)을 형성한 구성이다. 상기 결합구(17)는 일측 또는 양측에 유닛부재(11)(11')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연결유닛(10)의 제 3실시예로는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 닛(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제 2실시예와 같이 수직프레임(2)에 2개 혹은 3개의 수평프레임(3)을 직각방향으로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프레임 직경에 부합하는 홈(12)(12')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전후측에 테이퍼 나사부(13)(13')와 패킹(4)이 결합되는 요철형 프레임고정구(14)(14')가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유닛부재(11)(11')를 마주보게 배치하여 테이퍼 나사부(13)(13') 쪽이 개방되게 핀(15)으로 상호 결합하고, 테이퍼 나사부(13)(13')에는 너트(16)를 결합하되,
유닛부재(11)(11')의 측면에는 테이퍼 나사부(13)(13') 및 프레임고정구(14)(14')와 직각되게 중심에 나사공(17a)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17)를 돌출 형성하며, 결합구(17)에는 프레임지지구(27)를 볼트(18)로 고정한다.
프레임지지구(27)에는 유닛부재(10) 측에 나사부(27a)를 형성하고 그 전방으로 테이퍼부(27b)를 형성하며, 테이퍼부(27b)에는 내측이 테이퍼부(27a)와 접하는 한 쌍의 고정쇠(28)를 안치하고, 걸림턱(29a)을 경계로 나사부(27a)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공(29b)과 프레임이 내입되는 결합구멍(29c)이 형성된 고정부재(29)를 결합한다.
상기 고정쇠(28)의 외부에는 고정부재(29)의 걸림턱(29a)에 대응되는 걸림돌기(28a)와 결합구멍(29c)으로 내입되는 프레임의 내면에 접하는 고정돌기(28b)가 호형으로 형성되며, 걸림돌기(28a)가 고정돌기(28b)의 직경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 구성이다.
연결유닛(10)의 제 4실시예로는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유 닛(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제 2실시예와 같이 수직프레임(2)에 2개 혹은 3개의 수평프레임(3)을 직각방향으로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프레임 직경에 부합하는 홈(12)(12')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전후측에 테이퍼 나사부(13)(13')와 패킹(4)이 결합되는 요철형 프레임고정구(14)(14')가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유닛부재(11)(11')를 마주보게 배치하여 테이퍼 나사부(13)(13') 쪽이 개방되게 핀(15)으로 상호 결합하고, 테이퍼 나사부(13)(13')에는 너트(16)를 결합하되,
상기 유닛부재(11)(11')의 측면에는 내부에 설치공간(23a)이 형성된 하우징(23)을 유닛부재(11)(11')와 일체로 형성하고, 하우징(23) 내부의 설치공간(23a)에는 홈(12)(12')과 동일한 직경의 호형접지면(24a)을 가지며 전방으로 테이퍼면(24b)이 형성된 원통형 가압구(24)를 내입하여 이동가능하게 하우징(23)에 볼트(25)로 결합하고, 가압구(24) 전방의 테이퍼면(24b)에는 하우징(23) 측방으로 형성된 작동공(23b)으로 출몰되도록 설치공간(23a)에 내입한 한 쌍의 고정부재(26)에 형성된 테이퍼면(26a)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면접촉되도록 한 구성이다. 상기 하우징(23)은 일측 또는 양측에 유닛부재(11)(11')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연결유닛(10)의 제 5실시예로는 도 11 내지 도 12와 같이 수직프레임(2)에 2개의 수평프레임(3)을 평형하게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프레임 직경에 부합하는 홈(12)(12')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전후측에 패킹(4)이 결합되는 프레임고정구(14)(14')가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유닛부재(11)(11') 중 일측 유닛부재(11')를 양분하고 양측 프레임고정구(14)(14')측에 핀공을 형성하여 홈(12)(12') 중심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핀(15)으로 상호 결합하고, 양분되는 일측 유닛부재(11')에는 프레임고정구(14)(14')와 직각방향으로 분할되는 테이퍼 나사부(13)(13')를 형성하여 너트(16)로 고정하되, 상기 프레임고정구(14)(14')의 내측에는 핀공 쪽에서 바깥쪽으로 점차 넓어지는 경사면(14a)을 형성하여 양분되는 유닛부재(11')가 핀(15)을 중심으로 테이퍼 나사부(13)(13') 쪽이 개방되게 한 구성이다.
연결유닛(10)의 제 6실시예로는 도 13 내지 도 14와 같이 조립식 구조물을 설치함에 있어서, 프레임의 절단 없이 플레이트(40) 등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는 프레임 직경에 부합하는 홈(12)(12')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전측에 테이퍼 나사부(13)(13')가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유닛부재(11)(11')를 마주보게 배치하고, 양측 유닛부재(11)(11')는 테이퍼 나사부(13)(13') 반대측에 형성된 핀공에 홈(12)(12') 중심과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핀(15)으로 상호 결합하고, 테이퍼 나사부(13)(13')에는 2개의 유닛부재(11)(11')를 고정하는 너트(16)를 결합하며, 상기 양측 유닛부재(11)(11')의 핀(16) 결합측에는 나사공(21)을 형성하고 나사공(21)에는 플레이트 결합홈(22a) 및 플레이트 결합홈(22a)에 내입되는 플레이트(40)를 고정하는 볼트너트가 결합되는 조립공(22b)이 형성된 플레이트 고정구(22)를 볼트(18)로 고정한 구성이다.
연결유닛(10)의 제 7실시예로는 도 15 내지 도 16과 같이 조립식 구조물(1)을 설치함에 있어서, 프레임의 절단 없이 플레이트(40) 등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프레임 직경에 부합하는 홈(12)(12')이 내측으로 형성되고 전후측에 테이퍼 나사부(13)(13')와 패킹(4)이 결합되는 요철형 프레임고정구(14)(14')가 돌출 형성한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은 연결유닛(10)에 형성된 요철형 프레임고정구(14)(14')에는 플레이트 결합홈(22a) 및 플레이트 결합홈(22a)에 내입되는 플레이트(40)를 고정하는 볼트너트가 결합되는 조립공(22b)이 형성된 플레이트 고정구(22)의 후방에 결합구멍(22c)을 끼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10)을 구성하는 유닛부재(11)(11')와 플레이트 고정구(22)의 외주에는 결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눈금자(5)를 부가 구성한다.
도 17 내지 도 19는 상기 각 실시예의 연결유닛(10)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테이퍼 나사부(13)(13')에 결합되는 너트(16)에 나사공(17a)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17)를 돌출 형성하고 이에 나사봉(19)을 볼트(18)로 고정하여 전방으로 프레임이 끼워지는 고정부재(20)를 체결하거나, 너트(16)에 나사공(21)을 형성하고 나사공(21)에는 플레이트(40)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구(22)를 볼트(23)로 고정하거나, 혹은 너트(16)의 중심에 나사공(36)을 형성하고, 이에는 지면과 접하는 접지판(37)에 형성된 볼트(38)를 나사 결합하여 후술할 지지유닛(30)과 같이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유닛(30)은 도 20 내지 도 21과 같이 전후측에 테이퍼 나사부(32)(32')와 패킹(4)이 결합되는 프레임고정구(33)(33')가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유닛부재(31)(31')를 마주보게 배치하고, 양측 유닛부재(31)(31')는 프레임고정 구(33)(33')가 형성된 측에 형성되는 핀공에 결합되는 핀(34)으로 상호 결합한다. 그리고 프레임고정구(33)(33')의 내측에는 핀공 쪽에서 바깥쪽으로 점차 넓어지는 경사면(33a)을 형성하여 유닛부재(31)(31')가 핀(34)을 중심으로 테이퍼 나사부(32)(32') 쪽이 개방되게 하며, 테이퍼 나사부(32)(32')에는 2개의 유닛부재(31)(31')를 고정하는 너트(35)를 결합하고, 너트(35)의 중심에는 나사공(36)을 형성하여 지면과 접하는 접지판(37)에 형성된 볼트(38)를 나사 결합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을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는 조립식 구조물(1)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된 조립식 구조물(1)을 건축코자 할 시에는 먼저 수직 및 수평프레임(2)(3)을 소망하는 길이로 절단한 상태에서 상기 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연결유닛(10)들을 이용하여 이웃하는 수직 및 수평프레임(2)(3)을 상호 연결하고, 수직프레임(2)의 하단(또는 상하단)에 지지유닛(30)을 결합하면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구조물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에서 각 실시예에 따른 연결유닛(10)등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의 연결유닛(10)으로 이웃하는 수직 및 수평프레임(2)(3)들을 연결코자 할 시에는 먼저 테이퍼 나사부(13)(13')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16)를 분리한 후 양측 유닛부재(11)(11')를 외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홈(12)(12')에 수직프레임(2)을 안치하고, 직각방향으로 연결코자 하는 수평프레임(3)을 유닛부재(11)(11')에 의해 회동되어 경사면(14a)이 접한 상태로 있는 요철형 프레임고정 구(14)(14')에 끼운 상태에서 양측 유닛부재(11)(11')를 내향 회동시킨 후 테이퍼 나사부(13)(13')에 너트(16)를 결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테이퍼 나사부(13)(13')에 너트(16)가 결합될 때 홈(12)(12')에 내입되는 수직프레임(2)은 양측 유닛부재(11)(11')의 홈(12)(12')과 긴밀한 면 접촉이 이루어져 고정되고, 패킹(4)이 결합되는 요철형 프레임고정구(14)(14')에 끼움된 수평프레임(3)은 유닛부재(11)(11')가 내향 회동됨에 따라 수평프레임(3)내면 측으로 회동하는 프레임고정구(14)(14') 및 이에 결합되어 있는 패킹(4)과 긴밀한 면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고정되는 것이다.
제2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연결유닛(10)의 경우 홈(12)(12')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2)과 직각되게 복수의 수평프레임(3)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1실시예의 연결유닛(10)과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유닛부재(11)(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17)에 나사봉(19)을 볼트(18)로 고정한 상태에서 나사봉(19)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19a)에 수평프레임(3)을 끼움한 후 고정부재(20)를 나사봉(19)에 체결하면 되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정부재(20)가 나사공(19)에 체결될 때 고정부재(20)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면(20a)이 나사봉(19)의 개구측에 형성되어 있는 가압편(19b)의 경사면(19c)과 접촉되면서 가압편(19b)을 가압하여 수평프레임(3)을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제3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연결유닛(10)의 경우 제 2실시예와 같이 홈(12)(12')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2)과 직각되게 복수의 수평프레임(3)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1실시예의 연결유닛(10)과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유닛부재(11)(11')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17)에 프레임지지구(27)를 볼트(18)로 고정한 상태에서 프레임지지구(27)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부(27b)에 고정쇠(28)를 안치한 후 프레임지지구(27)에 형성된 나사부(27a)에 고정부재(29)를 1차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29)를 결합하면 고정쇠(28)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8a)가 고정부재(29)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29a)에 걸림되는데 이때 수평프레임(3)을 고정부재(29)에 형성된 결합구멍(29c) 내측으로 결합한 후 고정부재(29)를 나사체결하면 고정쇠(28)가 테이퍼부(27b)의 표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고, 고정쇠(28)에 형성된 고정돌기(28b)가 수평프레임(3)의 내면에 밀착되면서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제 4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연결유닛의 경우 상기 제 2실시예와 같이 홈(12)(12')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2)과 직각되게 복수의 수평프레임(3)을 설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먼저 유닛부재(11)(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23)의 설치공간(23a) 상에 한 쌍의 고정부재(26)를 내입하여 하우징(23) 측방으로 형성된 작동공(23b)으로 출몰되게 한 상태에서 원통형 가압구(24)를 하우징(23)에 볼트(25)로 조립한 후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홈(12)(12')에 수직프레임(2)을 내입하고, 하우징(23)에 수평프레임(3)을 끼움한 상태에서 유닛부재(11)(11')에 형성되어 있는 테이퍼 나사부(13)(13')에 너트(16)를 조립하면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테이퍼 나사부(13)(13')에 너트(16)를 조립하여 수직프레임(2)을 고정할 때 하우징(23)에 결합되는 수평프레임(3)도 함께 견고 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즉, 양측 유닛부재(11)(11')가 너트(16)에 의해 수직프레임(2)측으로 가압되면 하우징(23)의 설치공간(23a)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가압구(24)가 설치공간(23a)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가압구(24)의 전방에 형성된 테이퍼면(24b)과 접하는 테이퍼면(26a)을 갖는 고정부재(26)가 수평프레임(3) 내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견고한 결합상태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제 5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연결유닛(10)의 경우 수직프레임(2)에 2개의 수평프레임(3)을 평형하게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이는 테이퍼 나사부(13)(13')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16)를 풀어 양분되는 일측 유닛부재(11)(11')를 양측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홈(12)(12')에 수직프레임(2)을 안치하고, 직각방향으로 연결코자 하는 2개의 수평프레임(3)을 양분되는 일측 유닛부재(11')에 의해 회동되어 경사면(14a)이 접한 상태로 있는 프레임고정구(14)(14')에 끼운 상태에서 외향 회동되어 있는 유닛부재(11')를 내향 회동시킨 후 테이퍼 나사부(13)(13')에 너트(16)를 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연결유닛(10)을 적용할 경우 조립식 구조물(1)을 설치한 상태에서 수직 및 수평프레임(2)(3)을 절단하지 않고도 플레이트(40)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6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연결유닛(10)의 설치는 상기 각 실시예와 같이 너트(16)를 분리한 상태에서 양측 유닛부재(11)(11')를 회동시켜 홈(12)(12')에 수직프레임(2)이 내입되게 한 상태에서 테이퍼 나사부(13)(13')에 너트(16)를 체결하여 고정한 다음 양측 유닛부재(11)(11')의 후측(테이퍼 나사부(13)(13')의 반대 측)에 형성된 나사공(21)을 이용하여 플레이트 결합홈(22a) 등이 형성된 플레이트 고정구(22)를 볼트(23)로 조립한 후 플레이트 결합홈(22a)에 플레이트(40)를 내입하여 조립공(22b)으로 볼트너트를 결합하여 플레이트(40)를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제 7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연결유닛(10)의 경우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이 먼저 테이퍼 나사부(13)(13')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16)를 분리한 후 양측 유닛부재(11)(11')를 외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홈(12)(12')에 수직프레임(2)을 안치하고, 플레이트 고정구(2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22c)을 유닛부재(11)(11')에 의해 회동되어 경사면(14a)이 접한 상태로 있는 요철형 프레임고정구(14)(14')에 끼운 상태에서 양측 유닛부재(11)(11')를 내향 회동시킨 후 테이퍼 나사부(13)(13')에 너트(16)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유닛부재(11)(11')와 플레이트 고정구(22)의 외주에는 표시되어 있는 눈금자(5)를 이용하여 플레이트 고정구(22)를 소망하는 각도로 회동하여 플레이트의 설치상태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지유닛(30)을 수직프레임(2) 하단에 결합코자 할 시에는 먼저 테이퍼 나사부(32)(32')에 결합되어 있는 너트(35)를 분리한 상태에서 양측 유닛부재(31)(31')를 외향 회동시킨 상태에서 경사면(33a)이 접한 상태로 있는 프레임고정구(33)(33')를 수직프레임(2)에 끼운 다음 양측 유닛부재(31)(31')를 내향 회동시킨 후 테이퍼 나사부(32)(32')에 너트(35)를 결합하면 프레임고정구(33)(33')에 끼움된 수직프레임(2)은 프레임내면 측으로 회동하는 프레임고정구(33)(33') 및 이에 결합되는 패킹(4)과 긴밀한 면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고정되는 바, 상기와 같이 수직프레임에 지지유닛(30)을 고정한 상태에서 너트(35)에 형성된 나사공(36)에 지 면과 접하는 접지판(37)에 형성된 볼트(38)를 나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7 내지 도 19와 같이 상기 각 연결유닛(10)의 테이퍼 나사부(13)(13')에 결합되는 너트(16)에 나사공(17a)이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17)를 돌출 형성하고 이에 나사봉(19)을 볼트(18)로 고정하여 전방으로 프레임이 끼워지는 고정부재(20)를 체결하거나, 너트(16)에 나사공(21)을 형성하고 나사공(21)에는 플레이트(40)를 고정하는 플레이트 고정구(22)를 볼트(23)로 고정하거나, 혹은 너트(16)의 중심에 나사공(36)을 형성하고, 이에는 지면과 접하는 접지판(37)에 형성된 볼트(38)를 나사 결합할 경우 연결유닛(10)의 활용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