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5388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388B1
KR100785388B1 KR1020060043397A KR20060043397A KR100785388B1 KR 100785388 B1 KR100785388 B1 KR 100785388B1 KR 1020060043397 A KR1020060043397 A KR 1020060043397A KR 20060043397 A KR20060043397 A KR 20060043397A KR 100785388 B1 KR100785388 B1 KR 100785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video data
video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3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70110651A (en
Inventor
임낙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388B1/en
Publication of KR20070110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6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38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카메라를 통한 동영상 촬영 시, 주변의 밝기 변화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에 자동으로 구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어, 별도의 조작 없이도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에 다수의 구간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구간별로 동영상 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재생 할 수 있어, 동영상 데이터의 내용검색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set a section in the video data according to a change in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when a video is captured through a camera,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A plurality of sections can be automatically set in the video data of the video data, and the video data can be selectively played for each set section, thereby making it easy to search the contents of the video data,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이동통신 단말기, 동영상, 카메라, 구간설정 Mobile terminal, video, camera, section setting

Description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operating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의 신호흐름이 도시된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flow of a camera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구간 설정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 3 is a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video section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메뉴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4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mer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메뉴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video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메뉴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video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메뉴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video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메뉴의 제 4 실시예가 도 시된 예시도,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a video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방법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video recor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방법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video recor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레벨설정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level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방법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video recor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방법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video playback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구간이동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oving a section during video playback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카메라 11: 렌즈10: camera 11: lens

12: 이미지센서 20: 영상처리부12: image sensor 20: image processing unit

30: 표시부 40: 제어부30: display unit 40: control unit

50: 입력부 60: 메모리50: input unit 60: memory

70: 통신모듈70: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변 밝기의 변화에 따라 촬영되는 동영상에 자동으로 구간을 설정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shooting function for automatically setting a section in a video photographed according to a change in ambient brightness.

최근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가 구비되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메모리에 저장하며, 앨범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equipped with a camera, so that an image or a video can be tak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captured image or video in the memory and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album or video playback function.

이동통신 단말기는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시간에 따라 영상이 화면에 출력되는데, 이때, 일정 속도로 빠른 재생이 가능하며, 일정시간 앞으로 또는 뒤로 재생위치를 변경하여 동영상을 재생 할 수 있다.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lays back the stored video data, the video is output on the screen according to time. At this time, the mobile terminal can play the video at a predetermined speed and change the playback position forward or backward for a predetermined tim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재생위치를 가변시킴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 기본 설정된 일정시간 단위로 재생 위치가 이동될 뿐, 임의의 시간으로 또는 특정 재생위치로의 즉시 이동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layback position is variable, the playback position is shifted by a predetermined time unit, which is basically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 is difficult to immediately move to a specific time or a specific playback position. There is this.

이동통신 단말기는 동영상의 재생중에 일정 시간 단위로 전후의 이동이 가능하기는 하나, 이동되는 시간의 단위가 적어 동영상 이동에 다수의 버튼 조작이 필요하다. Alth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move back and forth by a predetermined time unit while the video is being played, a plurality of button operations are required for moving the video since the unit of time to be moved is small.

특히 동영상의 크기가 크거나 동영상의 총 재생시간이 긴 경우에는, 동영상 을 전후로 이동하면서 특정 내용을 찾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조작의 편의성도 크게 저하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size of the video is large or the total playing time of the video is long, not only it takes much time to find a specific content while moving the video forward and backward, but also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동영상 촬영 중, 주변의 밝기 변화에 따라 동영상에 구간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하여 구간 설정이 용이하고, 설정된 구간별로 재생 가능하도록 하여 재생중의 동영상 내용 검색이 용이하고 구간별 선택적 재생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during video shooting, it is easy to set the section so that the video is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the playback is possible by the set se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ideo recording function that makes it easy to search video contents and selectively reproduces by sectio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동영상 데이터 촬영 시,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프레임 당 밝기값을 산출하고, 상기 밝기값의 변화에 따라 초당 프레임 수를 가변제어하는 영상처리부 및 촬영되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해 산출된 프레임 당 밝기값의 변화에 따라 구간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설정된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자동 설정된 구간별로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capturing video calculates a brightness value per frame from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camera when capturing video data and a camera, a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brightness value, per second. An image processor for controlling a variable number of frames and automatically setting a s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brightness value per frame calculated for the video data to be photographed, and controlling video data having at least one section set to be stored, and automatically setting the sec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ideo data to be played for each se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은 동영상 데이터 촬영 시,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프레임당 밝기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프레임당 밝기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자동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데이터 촬영 완료 시, 상기 동영상 데이터 및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설정된 구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구간별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ideo record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brightness value per frame from the input video signal, when the video data is captured, th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brightness value per frame Automatically setting a section in the video data, the step of storing the video data and the information on the section set in the video data when the video data is completed, and the step of playing the video data for each of the set s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의 신호흐름이 도시된 블록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ignal flow of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0)와, 카메라(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변환하여 동영상데이터를 생성하고,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프레임의 밝기값을 산출하여 카메라(10)의 노출을 제어하는 영상처리부(20)와,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밝기값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간별로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video data by converting a camera 10 for capturing an image or a video, and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camera 10, and inputs a video signal. The image processing unit 20 controls the exposure of the camera 10 by calculating the brightness value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ets a section in the video data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a controller 40 to enable it.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출력하는 표시부(30)와, 이동통신 단말기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50)와,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60)와,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70)을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a display unit 30 for outputting an image or a video captured by the camera 10, an input unit 50 for receiving a comman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the captured image or video data. It further comprises a memory 60, and a communication module 7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with the outside.

이하,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불필요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nnecessary configuration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표시부(3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 및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을 위한 메뉴 등이 구현되어 출력되며,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신호가 영상처리부(20)에 의해 변환되어 출력된다. The display unit 30 implements and outputs an operation stat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nu for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image signal captured by the camera 10 is converted and output by the image processing unit 20.

입력부(50)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되어, 버튼 조작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동작되도록 데이터를 입력한다. 또한, 입력부(50)는 카메라(10) 구동 및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를 저장/편집/삭제 하기위한 명령을 입력받고,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 영상 재생시 동영상의 구간 이동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The input unit 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uttons, and inputs data to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button operation. In addition, the input unit 50 receives a command for driving the camera 10 and storing / editing / deleting the captured video data, and receives a command for moving a section of the video when the stored image or the video is played.

여기서, 입력부(50)는 버튼 이외에, 조그버튼, 휠, 다이얼 등과 같이 조작에 따라 소정의 선택 및 데이터 입력이 가능한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o the buttons, the input unit 50 includes input means capable of predetermined selection and data input according to an operation such as a jog button, a wheel, a dial, and the like.

메모리(60)는 이동통신 단말기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제어데이터가 저장되며, 통신모듈(70)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된다. The memory 60 stores program / control data for driv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tores data transmitted /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70 and images or video data captured by the camera 10.

통신모듈(70)은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을 통해 음성통화 및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며, 외부로부터 컨텐츠 다운로드를 수행한다. 또한, 통신모듈(70)은 카메라(10)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 The communication module 70 enables voice communication and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rough data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nd downloads content from the outsid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70 transmits the image or video data captured by the camera 10 to the outside.

여기서, 카메라(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1)와, 렌즈(11)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12)를 포함한다. 이때, 이미지 센서(12)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i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 the camera 10 includes a lens 11 and an image sensor 12 that converts light incident through the lens 11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an image signal, as shown in FIG. 2. In this case, the image sensor 12 may b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CMOS), or the like, and is not limited thereto.

영상처리부(20)는 이미지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이미지 또는 동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The image processor 20 generates image or video data from an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sensor 11.

또한, 영상처리부(20)는 이미지 센서(11)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프레임간 밝기값을 산출하여 이미지 센서(12)의 노출을 제어한다. 이때, 영상처리부(20)는 프레임의 평균 밝기값을 산출하여, 프레임의 평균 밝기값에 따라 이미지 센서(12)의 초당 프레임 수를 가변 제어함으로써 노광시간을 조절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20 controls the exposure of the image sensor 12 by calculating an interframe brightness value of the image signal input from the image sensor 11.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or 20 calculates an average brightness value of the frame, and adjusts the exposure time by variably controlling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of the image sensor 12 according to the average brightness value of the frame.

이때,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미지 센서(11)로부터의 영상신호가 임시 저장되 는 버퍼(미도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not shown) in which the video signal from the image sensor 11 is temporarily stored.

제어부(40)는 영상처리부(20)로부터 생성되는 동영상 데이터가 표시부(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며, 입력부(50)의 키입력에 따라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촬영/정지/저장 등의 카메라(10)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40 outputs the video data generated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20 through the display unit 30, and captures / stops / stores an image or a video according to a key input of the input unit 50. To control the operation.

또한, 제어부(40)는 영상처리부(20)로부터 입력되는 프레임 간 밝기값의 변화에 따라 영상처리부(20)로부터 생성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하고, 촬영 완료시 구간정보를 포함하는 동영상 데이터가 메모리(60)에 저장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 sets a section to the video data generated by the image processor 20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brightness value between the frames input from the image processor 20, and when the shooting is completed, the video data including the section information is displayed. To be stored in the memory 60.

이때, 제어부(40)는 프레임 간 밝기값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변화량이 기 설정된 밝기 기준값 이상인 경우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한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40 calculates a change amount of the brightness value between the frames, and sets a section in the video data when the change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brightness reference value.

또한, 제어부(40)는 영상처리부(20)로부터 산출되는 밝기값에 따라 밝기 레벨을 설정하여, 설정된 밝기 레벨이 가변되는 경우,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이 자동 설정되도록 한다. 즉,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프레임별 밝기값이 소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그 범위에 해당되는 밝기 레벨을 설정하여, 프레임의 밝기 레벨이 이전 프레임의 밝기 레벨과 상이한 경우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40 sets the brightness level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calculated from the image processor 20, so that the section is automatically set in the video data when the brightness level is changed. That is, when a brightness value for each frame that is continuously input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range, a brightness level corresponding to the range may be set, and a section may be set in the video data when the brightness level of the frame is different from the brightness level of the previous frame.

또한, 제어부(40)는 밝기값에 따라 설정되는 밝기 레벨이 가변되더라도, 프레임 간 밝기값의 변화량이 밝기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 구간을 설정하지 않고, 밝기값의 변화량이 밝기 기준값 이상으로 변경된 경우에만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the brightness level set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is varied, the controller 40 does not set a section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brightness value between the frames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brightness reference value. Can be set.

여기서,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하는 또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Here, another embodiment of setting the section in the video data is as follows.

영상처리부(20)로부터 산출되는 밝기값에 따라 이미지센서(12)의 노광시간이 가변되게 되는데, 이때, 이미지 센서(12)의 초당 프레임 수를 가변시킴으로서 노광 시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The exposure time of the image sensor 12 is vari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calculated from the image processor 20. At this time, the exposure time can be adjusted by varying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of the image sensor 12.

여기서, 제어부(40)는 영상처리부(20)에 의해 이미지 센서(12)의 초당 프레임 수가 가변되면,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자동 설정 한다. Herein, when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of the image sensor 12 is changed by the image processor 20, the controller 40 automatically sets a section in the video data.

영상처리부(20)에 의해 제어되는 이미지 센서(12)의 초당 프레임 수, 즉 프레임 레이트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기준 프레임레이트 이상인 경우, 제어부(40)는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이 자동 설정되도록 한다.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that is, the amount of change in the frame rate, of the image sensor 12 controlled by the image processor 20 is calculated, and when the reference frame rate is higher than or equal to the controller 40, the controller 40 automatically sets a section in the video data.

또한, 설정 가능한 최대 프레임 레이트를 기준으로 프레임 레이트를 하나 이상의 범위로 구분하고, 현재의 프레임 레이트가 소정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범위의 프레임 레이트 레벨을 설정한다. 프레임 레이트 레벨이 가변되는 경우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이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The frame rate is divided into one or more ranges based on the maximum frame rate that can be set, and the frame rate level of the corresponding range is set when the current frame rate i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range. If the frame rate level is variable, the section may be set in the video data.

제어부(40)는 상기와 같이 산출되는 프레임 간의 밝기값 또는 그에 따라 가변되는 프레임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하여, 하나의 동영상에 하나 이상의 구간이 설정되도록 한다.The controller 40 sets a section in the video data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between the frames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or a change in the frame rate which is changed accordingly, so that at least one section is set in one video.

또한, 제어부(40)는 메모리(60)에 저장된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는 경우, 구간정보를 바탕으로 동영상 데이터가 구간별 재생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video data stored in the memory 60 is reproduced, the controller 40 enables the video data to be played for each section based on the section informa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구간 설정의 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video section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밝은 곳(A)에서 어두운 곳(B)으로 이동하는 경우, 예를들어, 외부에서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는 경우 주변의 밝기가 급격하게 변하게 되므로, 제어부(40)는 밝기값/프레임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제 2 지점(P2)의 영상 데이터에 구간이 자동 설정된다. As shown in Figure 3, when moving from a bright place (A) to a dark place (B), for example, when entering the underground parking lot from the outside, since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is rapidly changed, the control unit 40 The section is automatically set in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point P2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brightness value / frame rate.

또한, 지하주차장에서 외부로 나가는 경우 주변의 밝기가 변하는 지점에서 프레임 간 밝기값 및 이미지 센서의 프레임 레이트가 가변되므로, 제어부(40)는 밝기값 및 프레임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제 3 지점(P3)에 구간이 설정된다.In addition, since the inter-frame brightness value and the frame rate of the image sensor are changed at the point where the surrounding brightness changes when the vehicle is moved out of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controller 40 controls the third point P3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brightness value and the frame rate. The interval is set at.

동영상 촬영이 종료되는 시점(P6)까지 주변의 밝기 및 밝기에 따른 프레임 레이트의 변화에 따라 소정 위치(P4, P5)의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A section may be set in the moving picture data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s P4 and P5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frame rate according to the brightness and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until the end point P6 of the moving picture shooting.

여기서, 제어부(40)는 동영상 촬영 중 구간 설정 및 설정된 구간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메뉴를 구현한다. 이하, 설명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는 다수의 메뉴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로서 설정에 따라 변경가능하며,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 the control unit 40 implements a menu to enable the section setting and the edited section during video shooting. Hereinafter, the menu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be describe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 setting as an embodiment of a plurality of menu configurations, and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메뉴의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메뉴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amera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video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카메라 메뉴가 선택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기능에 따른 다수의 하위메뉴가 표시부(30)에 출력된다. When the camera menu is selected, as shown in FIG. 4, a plurality of submenus according to the camera function are output to the display unit 30.

여기서 도 4의 (a)와 같이, 카메라 기능에 대해, 정지된 이미지 촬영을 위한 사진촬영 메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재생이 가능한 앨범메뉴, 동영상 촬영을 위한 동영상메뉴, 앨범에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편집이 가능하도록 하는 편집메뉴 등이 제공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a) of FIG. 4, for the camera function, a photo shooting menu for capturing still images, an album menu capable of playing back a captured image or video, a video menu for video recording, an image or video stored in an album An editing menu and the like may be provided to enable editing.

이때, 표시부(30)의 하단에는 상기와 같은 다수의 메뉴 중 소정의 메뉴 선택 이 가능하도록 하는 선택키, 상위 메뉴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전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lower end of the display unit 30 may be provided with a selection key to enable the selection of a predetermined menu among the plurality of menus as described above, a previous key for enabling movement to a higher menu.

여기서, 동영상메뉴가 선택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메뉴에 대한 하위메뉴가 표시된다. Here, when the moving picture menu is selected, as shown in FIG. 4B, a submenu of the moving picture menu is displayed.

이때, 표시되는 메뉴는 동영상 촬영에 따른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메뉴로서, '1.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4의 (c)와 같이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해상도, 촬영속도, 밝기, 줌 설정이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displayed menu is a menu for setting according to video shooting, and the menu is' 1. When the 'Settings' menu is selected, the resolution, the shooting speed, the brightness, and the zoom setting of the video data to be photographed can be set as shown in (c) of FIG. 4.

도 4의 (b)의 '2. 고급설정' 메뉴는 도 4의 (d)와 같이, 촬영되는 동영상에 배경을 설정하거나, 특정 효과를 위한 필터 선택이 가능하며, 또한 색이나 밝기에 대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밸런스, 조도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4 (b) '2. Advanced setting 'menu, as shown in (d) of FIG. 4, it is possible to set the background to the video to be recorded, or to select a filter for a specific effect, and to select the balance and the illumination to adjust the color or brightness Do it.

특히, 동영상 촬영중에 동영상에 구간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간설정의 수동/자동 여부의 선택(K)이 가능하다.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elect (K) whether the section setting is manual or automatic so that the section is automatically set during the video recording.

여기서, 구간설정(K)이 '자동'으로 선택되는 경우에는, 동영상 촬영 중 밝기변화에 따라 구간이 자동 설정되게 된다. Here, when the section setting (K) is selected as 'automatic', the section is automatically set according to the brightness change during video recording.

한편, 도 4의 (b)에서 '3. 앨범' 메뉴가 선택되면, 도 4의 (e)와 같이 저장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재생이 가능하도록 메뉴가 출력된다. On the other hand, in Figure 4 (b) '3. When the album 'menu is selected, the menu is output to enable playback of the stored image or video as shown in FIG.

여기서, 저장된 모든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재생이 가능한 '전체사진' 메뉴, 정지 이미지 확인이 가능한 '일반사진' 메뉴, 동영상 재생이 가능한 '동영상사진' 메뉴, 특수한 이미지가 적용된 '스티커사진' 메뉴 등이 구현될 수 있다. Here, the 'All photos' menu for playing all stored images or videos, the 'General photos' menu for viewing still images, the 'Movie photos' menu for video playback, and the 'Sticker Photos' menu with special images are implemented. Can be.

이때, 도 4의 (b)의 앨범메뉴는 전술한 도 4의 (a)의 앨범메뉴와 동일한 메뉴를 호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album menu of FIG. 4B calls the same menu as the album menu of FIG. 4A.

전술한 도 4의 (e)에서 동영상메뉴가 선택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동영상이 표시부(30)에 출력된다.When the moving image menu is selected in FIG. 4E, the stored moving image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30 as shown in FIG. 5.

이때, 도 5의 (a)와 같이, 다수의 동영상데이터가 이미지목록(34)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동영상의 내용을 알 수 있도록 동영상의 일부 이미지가 출력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a) of FIG. 5, a plurality of video data may be displayed as the image list 34, and some images of the video are output so that the contents of the video can be known.

여기서, 이미지목록(34) 중 특정 동영상데이터가 선택되면, 이미지목록(34)의 하단에 선택된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정보가 정보란(35)에 출력된다. Here, when specific video data is selected from the image list 34, information about the video data selected at the bottom of the image list 34 is output in the information field 35.

정보란(35)에는 선택된 동영상데이터의 제목, 해상도, 촬영날짜, 동영상데이터의 크기 등의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field 35 may output information such as a title, a resolution, a shooting date, and a size of the video data of the selected video data.

표시부(30)의 하단에는 선택된 동영상데이터에 대한 세부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메뉴버튼(31), 현재 선택된 동영상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보기버튼(32), 상위메뉴 또는 이미지목록의 페이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전메뉴(33)가 표시된다.At the bottom of the display unit 30, a menu button 31 for enabling detailed settings for the selected video data, a view button 32 for playing the currently selected video data, a page for moving to a higher menu or an image list can be enabled. The previous menu 33 is displayed.

또한, 좌우 이동키/방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이전/다음의 이미지 목록이 출력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eft and right navigation keys / direction keys are input, the previous / next image list is output.

한편, 도 4의 (e)에서 동영상메뉴가 선택되면, 이미지 목록 이외에도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된 순서에 따라 하나의 동영상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video menu is selected in Figure 4 (e), in addition to the image list, as shown in Figure 5 (b), one video data can be displayed in the order of storage.

여기서, 하나의 화면에 하나의 동영상이 표시되며, 좌우 이동키/방향키가 입력에 따라 이전/다음의 동영상데이터가 표시되게 된다.Here, one video is displayed on one screen, and the previous / next video data is displayed according to input of the left and right moving keys and direction keys.

또는, 도 4의 (e)에서 동영상메뉴가 선택되면, 이미지 목록 및 하나의 동영상데이터 이외에도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데이터의 목록이 출력된다.Alternatively, when a moving image menu is selected in FIG. 4E, a list of moving image data is output as shown in FIG. 5C in addition to the image list and one moving image data.

동영상 데이터의 제목이 목록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선택에 따라 제목, 촬영날짜, 동영상데이터의 크기 등으로 목록이 정렬될 수 있다. The title of the video data may be output as a list, and the list may be sor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the date of shooting, the size of the video data, and the like.

여기서, 전술한 도 5의 (a) 및 (c)에서 특정 동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도 5의 (b)와 같이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가 출력된다. When specific video data is selected in FIGS. 5A and 5C, one video data is output as shown in FIG. 5B.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메뉴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메뉴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video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a video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하나의 동영상 데이터가 선택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동영상 데이터에 대해 세부설정 및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When one moving picture data is selected, as shown in FIG. 6, detailed setting and selection of the selected moving picture data are possible.

메뉴버튼(31)이 입력되는 경우, 현재 선택된 동영상에 대한 하위 메뉴(36)가 출력된다. 선택된 동영상데이터의 삭제/편집/정보보기/구간정보/목록 등의 선택이 가능하다. When the menu button 31 is input, the submenu 36 for the currently selected video is output. You can delete / edit / view information / segment information / list of the selected video data.

여기서, 구간정보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데이터에 설정된 구간정보가 출력된다. In this case, when section information is selected, section information set in the video data is output as shown in FIG. 7.

이때, 선택된 동영상데이터에 설정된 구간정보가 목록으로 표시되고, 다수의 구간 중 특정 구간이 선택되면, 선택된 구간부터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tion information set in the selected video data is displayed as a list, and if a specific section is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ections, the video may be played from the selected section.

편집메뉴 선택 시에는 구간정보의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각 구간의 이름을 변경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구간을 병합하거나, 하나의 구간을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 가능하게 된다.When selecting the edit menu, section information can be changed. Each section may be renamed, one or more sections may be merged, or one section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ections.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메뉴의 제 4 실시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8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fourth embodiment of a video menu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입력부(50)의 다수의 버튼에 대해 설정 변경이 가능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 8, setting change is possible for a plurality of buttons of the input unit 50.

즉, 상/하/좌/우의 방향키에 대해 각 버튼 입력시, 이전구간/다음구간으로 이동하거나, 이전동영상/다음동영상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버튼을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버튼에 대한 설정을 처음구간/마지막구간으로 이동 또는 빨리감기/되감기 기능으로 변경 가능하다.That is, when each button is input to the up / down / left / right direction keys, a button may be defined to move to the previous section / next section or to move to the previous video / next video. Here, the setting for each button can be changed to the first section / last section or to the fast forward / rewind function.

또한, 동영상 재생 중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거나 효과를 부여하고자하는 경우 메뉴 호출이 가능하도록 메뉴 버튼을 할당할 수 있으며, 동영상의 촬영/선택/일시정지/정지 등을 수행하기 위한 버튼을 할당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a user wants to perform a specific function or give an effect during video playback, a menu button can be assigned to call a menu, and a button for recording / selecting / pausing / stopping a video can be assigned.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방법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이때, 도 9는 동영상 촬영 중 구간설정방법이 도시된 것으로서 밝기값 또는 프레임 레이트의 변화량에 따라 구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video recor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FIG. 9 illustrates a method for setting a section during video recording and relates to a method for setting a s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brightness value or frame rate.

카메라가 구동되고(S200), 설정에 따라 동영상이 촬영된다(S205).The camera is driven (S200), and a video is captured according to the setting (S205).

동영상이 촬영되면, 카메라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이 이미지센서에 의해 전기적 영상신호로 변환되어 입력되고, 상기 영상신호가 변환되어 프레임 단위로 동영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When a moving image is captured, light incident through a camera lens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image signal by an image sensor and input, and the image signal is converted to generate moving image data in units of frames.

이때,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바탕으로 프레임 간의 밝기값이 산출되고, 상기 밝기값에 따라 이미지 센서의 노광시간이 가변되는데, 여기서 촬영되는 동영상의 초당 프레임 수, 즉 프레임레이트가 가변됨으로 노광시간이 제어된다(S210). At this time, the brightness value between the frames is calculated based on the input image signal, and the exposure time of the image sensor is vari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Here, the exposure time is controlled by changing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that is, the frame rate of the moving image. It becomes (S210).

상기와 같은 밝기값 및 프레임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해 프레임 간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변화량을 기준값과 비교한다(S215). 여기서, 밝기값의 변화량은 기준 밝기값과 비교하고, 프레임레이트의 변화량은 기준 프레임레이트와 비교하게 된다.The change amount between the frames is calculated for any one of the brightness value and the frame rate as described above, and the change amount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value (S215). Here, the change amount of the brightness value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brightness value, and the change amount of the frame rate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frame rate.

비교결과에 따라 밝기/프레임레이트의 변화량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동영상 데이터의 현재위치에 구간을 자동 설정한다(S220).If the amount of change in brightness / frame rat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value, the section is automatically set at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ideo data (S220).

여기서, 동영상 데이터의 구간 설정은 동영상 촬영 시작시간을 기준으로 현재 재생위치, 재생시간을 바탕으로 구간을 설정하게 되며, 구간설정데이터로서 저장된다. Here, the section setting of the video data is set based on the current playback position and the playback time on the basis of the video recording start time, and is stored as section setting data.

이때, 구간이 설정되는 위치에 대한 재생위치 또는 재생시간에 대한 정보를 별로로 추출하여 구간설정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으며, 또는 동영상 데이터의 해당 위치에 구간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에 구간설정정보를 삽입하여 구간설정 가능하다. In this case, the section setting data may be set by extracting information on a play position or a play time for each position where the section is set, or insert section information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video data. In addition, section setting may be performed by inserting section setting information into a header of the video data.

구간설정이 완료되거나, 밝기/프레임레이트의 변화량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에는 동영상이 지속적으로 촬영되도록 하고, 상기와 같은 동영상 촬영 및 구간설정을 반복 수행한다(S205 내지 S220).When the section setting is completed or the change amount of brightness / frame r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video is continuously photographed, and the video shooting and section setting as described above are repeatedly performed (S205 to S220).

동영상 촬영중에 촬영 종료 명령이 입력되면(S225), 촬영을 종료하고, 설정된 구간정보를 촬영된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한다(S230).If a shooting end command is input during the video shooting (S225), the shooting ends, and the set section information is stored together with the captured video data (S23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방법의 제 2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10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video recor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데이터 촬영 및 구간 설정방법에 대한 제 2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A second embodiment of a video data photographing and section set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카메라가 구동되어, 동영상 촬영이 시작되면, 영상신호가 입력되어 동영상 데이터가 생성된다(S300)When the camera is driven and video recording starts, video signals are input to generate video data (S300).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밝기값 또는 프레임레이트를 측정하고(S305), 측정된 밝기값 또는 프레임레이트가 소정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10).The brightness value or frame rate of the input video signal is measured (S305),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measured brightness value or frame rate is included in a predetermined range (S310).

여기서, 밝기값을 하나 이상의 범위로 구분하고, 각각의 범위에 대해 밝기레벨을 설정하여, 입력되는 프레임의 밝기값이 포함되는 범위를 판단하여 밝기레벨을 설정하게 된다.Here, the brightness value is divided into one or more ranges, the brightness level is set for each range, and the brightness level is set by determining a range including the brightness value of the input frame.

또한, 프레임레이트의 경우에는, 설정 가능한 카메라의 최대 프레임 레이트를 기준으로 프레임 레이트를 하나 이상의 범위로 구분하여, 각각의 범위에 대한 프레임레이트 레벨을 설정한다. 현재의 프레임 레이트가 소정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그에 해당되는 프레임레이트 레벨을 설정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frame rate, the frame rate is set for each range by dividing the frame rate into one or more ranges based on the maximum frame rate of the camera that can be set. When the current frame rate is included in the predetermined range, the frame rate level corresponding thereto is set.

예를들어, 프레임레이트를 기준으로 동영상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다. For example, when the section is set in the video data based on the frame rate, it is as shown in FIG.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레벨설정에 따른 실시예가 도시 된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according to level sett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동영상의 최대 프레임 레이트가 30인 경우를 예로하면, 최대 프레임 레이트 30을 기준으로 5개의 범위로 나누어 프레임레이트의 레벨을 지정한다. 여기서, 프레임레이트 레벨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As shown in (a) of FIG. 11, when the maximum frame rate of a video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30, for example, the frame rate is divided into five ranges based on the maximum frame rate 30. Specify. Here, the number of frame rate levels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may vary according to settings.

카메라가 동작되어 이미지센서로부터 영상신호가 입력되면, 밝기값을 산출하고, 밝기값에 따라 이미지센서의 프레임레이트가 가변제어된다. When the camera is operated and an image signal is input from the image sensor, the brightness value is calculated, and the frame rate of the image sensor is variab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이때, 외부에서 지하주차장으로 진입하는 경우 주변의 밝기가 급격히 변하게 되는데, 여기서, 외부에서의 프레임레이트가 15이고, 지하주차장 진입시 내부의 프레임 레이트가 5인 경우, 외부에서는 프레임 레이트 레벨이 3이고, 지하주차장 진입시에는 프레임 레이트레벨이 1로 가변된다. At this time, when entering the underground parking lot from the outside, the brightness of the surroundings is rapidly changed. Here, if the frame rate is 15 from the outside and the internal frame rate is 5 when entering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frame rate level is 3 from the outside. When entering the underground parking lot, the frame rate level is changed to one.

프레임레이트의 레벨이 3에서 1로 가변되므로, 이때 동영상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하게 된다. Since the frame rate level varies from 3 to 1, a section is set in the video data.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촬영 가능한 최대 프레임레이트를 기준으로 프레임레이트 레벨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레이트 레벨의 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설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b) of FIG. 11, the frame rate level may be set based on the maximum frame rate that can be captured by the camera. Here, the number of frame rate levels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and may vary according to settings.

즉, 최대프레임레이트(MFR)를 기준으로 20%씩 프레임레이트레벨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들어 최대 프레임레이트(MFR)가 60인 경우, 프레임레이트 0 이상 12 미만(즉, 60/5)을 제 1 레벨, 12 이상 24의 경우에는 제 2 레벨, 24 이상 36 미만은 제 3 레벨, 36 이상 48 미만은 제 4 레벨, 48 이상의 프레임 레이트인 경우에는 제 5 레벨로 설정가능하다.That is, the frame rate level may be set by 20% based on the maximum frame rate (MFR). For example, when the maximum frame rate (MFR) is 60, the frame rate 0 or more and less than 12 (ie, 60/5) may be set. It is possible to set the first level, the second level in the case of 12 or more and 24, the third level in the case of 24 or more and less than 36, the fourth level in the case of 36 or more and less than 48 and the fifth level in the case of a frame rate of 48 or more.

상기와 같이 밝기값을 하나이상의 밝기레벨을 지정하여 입력되는 프레임의 밝기값에따라 밝기레벨을 설정하고, 밝기레벨이 가변되는 경우 동영상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By specifying one or more brightness levels as described above, the brightness level may be set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of the input frame, and a section may be set in the video data when the brightness level is variable.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데이터 촬영 및 구간 설정방법에 대한 제 3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A third embodiment of the video data photographing and section setting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촬영방법의 제 3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hird embodiment of a video record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가 동작되어 동영상이 촬영되면,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프레임의 밝기값을 산출하고, 프레임레이트를 가변제어한다(S400 내지 S410).As shown in FIG. 12, when the camera is operated to capture a video, the brightness value of the frame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input video signal, and the frame rate is variably controlled (S400 to S410).

여기서, 동영상데이터의 프레임의 밝기값 또는 프레임레이트를 측정하여 밝기값에 대한 밝기레벨 또는 프레임레이트에 대한 프레임레이트레벨을 설정하고, 밝기레벨 또는 프레임레이트레벨의 가변여부를 판단한다(S410).Here, the brightness value or the frame rate of the frame of the video data is measured to set the brightness level or the frame rate level for the brightness value and determine whether the brightness level or the frame rate level is variable (S410).

밝기레벨이 증가 또는 감소되어 가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밝기값의 변동량을 산출하여 기준밝기값과 비교하고, 프레임레이트레벨이 가변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프레임레이트의 변동량을 산출하여 기준프레임레이트와 비교한다(S415).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rightness level is increased or decreased and is variable, the variation amount of the brightness value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brightness value. If the frame rate level is determined to be variable, the variation amount of the frame rate is calculated to calculate the reference frame. It compares with a rate (S415).

이때, 밝기값이 기준 밝기값 이상이거나, 또는 프레임레이트의 변동량이 기준 프레임레이트 이상인 경우,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한다(S420). In this case, when the brightness valu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brightness value o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frame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frame rate, a section is set in the video data (S420).

한편, 밝기레벨 또는 프레임레이트레벨이 유지되거나, 밝기값/프레임레이트의 변동량이 기준밝기값/기준프레임레이트 미만인 경우 별도의 구간설정 없이 동영상이 촬영되도록 한다(S410, S415, S400).On the other hand, if the brightness level or the frame rate level is maintained, or if the variation of the brightness value / frame rate is less than the reference brightness value / reference frame rate, the video is captured without setting a separate section (S410, S415, S400).

예를 들어, 전술한 도 11의 (a)와같이 프레임레이트레벨이 설정되고, 기준프레임레이트가 6인 경우 프레임레이트의 변화에 따른 구간설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A, the frame rate level is set. When the reference frame rate is 6, the section setting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rame rate is performed as follows.

프레임레이트가 11에서 13으로 가변되는 경우, 프레임레이트11에 대한 프레임레이트레벨은 2이고, 프레임레이트 13의 프레임레이트레벨은 3이므로, 프레임레이트의 레벨이 가변됨을 알 수 있다. When the frame rate varies from 11 to 13, it can be seen that the frame rate level for frame rate 11 is 2 and the frame rate level for frame rate 13 is 3, so that the level of frame rate is variable.

여기서, 상기와 같이 프레임레이트레벨이 가변되더라도, 프레임레이트의 변동량을 산출하여 기준프레임레이트값과 비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레이트가 11에서 13으로 가변되면, 변동량이 2이므로, 기준프레임레이트값 6 이하이므로 동영상에 구간을 설정하지 않고 동영상 촬영이 계속 수행된다. Here, even if the frame rate level is varied as described above, the variation amount of the frame rate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e reference frame rate value. When the frame rate is changed from 11 to 13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hange amount is 2, the reference frame rate value is 6 or less, and thus video record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without setting a section in the video.

상기와 같이 동영상데이터에 구간이 설정되어 동영상데이터가 저장되면, 다음과 같이 동영상데이터가 재생된다. If a section is set in the video data as described above and the video data is stored, the video data is reproduced as follows.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방법의 제 1 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영상 재생시 구간이동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FIG. 1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of a video reproduc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ction moving method when reproducing a video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같이, 동영상데이터가 선택되면, 저장된 동영상데이터를 호출하여 재생한다(S500, S505).As shown in FIG. 13, when moving picture data is selected, the stored moving picture data is called and reproduced (S500 and S505).

이때, 선택된 동영상데이터의 정보 확인이 가능하며, 특히 동영상데이터에 설정된 구간정보를 통해 특정 구간의 선택 재생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video data,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lay a specific section through the section information set in the video data.

동영상 재생중에 구간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예를 들어 방향키, 사이드키, 조그버튼 가 조작되면(S510), 동영상에 설정된 구간정보를 검색한다(S515).When a section movement command is input during video playback, for example, when a direction key, a side key, and a jog button are operated (S510), the section information set in the video is searched (S515).

검색된 구간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입력된 구간이동명령에 따라 현 재생중인 위치로부터 이전 구간 또는 다음구간으로 재생위치가 이동된다(S520).Based on the retrieved section information, the playback position is moved from the current playback position to the previous section or the next section according to the input section movement command (S520).

이때, 선택된 구간의 처음으로 재생위치가 이동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playback position is moved to the beginning of the selected section.

상기와 같이 재생위치가 변경되면, 선택된 구간부터 동영상이 재생된다(S525).If the playback position is changed as described above, the video is played from the selected section (S525).

이때, 구간이동명령 입력에 따른 동영상 재생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this case, the video playback method according to the section movement command inpu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비되는 입력부의 형태에 따라 방향키, 이동키, 사이트키, 조그버튼, 휠 등과 같은 입력수단이 조작되면, 구간이동명령이 입력된다(S600). 이하, 방향키를 예로하여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14, when an input means such as a direction key, a moving key, a site key, a jog button, a wheel, or the lik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type of an input unit provided, a section movement command is input (S600). Hereinafter, the direction key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방향키가 입력되면 재생중인 동영상데이터에 설정된 구간정보를 검색하게 되는데, 전체 구간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입력되는 방향키의 종류에 따라 특정 구간의 검색이 가능하게 된다. When the direction key is input, the section information set in the video data being played is searched. The information on the entire section can be searched, and the specific section can be search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rection key input.

즉, 좌 방향키가 입력되면, 동영상데이터의 현 재생위치를 기준으로 이전 구간을 검색하고(S605), 이전구간의 처음위치로 재생위치를 이동하게 된다(S625).That is, when the left direction key is input, the previous section is searched based on the current playback position of the video data (S605), and the playback position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previous section (S625).

우 방향키가 입력되면, 현 재생위치를 기준으로 다음 구간을 검색하여 (S610), 다음 구간의 처음위치로 재생위치를 이동하게 된다(S625).When the right direction key is input, the next section is searched based on the current playback position (S610), and the playback position is moved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next section (S625).

상기와 같이 이전구간 또는 다음구간으로 재생위치가 이동되면, 선택된 구간부터 동영상데이터가 재생된다(S635).If the playback position is moved to the previous section or the next s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video data is played from the selected section (S635).

이때, 좌 또는 우의 방향키가 연속 입력되는 경우에는 동영상데이터에 설정된 구간을 연속적으로 검색하여 재생위치를 변경하고, 해당 구간부터 동영상이 재생 되도록 한다. At this time, when the left or right direction key is continuously input, the section set in the video data is searched continuously to change the playback position, and the video is played from the section.

한편, 상/하의 방향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 데이터 이외의 이전 동영상데이터 또는 다음 동영상데이터를 검색하여(S615, 620), 재생되는 동영상데이터를 변경하고(S630), 해당 동영상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한다(S635).On the other hand, when the up and down arrow keys are input, the previous video data or the next video data other than the current video data is searched (S615, 620), the video data to be played back is changed (S630), and the video data is played back. (S635).

여기서, 상기와 같은 방향키는 빨리감기/되감기가 가능하도록 설정이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처음 구간/마지막 구간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정 가능하다. Here, the direction key as described above may be changed to enable fast forward / rewind, and may also be set to allow movement to the first section / last section.

즉, 상기와 같이 상/하 방향키 조작시 처음구간/마지막구간으로 재생위치가 이동되도록 하거나, 재생속도를 변경하여 빨리감기/되감기 등이 수행되도록 설정가능하다. That is, when the up / down direction keys are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play position is moved to the first section / last section, or the fast forward / rewind may be performed by changing the playback spe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응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It can be applied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은 동영상 촬영 중에 카메라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분석하여 밝기의 변화에 따라 촬영되는 동영상데이터에 구간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용이하게 구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구간이 설정된 동영상 데이터를 구간별로 재생 할 수 있어, 동영상 데이터의 내용검색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an oper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utomatically analyzes the video signal input through the camera during video recording, and the section is automatically recorded on the video data record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brightness. By being set, the section can be easily set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and the video data in which the section is set can be played for each sec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search for the content of the video data.

Claims (16)

카메라;camera; 동영상 데이터 촬영 시,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프레임 당 밝기값을 산출하고, 상기 밝기값의 변화에 따라 초당 프레임 수를 가변제어하는 영상처리부; 및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calculate a brightness value per frame from a video signal input from the camera and to variably control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brightness value when capturing video data; And 촬영되는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대해 산출된 프레임 당 밝기값의 변화에 따라 구간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설정된 동영상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제어하며,And automatically setting a s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brightness value per frame calculated for the video data to be photographed, and controlling to store the video data having at least one section set therein, 상기 자동 설정된 구간별로 상기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ideo data to be played for each of the automatically set section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밝기값에 따라 가변되는 초당 프레임 수의 변화량이 기준프레임레이트 이상 인 경우,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자동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And the control unit automatically sets a section in the video data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varying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frame r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초당 프레임 수에 따라 프레임레이트 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프레임레이트 레벨이 가변되는 경우,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자동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control unit sets a frame rate level according to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if the frame rate level is variable, the mobile terminal with a video record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automatically setting a section in the video data.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프레임 간 밝기값의 변화량이 기준밝기값 이상인 경우,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자동으로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And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sets a section to the video data to be photographed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brightness value between the fram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brightness valu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밝기값에 따라 밝기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밝기레벨이 가변되는 경우,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자동으로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The control unit sets a brightness level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and if the brightness level is variab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video record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automatically setting a section to the video data to be photographed.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상기 제어부는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 및 재생시간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바탕으로 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구간에 대한 구간설정데이터가 상기 동영상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 unit sets a sec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playback position and playback time information of the video data to be photographed, and the video record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tion setting data for the set section is stored with the video dat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 데이터의 헤더에 구간설정데이터를 저장하여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The control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video record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section by storing the section setting data in the header of the video data. 동영상 데이터 촬영 시,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프레임당 밝기값을 산출하는 단계;Calculating brightness per frame from an input video signal when capturing moving image data; 상기 프레임당 밝기값의 변화에 따라 상기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자동 설정하는 단계;Automatically setting a section in the captured video data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brightness value per frame; 상기 동영상 데이터 촬영 완료 시, 상기 동영상 데이터 및 상기 동영상 데이터에 설정된 구간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 및Storing the video data and information on a section set in the video data when the video data is captured; And 상기 설정된 구간별로 동영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reproducing video data for each of the set sections.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밝기값에 따라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초당 프레임 수를 가변시켜 노광시간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nd controlling an exposure time by varying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of the video data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가변되는 상기 초당 프레임 수의 변화량을 산출하여, 상기 초당 프레임수의 변화량이 기준프레임레이트 이상인 경우,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ideo recording function characterized by calculating a variable amount of change in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setting a section in the video data to be photographed wh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frame rate. .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가변되는 상기 초당 프레임 수에 따라 프레임레이트레벨을 설정하고, 상기 프레임레이트레벨이 가변되는 경우,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 frame rate level is set according to the variable number of frames per second, and when the frame rate level is variable, an operation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ideo shoot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ection is set in the video data to be photographed.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밝기값의 변화량을 산출하고, 변화량이 기준밝기값 이상인 경우,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Calculating a change amount of the brightness value and setting a section in the video data to be photographed when the change amoun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ference brightness value.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밝기값에 따라 밝기레벨을 설정하고, 밝기 레벨이 가변되는 경우,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에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Operating method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ideo record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the brightness level in accordance with the brightness value, and if the brightness level is variable, setting a section in the video data to be photographed.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촬영되는 동영상 데이터의 재생위치 및 재생시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바탕으로 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 method of operat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a video record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for setting a section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of the playback position and playback time of the video data to be photographed.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키입력을 통해 선택되는 구간에 따라 동영상 재생위치가 변경되어, 구간별로 동영상 데이터가 재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영상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방법.A video playback position is changed according to a section selected through key input, and video data is played for each section.
KR1020060043397A 2006-05-15 2006-05-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Expired - Fee Related KR100785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397A KR100785388B1 (en) 2006-05-15 2006-05-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397A KR100785388B1 (en) 2006-05-15 2006-05-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651A KR20070110651A (en) 2007-11-20
KR100785388B1 true KR100785388B1 (en) 2007-12-13

Family

ID=3908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397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5388B1 (en) 2006-05-15 2006-05-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388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328A (en) * 2001-03-20 2002-09-30 서치캐스트 주식회사 Method for playing motion pictures using keyframe and apparatus thereof
KR20030056784A (en)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humbnail image generating system
JP2004120553A (en) * 2002-09-27 2004-04-15 Clarion Co Lt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their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 medium
KR20050026850A (en) * 2003-09-10 2005-03-1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progra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60030270A (en) * 2004-10-05 2006-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to Index Digital Video on Mobile Termina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328A (en) * 2001-03-20 2002-09-30 서치캐스트 주식회사 Method for playing motion pictures using keyframe and apparatus thereof
KR20030056784A (en) * 2001-12-28 2003-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humbnail image generating system
JP2004120553A (en) * 2002-09-27 2004-04-15 Clarion Co Lt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their control method, control program, and record medium
KR20050026850A (en) * 2003-09-10 2005-03-16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program, and image display apparatus
KR20060030270A (en) * 2004-10-05 2006-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to Index Digital Video on Mobile Termi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651A (en) 200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7668B2 (en) Digital camera
US7668451B2 (en) System for and method of taking image
US8004594B2 (en)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controlling display of moving and still images
JP525372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video shooting function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8018497B2 (e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still image advancing/retreating manipulation function,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for
US7456883B2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portable digital apparatus and portable digital apparatus using the method
KR20080046246A (en) Imaging device, recording method
JP2005269563A (en) Image processor and image reproducing apparatus
US20120200757A1 (en)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3248815A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method
JP2008147966A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KR101690261B1 (en)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JP6031670B2 (en) Imaging device
JP2006203811A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KR20150032165A (en) Moving image selection apparatus for selecting moving image to be combined, moving image sel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JP5245636B2 (en) Electronics
JP3943470B2 (en) Digital camera
JP2007325152A (en)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thereof
KR100548004B1 (en) Control method of digital shooting device and digital shooting device using this method
JP479784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procedure and program
KR10078538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video recording function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4363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representative video image
JP2005275978A (en) Photographing apparatus
US20190198058A1 (en) Image recording control apparatus, image recording method, recording medium storing image recording program,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recording control system
JP5593652B2 (en) Camera and movie playback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9-oth-PG1701

Patent document republication publication date: 20080414

Republication note text: Request for Correction Notice (Document Request)

Gazette number: 1007853880000

Gazette reference publication date: 2007121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612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6120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