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5188B1 -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188B1
KR100785188B1 KR1020067010263A KR20067010263A KR100785188B1 KR 100785188 B1 KR100785188 B1 KR 100785188B1 KR 1020067010263 A KR1020067010263 A KR 1020067010263A KR 20067010263 A KR20067010263 A KR 20067010263A KR 100785188 B1 KR100785188 B1 KR 10078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hip
unit
inspection
marker
biometr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504A (ko
Inventor
사토시 후지타
마사요시 모미야마
Original Assignee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1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18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029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provided with flat sample substrates, e.g. slides
    • G01N2035/00099Characterised by type of test elements
    • G01N2035/00158Elements containing microarrays, i.e. "biochi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G01N2035/00742Type of codes
    • G01N2035/00752Type of codes bar c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G01N2035/00821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nature of coded information
    • G01N2035/00851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nature of coded information process control parameters

Landscapes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복수의 검출 수단에 있어서 재현성 높은 생체 정보를 효율적으로 축적가능하고, 관련 정보를 다요인 해석할 수 있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으로서, 시스템의 간략화ㆍ컴팩트화를 실현한다. 본 발명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은 유전자 등의 시료가 유지되는 센서 칩 (20) 과, 센서 칩 (20) 이 배치되는 센서 칩 유지부 (11) 와,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와 마커부 (23) 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독해부 (13) 를 갖는다. 또한 검출부 (21) 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체 정보 데이터를 취득하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이터 연산 유닛 (16) 을 갖는다. 읽어낸 마커부 (23) 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센서 칩 (20) 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데이터 연산 유닛 (16) 이 검출부 (21) 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에 따라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검출부 (21) 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검출부 (21) 에 유지된 센서 칩 특유의 생체 정보를 검출한다. 이것에 의해, 마커부 (23) 의 정보와 검출부 (21) 의 정보를 동일한 기전 (데이터 독해부 (13)) 에 의해 의해 취득할 수 있다.

Description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BIOMETRIC INFORMATION CHECK SYSTEM}
본 발명은 유전자 등의 생체 정보를 검사하는 것과 함께, 얻어진 생체 정보를 분석하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전자 등의 생체 정보를 분석하고, 얻어진 결과를 병의 예방이나 치료에 이용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들 유전자 등의 생체 정보를 검사ㆍ분석하는 기기로서, 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Kazuo HARA 외, "Genome mapping of Type 2 diabetes and susceptibility genes", Experimental Medicine (Yodosha Co., Ltd. in Japan), 2003 년 1 월, p. 5~10)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분석 기기ㆍ센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분석 기기나 센서는 단일한 표적에 대한 검출을 수행하여 단일한 판단을 출력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렇지만, 요즈음에는 복수 종류의 검출 기술에 의해서 얻어진 복수의 생체 정보를 해석해 새로운 지견을 얻는 일도 많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고도의 해석 및 평가 결과를 제공하기 위해서, 복수의 검출 기술에 있어서 재현성 높은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이나, 그 축적된 관련 데이터를 서로 관련지어 해석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렇지만, 종래의 분석 기기나 센서에서는 개개의 검사 기술에 따른 결과로부터 해석을 수행할 뿐이고, 복수의 검사 기술로부터 얻어진 복수의 검사 결과 (생체 정보) 를 총체적으로 해석할 수는 없었다.
또, 복수의 검출 기술을 수행한다고 해도, 종래에는 별개의 장치에 의해 별개의 조건에서 검사가 행해지는 일이 많기 때문에, 관련된 데이터가 있어도 조건의 차이에 의해 정밀도가 좋은 해석이 행해지지 않았거나 얻어진 데이터를 조건이 일치하도록 보정하거나 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재현성 높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축적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실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복수의 검사 수단 (검사 기술) 에 있어서 재현성 높은 데이터 (생체 정보) 를 효율적으로 축적할 수 있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및 그 축적된 관련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고도의 해석 및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하나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으로서, 보다 간략화ㆍ컴팩트화된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은 생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검사 수단과, 이들 복수의 검사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센서 칩과, 상기 센서 칩을 유지하는 센서 칩 유지부와, 상기 센서 칩 유지부에 센서 칩을 배치했을 때에 배치된 센서 칩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센서 칩 판별부와, 상기 센서 칩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과, 상기 검사 수단의 검사 결과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복수의 상기 검사 수단에 의한 복수의 검사 결과로부터 생체의 특징을 다요인 해석하는 해석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 칩은 상기 센서 칩 유지부에 대응하는 형태의 카트리지를 가지며, 각각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형태의 검출부가 상기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 칩은 대응하는 상기 검사 수단마다 상이한 형태의 마커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센서 칩 판별부는 상기 마커부의 차이를 읽어내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칩의 각 센서 칩은 상기 센서 칩 유지부에 유지되도록 복수 종류의 상기 센서 칩에 공통되는 형상을 가지는 카트리지부와, 복수의 상기 검사 수단 중 어느 하나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검출부와, 해당 검출부가 복수의 상기 검사 수단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마커부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검출부와 상기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를 취득하는 데이터 독해부를 더 가지며, 상기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로부터 상기 검출부가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검출부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부의 2 차원 정보로부터 생체 정보를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독해부는 상기 검출부 및 상기 마커부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 칩은 상기 검출부와 상기 마커부가 한 방향으로 병설되어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독해부는 라인 센서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라인 센서는 상기 센서 칩의 상기 마커부와 상기 검출부가 병설되는 방향으로 주사됨으로써 상기 마커부 및 상기 검출부의 화상을 취득하는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커부는 바 코드 혹은 상기 센서 칩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인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제 2 수단)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본 발명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은 각각 상이한 종류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검사 수단과, 이들 복수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센서 칩과, 이들 복수 종류의 센서 칩을 유지가능한 센서 칩 유지부를 가지며,
각 센서 칩은 상기 센서 칩 유지부에 유지되도록 복수 종류의 상기 센서 칩에 공통되는 형상을 가지는 카트리지 부재와, 복수의 상기 검사 수단 중 어느 하나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검출부와, 해당 검출부가 복수의 상기 검사 수단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마커부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검출부와 상기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를 취득하는 데이터 독해부를 더 가지고, 상기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로부터 상기 검출부가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검출부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부의 2 차원 정보로부터 생체 정보를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덧붙여 본 수단에서 검사 수단이란 검출부의 2 차원 정보로부터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생체 정보 검출 수단을 가지는 것이다. 여기서, 생체 정보 검출 수단은 검출부의 2 차원 정보가 데이터화된 2 차원 정보 데이터를 특정 알고리즘에 의해 연산하고, 어떠한 생체 정보를 나타내는 생체 정보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특정 알고리즘은 상기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이터 연산 유닛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 검출부의 2 차원 정보 데이터를 생체 정보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검출부에 있어서의 샘플의 종류나 목적하는 생체 정보에 따라 상이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수단에서「복수의 검사 수단」을 가진다는 것은,「복수의 생체 정보 검출 수단」이 시스템에 갖춰져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 데이터 독해부가 하나 밖에 갖춰져 있지 않은 경우에서도 생체 정보 검출 수단이 복수인 경우는 복수의 검사 수단을 가지는 것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생체 정보 검출 수단」이 수행하는 데이터 연산은 실제로는 데이터 연산 유닛이 수행하지만,「생체 정보 검출 수단이 복수인」이란, 반드시 데이터 연산 유닛이 복수인 것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즉, 데이터 연산 유닛이 실제로는 하나 밖에 없어도, 이 하나의 데이터 연산 유닛에 의해 상이한 생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경우에는「생체 정보 검출 수단이 복수인」것으로 간주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 독해부는 상기 검출부 및 상기 마커부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 칩은 상기 검출부와 상기 마커부가 한 방향으로 병설되어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독해부는 라인 센서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라인 센서는 상기 센서 칩의 상기 마커부와 상기 검출부가 병설되는 방향으로 주사됨으로써 상기 마커부 및 상기 검출부의 화상을 취득하는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커부는 바코드 혹은 상기 센서 칩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인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1) 상기 제 1 수단에서는 복수의 검사 수단을 가지며, 이들 복수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여 복수 종류의 센서 칩이 배치가능한 센서 칩 유지부를 가지므로, 복수의 검사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 동일한 센서 칩 유지부에 센서 칩을 배치해 복수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복수 검사 간에서의 검사 결과의 불균일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들 복수의 검사에 의한 검사 결과는 검사 후에 기억 수단에 기억되는 한편, 이미 기억되어 있는 관련된 정보를 근거로 해석 수단에 의해 해석된다. 그 때문에, 복수의 검사 수단 (검사 기술) 에 있어서 재현성 높은 데이터를 축적하는 것이나 그 축적된 관련 데이터를 해석함으로써, 고도의 해석 및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센서 칩은 센서 칩 유지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카트리지를 가지므로, 하나의 센서 칩 유지부에 복수 종류의 센서 칩을 배치할 수 있는 한편, 각각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형태의 검출부가 카트리지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센서 칩 유지부가 하나여도 복수의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또, 센서 칩에는 대응하는 검사 수단마다 상이한 형태의 마커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검사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센서 칩을 센서 칩 유지부에 배치하여도, 센서 칩 판별부에서 센서 칩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하나의 검사 시스템으로 복수 종류의 검사 기술을 수행하도록 해도, 센서 칩 유지부에 배치된 센서 칩에 대응하는 검사 기술을 언제라도 수행할 수 있다.
즉, 센서 칩 판별부는 센서 칩에 형성되어 있는 마커부에 의해 그 센서 칩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한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이며, 센서 칩의 일부에만 그 센서 칩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해 두면 되어, 센서 칩의 판별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 마커부가 대응하는 검사 수단의 정보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샘플수 등의 정보도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해두면, 동일 검출 기술 중에서도 단일 검체ㆍ복수 검체의 판별도 수행할 수 있다.
덧붙여 마커부로는 단순히 센서 칩에 종류마다 상이한 요철 형상을 마련하거나, 대응하는 검사 수단 등의 정보가 기억된 IC 등을 마련하거나 할 수 있다.
(2) 상기 제 2 수단에서는 복수의 검사 수단을 가지며, 이들 복수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센서 칩을 유지가능한 센서 칩 유지부를 가지므로, 복수의 검사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 각 센서 칩은 센서 칩 유지부에 유지되도록 복수 종류의 센서 칩 사이에 공통하는 형상을 가지는 카트리지부를 가지므로, 동일한 센서 칩 유지부에 복수 종류의 센서 칩을 배치해 복수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서, 복수의 검사 기술을 대략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다 재현성 높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축적할 수 있다. 또, 검사에 의해서 얻어진 복수 종류의 데이터에 의해, 더욱 정밀도가 좋은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에서는 검사 수단은 검출부의 2 차원 정보로부터 생체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며, 데이터 독해부는 검출부의 2 차원 정보를 취득할 때에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도 취득하는 것이므로, 얻어진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로부터 센서 칩의 검출부가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센서 칩 유지부에 유지된 센서 칩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기전 (마커 판별부) 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고, 시스템의 간략화ㆍ컴팩트화에 기여한다. 또, 동일한 기전에 의해 검출부와 마커부와의 2 차원 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재현성 높은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칩의 검출부와 마커부의 화상 정보를 이들 2 차원 정보로서 취득하도록 하면, 단순히 검출부와 마커부를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함으로써 용이하게 검출부와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칩으로서 검출부와 마커부가 상기 센서 칩의 한 표면에 병설되어 있는 것으로 하고, 데이터 독해부로서 라인 센서를 채용하는 것으로 하여, 센서 칩의 한 말단으로부터 다른 말단에 라인 센서를 일차원으로 주사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검출부와 마커부의 2 차원 정보 (화상) 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마커부로서 바 코드나 요철 형상을 채용함으로써, 마커부의 판별이 보다 용이해진다.
덧붙여 검출부 혹은 마커부에 있어서의 전하량, 흡광도, 발광량 등의 특정 물리량을, 프로브 등을 데이터 독해부로 하여 검출부 및 마커부에 주사시킴으로써 검출하고, 검출부 및 마커부에 있어서의 해당 물리량의 분포 정보를 해당 검출부 및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의 작동 플로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3 은 센서 칩의 검출부와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의 작동 플로우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6 은 센서 칩의 마커부의 일례 및 센서 칩 판별부의 개요를 설명하는 그림이다.
도 7 은 센서 칩의 마커부의 도 6 과는 상이한 일례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의 개략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 서 설명한다.
(제 1 형태)
도 1 은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은 유전자 등의 시료가 유지되어 있는 센서 칩 (20) 과, 상기 센서 칩 (20) 이 배치되는 센서 칩 유지부 (11) 와, 상기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와 마커부 (23) 의 2 차원 정보를 취득하는 데이터 독해부 (13) 를 가진다. 여기서, 데이터 독해부 (13) 는 검출부 (21) 와 마커부 (23) 의 2 차원 정보로서의 화상을 촬영하고, 2 차원 정보 데이터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이다. 덧붙여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은 복수 종류의 검사를 본 시스템으로 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검사 수단을 가진다. 이들 복수의 검사 수단은 하나의 센서 칩 유지부 (11) 에 배치되는 복수 종류의 센서 칩 (20) 에 대해 각각 상이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즉, 센서 칩 유지부 (11) 에는 각각 상이한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센서 칩 (20) 가운데 조작자가 수행하고 싶은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하나의 센서 칩 (20) 이 배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각 센서 칩 (20) 은 각각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형태의 검출부 (21) 와, 검사 수단에는 무관하게 복수 종류의 센서 칩 (20) 간에 공통의 형상을 가지는 카트리지부 (22) 로 구성되어 있다. 즉, 검출부 (21) 는 대응하는 검사 수단이 상이하면 상이한 형태가 되지만, 카트리지부 (22) 는 검사 수단이 상이한 것이라도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형태의 센서 칩 (20) 에 의하면, 센서 칩 (20) 의 카트리지부 (22) 의 형상에 맞추어 센서 칩 유지부 (11) 의 형상을 설정하여 둠으로써, 하나의 센서 칩 유지부 (11) 에 의해 상이한 종류의 센서 칩 (20) (상이한 종류의 검출부 (21) 를 가지는 센서 칩 (20)) 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센서 칩 (20) 에는 마커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마커부 (23) 는 해당 센서 칩 (20) 에 설치되어 있는 검출부 (21) 가 복수의 검사 수단 중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마커부 (23)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바코드 (23) 이다. 바코드 (23) 의 형상 차이에 의해, 검출부 (21), 나아가서는 센서 칩 (20) 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검사 수단은 하나의 데이터 독해부 (13) 를 공유하고 있으며,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에는 하나의 데이터 독해부 (13) 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 데이터 독해부 (13)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라인 센서 (13) 이다. 도 1 및 도 3 을 참조하여,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와 마커부 (23) 의 2 차원 정보 (화상) 의 취득 방법을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부 (21) 와 마커부 (23) 인 바코드 (23) 는, 센서 칩 (20) 의 한 표면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센서 칩 유지부 (11) 에 센서 칩 (20) 을 유지한 상태로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을 작동시키면, 검출부 (21) 와 마커부 (23) 가 병설되는 방향 (도 3 의 화살표 방향) 으로 라인 센서 (13) 가 주사 된다. 이것에 의해, 검출부 (21) 와 바코드 (23) 를 동일 기전에 의해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바 코드 (23) 의 화상으로부터,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가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부 (21) 의 촬영과 마 커부 (23) 의 촬영을 동일 기전에 의해 수행하도록 했으므로, 센서 칩 (20) 의 마커부 (23) 를 판별하기 위한 기전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가 없고, 시스템의 간략화ㆍ컴팩트화에 기여한다.
덧붙여 데이터 독해부 (13) 로서는, 센서 칩 (20) 위를 주사하는 라인 센서 (13) 뿐만 아니라, 단순히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와 마커부 (23) 를 CMOS 카메라에 의해 동시에 촬영하는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은 데이터 독해부 (13) 에서 읽어낸 2 차원 정보 데이터로서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 (기억 수단) (15) 와, 데이터 독해부 (13) 에 의해 읽어낸 화상 데이터, 혹은 메모리 (15) 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어느 특정 생체 정보를 나타내는 생체 정보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연산 유닛 (16) 과, 얻어진 생체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14) 와, 메모리 (15) 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른 컴퓨터로 이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17) 를 가진다 (도 1 참조). 또한, 메모리 (15) 에는 검출부 (21) 의 화상 데이터에 근거해 특정 생체 정보 데이터를 취득하기 위한 복수 이종의 알고리즘을 실행하는 복수의 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고, 데이터 연산 유닛 (16) 은 이들 복수의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데이터 독해부 (13) 에 의해 취득된 검출부 (21) 의 화상 데이터는, 마커부 (23) 의 판별 결과 (검출부 (21) 가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의 정보) 와 함께 메모리 (15) 에 기억된다. 그리고, 검출부 (21) 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에 근거해, 검출부 (21) 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체 정보를 검출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은 당뇨병의 검사 및 그 치료 방법의 해석에 사용할 수 있다. 당뇨병 중 2 형 당뇨병은 유전 인자에 더하여 고지방식이나 운동 부족 등의 환경 인자가 조합되어 발병하는 다인자병이다. 그 때문에, 혈당값 등의 검사만이 아니고 유전 인자에도 주목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 당뇨병에 걸리는 위험도를 검사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당뇨병에 걸리는 위험도를 정밀도 높게 검사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검사 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또, 당뇨병이 이미 발병하고 있는 경우에도, 그 원인이 되는 인자를 판별해 그 원인에 대한 치료 방법을 책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당뇨병의 검사 및 치료 방법의 해석에 본 발명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을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도 2 를 이용해 설명한다. 우선, 검사 시료가 검출부 (21) 에 배치된 센서 칩 (20) 을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의 센서 칩 유지부 (11) 에 배치한다 (S1). 그리고,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을 작동시키면, 데이터 독해부 (13) 가 작동하고,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와 마커부 (23) 의 화상을 촬영한다 (S2).
얻어진 마커부 (23) 의 화상으로부터 화상 해석에 의해, 센서 칩 유지부 (11) 에 배치된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가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한다 (S3). 여기서, 검사 수단으로서는 혈당값 검사나, 특정 유전자의 유무나 존재량을 상기 특정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형광 광량에 의해 검출하는 방법을 예시할 수 있다. 특정 유전자의 유무나 그 존재량을 검출하는 경우 는, PCR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 법 등에 의해 특정 유전자를 증폭시킨 후, 그 특정 유전자의 유무 및 존재량을 형광량에 의해 검출하는 방법이나, 샘플 중의 유전자 발현 상황을 칩 위에 있어서의 형광 검출 위치로 검출하는 DNA 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시료에 의해, 각각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S3 에서, 배치된 센서 칩 (20) 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가 판별되면, 검출부 (21) 의 화상 데이터를 해당 검출부 (21) 가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의 정보와 함께 메모리 (15) 에 일단 기억시킨다. 그리고, 메모리 (15) 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대응하는 검사 수단에 근거해 화상 데이터의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서는, 복수의 검사 수단으로서 혈당값 검사 (A 검사), 유전 인자 체크 검사 (B 검사), 환경 인자 체크 검사 (C 검사) 를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S3 의 결과 배치된 센서 칩 (20) 이 A 검사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판별되면, S4 에서 A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A 검사용 프로그램이 데이터 연산 유닛 (16) 에 의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 A 검사에 대응하는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에는 샘플로서 혈액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혈액 중에는 글루코오스에 부착하는 형광 물질이 첨가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혈액 중의 글루코오스의 존재 확률을 혈액 중의 형광을 발하는 영역의 면적에 의해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S4 의 검사 A 에서는, 검출부 (21) 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체 정보로서의 글루코오스의 존재량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이 데이터 연산 유닛 (16) 에 의해 행해진다. A 검사의 결과는 그 정량값이나 당뇨병의 위험도 등의 정보로서 시료 번호 (피검사자마다 부여된다) 나 검사 수단의 정보와 함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의 메모리 (15) 에 기억되고 (S5), 데이터 표시부 (14) 에 표시된다.
한편, S3 의 결과, 배치된 센서 칩 (20) 이 B 검사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판별되면, 데이터 독해부 (13) 에 의해 취득된 검출부 (21) 의 화상 데이터는 B 검사에 근거해 처리된다 (S6). B 검사에 대응하는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에는 샘플로서 염색체가 유지되어 있고, 이 샘플에는 당뇨병 유발 유전자라고 생각되는 유전자 (예를 들면: 칼파인 (calpain) 3, PI-3, 아디포넥틴 (adiponectin) 등) 에 부착하여 형광을 발하는 형광 물질이 첨가되어 있다. 샘플의 화상 정보로부터, B 검사에 근거하는 화상 처리에 의해 형광을 발하는 영역의 면적 등의 정보를 추출함으로써 생체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검출부 (21) 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체 정보로서의 당뇨병 유발 유전자의 유무, 혹은 당뇨병 유발 유전자의 존재량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이 데이터 연산 유닛 (16) 에 의해 실행되어 생체 정보가 검출된다. B 검사의 결과는 당뇨병 유발 유전자의 유무나 그 존재량 등의 정보로서, 시료 번호나 검사 수단의 정보와 함께 메모리 (15) 에 기억되고 (S7), 데이터 표시부 (14) 에 표시된다. 또한, B 검사의 결과로부터, 당뇨병이 되는 원인 가운데 유전적인 요인이 높은가 낮은가 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메모리 (15) 에 기억하는 것과 함께 데이터 표시부 (14) 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 S3 의 결과, 배치된 센서 칩 (20) 이 C 검사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판별 되면, 데이터 독해부 (13) 에 의해 취득된 검출부 (21) 의 화상 데이터는 C 검사에 근거해 처리된다 (S8). C 검사에 대응하는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에는 샘플로서 염색체가 유지되어 있고, 이 샘플에는 비만 유전자라고 생각되는 유전자 (예를 들면: 렙틴 (leptin), β3 아드레날린 수용체, SHP 등) 에 부착하여 형광을 발하는 형광 물질이 첨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검출부 (21) 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생체 정보로서의 비만 유전자의 유무나 비만 유전자의 존재량 등을 검출하는 프로그램이 데이터 연산 유닛 (16) 에 의해 실행되어 생체 정보가 검출된다. C 검사의 결과는, 비만 유전자의 유무나 그 존재량 등의 정보로서, 시료 번호나 검사 수단의 정보와 함께 메모리 (15) 에 기억되고 (S9), 데이터 표시부 (14) 에 표시된다. 또, C 검사의 결과로부터, 당뇨병이 되는 원인 가운데 환경적인 요인이 높은가 낮은가 여부를 판정하고, 그 결과를 메모리 (15) 에 기억하는 것과 함께 데이터 표시부 (14) 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검사가 행해지면, S10 에서 그 외의 검사 수단에 의한 검사가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 때, 복수의 검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판별되면, S11 에서 복수의 검사 결과에 근거해 다요인 해석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케이스에서 보다 적합한 치료 방법을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A 검사, B 검사, C 검사가 모두 완료한 경우, A 검사에 의해 당뇨병인 (혹은 당뇨병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검사되고, 또 B 검사에 의해 유전 인자로의 요인이 큰 것으로 판정되는 한편, C 검사에 의해 환경 인자로의 요인도 크다는 것이 판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식사 요법이나 운동 요법 등에 의해 환경 인 자로의 요인을 경감하는 것과 함께 유전자 요법에 의해 유전 인자로의 요인을 경감할 수 있는 치료 방법이 제안된다. 이 경우, 유전자 요법으로서 제안되는 방법으로는 B 검사에 의해 추출된 유전자의 종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또, 검사 결과 당뇨병 유발 유전자의 발현량을 알면, 그 발현량에 근거한 치료가 제안되게 된다. 예를 들면, 검사 결과 아디포넥틴 유전자라는 인슐린 감수성 물질이 적다는 것이 알려지면, 유전자 요법으로서 아디포넥틴의 보충 요법을 하면서 인슐린을 투여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한편, A 검사에 의해 당뇨병 (혹은 당뇨병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B 검사에 의한 유전 인자로의 요인은 있지만 C 검사에 의한 환경 인자로의 요인은 없는 경우, 유전 인자 요인만을 경감할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치료 방법 (식사 요법이나 운동 요법보다 유전자 요법에 중점을 두는 치료 방법) 을 제안할 수 있다. 반대로, A 검사에 의해 당뇨병 (혹은 당뇨병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진단되었을 경우에 있어서, B 검사에 의한 유전 인자로의 요인은 없지만 C 검사에 의한 환경 인자로의 요인은 있는 경우, 환경적인 요인만을 경감할 수 있는 치료 방법 (예를 들면, 식사 요법이나 운동 요법을 주체로 하고 유전자 요법에 중점을 두지 않는 치료 방법) 을 제안할 수 있다.
또, A 검사에 의해 당뇨병이라고 진단되지 않았던 경우에서도, B 검사 및 (혹은) C 검사에 의해 유전 인자 및 (혹은) 환경 인자의 존재가 확인되는 경우에는 이들 검사 결과에 근거한 예방 방법이 제안된다.
덧붙여 다요인 해석에서는, 동일 시료 번호에 있어서의 복수 검사 간의 정보 를 바탕으로 해석을 수행하는 것 외에, 예를 들면 환자의 친족 등에 대해서 동일한 검사를 수행해, 그 결과를 환자와의 관계와 함께 메모리 (15) 에 기억시키고, 이들 정보의 상관관계로부터 나환형제쌍 (affected sib pair) 법에 근거한 해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해석 결과는, S12 에서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도 1) 의 데이터 표시부 (14) 에 표시되어 조작자에게 치료 방법의 정보가 제공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병에 대해서 원인을 특정해 그 치료안을 선정한다는 일련의 치료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동일 검출기에서의 재현성이 요구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에서는, 상이한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센서 칩 (20) 이여도 하나의 센서 칩 유지부 (11) 에 의해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데이터 독해부 (13) 로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에 배치되어 있는 시료의 정보 (2 차원 정보) 를 취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안정되게 재현성이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센서 칩 (20) 의 검출부 (21) 의 정보와 마커부 (23) 의 정보를 동일한 기전 (라인 센서 (13)) 에 의해 2 차원 정보로서 취득하도록 했으므로, 센서 칩 유지부 (11) 에 배치되는 센서 칩 (20) 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기전을 별도로 시스템에 마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간략화ㆍ컴팩트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의 메모리 (15) (기억 수단) 에 기억된 정보는 인터페이스부 (17) 를 통해, 예를 들면 PC 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나 외부 기억 수단 등의 그 외 기억 수단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제 2 형태)
도 4 는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은, 도 1 에 나타내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이다. 덧붙여 도 4 에서는, 도 1 에서 나타내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과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은, 유전자 등의 시료가 유지되어 있는 센서 칩 (200) 이 배치되는 센서 칩 유지부 (110) 와, 상기 센서 칩 (200) 으로부터 생체 정보를 읽어내는 데이터 독해부 (130) 와,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배치된 센서 칩의 종류를 판별하는 센서 칩 판별부 (120) 를 가진다. 덧붙여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은 복수 종류의 검사를 본 시스템에서 할 수 있도록 복수의 검사 수단을 가진다. 이들 복수의 검사 수단은 하나의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배치되는 상이한 복수의 센서 칩 (200) 에 대해 상이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센서 칩 유지부 (110) 에는 각각 상이한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센서 칩 (200) 이 배치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센서 칩 (200) 은 각각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형태의 검출부 (210) 와, 검사 수단에는 무관하게 형태가 통일되어 있는 카트리지부 (220) 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센서 칩 (200) 에 의하면, 센서 칩 (200) 의 카트리지부 (220) 의 형상에 맞추어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의 센서 칩 유지부 (110) 의 형상을 설정하여 둠으로써, 하나의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의해 상이한 종류의 센서 칩 (200) 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센서 칩 (200) 에는 검출부 (210) 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이 어느 종류의 검사 수단인지를 나타내는 마커부 (230)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에는 센서 칩 판별부로서 마커 판별부 (120) 가 형성되어 있다. 센서 칩 (200) 의 마커부 (230) 가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의 마커 판별부 (120) 에 배치되면, 마커 판별부 (120) 에 의해 센서 칩 (200) 의 종류가 특정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은 마커 판별부 (120) 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을 작동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을 가진다. 제어 수단은, 도 1 에 나타내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의 메모리 (15) 및 데이터 연산 유닛 (16) 과 같은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마커 판별부 (120) 에 의해 센서 칩 (200) 의 종류가 특정되면, 제어 수단에 의해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검사 수단 중 대응하는 검사 수단을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동한다.
또한,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은 데이터 독해부 (130) 에서 읽어낸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기억된 데이터에 근거해 생체 정보를 다요인 해석하는 해석 수단과, 해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 (14) 와,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른 컴퓨터 등으로 이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17) 를 가진다.
검사 수단이 수행하는 검사 결과는 데이터 독해부 (130) 에 의해 읽혀지고,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이 때, 예를 들면 하나의 검체에 대해 복수의 검사를 수행 하고, 그 결과를 검체에 부여되는 샘플 넘버와 검사 수단의 종류에 대응하는 형태로 기억 수단에 기억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나의 검사 수단에 의해 검사가 종료하거나 혹은 입력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검체의 샘플 넘버 등이 시스템으로 입력되면, 해석 수단에 의해 복수의 검사 수단에 의한 복수의 검사 결과가 읽혀지는 것과 함께 이들 복수의 검사 결과에 근거해 다요인 해석을 수행하게 된다. 다요인 해석의 결과는 표시부 (14) 에 표시된다.
여기서, 센서 칩의 마커부 (230), 및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의 마커 판별부 (120) 로서는 도 6 에 나타내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도 6 은 센서 칩 (200) 을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배치할 때의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며, 센서 칩 (200) 을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다. 또, 여기서는, 센서 칩 (200) 을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에 개구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대해서 삽입하고, 센서 칩 (200) 을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유지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경우의 일례에 대해 나타낸다.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칩 (200) 의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삽입되는 한 말단측에는 해당 센서 칩 (200) 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에 고유의 형상으로 노치부 (24) 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센서 칩 유지부 (110) 측에는 센서 칩 (200) 이 삽입되는 단면 (20a) 에 접촉하도록 복수의 요철 센서 (19) 가 배치되어 있다. 하나 하나의 요철 센서 (19) 는 센서 칩 (200) 이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삽입되지 않은 경우에 위치하는 제 1 위치와, 센서 칩 (200) 이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삽입되었을 경우에 센서 칩 (200) 의 단면 (20a) 에 밀려 이동하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는, 각각의 요철 센서 (19) 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 해당 요철 센서 (19) 가 오프 상태라고 하고, 각각의 요철 센서 (19) 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해당 요철 센서 (19) 가 온 상태라고 하여, 이하 설명을 계속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부 (24) 가 단면 (20a) 에 형성되어 있는 센서 칩 (200) 을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삽입하면, 단면 (20a) 에 밀리는 요철 센서 (19) 는 제 2 위치로 이동해, 센서가 온 상태가 된다. 한편, 노치부 (24) 의 위치에 대응하는 요철 센서 (19) 는 단면 (20a) 에 의해 밀리지 않기 때문에, 제 1 위치에 위치하여 그대로 오프 상태이다. 여기서, 대응하는 검사 수단에 의해서 센서 칩 (200) 의 단면 (20a) 에 형성되는 노치부 (24) 의 위치와 형상을 대체함으로써, 센서 칩 (200) 을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삽입했을 때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에 따라 복수의 요철 센서의 온ㆍ오프 상태가 바뀌므로, 대응하는 검사 수단의 식별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센서 칩 (200) 을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삽입했을 때에 자동으로 목적으로 하는 검사 수단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센서 칩 (200) 의 마커부 (230) 로서는, 도 7 과 같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즉,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칩 (200) 의 마커부 (230) 로서 IC25 를 채용하고, 마커 판별부 (120) 로서 이 IC 의 정보를 읽어내는 독해부를 가지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의 사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은 당뇨병의 검사 및 그 치료 방법의 해석에 사용할 수 있다.
당뇨병의 검사 및 치료 방법의 해석에 본 발명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을 사용하는 경우의 사용예를 도 5 를 이용해 설명한다. 우선, S101 에서 핵산 단백질 등의 시료가 검출부 (210) 에 배치된 센서 칩 (200) 을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의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배치한다. 그리고, S102 에서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배치된 센서 칩 (200) 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마커 판별부 (120) 에 의해 판별한다. 여기서, 검사 수단으로서는 혈당값 검사나, 유전 인자를 검사하기 위한 서던 하이브리다이제이션 (southern hybridization) 법, SNPs 법, RFLP 법, 닷 블롯 (dot blot) 법, PCR (폴리머라제 연쇄 반응) 법 등이 있고, 센서 칩 (200) 의 검출부 (210) 에는 이들 중 어느 하나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시료가 각각의 검사 방법에 대응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S102 에서, 배치된 센서 칩 (200) 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가 판별되면, 대응하는 검사 수단에 의해 검사가 행해진다. 여기서는, 복수의 검사 수단으로서 혈당값 검사 (A 검사), 유전 인자 체크 검사 (B 검사), 환경 인자 체크 검사 (C 검사) 를 실시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S102 의 결과, 배치된 센서 칩 (200) 이 A 검사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판별되면, S103 에서 A 검사가 실시된다. A 검사는 구체적으로는 혈액을 채취해 글루코오스 함유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행해진다. A 검사의 결과는 그 정량값이나 당뇨병의 위험도 등의 정보로서 시료 번호 (피검사자마다 부여된다) 나 검사 수단의 정보와 함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S104).
한편, S102 의 결과 배치된 센서 칩 (200) 이 B 검사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판별되면, S105 에서 B 검사를 수행한다. B 검사는 구체적으로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에 설치되어 있는 검사 수단으로서의 전기 영동 장치에 의해 행해진다. 이 B 검사에 의해서 당뇨병 유발 유전자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덧붙여 그 당뇨병 유발 유전자의 발현량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B 검사의 결과는, S104 와 마찬가지로 시료 번호나 검사 수단의 정보와 함께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S106).
또, S102 의 결과 배치된 센서 칩 (200) 이 C 검사에 대응하는 것이라고 판별되면, S107 에서 C 검사가 실시된다. C 검사는 구체적으로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에 설치되어 있는 RNA 발현 해석 장치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이 C 검사에 의해 비만 유전자를 검출할 수 있고, 그 발현량이나 일반적인 값으로부터의 일탈 등을 측정할 수 있다. C 검사의 결과는, S104, S106 와 마찬가지로 시료 번호나 검사 수단의 정보와 함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다 (S108).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검사가 행해지면, S109 에서 그 외의 검사 수단에 의한 검사가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가 판별된다. 이 때, 복수의 검사가 행해지고 있는 것이 판별되면, S110 에서 복수의 검사 결과에 근거한 다요인 해석이 행해진다. 이것에 의해, 제 1 형태와 같은 방법으로 각각의 케이스에서 보다 적합한 치료 방법을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병에 대해서 원인을 특정해 그 치료안을 선정한다는 일련 의 치료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동일 검출기에서의 재현성이 요구된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의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에서는, 상이한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센서 칩 (200) 이여도 하나의 센서 칩 유지부 (110) 에 의해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하나의 데이터 독해부 (130) 로 센서 칩 (200) 의 검출부 (210) 에 배치되어 있는 시료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안정된 재현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0) 의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는 인터페이스부 (17) 를 통해 그 외의 기억 수단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생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검사 수단과, 이들 복수의 검사 수단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센서 칩과, 상기 센서 칩을 유지하는 센서 칩 유지부와, 상기 센서 칩 유지부에 센서 칩을 배치했을 때에 배치된 센서 칩이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센서 칩 판별부와, 상기 센서 칩 판별부의 판별 결과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과, 상기 검사 수단의 검사 결과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복수의 상기 검사 수단에 의한 복수의 검사 결과로부터 생체의 특징을 다요인 해석하는 해석 수단을 가지는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 칩의 각 센서 칩은 상기 센서 칩 유지부에 유지되도록 복수 종류의 상기 센서 칩에 공통되는 형상을 가지는 카트리지부와, 복수의 상기 검사 수단 중 어느 하나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검출부와, 해당 검출부가 복수의 상기 검사 수단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마커부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검출부와 상기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를 취득하는 데이터 독해부를 더 가지며, 상기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로부터 상기 검출부가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검출부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부의 2 차원 정보로부터 생체 정보를 검출하도록 한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독해부는 상기 검출부 및 상기 마커부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인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칩은 상기 검출부와 상기 마커부가 한 방향으로 병설되어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독해부는 라인 센서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라인 센서는 상기 센서 칩의 상기 마커부와 상기 검출부가 병설되는 방향으로 주사됨으로써 상기 마커부 및 상기 검출부의 화상을 취득하는 것인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부는 바 코드 혹은 상기 센서 칩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인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부는 바 코드 혹은 상기 센서 칩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인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부는 바 코드 혹은 상기 센서 칩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인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0. 각각 상이한 종류의 생체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검사 수단과, 이들 복수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복수 종류의 센서 칩과, 이들 복수 종류의 센서 칩을 유지가능한 센서 칩 유지부를 가지며; 각 센서 칩은 상기 센서 칩 유지부에 유지되도록 복수 종류의 상기 센서 칩에 공통하는 형상을 가지는 카트리지 부재와, 복수의 상기 검사 수단 중 어느 하나의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검출부와, 해당 검출부가 복수의 상기 검사 수단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마커부를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검출부와 상기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를 취득하는 데이터 독해부를 더 가지며, 상기 마커부의 2 차원 정보로부터 상기 검출부가 어느 검사 수단에 대응하는 것인지를 판별하는 것과 함께, 상기 검출부에 대응하는 검사 수단에 의해 상기 검출부의 2 차원 정보로부터 생체 정보를 검출하도록 한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독해부는 상기 검출부 및 상기 마커부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인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칩은 상기 검출부와 상기 마커부가 한 방향으로 병설되어 배치되는 것이며, 상기 데이터 독해부는 라인 센서를 가지는 것이고, 상기 라인 센서는 상기 센서 칩의 상기 마커부와 상기 검출부가 병설되는 방향으로 주사됨으로써 상기 마커부 및 상기 검출부의 화상을 취득하는 것인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부는 바 코드 혹은 상기 센서 칩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인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부는 바 코드 혹은 상기 센서 칩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인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부는 바 코드 혹은 상기 센서 칩에 형성되는 요철 형상인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KR1020067010263A 2003-11-27 2004-11-25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7851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97517 2003-11-27
JPJP-P-2003-00397518 2003-11-27
JP2003397518 2003-11-27
JP2003397517 2003-11-27
JP2003429591 2003-12-25
JPJP-P-2003-00429591 2003-1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504A KR20060101504A (ko) 2006-09-25
KR100785188B1 true KR100785188B1 (ko) 2007-12-11

Family

ID=3463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2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5188B1 (ko) 2003-11-27 2004-11-25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111301A1 (ko)
EP (1) EP1688744A4 (ko)
JP (1) JPWO2005052597A1 (ko)
KR (1) KR100785188B1 (ko)
CN (1) CN1886663B (ko)
WO (1) WO20050525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7230A (zh) * 2008-10-13 2011-09-14 红电医学科技股份有限公司 检测试片读取装置以及使用其中的检测试片
SG11201401918SA (en) 2011-09-30 2014-10-30 Life Technologies Corp Method and systems for image analysis identification
CN104115190B (zh) 2011-09-30 2018-06-01 生命技术公司 用于在图像中减去背景的方法和系统
IN2014DN03407A (ko) 2011-09-30 2015-06-05 Life Technologies Corp
EP2761585B1 (en) 2011-09-30 2019-08-07 Life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for streamlining optical calibration
KR102133530B1 (ko) * 2013-07-26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 스트립 카트리지, 이를 이용한 생체 정보 측정 장치 및 생체 정보 측정 방법
EP3093665B1 (en) * 2014-01-10 2019-11-27 Konica Minolta, Inc. Immunoassay method and immunoassay system
JP6691780B2 (ja) * 2016-01-14 2020-05-13 テルモ株式会社 成分測定装置、この装置の測定モード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1427A (ja) * 1998-09-29 2000-06-23 Omron Corp 試料成分分析システム並びに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センサチップ及びセンサパック
JP2003526108A (ja) * 2000-03-09 2003-09-02 クリニカル アナリシ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医学的診断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0299A (en) * 1981-06-18 1984-02-07 Coulter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monitoring chemical reactions
JPS61198041A (ja) * 1985-02-28 1986-09-02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生化学分析装置
EP0685072B1 (en) * 1993-02-17 1999-03-03 Oxoid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culture bottles
JPH085559A (ja) * 1994-04-22 1996-01-12 Otax Kk 果実成分検査装置
US5945341A (en) * 1996-10-21 1999-08-31 Bayer Corporation System for the optical identification of coding on a diagnostic test strip
CN1249430C (zh) * 1998-09-29 2006-04-05 欧姆龙健康医疗事业株式会社 样品成分分析系统及用于其中的传感器芯片
US20020177135A1 (en) * 1999-07-27 2002-11-28 Doung Hau H. Devices and methods for biochip multiplexing
JP3957118B2 (ja) * 1999-05-18 2007-08-1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試験片およびこの試験片からの画像情報読取装置
US6664104B2 (en) * 1999-06-25 2003-12-16 Cepheid Device incorporating a microfluidic chip for separating analyte from a sample
US20020076699A1 (en) * 2000-12-16 2002-06-20 Daniel Peana Smart biochip array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US6673315B2 (en) * 2001-06-29 2004-01-06 Biomachin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site on a biological substrate
CN1258602C (zh) * 2001-09-22 2006-06-07 香港基因晶片开发有限公司 一种侦测基因序列的装置和方法
JP2003167960A (ja) * 2001-12-04 2003-06-13 Ikuo Kondo 健康管理システム
JP4143433B2 (ja) * 2002-01-31 2008-09-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生化学解析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
AU2003231881A1 (en) * 2002-05-28 2003-12-12 Autogenomics, Inc. Multi-reagent pac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1427A (ja) * 1998-09-29 2000-06-23 Omron Corp 試料成分分析システム並びに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センサチップ及びセンサパック
JP2003526108A (ja) * 2000-03-09 2003-09-02 クリニカル アナリシス コーポレーション 医学的診断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11301A1 (en) 2007-05-17
CN1886663A (zh) 2006-12-27
EP1688744A4 (en) 2011-12-21
EP1688744A1 (en) 2006-08-09
WO2005052597A1 (ja) 2005-06-09
KR20060101504A (ko) 2006-09-25
JPWO2005052597A1 (ja) 2007-06-21
CN1886663B (zh)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1679B2 (en) Color-based reaction testing of biological materials
KR101854704B1 (ko) 다중시료 자동분석장치
US11280720B2 (en) Cell analysis method, cell analyzer and sample screening method
WO201203673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color-based reaction testing of biological materials
EP1865321A1 (en) Display method of measurement information of biologically relevant material
JP2008523382A (ja) ポイントオブケア診断用の患者識別
TW201006439A (en) Analysis system with coding recognition
KR102537664B1 (ko) 휴대용 디지털 진단 장치
KR100785188B1 (ko) 생체 정보 검사 시스템
EP1190762B1 (en) Method for displaying result of hybridization experiment using biochip
JP4690513B2 (ja) 核酸アッセイの読取り値を分析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化した方法とその装置
EP2824444B1 (en) Determination method, determination device, determination system, and program
JP5727217B2 (ja) 尿分析装置、尿検体情報処理装置および尿検体情報処理方法
US201902642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rna transcripts
JP2004004006A (ja) 微生物検査システム
JP2007513399A (ja) 生化学画像の生成及びその使用方法
JP7639620B2 (ja) 分析システム、管理サーバ、分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9217807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isk or diagnosis of a neurodegenerative disease
WO20202517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alyzing rna transcripts
KR20250011370A (ko) 멀티채널 분자진단 리더기
Venkataramanan et al. 24 Microarray Data Collection
JP2009145225A (ja) 自動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6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