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5155B1 - 세펨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esbl-검출 시약 - Google Patents

세펨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esbl-검출 시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155B1
KR100785155B1 KR1020037004165A KR20037004165A KR100785155B1 KR 100785155 B1 KR100785155 B1 KR 100785155B1 KR 1020037004165 A KR1020037004165 A KR 1020037004165A KR 20037004165 A KR20037004165 A KR 20037004165A KR 100785155 B1 KR100785155 B1 KR 10078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epem
aminothiazol
carboxylic acid
mm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485A (ko
Inventor
세이이치로 가와시마
히로아키 야마자키
히데노리 하라다
케이이치 히라마츠
히데아키 하나키
Original Assignee
젠야쿠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야쿠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젠야쿠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0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1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C07D501/14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 C07D501/16Compounds having a nitrogen atom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7 with a double bond between positions 2 and 3
    • C07D501/20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 C07D501/247-Acylaminocephalosporanic or substituted 7-acylaminocephalosporanic acids in which the acyl radicals are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hetero atoms or hetero rings, attached in position 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Such ring systems being further condensed, e.g. 2,3-condensed with an oxygen-, nitrogen- or sulfur-containing hetero 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phalosporin Compound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Ⅰ)의 세펨 화합물 또는 이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3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 또는 시아노이며;
R3은 선택적으로 카르복실화된 C1-6알킬이며;
R4는 수소 또는 아미노이고;
X는 S- 또는 SO-이며;
단 R1 및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가 될 수 없다.

Description

세펨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ESBL-검출 시약 {CEPHEM COMPOUNDS AND ESBL-DETECTING REAGENT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3세대 세펨-관련 항생제에 영향을 받지 않는 광범위 β-락타마아제(extended-spectrum β-lactamase: ESBL) 생성 박테리아의 검출에 효과적인 신규한 세펨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ESBL-생성 박테리아의 검출에 효과적인 하기 화학식 (Ⅰ)의 세펨 화합물 또는 이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 원자, 니트로 또는 시아노이며;
R3은 카르복실로 치환될 수 있는 C1-C6 알킬이며;
R4는 수소 원자 또는 아미노이고;
X는 -S- 또는 -SO-이며;
R1 및 R2 둘 모두가 동시에 수소 원자는 아니다.
1980년 중반부터 ESBL-생성 클레브시엘라 뉴모니아(Klebsiella pneumoniae) 및 대장균을 통한 병원성 감염은 유럽 및 미국에서 심각한 문제로 여겨져 왔다. 최근에는, 이러한 박테리아가 또한 일본에서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ESBL은 통상적인 유형의 β-락타마아제에 대해 안정적인 광범위한 3세대 β-락탐 항균제 예컨대, 세포탁심(CTX), 세프타지딤(ceftazidime:CAZ) 및 아즈트레오남(aztreonam: AZT)을 가수분해시키고, 이들 약제에 대한 감수성(susceptibility)을 감소시켰다. ESBL-생성 박테리아에 대한 이러한 약제의 연속 투여는 치료의 관점에서 희망이 없을 뿐만 아니라, 유해하게도 ESBL-생성 박테리아를 확산시키고 새로운 내성을 갖는 박테리아를 발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고 적합한 시험을 통해 ESBL-생성 박테리아를 확인하고, 적합한 항생제를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ESBL-검출 시험은 예를 들어, 1) 클라불란산(clavulanic acid: CVA)의 존재 및 부재하에 CTX, CAZ, AZT에 대한 MIC(최소 억제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 2) 두 종류의 디스크(하나는 CVA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CTX, CAZ 및 AZT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디스크 둘레에 억제 구역이 관찰됨)를 사용하는 이중-디스크 시너지 시험 방법, 또는 3) CAZ 단독의 MIC 비 및 CAZ와 CVA의 MIC 비를 사 용한 E-시험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에는 ESBL-생성 박테리아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약제 감수성 시험을 통한 MIC 측정이 요구되는데, 이는 박테리아의 분리 및 배양을 위해 여러날이 소요되며, 실제로 신속하게 검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유기체의 배양 이외에 다른 특정 작업 및 장치가 요구되지 않으며, MIC 측정법보다 검출 시간이 단축된 시험 공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인 유형의 β-락타마아제 예컨대, 페니실리나아제(PCase) 및 세팔로스포리나아제(CEPase)의 신속한 검출은 기질의 분해된 β-락탐 고리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검출은 예를 들어 (1) pH 지시제의 색 변화로 pH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산성 측정법, (2) 측정치로서 전분-요오드 반응에서의 색 변화를 이용한 요오드 측정법, (3) 직접 가시광선 영역의 흡수 변화로 결합 시스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색소생성법(chromogenic method), 및 (4) 자외선 영역의 흡수 변화로 결합 시스템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UV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중 색소생성법이 민감성의 관점에서 그리고 측정을 위해 특별한 기기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가장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다. 실제로, 기질이 니트로세핀(JP-56-18197B, U.S. 특허 3830700 및 영국특허 1408391)인 색소생성법을 이용한 제품이 통상적으로 구입가능하나, 이들은 모든 β-락타마아제와 반응하며, ESBL-생성 박테리아에 대해 이들이 선택적으로 적용될 희망이 없다.
이러한 환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단지 ESBL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해되어 ESBL의 신속한 검출에 사용될 수 있는 β-락탐 화합물의 합성에 대한 연구에 노력을 기울였으며, 화학식 (Ⅰ)의 신규한 β-락탐 화합물이 색소생성법에서 가시광선하에 검출가능한 기질의 이상적인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와 같이 본 발명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상기 도시된 바와 같이 화학식 (Ⅰ)로 표시된다. 이러한 화학식에서 문자의 정의에 사용된 용어를 하기에서 정의하고 예시할 것이다.
용어 "C1-C6"은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6개인 기이다.
"C1-C6 알킬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3차-부틸, n-펜틸 또는 n-헥실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Ⅰ)에서, R1 및 R2중 하나 이상의 치환기는 전자 배출기인 니트로 또는 시아노이어야 하며, 따라서 결합 시스템(conjugated system)에서의 변화가 β-락탐 고리의 분해시 가시 영역에서의 흡수 변화를 초래하는 것과 관련될 수 있다. 따라서, R1 및 R2가 동시에 수소 원자는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와 같으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6-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2-(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1-옥시드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6-디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6-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4-(4-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4-(2-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2-(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ㆍ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1-옥시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이 3-위치에서 비닐기를 갖기 때문에 하기 시스 이성질체 (ⅰ) 및 트랜스 이성질체 (ⅱ)가 존재하며, 각각의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화합물에 포함된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02
7-위치에서의 이미노기로 인해 하기 신(syn) 이성질체 (ⅲ) 및 안티(anti) 이성질체 (ⅳ)가 존재하며, 각각의 이성질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화합물에 포함한다. 신 이성질체가 바람직하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03
상기 식에서, R3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게다가,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형태, 예컨대, 알칼리 염, 유기 암모늄 염 또는 산 부가염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알칼리 염은 예를 들어, 칼륨염, 나트륨염, 칼슘염, 마그네슘염, 바륨염 및 암모늄염을 포함한다.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산 부가 염은 무기산 염 예컨대,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황산염, 질산염 및 인산염, 및 유기산 염 예컨대, 아세트산염, 옥살산염, 프로피온산염, 글리콜산염, 락트산염, 피루브산염, 말론산염, 숙신산염, 말레산염, 푸마르산염, 말산염, 주석산염, 시트르산염, 벤조산염, 신남산염, 메탄술폰산염, 벤젠술폰산염, p-톨루엔술폰산염 및 살리실산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Ⅰ은 탈보호제 예컨대, 염산, 염화알루미늄, 포름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p-톨루엔술폰산의 존재하에 용매중에서 합성 중간물질(7)로부터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수득된다. 예를 들어, 테트라히드로푸란(THF),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벤젠, 에틸 아세테이트, 디메틸포름아미드(DMF),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용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반응은 빙냉 온도 내지 실온하에서 1-6시간 동안 화학식 (7)의 화합물의 mol 당 1-200배 mol의 상기 언급된 산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 사용될 경우, 예를 들어, 아니솔, 티오아니솔 또는 페놀의 존재하에 반응시켜, 반응을 촉진시키고, 임의의 부반응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수득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필요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추출, 농축, 중화, 여과, 재결정화 또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되고 정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 중간물질(7)은 하기 반응식 1의 방법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식 (3)의 7-아미노-3-클로로메틸세펨 화합물을, 용매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DMF 또는 THF중에서, 축합제 예컨대,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또는 N,N'-카르보닐디이미다졸의 존재하에 -20 내지 40℃에서 1-24시간 동안 화학식 (4)의 2-아미노티아졸카르복실산과 반응시켜 화학식 (5)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그 후, 화학식 (5)의 화합물을, 1-6시간 동안 용매중에서 요오드화나트륨 및 트리페닐포스핀과 반응시킨 후, 염기의 존재하에 화학식 (6)의 알데히드와 반응시켜 화학식 (7)의 화합물을 수득한다.
용매로서 예컨대, 아세톤,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과 물의 혼합물, DMF, THF, 벤젠 또는 에틸 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염기로서, 무기 염기 예컨대, 탄산수소나트륨, 탄산나트륨, 나트륨 수화물, 칼륨-3차-부톡시드, 나트륨에톡시드 또는 나트륨메톡시드, 및 유기 염기 예컨대,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DBU) 또는 1,5-디아자비시클로[4.3.0]논-5-엔(DBN)이 사용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03009997810-pct00004
상기 식에서, R1, R2, R3 및 X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β-락타마아제에 대한 화학식 (Ⅰ)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반응성을, 검출 시약로서의 이들의 용도를 입증하기 위해 시험하였다. 시험 실시예에서의 시험 화합물의 수는 하기에 언급된 실시예의 수에 상응한다. β-락타마아제 대한 비특이적 시약즉, 니트로세핀 [화합물 A: 3-(2,4-디니트로스티릴)-7-(2-티에닐아세트아미도)-3-세펨-4-카르복실산]을 기준 화합물로서 사용하였다.
시험 실시예 1)
각각의 시험 화합물을 디메틸 술폭시드중에 용해시켰다. 디스크당 5 또는 25㎍의 시험 화합물을 함유하는 8mm 직경의 종이 디스크를 준비하고, 공기중에 건조시켰다. 각각의 이러한 디스크에, 증류수를 사용하여 1U/ml의 농도로 제조된 β-락타마아제(50㎕)의 용액을 적가시켰다. 그 후, 색 변화를 관찰하여, 하기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β-락타마아제에 대한 각각의 시험 화합물의 반응성을 입증하였다.
표 1 β-락타마아제에 대한 반응성
시험 화합물 함량(㎍/디스크) PCase CEPase ESBL 색 변화
화합물 1 5 - - ++ 연노란색->적색
화합물 2 5 - - + 연노란색->오렌지색
화합물 3 25 - - + 연노란색->금빛 노란색
화합물 4 5 - - ++ 연노란색->오렌지색
화합물 5 5 - - ++ 연노란색->적색
화합물 6 5 - - ++ 연노란색->오렌지색
화합물 A 5 ++ ++ ++ 연노란색->적색
- : 음성 +: 양성 ++: 강한 양성
PCase는 세레우스균(B.cereus)(시그마 케미칼 코포레이션(Sigma Chemical Co.) 제품: PCase 타입 Ⅰ)으로부터 단리된 효소이고, CEPase는 이.클로아카에(E.cloacae)(시그마 케미칼 코포레이션 제품: CEPase 타입 Ⅳ)로부터 단리된 효소이다.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β-락타마아제인 PCase 및 CEPase와는 반응하지 않았고, 짧은 기간동안 ESBL과 반응하여 색채를 연노란색에서 금빛 노란색 내지 적색으로 변화시켰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통상적인 β-락타마아제 검출 시약인 기준 화합물로는 불가능하였던 ESBL의 선택적인 검출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화합물 Ⅰ은 PCase-, CEPase- 또는 ESBL-생성 박테리아에 대해 유사한 결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ESBL-생성 박테리아 검출 시약으로서의 이들의 이용가능성은 훨씬 유망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 Ⅰ이 ESBL-생성 박테리아 검출 시약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배양되고 단리된 박테리아 뿐만 아니라, 점액질 표본으로부터 배양된 박테리아도 검출용 샘플로 충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ESBL-검출 시약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ESBL의 존재 여부는 박테리아의 배양액(5-10㎕)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 술폭시드와 같은 용매중에 용해된 본 발명의 화합물이 스며든 흡수 셀룰로오스 예컨대, 필터 페이퍼 또는 덱스트란의 백색 또는 엷은 색 디스크에 적가시킴으로써 신속하게 검출될 수 있다; 적하하고 10분 후 또는 가장 길게는 30분 후에 색 변화를 관찰할 수 있어, ESBL의 존재 여부를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 점에 있어서, 적색 또는 오렌지색과 같은 진한 색으로의 색 변화가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색이 반응 전에는 연노란색을 띠기 때문이다.
β-락탐 고리의 분해로 인한 단기간 동안의 발색현상으로 특징되며, UV-VIS 분광광도계와 같은 광학측정기가 필요하지 않는 측정에 유용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ESBL에 대한 단순하고 신속한 검출 시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검출 시약의 농도 및 검출용 샘플의 인큐베이션 시간의 표준화는 정량 측정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가장 우수한 방법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화합물 1)의 제법
(1) 아세톤(10ml)중에 용해되고, 요오드화나트륨(145.4mg, 0.97mmol) 및 트리페닐포스핀(254.4mg, 0.97mmol)이 첨가된 7-[2-(1-메틸-1-3차-부톡시카르보닐에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벤질히드릴 에스테르(940mg, 0.97mmol)를 실온하에서 1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 아세톤이 반으로 줄어들 정도로 농축시켰다. 그 후, 반응 혼합물에 디클로로메탄(10ml), 물(10ml), 2,4-디니트로벤즈알데히드(760.9mg, 3.88mmol) 및 탄산수소나트륨(244.4mg, 2.91mmol)을 첨가하고, 실온하에서 밤새 교반시켰다. 디클로로메탄층을 제거하고, 물층을 디클로로메탄(20ml)으로 추출하고 디클로로메탄층과 배합시키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여과된 여과물에 와코 겔(Wako GelTM) C-200(10g)을 첨가하고, 흡착을 위해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와코 겔TM C-200으로 충전된 건식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크로마토그래핑하였다. 불순물을 400ml의 헥산-에틸 아세테이트(4:1)로 제거시키고, 표적화된 대상을 헥산-에틸 아세테이트(1:1)로 용리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헥산-에테르(1:1)로 결정화시켜 오렌지색 분말로서 730mg(수율: 67.7%)의 7-[2-(1-메틸-1-3차-부톡시카르보닐에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벤즈히드릴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Z-이성질체임을 나타냈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05
(2) 수득된 화합물(500mg, 0.45mmol)과 아니솔(1ml, 9.0mmol)의 혼합물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2ml, 67.5mmol)을 빙수 냉각하에서 적가하고, 이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혼합물에 이소프로필 에테르(50ml)를 첨가하고,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제거하고, 이소프로필 에테르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노란색 분말로서 160mg(수율:46.7%)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E-이성질체임을 나타냈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06
실시예 2: 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화합물 2)의 제법
(1) 7-[2-(1-메틸-1-3차-부톡시카르보닐에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벤즈히드릴 에스테르(775mg, 0.8mmol), 요오드화나트륨(120mg, 0.8mmol), 트리페닐포스핀(210mg, 0.8mmol), 4-니트로벤즈알데히드(483mg, 3.2mmol) 및 탄산수소나트륨(200mg, 2.4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1)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노란색 분말로서 568mg(수율:66%)의 7-[2-(1-메틸-1-3차-부톡시카르보닐에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벤즈히드릴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Z- 및 E-이성질체의 혼합물(약 3:1)임을 나타냈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07
(Z-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08
(E-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09
(2) 수득된 화합물(400mg, 0.38mmol), 아니솔(1ml, 9.0mmo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m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2)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노란색 분말로서 175mg(수율: 65%)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Z- 및 E-이성질체의 혼합물(약 3:1)임을 나타냈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10
(Z-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11
(E-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12
실시예 3: 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화합물 3)의 제법
(1) 7-[2-(1-메틸-1-3차-부톡시카르보닐에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벤즈히드릴 에스테르(775mg, 0.8mmol), 요오드화나트륨(120mg, 0.8mmol), 트리페닐포스핀(210mg, 0.8mmol), 4-시아노벤즈알데히드(428mg, 3.2mmol) 및 탄산수소나트륨(200mg, 2.4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1)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크림색 분말로서 464mg(수율: 55%)의 7-[2-(1-메틸-1-3차-부톡시카르보닐에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4-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벤즈히드릴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Z- 및 E-이성질체의 혼합물(약 1:1)임을 나타냈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13
(Z-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14
(E-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15
(2) 본 화합물(398mg, 0.38mmol), 아니솔(1ml, 9.0mmo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ml, 67.5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2)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크림색 분말로서 154mg(수율: 58%)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Z- 및 E-이성질체의 혼합물(약 1:1)임을 나타냈다.
실시예 4: 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화합물 4)의 제법
(1) 7-[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벤즈히드릴 에스테르(395mg, 0.47mmol), 요오드화나트 륨(70mg, 0.47mmol), 트리페닐포스핀(123mg, 0.47mmol), 4-니트로벤즈알데히드(284mg, 1.88mmol) 및 탄산수소나트륨(120mg, 1.4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1)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노란색 분말로서 242mg(수율: 55%)의 7-[2-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벤즈히드릴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Z- 및 E-이성질체의 혼합물(약 2:1)임을 나타냈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16
(Z-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17
(E-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18
(2) 본 화합물(210mg, 0.22mmol), 아니솔(0.5ml, 4.5mmo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5ml, 33.8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2)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노란색 분말로서 100mg(수율: 70%)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Z- 및 E-이성질체의 혼합물(약 2:1)임을 나타냈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19
(Z-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20
(E-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21
실시예 5: 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화합물 5)의 제법
(1) 7-[2-3차-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벤즈히드릴 에스테르(500mg, 0.53mmol), 2,4-디니트로벤즈알데히드(416mg, 2.12mmol), 요오드화나트륨(79.4mg, 0.53mmol), 트리페닐포스핀(139mg, 0.53mmol) 및 탄산수소나트륨(133.6mg, 1.59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1)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노란색 분말로서 350mg(수율: 61%)의 7-[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 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벤즈히드릴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Z-이성질체임을 나타냈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22
(2) 본 화합물(238mg, 0.22mmol), 아니솔(0.5ml, 4.5mmo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5ml, 33.8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2)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노란색 분말로서 120mg(수율: 73%)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E-이성질체임을 나타냈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23
실시예 6: 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화합물 6)의 제법
(1) 7-[2-3차-부톡시카르보닐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클로로메틸-3-세펨-4-카르복실산 벤즈히드릴 에스테르(470mg, 0.5mmol), 요오드화나트륨(75mg, 0.5mmol), 트리페닐포스핀(131mg, 0.5mmol), 4-니트로벤즈알데히드(302mg, 2mmol) 및 탄산수소나트륨(126mg, 1.5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1)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노란색 분말로서 260mg(수율: 50%)의 7-[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2-(2-트리틸아미노티아졸-4-일)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벤즈히드릴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Z- 및 E-이성질체의 혼합물(약 2:1)임을 나타냈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24
(Z-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25
(E-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26
(2) 본 화합물(257mg, 0.25mmol), 아니솔(0.5ml, 4.5mmo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5ml, 33.8mmol)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2)에 기재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을 수행하여 노란색 분말로서 126mg(수율: 73%)의 표제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NMR 스펙트럼은 본 표본이 Z- 및 E-이성질체의 혼합물(약 2:1)임을 나타냈다.
Figure 112003009997810-pct00027
(Z-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28
(E-이성질체)
Figure 112003009997810-pct00029
산업적 이용가능성
β-락탐 고리의 분해로 인해 단기간 동안 발색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세펨 화합물은 UV-VIS 분광광도계와 같은 광학측정기 없이 ESBL의 선택적인 검출에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ESBL에 대한 단순하고 신속한 검출 시약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검출 시약의 농도 및 검출용 샘플에 대한 인큐베이션 시간의 표준화는 정량분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Claims (9)

  1. 화학식 (Ⅰ)의 세펨 화합물 또는 이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112006058270192-pct00030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각각 수소 원자, 니트로 또는 시아노이며;
    R3은 카르복실로 치환될 수 있는 C1-C6 알킬이며;
    R4는 수소 원자 또는 아미노이고;
    X는 -S- 또는 -SO-이며;
    R1 및 R2 둘 모두가 동시에 수소 원자는 아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X가 -S-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3이 카르복실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 또는 카르복실로 치환될 수 있는 프로필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R4가 아미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X가 -S-이고, R3은 카르복실로 치환될 수 있는 메틸, 또는 카르복실로 치환될 수 있는 프로필이며, R4는 아미노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이
    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시아노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7-[2-(2-아미노티아졸-4-일)-2-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 또는
    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4-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이 7-[2-(2-아미노티아졸-4-일)-2-(1-카르복시-1-메틸에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8.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이 7-[2-(2-아미노티아졸-4-일)-2-카르복시메톡시이미노아세트아미도]-3-(2,4-디니트로스티릴)-3-세펨-4-카르복실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합물.
  9. 착색 성분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을 함유하는 광범위 β-락타마아제(ESBL) 검출 시약.
KR1020037004165A 2000-09-22 2001-09-21 세펨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esbl-검출 시약 Expired - Fee Related KR1007851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88719 2000-09-22
JP2000288719 2000-09-22
PCT/JP2001/008235 WO2002024707A1 (fr) 2000-09-22 2001-09-21 Composes cephemes et reactifs de detection de beta-lactamases a large spectre, contenant ces compos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485A KR20030040485A (ko) 2003-05-22
KR100785155B1 true KR100785155B1 (ko) 2007-12-11

Family

ID=18772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165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5155B1 (ko) 2000-09-22 2001-09-21 세펨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esbl-검출 시약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897304B2 (ko)
EP (1) EP1325923B1 (ko)
JP (1) JP4475868B2 (ko)
KR (1) KR100785155B1 (ko)
CN (1) CN1225468C (ko)
AT (1) ATE347558T1 (ko)
AU (2) AU2001290256B2 (ko)
CA (1) CA2423328C (ko)
DE (1) DE60125053T2 (ko)
DK (1) DK1325923T3 (ko)
ES (1) ES2277941T3 (ko)
WO (1) WO20020247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3843A (ko) * 2002-10-29 2005-08-26 쇼와 야쿠힝 가코 가부시키가이샤 β-락타마제 검출시약 조성물, 검출키트 및 검출방법
JP2004166694A (ja) * 2002-10-29 2004-06-17 Showa Yakuhin Kako Kk β−ラクタマーゼ検出試薬組成物、検出キット及び検出方法
FR2881755B1 (fr) 2005-02-10 2012-11-30 Biomerieux Sa Milieux pour la detection specifique de micro-organismes resistants
US10782291B2 (en) 2006-12-19 2020-09-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hromogenic medium for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Vancomycin resistant enterococci and method therefor
CA2702257C (en) 2007-10-09 2016-07-12 Sopharmia, Inc. Broad spectrum beta-lactamase inhibitors
WO2009051838A1 (en) 2007-10-19 2009-04-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detection of beta-lactamases
WO2010047778A1 (en) 2008-10-20 2010-04-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Compositions for the detection of intracellular bacterial targets and other intracellular microorganism targets
GB0915196D0 (en) 2009-09-01 2009-10-07 King S College London Therapeutic compounds and their use
FR2956868B1 (fr) 2010-03-01 2014-01-10 Bio Rad Pasteur Procede rapide de detection d'enzymes et de microorganismes
EP2968352B1 (en) * 2013-03-12 2018-09-26 Gladius Pharmaceuticals Corporation Derivatized 3-styryl-cephalosporins
GB201712671D0 (en) * 2017-08-07 2017-09-20 Mast Group Ltd Chromogenic Carbapenemase detection method
WO2025078568A1 (en) * 2023-10-12 2025-04-17 Coris Bioconcept Beta-lactamase substrate compounds and electrochemical detection methods using th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0700A (en) 1971-10-07 1974-08-20 Glaxo Lab Ltd Test for beta-lactamase activity using chromogenic cephalosporin compound
EP0175610A2 (en) * 1984-09-07 1986-03-26 Meiji Seika Kaisha Ltd. New cephalosporin compounds and the produ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464B2 (ja) * 1988-09-02 1994-05-11 明治製菓株式会社 新規セフェム化合物、その製造法及び抗菌剤
JP4437849B2 (ja) * 1999-05-14 2010-03-24 栄研化学株式会社 基質拡張型β−ラクタマーゼ(ESBL)産生菌の鑑別方法
JP2004166694A (ja) * 2002-10-29 2004-06-17 Showa Yakuhin Kako Kk β−ラクタマーゼ検出試薬組成物、検出キット及び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0700A (en) 1971-10-07 1974-08-20 Glaxo Lab Ltd Test for beta-lactamase activity using chromogenic cephalosporin compound
EP0175610A2 (en) * 1984-09-07 1986-03-26 Meiji Seika Kaisha Ltd. New cephalosporin compounds and the produc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9025601A (en) 2002-04-02
AU2001290256B2 (en) 2006-04-06
JPWO2002024707A1 (ja) 2004-01-29
KR20030040485A (ko) 2003-05-22
CN1474823A (zh) 2004-02-11
CA2423328C (en) 2010-01-12
EP1325923A1 (en) 2003-07-09
US20040019202A1 (en) 2004-01-29
DK1325923T3 (da) 2007-04-02
JP4475868B2 (ja) 2010-06-09
CA2423328A1 (en) 2003-03-20
EP1325923A4 (en) 2005-08-03
DE60125053D1 (de) 2007-01-18
WO2002024707A1 (fr) 2002-03-28
ATE347558T1 (de) 2006-12-15
EP1325923B1 (en) 2006-12-06
US6897304B2 (en) 2005-05-24
ES2277941T3 (es) 2007-08-01
DE60125053T2 (de) 2007-06-21
CN1225468C (zh) 200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155B1 (ko) 세펨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esbl-검출 시약
US5445943A (en) Method for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an analyte by means of benzyl alcohol dehydrogenase and a chromogenic redox indicator
JP6351511B2 (ja) 非対称Siローダミン及びロドールの合成
Rukavishnikov et al. Fluorogenic cephalosporin substrates for β-lactamase TEM-1
US4353824A (en) Chromophoric cephalosporins
CN108137574B (zh) 羟烷基噻二唑衍生物
Kumar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4-thiazolidinone conjugatives
CN102791718B (zh) 作为α-7烟碱乙酰胆碱受体配体的奎宁环化合物
Wu et al. Synthesis, antimicrobial activity and possible mechanism of action of 9-bromo-substituted indolizinoquinoline-5, 12-dione derivatives
WO2021160732A1 (en) Fluorescent rhodamine dyes with enhanced cell permeability
Skinner et al. A rotaxane of a 1, 1′-disubstituted ferrocene and β-cyclodextrin
US11022602B2 (en) Antibiotic-based conjugat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10822318B2 (en) Lactone-based prob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Hirano et al. Novel stable fluorophore, 6-methoxy-4-quinolone, with strong fluorescence in wide pH range of aqueous media, and its application as a fluorescent labeling reagent
SU955861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стрептоварицина с
Angelino et al. The use of immobilized enzymes in organic synthesis. Part 8. Oxidation of 1‐aryl‐3‐carbamoylpyridinium chlorides by rabbit liver aldehyde oxidase and bovine milk xanthine oxidase
Donner et al. Pigments of Fungi. LXIX. Total Synthesis of (R)-Ochratoxin α and the Formal Total Synthesis of Ochratoxin
Chamberlin et al. Chemistry of Cephalosporin Antibiotics. X. 1 Synthesis of Methyl 3-Formyl-7-(thiophene-2-acetamido)-3-cephem-4-carboxylate, a New Cephalosporin Derivative
Kóczián et al. Site-specific protonation microequilibria of penicillin and cephalosporin beta-lactam core molecules
Johnson et al. The Chemistry of Actinamine1
JP4175608B2 (ja) メタロ−β−ラクタマーゼ測定用試薬
Agustini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Evaluation of Two Derivatives of 7-Aminocephalosporanic Acid
JPH0242086A (ja) (3‐ヒドロキシ‐4‐ピリドン‐1‐イル)メチル基を有する新規セファロスポリン誘導体
US4853407A (en) Aminoethylcysteine derivatives
Vorona et al. Synthesis and structural modification of tert-butyl ester of 7α-chloro-2-(N, N-dimethylaminomethylene)-3-methyl-1, 1-dioxoceph-3-em-4-carboxylic ac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