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5080B1 -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080B1
KR100785080B1 KR1020060062191A KR20060062191A KR100785080B1 KR 100785080 B1 KR100785080 B1 KR 100785080B1 KR 1020060062191 A KR1020060062191 A KR 1020060062191A KR 20060062191 A KR20060062191 A KR 20060062191A KR 100785080 B1 KR100785080 B1 KR 100785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late
transfer
solid material
cor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호
Original Assignee
김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호 filed Critical 김찬호
Priority to KR1020060062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08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0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 B65G17/065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a single traction element
    • B65G17/06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having a load-carrying surface formed by a series of interconnected, e.g. longitudinal, links, plates, or platforms the load carrying surface being formed by plates or platforms attached to a single traction element specially adapted to follow a curv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4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moving bulk material in closed conduits, e.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65G23/08Drums, rollers, or wheels with self-contained driving mechanisms, e.g. motors and associat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er Or Impeller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개시된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는 구동모터로 연동되고, 이송판의 이동을 안내하게 진입, 리턴 파이프가 연결 설치되고, 저부의 배출슈트를 통해 고형물이 배출되도록 형성된 구동유니트와; 상기 진입, 리턴 파이프에 연결되는 투입 파이프, 코너파이프, 연결파이프들이 클램프로 연결 설치되어 고형물이 이송되도록 배치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구동유니트에 연결 설치되고 순환파이프 내부를 이동하여 고형물을 일정 장소까지 운반하도록 설치된 이송판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는 수평, 수직, 곡선, 상하 좌우 등 이송거리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설치된 이송파이프에 투입된 이송물을 저장 호퍼나 제2,3의 처리공정시설까지 이송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 처리하는 이송판은 체인에 2점 부착으로 용접되고, 파이프 내주면에 갭을 두고 설치되고, 파이프의 곡선부분에는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체인과 파이프의 마모 방지로 이송부하를 경감시켜서 내구성 증대와 보수 유지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고액분리기, 탈수기, 고액이송장치, 투입구, 체인, 이송판,

Description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SOLID MATERIAL CONVEYANCE DEVICE }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오수 이송장치의 파이프라인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파이프라인 내에 설치되는 체인과 이송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파이프라인의 코너부에 마찰판이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구동유니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4에서 순환파이프의 연결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4에서 순환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A-A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9는 도 4에서 순환파이프의 코너파이프에 롤러가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서 코너파이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4에서 이송원판의 장착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은 도 11에서 이송원판의 장착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도 11에서 이송원판 장착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4는 도 11에서 이송원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5는 도 11에서 이송원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고형물 이송 처리장치 40:구동유니트
41:구동유압모터 42,43:진입, 리턴 파이프
44:배출슈트 45:회전축
46:가이드휠 47:체인스프로킷
50:순환파이프 51:투입 파이프
52:코너파이프 53:연결파이프
54:클램프 55:투입구
56:체인 안내롤러 57:클램프홈
60:이송판 61:체인
62:체결판 66:통수공
본 발명은 고형물 이송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 수직, 곡선, 상하 좌우 등 이송거리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설치된 이송파이프에 투입된 이송물을 저장 호퍼나 제2,3의 처리공정시설까지 이송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 처리하는 이송판은 체인에 2점 부착으로 용접되고, 파이프 내주면에 갭을 두고 설치되고, 파이프의 곡선부분에는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체인과 파이프의 마모 방지에 의한 이송부하를 경감시켜 내구성 증대와 보수 유지관리를 쉽게 한 고형물 이 송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 및 축산농가 등에서 발생하는 생활 오수나, 공장에서 발생되는 산업 오폐수는 미정화상태로 바다나 하천으로 방류되어 수질 오염이 초래되기 때문에 오폐수는 일정한 장소에 설치된 오수처리장을 거쳐 정화된 상태로 방류되게 된다.
상기한 오수처리장의 폐수처리시설에서는 오수에 함유된 각종 슬러지(침전물)를 물에서 분리 제거되는 슬러지 제거 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렇게 처리되는 슬러지의 발생량은 수질오염기준의 강화, 하수 처리율의 증가, 상수원의 수질 악화 등으로 매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오폐수처리장에서 수행되는 고형물 제거는 오수 유입구에서 협잡물 제거를 위해 스크린으로 걸러진 오수를 침전실로 유입시킨다. 그리고 나서 상기 침전실의 바닥에 각종 침사물과 협잡물이 포함되어 가라앉은 오수를 연속적으로 순환 이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이동된 각종 침사물과 협잡물은 바스켓 컨베이어(침사 인양기)를 이용하여 퍼올린 다음, 이를 여러 단계의 차기 이송수단이 인계받아 일정 장소에 설치된 운반 컨테이너나 저장호퍼까지 이송된다.
하지만 상기 스크린과 바스켓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퍼 올린 협잡물과 침사물을 인계받은 이송수단들은 다수의 벨트 컨베이어를 연계시켜 슬러지를 운반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하는 폐단이 있는 것이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경우 이송물이 외부로 노출되어 협잡물, 침 사물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해 작업환경을 크게 악화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벨트 컨베이어는 직선 상태로의 이송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협잡물 및 침사물을 외부의 배출장소까지 이송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의 컨베이어 설치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슬러지의 이송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컨베이어 장치의 제작과 설치가 까다로워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여러 단계의 컨베이어를 시설하게 되므로 장비가 대형화되고 여러 개의 구동부가 설치됨에 따라 보수 관리에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여러 단계의 컨베이어에 의하여 대형화됨에 따라 시설된 장치의 점유면적 증가를 가져와 보수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막대한 투자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시된 종래 일부 문제점을 극복한 특허 등록 10-0331894호 '오수의 슬러지 이송장치'가 알려져 있으나, 종래의, 오수 이송장치(2)는 파이프라인(4)의 내부로 투입되는 이송물을 이송하는 이송판(6)이 체인(5)에 의하여 파이프라인(4)을 따라 구동장치(8)의 구동력에 의하여 특정한 곳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송판(6)의 외곽이 체인(5)에 의하여 파이프내 외주면과 일정 갭(G)을 두고 있어 이송물인 슬러지의 이송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파이프라인(4)의 설치에 따른 연결시 파이프의 플렌지(10)에 형성된 볼트구멍 상호 간을 맞추어 가면서 투입구(12)의 자세 조정을 통해 파이프들을 연결 고정하여야 함에 따라 연결시 볼트구멍이 일치하지 않거나 하는 등 불편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송판(6)은 기립된 체인(5)에 1점 접촉으로 설치되고 있어 슬러지 이송시 파이프 내경과 갭(G)이 발생한 상태로 이송물인 슬러지가 이송됨에 따라 슬러지를 제대로 이송시키지 못하고 파이프라인 내에 흘리면서 이송하게 되어 이송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이송판은 체인에 1점 장착됨에 따라 불안정한 상태는 물론, 용접된 부위가 체인 스프로킷, 코너부에서 탈락 및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인의 마모로 인한 유지보수시 이송판을 포함한 체인 모두를 교체하여야 함으로써 정비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체인(5)이 체인 스프로킷의 구동력을 받아 파이프라인(4)의 내부에서 무한궤도 상태로 이동을 할 때, 파이프라인의 유턴부나 코너부에서 코너 부위 각을 45°각도 정도밖에 안되기 때문에 90°경우 45° 2개를 연결 부착해야 했고, 이 부분에 코너하우징(14)을 마련하여 조정볼트(16)로 조정되는 라이너(18)를 설치하여 체인(5)에 장력이 걸릴 때, 라이너(18)를 미끄러져 이동되도록 되어 있어 라이너의 마모율이 심하며, 교체를 자주 하여야 하는 등 유지보수비에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한 라이너가 제때에 교환되지 못할 경우 파이프 자체까지 훼손이 발생되어 막대한 물적 손실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 수직, 곡선, 상하 좌우 등 이송거리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설치된 이송파이프에 투입된 이송물을 저장 호퍼나 제2,3의 처리공정시설까지 이송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 처리하는 이송판은 체인에 2점 부착으로 용접되고, 파이프 내주면에 갭을 두고 설치되고, 파이프의 곡선부분에는 롤러를 설치함으로써, 체인과 파이프의 마모 방지로 이송부하를 경감시켜서 내구성 증대와 보수 유지관리가 용이한 고형물 이송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구동모터로 연동되고, 이송판의 이동을 안내하게 진입, 리턴 파이프가 연결 설치되고, 저부의 배출슈트를 통해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구동유니트와;
상기 진입, 리턴 파이프에 연결되는 투입 파이프, 코너파이프, 연결파이프들이 클램프로 연결 설치되어 슬러지가 이송되도록 배치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구동유니트에 연결 설치되고 순환파이프 내를 이동하여 슬러지를 운반되게 설치한 이송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구동유니트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스프로킷에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스프로킷이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이송판의 자세를 안내하는 가이 드휠이 설치된 체인스프로킷과; 상기 체인스프로킷의 양측에 진입, 리턴 파이프로 안내가 용이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순환파이프는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 파이프와, 투입 파이프 간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와, 체인 안내롤러가 설치되는 코너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는 클램프로 구성된다.
상기 이송판은 체인에 일정 간격을 두고 해당 1개 링에 2점 접촉으로 설치된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 슬러지를 이송하게 볼트로 체결되는 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너파이프는 코너의 안쪽에 형성되는 코너하우징과, 코너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상,하축베이스와, 상,하축베이스에 베어링으로 설치되는 장구형 롤러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는 힌지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호형부와, 이 호형부의 일단이 볼트로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부와, 상기 호형부의 내주면 가장자리에 병렬로 돌출되는 조임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판은 통수공이 뚫린 스푼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송판은 폴리에틸렌,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구동유니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30)는 크게 구동유니트(40)와, 순환파이프(50)와, 이송판(6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유니트(40)는 구동모터(41)로 구동되고, 이송판(60)의 이동을 안내하게 진입, 리턴 파이프(42)(43)가 연결 설치되고 있으며, 저부의 배출슈트(44)를 통해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동유니트(40)는 구동모터(41)와, 구동모터(41)의 스프로킷(41-1)에 링크체인(44)으로 연결 설치되는 스프로킷(45-1)이 구비된 회전축(45)과, 상기 회전축(45)에 이송판(60)의 자세를 안내하는 가이드휠(46)이 설치된 체인스프로킷(47)과; 상기 체인스프로킷(47)의 양측에 설치된 진입, 리턴 파이프(42)(43)에 의해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출슈트(44)는 슬러지가 정확히 저장 공간에 저장되도록 돌출 형성되된다.
도 6은 도 4에서 순환파이프의 연결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서 순환파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도 4에서 순환파이프의 코너파이프에 롤러가 설치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코너파이프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순환파이프(50)는 진입, 리턴 파이프(42)(43)에 연결되는 투입 파이프(51), 코너파이프(52), 연결파이프(53)들이 클램프(54)로 연결 설치되어 슬러지가 이송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순환파이프(50)는 투입구(55)가 형성된 투입 파이프(51)와, 투입 파이 프(51) 간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53)와, 체인 안내롤러(56)가 설치되는 코너파이프(52)와, 상기 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는 클램프(54)로 구성된다. 상기 순환파이프(50)는 설치 현장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길이로 제작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클램프(54)는 힌지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호형부(54-1)와, 이 호형부(54-1)의 일단이 볼트(54-2)로 체결되도록 형성된 체결부(54-3)와, 상기 호형부(54-1)의 가장자리에 병렬로 돌출되는 조임돌기(54-4)가 형성된다. 상기 조임돌기(54-4)가 순환파이프(50)의 양단에 형성된 클램프홈(57)에 삽입되어 맞물리게 됨으로써 파이프 상호간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코너파이프(52)는 코너의 안쪽에 형성되는 코너하우징(52-1)과, 코너하우징(52-1)내에 설치되는 상,하축베이스(52-2)(52-3)와, 상,하축베이스(52-2)(52-3)에 베어링(52-4)으로 설치되는 장구형의 체인 안내롤러(56)로 구성된다. 상기 장구형의 체인 안내롤러(56)의 설치로 체인(61)과 이송판(60)의 이동이 코너부에서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코너파이프(52)는 체인 안내롤러(56)가 설치되며, 코너부의 각도가 45°일때 1개를, 90°일때 2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꺽임 각도가 클수록 체인 안내롤러(56)는 2개 이상 설치된다.
또, 코너파이프(52)를 변경한 유턴파이프(52-5)는 일정 곡률로 구배진 유턴가이드 받침대(52-6)위를 이동하게 설치되어 있어 설치환경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4에서 이송원판의 장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은 도 11에서 이송원판의 장착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11에서 이송원판의 장착의 다른 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14,15는 도 11에서 이송원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판(60)은 구동유니트(40)에 연결 설치되고 순환파이프(50) 내에서 슬러지를 일정 장소까지 운반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송판(60)은 체인(61)의 1개 고리에 2점으로 부착되는 체결판(62)과, 이 체결판(62)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체결판(62)과 판(64)이 맞대어져 볼트(63)로 체결된다.
상기 이송판(60)과 순환파이프(50) 내벽과의 사이에 발생한 틈새(G')는 기존 기술보다 작게 형성되어 슬러지의 이송효율을 보다 향상시키게 된다.
또, 판(64)은 체결판(62)에 형성된 홈(65)에 삽입되어 볼트(63)로 체결된다. 상기 이송판(60)의 판(64)은 통수공(66)이 뚫린 스푼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판(60)은 구동유니트(40)에 연결 설치되고 순환파이프(50) 내를 이동하여 슬러지를 일정 장소까지 운반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이송판(60)은 폴리에틸렌 또는 프라스틱 소재로 제조되고, 볼트(63)로 체결되고 있어 마모시에는 볼트(63)를 풀고 교환하면 된다. 즉, 현장조건에 따라서 부착방법과 형상은 다양하며,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변경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순환파이프(50)의 연결은 클램프(54)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기존 파이프의 연결시 플렌지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일치시켜 각도(예를 들어 투입구의 자세)를 맞춘 후 체결하게 되어 있어 힘들었으나, 본 발명에 제시되고 있는 클램프(54)는 장소가 협소하거나, 난해한 각도로 설치가 요구되더라도 쉽게 조립되고, 분리도 간단히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구동유니트(40)의 구동모터(41) 작동으로 회전하는 체인스프로킷(47)은 체인을 당겨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이송판(60)은 리턴 파이프(43)를 빠져나와 연결파이프(53)와, 코너파이프(52)와, 투입파이프(51)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순환파이프(50) 내를 이동할 때 투입구(55)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는 이송판(60)이 투입파이프(51) 통과시 슬러지를 긁어 모아 운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이송판(60)들이 투입파이프(51)를 지날 때 투입구(55)에 공급되어 쌓인 슬러지를 일정량씩 가져가게 되고, 이 슬러지는 연결파이프(53), 코너파이프(52), 투입파이프(51)들을 이동하게 된다.
이후, 이송판(60)은 진입파이프(42)를 통과해 가이드롤러(도시생략한)로 안내되면서 슬러지를 배출슈트(44) 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배출슈트(44)를 통과한 슬러지는 저장 콘테이너(32)에 저장된다.
그리고 나서 이송판(60)은 구동모터(41)의 동력에 의하여 리턴파이프(43)측으로 이동된 후에는 연결파이프(53), 코너파이프(52), 투입파이프(51) 순으로 다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슬러지 이송구조의 단순화로 구성 부품수의 감소가 이루어 져 장치의 제조와 설치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성 부품수의 감소로 제조원가의 절감은 물론 장치의 점유면적을 감소시켜 장비가 불필요하게 대형화되는 것이 방지되어 보수 관리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특히, 슬러지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된 순환파이프를 이송통로로 이용하게 됨으로써 배출장소까지 운반중에 슬러지의 악취 유출이 방지되어 작업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순환파이프 중 코너파이프에는 체인 안내롤러를 설치하여 마모가 방지되도록 한 내구성 증대 효과가 있다.
난해한 설치공간에서 순환구조로 배치할 수 있으며, 체인과 파이프간의 마모를 현저히 줄이게 되어 장치의 수명이 혁신적으로 연장됨은 물론 유지관리가 아주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이송판과 순환 파이프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는 기존 갭보다 축소되어 설치됨에 따라 슬러지의 이송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구동모터로 연동되고, 이송판의 이동을 안내하게 진입, 리턴 파이프가 연결 설치되고, 저부의 배출슈트를 통해 슬러지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구동유니트와;
    상기 진입, 리턴 파이프에 연결되는 투입 파이프, 코너파이프, 연결파이프들이 힌지로 연결되는 복수 호형부 일단에 볼트로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호형부의 내주면 가장자리에 병렬로 돌출되는 조임돌기가 형성된 클램프로 연결 설치되어 슬러지가 이송되도록 배치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구동유니트에 연결 설치되고 순환파이프 내를 이동하여 슬러지를 운반하게 설치된 이송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니트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스프로킷에 체인으로 연결 설치되는 스프로킷이 구비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이송판의 자세를 안내하는 가이드휠이 설치된 체인스프로킷과; 상기 체인스프로킷의 양측에 진입, 리턴 파이프로 안내가 용이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이송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순환파이프는 투입구가 형성된 투입 파이프와, 투입 파이프 간을 연결하는 연결파이프와, 체인 안내롤러가 설치되는 코너파이프부와, 상기 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는 클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이송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은 체인의 1개 고리에 2점 접촉되게 부착되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체결판과, 상기 체결판에는 볼트로 판이 맞대어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이송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너파이프는 코너의 안쪽에 형성되는 코너하우징과, 코너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상,하축 베이스와, 상,하축 베이스에 베어링으로 설치되는 장구형 롤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이송처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은 판이 체결판의 홈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이송처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송판의 판은 통수공이 뚫린 스푼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물 이송처리장치.
KR1020060062191A 2006-07-03 2006-07-03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785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191A KR100785080B1 (ko) 2006-07-03 2006-07-03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191A KR100785080B1 (ko) 2006-07-03 2006-07-03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080B1 true KR100785080B1 (ko) 2007-12-12

Family

ID=39140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1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5080B1 (ko) 2006-07-03 2006-07-03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0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82B1 (ko) * 2010-05-10 2011-07-12 손성래 폐수 농도 감소 방법 및 장치
GB2591682A (en) * 2019-11-01 2021-08-04 Spiroflow Ltd Convey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0623A (ja) * 1992-05-27 1993-12-14 Mitsubishi Nagasaki Mach Co Ltd コンベヤ
JPH0648544A (ja) * 1991-08-08 1994-02-22 Mitsubishi Nagasaki Mach Co Ltd パイプコンベヤのコーナーローラ
JPH07148341A (ja) * 1993-11-25 1995-06-13 Tomiji Hagino たばこの吸い殻回収装置、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回収管路
JP2000203711A (ja) 1999-01-12 2000-07-25 Mitsubishi Nagasaki Mach Co Ltd 分割型ブレ―ドを用いた搬送チェ―ン及びパイプコンベ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544A (ja) * 1991-08-08 1994-02-22 Mitsubishi Nagasaki Mach Co Ltd パイプコンベヤのコーナーローラ
JPH05330623A (ja) * 1992-05-27 1993-12-14 Mitsubishi Nagasaki Mach Co Ltd コンベヤ
JPH07148341A (ja) * 1993-11-25 1995-06-13 Tomiji Hagino たばこの吸い殻回収装置、並びに該装置に用いる回収管路
JP2000203711A (ja) 1999-01-12 2000-07-25 Mitsubishi Nagasaki Mach Co Ltd 分割型ブレ―ドを用いた搬送チェ―ン及びパイプコンベ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682B1 (ko) * 2010-05-10 2011-07-12 손성래 폐수 농도 감소 방법 및 장치
GB2591682A (en) * 2019-11-01 2021-08-04 Spiroflow Ltd Conveying apparatus
GB2591682B (en) * 2019-11-01 2022-03-23 Spiroflow Ltd Convey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9159B2 (en) Removal of magnetic particles from a fluid
KR101246050B1 (ko) 오수처리용 드럼스크린 장치
US10486091B2 (en) Continuous belt screen
CN105600300B (zh) 一种mz型埋刮板污泥输送机及方法
KR101909238B1 (ko) 슬러지 유도배출부를 가진 슬러지 수집 시스템
US12275604B2 (en) Sweep system for full elevated floor grain bins
KR100801964B1 (ko) 혼합탱크형 침사분리장치
KR100785080B1 (ko) 고형물 이송 처리장치
KR100767769B1 (ko) 하수 처리조의 침사물 수집 배출 장치
KR102290628B1 (ko) 음식물쓰레기 이송 컨베이어
KR102139901B1 (ko) 부유물 데드존이 없는 무한궤도형 슬러지 수집기
KR20160080931A (ko) 구동체인 단락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수집 시스템
KR102012301B1 (ko) 슬러지 절단기능을 갖는 스크루 프레스
KR20200041472A (ko) 고형물 이송장치
CN115093007B (zh) 一种污水处理用沉淀池消毒装置
KR20120037548A (ko) 수조형 소각재 배출콘베이어의 스컴제거장치
KR101057389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100331894B1 (ko) 체인 컨베어 타입 파이프라인을 이용하는 오수의 슬러지이송장치
KR100623221B1 (ko) 하천 수로의 쓰레기 수거장치
KR100529506B1 (ko) 체인 스크래퍼식 플로우 컨베이어
KR200390469Y1 (ko) 슬러지처리용 스크레이퍼(30)를 갖춘 쓰레기분리수조
KR200315838Y1 (ko) 부하에 따라 운전이 제어되는 슬러지 수집기
KR200327273Y1 (ko) 로타리식 제진기의 하부 보조 레이크 및 압축형 로드셀에 의한 장력 조정장치
KR100311912B1 (ko) 침전조의 체인구동식 슬러지제거장치
KR101179045B1 (ko) 소각재 이송용 콘베이어벨트의 이물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