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947B1 -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 Google Patents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4947B1 KR100784947B1 KR1020060078356A KR20060078356A KR100784947B1 KR 100784947 B1 KR100784947 B1 KR 100784947B1 KR 1020060078356 A KR1020060078356 A KR 1020060078356A KR 20060078356 A KR20060078356 A KR 20060078356A KR 100784947 B1 KR100784947 B1 KR 1007849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seat belt
- support member
- elastic body
- lock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0—Anchoring devices adjustable in position, e.g. in he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59—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자동차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 자동차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는 차량본체에 부착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의 이동을 단속하는 잠금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10)는 내부의 일측벽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래치기어(11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120)는 프레임(122)과 상기 프레임(122)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126)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부(126)는 걸림부재(127)와 상기 걸림부재(127)의 끝단에 돌설되는 걸림돌기(128)로 구성되고, 상기 잠금부재(130)는 몸체(131)와 제1탄성체(140) 및 제2탄성체(15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잠금부재(130)와 상기 지지부재(120)의 상부걸림돌기(128a)를 연결하는 와이어(124)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걸림돌기(128a)의 누름식 동작에 의해 상기 제1탄성체(140)와 제2탄성체(150)에 작용하는 탄력 및 복원력으로 상기 지지부재(120)의 프레임(122)이 출입된다. 본 발명은 안전벨트 착용시 상기 케이스(110)로 부터 인출된 상기 지지부재(120)의 걸림부(126)가 안전벨트를 지지하여 안전벨트의 어깨, 가슴에 가해지는 압박을 해소하고, 안전벨트 착용률을 향상시킨다.As a vehicl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the vehicl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and the case 110 is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A support member 120 movably supported by the case 110; It includes a locking member 13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120. The cas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latch gears 112 formed on one side wall of the inside, and the support member 120 includes a frame 122 and a lock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122. 126). The locking portion 126 includes a locking member 127 and a locking protrusion 128 protruding from an end of the locking member 127, and the locking member 130 includes a body 131 and a first elastic body 140. ) And the second elastic body 150. The support member 120 includes a wire 124 connecting the locking member 130 and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128a of the supporting member 120 and is pushed by the upper locking protrusion 128a. The frame 122 of the support member 120 enters and exits with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acting on the first elastic body 140 and the second elastic body 150. When the seat belt is worn, the locking portion 126 of the support member 120 drawn from the case 110 supports the seat belt, thereby eliminat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houlder and chest of the seat belt, and the seat belt. Improve the wear rat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잠금부재(130)의 분해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4는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지지부재(120)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5는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가 차량내부에 장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operated in the vehicle;
도 6은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잠금부재(130)의 작동간 스프링누름부재(133)와 잠금돌기(135)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Fig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도 7은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잠금부재(130)의 작동간 래치기어(112)와 스토퍼(137)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code for main part of drawing
110 : 케이스, 112 : 래치기어(돌치), 114 : 인출홈110: case, 112: latch gear (dolchi), 114: drawing groove
120 : 지지부재, 122 : 프레임, 124 : 와이어(wire),120: support member, 122: frame, 124: wire,
125 : 고정핀, 126 : 걸림부, 127: 걸림부재,125: fixing pin, 126: locking portion, 127: locking member,
128 : 걸림돌기, 129 : 스프링, 130 : 잠금부재,128: locking projection, 129: spring, 130: locking member,
131 : 몸체, 132 : 중심축, 133 : 스프링누름부재,131: body, 132: central axis, 133: spring pressing member,
135 : 잠금돌기, 136 : 중공바, 137 : 스토퍼,135: locking projection, 136: hollow bar, 137: stopper,
138 : 유동홈, 140 : 제1탄성체, 150 : 제2탄성체138: flow groove, 140: the first elastic body, 150: the second elastic body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차량본체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단속하는 잠금부재로 구성되고, 안전벨트 착용시 상기 지지부재의 걸림부가 안전벨트를 지지하여 안전벨트의 어깨, 가슴에 가해지는 압박을 해소하기 위한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comprises a case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a support member movably supported on the case and a locking member for intermittent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safety When the belt is wor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support member supports a seat belt and a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for releas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houlder and chest of the seat belt.
달리던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 또는 어떤 물체와 충돌했을 때의 충격력은 속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안전벨트를 매지 않은 채 사고를 당할 경우 운전자는 핸들 및 대시보드 또는 유리창에 부딪치거나 유리창 밖으로 튕겨져 나가는 2차 충격을 당하게 되고, 교통사고시 사망사고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와같이 일반적으로 안전벨트는 교통사고시 사고의 피해를 경감시켜 줄 뿐만 아니라 운전자세도 바르게 유지시켜 줌으로써 안전운전에 도움을 준다. The impact force when a running car collides with another car or an object is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speed. Therefore, when the accident is not fastened by the seat belt, the driver is subjected to the second impact of hitting the handle and the dashboard or the windshield or to be thrown out of the windshield, which is the main cause of death in a traffic accident. As such, safety belts generally help to drive safely by not only reducing the damage of accidents in traffic accidents but also keeping the driver's posture right.
그러나, 안전벨트는 운전자가 주행속도에 의한 관성에 의해 좌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강한 압박력을 갖도록 구성되고, 특히 머리가 핸들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슴 및 복부를 동시에 압박함으로써 운전자의 움직임이 불편하고 짜증과 스트레스의 요인이 되어 많은 운전자들이 안전벨트 착용을 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된다. 도로교통법 제48조의 2에서 안전벨트 착용 의무를 규정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불편함으로 인해 도로교통법을 위반하여 벌금, 구류, 과료등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한다.However, the seat belt is configured to have a strong compressive force to prevent the driver from being disengaged from the seat due to the inertia caused by the speed of travel, and in particular the driver's movement by pressing the chest and abdomen simultaneously to prevent the head from hitting the handle. Inconvenient, irritable and stressful factors cause many drivers not to wear seat belts. Although Article 48-2 of the Road Traffic Act regulates the obligation to wear seat belts, such inconveniences can result in fines, detention and fines in violation of the Road Traffic Act.
이에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써, 차량운행시 안전벨트 착용간 지지부재가 안전벨트를 저지하여 운전자의 가슴에 가해지는 압박력을 해소하기 위한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seat belt pressure reduction device for releasing the pressing force applied to the driver's chest by the support member intervening the seat belt while wearing the vehicle. Its purpose is to.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인출되는 길이에 따라 운전자의 신체에 적합하도록 조정이 가능한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has an object to provide a seat belt compression reducing device that can be adjusted to fit the driver's body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member is drawn out.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잠금부재가 래치기어의 경사각을 회동함으로 자유롭게 인출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걸림돌기에 의한 한 번의 누름동작으로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이 단속되어 사용이 아주 편리한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is freely withdrawn as the locking member rotates the angle of inclination of the latch gear, the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is intermittent by one push operation by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support member provides a very convenient safety belt pressure reduction device. The purpose is to do tha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는 차량본체에 부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안전벨트 착용시 상기 안전벨트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을 단속하는 잠금부재로 구성된다.Safety belt pressure reduc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ase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and the support member that is movably supported on the case and supports the seat belt when wearing the seat belt and the movement of the support member. It consists of a locking member that is intermittent.
상기 케이스는 내부의 일측벽면이 다수의 래치기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it is preferable that one side wall surface of the case forms a plurality of latch gears.
상기 지지부재는 긴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절곡된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끝단에 돌설된 걸림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상부걸림돌기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upport member includes an elongate frame and a lock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frame, the locking portion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 locking member and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end of the locking member, and the frame is lock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wire connecting the member and the upper locking projection of the support member.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걸림부재와 분리되고 일측단부에 걸림턱을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재의 걸림대에 형성된 스프링과 연결되어 누름식 작동이 가능하게 유동되는 상부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locking protrusion includes an upper locking protrusion which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member, forms a locking jaw at one side end, and is connected to a spring formed on the locking stand of the locking member to enable a push operation.
상기 잠금부재는 유동홈을 형성하는 일부가 절개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심축과 상기 몸체의 유동홈의 상단에 설치되는 제1탄성체 및 상기 몸체의 우측 절개된 부분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2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체를 눌러주는 스프링누름부재와 상기 탄성체들의 탄성에 의해 움직이면서 단속운동을 하는 잠금돌기와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cking member may include a body in which a portion forming a flow groove is cut, a central ax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and a first elastic bod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flow groove of the body, and a center of a right cut portion of the body. It includes a second elastic body is install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pring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the first elastic body and the locking projection and the stopper for intermittent movement while moving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ies.
상기 스프링누름부재는 일측선단은 직각을 이루고 타측선단은 경사면을 이루는 절곡부와, 상기 스프링누름부재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누름부재를 지지해주는 지지돌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ring pressing member preferably has a bent portion at one end of which forms a right angle and the other end of which forms an inclined surface, and a support protrusion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spring pressing member and supporting the spring pressing member.
이하, 본 발명의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중 도 1은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는 한면이 차량 내부의 본체에 부착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로 부터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부재(120)와; 상기 지지부재(120)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120)의 이동을 단속하는 잠금부재(130)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상기 케이스(110)는 상기 지지부재(120)가 이동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인출홈(114)과 상기 인출홈(114)의 일측벽면이 다수의 래치기어(112)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재(120)는 직사각형의 긴 프레임(122)과, 상기 프레임(122)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걸림부(126)를 포함하고 있다.The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프레임(122)을 상기 케이스(110)로 부터 인출시 상기 잠금부재(130)가 상기 래치기어(112)의 경사각을 따라 회동함으로 자유롭게 인출된다.The
상기 걸림부(126)는 안전벨트를 지지하기에 알맞게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절곡된 걸림부재(127)와 상기 걸림부재(127)의 끝단부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걸림돌기(128)를 포함한다. 또한, 안전벨트가 충분히 유동할수 있도록 안전벨트의 폭만큼 돌설된다. 상기 걸림돌기(128)는 누름으로써 동작하는 상부걸림돌기(128a)와 하부걸림돌기(128b)로 이루어진다.The
첨부도면중 도 3은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잠금부재(130)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잠금부 재(130)는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중앙에 형성되는 중심축(132)과 제1탄성체(140)와 연결되는 구성품 및 제2탄성체(150)와 연결되는 구성품으로 구분된다.
상기 잠금부재(130)의 몸체(131)는 중앙의 축홈(139)과 상기 축홈(139)의 좌측부분의 유동홈(138) 및 절개부(142, 152)를 형성한다.The
상기 제1탄성체(140)와 연결되는 구성품은 일측선단은 직각을 이루고 타측선단은 경사면을 이루는 절곡부(133a)를 형성하는 스프링누름부재(133)와 상기 스프링누름부재(133)의 끝단에서 연장되고 상기 스프링누름부재(133)를 지지해 주는 지지돌기(13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탄성체(140)는 상기 몸체(131)의 유동홈(138)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누름부재(133)와 연결된다.The component connected to the first
상기 제2탄성체와 연결되는 구성품은 상기 몸체의 축홈(139)에 삽지되는 중심축(132)에 끼워지는 중공바(136)와 상기 중공바(136)의 좌측선단에 형성되는 잠금돌기(135)와 상기 중공바(136)의 우측선단에 형성되는 스토퍼(137)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탄성체(150)는 상기 몸체(131)의 우측 절개부(152)의 중앙에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137)에 연결된다.The component connected to the second elastic body is a
첨부도면중 도 4는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지지부재(120)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지지부재(120)는 상기 지지부재(120)의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잠금부재(130)와 상기 상부 걸림돌기(128a)를 연결하는 와이어(124)와 상기 와이어(124)를 지탱해주는 고정핀(125)을 포함한다.The
상기 상부걸림돌기(128a)는 상기 걸림부재(127)와 분리되며 "ㄱ"모양의 형태The upper locking projection (128a) is separated from the
를 나타내고 일측단부에 한쌍의 걸림턱(123)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27)는 상부 모서리에 상기 걸림턱(123)과 대향하여 "ㅠ"모양의 걸림대(123a)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걸림돌기(128a)는 상기 걸림대(123a)에서 형성되는 스프링(129)과 연결되어 누름식 동작이 가능하게 유동된다. 상기 상부걸림돌기(128a)의 누름 해제시 상기 상부걸림돌기(128a)는 상기 스프링(129)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복귀 되며, 상기 걸림대(123a)에 상기 걸림턱(123)이 걸리게 된다.And a pair of
상기 고정핀(125)은 제1고정핀(125a)과 제2고정핀(125b) 및 제3고정핀(125c)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고정핀(125a)은 상기 잠금부재(130)의 지지돌기(134)의 하단으로 상기 지지부재의 프레임(122)내에 형성되고, 제2고정핀(125b)은 상기 제1고정핀(125a)과 수평선상인 상기 걸림부재(127)내에 형성되며, 제3고정핀(125c)은 상기 제2고정핀(125b)과 수직선상인 상기 걸림부재(127)의 일측단부에 형성된다.The fixing pin 125 is composed of a
상기 와이어(124)는 상기 프레임(122) 및 상기 걸림부재(127)의 내부에 형성된 와이어홈(121)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핀(125)에 의해 지지되고 이동된다. 또한, 와이어(124)는 최종으로 상기 상부걸림돌기(128a)의 걸림턱(123)의 와이어 연결편(124a)에 의해 고정된다.The
그러므로, 상기 상부걸림돌기(128a)를 누르면 상기 와이어(124)는 상기 상부걸림돌기(128a)와 함께 이동하고, 상기 와이어(124)와 연결된 상기 잠금부재(130)의 지지돌기(134)를 아래로 당기게 되어 상기 잠금부재(130)가 작동된다. Therefore, when the
첨부도면중 도 5는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가 차량내부에 장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and operated in the vehicle.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는 차체의 안전벨트 인출부 아래에 부착되고, 인출된 안전벨트가 직접 어깨 및 가슴에 닿지 않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22)은 가슴에 압박되는 안전벨트를 지지하기에 충분할 만큼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는 운전자의 앉은 위치에 따라 길이 조정이 자유롭고, 사용시 상기 지지부재(120)는 자유롭게 인출된다. 상기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 사용후에는 상부걸림돌기(128a)를 누른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로 상기 지지부재(120)를 밀어 넣을 수 있고, 상기 상부걸림돌기(128a)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20)가 상기 잠금부재(130)에 의해 단속됨으로 상기 지지부재(120)를 밀어 넣을 수 없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under the seat belt withdrawal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the installed seat belt is installed so as not to directly touch the shoulder and chest. In addition, the
도 6은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잠금부재(130)의 작동간 스프링누름부재(133)와 잠금돌기(135)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안전벨트 압박감소장치의 잠금부재(130)의 작동간 래치기어(112)와 스토퍼(137)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Figure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는 도 5에서 상기 상부걸림돌기(128a)를 눌렀을때 상기 스프링누름부재(133)의 절곡부(133a)의 일측선단의 경사면으로 상기 잠금부재(130)의 잠금돌기(135)가 상기 잠금돌기(135)의 기울어진 면이 접촉되어 슬라이드 되면서 위로 상승한다. 상기 잠금돌기(135)의 상승으로 대칭하여 형성된 스토퍼(137)는 하강하게 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래치기어(112)와 맞물려 이동을 단속하는 상기 잠금부재(130)의 스토퍼(137)가 해제되어 상기 지지부재(120)를 자유 롭게 밀어 넣을 수 있다.5 shows the locking projection of the locking
또한, 상기 상부걸림돌기(128a)를 누르지 않고 상기 지지부재(120)를 상기 케이스(110) 내에 밀어넣을 경우 상기 지지부재(120)의 스토퍼(137)는 도 7에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케이스(110)의 래치기어(112)의 일측선단의 직각면에 스토퍼(137)가 걸리게 되어 상기 지지부재(120)를 밀어 넣을 수 없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재(120)를 인출할 경우 상기 스토퍼(137)는 도 7에서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래치기어(112)의 일측선단의 경사면 위로 기울어진 상기 스토퍼(137)의 선단이 슬라이드 되면서 아래로 이동하게 되어 걸림이 해제되어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어깨, 가슴에 압박되는 안전벨트의 압박감을 해소하여 운행중에도 자유로운 움직임과 편안함을 제공하며, 안전벨트 압박으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에 기여하여 안전벨트 착용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사람의 체형에 따라 조정되는 차량시트의 간격에 맞게 안전벨트를 지지할수 있도록 맞춤형 조절이 가능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인한 사용이 편리하며 특히, 운행중에도 안전이 보장된다.It relieves the pressure of the seat belt that is pressed on the shoulders and the chest to provide freedom of movement and comfort while driving, and contributes to relieve stress caused by the seat belt compression, thereby improving the seat belt wearing rate. In addition, the seat belt can be customized to support the seat belt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person, and is easy to use due to simple operation, and in particular, safety is ensured while driving.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8356A KR100784947B1 (en) | 2006-08-18 | 2006-08-18 |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8356A KR100784947B1 (en) | 2006-08-18 | 2006-08-18 |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4947B1 true KR100784947B1 (en) | 2007-12-11 |
Family
ID=3914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8356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4947B1 (en) | 2006-08-18 | 2006-08-18 |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4947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4050U (en) * | 1997-09-30 | 1999-04-26 | 이형도 | Vehicle seat belt pressure reduction device |
JP2000185626A (en) * | 1998-12-24 | 2000-07-04 | Daiwa Gosei Kk | Tension relieving device for seat belt |
KR20000040375A (en) * | 1998-12-18 | 2000-07-05 | 정주호 | Webbing Guide for Automotive Seat Belts |
US6209916B1 (en) * | 1997-10-14 | 2001-04-03 |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 Load limiting device for a seat belt |
JP2002321595A (en) * | 2001-04-27 | 2002-11-05 | Araco Corp | Retractor for seatbelts |
-
2006
- 2006-08-18 KR KR1020060078356A patent/KR10078494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14050U (en) * | 1997-09-30 | 1999-04-26 | 이형도 | Vehicle seat belt pressure reduction device |
US6209916B1 (en) * | 1997-10-14 | 2001-04-03 |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 Load limiting device for a seat belt |
KR20000040375A (en) * | 1998-12-18 | 2000-07-05 | 정주호 | Webbing Guide for Automotive Seat Belts |
JP2000185626A (en) * | 1998-12-24 | 2000-07-04 | Daiwa Gosei Kk | Tension relieving device for seat belt |
JP2002321595A (en) * | 2001-04-27 | 2002-11-05 | Araco Corp | Retractor for seatbelt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568891B (en) | Bases for baby safety carriers | |
KR101623438B1 (en) | Portable apparatus for fixing safety seat belt for vehicles | |
US8991919B2 (en) | Child safety seat for vehicles | |
US10011245B2 (en) | Adjustment device for seat belt mechanism | |
CN102085845A (en) | Guide structure of vehicle seatbelt | |
EP3190001A1 (en) | Mounting device for a vehicle-mounted child safety seat | |
CN107757546A (en) | Webbing adjusting device for seat belt | |
KR100784947B1 (en) | Seat belt pressure reducing device | |
US8979130B2 (en) | Five-point safety belt and safety belt unlocking mechanism | |
KR101566264B1 (en) | Safety belt buckle apparatus for vehicle | |
KR20120138278A (en) | Child Seat Seat Belt | |
CN218929265U (en) | Pull-up belt assembly for automobile child safety seat and child safety seat | |
CN102700499A (en) | Height adjustable safety belt device | |
CN204279337U (en) | A kind of seatbelt height-adjusting device | |
KR200222048Y1 (en) | A safety chair for the automobile | |
KR101819451B1 (en) | Child booster for vehicle | |
JP3002206U (en) | Car seat belt equipment | |
KR200356964Y1 (en) | A safe-belt tool for child with a bag | |
CN211567885U (en) | Child belt for preventing neck tightening of safety belt | |
KR0126027Y1 (en) | A variable armrest for a rear seat | |
CN212243054U (en) | Child safety seat | |
KR200141846Y1 (en) | Safety belt for a car | |
KR200288833Y1 (en) | The safety belt stopper for car | |
KR200254268Y1 (en) | Stopper device for seat belt | |
KR20220000633U (en) | Car seat belt lead file holder for p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