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4539B1 -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539B1
KR100784539B1 KR1020060082510A KR20060082510A KR100784539B1 KR 100784539 B1 KR100784539 B1 KR 100784539B1 KR 1020060082510 A KR1020060082510 A KR 1020060082510A KR 20060082510 A KR20060082510 A KR 20060082510A KR 100784539 B1 KR100784539 B1 KR 100784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profile
class
execu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프로파일들 중에 필요한 프로파일별로 자바 프로그램을 통해 가장 쉽게 접근하여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자바 미들렛을 통해 가장 쉽게 접근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자바 미들렛이 아닌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블루투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자바, 블루투스, 미들렛, 프로파일, JSR-82,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

Description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Terminal for controlling a function of bluetooth,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프로파일과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및 URL 형식의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110 : 입력부
120 : 제어부 130 : 표시부
140 : 가상머신 실행부 150 : 블루투스 모듈부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프로파일들 중에 필요한 프로파일별로 자바 프로그램을 통해 가장 쉽게 접근하여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많은 사용자들이 블루투스(Bluetooth) 기능이 제공되는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에게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서 JSR(Java Specification Requests)-82 블루투스를 이용해야 한다. JSR-82 블루투스는 이동 단말기 내에 내장된 블루투스에 관한 자바 프로그램으로써, 블루투스의 모든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유연성(flexibility)을 제공한다.
그런데, JSR-82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는 실제로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JSR-82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기의 경우 블루투스의 몇몇 프로파일만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블루투스 프로파일(profile)들은 대부분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내에 탑재되어 있고 인증되어 있다.
그런데, JSR-82는 블루투스의 L2CAP와 SPP, 즉 저급(low-level)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기 때문에,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요구(requirement)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각 프로파일(profile)의 스펙(Spec)에 맞추어 개발하고 검증해야 한다.
따라서, 기 제공되고 있는 블루투스 프로파일(Bluetooth profile)의 요구(requirement)를 만족시키기 위해 JSR-82 블루투스에 관한 각각의 프로파일마다 직접 개발하고 검증함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프로파일들 중에 필요한 프로파일별로 자바 프로그램을 통해 가장 쉽게 접근하여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은,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에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기능을 매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생성한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자바 클래스에 추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는 단계는, 자바 미들렛(Java MIDlet)을 통해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여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기능을 실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은,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네이티브(Native) 어플리케이션에 매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플랫폼 리퀘스트를 통해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 실행 형식은 URL 주소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URL 주소는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로토콜과 로케이터 및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 리퀘스트를 통해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호출될 때 자바 미들렛의 동작은 종료된다.
다른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는,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러프라이에테리(Proprietary) 클래스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에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기능을 매핑시키며, 자바 미들렛을 통해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능을 실행하는 가상머신 실행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생성한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자바 클래스에 추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는,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생성하고, 상기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네이티브(Native) 어플리케이션에 매핑시키며, 플랫폼 리퀘스트(Platform Request)를 통해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파일 실행 형식은 URL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URL 주소는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로토콜과 로케이터 및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랫폼 리퀘스트를 통해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때 자바 미들렛의 동작을 종료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표시부(130), 가상머신 실행부(140) 및 블루투스 모듈부(15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입력부(110)는 블루투스 기능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태스크를 제어부(120)로 전달한다.
제어부(120)는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러프라이에테리(Proprietary) 클래스를 생성하고, 생성한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마다 네이티브(Native) 블루투스에서 제공하는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기능을 매핑시킨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각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자바 클래스에 추가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에 관한 명령이 입력되면, 가상머신 실행부(140)를 통해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을 실행하고, 자바 미들렛을 통해 해당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여 블루투스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20)는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 파일 실행 형식을 생성한다. 여기서, 프로파일 실행 형식은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매칭된 네이티브(Nativ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URL 주소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120)는 생성한 프로파일 실행 형식에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매핑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플랫폼 리퀘스트(Platform Request)를 통해 자바 미들렛이 아닌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게 된다.
표시부(130)는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 상태를 표시하고, 또한 자바 미들렛의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가상머신 실행부(140)는 장치의 전원 온 시에 운영 시스템(OS)의 동작에 따른 윈도우즈 API의 실행과 더불어 함께 작동되어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을 실행한다. 또한, 가상머신 실행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자바 미들렛을 통해 입력부(110)로부터 입력된 태스크(Task)에 따른 해당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여 실행한다.
블루투스 모듈부(150)는 CLDC(Connected Limited Device Configuration)를 기반으로 한 이동 정보 장치 프로토콜(Mobile Information Device Protocol; 이하 MIDP)을 통해 블루투스 기능이 가능한 다른 이동 단말기와 블루투스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100)는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는 PDA, 셀룰라폰, 핸드폰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100)에서, 제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러프라이에테리(Proprietary) 클래스를 생성한다(S202). 여기서, 제어부(120)는 생성한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자바 클래스에 추가한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프로파일들 중에서 헤드셋(Headset) 프로파일에 대해 헤드셋 클래스를 생성하고, 전화용(Dial-Up Networking) 프로파일에 대해 DUN 클래스를 생성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CTP(Cordless Telephony Profile) 프로파일에 대해 CTP 클래스를 생성하고, SPP(Serial Port Profile) 프로파일에 대해 SPP 클래스를 생성하며, OPP(Object Push Profile) 프로파일에 대해 OPP 클래스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이외에 블루투스 프로파일이 더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대한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위한 각각의 인스턴스(Instance)를 생성하고, 각 인스턴스를 통해 각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생성한다.
이어, 제어부(120)는 생성한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에 네이티브(Native) 블루투스에서 제공하는 프로파일별 기능을 매핑시킨다(S204).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에 관한 명령을 입력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에 관한 명령을 제 어부(120)로 전달한다(S206).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에 관한 명령이 입력되면, 가상머신 실행부(140)를 통해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을 실행하고, 해당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여 자바 미들렛을 통해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을 제어한다(S208).
따라서,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 상태가 해당 자바 미들렛에 의해 표시부(130)로 표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100)에서, 제어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생성한다(S402).
여기서, 프로파일 실행 형식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에 매칭된 네이티브(Native)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URL 주소를 포함하는 URL 형식이다. 또한, URL 형식은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로토콜과 로케이터 및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어, 제어부(120)는 생성한 프로파일 실행 형식에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매핑한다(S404).
예컨대, 제어부(1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루투스 프로파일들 중에 서 헤드셋(Headset)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헤드셋 관련 어플리케이션(Headset-related app)에 매핑하고, 전화용(Dial-Up Networking)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DUN 관련 어플리케이션(DUN-related app)에 매핑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CTP(Cordless Telephony Profile) 프로파일 실행 형식은 CTP 관련 어플리케이션(CTP-related app)에 매핑하고, SPP(Serial Port Profile) 프로파일 실행 형식은 SPP 관련 어플리케이션(SPP-related app)에 매핑하며, OPP(Object Push Profile) 프로파일 실행 형식은 OPP 관련 어플리케이션(OPP-related app)에 매핑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이외에 프로파일 실행 형식이 더 존재하는 경우에 해당 프로파일 실행 형식에 대해 각각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매핑한다.
이후, 사용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에 관한 명령을 입력한다. 입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에 관한 명령을 제어부(120)로 전달한다(S406).
제어부(120)는 입력부(110)로부터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에 관한 명령이 입력되면, 가상머신 실행부(140)를 통해 자바 플랫폼 리퀘스트(Java Platform Request)를 실행하고, 플랫폼 리퀘스트를 통해 해당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여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을 제어한다(S408).
이때, 자바 플랫폼 리퀘스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실행 형식에 따라 URL 형식으로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게 된다. 여기서, 자바 플랫폼 리퀘스트가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때, 제어부(120)는 자바 미들렛의 동작을 종료시킨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자바 미들렛이 아닌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블루투스 기능을 실행하게 되고, 그에 따라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 상태가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프로파일들 중에 필요한 프로파일별로 자바 프로그램을 통해 가장 쉽게 접근하여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바를 이용한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블루투스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자바 미들렛을 통해 가장 쉽게 접근하여 블루투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자바 미들렛이 아닌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블루투스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JSR-82 블루투스에 관한 각 프로파일마다 직접 개발하고 검증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른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다.

Claims (14)

  1.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러프라이에테리(Proprietary) 클래스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에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기능을 매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생성하는 단계 이후에, 생성한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자바 클래스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는 단계는, 자바 미들렛(Java MIDlet)을 통해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여 상기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
  4.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생성 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네이티브(Native) 어플리케이션에 매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플랫폼 리퀘스트(Platform Request)를 통해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실행 형식은 URL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URL 주소는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로토콜과 로케이터 및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플랫폼 리퀘스트를 통해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이 호출될 때 자바 미들렛의 동작은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방법.
  8.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러프라이에테리(Proprietary) 클래스를 생성하고, 생성한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에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기능을 매핑시키며, 자바 미들렛을 통해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능이 실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해당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호출하여 상기 블루투스 기능을 실행하는 가상머신 실행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에 관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및
    상기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생성한 상기 프러프라이에테리 클래스를 자바 클래스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11. 각 블루투스 프로파일의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생성하고, 상기 프로파일 실행 형식을 네이티브(Native) 어플리케이션에 매핑시키며, 플랫폼 리퀘스트(Platform Request)를 통해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 여 블루투스 기능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실행 형식은 URL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URL 주소는 블루투스 프로파일별 프로토콜과 로케이터 및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랫폼 리퀘스트를 통해 상기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때 자바 미들렛의 동작을 종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KR1020060082510A 2006-08-29 2006-08-29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784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510A KR100784539B1 (ko) 2006-08-29 2006-08-29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510A KR100784539B1 (ko) 2006-08-29 2006-08-29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539B1 true KR100784539B1 (ko) 2007-12-11

Family

ID=3914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510A KR100784539B1 (ko) 2006-08-29 2006-08-29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5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802A (ko) 2003-07-16 200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바 rmi를 이용한 단말기 대 단말기 통신플랫폼 설정방법
WO2005069878A2 (en) 2004-01-08 2005-08-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adio resource management admission contro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9802A (ko) 2003-07-16 200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바 rmi를 이용한 단말기 대 단말기 통신플랫폼 설정방법
WO2005069878A2 (en) 2004-01-08 2005-08-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radio resource management admission contr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59098B2 (en) Efficient headunit communication integration
US9002574B2 (en) Mobile integration platform (MIP) integrated handset application proxy (HAP)
CA2846449C (en) Mobile integration platform (mip) integrated handset application proxy (hap)
CN102640560B (zh) 移动设备及其控制方法
US8942888B2 (en) Extensible scheme for operating vehicle head unit as extended interface for mobile device
TWI226777B (en) Communication device
JP3950010B2 (ja) 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13004081A (ja) 携帯端末機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の併合方法及び装置
CN106791207A (zh) 一种移动终端的拨号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100784539B1 (ko) 블루투스 기능 제어 단말기 및 그 방법
Lee et al. Embedded Linux-based smartphone platform for sharing WIPI contents
JP6532851B2 (ja) 通信装置、dns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791577B1 (ko) 명령어 입력창을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서비스 제공방법 및 장치
JP4612010B2 (ja) 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6029781B1 (ja) 通信装置、dns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400175B (zh) 移动通讯装置启动驱动程序的方法
KR100732992B1 (ko) 자바 브이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제어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WO2010086712A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wireless device from removable media with processing capability
KR20070093974A (ko) 모바일 터미널에 존재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차량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KR100718350B1 (ko) 임베디드 시스템 환경에서 3d 게임 호환성을 위한 초기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573486B1 (ko) 통화 중 메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82401A (ko) 전자 장치에서 시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20016515A (ko)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140126450A (ko) 메모 관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474010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기 위한 시스템과 단말기 및 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