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4319B1 -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 - Google Patents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4319B1
KR100784319B1 KR1020060106740A KR20060106740A KR100784319B1 KR 100784319 B1 KR100784319 B1 KR 100784319B1 KR 1020060106740 A KR1020060106740 A KR 1020060106740A KR 20060106740 A KR20060106740 A KR 20060106740A KR 100784319 B1 KR100784319 B1 KR 10078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er
present
manufacturing
starch
sa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성훈
Original Assignee
문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훈 filed Critical 문성훈
Priority to KR102006010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4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31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1/00Compositions of refractory mould or core materials; Grain structures thereof; Chemical or physical features in the formation or manufacture of moulds
    • B22C1/16Compositions of refractory mould or core materials; Grain structures thereof; Chemical or physical features in the formation or manufacture of moul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binding agents; Mixtures of binding agents
    • B22C1/167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bind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 Materials And Cor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물사용 점결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형제작에 사용되는 재료인 주물사에 첨가되어 상기 주물사의 성형성과 점결력을 좋게 하고 불량률을 낮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은 a) 전분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가열된 전분에 적산화철을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점결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주물사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는 주물사의 점결력을 높여 제품의 조형성을 증대시키고, 확산성과 수분 흡수력이 뛰어나 주형의 빠른 건조를 방지하며 통기도를 높임으로써 잔류 가스에 의한 홀과 같은 결함을 낮추어 제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주형의 팽창, 갈라짐, 벌어짐 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는 주형의 붕괴가 쉽고 탈사작업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발형저항력, 수분 함유량, 점결제, 주형, 금형

Description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Viscos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에 의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에 의한 다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의 통기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의 충진율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의 발형저항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 7a 내지 도 7c는 주물사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은 주물사용 점결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형제작에 사용되는 재료인 주물사에 첨가되어 상기 주물사의 성형성과 점결력을 좋게 하고 불량률을 낮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에 관한 것이다.
주물사는 주조공정의 주형제작에 사용되는 재료를 뜻하며 주금 또는 주물이라고도 한다.
상기 주조공정은 상기 주물사를 용해한 금속을 금형 등의 주형 속에 부어 넣고 응고시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하는 금속 가공 기법이다. 또한, 상기 주조공정은 저렴한 생산비용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므로 오늘날 다양한 제품의 제작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주조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는 가장 큰 요소는 주물사로 적절한 조건을 갖고 있어야한다. 상기 주물사는 적절한 강도와 경도를 가져야 하며, 주형제작이 용이하도록 성형성이 있어야하고, 응고시 내포하는 가스를 밖으로 배출할 수 있는 통기성이 있어야하며, 주물의 표면으로부터 모래의 이탈이 쉽고, 표면이 깨끗하여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주물사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주물사에는 적절한 점결제가 추가되며 일반적으로 전분, 덱스트린 및 점토(벤토나이트)를 이용한 점결제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첫 번째로 상기 전분이 첨가된 상기 주물사는 충진성이 좋은 반면 조 형시 적절한 점도를 갖지 못하므로 제품의 요구되는 강도를 만족시킬 수 없고 고온에서 쉽게 균열되어 제품의 불량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두 번째로 덱스트린은 수용성 점결력은 매우 높으나 상기 주물사의 주 성분인 규사와 물을 함께 배합할 경우, 상기 규사의 유동성이 불균형하여 연속 주조의 성형시 균일한 제품을 얻어내기 힘든 단점이 있고, 고온에서 전분과 같은 결함이 존재하며 점결도가 지나치게 높아 주형에서 제품이 쉽게 이탈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세 번째로 점토(벤토나이트)는 압축강도를 높여준다는 장점은 있으나 나머지 요소인 조형물의 붕괴성, 점결성, 통기성 등의 문제점은 그대로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점결력으로 제품의 조형성을 증대시키고 표면 안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주형의 팽창, 갈라짐, 벌어짐 등의 결함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며, 주형의 붕괴가 쉽고 탈사작업이 용이한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목적은 확산성과 수분 흡수력이 뛰어나 통기도를 높이고 주형의 빠른 건조를 방지하며 적절한 충진성을 갖도록 하여 제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높이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하는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를 제 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은 a) 전분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가열된 전분에 적산화철을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c)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전분에 산을 가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d) 상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적산화철이 첨가된 전분을 건조하고 파쇄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a) 단계는 100~190℃에서 1~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산은 상기 전분 중량의 0.2~0.3%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b) 단계에서 적산화철은 300 mes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적산화철은 상기 전분 중량의 3~6%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점결제는 250 mesh 이하로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점결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주물사는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점결제는 상기 주물사 중량의 0.2~0.5%가 1차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점결제는 상기 주물사 중량의 0.03~0.1%가 2차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를 첨부된 표 및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에 의한 블록도로 상기 도 1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은 a) 상기 산이 첨가된 전분을 교반하면서 100~190℃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Sa); b) 상기 가열된 전분에 적산화철을 첨가하는 단계(Sb);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단계(Sa)는 상기 전분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열단계(Sb)에서 가열온도는 100~190℃가 적합하며 1~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산화철 첨가단계(Sb)는 상기 가열된 전분에 적산화철을 첨가하는 단계이며 이 때, 상기 적산화철의 입자는 300 mes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적산화철의 첨가량은 상기 전분 중량의 3~6%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에 의한 다른 블록도로 상기 도 1 에 도시된 제조방법에 c)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전분에 산을 가하는 단계(Sc); 및 d) 상 기 b) 단계 이후에 상기 적산화철이 첨가된 전분을 건조하고 파쇄하는 단계(Sd); 가 더 포함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제 2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전분에 산을 가하는 단계(Sc)는 상기 a) 단계 전에 수행되고 사용되는 전분의 입자는 200 mesh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은 상기 전분 중량의 0.2~0.3%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산은 염산, 초산, 황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적산화철 첨가단계(Sb)를 거친 혼합 전분은 건조 및 파쇄 단계(Sd)가 더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파쇄 단계(Sd)에서 상기 점결제의 입자는 250 mesh 이하로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점결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주물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점결제가 첨가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점결제는 0.2~0.5%가 1차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결제가 1차 투입된 후 상기 점결제의 일정부분이 용탕에 의해 타 소실되므로 상시 소실되는 양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점결제는 상기 주물사 중량의 0.03~0.1%가 2차 보충 투입될 수 있다.
실험 시편은 다음과 같으며 M-DEX는 성진파텍에서 사용 중인 기존의 제품이고 AF#2는 영국 John Winter사의 제품이며 본 발명의 점결제를 주물사의 중량을 변 화하여 다양한 시편을 제작하여 시험하였다.
본 발명의 점결제의 실시예로 300 mesh에서 100% 통과한 전분에 상기 전분 중량의 0.2%의 황산을 첨가하고 상기 황산이 첨가된 전분을 교반하면서 150℃의 온도로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기 가열된 혼합 전분에 500 mesh에서 모두 통과한 적산화철을 상기 전분 중량의 4% 만큼 첨가하고 건조하여 점결제를 제조하고 이를 파쇄하여 300 mesh 이하에서 모두 통과되는 점결제를 제조하였다.
테스트에 이용된 본 발명의 점결제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것이다.
본 실험에서 주물사는 AMS-LINE 표면사 샌드밀(18kg, mixing time 5분)에 점결제를 수동으로 투입하였고 제품 크기가 Φ500 정도의 ITEM으로 형충진 미비로 인한 모래불량이 많은 제품인 K.H.I WHEEL HUB 작업에서 각각 테스트 하였다.
아울러,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를 주물사에 1차 투입하여 시편을 제작하였으며, 각 실험 시편의 중량 및 점결제의 종류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구분 주물사의 중량(g) 투입량 (%)
M-DEX 1 640 0.22
2 650 0.22
3 670 0.22
4 670 0.22
5 640 0.22
6 670 0.22
7 680 0.22
AF#2 1 680 0.30
2 650 0.30
3 500 0.30
4 600 0.30
5 600 0.30
6 650 0.30
7 660 0.30
8 650 0.30
본 발명의 점결제 1 670 0.30
2 670 0.20
3 660 0.20
4 660 0.20
5 670 0.20
도 2 내지 도 6c는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및 사진으로 상기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2 내지 도 5에서 ■는 M-DEX의 측정값을 ▲은 AF#2의 측정값을 ●은 본 발명의 점결제가 첨가된 주물사의 특성을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의 통기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의 충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의 수분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의 발형저항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하기 표 2는 상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각각의 특성의 평균값을 나타낸 것이다.
[표 2]
제 품 명 통기도 충진율 수분 함유량 발형 저항력
M-DEX 213 39 3.51 1.84
AF#2 263 44 3.37 1.56
본 발명의 점결제 255 45 3.40 1.45
도 3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통기도의 경우, M-DEX로 혼련된 주물사와 비교하여 AF#2 및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한 주물사가 평균 50정도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본발명의 점결제는 확산성과 수분흡수성이 뛰어나므로 본 발명의 주물사는 상기 통기도의 향상을 통해 상기 주물사 내부에 잔존하는 가스에 의한 홀과 같은 결함을 방지 할 수 있어 불량률이 감소하고 외관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높은 통기성 뿐만 아니라 상기 c) 적산화철 첨가 단계에서 첨가된 상기 적산화철은 표면의 미세한 핀홀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다른 제품에 비해 더욱 깨끗한 표면의 제품을 제작할 수 있다
도 4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충진율의 경우, M-DEX로 혼련된 주물사와 비교하여 AF#2 및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한 주물사가 충진율이 더욱 높으며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한 주물사의 충진율은 상기 AF#2를 이용한 것보다 더욱 고른 값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 및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한 주물사는 M-DEX로 혼련된 주물사와 비교하여 수분 함유량이 낮음을 알 수 있다.
하기 표 3은 각각의 점결제가 이용된 주물사의 시간에 따른 수분 함유량을 더욱 상세히 나타낸 표로 최초의 수분 함유량과 25분 후 수분 함유량을 나타내었다.
[표 3]
M-DEX AF#2 본 발명의 점결제
수분 함유량(%) 3.38 3.42 3.20 3.26 3.52
25분 후 수분 함유량(%) 2.60 2.61 2.66 2.70 2.89
수분 소실량 0.78 0.81 0.54 0.56 0.63
상기 표 3의 결과를 보면 AF#2보다는 수분 소실량이 많으나 M-DEX와 비교하여 수분 소실량이 적으며 그 차이가 AF#2와의 차이보다 매우 큼을 알 수 있다.
상기 표 3에서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점결제는 수분을 흡수하여 일정하게 유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시간이 지남에도 수분이 쉽게 소실됨을 방지하여 주형이 쉽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한다.
발형저항력은 상기 발형저항력이 높을수록 형의 붕괴가 어렵게 되어 발형시 주형의 형태가 변형되어 제품불량의 원인이 된다.
도 6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AF#2와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한 주물사는 상기 M-DEX에 비교하여 낮은 발형저항력을 가지며 이에 따라, 발형시 불량률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점결제는 상온에서 높은 점결력으로 몰드의 조형성을 증대시키고 발형시 표면 안정성이 높아 각종 불량을 감소시킨다. 반면에 본 발명의 점결제는 일정 온도 이상의 열이 가해지면 물성치가 변화하여 열에 노출된 본 발명의 점결제는 점결력이 떨어지게 되어 형의 붕괴가 쉬워짐에 따라 탈사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7c는 주물사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으로 도 7a는 M-DEX를 이용한 주물사의 제품 외관 사진이며, 도 7b는 AF#2를 이용한 주물사의 제품 외관 사진이고, 도 7c는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한 주물사의 제품 외관 사진이다. 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7a와 도 7b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점결제를 이용한 주물 사는 표면이 깨끗하고 결함이 적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는 주물사의 점결력을 높여 제품의 조형성을 증대시키고, 확산성과 수분 흡수력이 뛰어나 주형의 빠른 건조를 방지하며 통기도를 높임으로써 잔류 가스에 의한 홀과 같은 결함을 낮추어 제품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주형의 팽창, 갈라짐, 벌어짐 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을 방지하여 제품불량률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는 주형의 붕괴가 쉽고 탈사작업이 용이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a) 전분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
    b) 상기 가열된 전분에 적산화철을 첨가하는 단계;
    c) 상기 적산화철이 첨가된 전분을 건조하고 파쇄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결제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d) 상기 a) 단계 전에 상기 전분에 산을 가하는 단계;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결제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100~190℃에서 1~2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결제 제조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산은 상기 전분 중량의 0.2~0.3 %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결제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적산화철은 300 mesh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결제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적산화철은 상기 전분 중량의 3~6 %가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결제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점결제는 250 mesh 이하로 파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결제 제조방법.
  9. 상기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8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된 점결제.
  10. 상기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내지 제 8 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의하여 제조된 점결제를 이용한 주물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결제는 상기 주물사 중량의 0.2~0.5%가 1차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결제는 상기 주물사 중량의 0.03~0.1%가 2차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사.
KR1020060106740A 2006-10-31 2006-10-31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 Expired - Fee Related KR10078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740A KR100784319B1 (ko) 2006-10-31 2006-10-31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6740A KR100784319B1 (ko) 2006-10-31 2006-10-31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4319B1 true KR100784319B1 (ko) 2007-12-13

Family

ID=39140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6740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4319B1 (ko) 2006-10-31 2006-10-31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43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847A (ko) 2018-01-17 2019-07-25 문성훈 타피오카를 이용한 주물사용 점결제의 제조
KR102470363B1 (ko) 2022-09-26 2022-11-25 주식회사 아이원코퍼레이션 나노셀룰로스 및 퍼퓨릴 알콜을 포함하는 주물사용 퓨란 점결제 조성물 및 주물사용 점결제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013A (ko) * 1991-07-02 1993-02-22 김수현 주물사(主物砂)의 제조방법
WO1993008973A1 (en) 1991-10-30 1993-05-13 Ashland Oil, Inc. Inorganic foundry binder systems and their uses
JPH11138234A (ja) 1997-10-31 1999-05-25 Gun Ei Chem Ind Co Ltd 鋳型造型用組成物及び鋳型造型方法
JP2000000632A (ja) 1998-06-17 2000-01-07 Gun Ei Chem Ind Co Ltd 鋳型造型法
JP2000158090A (ja) 1998-11-20 2000-06-13 Sintokogio Ltd 鋳型およびその造型方法
JP2002307132A (ja) 2001-04-11 2002-10-22 Shinsei Cast Eng:Kk 鋳造用生型の有機粘結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013A (ko) * 1991-07-02 1993-02-22 김수현 주물사(主物砂)의 제조방법
WO1993008973A1 (en) 1991-10-30 1993-05-13 Ashland Oil, Inc. Inorganic foundry binder systems and their uses
JPH11138234A (ja) 1997-10-31 1999-05-25 Gun Ei Chem Ind Co Ltd 鋳型造型用組成物及び鋳型造型方法
JP2000000632A (ja) 1998-06-17 2000-01-07 Gun Ei Chem Ind Co Ltd 鋳型造型法
JP2000158090A (ja) 1998-11-20 2000-06-13 Sintokogio Ltd 鋳型およびその造型方法
JP2002307132A (ja) 2001-04-11 2002-10-22 Shinsei Cast Eng:Kk 鋳造用生型の有機粘結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7847A (ko) 2018-01-17 2019-07-25 문성훈 타피오카를 이용한 주물사용 점결제의 제조
KR102470363B1 (ko) 2022-09-26 2022-11-25 주식회사 아이원코퍼레이션 나노셀룰로스 및 퍼퓨릴 알콜을 포함하는 주물사용 퓨란 점결제 조성물 및 주물사용 점결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9073B1 (en) Mold manufacturing method and mold
US6598654B2 (en) Molding sand appropriate for the fabrication of cores and molds
EP2163328A1 (de) Mit Wasserglas beschichteter und/oder vermischter Kern- oder Formsand mit einem Wassergehalt im Bereich von >= etwa 0,25 Gew.-% bis etwa 0,9 Gew.-%
CN104325065A (zh) 一种覆膜砂及其制备方法
JPS6136167A (ja) 射出成形耐火性造形物の製造方法および組成物
DE102006056093A1 (de) Aerosand-Additive
CN101745968B (zh) 一种特异型锆英石砖的凝胶注模成型工艺
KR100784319B1 (ko) 점결제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점결제 및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주물사
CN111842776A (zh) 一种低碳湿型砂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6031642A1 (ja) 鋳造用生型、及びそれを用いた鋳造物品の製造方法
CN110722094A (zh) 一种铸造用树脂自硬砂树脂混合物及其制备方法
CN106588090A (zh) 一种表面带多槽孔的陶瓷氧化铝承烧板的制备方法
CN106111883A (zh) 一种多功能铸造型砂及其制造方法
CN109020607A (zh) 一种除尘灰陶粒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0434388C (zh) 一种陶瓷聚合物复合材料的原料配方及制备方法
CN103056284B (zh) 粘土完全再生砂改性剂、改性方法及改性剂的应用
EP3478432B1 (de) Wärmedämmende platte, insbesondere abdeckplatte für metallschmelzen,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platte und deren verwendung
CN105057565A (zh) 一种优质型砂及其制备方法
EP3334546B1 (en) Methods for improving casting quality and mold sand additives
JP4861269B2 (ja) クリスタルガラス鋳造用石膏鋳型及び石膏鋳型製造用組成物
CN1958519A (zh) 一种用于辊底炉炉辊的耐火浇注料
KR102712941B1 (ko) 파운드리 예비혼합 조성물의 제조
CN107598072A (zh) 一种型砂配方
Holtzer et al. Reclamation of material from used ceramic moulds applied in the investment casting technology
KR930011523B1 (ko) 주형용 유기질 점결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7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0425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0701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E0801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code: PE08012E01D

Comment text: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Patent event date: 20070820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503

Patent event code: PE08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315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708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82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71004

Appeal identifier: 2007101009203

Request date: 20070828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8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8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5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70315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7100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7100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