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4250B1 - Vortex Exhaust System - Google Patents
Vortex Exhaust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4250B1 KR100784250B1 KR1020020083954A KR20020083954A KR100784250B1 KR 100784250 B1 KR100784250 B1 KR 100784250B1 KR 1020020083954 A KR1020020083954 A KR 1020020083954A KR 20020083954 A KR20020083954 A KR 20020083954A KR 100784250 B1 KR100784250 B1 KR 1007842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rler
- exhaust
- vortex
- exhaust pipe
- exhaust devi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Lifetime
Links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46—Air flow forming a vort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와류 간섭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보다 넓은 영역에서 배기가스를 제거할 수 있고,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기존 설비에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낮추고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된 배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noise caused by the vortex interference, to remove the exhaust gas in a wider area, to simplify the structure and to install and use in the existing equipment to reduce the cost and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It is to provide an exhaust system that can reduce the effort required.
이에 본 발명은 배기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판형태의 스월러와, 상기 스월러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배열설치되어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날개, 상기 배기관에 설치되어 상기 스월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와류를 이용한 배기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k-shaped swirler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exhaust pipe, the wings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wirler to form a vortex, the drive unit is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to rotate the swirler It provides an exhaust device using a vortex comprising.
배기관, 스월러, 날개, 구동모터 Exhaust pipe, swirler, wing, drive moto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haust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배기장치에 설치되는 스월러를 도시한 도면,3 is a view showing a swirler installed in the exhaus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따른 스월러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wir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스월러 외측에 보호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rotection means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wir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의 작동상태를 스월러의 회전속도의 차이에 따라 나타낸 작동 상태도,6a and 6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swirler,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의 작동상태를 스월러의 각도의 차이에 따라 나타낸 작동 상태도이다.7a and 7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angle of the swirler.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스월러 11 : 날개10: swirler 11: wings
20,32 : 구동모터 21 : 브라켓20,32: Drive motor 21: Bracket
30 : 베어링 31 : 랙30: bearing 31: rack
33 : 피니언기어 40 : 2차 와류 33: Pinion gear 40: Secondary vortex
50 : 배기관 60 : 후면판50
61: 전면판 62 : 지지대61: front panel 62: support
본 발명은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와류를 이용하여 배기 영역을 확대시키고 이를 통해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aust device capable of enlarging the exhaust area using vortices and thereby improving the exhaust performance.
본 발명은 오염 물질이 많이 발생하는 공장 내부나 가정, 음식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분적인 오염원이 배기구와 멀리 떨어진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경우, 다른 설치물에 의해 배기구가 오염원 근처에 설치되기 어려운 경우, 순간적인 오염원의 발생이 생기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factories, homes and restaurants where a lot of pollutants are generated. Preferably, when a partial pollutant is generated on the floor away from the exhaust port,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exhaust port near the pollutant by another installation. In this case, it can be used in case of occurrence of instant pollutant sources.
기존의 일반적인 배기 장치의 경우 배기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배기 속도가 빠르게 감소하여, 효과적인 배기 영역이 배기구 직경 정도의 작은 영역에 국한되므로, 배기구로부터 먼 곳에서 발생하는 오염을 제거하기에 적당하지 않다. Existing general exhaust devices reduce exhaust speed rapidly as they move away from the exhaust port, so that the effective exhaust area is limited to a region as small as the diameter of the exhaust port, which is not suitable for removing contamination occurring far from the exhaust port.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와류를 이용한 배기 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이 장치들은 배기하는 유량과 비슷한 양의 공기를 공간 중으로 불어내어 와류를 발생시키고, 이를 배기 장치가 흡입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집중된 와류를 이용하는 것이다. In order to make up for this drawback, exhaust devices using vortices have been developed, which use a concentrated vortex formed by blowing air into the space, which is comparable to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will b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치들은 배기구 아래의 좁은 영역에서 불어내는 유동 과 흡입하는 유동의 상호 간섭에 의한 난류의 발생으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공간 중으로 불어내는 유동에 의하여 공간 중에 있는 오염의 부가적인 확산을 유발할 수 있으며, 와류를 발생하기 위한 송풍기, 필터, 유동관 등의 부가적인 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evices generate noise due to the generation of turbulence due to mutual interference between the blowing air and the inhaling flow in a narrow area under the exhaust port, and also the addition of pollution in the space by the flow blowing into the space. It may cause diffusion and has the disadvantage of installing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blower, a filter, and a flow pipe for generating vortices.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와류 간섭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도록 된 배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haust device that can reduce noise caused by eddy current interference,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넓은 영역에서 배기가스를 제거할 수 있도록 된 배기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haust device capable of removing exhaust gas in a wider area.
또한, 본 발명은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기존 설비에 설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원가를 낮추고 설치 및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도록 된 배기장치를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other object to provide an exhaust device that can simplify the structure and to be installed and used in an existing facility to reduce the cost and reduce the effort required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원판(스월러)과 그 위에 설치된 다양한 날개를 이용하여 배기하고자 하는 공간 중에 강력한 와류를 형성시키고, 이렇게 형성된 와류와 배기 유동의 상호 영향으로 가상의 에어 커튼 (2차와류)을 형성시킴으로써, 에어커텐이 배기 영역을 중심축 부근으로 모아 주고, 그 결과 오염원이 있는 곳으로 배기 유동을 집중시켜 배기 영역을 먼 곳까지 확대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disk (swivel) rotating at a high speed and a variety of wings installed on it to form a strong vortex in the space to be exhausted, and thus the vortex and the exhaust flow formed By creating an imaginary air curtain (secondary vortex) under the influence, the air curtain collects the exhaust area near the central axis, consequently concentrating the exhaust flow to the source of contamination and expanding the exhaust area to a distance. Make a point.
따라서 순간적으로 국부적인 오염원이 발생하였을 때 스월러를 작동할 수 있 도록 하면 에너지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바닥면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토네이도와 같은 형태의 유동을 유발시켜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오염원의 효과적인 제거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if the swirler can be operated when instantaneous local pollution occurs, it can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and also cause tornado-like flow by the interaction with the bottom surface. Effective removal of pollutants can also be expec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배기장치를 이루는 배기관(50)에 설치되어 와류를 형성하기 위한 스월러(10)와, 이 스월러(1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구동부는 크게 내부 구동방식과 외부 구동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 데, 내부 구동방식의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배기관(50)의 내주면에 브라켓(21)을 매개로 구동모터(2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배기관(5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구동모터(20)의 회전축에 상기 스월러(10)의 회전중심을 고정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driving unit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n internal driving method and an external driving method. In the case of the internal driving method, the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인 외부 구동방식의 경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관(50)의 선단 외주면에 배어링(30)을 매개로 상기 스월러(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월러(10)의 상단을 따라서 랙(31)이 원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배기관(50) 외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의 회전축에는 피니어기어(33)가 설치되어 상기 랙(31)에 치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ternal drive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따라서 랙(31)과 피니언기어(33)를 매개로 구동모터(32)의 동력이 스월러(10)에 전달되어 스월러(1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power of the
상기 외부 구동 방식의 경우 스월러, 베어링, 모터를 간단하게 모듈화하여 기존의 배기관(50)에 간단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과 오염원에 의한 모터의 고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내부 구동방식보다 바람직하다 하겠다.In the case of the external drive method, the swirler, bearing, and motor can be easily modularized so that they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existing
여기서 상기 구동부는 배기관(50) 중심을 축중심으로 하여 스월러(1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면 어떤 구조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상기 언급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 the drive unit may be used in any structure as long as the
한편, 상기 스월러(10)는 배기관(50)에 대해 회전되어 와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형의 평판구조로 이루어지며 이 평판 하단에 수직방향으로 배열설치되는 일정 모양의 날개(11)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날개(11)는 스월러(10)가 회전할 때 실질적으로 와류를 발생시키는 부분으로, 스월러(10)에 대해 설치방향이나 설치 위치 또는 그 형태에 따라 와류의 특성이 달라지게 되므로, 상기 날개(11)를 중심축으로부터 멀리 또는 가까이 설치하거나, 직선 형태와 곡선 형태로 설치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날개(11)를 구비한 스월러(10)를 고려할 수 있다.The
본 실시예에서 도 3은 상기 날개(11)가 축중심을 향해 만곡되어 곡면을 이루는 구조가 잘 예시되어 있으며,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서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날개(11)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또한 스월러(10)의 구동 속도 (회전 속도)도 배기관(50) 주위의 유동에 영향을 주게 되는 데, 일반적으로 2000~3000rpm의 속도로 회전시킴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driving speed (rotational speed) of the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월러 외측에 보호수단이 더욱 설치되어 설비보호와 더불어 고속회전하는 스월러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on means is further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swirler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by the swirler rotating at high speed with the equipment protection.
이를 위해 상기 보호수단은 상기 배기관(50)에 설치되어 상기 스월러(10) 후면으로 연장되는 원판형태의 후면판(60)과, 상기 스월러(10)에 설치되는 날개(11) 전면에 위치하는 도우넛 형태의 전면판(61), 상기 후면판(60) 선단에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설치되어 상기 전면판(61)을 지지하는 지지대(62)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protection means is installed in the
따라서 상기 스월러(10)와 날개(11)는 후면판(60)과 전면판(61)에 의해 가려져 보호되며 후면판과 전면판 사이 즉, 날개(11) 측면은 개방되어 와류 형성을 위한 공기가 불어나가게 된다. Therefore, the
본 발명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도 6a와 같이 배기 작동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스월러(10)가 회전하게 되면, 스월러(10) 아래의 유동은 스월러(10)가 바깥으로 밀어내는 원심력과 배기 작동에 의한 구심력의 영향을 동시에 받게 되어, 반경 방향으로는 움직이지는 않지만 스월러(10)의 회전 속도 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때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는 유체는 가상의 유체벽 (에어커텐)과 같다.When the
배기 장치는 배기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작동하므로 에어커텐 바깥의 공기보다 에어커텐 아래쪽의 공기를 흡입하게 되며, 이 때 흡입된 공기의 자리로 스월러(10)에 의해 바깥쪽으로 밀려난 공기가 들어와 배기관(50) 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스월러(10) 아래쪽에는 도 6a과 같이 스월러(10)의 회전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회전하는 2차 와류(40)를 형성하게 된다. (물론 이 2차 와류는 배기관(50) 축을 중심으로 도는 1차 와류 (에어커텐)의 일부분이다)Since the exhaust device operates at a constant exhaust flow rate, air is sucked under the air curtain than air outside the air curtain. At this time, the air pushed out by the
이렇게 형성된 2차 와류(40)는 스월러(10)에 의해 계속적으로 에너지를 공급 받아 일정한 속도로 돌게 되므로, 2차 와류(40) 아래쪽의 공기를 배기관(50) 쪽으로 밀어 넣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원리로 배기 유동의 영향이 아래쪽으로 확대되어 배기 영역이 커지게 된다.Since the
스월러(10)의 회전 속도에 따라 2차 와류(40)의 형성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스월러 회전 속도가 커질 수록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여 2차 와류(40)는 스월러로부터 보다 멀리 떨어져 생성된다. (도 6b 참조)The position where the
스월러(10)의 회전 속도가 작아 스월러 아래쪽에 2차 와류(40)가 형성되면, 스월러 아래쪽에 복잡하고 강한 난류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소음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난류 속에서는 오염 물질의 확산되므로, 이를 통해 배기 되는 유동 속의 오염원의 확산의 우려가 있다. 그러나 2차 와류(40)가 스월러로부터 떨어져 형성되면, 2차 와류(40)와 배기 유동의 확실한 분리로 소음이 줄어들며, 스월러에 의한 오염원 확산의 우려가 없어진다. 또한 스월러 바깥으로 나간 2차 와류(40)에 의해 넓은 배기 영역이 형성된다.Whe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위와 같은 유동 특성은 스월러(10)의 형태, 즉 스월러의 크기, 축과 이루는 각도에도 영향을 받는다. 스월러의 반경이 클수록 강한 와류를 형성시킬 수 있으며, 같은 회전 속도에서 더 깊은 배기 깊이를 갖는다. 도 6a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스월러(10)는 축과 직각의 상태에 있다.
The flow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are also affected by the shape of the
도 7a와 같이 회전중심축과 스월러(10)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θ)가 45~90도 사이에 있으면 2차 와류(40)를 바닥면과 가까운 아래쪽으로 보낼 수 있다. 하지만, 스월러(10)가 이루는 각도가 45~90도 사이에 있게 되면 스월러(10)의 경사면에 의해 2차 와류(40)가 찌그러지게 되며 결과적으로 배기 유동이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불안정한 유동에 의해 오염원의 확산될 우려가 있다. 도 7b 와 같이 회전중심축과 스월러(10)의 경사면이 이루는 각도(θ)가 90도 보다 큰 90~120도 사이에 있으면, 경사면이 90도인 경우보다 배기 깊이는 줄어들지만, 안정적인 2차 와류(40)가 형성되어 소음이 줄어들고, 배기 유동도 안정적으로 흐르게 된다.As shown in FIG. 7A, when the angle θ formed between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스월러(10)에 부착되는 날개(11)의 형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월러(10)의 회전시 스월러에 부착된 날개(11)에 의해 날개 주위의 유체는 회전 운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날개의 단면적이 클 수록 많은 양의 유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반경이 클수록 스월러의 회전 속도가 빠르므로, 바깥쪽에 있는 날개의 길이가 길어야 한다. 또한 스월러에 의한 오염원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날개는 배기관(50)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스월러에 부착되어야 한다. 그리고 언급한 바와 같이 많은 양의 유량을 바깥으로 밀어내기 위하여 직선 형태의 날개와 더불어 곡률을 갖는 날개의 형태도 생각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에 의하면, 스월러에 의해 형성되는 와류를 이용하여 배기구의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오염원에 대해 효율적인 제거가 가능하고, 부가적인 설비의 증설없이 기존의 배기 장치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xhau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xhaust performance of the exhaust port by using the vortex formed by the swirle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remove the locally generated pollutant sourc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imply installed and used in the existing exhaust system without expans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3954A KR100784250B1 (en) | 2002-12-26 | 2002-12-26 | Vortex Exhaust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3954A KR100784250B1 (en) | 2002-12-26 | 2002-12-26 | Vortex Exhaust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7286A KR20040057286A (en) | 2004-07-02 |
KR100784250B1 true KR100784250B1 (en) | 2007-12-11 |
Family
ID=37349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3954A Expired - Lifetime KR100784250B1 (en) | 2002-12-26 | 2002-12-26 | Vortex Exhaust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425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98522A1 (en) | 2009-02-24 | 2010-09-02 | (주)지텍 | Local exhaust apparatus |
WO2011021760A1 (en) * | 2009-08-21 | 2011-02-24 | 유한회사 대동 | Range cooker hood employing a swirler |
WO2017175889A1 (en) * | 2016-04-06 | 2017-10-12 | 이장열 | Integrated exhaust fan using vortex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1295B1 (en) * | 2007-04-20 | 2008-04-11 |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Vortex Type Local Exhaust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0038U (en) | 1996-12-20 | 1998-09-15 | 김영귀 | Exhaust system for back pressure removal |
KR20020060789A (en) | 2001-01-12 | 2002-07-19 | 이근선 | swirler with turbulence generator |
KR20020074690A (en) | 2001-03-21 | 2002-10-04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Fuel injector having swirler |
-
2002
- 2002-12-26 KR KR1020020083954A patent/KR100784250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40038U (en) | 1996-12-20 | 1998-09-15 | 김영귀 | Exhaust system for back pressure removal |
KR20020060789A (en) | 2001-01-12 | 2002-07-19 | 이근선 | swirler with turbulence generator |
KR20020074690A (en) | 2001-03-21 | 2002-10-04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Fuel injector having swirl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0098522A1 (en) | 2009-02-24 | 2010-09-02 | (주)지텍 | Local exhaust apparatus |
WO2011021760A1 (en) * | 2009-08-21 | 2011-02-24 | 유한회사 대동 | Range cooker hood employing a swirler |
WO2017175889A1 (en) * | 2016-04-06 | 2017-10-12 | 이장열 | Integrated exhaust fan using vorte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7286A (en) | 2004-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6862B1 (en) | Local ventilator having swirler and guide member | |
KR101463455B1 (en) | Exhaust ventilation of re-spread prevention and Increasing the displacement | |
KR101387016B1 (en) | Local ventilator of re-spread prevention | |
KR101533645B1 (en) | Non-motorized swirler local exhaust ventilator using a suction airflow | |
KR100873522B1 (en) | Vortex Type Local Exhaust System | |
KR100529002B1 (en) | Local exhaust ventilation system with covered rotating swirler | |
KR101444338B1 (en) |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 |
KR101259586B1 (en) |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 |
KR100873521B1 (en) | Vortex Type Local Exhaust System | |
KR100955727B1 (en) | Local ventilator device | |
KR101170160B1 (en) |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 |
KR20160004713A (en) | Swirl high efficiency fan | |
KR101709278B1 (en) | Local ventilator | |
KR20110020157A (en) | Range hood with swirler | |
KR101294324B1 (en) |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 |
KR101222529B1 (en) | Vortex type bentilator with bell mouth | |
KR101193604B1 (en) |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 |
KR20120105104A (en) | Swirler drived by exhaust gas flow of the local ventilator device | |
KR101606864B1 (en) | Local ventilator having swirler and guide member | |
KR100784250B1 (en) | Vortex Exhaust System | |
KR200463762Y1 (en) | Vortex type ventilator | |
KR102104317B1 (en) | Local ventilation equipment and swirler therein | |
KR20130043413A (en) | The local ventilator device equipped with swirler and air curtain guide | |
AU2019479010B2 (en) | Vertical-axis wind turbine | |
KR101294325B1 (en) | Local ventilator with swirl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02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2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0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2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23062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