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3972B1 -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 Google Patents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972B1
KR100783972B1 KR1020070000003A KR20070000003A KR100783972B1 KR 100783972 B1 KR100783972 B1 KR 100783972B1 KR 1020070000003 A KR1020070000003 A KR 1020070000003A KR 20070000003 A KR20070000003 A KR 20070000003A KR 100783972 B1 KR100783972 B1 KR 100783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holding fixture
stair
anchor bolt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0089A (ko
Inventor
김경희
신순철
Original Assignee
김경희
신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희, 신순철 filed Critical 김경희
Priority to KR1020070000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972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97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고정구를 원형으로 구성하고, 콘크리트면과 앙카볼트로서 체결되는 결합공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지주고정구에 사각 파이프의 난간지주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난간지주의 방향(각도)전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주고정구의 위치 선정이 잘못되어 설치된 경우 앙카볼트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계단난간의 설치시 작업성과 시공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측에 앨보가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난간지주를 앙카볼트로서 콘크리트 바닥면과 고정시키는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구는 콘크리트 바닥면과 밀착되는 원판형의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단턱부를 두고 상기 난간지주가 유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 삽입부가 수직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삽입부 내측 베이스 중앙부에는 콘트리트 바닥면과 앙카볼트로서 체결되며 상기 지주고정구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단, 난간, 지주고정, 고정구, 각도전환, 방향전환, 각도도절, 방향조절

Description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Prop fixing for structure of stairway rail}
도 1은 종래 계단난간의 설치상태도.
도 2a는 종래 계단난간의 분해사시도.
도 2b의 (가), (나)는 종래 계단난간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계단난간의 분해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난간 지주고정구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의 정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고정구에 난간지주 설치시 유동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5b의 (가),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고정구가 장공 및 앙카볼트를 축으로 하는 이동 범위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고정구에 의해 계단 난간지주가 설치된 상태의 평단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고정구에 임시난간이 설치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고정구에 임시난간이 설치되는 상태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난간지주 2a, 2b : 앨보
3a, 3b : 레일 6 : 계단난간
5 : 볼트 10a : 지주고정구
11a : 베이스 12 : 장공
13a : 단턱부 14a : 파이프 삽입부
15a : 앙카볼트
본 발명은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주고정구를 원형으로 구성하고, 콘크리트면과 앙카볼트로서 체결되는 결합공을 장공으로 형성하여 지주고정구에 사각 파이프의 난간지주가 유입된 상태에서 상기 난간지주의 방향(각도)전환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지주고정구의 위치 선정이 잘못되어 설치된 경우 앙카볼트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계단난간의 설치시 작업성과 시공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2층 이상의 건물 또는 공동주택의 아파트, 빌딩과 같은 건축물에는 층과 층 사이를 이어주는 계단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계단의 일측에 추락사고를 방지 하도록 하기 위한 계단난간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계단난간(6)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a는 종래 계단난간(6)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b의 (가), (나)는 종래 계단난간의 평단면도로서, 지주고정구(10)에 의해 콘트리트 바닥면에 수직 설치되는 난간지주(1)의 상.하측에 앨보(2a)(2b)가 볼트(5)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앨보(2a)(2b)의 일측에 레일(3a)(3b)이 설치되어 이 두 레일(3a)(3b) 사이에 수직봉(4)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계단난간(6)을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계단난간(6)을 설치함에 있어 난간지주(1)는 지주고정구(10)에 의해 콘트리트 바닥면과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주고정구(10)는 사각 파이프의 난간지주(1) 형상과 동일한 사각형상의 베이스(11)가 구비되고, 이 베이스(11)의 상면에는 단턱부(13)를 두고 난간지주(1)가 유입되는 사각형상의 파이프 삽입부(14)가 일정 높이 만큼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 삽입부(14) 내측 베이스(11)에는 콘트리트 바닥면과 앙카볼트(15)로서 체결되는 두 개의 결합공(12a)(12b)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지주고정구(10)는 난간지주(1)가 설치되어야 할 계단의 콘크리트 바닥면 위에 배치한 다음, 베이스(11)에 형성된 결합공(12a)(12b)을 통해 앙카볼트(15)로서 체결하게 되면 상기 지주고정구(10)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지주고정구(10)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사각 파이프형태의 난간지주(1)를 파이프 삽입부(14) 외측에 유입하여 억지끼움 시키게 되면 상기 지주고정구(10)와 난간지주(1)는 서로 결합 고정된 상태가 되고, 이때 난간지주(1)의 끝단부는 단턱부(13)와 접촉되어 일직선상을 이루게 된다.
이 후 상기 난간지주(1)의 적정한 위치에 앨보(2a)(2b)를 볼트(5)로서 체결하게 되며, 이 앨보(2a)(2b)에 레일(3a)(3b)을 설치한 다음, 상기 레일(3a)(3b) 사이에 수직봉(4)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계단난간(6)의 설치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난간지주(1)를 고정시키는 종래 지주고정구(10)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난간지주(1)가 지주고정구(10)의 파이프 삽입부(14)에 유입된 상태에서는 난간지주(1)가 유동될 수 없는 상태가 되어 각도(방향) 전환이 불가능함에 따라 지주고정구(10)의 배치 각도가 조금이라도 어긋나게 설치될 경우 레일(3a)(3b)의 각도가 맞지 않게 되며, 이럴 경우에는 앙카볼트(15)를 느슨하게 해제한 후, 다시 지주고정구(10)의 각도를 재배치하여야 함으로서 시공상에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다.
특히, 도 2b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고정구(10)의 설치 위치가 원천적으로 잘못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앨보(2a)(2b) 및 레일(3a)(3b)의 설치 각도가 완전히 어긋나게 되고, 이로 인해 아래층과 윗층의 난간지주(1)가 서로 연결될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럴 경우 앙카볼트(15)를 해체하여 지주고정구(10)와 콘크리트 바닥면을 서로 완전히 분리시킨 후, 다시 새로운 부착 위치를 재설정하여 설치함으로써 시공성 및 작업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주고정구를 구성하는 베이스를 원판으로 구성하고, 파이프 삽입부를 원판의 베이스에 대해 수직 원기둥으로 형성함으로써 난간지주가 파이프 삽입부에 유입된 상태에서도 상기 난간지주의 각도(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주고정구를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할 경우 설치각도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시공성 및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고정구를 구성하는 베이스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바닥면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을 일정 길이 만큼의 장공으로 형성함에 따라 계단난간의 시공시 지주고정구의 설치 위치가 원천적으로 잘못되어 있을 경우 상기 장공의 길이 범위와 일측 축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범위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앙카볼트를 해체하여 지주고정구와 콘크리트 바닥면을 서로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아도 난간지주를 정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어 시공성 및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지주고정구는 한번의 설치에 의해 임시 계단난간에도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시공성 및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하측에 앨보가 볼트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난간지주를 앙카볼트로서 콘크리트 바닥면과 고정시키는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구는 콘크리트 바닥면과 밀착되는 원판형의 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는 단턱부를 두고 상기 난간지주가 유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 삽입부가 수직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삽입부 내측 베이스 중앙부에는 콘트리트 바닥면과 앙 카볼트로서 체결되며 상기 지주고정구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를 도 3 내지 도 6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주고정구(10a)를 사용한 계단난간(6)의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지주고정구(10a)에 의해 콘트리트 바닥면에 수직 설치되는 난간지주(1)의 상.하측에 앨보(2a)(2b)가 볼트(5)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앨보(2a)(2b)의 일측에 레일(3a)(3b)이 설치되어 이 두 레일(3a)(3b) 사이에 수직봉(4)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계단난간(6)을 이루고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난간 지주고정구(10a)의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정단면도로서, 상기 지주고정구(10a)는 원판형의 베이스(11a)가 구비되고, 이 베이스(11a)의 상면에는 단턱부(13a)를 두고 난간지주(1)가 유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 삽입부(14a)가 일정 높이만큼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이프 삽입부(14a) 내측 베이스(11a) 중앙부에는 콘트리트 바닥면과 앙카볼트(15)로서 체결되는 장공(12)이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고정구(10a)는 난간지주(1)가 설치되어야 할 계단의 콘크리트 바닥면 위에 배치한 다음, 베이스(11a)에 형성된 장공(12)을 통해 앙카볼트(15)로서 체결하게 되면 상기 지주고정구(10)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지주고정구(10a)가 콘크리트 바닥면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사각 파이프형태의 난간지주(1)를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 삽입부(14a) 외측에 유입하여 억지끼움 시키게 되면 상기 지주고정구(10a)와 난간지주(1)는 서로 결합 고정된 상태가 되고, 상기 난간지주(1)의 끝단부는 단턱부(13a)와 접촉되어 일직선상을 이루게 된다.
이때, 도 5a에 도시된 평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 파이프형태의 난간지주(1)는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 삽입부(14a)와 네 지점에서 접촉이 이루어짐에 따라 인위적인 힘을 가할 경우 좌.우 방향으로 각도(방향) 조절이 용이함으로써 상기 지주고정구(10a)를 앙카볼트(15a)로서 콘크리트 바닥면의 고정 설치시 배치 각도에 제한을 받지 않게 되어 시공성 및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주고정구(10a)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상기 지주고정구(10a)의 위치가 원천적으로 잘못 설치되어 있을 경우 지주고정구(10a)와 콘크리트 바닥면을 서로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5b의 (가), (나)에 도시된 평단면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면에 상기 지주고정구(10a)의 설치 위치가 원천적으로 잘못 설치되어 있을 경우 앙카볼트(15a)의 너트 부분을 해제하게 되면 장공(12)의 범위내에서 지주고정구(10a)의 위치를 상.하.좌.우로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앙카볼트(15a)를 축으로 하는 반경 범위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앙카볼트(15a)를 해체하여 지주고정구(10a)와 콘크리트 바닥면을 서로 완전히 분리시킨 후, 재설치하지 않아도 난간지주(1)를 정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공성 및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 후 상기 난간지주(1)의 적정한 위치에 앨보(2a)(2b)를 볼트(5)로서 체결하게 되며, 이 앨보(2a)(2b)에 레일(3a)(3b)을 설치한 다음, 상기 레일(3a)(3b) 사이에 수직봉(4)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함으로써 도 6에서와 같이 평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난간(6)의 설치를 완성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주고정구(10a)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공사 중에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임시난간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즉,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고정구(10a)에 임시 난간이 설치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지주고정구(10a)에 임시 난간이 설치되는 상태의 정단면도로서, 건축물의 공사 중에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임시적으로 설치되는 임시난간은 주로 원형 파이프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임시 계단난간의 난간지주(1a)는 원통형의 파이프 삽입부(14a) 내측에 유입하여 고정시킨 다음, 상기 난간지주(1a)에 레일(3c)(3d)을 체결함으로써 임시간난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주고정구(10a)의 베이스(11a)와 파이프 삽입부(14a)를 원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난간지주(1)의 설치시 상기 난간지주(1)의 각도(방향) 전환이 가능함은 물론, 콘크리트 바닥면과 지주고정구(10a)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을 장공(12)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장공(12)에 유입되는 앙카볼트(15a)를 축으로 하는 반경 범위내에서 위치변경이 가능 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한번의 지주고정구(10a) 설치에 의해 임시 계단난간의 설치에 적용이 가능하여 시공성 및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계단난간을 설치함에 있어 지주고정구를 구성하는 베이스를 원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원판의 베이스에 대해 수직 원기둥으로 형성된 파이프 삽입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난간지주가 파이프 삽입부에 유입된 상태에서도 상기 난간지주의 각도(방향)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지주고정구를 콘크리트 바닥면에 설치할 경우 설치각도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써 시공성 및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주고정구를 구성하는 베이스에 형성되어 콘크리트 바닥면과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을 일정 길이 만큼의 장공으로 형성함에 따라 계단난간의 시공시 지주고정구의 설치 위치가 원천적으로 잘못되어 있을 경우 상기 장공의 길이와 일측 축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범위내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앙카볼트를 해체하여 지주고정구와 콘크리트 바닥면을 서로 완전히 분리시키지 않아도 난간지주를 정확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어 시공성 및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상.하측에 앨보(2a)(2b)가 볼트(5)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난간지주(1)를 앙카볼트(15)로서 콘크리트 바닥면과 고정시키는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10a)에 있어서,
    상기 지주고정구(10a)는 콘크리트 바닥면과 밀착되는 원판형의 베이스(11a)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11a)의 상면에는 단턱부(13a)를 두고 상기 난간지주(1)가 유입되는 원기둥 형상의 파이프 삽입부(14a)가 수직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 삽입부(14a) 내측 베이스(11a) 중앙부에는 콘트리트 바닥면과 앙카볼트(15a)로서 체결되며 상기 지주고정구(10a)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공(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KR1020070000003A 2007-01-01 2007-01-01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Expired - Fee Related KR100783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003A KR100783972B1 (ko) 2007-01-01 2007-01-01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003A KR100783972B1 (ko) 2007-01-01 2007-01-01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089A KR20070010089A (ko) 2007-01-19
KR100783972B1 true KR100783972B1 (ko) 2007-12-10

Family

ID=38011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0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783972B1 (ko) 2007-01-01 2007-01-01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39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17Y1 (ko) * 2014-08-19 2015-02-11 이윤희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KR101833211B1 (ko) * 2017-11-10 2018-03-02 주식회사 딕누리 간살 연결 지지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855B1 (ko) * 2009-12-16 2012-06-20 김명수 선형부재 연결기구를 이용한 경계구조물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056A (ja) * 1994-07-06 1996-01-23 Sekisui House Ltd 手摺り
KR200321674Y1 (ko) 2003-05-12 2003-07-31 신범순 난간용 지주의 연결장치
KR20050081821A (ko) * 2004-02-13 2005-08-19 김오형 핸드레일의 지주와 레일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056A (ja) * 1994-07-06 1996-01-23 Sekisui House Ltd 手摺り
KR200321674Y1 (ko) 2003-05-12 2003-07-31 신범순 난간용 지주의 연결장치
KR20050081821A (ko) * 2004-02-13 2005-08-19 김오형 핸드레일의 지주와 레일 연결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217Y1 (ko) * 2014-08-19 2015-02-11 이윤희 안전봉 벽체고정장치
KR101833211B1 (ko) * 2017-11-10 2018-03-02 주식회사 딕누리 간살 연결 지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089A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1541B (zh) 悬吊天花板系统、固定构件及安装悬吊天花板系统的方法
AU2019232888B2 (en) A void platform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platform support across a building void
KR101387296B1 (ko) 교량의 점검 및 보수 유지관리를 위한 레일 걸이식 점검통로
KR101854330B1 (ko) 난간고정용 브라켓
KR100783972B1 (ko) 계단난간의 지주고정구
KR101932012B1 (ko) 자세 조정이 용이한 난간 지주, 이를 이용한 난간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20090082550A (ko)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난간
KR100589848B1 (ko) 건축용 베란다 난간의 기초앵커
KR200436708Y1 (ko) 계단난간
KR20180003332A (ko) 교량 유지 점검 시설물
KR20110007618U (ko) 건축용 동바리의 드롭 헤드 서포터
KR101595177B1 (ko) 스텝 결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립식 계단
KR102289940B1 (ko) 골조공사용 가설발판 거치대
KR101886015B1 (ko) 난간 지주 및 그 시공방법
KR200434150Y1 (ko) 건설현장용 계단난간
KR200382475Y1 (ko) 계단난간 임시 고정구조
JP2013129961A (ja) 鉄骨階段の仮止め固定方法と、鉄骨階段支持用のパイプサポート
KR101578763B1 (ko) 계단용 임시난간
KR101099637B1 (ko) 핸드레일 서포트어셈블리
KR20100034577A (ko) 시스템 서포트
KR100740945B1 (ko) 건축 구조물 안전 계단 설치구조
KR100608096B1 (ko) 건축물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구조
KR20080072170A (ko) 거푸집 난간용 파이프 고정구
KR200367391Y1 (ko) 발코니의 가설용 조립식 난간
KR100683506B1 (ko) 계단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3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