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3599B1 -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599B1
KR100783599B1 KR1020070023447A KR20070023447A KR100783599B1 KR 100783599 B1 KR100783599 B1 KR 100783599B1 KR 1020070023447 A KR1020070023447 A KR 1020070023447A KR 20070023447 A KR20070023447 A KR 20070023447A KR 100783599 B1 KR100783599 B1 KR 100783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transfer
heat exchanger
heat
air
transf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연
김진혁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가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주)가교테크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23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599B1/ko
Priority to PCT/KR2008/000822 priority patent/WO2008111732A1/en
Priority to EP08712469.9A priority patent/EP211860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031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9/0037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the conduits for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also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9/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9/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heat-exchange media travelling at an angle to one an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pontual, e.g. dimp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28F3/046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the deformations being linear, e.g. corrug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공기를 배출될 때 손실되는 냉/열기를 이용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시켜 유입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양단부에 형성된 배기덕트와 급기덕트 중단에서 제1, 2전열판으로 이루어져 열교환을 발생시키는 열교환기를 형성하되, 상기 제 1전열판의 전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제1결합턱과 제1결합홈에 대응하는 제2결합턱과 제2결합홈을 제 2전열판에 형성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제 1전열판의 경사진 좌, 우 양단부 중 일측 경사 단면에 형성된 제1밀폐홈에 제 2전열판의 제 1밀폐턱을 결합시키거나, 제 2전열판의 제2밀폐홈에 제 1전열판의 제 2밀폐턱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2전열판을 다수개 적층시켜, 냉/열기가 유입/배출되는 입출구가 타측 경사 단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배출공기 중에 포함된 열에너지가 전달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냉각 및 가열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열교환기, 전열판, 열교환, 열에너지, 환기

Description

환기장치용 열교환기{HEAT EXCHANGER FOR VENTIL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전열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B-B, C-C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전열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B'-B', C'-C'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B''-B'', C''-C'' 단면도.
삭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 1전열판 11: 제 1결합턱
12: 제 2결합턱 13: 제 1밀폐홈
14: 제 2밀폐턱 20: 제 2전열판
21: 제 1결합홈 22: 제 2결합홈
23: 제 1밀폐턱 24: 제 2밀폐홈
30: 열교환기 40: 가이드바
41: 요철부재 50: 입출구
60: 배기덕트 61: 급기덕트
70: 체결공 71: 체결돌기
100: 기준면 200: 돌출턱
본 발명은 환기장치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 공기를 배출될 때 손실되는 냉/열기를 이용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시켜 유입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양단부에 형성된 배기덕트와 급기덕트 중단에서 제1, 2전열판으로 이루어져 열교환을 발생시키는 열교환기를 형성하되, 상기 제 1전열판의 전후면 테두리에 형성된 제1결합턱과 제1결합홈에 대응하는 제2결합턱과 제2결합홈을 제 2전열판에 형성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제 1전열판의 경사진 좌, 우 양단부 중 일측 경사 단면에 형성된 제1밀폐홈에 제 2전열판의 제 1밀폐턱을 결합시키거나, 제 2전열판의 제2밀폐홈에 제 1전열판의 제 2밀폐턱이 결합되도록 상기 제 1, 2전열판을 다수개 적층시켜, 냉/열기가 유입/배출되는 입출구가 타측 경사 단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배출공기 중에 포함된 열에너지가 전달되도록 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냉각 및 가열시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실내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잔존 산소량은 줄어들며 이산화탄소량은 늘어나게 되며, 또한 인위적으로 발생되는 냄새, 먼지 등에 의해 혼탁하여 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건축물의 실내는 신선한 외기를 주기적으로 공급해 주어야만 신선하며,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있어서는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배출하며,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는 환기장치를 갖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아니면 인위적으로 창문 등을 열어 실내공기를 환기시켜 주는 것을 볼 수 있다.
종래 건물의 환기장치로는 급기 및 배기풍도(닥트)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실외공기를 유입하거나 실내공기를 배출하여 환기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기시에는 실내의 높은 열에너지를 갖는 공기가 외부로 그대로 방출되며, 실외의 낮은 열에너지를 갖는 실외공기가 유입됨으로 인해 환기시 많은 열에너지가 낭비되어지게 된다.
즉 사람이 생활하기에 적당한 온도는 20℃ 전후로 동절기나 하절기를 막론하고 실내의 온도는 20℃ 전후를 유지하게 되나 동절기 외부의 온도가 0℃일 경우 실내의 온도와는 20˚의 온도차이를 가지며, 하절기 외부의 온도가 30℃일 경우 실내와 온도는 10℃의 온도차이를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동절기나 하절기 실내의 온도와 실외의 온도가 많은 온도차를 가질때 온열이나 냉열의 높은 열에너지를 갖는 실내공기가 그대로 배출되며, 낮은 열에너지를 갖는 실외공기가 유입될 때 이에 대한 냉열 또는 온열의 열에너지를 가해야 되는 열에너지 낭비를 볼 수 있다.
즉, 하절기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할 때에는 외부보다 상대적으로 찬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며, 방출된 찬 공기만큼 실외의 더운 공기를 유입함에 있어서는 이를 에어컨이나 공기조화기와 같은 공기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온도를 낮춘 찬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게 되며, 반대로 동절기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때에는 외부보다 상대적으로 더운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며, 방출된 더운공기만큼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난방기 등을 이용하여 온도를 높여 공급하거나 실내의 온도를 높여주어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를 교환함에 있어 열손실이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것을 감안하여 배기공기 중에 포함된 열에너지를 급기공기로 전달되도록 하여 급기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기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시켜 유입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양단부에 형성된 급기덕트와 배기덕트의 중단에 형성되어 열교환을 발생시키는 열교환기를 제 1전열판과 제 2전열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제 1전열판의 제 1결합턱과 제 2결합턱을 제 2전열판의 제 1결합홈과 제 2결합홈에 각각 대응결합시키고, 좌, 우 양단부에 경사진 좌, 우 단면을 형성하되, 상기 제 1전열판과 제 2전열판을 교대로 다수개 적층하면서 일측 경사 단면과 타측 경사 단면에서 냉/열기가 유입/배출되는 입출구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때 손실되는 냉/온기의 열에너지를 이용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하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으로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는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도록 양단부에 배기덕트와 급기덕트를 각각 형성하며,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때 손실되는 냉/열기를 이용해서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가열시키며 유입시키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와 급기덕트 사이에 열교환을 발생시키는 열교환기를 형성하되, 상기 열교환기는 전면과 후면의 테두리에 수평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기준면으로부터 돌출턱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상부로 돌출되는 제 1결합턱과 상기 제 1결합턱의 내측에 형성하며 기준면으로부터 하부로 파여진 형상을 가지는 제 2결합턱을 형성하고, 좌/우 양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좌우 단면을 가지되, 일측 단면의 테두리에는 기준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수평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턱을 구비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파여진 제 1밀폐홈을 형성하고, 타측 경사진 단면의 테두리에는 수평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기준면으로부터 하부로 파여진 제 2밀폐턱을 형성한 제 1전열판과; 상기 제 1전열판에 대응되며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 1전열판의 제 1결합턱이 삽입 결합되는 제 1결합홈과 상기 제 2결합턱에 대응되는 제 2결합홈이 전/후면 테두리에 형성되고, 좌/우 양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좌우 단면을 가지되, 일측 단면의 테두리는 상기 제 1밀폐홈에 끼워져 냉/열기의 유로를 차단하는 제 1밀폐턱을 형성하고, 타측단면의 테두리는 상기 제 2밀폐턱이 대응결합되는 제 2밀폐홈을 형성하며, 상기 제 1전열판의 타측단면 사이에 냉/열기가 유입/배출되는 입출구를 형성하는 제 2전열판;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전열판과 제 2전열판이 상호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번갈아가며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제 1전열판과 제 2전열판은 냉/열기의 방향을 유도하도록, 냉/열기가 유입/배출되는 양단부 상면에 가이드바를 형성하고, 중단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요철부재를 일정간격 이격하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전열판과 제 2전열판은 다수개가 상호 대응되며 적층될 경우, 적층된 상기 다수개의 제 1, 2전열판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전열판에는 체결공을 일정간격 이격하여 복수개 천공하고, 상기 제 2전열판에는 체결공과 상, 하부에서 대응되되 내부가 관통된 체결돌기를 상부로 복수개 돌출 형성시켜, 체결부재가 다수개로 적층된 상기 제 1, 2전열판의 체결공과 체결돌기에 연속적으로 삽설되어 상기 다수개의 제 1, 2전열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기장치용 열교환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열교환기는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경우 손실되는 열/냉기를 유입되는 공기의 냉각/가열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이 다수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30)로 인하여 환기 후 유입된 냉/온기를 1차적으로 냉각/가열하여 유입할 수 있도록 하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전열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B-B, C-C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전열판(10)은 육각형 형상이며, 전면과 후면은 대응되고, 좌/우 양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좌우 경사 단면을 가지게 되고, 양단부가 서로 대칭을 이루게 된다.
평판으로부터 형성되는 상기 제 1전열판(10)의 전면과 후면의 테두리에는 수평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기준면(100)으로부터 돌출턱(20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상부로 돌출되는 제 1결합턱(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결합턱(11)의 내측으로는 제 2결합턱(12)이 형성이 되는데 상기 제 2결합턱(12)은 기준면(100)으로부터 하부로 파여진 형상을 가진다.
더불어, 상기 제 1전열판(10)의 좌, 우 양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좌우 단면을 가지고 있되, 일측 경사진 단면의 테두리에는 기준면(10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수평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턱(200)을 구비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파여진 제 1밀폐홈(13)이 형성되고, 타측 경사진 단면의 테두리에는 수평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기준면(100)으로부터 하부로 파여진 제 2 밀폐턱(14)이 형성된다.
상기 제 2밀폐턱(14)이 형성되는 부위에 입출구(50)가 형성되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1전열판(10)의 상면 중단에는 다수개의 요철부재(41)가 일정간격 이격되며 돌출형성되어 있고, 양단부측에는 제 2밀폐턱(14)이 형성된 경사진 단면측이자, 입출구(50)가 형성된 부위로 다수개의 가이드바(40)가 공기유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될 제 2전열판(20)에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유로 방향이라 함은 공기가 일측으로 유입되어 타측으로 배출되거나, 타측으로 유입되어 일측으로 배출됨을 말한다.
상기 제 1전열판(10)의 재질은 플라스틱을 사용하지만, 사용자의 임의로 재질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2전열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A', B'-B', C'-C' 단면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전열판(20)은 전, 후면 테두리에 수평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기준면(100)으로부터 돌출턱(200) 높이만큼 상부로 돌출되는 제 1결합홈(21)과 상기 제 1결합홈(21)의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턱(200)이 형성됨으로써 제 1결합홈(21)과 돌출턱(200) 사이에 제 2결합홈(22)이 형성된다.
또한, 좌/우 양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좌우 단면을 가지되, 일측 경사 단면의 테두리에는 수평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기준면(100)으로부터 하부로 파여진 제 1밀폐턱(23)이 형성되고, 타측 경사 단면의 테두리에는 기준면(10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수평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턱(200)을 구비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형성된 제 2밀폐홈(2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 2전열판(20)은 제 1전열판(10) 상단에 결합하게 되며,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열교환기는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이 다수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열교환기(30)구조로써, 이는 상기 제 1전열판(10)의 상면과 저면에는 제 2전열판(20)이 각각 결합하게 되며, 다시 말해 이는 제 2전열판(20)의 상, 저면에 제 1전열판(10)이 각각 결합된다는 뜻이기도 한다. 상기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간의 결합은 하기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 2전열판(20)의 재질은 제 1전열판(10)과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을 사용하지만, 사용자의 임의로 재질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B''-B'', C''-C'' 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이 다수개 적층되어 하나의 열교환기(30)를 형성하는 것으로, 제 1전열판(10) 상단에 제 2전열판(20)이 결합되는 구조를 위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은 서로 대응되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 1전열판(10)의 전, 후면에 형성된 제 1결합턱(11)이 제 2전열판(20)의 제 1결합홈(21)에 끼워지게 되어 전, 후면 내부가 막히게 되고, 상기 제 1전열판(10)의 일측 경사 단면에 형성된 제 1밀폐홈(13)에 제 2전열판(20)의 제 1밀폐턱(23)이 결합되어 일측 경사면을 막아 공기의 유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이 결합되지 않은 부위인 타측 경사면에 입출구(50)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전열판(10)의 저면에 결합되는 제 2전열판(20)의 경우에는 상기 제 1전열판(10)의 제 2결합턱(12)이 제 2전열판(20)의 제 2결합홈(22)에 끼워져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의 전, 후면 테두리가 막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 1전열판(10)의 타측경사면에 형성된 제 2밀폐턱(14)이 제 2전열판(20)의 제 2밀폐홈(2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전열판(10) 상면에 제 2전열판(20)이 결합되는 경우와는 반대로 타측경사면이 공기유로를 차단하게 되고,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이 결합되지 않는 일측경사면으로 공기가 유입/배출되는 입출구(50) 가 형성된다.
즉, 제 1전열판(10), 제 2전열판(20)을 교호로 다단 적층하게 되면, 입출구(50)가 일측경사면과 타측경사면에서 번갈아가며 형성되고, 상기 일측경사면과 타측경사면 중 하나는 배기덕트(60)와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급기덕트(61)와 연결하여 사용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으로 구성되는 열교환기(30)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배기덕트(60)와 급기덕트(61)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도 7에서 표시된 화살표는 공기의 유로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기덕트(60)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과 급기덕트(61)로 유동되는 공기의 흐름은 교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교차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도 7에서는 급기덕트(61)와 배기덕트(60)의 상, 하측 위치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변경할 수 있으며, 화살표로 표시된 공기의 흐름 또한 역으로 이용되도록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더불어, 상기 제 1전열판(10)에는 체결공(70)을 다수개 관통 형성하고, 상기 제 2전열판(20)에는 체결공(70)과 대응되는 체결돌기(71)를 형성하여, 상기 제 1, 2전열판(10, 20)이 다수개 적층 될 경우 다수개의 제 1, 2전열판(10, 20)을 고정하 도록 체결부재(72)를 상기 다수개의 제 1, 2전열판(10, 20)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70)과 체결돌기(71)를 차례로 다수개 관통 결합하여 상기 다수개의 제 1, 2전열판(10, 20)을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돌기(71)는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형상이되, 내부가 관통된 형상을 가지게 되며,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부재(72)는 볼트와 너트 조합이 사용되었지만, 이는 사용자에 의해 체결가능한 부재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진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시켜 유입하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양단부에 형성된 급기덕트와 배기덕트의 중단에 형성되어 열교환을 발생시키는 열교환기를 제 1전열판과 제 2전열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제 1전열판의 제 1결합턱과 제 2결합턱을 제 2전열판의 제 1결합홈과 제 2결합홈에 각각 대응결합시키고, 좌, 우 양단부에 경사진 좌, 우 단면을 형성하되, 상기 제 1전열판과 제 2전열판을 교대로 다수개 적층하면서 일측 경사 단면과 타측 경사 단면에서 냉/열기가 유입/배출되는 입출구가 교대로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로 공기를 배출할 때 손실되는 냉/온기의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1차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도록 양단부에 배기덕트(60)와 급기덕트(61)를 각각 형성하며, 내부의 공기를 배출할때 손실되는 냉/열기를 이용해서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냉각/가열시키며 유입시키는 열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60)와 급기덕트(61) 사이에 열교환을 발생시키는 열교환기(30)를 형성하되, 상기 열교환기(30)는 전면과 후면의 테두리에 수평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지점에서 기준면(100)으로부터 돌출턱(200)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상부로 돌출되는 제 1결합턱(11)과 상기 제 1결합턱(11)의 내측에 형성하며 기준면(100)으로부터 하부로 파여진 형상을 가지는 제 2결합턱(12)을 형성하고, 좌/우 양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좌우 단면을 가지되, 일측 단면의 테두리에는 기준면(100)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된 수평의 가장자리와 상기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부로 돌출되는 돌출턱(200)을 구비함으로써 이들 사이에 형성되되 길이방향으로 파여진 제 1밀폐홈(13)을 형성하고, 타측 경사진 단면의 테두리에는 수평의 가장자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기준면(100)으로부터 하부로 파여진 제 2밀폐턱(14)을 형성한 제 1전열판(10)과;
    상기 제 1전열판(10)에 대응되며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 1전열판(10)의 제 1결합턱(11)이 삽입 결합되는 제 1결합홈(21)과 상기 제 2결합턱(12)에 대응되는 제 2결합홈(22)이 전/후면 테두리에 형성되고, 좌/우 양단부는 경사지게 형성된 좌우 단면을 가지되, 일측 단면의 테두리는 상기 제 1밀폐홈(13)에 끼워져 냉/열기의 유로를 차단하는 제 1밀폐턱(23)을 형성하고, 타측단면의 테두리는 상기 제 2밀폐턱(14)이 대응결합되는 제 2밀폐홈(24)을 형성하며, 상기 제 1전열판(10)의 타측단면 사이에 냉/열기가 유입/배출되는 입출구(50)를 형성하는 제 2전열판(20); 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이 상호 대응되도록 다수개가 번갈아가며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은 냉/열기의 방향을 유도하도록, 냉/열기가 유입/배출되는 양단부 상면에 가이드바(40)를 형성하고, 중단에는 상부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요철부재(41)를 일정간격 이격하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전열판(10)과 제 2전열판(20)은 다수개가 상호 대응되며 적층될 경우, 적층된 상기 다수개의 제 1, 2전열판(10, 20)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전열판(10)에는 체결공(70)을 일정간격 이격하여 복수개 천공하고, 상기 제 2전열판(20)에는 체결공(70)과 상, 하부에서 대응되되 내부가 관통된 체결돌기(71)를 상부로 복수개 돌출 형성시켜, 체결부재(72)가 다수개로 적층된 상기 제 1, 2전열판(10, 20)의 체결공(70)과 체결돌기(71)에 연속적으로 삽설되어 상기 다수개의 제 1, 2전열판(10, 2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4. 삭제
KR1020070023447A 2007-03-09 2007-03-09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Active KR100783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447A KR100783599B1 (ko) 2007-03-09 2007-03-09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PCT/KR2008/000822 WO2008111732A1 (en) 2007-03-09 2008-02-12 Heat exchanger for ventilation system
EP08712469.9A EP2118609B1 (en) 2007-03-09 2008-02-12 Heat exchanger for ventil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447A KR100783599B1 (ko) 2007-03-09 2007-03-09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599B1 true KR100783599B1 (ko) 2007-12-07

Family

ID=39140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447A Active KR100783599B1 (ko) 2007-03-09 2007-03-09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118609B1 (ko)
KR (1) KR100783599B1 (ko)
WO (1) WO200811173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975B1 (ko) * 2008-10-28 2009-06-25 (주)가교테크 열교환기를 구비한 실험대 환기장치
KR100923205B1 (ko) * 2008-09-01 2009-10-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KR100991946B1 (ko) * 2010-04-22 2010-11-04 (주)가교테크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3077A (zh) * 2011-01-30 2011-09-14 霍尼韦尔(中国)有限公司 能量回收装置
US8833741B2 (en) * 2011-11-07 2014-09-16 Spx Cooling Technologies, Inc. Air-to-air atmospheric exchanger
FR2985010A1 (fr) * 2011-12-21 2013-06-28 Elyt 3 Plaque pour echangeur thermique
FR2985011B1 (fr) * 2011-12-21 2018-04-06 F2A - Fabrication Aeraulique Et Acoustique Plaque pour echangeur thermique
UA112003C2 (uk) * 2014-11-14 2016-07-11 Приватне Акціонерне Товариство "Вентиляційні Системи" Пакет пластинчастого теплообмінника
CN105986454A (zh) * 2015-02-04 2016-10-05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空气冷凝器及干衣机
CN106705739B (zh) * 2017-01-24 2019-09-20 珠海银河温控技术有限公司 一种塑料换热器
DE102017002500A1 (de) * 2017-03-15 2018-09-20 Klingenburg Gmbh "Plattenwärmetauscher"
US20240240880A1 (en) * 2021-07-12 2024-07-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 ele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7778A1 (fr) 1992-11-03 1994-05-18 COMPAGNIE INDUSTRIELLE D'APPLICATIONS THERMIQUES C.I.A.T. Société Anonyme Echangeur de chaleur à plaques
JP2002350084A (ja)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式熱交換器
JP2003130571A (ja) 2001-10-26 2003-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積層型熱交換器
KR20060015326A (ko) * 2005-11-30 2006-02-16 마쓰시타 에코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열교환기
KR20060026754A (ko) * 2004-09-21 2006-03-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열교환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3417A7 (nl) * 1989-11-13 1992-03-17 Lepeleire Guido De Tegenstroom-platenwarmtewisselaar.
ES2340028T3 (es) * 2003-06-05 2010-05-28 Panasonic Ecology Systems Co., Ltd. Cambiador de cal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97778A1 (fr) 1992-11-03 1994-05-18 COMPAGNIE INDUSTRIELLE D'APPLICATIONS THERMIQUES C.I.A.T. Société Anonyme Echangeur de chaleur à plaques
JP2002350084A (ja) 2001-05-28 2002-1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積層式熱交換器
JP2003130571A (ja) 2001-10-26 2003-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積層型熱交換器
KR20060026754A (ko) * 2004-09-21 2006-03-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폐열회수 환기장치의 열교환기
KR20060015326A (ko) * 2005-11-30 2006-02-16 마쓰시타 에코시스테무즈 가부시키가이샤 열교환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205B1 (ko) * 2008-09-01 2009-10-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KR100903975B1 (ko) * 2008-10-28 2009-06-25 (주)가교테크 열교환기를 구비한 실험대 환기장치
KR100991946B1 (ko) * 2010-04-22 2010-11-04 (주)가교테크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18609B1 (en) 2015-07-01
WO2008111732A1 (en) 2008-09-18
EP2118609A1 (en) 2009-11-18
EP2118609A4 (en)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3599B1 (ko) 환기장치용 열교환기
JP4907687B2 (ja) ヒートポンプ式中温空調システム
US6845629B1 (en) Vertical counterflow evaporative cooler
CN101151424A (zh) 屋顶组件
CN102297485B (zh) 空气热源热泵式空调装置
KR101014241B1 (ko) 열교환장치
JPWO2019087998A1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0783616B1 (ko)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JP2018091498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KR101459218B1 (ko) 대향류형 열교환기를 장착한 열회수 환기시스템
KR100923205B1 (ko) 배기열 회수용 열교환기
ES2971620T3 (es) Sistema climático de ventilación y método para controlar un sistema climático de ventilación
JP2013113493A (ja) 熱交換素子とそれを用いた熱交換換気機器
US10663194B2 (en) Modular solar air heater
KR101270510B1 (ko) 비대칭형 하이브리드 폐열 회수 환기장치
KR101207875B1 (ko) 건물용 전열환기장치
KR101431211B1 (ko) 전열소자를 이용한 대향류 환기장치
EP2847517B1 (en) Fixture for air supply to a room with air temperature treatment
KR100946587B1 (ko) 열교환 환풍기
KR101204314B1 (ko) 지중 열을 이용한 실내?외 공기 열 교환장치
KR100740404B1 (ko)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KR200312200Y1 (ko) 현열교환 환기장치
KR100737323B1 (ko) 폐열회수환기장치
KR101142467B1 (ko) 배기열 회수용 플라스틱 열교환기
KR200471320Y1 (ko) 태양열 가온형 열회수 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3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7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30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