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3114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3114B1
KR100783114B1 KR1020060097820A KR20060097820A KR100783114B1 KR 100783114 B1 KR100783114 B1 KR 100783114B1 KR 1020060097820 A KR1020060097820 A KR 1020060097820A KR 20060097820 A KR20060097820 A KR 20060097820A KR 100783114 B1 KR100783114 B1 KR 100783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
item
key input
key
movement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세엽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3114B1/ko
Priority to US11/903,657 priority patent/US8055654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3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3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요청에 따라 상기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목록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목록 표시 과정과, 상기 목록 표시 과정의 상기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 과정과, 상기 키 입력 과정의 상기 키 입력에 상응하는 간격만큼 이동된 위치의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항목 이동 과정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을 제공한다.
이에 의하면, 숫자 키를 활용하여 커서의 이동 간격을 직접 입력하여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목록에 포함되는 항목의 개수가 많더라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스크롤, 콘텐츠 목록, 통화 내역, 목록 탐색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Method for scanning a list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록 탐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록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간격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록 탐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록 탐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으로 신속하게 이동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급속한 기술 발전을 통해 초기의 단순한 음성 통화 및 단문메시지 전송 기능에서 영상 통화, 전자수첩기능, 음성 또는 영상저장기능, 인터넷 기능, 오락기능 및 콘텐츠 재생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부가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구비된 다양한 기능들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메뉴들이나 콘텐츠들을 목록(list) 형태로 나열하며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특정한 항목(메뉴 또는 콘텐츠)을 선택하려는 경우, 먼저 상, 하 방향 키로 화면을 스크롤하며 커서(cursor)를 원하는 항목에 위치시키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종래의 목록 탐색 방법은 방향 키를 한 번씩 누르는 경우, 커서가 해당 방향으로 한 칸씩 이동한다. 또한, 방향 키를 길게 지속적으로 누르고 있는 경우, 커서는 방향 키의 입력이 해제될 때까지 해당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목록에 나열되는 항목들의 개수가 많고, 이러한 항목들 중 사용자가 선택하기 원하는 특정 항목이 목록의 최 하단부에 있는 경우, 종래의 목록 탐색 방법은 커서가 최 하단부로 이동할 때까지 사용자가 계속 방향 키를 누르고 있어야 한다는 불편이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나 콘텐츠를 선택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목록에 포함된 항목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더욱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목록에 나열되는 항목의 개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항목을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요청에 따라 상기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목록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목록 표시 과정과, 상기 목록 표시 과정의 상기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 과정과, 상기 키 입력 과정의 상기 키 입력에 상응하는 간격만큼 이동된 위치의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항목 이동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목록은 이전에 통화한 내역이 표시되는 통화 내역 목록이나, 다수개의 메뉴 항목들이 표시되는 메뉴 목록들, 또는 다수개의 콘텐츠 파일들이 표시되는 플레이 리스트(play list) 등과 같이, 다수개의 항목들이 차례로 나열되며 표시되는 모든 목록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파일은 디지털콘텐츠(DC : Digital Contents)를 의미하며, 부호나 문자, 음성, 음향, 이미지, 영상 등으로 표현된 자료 또는 정보, 지식, 데이터베이스 등이 IT(Information Technology)와 결합하여 전자적 형태로 제작 또는 처리된 자료나 정보를 의미한다. 특히, 정보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디지털콘텐츠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개략적 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통신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키 입력부(160), 표시부(150), 저장부(17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무선 통신을 위한 해당 데이터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무선통신부(13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130)는 무선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출력하고, 제어부(19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예컨대, 전송용 화상 데이터 또는 전송용 방송 데이터를 전송받고, 무선 채널을 통해 이를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코덱(CODEC: Coder/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덱은 패킷 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처리부(140)는 통화 시 무선통신부(120)를 통해 제어부(190)에 수신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재생하며, 반대로 마이크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코덱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부(190)에게 전달한다. 이를 위해 키 입력부(16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 키(도시되지 않음)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숫자 키(162)들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부(160)는 방향 키(164)와 실행 키(166)를 포함한다.
방향 키(164)는 목록 탐색 시, 순방향(하방;下方)으로 탐색할 것인지 역방향(상방;上方)으로 탐색할 것인지를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음량 조절 키(일반적으로 음량 조절 시 사용되는 사이드 키; side key)를 방향 키(164)로 이용하는 예를 보인다. 즉 '▽'키를 순방향 탐색 키로 이용하며, '△'키를 역방향 탐색 키로 이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종래에 사용되는 4 방향으로 조작 가능한 키 중 상향 키와 하향 키만을 이용하거나, '*'키와 '#'키를 이용할 수도 있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향 키(164)를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하여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행 키(166)는 커서가 위치된 항목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행 키(166)는 확인 키(또는 OK 키)를 이용한다. 그러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50)는 카메라 모듈(180)에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5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50)는 LC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LCD를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50)의 화면은 입력부로 동작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 모리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데이터 메모리에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이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부(170)는 목록 탐색 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이동 간격 데이터 또는 이동 간격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이동 간격 테이블을 저장한다. 이동 간격 데이터 및 이동 간격 테이블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9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표시부(150)에 목록이 표시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키(162)를 기반으로 하여 커서를 이동시킨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목록 탐색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목록 탐색 방법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 또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록 탐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록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록 탐색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기 상태(S11)인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목록 표시 요청이 입력된다(S12). 즉, 사용자가 통화 내역이나 콘텐츠 목록을 위해 키 입력부(160)를 조작하면, 제어부(190)에 목록 표시 요청이 수신된다.
목록 표시 요청이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도 3a와 같이 표시부(150)의 화면에 해당 목록을 표시한다(S13). 도 3a에는 음원 콘텐츠(예컨대 MP3 콘텐츠) 파일들이 목록의 항목들로 표시되는 목록 표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에 한 정되지 않는다.
목록을 표시함과 동시에, 제어부는 목록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항목들 중 특정한 하나의 항목, 예컨대 최상위에 위치되는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한다(S14). 본 발명에서는 특정한 항목이 구별되게 표시되는 상태에 대해 특정한 항목에 커서(cursor)가 위치된 것으로 표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서는 다수개의 항목들 중 특정한 항목이 구별되도록 해당 항목의 배경색과 글자색을 변경시켜 표시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선택된 항목을 점멸시키거나, 항목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scroll)시키며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목록이 표시되면, 화면에 표시된 항목들 중 최상위에 위치되는 항목에 커서가 위치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전의 목록 표시 과정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였던 항목에 커서를 위치시켜 표시하는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표시부(150)에 목록이 표시되고, 특정 항목에 커서가 표시되면, 사용자가 키 조작을 통해 원하는 항목으로 커서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진행된다.
종래의 경우, 상 하 방향키만을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숫자 키(162)를 이용하여 커서를 신속하게 이동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사용자가 키 입력부(160)를 통해 소정의 키를 입력하면(S15), 제어부(190)는 상기 입력된 키가 숫자 키(162)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6). 숫자 키(162)가 아닌 다른 키인 경우, 제어부(190)는 해당 키 입력에 대한 명령을 수행한다(S161). 즉 입력된 키가 방향 키(164)인 경우, 제어부(190)는 종래와 같이 입력된 방향 키의 방향으로 커서를 이동시켜 인접한 다른 항목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사용자가 입력한 키가 숫자 키(162)인 경우, 제어부(190)는 이동 간격 테이블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에 해당하는 이동 간격 데이터를 추출한다(S17).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간격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간격 테이블은 입력 숫자 필드와, 이동 간격 필드를 포함한다. 입력 숫자 필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숫자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키 입력부(160)는 0 내지 9를 입력하기 위한 10개의 숫자 키(162)를 구비하므로, 입력 숫자 필드도 0 내지 9에 이르는 10개의 레코드로 구성된다.
이동 간격 필드는 입력 숫자에 대응되어 커서를 이동시킬 간격이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숫자의 증감에 따라 5항목씩 증감되도록 이동 간격을 배정하고 있다. 즉, 입력 숫자 1에 대해 5를 배정하고, 입력 숫자가 하나씩 커질 때마다 5씩 더해진 값을 이동 간격으로 배정하게 된다. 이에 숫자 0에는 55가 배정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한 번의 숫자 입력으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 간격은 55항목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간격 테이블이 도 4와 같이 기 설정되어 있고, 제어부(190)가 이를 참조하여 커서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동 간격 테이블의 이동 간격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각 숫자에 해당하는 이동 간격을 각각 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입력된 숫자에 해당하는 이동 간격 데이터를 추출하면, 제어부(190)는 추출된 이동 간격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진행한다(S18). 즉 제어부(190)는 현재 커서가 위치된 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추출된 이동 간격 데이터만큼 이동될 위치가 유효한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전체 항목 수가 53개인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0'키를 입력하는 경우, 커서는 55번째 항목에 위치되어야 하나, 전체 항목 수가 53개이므로 커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전체 항목 수가 100개이고, 현재 커서가 90번째 항목에 위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3'키를 입력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예와 같이 커서의 이동이 불가능하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큰 수를 갖는 이동 간격 데이터가 추출되어 해당 위치로 커서를 이동시킬 수 없는 경우, 제어부(190)는 유효하지 않은 숫자가 입력된 것을 판단한다. 이 경우, 제어부(190)는 표시부(150)를 통해 유효하지 않은 숫자가 입력되었다는 메시지를 표시한 후, 도면 부호 S15 과정으로 복귀하여 새로운 키 입력을 기다린다.
한편, 이동 간격이 유효하면, 제어부(190)는 커서가 위치된 현재 항목에서 추출된 이동 간격 데이터(예컨대 10)만큼 하방에 위치한 항목을 탐색하고, 도 3b와 같이 해당 항목에 커서를 위치시킨다(S19).
커서의 이동이 완료되면, 제어부(190)는 키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S20). 현 재 커서가 위치된 항목이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항목이 아닌 경우, 사용자는 다시 숫자 키(162)를 입력하게 되며, 이에 제어부(190)는 도면 부호 S15 과정 내지 도면 부호 S19 과정을 반복하며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반면에 현재 커서가 위치된 항목이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항목인 경우, 사용자는 실행 키(166)를 입력하게 되고, 이에 제어부(190)는 해당 항목에 대한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S21).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록 탐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목록 탐색 방법은 전술된 실시예와 유사하며, 숫자 키(162)의 입력 과정과 커서 이동 과정에서 차이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의 도면 부호 S31 내지 도면부호 S36 과정은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도면 부호 S11 내지 도면부호 S16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되며, 이후의 과정에서만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동일하게 수행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목록 탐색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목록 및 커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부(190)가 키 입력을 수신하면(S35), 제어부(190)는 입력된 키가 숫자 키(162)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6).
숫자 키(162)가 아닌 다른 키인 경우, 제어부(190)는 해당 키 입력에 대한 명령을 수행한다(S361). 반면, 사용자가 입력한 키가 숫자 키(162)인 경우, 제어부(190)는 숫자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S37). 그리고, 입력된 키 입력이 일정 시간(예컨대 2초)이상 지속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8).
키 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지 않고 바로 해제되면, 제어부(190)는 숫자가 모두 입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제어부(190)는 다음의 키 입력을 계속 기다리게 된다(S381). 이에 사용자가 다시 키 조작을 통해 새로운 숫자 키(162)를 입력하면, 제어부(190)는 도면 부호 S37 과정으로 복귀하여 입력된 숫자를 다시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즉 제어부(19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모든 숫자들을 순차적으로 모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한 키 입력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S38), 제어부(190)는 사용자가 입력하기 원하는 숫자가 모두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제어부(190)는 임시 저장한 숫자들을 이용하여 이동 간격 데이터를 생성한다(S39).
예를 들어 사용자가 '5'와 '6'을 차례로 입력하면서, '6'을 길게 입력했다면, 제어부(190)는 입력된 숫자들을 연결하여 '56'이란 이동 간격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
이처럼 이동 간격 데이터가 생성되면, 제어부(190)는 입력된 이동 간격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 이동 간격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과정은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제어부(190)는 이동 간격 데이터가 유효하면, 커서가 위치된 현재 항목으로부터 이동 간격 데이터만큼 하방에 위치한 항목을 탐색하고, 해당 항목에 커서를 위치시킨다(S41).
커서의 이동이 완료되면, 전술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90)는 키 입력을 기다리게 된다(S42). 현재 커서가 위치된 항목이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항목이 아닌 경우, 사용자는 다시 숫자 키(162)를 입력하게 되며(S35), 이에 제어부(190)는 도면 부호 S35 과정 내지 도면 부호 S41 과정을 반복하며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반면에 현재 커서가 위치된 항목이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항목인 경우, 사용자는 실행 키(166)를 입력하게 되고, 이에 제어부(190)는 해당 항목에 대한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S43).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록 탐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목록 탐색 방법은 전술된 실시예들과 유사하며, 숫자 키(162)의 입력 과정과 커서 이동 과정에서 차이를 갖는다. 즉, 본 실시예의 도면 부호 S61 내지 도면부호 S66 과정은 전술된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도면 부호 S11 내지 도면부호 S16 과정과 동일하게 수행되며, 이후의 과정에서만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동일하게 수행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목록 탐색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된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목록 및 커서가 표시된 상태에서 제어 부(190)가 키 입력을 수신하면(S65), 제어부(190)는 입력된 키가 숫자 키(162)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6).
숫자 키(162)가 아닌 다른 키인 경우, 제어부(190)는 해당 키 입력에 대한 명령을 수행한다(S661). 반면, 사용자가 입력한 키가 숫자 키(162)인 경우, 제어부(190)는 숫자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S67).
이어서 제어부(190)는 다른 키 입력을 기다린다. 다른 키 입력이 수신되면, 제어부(190)는 입력된 키가 방향 키(164)인지 숫자 키(162)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68, S681).
입력된 키가 방향 키(164)나 숫자 키(162)가 아닌 경우, 제어부(190)는 키 입력을 무시하고 계속해서 방향 키(164)나 숫자 키(162)의 입력을 기다린다. 이에 다시 숫자 키(162)가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상기한 도면부호 S67 과정부터 다시 수행하며 사용자로 입력되는 모든 숫자 키(162)에 대한 숫자들을 임시 저장한다.
한편, 방향 키(164)의 입력이 수신되면 즉, 사용자가 입력하기 원하는 모든 숫자를 입력하고 마지막으로 방향 키(164; 예컨대, '▽' 키 또는 '△' 키 중 어느 하나)를 입력하면, 제어부(190)는 이를 인지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숫자들과 입력된 방향을 이용하여 방향을 갖는 이동 간격 데이터를 생성한다(S69).
예를 들어 사용자가 '5'와 '6'을 차례로 입력한 후, 마지막으로 '△'키를 입력했다면, 제어부(190)는 먼저 입력된 숫자들을 연결하여 '56'의 숫자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후,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 키(164)가 '△'키 즉, 역 방향(상방)을 나타내는 키이므로, 이를 의미하는 마이너스(-) 부호를 이동 간격 데이터에 추가한 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상기한 예에 따른 이동 간격 데이터는 '-56'으로 생성된다.
이처럼 이동 간격 데이터가 생성되면, 제어부(190)는 입력된 이동 간격 데이터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0). 이동 간격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과정은 전술된 실시예들과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어서 제어부(190)는 이동 간격 데이터가 유효한 경우, 커서가 위치된 현재 항목으로부터 이동 간격 데이터만큼 상방(또는 하방)에 위치한 항목을 탐색하고, 해당 항목에 커서를 위치시킨다(S71).
커서의 이동이 완료되면, 전술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어부(190)는 키 입력을 기다리며 대기한다(S72). 현재 커서가 위치된 항목이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항목이 아닌 경우, 사용자는 다시 숫자 키(162)를 입력하게 되며, 이에 제어부(190)는 도면 부호 S65 과정 내지 도면 부호 S71 과정을 반복하며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반면에 현재 커서가 위치된 항목이 사용자가 실행하려는 항목인 경우, 사용자는 실행 키(166)를 입력하게 되고, 이에 제어부(190)는 해당 항목에 대한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S73).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숫자 키를 입력하여 숫자에 대응되는 이동 간격 데이터만큼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사용자가 이동 간격을 직접 입력하여 커서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서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항목으로 이동시켜 해당 항목을 실행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은 실시예들에 한 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예들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항목들이 스크롤되는 형태의 목록에서 수행하는 예를 보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좌우로 항목들이 스크롤되는 형태의 목록에서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들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목록 탐색 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숫자의 입력이 가능하고, 표시부를 통해 다수개의 항목들이 나열되어 표시되는 목록을 갖는 모든 전자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더하여,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은 숫자 키를 활용하여 커서의 이동 간격을 직접 입력하여 커서의 위치를 원하는 곳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목록에 포함되는 된 항목의 개수가 많더라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항목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요청에 따라 상기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목록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목록 표시 과정과,
    상기 목록 표시 과정의 상기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숫자 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 과정과,
    상기 키 입력 과정의 상기 숫자 키 입력에 상응하는 간격만큼 이동된 위치의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항목 이동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이동 과정은,
    상기 키 입력 과정의 상기 숫자 키에 해당하는 숫자에 배정된 이동 간격 데이터를 추출하는 이동 간격 추출 과정과,
    상기 이동 간격 추출 과정의 상기 이동 간격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유효 여부 판단 과정, 및
    상기 유효 여부 판단 과정의 상기 항목이 유효하면, 상기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항목 표시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유효 여부 판단 과정은 상기 이동 간격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이동 간격 추출 과정의 이동 간격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은 음원 파일들이나 영상 파일들이 포함되는 콘텐츠 파일 리스트(list)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5.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요청에 따라 상기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목록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목록 표시 과정과,
    상기 목록 표시 과정의 상기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 과정과,
    상기 키 입력 과정의 상기 키 입력에 상응하는 간격만큼 이동된 위치의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항목 이동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키 입력 과정에서 입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숫자 키 중,
    최후에 입력되는 상기 숫자 키는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이동 과정은,
    상기 키 입력 과정에서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숫자 키로부터 이동간격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과정과,
    상기 데이터 생성 과정의 상기 이동 간격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유효 여부 판단 과정, 및
    상기 유효 여부 판단 과정의 상기 항목이 유효하면, 상기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항목 표시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유효 여부 판단 과정은 상기 이동 간격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은 음원 파일들이나 영상 파일들이 포함되는 콘텐츠 파일 리스트(list)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9.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요청에 따라 상기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목록을 구성하는 다수개의 항목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목록 표시 과정과,
    상기 목록 표시 과정의 상기 목록이 표시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숫자 키 입력을 수신하는 키 입력 과정과,
    상기 숫자 키 입력에 대한 탐색 방향을 설정하는 방향 키 입력을 수신하는 방향 키 입력 과정, 및
    상기 방향 키 입력에 따른 방향으로 상기 숫자 키 입력에 상응하는 간격만큼 이동된 위치의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항목 이동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키 입력 과정의 방향 키는 음량 조절 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항목 이동 과정은,
    상기 키 입력 과정에서 입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숫자 키와 상기 방향키 입력 과정에서 입력된 방향 키로부터 방향을 갖는 이동 간격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 생성 과정과,
    상기 데이터 생성 과정의 상기 방향을 갖는 이동 간격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가 유효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유효 여부 판단 과정, 및
    상기 유효 여부 판단 과정의 상기 항목이 유효하면, 상기 항목을 구별되게 표시하는 항목 표시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유효 여부 판단 과정은 상기 이동 간격 데이터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항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위치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목록은 음원 파일들이나 영상 파일들이 포함되는 콘텐츠 파일 리스트(list)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KR1020060097820A 2006-10-09 2006-10-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KR100783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820A KR100783114B1 (ko) 2006-10-09 2006-10-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US11/903,657 US8055654B2 (en) 2006-10-09 2007-09-24 List search method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7820A KR100783114B1 (ko) 2006-10-09 2006-10-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3114B1 true KR100783114B1 (ko) 2007-12-07

Family

ID=3913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7820A KR100783114B1 (ko) 2006-10-09 2006-10-09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055654B2 (ko)
KR (1) KR100783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042B1 (ko) * 2006-09-15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핫 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파일 리스트 저장및 표시 방법
US8204755B2 (en) 2009-05-22 2012-06-19 Universal Music Group, Inc. Advanced encoding of music fil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766A (ko) * 2001-09-07 2003-03-1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030031232A (ko) * 2001-10-12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050044942A (ko) * 2003-11-08 2005-05-1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착발신 목록 표시 방법
KR20050119953A (ko) * 2004-06-17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키를 이용한 멀티메뉴 선택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820B1 (ko) * 1999-08-12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이동무선 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0354780B1 (ko) * 2000-10-06 2002-10-05 엘지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구현 방법
KR100433889B1 (ko) * 2001-04-24 2004-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를 이용한 인터넷주소 입력방법
US20020163543A1 (en) * 2001-05-02 2002-11-07 Minoru Oshikiri Menu item selection method for small-sized 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JP2003008726A (ja) 2001-06-19 2003-01-10 Yamaha Corp メニュー項目選択方法と小型情報端末装置
KR100696223B1 (ko) 2002-05-10 2007-03-21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서비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서 노드 b의 퍼징제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0321766Y1 (ko) 2003-04-24 2003-07-31 김진호 입체 화상의 씨디 케이스
KR20050053278A (ko) * 2003-12-02 2005-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검색 방법
KR100673161B1 (ko) 2004-08-17 2007-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축 버튼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메뉴 이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1766A (ko) * 2001-09-07 2003-03-15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030031232A (ko) * 2001-10-12 2003-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방법
KR20050044942A (ko) * 2003-11-08 2005-05-16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착발신 목록 표시 방법
KR20050119953A (ko) * 2004-06-17 2005-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다중키를 이용한 멀티메뉴 선택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5-008726, 2003.1.10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6-16265, 2006.2.22 공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86462A1 (en) 2008-04-10
US8055654B2 (en) 201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718B1 (ko) 휴대단말기에서 터치 이벤트에 따른 정보 표시 장치 및방법
US7555717B2 (en) 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mage on mobile terminal
US8423163B2 (en) Mobile terminal and device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0594456B1 (ko) 전자장치의 메뉴 리스트 검색 방법
RU2444847C2 (ru) Терминал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с сенсорным экраном и способ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его использующий
US20090249206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esenting a media history
US20080134091A1 (en) Content search method and mobile terminal having content search function
USRE41481E1 (en) Method and apparatus of composing menu for users
KR20070088029A (ko)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12511867A (ja) 電子装置の検出された傾斜と傾斜レートの少なくともいずれかに基づいて複数のキー入力領域を修正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78311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목록 탐색 방법
US995896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gistering and executing preferred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73056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3542488A (zh) 采用终端设备控制受控终端的方法、设备和存储介质
JP2006005695A (ja) 携帯端末装置
KR20080029091A (ko) 휴대용 단말기의 목록 스크롤 방법
KR10061994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KR100703437B1 (ko) 휴대단말기에서 대기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44441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메뉴 리스트 편집방법
KR101242438B1 (ko) 위젯 위치 이동 장치 및 방법
KR100605961B1 (ko) 방향키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1147745B1 (ko) 휴대전화에서의 자료 검색 및 표시 방법
KR101683076B1 (ko) 휴대 단말기의 보조키맵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0400155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이동 방법
KR10145275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표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0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0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