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782801B1 -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2801B1
KR100782801B1 KR1020010024379A KR20010024379A KR100782801B1 KR 100782801 B1 KR100782801 B1 KR 100782801B1 KR 1020010024379 A KR1020010024379 A KR 1020010024379A KR 20010024379 A KR20010024379 A KR 20010024379A KR 100782801 B1 KR100782801 B1 KR 100782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roller
cap
power supply
slip r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5098A (ko
Inventor
이경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24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2801B1/ko
Priority to JP2001241809A priority patent/JP3990883B2/ja
Priority to US10/055,938 priority patent/US6594455B2/en
Publication of KR20020085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5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2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2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95Heating devices in the form of roll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53Structural details of heat elements, e.g. structure of roller or belt, eddy current, 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는 캡과, 캡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류를 전달받아 발열부에 전달하는 슬립링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전기적인 전류응력 기계적인 잔류 열 응력 및 사용 환경에 따른 열적 충격등 반복적으로 받게 되는 지속적인 응력에 대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The fixing roller Power-source supply apparatus of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직접 가열 롤러의 전원공급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가 적용되는 정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한 정착롤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의 슬립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한 정착롤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캡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슬립링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한 정착롤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의 연결캡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의 슬립링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의 연결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의 슬립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310...정착롤러장치 240, 360, 460...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241...슬립링 242...연결부
243...캡 244...구멍
340, 440, 540...연결캡 343...돌기부
345, 445, 545...관통홀 351...오목부
355, 455, 555...보호층 353, 453, 553...홀
443,543...돌출부 451, 551...고정홀
본 발명은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구성 및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이용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예를 들어 복사기, 레이저빔 프린터 등은 감광드럼에 인접해 있는 대전롤러(Electrostatic Charging Roller)가 회전하면서 감광드럼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감광체를 고루 대전시킨다. 감광체는 노광주사부 (LSU: Laser Scanning Unit)로부터의 레이저 빔에 의해 주어진 패턴으로 노광되고, 이에 의해 감광체의 표면에 원하는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된다. 현상기는 감광체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을 가시상(Visible Image)인 분말상태의 토너화상(Toner Image)으로 현상한다. 그리고, 감광드럼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되는 전사롤러(Transfering Roller)와 토너화상이 형성된 감광드럼에 소정의 전사전압이 인가된다. 이 상태에서,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기록매체인 용지가 통과하면 감광체에 형성되어 있는 토너화상이 용지로 전사된다. 정착롤러를 포함하는 정착부는 토너화상이 전사된 용지를 가열하여 분말상태의 토너화상을 일시적인 용융에 의해 용지에 융착시킨다. 상기 정착부의 열원에서 발생된 복사열(Radiant Heat)에 의해 정착롤러의 표면을 정해진 온도로 가열한다.
상기 열원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복사열을 발생하는데, 상기 열원과 외부전원은 전원공급부에 의하여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받는다.
도 1은 종래의 표면 직접 가열롤러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가열롤러장치(100)는 롤러(101)와, 상기 롤러(101)위 에 마련되는 절연층(102)과, 상기 절연층(102)위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층(103)과, 상기 발열층(103)위에 설치되는 보호층(104)과, 전원공급부(106)를 구비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06)는 상기 발열층(103)위에 도전성접착제(105)를 도포하고 그 위에 설치되는 슬립링(Slip Ring)으로 구성된다. 상기 슬립링은 외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류를 상기 발열층(103)에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롤러(101)가 회전하면 일체로 함께 회전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표면 직접 가열롤러방식에서 사용되는 전원공급부(106)는 상기 롤러(101)의 표면에 저항 발열층(103)을 직접 설치하고, 그 위에 도전성 접착제(105)로 상기 슬립링을 고정시켜서 전원을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부(106)에는 전기적인 전류 응력, 기계적인 잔류 열 응력 및 사용 환경에 따른 열적충격 등 많은 응력을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단시간내에 상온에서 정착온도까지 상승시켜야 하기 때문에, 초기 및 사용 중에도 상기 전원공급부(106)는 반복적으로 많은 충격을 받게 되어 내구성 및 안전성에 큰 취약점을 가진다. 또한, 도전성 접착제를 사용하므로 전류가 발열층이 아닌 다른 구성부품에 흐를 수 가 있어 사용자가 감전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히트파이프(Heat Pipe)를 이용하는 정착롤러장치에 있어서는 전원공급부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종래의 직접 가열식 정착롤러장치에 사용되는 것과는 다르게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게 구성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는 정착롤러의 양단에 상기 정착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비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측에 발열부의 리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관상의 캡과, 상기 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그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구멍을 통과한 상기 발열부의 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슬립링을 구비하여 외부전원과 발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과 상기 정착롤러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캡에는 발열부의 리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는 그 직경이 저항발열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립링과 상기 캡 사이에는 비도전성 접착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일단에는 발열부의 도전성 캡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슬립링이 연결되는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내측에는 상기 발열부의 리드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있는 관상의 연결캡과,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발열부의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캡의 일단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부에 전달하는 슬립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연결캡은 양측에 각각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발열부의 도전성 캡이 삽입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슬립링이 삽입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홈은 상기 관통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발열부의 도전성 캡과 슬립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홈의 내부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돌기부가 마련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도전성 캡과 슬립링에는 각각 오목부가 마련되어, 상기 오목부와 돌기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캡의 양단에는 상기 정착롤러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복수개의 고정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캡과 슬립링에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슬립링은 그 내측에 상기 발열부의 리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가 적용되는 정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한 정착롤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를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의 슬립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부(200)는 토너화상(231)이 형성된 용지(230)가 배출되는 방향, 즉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착롤러장치(210)와, 상기 용지(230)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정착롤러장치(210)에 접촉하면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압롤러(220)를 구비한다.
상기 정착롤러장치(200)는 그 표면에 테프론 코팅 등에 의한 보호층(211)이 형성되어 있고, 관상이며 양단은 도전성 캡(213)으로 밀폐되어 있는 정착롤러(212)와, 상기 정착롤러(212)의 내부에 설치되며 전류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는 저항발열체(214)와, 상기 저항발열체(214)에 외부전원과 연결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240)및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상기 정착롤러(21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되는 전동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정착롤러장치(210)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용 캡을 구비한다.
상기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240)는 상기 정착롤러(212)의 양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캡(243)과, 상기 캡(243)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전류를 상기 저항 발열체(214)에 전달하는 슬립링(Slip Ring, 241)을 구비한다.
상기 캡(243)은 관상으로, 상기 정착롤러(212)에 끼워서 설치된다. 상기 정착롤러(212)와 캡(243)사이에는 접착제(245)가 개재되어 상기 캡(243)을 정착롤러(212)에 고정 연결한다. 상기 캡(243)에는 일부분에 구멍(244)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정착롤러(212)를 통하여 인출되는 상기 저항발열체(214)를 지지한다. 상기 캡(243)에는 구멍(244) 대신에 슬릿(Slit)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캡(243)은 저항발열체(214)와 연결되므로 전류가 도전성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전류가 다른 구성부품에 흐를 수 있으므로, 비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류가 다른 부품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저항발열체(214)에 전류가 흐르더라도 상기 캡(243)을 통하여 정착롤러장치(210)의 다른 구성부품에 전류가 통하지 않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슬립링(241)은 외부전원과 접촉 연결되어 상기 저항발열체(214)에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관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캡(243)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립링(241)과 캡(243)은 접착제(245)에 의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립링(241)에는 그 내면의 일측에 중심방향으로 연결부(2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242)는 상기 저항발열체(214)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저항발열체(214)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직경이 상기 저항발열 체(214)의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슬립링(241)과 저항발열체(214)를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변용 예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정착롤러(212)의 상부에는 상기 보호층(211)에 접촉되어 정착롤러(212)및 보호층(211)의 표면온도를 검지하는 써미스터(Thermistor, 250)와, 상기 정착롤러(212)및 보호층(211)의 표면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에 전원을 차단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써머스텟(Thermostat, 26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전원공급부를 적용한 정착롤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정착롤러장치(210)는 별도로 설치되는 동력전달용 캡과 프레임에 설치되는 전동기구와 연결되어 회전을 하게 된다. 용지에 형성된 분말상의 토너를 용지에 융착하기 위하여는 상기 정착롤러(212)가 목표온도까지 올라가도록 상기 저항발열체(214)에 전류를 공급하여야 한다.
상기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240)는 프레임에 설치되는 별도의 전극에 항상 접촉되어 있으며, 상기 정착롤러장치(210)와 같이 회전하면서 상기 전극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다. 상기 전극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는 상기 슬립링(241)에 전달되고, 상기 연결부(241)를 통하여 상기 저항발열체(214)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저항발열체(214)에서는 열이 발생되고, 이 발생된 열은 정착롤러(212)에 전달되어 그 표면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토너의 융착에 필요한 목표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정상적인 토너화상의 정착온도가 160 ~ 190 ℃ 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정착롤러장치(210)는 약 수초 이내에 목표온도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목표온도에 도달한 후에는 상기 써미스터(250)가 상기 정착롤러(212)의 표면온도를 검지하여 표면온도를 토너를 융착하기에 적당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유지시켜준다. 만약, 상기 써미스터(250)에 의하여 표면온도조절에 실패하여 표면온도가 급상승하게 되면, 상기 써머스텟(260)이 표면온도를 검지하여 전원을 차단하여 그 표면온도의 급상승을 방지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동작은 목표온도에 따라 가변 될 수 있으며, 전원공급도 주기적인 온/오프(0N/OFF) 타임이나 듀티비(Duty Ratio) 혹은 PI등의 제어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한 정착롤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캡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슬립링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가 적용되는 정착롤러장치(310)는 그 표면에 보호층(311)이 형성되어 있고, 관상이며 양단은 도전성 캡(313)으로 밀폐되어 있는 정착롤러(312)와, 상기 정착롤러(312)의 내부에 설치되며, 그 양 리드(314a)가 상기 도전성 캡(313)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열을 발생하는 저항발열체(314)와, 상기 저항발열체(314)에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하는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360)및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정착롤러(312)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전동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정착롤러장치(310)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용 캡을 구비한다.
상기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360)는 연결캡(340)과 슬립링(350)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캡(340)은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양측에 상기 도전성 캡(313)과 슬립링(350)이 삽입되는 홈(34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홈(341)은 상기 저항발열체(314)의 리드(314a)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3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홈(341)의 내면에는 상기 슬립링(350)과 도전성 캡(313)이 상기 홈(341)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홈(341)의 내면에 그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기부(343)와, 이에 대응하여 상기 슬립링(350)과 도전성 캡(313)의 외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오목부(351)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립링(350)과 도전성 캡(313)이 상기 홈(341)에 삽입되면 상기 오목부(351)가 돌기부(343)와 맞물려 연결되어, 상기 슬립링(350)과 도전성 캡(313)이 상기 홈(341)에 고정된다. 물론, 상기 돌기부(343)는 상기 슬립링(350)과 도전성 캡(313)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351)는 상기 슬립링(35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링(350)은 관상이며,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슬립링(350)의 내면에는 상기 저항발열체(314)의 리드(314a)가 삽입될 수 있는 홀(3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353)의 내면에는 상기 리드(314a)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355)이 마련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저항발열체(314)는 그 지름이 작으므로 회전중의 충격이나 기타 외부에서 작용하는 응력에 의하여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상기 보호층(355)에 의하여 보호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립링(350)에 상기 저항발열체(314)의 리드(314a)를 연결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상기 리드(314a)를 상기 슬립링(350)의 홀(353)에 삽입한 다음에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상기 홀(353)과 리드(314a)가 서로 접촉되도록 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를 적용한 정착롤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연결캡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슬립링을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제 2실시예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9,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460)는 연결캡(440)과 슬립링(450)을 구비한다.
상기 연결캡(440)은 비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양측에 상기 도전성 캡(313)과 슬립링(450)이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인 복수개의 돌출부(44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캡(440)은 상기 저항발열체(314)의 리드(314a)가 관통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4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43)에 대응하여 상기 슬립링(450)과 도전성캡(313)에는 고정홀(4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립링(450)과 도전성 캡(313)이 상기 연결캡(440)에 연결될 때, 상기 돌출부(443)는 이에 대응되는 상기 고정홀(45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립링(450)과 도전성 캡(313)은 상기 연결캡(440)에 고정된다.
상기 슬립링(450)에는 상기 발열부(314)의 리드(314a)가 삽입될 때,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455)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홀(451)은 상기 연결캡(440)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43) 는 상기 슬립링(450)과 도전성 캡(313)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연결캡(440)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홀(45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돌출부(443)를 형성하여 이에 대응하여 상기 슬립링(450)과 도전성 캡(313)에는 상기 돌출부(443) 또는 고정홀(451)을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의 연결캡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의 슬립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 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9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부재를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연결캡(540)은 관상으로 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는 저항발열체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5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캡(540)의 양단에는 상기 슬립링(550)과 도전성캡(313)이 연결되는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각각 상기 슬립링(550)과 도전성캡(313)을 향하여 복수개의 사각형 형상의 돌출턱(5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543)에 대응하여 상기 슬립링(550)과 도전성 캡(313)에는 복수개의 고정홈(5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립링(550)과 도전성 캡(313)이 상기 연결캡(540)에 연결될 때, 상기 돌출턱(543)이 상기 고정홈(55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슬립링(550)과 도전성 캡(313)이 상기 연결캡(540)에 고정된다.
상기 슬립링(550)에는 상기 발열부(314)의 리드(314a)가 삽입되어 연결될 때,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555)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고정홈(551)은 상기 연결캡(540)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턱(543) 은 상기 슬립링(550)과 도전성 캡(313)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연결캡(540)의 일측에는 상기 돌출턱(543)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상기 고정홈(551)을 형성하여 이에 대응하여 상기 슬립링(550)과 도전성 캡(313)에는 상기 고정홈(551) 또는 돌출턱(543)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는 전기적인 전류응력, 기계적인 잔류 열 응력 및 사용 환경에 따른 열적 충격등 반복적으로 받게 되는 지속적인 응력에 대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정착롤러의 양단에 상기 정착롤러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비 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 일측에 발열부의 리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관상의 캡과;
    상기 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그 내주면의 일측에 상기 구멍을 통과한 상기 발열부의 리드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연결부가 마련되어 있는 슬립링;을 구비하여 외부전원과 발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과 상기 정착롤러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발열부의 리드가 통과할 수 있도록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그 직경이 저항발열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링과 상기 캡 사이에는 접착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6. 일단에는 발열부의 도전성캡이 연결되고, 타단에는 슬립링이 연결되는 비도전성재료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내측에는 상기 발열부의 리드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마련되어 있는 관상의 연결캡과;
    상기 관통홀을 통과한 발열부의 리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캡의 일단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부에 전달하는 슬립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캡은 양측에 각각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측에는 발열부의 도전성 캡이 삽입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슬립링이 삽입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관통홀에 의하여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내주면에는 상기 발열부의 도전성 캡과 슬립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홈의 내부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돌기부가 마련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 도전성 캡과 슬립링에는 각각 오목부가 마련되어, 상기 오목부와 돌기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연결캡의 양단에는 상기 정착롤러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복수개의 고정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캡과 슬립링에는 돌출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고정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링은 그 내측에 상기 발열부의 리드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KR1020010024379A 2001-05-04 2001-05-04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KR100782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379A KR100782801B1 (ko) 2001-05-04 2001-05-04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JP2001241809A JP3990883B2 (ja) 2001-05-04 2001-08-09 レーザープリンタ用定着ローラの電力供給構造,定着ローラ,及びレーザープリンタ
US10/055,938 US6594455B2 (en) 2001-05-04 2002-01-28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n external power supply and a heater for a fusing roller hermetically sealed within the fusing roller used in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a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4379A KR100782801B1 (ko) 2001-05-04 2001-05-04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5098A KR20020085098A (ko) 2002-11-16
KR100782801B1 true KR100782801B1 (ko) 2007-12-06

Family

ID=19709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379A KR100782801B1 (ko) 2001-05-04 2001-05-04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594455B2 (ko)
JP (1) JP3990883B2 (ko)
KR (1) KR100782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6461B1 (en) * 2000-06-16 2004-11-09 Ciena Corporation Method of controlling a network element to aggregate alarms and faults of a communications network
KR100400006B1 (ko) * 2001-05-25 2003-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JP2006039049A (ja) * 2004-07-23 2006-02-09 Canon Inc 定着器及び前記定着器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とのその制御方法
US8579535B2 (en) 2009-09-15 2013-11-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Micro-coupling active release mechanism
US8644749B2 (en) * 2010-10-08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urface heating type heating unit for fixing device, and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6061608B2 (ja) * 2012-10-17 2017-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加熱装置
FR3059897B1 (fr) * 2016-12-09 2019-05-24 L'oreal Procede de production d'un article cosmetique
JP7543673B2 (ja) * 2020-03-27 2024-09-03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加熱装置と被加熱体利用装置
JP2023146005A (ja) * 2022-03-29 2023-10-12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加熱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加圧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2331A (ja) * 1993-05-19 1994-12-02 Ushio Inc 加熱定着装置
JPH0887192A (ja) * 1994-07-22 1996-04-02 Ushio Inc 加熱定着装置および棒状発熱体
JPH08314309A (ja) * 1995-05-16 1996-11-29 Brother Ind Ltd 定着用加熱ローラ
JPH1145020A (ja) * 1997-05-30 1999-02-16 Ricoh Co Ltd 定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943A (en) * 1974-06-11 1975-12-09 Xerox Corp Segmented biased transfer member
US4395109A (en) * 1979-06-11 1983-07-26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Fixing device for electronic duplicator machine
US4813372A (en) * 1986-05-08 1989-03-21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image fixing apparatus
JPS62287277A (ja) * 1986-06-06 1987-12-14 Canon Inc 定着ロ−ラ装置
JPH077232B2 (ja) * 1986-12-29 1995-01-30 小野田セメント株式会社 複写機用熱定着ロ−ル
US5722025A (en) * 1995-10-24 1998-02-24 Minolta Co., Ltd. Fixing device
JPH10207276A (ja) * 1997-01-28 1998-08-07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
US5987296A (en) * 1997-09-24 1999-11-16 Konica Corporation Fixing device with heat roller having heating resistor layer therein
JPH11329653A (ja) * 1998-05-18 1999-11-30 Star Micronics Co Ltd スリップリングとその製造方法
JP3548429B2 (ja) * 1998-08-13 2004-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0181263A (ja) * 1998-12-15 2000-06-30 Ricoh Co Ltd 定着装置
US6285006B1 (en) * 2000-07-12 2001-09-04 American Roller Company Ceramic heater/fuser roller with internal heat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2331A (ja) * 1993-05-19 1994-12-02 Ushio Inc 加熱定着装置
JPH0887192A (ja) * 1994-07-22 1996-04-02 Ushio Inc 加熱定着装置および棒状発熱体
JPH08314309A (ja) * 1995-05-16 1996-11-29 Brother Ind Ltd 定着用加熱ローラ
JPH1145020A (ja) * 1997-05-30 1999-02-16 Ricoh Co Ltd 定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64176A1 (en) 2002-11-07
JP3990883B2 (ja) 2007-10-17
JP2002341688A (ja) 2002-11-29
US6594455B2 (en) 2003-07-15
KR20020085098A (ko) 200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117B1 (ko) 저항 발열층을 채용한 가열롤러 및 이를 채용한 정착장치
KR100782801B1 (ko)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KR100403595B1 (ko)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장치
KR100476975B1 (ko) 화상형성기기의 정착롤러
KR20110075350A (ko) 정착장치와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KR100382658B1 (ko)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장치
KR100400006B1 (ko)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전원공급장치
KR100503065B1 (ko)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장치
KR100561411B1 (ko)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장치
JP2024034131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005572A (ja) 像加熱装置
JP2011048203A (ja) 加熱部材、定着装置、および該定着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KR100374618B1 (ko)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롤러 장치
JP3731363B2 (ja) 定着装置
KR100477662B1 (ko)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의 정착 장치
JP2000221825A (ja) 定着装置
JP2001117405A (ja) 加熱定着装置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3113030B2 (ja) 定着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17013B1 (ko) 정착유닛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JP2008225150A (ja) ヒータユニット、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060039116A (ko) 정착롤러 및 이를 적용한 정착장치
KR100433418B1 (ko) 화상형성기기의 정착롤러 장치
JP2000112287A (ja) 画像形成装置
KR101182295B1 (ko) 화상형성기기의 정착장치
JP200017211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05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4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105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